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24A -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24A
KR20160125024A KR1020150055618A KR20150055618A KR20160125024A KR 20160125024 A KR20160125024 A KR 20160125024A KR 1020150055618 A KR1020150055618 A KR 1020150055618A KR 20150055618 A KR20150055618 A KR 20150055618A KR 20160125024 A KR20160125024 A KR 20160125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ngerous
unit
frequency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612B1 (ko
Inventor
손석영
Original Assignee
손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석영 filed Critical 손석영
Priority to KR102015005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6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R2016/02
    • B60W205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상황 판단이 안전보조장치 및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2중으로 수행되어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위급상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위험음향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신규 등록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대상인 위험음향신호의 데이터양이 다양해짐과 동시에 증가하여 위급상황에 대한 판단의 정화고 및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위급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청각장애인이 진입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vehicle-safety assistance system for auditory disabled}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인지하여야할 위험음향신호를 2중으로 검출하여 이를 촉각 및 시각정보로 표출함과 동시에 주행 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목적 장소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은 선천적으로 또는 후천적으로 청각을 상실하여 음성 및 음향 등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청각의 상실 또는 문제로 인한 무수한 불편함과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차량보급이 대중화되고, 청각장애인의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해짐에 따라 청각장애인이 직접 차량은 운전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청각장애인은 운전 시 모든 주변상황을 단순히 시각을 통해서만 인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 청각장애인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교통사고 발생률 및 긴장도가 과도하게 높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시 비상상황 또는 경보상황을 타인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적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들은 타 차량에서 발생하는 경적소리를 통해 주변의 상황을 인지함과 동시에 교통사고를 미연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량 운행 시 발생하는 음향신호로는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차 등의 사이렌소리와,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와, 철도건널목 차단기 등의 경보음소리 등으로 분류되고, 아울러 운전자들은 이러한 음향신호들을 통해 즉각적으로 주변 상황을 인지함과 동시에 대처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청각장애인은 차량 운전 시 경적 등과 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들을 수 없고, 이에 따라 오로지 시각으로만 모든 주변 상황을 인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 시 과도한 긴장감으로 인해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며, 경보에 대한 대처 및 인지가 늦어 신속하고 적합한 대처를 수행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에 마이크들을 설치하고, 마이크들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음향신호가 청각장애인이 인지하여야할 인지신호인지를 판단한 후 음향신호가 경보신호라고 판단될 때 이를 시각 및 촉각정보로 변환하여 표출함으로써 경보신호 발생 시 청각장애인이 이를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안전보조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71084호(발명의 명칭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장치)에 개시된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의 경보장치(100)는 차체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음입력장치(101)와, 차량 실내에 좌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광수단(103)과, 음입력장치(10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발광수단(103)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10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경보장치(100)는 좌우측 음입력장치(101)로부터 입력된 음압들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음압이 높은 쪽의 발광수단(103)만을 점등하고, 음압들의 차이값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양쪽 모두의 발광수단(103)을 점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은 발광수단(103)이 좌우측 중 어느 쪽에서 점등되는지에 따라 음파 발생 여부 및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 시 운전자는 지속적으로 운저시야 및 사각지대를 경계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나, 상기 경보장치9100)는 음파 발생 여부가 단순히 발광수단(103)을 이용한 시각정보로만 표출되기 때문에 청각장애 운전자가 발광수단(103)이 점등되더라도 점등되는 발광수단(103)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이를 늦게 인지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이 소리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를 하기 위한 소망의 목적을 기대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시트의 등받이 및 방석 등에 진동부를 설치하여 경보신호 검출 시 진동부에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안전보조시스템이 연구되었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06639호(발명의 명칭 :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에 개시된 상황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의 상황별 인식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하)(200)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음향 센서부(210)와, 그 음향 센서부(210)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위치별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에게 표시신호 및 진동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후술되는 발광부(230), 문자·수화표시부(240) 및 진동부(250)를 제어하는 마이컴(220)과, 마이컴(220)의 제어를 통해 -.5 ~ 3.0초 주기로 표시되는 발광부(230)와, 소리를 내비게이션, GPS, 액정 모니터 TV 상에 문자 및 수화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문자·수화 표시부(240)와, 방석용 운전시트 내부의 전, 후, 좌우측면에 진동소자가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부(2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음향센서부(210)를 통해 음향신호가 수집되면 마이컴(220)의 제어에 따라 발광부(230), 문자·수화표시부(240) 및 진동부(250)가 구동되어 청각정보가 시각 및 촉각 정보로 변환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은 보다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청각장애인이 안전하게 차량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단순히 음향신호 발생 여부에 따라 진동부(250)가 진동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과 같이 차량이 정체되어 경적소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을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주행하는 경우 진동부(250)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청각장애인에게 운전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소망의 목적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마이컴(220)이 수집된 음향신호가 한계치 이상일 때 위험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위험음향신호는 