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77A -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77A
KR20160125077A KR1020150055789A KR20150055789A KR20160125077A KR 20160125077 A KR20160125077 A KR 20160125077A KR 1020150055789 A KR1020150055789 A KR 1020150055789A KR 20150055789 A KR20150055789 A KR 20150055789A KR 20160125077 A KR20160125077 A KR 2016012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wireless
poi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5814B1 (en
Inventor
박재규
노정민
김정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5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14B1/en
Publication of KR2016012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pparatus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terminal device,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apparatus includes a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and a wireless resource management unit.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is connected with an external network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ervice and to detect a wireless signal intensity of a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The wireless resource management unit transmits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when the radio signal intensity is reduced to be equal to or lower than a reference intensity.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pparatus,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의 이동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pparatus, and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a terminal apparatus, and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무선랜(WLAN; Wireless LAN)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WLAN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for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Sinc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 a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of wireless LAN (WLAN)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80, many standardization works have been performed. Since the initial WLAN technology supports the speed of 1 ~ 2Mbps through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and infrared communication using 2.4GHz frequency through IEEE 802.11, recently it has applied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peed can be supported. In IEEE 802.11, IEEE 802.11 has been improved to improve QoS (Quality of Service), access point protocol compatibility, security enhancement, radio resource measurement, wireless access vehicle environment for vehicle environment, , Fast Roaming, Mesh Network, 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Management are being put into practical use or development.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단말 장치(station)로 이루어진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전송거리 이내의 무선랜 사용자들이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파를 보내는 장비로서 휴대폰의 기지국 또는 유선 네트워크의 허브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당 반경 20~150m 정도의 영역에서 동시에 25~50개의 단말이 접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LAN system is made up of an access point and a station. An access point is a device that transmits radio waves to a wireless LAN user within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distance so as to use the Internet and a network, and functions as a hub of a mobile phone or a hub of a wired network. In addition, 25 to 50 terminals can be connected and used simultaneously in an area having a radius of about 20 to 150 m per one access point.

무선랜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확장 서비스 영역(ESS: Extension Service Set)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실제로 단말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단말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와 연결되지 못한 액세스 포인트들이 동작하는 것은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In order to expand the service area of the wireless LAN system,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may be connected to construct one Extension Service Set (ESS). In this case, among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extended service area, there may exist terminal devices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not actually connected. Operation of access points which are not connected to such a terminal device causes waste of power, and therefore improvement is required.

등록특허 제1010506010000호(2011.07.13.)Registration No. 1010506010000 (July 13, 2011)

본 발명은 단말 장치가 확장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할 경우,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when a terminal apparatus moves within an extended service area, and a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 망과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의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로 감소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point apparatus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ervice, and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of a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is detected And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when the radio signal strength is reduced below a reference strength.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페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may receive pairing information on whether a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from the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may transmit the radio activation signal to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in which the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may be a WiFi ser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준 세기는 -75dB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ference strength may be -75 d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페어링 관리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ess p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ing management unit connected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er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exists,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the wireless signal when the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for the firs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 망과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페어링된 단말 장치의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로 감소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페어링 관리부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sensitivity measuring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to provide a wireless network service and detecting a wireless signal strength of a paired terminal apparatus, And a radio resource manager for transmitting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s when the paired terminal device is decremented to at least one of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s and the paired terminal device,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the wireless signal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oes not exis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페어링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에 소모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ccess point apparatus and the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access poi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selectively cutting off power consumed in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f an access point apparatus not paired by the terminal apparatus have.

또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 간의 신호 교환에 의해 단말 장치의 로밍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전송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roaming of the terminal apparatus can be performed quickly by exchanging signals between the access point apparatuses, thereby preventing transmission data from being lost.

