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71A -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 Google Patents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71A
KR20160125071A KR1020150055774A KR20150055774A KR20160125071A KR 20160125071 A KR20160125071 A KR 20160125071A KR 1020150055774 A KR1020150055774 A KR 1020150055774A KR 20150055774 A KR20150055774 A KR 20150055774A KR 20160125071 A KR20160125071 A KR 2016012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pper body
filter
lower container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280B1 (ko
Inventor
유지형
Original Assignee
유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형 filed Critical 유지형
Priority to KR102015005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수(Wa)가 담기는 하부용기(110); 상하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체(120); 상부체(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정수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하부용기(110)의 입구로 진입하여 하부용기(110)를 따라서 내려가면서 하부용기(110)에 담긴 오염수(Wa)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하면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가 정수필터(130)를 강제 통과하여서 정수되고, 정수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Wb)이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의 내부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쉽고 간편하게 또한 빠르게 정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A MULTIFUNTIONAL WATER BOTTLE FILTERING WATER}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용기와 상부체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상부체를 하방으로 누르기만 하면 하부용기의 오염수가 정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또한 빠르게 정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휴대용 정수 물병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이 알려져 있다.
먼저, 간단하게는 빨대(straw) 중앙에 간단한 펄프필터를 달고 입으로 흡입하여 정수와 동시에 마시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 기술은 입으로 빨아서 정수를 하는 방식인데, 머리가 어지럽고 현기증이 생길 정도로 사용에 힘이 들어서 실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다음으로는 대형 보온용기 형태로 만들고 그 바닥에 펌프를 설치하여 정수필터를 위로 밀어 올리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펌프를 사용해야 하는 등 부품 수가 많아서 제품의 원가가 높아서 가격 경쟁력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정수기능의 물병에 있어서 쉽고 간단하게 정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요청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355383호(공고일: 2014.01.24.)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576353호(공고일: 2006.05.03.) 문헌3. 등록특허공보 제10-1457792호(공고일: 2014.11.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의 목적은,
첫째,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정수 방식에 의해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라도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정수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식으로 정수함으로써 신속하게 정수할 수 있는도록 하며,
셋째, 하부용기와 상부체가 분리에 의해서 물병의 중앙부가 분리된 구조의 채택함으로써 물병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며 내부 청소를 완벽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정수필터가 하측 개구에 취부된 상부체와 하부용기라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정수 기능이 있는 물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품이 컴팩트하고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제품의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군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전체 제품의 부품수가 적고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원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공기제어밸브의 채택에 의해서 1차 정수 완료 후 2차 정수를 위해서 상부체를 상측으로 복귀시킬 때 외부의 공기를 압력차에 의해서 내부로 자동으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여 상부체를 위로 끌어올리는 데에 부하가 작아서 상부체를 힘들이지 않고 쉽고 간단하며 또한 신속하게 위로 올릴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1차 정수 후에 2차 정수를 연속적으로 즉시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며(연속적인 정수).
여덟째, 밸브홀더와 밸브너트의 구성에 의해서 공기제어밸브를 하부용기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취부 및 그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필터패킹만이 외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도록 구성하여 정수 동작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열 번째, 필터패킹만이 외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도록 하여 정수필터와 외부용기의 외주면 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 이격공간을 통해서 오염수가 정수필터 내부로 강제 투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필터의 정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정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도록 하며,
열한 번째, 정수필터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정수필터를 커피여과기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치환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열두 번째, 누수방지패킹에 의해서 상부체를 하부용기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상부체가 하부용기에 끼워지더라도 내부의 음용수가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서 순수한 물병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오염수가 담기는 하부용기; 상하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체; 상기 상부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가 상기 하부용기의 입구로 진입하여 상기 하부용기를 따라서 내려가면서 상기 하부용기에 담긴 오염수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하면, 상기 하부용기의 오염수가 상기 정수필터를 강제 통과하여서 정수되고, 상기 정수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의 내부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가 상기 하부용기의 내의 유체에 압력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상기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가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열리는 공기제어밸브가 상기 하부용기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하부용기의 바닥부에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제어밸브를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하여서 공기제어밸브를 마운팅할 수 있는 밸브홀더와, 상기 밸브홀더와 나사체결하여서 밸브홀더를 상기 외부용기에 견고하게 체결하는 밸브너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밸브너트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제어밸브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밸브홀더와 하부용기의 바닥부 사이에 개재되어서 밸브너트와 밸브홀더가 나사체결하는 경우 상기 밸브홀더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오링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공기제어밸브에는 상기 하부용기의 내의 유체에 하방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외부에서 하부용기 쪽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열리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에서 하방으로 확개 형성되어서 오리피스가 열리는 경우 외부공기가 하부용기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가 오염수를 가압하여 정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용기의 오염수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필터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필터패킹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패킹을 제외한 상기 정수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용기의 외주면 간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정수필터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정수필터는 상기 상부체의 하측 개구에 착탈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은, 상기 하부용기에 밀착되어서 상기 하부용기의 음용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체의 외주면에는 누수방지패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수필터가 구비된 상부체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정수 방식에 의해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라도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정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식으로 정수함으로써 신속하게 정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부용기와 상부체가 분리에 의해서 물병의 중앙부가 분리된 구조의 채택함으로써 물병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며 내부 청소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정수필터가 하측 개구에 취부된 상부체와 하부용기라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정수 기능이 있는 물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품이 컴팩트하고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군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전체 제품의 부품수가 적고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원가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공기제어밸브의 채택에 의해서 1차 정수 완료 후 2차 정수를 위해서 상부체를 상측으로 복귀시킬 때 외부의 공기를 압력차에 의해서 내부로 자동으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여 상부체를 위로 끌어올리는 데에 부하가 작아서 상부체를 힘들이지 않고 쉽고 간단하며 또한 신속하게 위로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1차 정수 후에 2차 정수를 연속적으로 즉시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연속 정수 가능).