한계치 이상의 주파수 데시벨이 주를 이루지만, 한계치 미만의 주파수 데시벨을 갖는 신호도 존재하기 때문에 한계치 미만의 주파수 데시벨을 갖는 위험음향신호는 검출할 수 없어 검출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단순히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의 크기에 따라 위험음향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위험음향신호의 종류, 상세하게로는 자동차 경적소리, 응급차 사이렌소리, 경찰차 사이렌소리, 급브레이크 소리, 아기 울음소리 등과 같은 위험음향신호의 종류를 판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진동부(250) 및 발광부(230)가 구동되면 청각장애인 운전자는 직접 눈으로 주변을 살펴야만 위험음향신호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고, 따라서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위험음향신호에 대한 대처가 지체되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주파수 데시벨의 크기에 따라 위험음향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음향신호들의 주파수패턴 및 특성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 후 수집된 음향신호를 기 설정된 위험음향신호들과 비교하여 위험음향신호를 판별하도록 하는 방식이 연구되어야 하나, 통상적으로 위험음향신호는 자동차 경적소리,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차 등의 사이렌소리와,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와, 철도건널목 차단기, 아기 울음소리 등과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들로 분류되고, 동일 카테고리의 위험 음향데이터라고 할지라도 다양한 주파수 및 특성을 갖기 때문에 모든 위험음향신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은 그 대상의 범위가 과도하게 광범위하여 실질적으로 운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위험음향신호는 다양한 교통장비 차량 등의 신규 제품 및 장치들이 제작됨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신호들이 추가되는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위험음향신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일일이 새롭게 생성된 신규 위험음향신호를 수집한 후 이를 등록시켜야 하기 때문에 소수의 관리자가 다수의 신규 위험음향신호들을 일일이 수집하기가 힘들고, 따라서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검출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차량 외측에 설치되는 음향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신호를 분석한 후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될 때 이를 촉각 및 시각정보로 변환하여 표출함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위험음향신호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안전보조장치가 차량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수집된 음향신호를 분석하는 연산처리가 스마트폰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설계가 간단한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신체에 접촉되게 장착되어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안전보조장치와, 수집된 음향신호를 기 등록된 위험음향신호에 비교하여 유사성이 한계치 이상일 경우 위급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위급상황 판단 시 무선통신망을 통해 안전보조장치로 안전보조장치의 진동소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함으로써 위급상황 판단이 2중으로 이루어져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인 청각장애인이 수집된 음향신호 중 위험음향신호로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위험음향신호인 신규 위험음향신호가 수집될 경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로 접속하여 신규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함으로서 청각장애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대상인 위험음향신호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급상황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스마트폰이 GPS 모듈을 통해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위험음향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위험음향신호를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 후 기 설정된 영역들인 셀 내에서 한계치 이상의 위험음향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을 청각장애인의 위급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설정하여 청각장애인이 경계셀로 진입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청각장애인이 경계셀로 진입하였다는 진입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량 외측에 설치되어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음향수집부들; 상기 음향수집부들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차량제어부; 청각장애인 운전자에게 지급되며, 상기 차량제어부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기; 진동소자와, 음향을 수집하는 음향수집수단과, 상기 음향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이 기 설정된 제1 한계치 이상일 때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진동소자를 진동시키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신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안전보조장치; 기 설정된 위험음향신호들의 패턴 및 특성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수집부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음향신호의 패턴 및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의 패턴 및 특성에 비교하여 오차가 기 설정된 제2 한계치 미만일 때 상기 음향수집부에 의한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한 후 상기 안전보조장치의 상기 진동소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구동신호를 상기 안전보조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인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을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 상기 주파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의 특성 및 패턴에 비교하여 오차가 기 설정된 제2 한계치 미만일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로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로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향수집부들은 상기 차량의 전방좌측, 전방우측, 후방좌측 및 후방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주파수 검출부는 상기 음향수집부들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음향신호들의 주파수를 검출할 때 상기 음향수집부들의 위치를 통해 검출된 주파수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방향정보를 상기 구동신호에 매칭시키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받을 때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되는 안내문구를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메모리에는 기 설정된 신호 카테고리 정보들과, 상기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카테고리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패턴 및 특성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 카테고리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의 카테고리정보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동신호에 상기 카테고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테고리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더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검출하여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GPS 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입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정보를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에 매칭시키는 데이터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매칭부에 의해 데이터가 매칭되면 매칭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 형상에 대응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영역들인 셀들로 분할된 선형수치지도인 가상맵과, 상기 셀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상기 셀들 각각의 위험음향신호 발생 