아울러, 불필요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무선 신호송수신을 제거함으로써, 동일 확장 서비스 영역 내에서의 무선 혼잡도를 줄일 수 있어 무선 신호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radio signals of the unnecessary access point apparatus, the radio congestion in the same extended service area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adio signal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and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LAN system shown in FI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IEEE 802 systems, 3GPP systems, 3GPP LTE and LTE-Advanced (LTE-Advanced) systems and 3GPP2 systems, which are wireless access systems. That is, the steps or por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orted by th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scribed by the standard doc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10)은 마스터(master)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복수의 슬레이브(slave)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및 단말 장치(station, 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10)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와 복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이 연결되어 하나의 확장 서비스 영역(ESS: Extension Service Set)을 구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선랜 시스템(10)은 IEEE 802.11ac 표준에 따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the WLAN system 10 includes a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a plurality of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and a terminal station 300 . The WLAN system 10 is connected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and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to expand one service area (ESS: Extension Service Set) And the like. The wireless LAN system 10 may comply with the IEEE 802.11ac standar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유효 전송거리 이내의 영역을 나타내는 마스터 커버리지(P) 내로 이동한 단말 장치(300)가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파를 보내는 장치일 수 있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망을 통해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네트워크 망(예컨대, 이더넷(Ethernet) 망)과 접속되어, 단말 장치(300)와 네트워크 망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may be a device that transmits radio waves so that the terminal apparatus 300 that has moved into the master coverage P indicating an area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can use the Internet connection and the network.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through a home network network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network (e.g., an Ethernet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device 300 and the network.

또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also manages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and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es of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는 유효 전송거리 이내의 영역을 나타내는 각각의 슬레이브 커버리지(A~D) 내로 이동한 단말 장치(300)가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파를 보내는 장치일 수 있다.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는 홈 네트워크 망을 통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또는 다른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네트워크 망과 접속되어, 단말 장치(300)와 네트워크 망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Each of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is a device that transmits a radio wave so that the terminal apparatus 300 that has moved into each slave coverage A to D indicating an area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can use the Internet connection and the network . Each of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can be connected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or another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through a home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network,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m.

비록 도 1에서는 4개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 만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개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only four slave access point devices are shown in FIG. 1,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number of slave access point devices can be applied.

단말 장치(300)는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200a~200d)를 발견하기 위하여 스캔(scan)을 수행한다. 이 때, 스캔은 크게 액티브(active) 모드 스캔과 패시브(passive) 모드 스캔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device 300 performs a scan to find the connectable access point devices 100, 200a to 200d. At this time, the scan largely includes an active mode scan and a passive mode scan.

상기 액티브 모드 스캔은 단말 장치(30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200a~200d)로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를 전송하고, 단말 장치(30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200a~200d)로부터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수신함으로써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상기 패시브 모드 스캔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200a~200d)가 주기적으로 비콘(beacon) 프레임을 송출하고, 단말 장치(300)가 이를 수신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발견하는 방식이다.The active mode scan is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300 transmits a probe request to the access point apparatuses 100 and 200a to 200d and the terminal apparatus 300 transmits a probe request from the access point apparatuses 100 and 200a to 200d, And a probe response is received to discover an access point device that can be accessed. In contrast, the passive mode scan is a method in which the access point apparatuses 100 and 200a to 200d periodically transmit a beacon frame, and the terminal apparatus 300 receives the received beacon frame and finds accessable access point apparatuses.

예컨대, 단말 장치(300)가 특정 커버리지(예컨대, P)에 머무른 뒤, 다른 커버리지(예컨대, A)로 이동할 경우,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예컨대, 100)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예컨대, 200a)로의 로밍(roaming) 즉, 통신 접속 전환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300)는 현재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모든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스캔하며, 최대 RSSI(Receive Signal Structure Indicator; 무선 수신 강도)를 가진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가입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 장치(300)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pairing)되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말 장치(300)와 해당 액세스 포인트 장치 간의 무선 네트워크 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g., 100) to another access point (e.g., 200a) when the terminal device 300 moves to another coverage (e.g., A) after the terminal device 300 has stayed in a particular coverage And performs roaming, i.e., communication access switching. Herein, the terminal device 300 separates from the current access point device, scans all accessable access point devices, and performs a join procedure to an access point device having a maximum RSSI (Receive Signal Structure Indicator) . When the subscription procedure is completed, the terminal device 300 is paired wit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device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data. At this time, the wireless network system between the terminal 300 and the access point apparatus may be a WiFi system or a Bluetooth system,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and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수신 감도 측정부(110) 및 무선 자원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aster access point 100 may include a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110 and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수신 감도 측정부(110)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 감도 측정부(110)는 상기 무선 신호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무선 자원 관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ing unit 110 may measure reception sensitivity of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paired with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110 may measure the radio signal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and provide it to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수신 감도 측정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신호 세기를 기초로 복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상기 무선 신호 세기를 기준 세기와 비교하여 무선 활성화 신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slave access points 200a to 200d based on the radio signal strength provided from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110. [ Specifically,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a radio activation signal by comparing the radio signal strength with a reference strength.