여덟째, 밸브홀더와 밸브너트의 구성에 의해서 공기제어밸브를 하부용기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취부 및 그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필터패킹만이 외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도록 구성하여 정수 동작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작게 하더라도 상부체가 내려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열 번째, 필터패킹만이 외부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도록 하여 정수필터와 외부용기의 외주면 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이 이격공간을 통해서 오염수가 정수필터 내부로 강제 투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필터의 정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정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한 번째, 정수필터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정수필터를 커피여과기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치환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두 번째, 누수방지패킹에 의해서 상부체를 하부용기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상부체가 하부용기에 끼워지더라도 내부의 음용수가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그 결과 순수한 물병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오염수를 정수하는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에 있어서 정수필터(130)를 제거하여 순수한 물병으로서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에 있어서 정수필터(130) 대신에 커피여과기(170)를 사용하는 경우 그 커피여과기의 구성도로서 ,도 10의 (a)는 커피여과기의 정면도이고, 도 10의 (a)는 커피여과기의 단면도이며, 도 10의 (a)는 커피여과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은, 오염수(Wa)가 담기는 하부용기(110)와, 상하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형상의 상부체(120)와, 상기 상부체(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정수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용기(110)가 있는 방향인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입구로 진입하여 상기 하부용기(110)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하부용기(110)에 담긴 오염수(Wa)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하면, 상기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가 상기 정수필터(130)를 강제 통과하여서 정수되고, 상기 정수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Wb)이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의 내부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 즉, 상부체(120)에 정수필터(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정수필터(130)가 상부체의 하측 개구를 막아서 바닥의 역할을 하므로 정수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정수 방식 즉,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아래로 누르면 오염수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강제로 정수필터(130)를 통과하게 되어서 정수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 노약자라도 크게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정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식으로 정수되므로 신속하게 정수할 수 있는데, 예컨대 분당 대략 1 L를 정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병이 중앙부가 분리된 구조 즉, 하부용기(110)와 상부체(12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물병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며 내부 청소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지 않고, 정수필터(130)가 하측 개구에 취부된 상부체(120)와 하부용기(110)라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정수 기능이 있는 물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제품이 컴팩트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제품의 휴대성이 향상되고 또한 군사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 제품의 부품수가 적고 컴팩트하게 구성되므로 제품의 원가 비용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120)의 상측 입구에는 마개(C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내의 유체(오염된 물, 내부 공기, 음용수)에 압력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열리는 공기제어밸브(14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바닥부(110a)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제어밸브(140)의 채택에 의하면, 1차 정수 완료 후 2차 정수를 위해서 상부체(120)를 상측으로 복귀시킬 때 공기제어밸브(140)가 스스로 개방되어서 외부의 공기를 하부용기(110)의 내부로 압력차에 의해서 자동으로 끌어들일 수 있고 그리하여 상부체(120)를 위로 끌어올리는 데에 부하가 작아서 상부체(120)를 힘들이지 않고 쉽고 간단하며 또한 신속하게 위로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결과, 1차 정수 후에 2차 정수를 연속적으로 즉시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연속적인 정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하부용기(110)의 바닥부(110a)에는 장착공(111)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장착공(111)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제어밸브(140)를 내부의 중공부에 삽입하여서 공기제어밸브(140)를 마운팅할 수 있는 밸브홀더(151)와, 상기 밸브홀더(151)와 나사체결하여서 밸브홀더(151)를 하부용기(110)에 견고하게 체결하는 밸브너트(15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공기제어밸브(140)를 하부용기(110)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취부 및 그 