빈도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동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셀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매칭된 데이터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셀을 검출하는 셀 검출부; 상기 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셀의 발생 빈도수에 '1'을 합산하는 빈도수 합산부; 상기 빈도수 합산부에 의해 합산되어 누적된 셀의 발생 빈도수를 기 설정된 설정값(TH)에 비교하여 상기 셀의 발생 빈도수가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셀을 위험음향신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설정하는 경계셀 설정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이동경로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 추적부에 의해 추적된 위치정보가 상기 경계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경계셀에 포함될 때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위치가 위험음향신호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임을 나타내는 진입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안전보조장치로 진입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니터에 진입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안전보조장치는 상기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모니터에 상기 진입정보를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셀들 각각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표식기호를 상기 가상맵에 매핑시킨 빈도수 가상맵을 생성하는 가상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빈도수 가상맵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가상맵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빈도수 가상맵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빈도수 가상맵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수집된 음향신호가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에 포함되지 않으나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으면 상기 관리서버로 수집된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들에 상기 수집된 음향신호를 추가하여 위험음향신호들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최초 구동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위험음향신호들을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안전보조장치는 시계 또는 팔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위급상황 판단이 안전보조장치 및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2중으로 수행되어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급상화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대상인 위험음향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신규 등록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대상인 위험음향신호의 데이터양이 다양해짐과 동시에 증가하여 위급상황에 대한 판단의 정화고 및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급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청각장애인이 진입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71084호(발명의 명칭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장치)에 개시된 경보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06639호(발명의 명칭 :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에 개시된 상황별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음향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안전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안전보조장치에서 전시되는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시되는 빈도수 가상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3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음향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1)은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어 음향을 수집하는 음향수집부(2)와, 차량 내 설치되어 음향수집부(2)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차량 제어부(4)와, 차량 제어부(4)에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차량 제어부(4)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스마트폰(5)과, 스마트폰(5)에 설치되어 스마트폰(5)으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음향신호를 판별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며 요청데이터의 결과값을 전송받으며 판별 데이터 및 결과값을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스마트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응용프로그램(이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6)과,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하며 접속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요청에 따라 연산을 처리하여 연산처리 결과값을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전송하는 관리서버(7)와,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접촉되게 장착되어 청각장애인이 인지하여야할 음향신호인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진동하는 안전보조장치(3)와, 스마트폰(5) 및 관리서버(7)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10)과, 안전보조장치(3) 및 스마트폰(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망(11)과, 스마트폰(5)과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5)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들이 전시되는 DMB와 같은 디스플레이 단말기(1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청각장애인이 소지하여 안전보조장치(3)와 근거리 무선통신망(11)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아울러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됨과 동시에 관리서버(7)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가 스마트폰(5)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5)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액자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됨과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고, GPS 모듈이 탑재된 다양한 단말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근거리 무선통신망(11)은 안전보조장치(3) 및 스마트폰(5) 사이의 무선 데이터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공지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UWB(Ultra Wideband),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IR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최근 스마트폰(5)에 지원되는 블루투스(Bluetoot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통신망(10)은 스마트폰(5) 및 관리서버(7)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LAN) 및 광역통신망(WAN) 등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수집부(2)는 차량(C)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음향신호를 수집하며, 수집한 음향신호를 차량 제어부94)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또한 음향수집부(2-1), (2-2), (2-3), (2-4)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음향신호를 수집한다. 