상기 기준 세기는 단말 장치(300)가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의 마스터 커버리지(P)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무선 신호 세기로서,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의 수신 가능 거리, 인접하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과의 거리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 세기는 -75 dB 일 수 있다.The reference strength is a radio signal strength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apparatus 300 exists in the master coverage P of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The distance from the adjacent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to 200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eference strength may be -75 dB.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각각의 무선 송수신부(예컨대, 230)의 전원을 온(ON)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may be a signal fo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e.g., 230) of each of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또는 초과)이므로, 단말 장치(300)가 마스터 커버리지(P) 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어, 복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각각의 무선 송수신부(예컨대, 230)의 전원을 온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If the radio signal strength is more than (or more than) the reference strength,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may not generate the radio activation signal. Since the radio signal intensity is above (or exceeds) the reference strength, the terminal device 300 can be regarded as being in the master coverage P, and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E.g., 230) is not turned on.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또는 미만)로 감소할 경우,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또는 미만)이므로, 단말 장치(300)가 마스터 커버리지(P)를 벗어났다고 볼 수 있어, 복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각각의 무선 송수신부(예컨대, 230)의 전원을 온시켜 단말 장치(300)의 로밍을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If the radio signal strength decreases below (or below) the reference strength,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may generate the radio activation signal. This is because the radio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less than) the reference strength, the terminal 300 can be regarded as exceeding the master coverage P, and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00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For example, 230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erminal device 300 to support roaming.

또한,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복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각각으로부터 페어링 정보(paring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정보는 페어링 성공 신호 및 페어링 실패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성공 신호는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가 단말 장치(300)와 페어링될 경우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실패 신호는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가 단말 장치(300)와 일정 시간 동안 페어링되지 못할 경우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can receive the pairing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to 200d. The pair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pairing success signal and a pairing failure signal. The pairing success signal may be a signal generated when each of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to 200d is paired with the terminal device 300. [ The pairing failure signal may be a signal generated when each slave access point 200a to 200d can not be paired with the terminal 300 for a predetermined time.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상기 페어링 정보로부터 각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의 무선 송수신부(예컨대, 230)의 전원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may monitor the on or off state o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example, 230) of each of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a to 200d from the pairing information.

따라서,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상기 페어링 정보로부터 무선 송수신부(예컨대, 230)의 전원이 오프된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다른 단말 장치(미도시)와 이미 페어링되어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와 관련된 동작이 전력 및 시간 측면에서 불필요하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generates the radio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radio activation signal only to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 whose power of the radio transceiver (e.g., 230) is turned off from the pairing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is unnecessary in terms of power and time for a slave access point device that is already paired with another terminal device (not shown) and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is turned on.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는 페어링 관리부(210), 전원 관리부(220) 및 무선 송수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200a~200d) 중 대표적으로 200a 만을 도시하였으며, 다른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200a may include a pairing management unit 210, a power management unit 220, and a wireless transceiver unit 230. [ In FIG. 2, only 200a of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to 200d is shown, and other slave access point devices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페어링 관리부(210)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전원 관리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airing management unit 2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200a, and provide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

전원 관리부(220)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페어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전원 관리부(220)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when the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200a is not present for a first time. The first time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pairing. At this time,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may transmit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

전원 관리부(220)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can turn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이 온된 후, 전원 관리부(220)는 제2 시간 내에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할 경우 무선 송수신부(230) 전원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성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fter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if there is a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200a within the second time,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 And can transmit a pairing success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100. [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이 온된 후, 전원 관리부(220)는 상기 제2 시간 내에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다시 오프시키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fter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200a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230 to turn off the power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and transmit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

이는, 상기 제2 시간 내에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다른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b~200d)의 슬레이브 커버리지(B~D)로 단말 장치(300)가 이동한 경우이므로,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다시 오프시키는 것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re is no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200a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for example, the terminal apparatus 300 is connected to the slave coverage apparatuses B through D of the other slave access point apparatuses 200b through 200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can be reduced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again.

