KR20160125732A -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732A
KR20160125732A KR1020150056562A KR20150056562A KR20160125732A KR 20160125732 A KR20160125732 A KR 20160125732A KR 1020150056562 A KR1020150056562 A KR 1020150056562A KR 20150056562 A KR20150056562 A KR 20150056562A KR 20160125732 A KR20160125732 A KR 2016012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converters
power
output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오동성
김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5005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732A/ko
Publication of KR2016012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of the parall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 전력을 각각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그라운드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된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를 공통 연결시키거나 각 그라운드의 독립을 유지시키는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키는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 동향은 기기간의 시스템화, 디지털화, 무선화, 멀티미디어화, 인텔리전트화, 복합화 등이며 그 중에서도 멀티미디어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형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가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를 비롯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새로운 정보기기로서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어댑터(adapter)와 같은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한 새로운 기술적 요구 사항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전력 공급 장치는 대기전력에 대한 규제만이 공식적으로 존재하였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에 터치 스크린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능들이 부가되면서 전력 공급 장치가 기기를 충전하는 동안 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한편,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됨에 따라, 하나의 전력 공급 장치로 필요한 전원 전압이 다른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만큼 정격 전력 사양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기에 따라 전용 전력 공급 장치가 채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가격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류만큼 전력 공급 장치의 개수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전압을 예를 들어, 5V로 공유할 경우 노트북과 같이 요구되는 입력파워가 큰 경우 많은 전류가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기기에 발생한 열을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기구가 요구된다.
즉, 전력 공급 장치의 크기가 필수적으로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출력 전압을 예를 들어, 12V로 높이는 경우 낮은 입력 전압을 가지는 기기(스마트 폰 등)는 전류는 줄어들지만 소형과 저가격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내압이 작고 저렴한 소자를 쓰다가 입력 전압의 상승 범위만큼 내압이 높은 소자를 사용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 내압이 높은 소자는 크기가 크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하나의 전압 레벨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합 전력 공급 장치가 공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통합 전력 공급 장치는 다양한 전압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전원 회로가 각각 구비되어 부피가 증가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제조된 전력 공급 장치는 정해진 전압 레벨의 전력만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디바이스에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력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54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 전력을 각각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그라운드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된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를 공통 연결시키거나 각 그라운드의 독립을 유지시키는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키는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전력 장치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다양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출력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출력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직류/직류 컨버터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교류/직류 컨버터(110),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직류 컨버터(110)는 교류 전력(AC)를 입력받아 이를 정류 및 평활한 후 직류 전력(DC)으로 변환할 수 있다.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일 수 있으나, 2개 이상의 직류/직류 컨버터일 수 있다.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 각각은 교류/직류 컨버터(110)로부터의 직류 전력(DC)를 각각 입력받아 이를 출력 전력(VO1,VO2)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 각각은 출력 전력(VO1,VO2)이 출력되는 출력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출력단은 출력 전력(VO1,VO2)의 플러스 극성을 갖는 플러스(+) 출력단과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마이너스(-) 출력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너스 출력단은 그라운드(GND1,GND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그라운드(GND1,GND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은 제1 그라운드(GN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은 제1 그라운드(GND1)와 전기적으로 상이한 제2 그라운드(GN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에 따라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를 공통연결하거나 각각 독립된 그라운드를 갖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121,122) 각각의 출력 전력을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출력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에 채용된 출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S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이 제1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130)의 제1 스위치(S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이 제1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플러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130)의 제2 스위치(S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출력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00)에 채용된 출력부(230)는 복수의 스위치(S1,S2,S3,S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220)이 제1 내지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1,222,223)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230)의 제1 스위치(S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의 마이너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230)의 제3 스위치(S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220)이 제1 내지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1,222,223)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플러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230)의 제2 스위치(S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의 플러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230)의 제4 스위치(S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직류/직류 컨버터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직류/직류 컨버터는 교류/직류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Q)를 포함하여 출력 전력(VO)를 제어하는 비절연형 컨버터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채용된 직류/직류 컨버터는 교류/직류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Q)와 트랜스포머(T)를 포함하여 출력 전력(VO)를 제어하는 절연형 컨버터일 수 있다.
트랜스포머(T)는 스위치(Q)에 연결된 1차 권선(P)과, 1차 권선(P)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1차 권선(P)과 형성된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P)으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출력하는 2차 권선(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력(VO)를 공급받는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절연된 출력 전력 또는 비절연된 출력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S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이 제1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 간에 출력부(130)의 제1 스위치(S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1)는 제어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1)가 턴 온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에는 그라운드(GND2)가 공통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에 따라 제1 스위치(S1)는 턴 오프하여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과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의 전기적 연결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은 제1 그라운드(GN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마이너스 출력단(-)은 제1 그라운드(GND1)와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2 그라운드(GN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의 출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120)이 제1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12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과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플러스 출력단(+) 간에 출력부(130)의 제2 스위치(S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2)는 제어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S2)가 턴 온되면, 제1 직류/직류 컨버터(121)의 마이너스 출력단(-)과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2)의 플러스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122)의 제1 및 제2 출력 전력(VO1,VO2)이 결합되어(VO1+VO2)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220)이 제1 내지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1,222,223)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 간에는 출력부(230)의 제1 스위치(S1)가 턴 온되어,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에는 그라운드(GND2)가 공통 연결될 수 있고, 제3 스위치(S3)는 턴 오프되어,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의 마이너스 출력단(-)는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독립적인 제3 그라운드(GND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제3 및 제4 스위치(S1,S3,S4)는 턴 오프하고, 제2 스위치(S2)는 턴 온하여,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플러스 출력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제1 출력 전력(VO1)과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제2 출력 전력(VO2)는 결합되어(VO1+VO2) 출력되고,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는 제3 출력 전력(VO3)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4 스위치(S2,S4) 턴 오프하고, 제1 및 제3 스위치(S1,S3)가 턴 온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 및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의 마이너스 출력단(-)는 공통 연결되어 제3 그라운드(GND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및 제4 스위치(S2,S4) 턴 온하고, 제1 및 제3 스위치(S1,S3)가 턴 오프하는 경우,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마이너스 출력단(-)와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플러스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마이너스 출력단(-)이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의 플러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직류/직류 컨버터(221)의 제1 출력 전력(VO1)과 제2 직류/직류 컨버터(222)의 제2 출력 전력(VO2) 및 제3 직류/직류 컨버터(223)는 독립적으로 제3 출력 전력(VO3)는 결합되어(VO1+VO2+VO3)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전력 장치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다양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200: 전력 공급 장치
110,210: 교류/직류 컨버터
120,220: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121,221: 제1 직류/직류 컨버터
122,222: 제2 직류/직류 컨버터
223: 제3 직류/직류 컨버터
130,230: 출력부