이때 음향수집부(2-1), (2-2), (2-3), (2-4)들은 상세하게로는 차량(C)의 좌우 전조등(헤드라이트) 및 좌우 후미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시스템(1)은 음향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음향수집부(2-1), (2-2), (2-3), (2-4)들이 차량(C)의 외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전좌, 전우, 후좌, 후우로 분할 설치됨으로써 주행 시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없는 차량(C) 외부의 음향신호를 수집할 수 있고, 아울러 음향신호를 수집한 음향수집부(2-1), (2-2), (2-3), (2-4)들의 위치에 따라 음향신호가 발생한 위치를 대략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제어부(4)는 차량 내 설치되어 음향수집부(3)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며, 데이터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여 데이터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스마트폰(5)으로부터 입력받은 수집 음향신호를 실시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제어부(4)가 단순히 음향수집부(2)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스마트폰(5)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차량 제어부(4)는 공지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온도센서, 근접센서, 오디어, 락킹수단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안전보조장치(3)는 진동소자를 구비하여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탈 부착되며, 차량 내측 또는 외측에서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진동소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에게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는 음향정보를 촉각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세하게로는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손목에 탈부착되는 팔찌 또는 시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안내문구 및 아이콘 등이 전시되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과, 광원으로 이루어져 조명이 출력되는 조명부와,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소자와,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음향수집수단과, 음향수집수단에 의해 녹음(수집)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위급상황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음향수집수단을ㅇ 통해 실시간으로 음향신호가 수집되면 제어부가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을 기 설정된 한계치와 비교하며, 만약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이 한계치 미만이면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인지하여야할 음향신호인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만약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이 한계치 이상이면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안전보조장치(3)는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때 진동소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차량(C) 내측에서 발생한 위험음향신호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스마트폰(5)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며,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진동소자를 진동시켜 차량 외측에서 발생한 위험음향신호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기 설정된 신호 카테고리 종류에 매칭되는 아이콘들 및 안내문구들을 저장하여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을 때 구동신호에 포함된 신호 카테고리 정보를 통해 구동신호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들을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는 전시되는 아이콘을 통해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5) 및 디스플레이 단말기(12)는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안전보조장치(3)와 동일한 아이콘 및 안내문구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더욱 용이하게 위험음향신호 발생 및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종류를 인지하게 된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의 제어부는 음향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 후 이를 분석하여 데시벨을 검출하며, 검출된 주파수 데시벨이 한계치 이상이면 해당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가 판별하여 진동소자가 진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는 안전보조장치(3)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위험음향신호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진동소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자체적인 위험음향신호 검출에 따라 진동될 뿐만 아니라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에 의해 위험음향신호가 검출될 때 진동되고, 이에 따라 위험음향신호 검출이 2중으로 수행되어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smart phone)(5)은 청각장애인들에게 지급되거나 또는 청각장애인들이 소지한 디지털 디바이스이며, 차량 제어부(4)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차량 제어부(4)로부터 음향수집부(2)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때 스마트폰(5)은 차량 제어부(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를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입력한다.
또한 스마트폰(5)은 공지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망(10)의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관리서버(7)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통신망(11)의 방식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11)을 통해 접속된 안전보조장치(3)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폰(5)은 웹 서버인 관리서버(7)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연동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Netscape 등)이 설치됨으로써 청각장애인은 연동 프로그램을 통하거나 또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관리서버(7)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5)에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다. 이때 스마트폰(5)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관리서버(7)로 접속을 요청하거나 또는 요청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스마트폰(5)은 GPS 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GPS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GPS 모듈과,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음향수집수단을 포함하며, GPS 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 및 음향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를 주기적으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입력한다.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스마트폰(5)에 설치되며, 스마트폰(5)을 통해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연산을 처리하거나 또는 관리서버(7)로 정보를 요청하거나 응답데이터를 전송받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기 제작된 다양한 용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 및 연산처리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청각장애인이 인지하여야할 음향신호인 위험 음향신호의 패턴 및 특성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며, 스마트폰(5)을 통해 차량 제어부(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기 설정된 위험음향신호의 특성 및 패턴과 비교하여 유사성이 한계치 이상일 경우 해당 음향신호를 위험 음향신호로 판단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기 등록된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 카테고리와, 신호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됨으로써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신호 카테고리 종류를 검출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음향수집부(2)에 의해 수집되어 차량 제어부(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로 판단될 때 안전보조장치(3)의 진동소자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신호 카테고리 종류를 포함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 후 스마트폰(5)을 통해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망(11)에 접속된 안전보조장치(3)로 전송한다. 이때 안전보조장치(3)는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수신 받으면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진동소자를 진동시킨다. 