상기 페어링 성공 신호와 상기 페어링 실패 신호는 펄스(pulse) 형태의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The pairing success signal and the pairing failure signal may be a pulse signa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second time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ime, or may be set differently.

무선 송수신부(230)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여, 단말 장치(300)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30)는 신호의 증폭 및 변환에 필요한 다수의 증폭기들(amplifiers)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증폭기들의 동작을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즉, 전원 관리부(220)가 무선 송수신부(230) 만의 전원을 차단함에 의해서도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 wireless transceiver 230 amplifies and converts the wireless signal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with the terminal 300. [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includes a plurality of amplifiers necessary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signals, and a lot of power is consumed for operation of these amplifiers.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lave access point 200a can be greatly reduced even if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cuts off only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3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10)에 의하면, 단말 장치(300)가 페어링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무선 송수신에 소모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LAN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selectively cutting off the power consumed by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access point apparatus that is not paired by the terminal apparatus 300 .

또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 간의 신호 교환에 의해 단말 장치(300)의 로밍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전송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roaming of the terminal apparatus 300 can be performed quickly by exchanging signals between access point apparatuses, thereby preventing transmission data from being lost.

아울러, 불필요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무선 신호송수신을 제거함으로써, 동일 확장 서비스 영역 내에서의 무선 혼잡도를 줄일 수 있어 무선 신호들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elimina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radio signals of the unnecessary access point apparatus, the radio congestion in the same extended service area can be reduced, there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adio signal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LAN system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가 슬레이브 커버리지(A) 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마스터 커버리지(P)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S10).1 to 3,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device 300 uses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in the slave coverage A and moves to the master coverage P (S10).

전원 관리부(220)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S20). 이때, 전원 관리부(220)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0).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when the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slave access point 200a is not present for a first time (S20). At this time,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may transmit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S30).

이후, 단말 장치(300)가 마스터 커버리지(P)로부터 슬레이브 커버리지(A)로 이동할 수 있다(S40).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300 can move from the master coverage P to the slave coverage A (S40).

단말 장치(300)가 이동함에 따라, 수신 감도 측정부(110)가 측정한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또는 미만)로 감소하게 되며,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무선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로 전송할 수 있다(S50). 이때, 무선 자원 관리부(120)는 페어링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만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s the terminal device 300 moves, the radio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ing unit 110 is reduced to less than (or less than) the reference strength, and the radio resource manager 120 generates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the access point 200a (S50). At this time,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can transmit the radio activation signal only to the selected slave access point device by referring to the pairing information.

전원 관리부(220)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S60).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may turn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100 (S60).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이 온된 후 제2 시간 내에 슬레이브 커버리지(A)에 단말 장치(300)가 진입하여 페어링되는 경우(C1), 전원 관리부(220)는 무선 송수신부(230) 전원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고(S70),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성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5).When the terminal device 300 enters and is paired with the slave coverage A within a second time period after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C1),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ssion / (S70), and transmits a pairing success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S75).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이 온된 후 상기 제2 시간 내에 슬레이브 커버리지(A)에 단말 장치(300)가 진입하지 않는 경우(C2), 전원 관리부(220)는 무선 송수신부(230)의 전원을 다시 오프시키고(S80),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85).When the terminal device 300 does not enter the slave coverage area A within the second time period after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230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C2), the power management part 220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ssion / The power of the unit 230 is turned off again (S80), and the pairing failur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aster access point 100 (S85).