해제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상기 밸브너트(152)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제어밸브(140)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142)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5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홀더(151)와 하부용기(110)의 바닥부(110a) 사이에 개재되어서 밸브너트(152)와 밸브홀더(151)가 나사체결하는 경우 밸브홀더(151)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오링(153)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공기제어밸브(140)에는 하부용기(110)의 내의 유체(오염된 물, 내부 공기, 음용수)에 하방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외부에서 하부용기(110) 쪽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열리는 오리피스(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141)에서 하방으로 확개 형성되어서 오리피스(141)가 열리는 경우 외부공기가 하부용기(11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유입홀(1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오염수(Wa)를 가압하여 정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필터(13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필터패킹(1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패킹(161)를 제외한 상기 정수필터(130)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용기(110)의 외주면 간에는 이격공간(d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패킹(161)만이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으므로 정수 동작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최소화하면서 0.01%의 누수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필터패킹(161)만이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닿으므로 정수필터(130)와 하부용기(110)의 외주면 간에는 이격공간(d1)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d1)을 통해서 오염수(Wa)가 정수필터(130) 내부로 강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정수필터(130)의 정수 효율이 향상되고 정수 속도가 빨라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13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정수필터(130)는 상기 상부체(120)의 하측 개구에 착탈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130)는 상부체(120)의 하측 개구에 스크류 방식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130)의 상측에는 제1 수나사(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체(120)의 하측에는 제1 수나사(131)와 스크류결합하는 암나사(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정수필터(130) 대신에 커피여과기(170)[또는 티 여과기]로 대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수필터(130)를 커피여과기(170) 등의 다양한 필터로 치환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여과기(170)에는 암나사(121)와 스크류결합가능한 제2 수나사(171)가 형성되어 있고, 커피를 거를 수 있는 여과망(172)가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패킹(16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과기패킹(165)이 구비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이 순수한 물병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에 있어서, 정수기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순수한 물병으로서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용기(110)에 밀착되어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음용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체(120)의 외주면에는 누수방지패킹(1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누수방지패킹(163)에 의하면, 상부체(120)를 하부용기(110)에 끼움 결합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부체(120)가 하부용기(110)에 끼워지더라도 내부의 음용수가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순순한 물병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체(120)에 구비된 정수필터(130)를 분리하여서 정수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휴대용 물병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을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순수한 물병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간 분리가 가능하므로 내부세척의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정수필터(130)를 상부체(120)의 하측에 예컨대 스크류결합하고, 정수대상인 오염수(Wa)를 하부용기(110)에 채운다. 이때 하부용기(110)와 상부체(12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하부용기(110)의 입구로 진입하여 하부용기(110)를 따라서 내려가도록 하부용기(110)에 담긴 오염수(Wa)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한다. 이때 상부체(120)에 하부용기(110) 쪽으로 체중을 실어서 누르면 하부용기(110)를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오염수(Wa)에 대하여 압력을 작용하는 것이 더 쉽고 용이하게 진다.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d1)을 통해서 정수필터(130) 강제 통과하여서 정수되고, 이렇게 정수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Wb)은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의 내부에 모이게 되어서 음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아래로 눌러서 정수를 하게 되면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하부용기(110) 내부에 있게 되는데 다음 정수를 위해서는 오염수를 다시 하부용기(110)에 담아야 되므로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를 위로 들어올려야 한다.