Claims (14)

  1.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 전력을 각각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그라운드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된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를 공통 연결시키거나 각 그라운드의 독립을 유지시키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 간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켜 각 출력 전원을 결합시켜 출력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 간을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키는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비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7.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 전력을 각각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그라운드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된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각각의 출력단의 그라운드를 공통 연결시키거나 각 그라운드의 독립을 유지시키는 하나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키는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갖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비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10.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상기 직류 전력을 각각 출력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상기 출력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단의 그라운드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된 직류/직류 컨버터 그룹; 및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출력 전원을 결합시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켜 각 출력 전원을 결합시켜 출력하는 전력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마이너스 출력단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플러스 출력단에 연결시키는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직류 컨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직류 컨버터는 비절연형 컨버터인 전력 공급 장치.
KR1020150056562A 2015-04-22 2015-04-22 전력 공급 장치 KR20160125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62A KR20160125732A (ko) 2015-04-22 2015-04-22 전력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62A KR20160125732A (ko) 2015-04-22 2015-04-22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32A true KR20160125732A (ko) 2016-11-01

Family

ID=5748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62A KR20160125732A (ko) 2015-04-22 2015-04-22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7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6783B2 (en) 2018-09-12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01693B2 (en) 2019-07-17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transmitting power to a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receiving pow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549A (ko) 2009-12-03 2011-06-10 오동환 가정용 아답터 통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549A (ko) 2009-12-03 2011-06-10 오동환 가정용 아답터 통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6783B2 (en) 2018-09-12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01693B2 (en) 2019-07-17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transmitting power to a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receiving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652B2 (en) Wireless charger equipped with auxiliary power supply and auxiliary power device
US9906059B2 (en)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ovable power source using the same
KR101790046B1 (ko) 보조배터리를 이용한 마스터장치의 충전장치 및 방법
US10250059B2 (en) Charging circuit for battery-powered device
CN106558992B (zh) 电源转换装置
JP2016086527A (ja) Usb給電装置、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usb給電装置の制御方法
US20090009153A1 (en) Multiple output ac/dc power adapter
JPWO2015075854A1 (ja) 直流電源装置
US9618917B2 (en) Power control device
CN105449804A (zh) 一种移动终端电源电路及装置
KR20160125732A (ko) 전력 공급 장치
JP5090849B2 (ja) 過電圧保護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0012407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thereof
US20150003135A1 (en) Direct current to alternating current converter circuit
US20090134706A1 (en) Regulated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US8446053B2 (en) Computer system
US20100201198A1 (en) Low- voltage dual power loop device and method
US8222861B1 (en) Elimination of power consumption when charger/adaptor is not in use
KR101750483B1 (ko)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CN108418447B (zh) 一种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
US20170005684A1 (en)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KR101394614B1 (ko) 외부 어댑터와 연결된 전기기기 및 모터 시스템
US10566831B2 (en) Zero energy loss efficient power supply responsive to connection state and utilization device control
CN113452097A (zh) 一种充电电路、方法、系统、电池和电子设备
TW201505349A (zh) 整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