본 명세서에서는 비록 하나의 단말 장치(30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단말 장치들이 존재할 경우에도 단말 장치의 식별자를 이용해 각 단말 장치를 구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only one terminal device 300 has bee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ubstantially the sam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distinguishing each terminal device using an identifier of the terminal device even when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exist.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무선랜 시스템(10)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WLAN system 10 is not limited in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10)의 각 구성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LA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무선랜 시스템(10)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
수신 감도 측정부(110)
무선 자원 관리부(120)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a~200d)
페어링 관리부(210)
전원 관리부(220)
무선 송수신부(230)
Wireless LAN system (10)
The master access point device (100)
The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110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20,
The slave access point devices 200a-
The pairing management unit 210,
The power management unit 220,
The wireless transceiver 230,

Claims (17)

외부 네트워크 망과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의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로 감소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1. An access point apparatus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and providing a wireless network service,
A reception sensitivity measurement unit for sensing radio signal strength of a terminal device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And
And a radio resource manager for transmitting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device when the radio signal strength decreases below a reference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페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nd receives pair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paired terminal apparatus from the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nd transmits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to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in which the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인 액세스 포인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is a WiFi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세기는 -75dB인 액세스 포인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strength is -75 dB.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페어링 관리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1. An access point apparatus connected to a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for providing a wireless network service,
A pairing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aired terminal apparatus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And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the wireless signal when the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does not exist for the first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turns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킨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2 시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성공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management unit,
The power control unit maintains the power state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when the terminal unit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exists within a second time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a pairing success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킨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2 시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en the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does not exist within a second time after powering on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wer management unit,
Wherein the power management unit transmits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whe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is turned off.
외부 네트워크 망과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
페어링된 단말 장치의 무선 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상기 무선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 이하로 감소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페어링 관리부 및 상기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1 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1. A WLAN system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and providing a wireless network service,
And a radio resource manager for transmitting a radio activation signal to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when the radio signal strength is lower than a reference strength, An access point device; And
A pairing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a wireless transceiver unit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a radio signal when the paired terminal apparatus is not present for a first time, Poin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키는 무선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turns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ccording to a wireless activ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킨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2 시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성공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management unit,
The power control unit maintains the power state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when the terminal unit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exists within a second time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a pairing success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온시킨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제2 시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en the terminal apparatus paired with the access point apparatus does not exist within a second time after powering on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And transmits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페어링 실패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management unit,
The power management unit transmits a pairing failure signal to the master access point apparatus when the power of the wireless transceiver unit is turned of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페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nd receives pair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from the at least on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상기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슬레이브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상기 무선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nd transmits the wireless activation signal to the slave access point apparatus in which the paired terminal apparatus exists, based on the pairing information.
KR1020150055789A 2015-04-21 2015-04-21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65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89A KR102265814B1 (en) 2015-04-21 2015-04-21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89A KR102265814B1 (en) 2015-04-21 2015-04-21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77A true KR20160125077A (en) 2016-10-31
KR102265814B1 KR102265814B1 (en) 2021-06-16

Family

ID=5744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789A KR102265814B1 (en) 2015-04-21 2015-04-21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81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414A (en) * 2003-08-01 2006-05-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Bss-switch module for wireless devices
KR101050601B1 (en) 2009-07-20 2011-07-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Wireless LAN connection method using preferred API
KR20150039363A (en) * 2013-10-02 2015-04-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414A (en) * 2003-08-01 2006-05-2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Bss-switch module for wireless devices
KR101050601B1 (en) 2009-07-20 2011-07-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Wireless LAN connection method using preferred API
KR20150039363A (en) * 2013-10-02 2015-04-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Interferenc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814B1 (en)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86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source selection technique
US9794895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US8626073B2 (en) Use of measurement pilot for radio measur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8897788B2 (en) Techniques to provide measurement pilot transmission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JP5298748B2 (en) Wireless relay device, wireless terminal, and program
US20180167830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verage hole detec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9930553B2 (en) Prediction of quality of service of a possible future connection of a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98264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network management
CN103561449A (en) Wireless access method and wireless access point
JP2008544594A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CN104125623A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iscovery method, controller, user equipment and network access equipment
US10848934B1 (en) Passive sensor tracking with existing infrastructure
US20190342811A1 (en) Network-Congestion Based Connection Manager
US105234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095305A1 (en) Cooperative inter-network channel selection
WO2020070840A1 (en) User device
US90146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thereb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65814B1 (en) Access point apparatus, and wireless la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380401B1 (en) Signaling schemes allowing discovery of network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network modes
KR101488610B1 (en) Method for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econdary network based on cognitive radio
KR200427039Y1 (en)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CN112470549A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KR20060100259A (en) Measurement request report extensions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