하부용기(110)의 일측을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부체(120)를 살짝만 위로 올려도 공기제어밸브(140)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하부용기(110)로부터 상부체(120)를 아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110 : 하부용기 110a : 하부용기의 바닥부
111 : 장착공 120 : 상부체
121 : 암나사 130 : 정수필터
131 : 제1 수나사 140 : 공기제어밸브
141 : 오리피스 142 : 공기유입홀
151 : 밸브홀더 152 : 밸브너트
152a : 밸브너트의 관통공 153 : 오링
161 : 필터패킹 163 : 누수방지패킹
165 : 여과기패킹 d1 : 이격공간
170 : 커피여과기 171 : 제2 수나사
172 : 여과망 Ca : 마개
Wa : 오염수 Wb : 정수된 물

Claims (4)

  1. 오염수(Wa)가 담기는 하부용기(110);
    상하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체(120);
    상기 상부체(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정수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력에 의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입구로 진입하여 상기 하부용기(110)를 따라서 내려가면서 상기 하부용기(110)에 담긴 오염수(Wa)에 대하여 하방 압력을 작용하면, 상기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가 상기 정수필터(130)를 강제 통과하여서 정수되고,
    상기 정수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Wb)이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의 내부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내의 유체에 압력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닫히고,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열리는 공기제어밸브(140)가 상기 하부용기(110)의 바닥부(110a)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130)가 구비된 상부체(120)가 오염수(Wa)를 가압하여 정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오염수(Wa)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정수필터(13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필터패킹(1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패킹(161)을 제외한 상기 정수필터(130)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용기(110)의 외주면 간에는 이격공간(d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110)에 밀착되어서 상기 하부용기(110)의 음용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체(120)의 외주면에는 누수방지패킹(1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KR1020150055774A 2015-04-21 2015-04-21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KR10169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74A KR101696280B1 (ko) 2015-04-21 2015-04-21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774A KR101696280B1 (ko) 2015-04-21 2015-04-21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71A true KR20160125071A (ko) 2016-10-31
KR101696280B1 KR101696280B1 (ko) 2017-01-13

Family

ID=5744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774A KR101696280B1 (ko) 2015-04-21 2015-04-21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12A1 (ko) * 2017-10-18 2019-04-25 권영민 정수 빨대
WO2019078609A1 (ko) * 2017-10-18 2019-04-25 권영민 정수 빨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972A (ja) * 1994-05-25 1995-12-05 Toray Ind Inc 携帯式浄水器とその使用方法
JP2001327959A (ja) * 2000-05-19 2001-11-27 Sera Corp:Kk 携帯用簡易浄水器
KR100576353B1 (ko) 2004-10-27 2006-05-03 배정석 휴대용정수기
KR20120132481A (ko) * 2010-01-13 2012-12-05 오조랩 개인용 물 여과 시스템 및 방법
KR101355383B1 (ko) 2009-08-10 2014-01-24 조민재 휴대형 정수 장치
KR101457792B1 (ko) 2013-03-14 2014-11-04 지병욱 휴대용 정수기
KR20140139157A (ko) * 2013-05-22 2014-12-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972A (ja) * 1994-05-25 1995-12-05 Toray Ind Inc 携帯式浄水器とその使用方法
JP2001327959A (ja) * 2000-05-19 2001-11-27 Sera Corp:Kk 携帯用簡易浄水器
KR100576353B1 (ko) 2004-10-27 2006-05-03 배정석 휴대용정수기
KR101355383B1 (ko) 2009-08-10 2014-01-24 조민재 휴대형 정수 장치
KR20120132481A (ko) * 2010-01-13 2012-12-05 오조랩 개인용 물 여과 시스템 및 방법
KR101457792B1 (ko) 2013-03-14 2014-11-04 지병욱 휴대용 정수기
KR20140139157A (ko) * 2013-05-22 2014-12-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12A1 (ko) * 2017-10-18 2019-04-25 권영민 정수 빨대
WO2019078609A1 (ko) * 2017-10-18 2019-04-25 권영민 정수 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80B1 (ko)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2783A (zh) 过滤容器组件和方法
KR101696280B1 (ko)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CN202688035U (zh) 野外便携式净水瓶
CN201641346U (zh) 一种方便杯
US20180022620A1 (en) Water Filtration Device
CN101194798A (zh) 一种全自动泡茶杯
CN101664261B (zh) 抽屉式茶杯
CN202321105U (zh) 一种复合瓶盖
CN212186048U (zh) 一种按压式弹性水杯盖及热水杯
CN205757960U (zh) 一种可适应多口径的过滤水嘴
CN108078357B (zh) 具有隔膜压滤功能的榨汁机
CN107647739B (zh) 一种便于清洗的防溢型水杯及其清洗方法
CN204656138U (zh) 可拆卸的净水器
CN216582054U (zh) 一种可过滤式提拎饮料瓶
CN208829298U (zh) 一种过滤水壶
CN203969946U (zh) 一种带茶叶室的按键式茶壶塞
CN215226582U (zh) 一种杯子
CN218127965U (zh) 一种新型杯盖开关
CN220344127U (zh) 一种新型油壶
CN109892809A (zh) 一种具有水质净化功能的饮水杯
CN212678871U (zh) 一种茶水分离杯
CN201727037U (zh) 一种水壶
CN218606036U (zh) 带茶滤的保温杯
CN208755579U (zh) 一种杯子
CN106321927A (zh) 一种具有滤水功能的角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