이때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위험음향신호 발생정보 및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신호 카테고리 종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스마트폰(5) 및 디스플레이 단말기(12)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청각장애인 운전자는 안전보조장치(3), 스마트폰(5) 및 디스플레이 단말기(12)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위험음향신호 발생 여부 및 위험음향신호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최초 구동 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위험음향신호에 대한 데이터갱신을 요청하고, 현재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가 관리서버(7)의 갱신된 위험음향신호가 아닐 경우 관리서버(7)로부터 새롭게 추가된 위험음향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전송받은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들로 등록되어 있지는 않으나, 청각장애인 운전자가 인지하여야할 새로운 위험음향신호인 신규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하기를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경우 스마트폰(5)을 통해 위험음향신호 및 해당 위험음향신호의 카테고리 종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규 위험음향신호 요청데이터를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7)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신규위험음향신호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에 포함되는 위험음향신호 및 이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종류 데이터를 기 등록된 위험음향신호들 및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카테고리 종류 데이터에 추가하여 저장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차량 제어부(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되면 위치정보 및 해당 위험음향신호를 매칭시킨 후 매칭된 데이터를 스마트폰(5)을 통해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7)는 위치정보가 매칭된 위험음향신호를 전송받으면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영역인 셀들 중 어느 셀에 포함되는지를 탐색하여 해당 셀의 빈도수 정보에 '1'을 합산하여 저장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스마트폰(5)으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관리서버(7)로 전송하며, 관리서버(7)로부터 청각장애인이 기 설정된 셀들 중 위험음향신호의 발생 빈도수가 한계치를 넘어서는 영역인 경계셀로 진입하였다는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러한 내용을 스마트폰(5)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안전보조장치(3)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은 자신의 위치가 위험음향신호가 자주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사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관리서버(7)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웹 서버이며,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 스마트폰(5)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관리서버(7)는 기 설정된 위험음향신호의 주파수 특성 및 패턴들과,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 카테고리 종류를 나타내는 매칭정보가 저장되며, 접속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데이터갱신을 요청받으면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에 저장되어 있는 위험음향신호가 저장된 위험음향신호와 다를 경우 갱신된 위험음향신호 데이터 및 매칭정보를 해당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스마트폰(5)으로 전송함으로써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위험음향신호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관리서버(7)는 실제 도로 형상에 대응됨과 동시에 도로를 기 설정된 영역(이하 셀이라고 함)들로 분할한 선형수치지도인 가상도로맵이 기 제작되어 저장되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위험음향신호 및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면 가상맵의 위치영역들을 탐색하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셀을 독출한 후 독출된 셀의 현재 빈도수에 '1'을 합산하며, 위치영역 및 현재 빈도수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빈도수는 기 설정된 주기 동안 해당 셀에 위험음향신호가 발생된 누적 합산수로 정의된다.
또한 관리서버(7)는 주기적으로 셀 당 위험음향신호 발생 빈도수를 기 설정된 설정값(TH:Threshold)에 비교하며, 만약 현재 빈도수가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셀을 위험음향신호가 자주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판단 및 설정한다.
또한 관리서버(7)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실시간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위치정보가 경계셀로 진입할 경우 청각장애인이 경계셀로 진입한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진입정보를 해당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서버(7)는 셀들로 분할된 가상도로맵에 해당 위치영역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숫자를 매핑시켜 저장하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가상도로맵을 요청받으면 셀 및 빈도수가 매핑된 도로맵(이하 빈도수 가상도로맵이라고 함)을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전송한다. 이때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빈도수 가상도로맵을 스마트폰(5) 및 디스플레이 단말기(12)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여 청각장애인은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에 포함되는 영역의 위급상황 발생 빈도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안전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와 6의 안전보조장치(3)는 일면에 모니터(311)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후술되는 도 7의 제어부(313) 및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되는 몸체(31)와, 몸체(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음향신호를 수집(녹음)하는 음향수집수단(32)과, 모니터(311)에 대향되는 몸체(31)의 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소자(39)들과, 몸체(3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단부가 요철 방식의 결합수단들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33), (35)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안전보조장치(3)가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손목에 접촉되도록 탈부착되는 팔찌 또는 시계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안전보조장치(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각장애인의 신체에 접촉 및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와 6에서는 몸체(31)가 원판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몸체(3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형상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모니터(311)가 구비된다. 이때 모니터(311)는 초인종, 비상벨, 전화기 및 아기 울음소리 등의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할 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안내문구 또는 조명이 출력된다.
또한 몸체(31)는 내부에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와, 제어부가 설치된다.
제어부(3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수집수단(32)으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음향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13)는 음향수집수단(32)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이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는 최소 주파수 데시벨의 한계값이 저장되는 메모리(331)와, 스마트폰(5)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333)와, 음향수집수단(32)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파수 데시벨을 검출하는 데시벨 검출부(335)와, 데시벨 검출부(335)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 데시벨을 메모리(331)에 저장된 한계값에 비교하여 주파수 데시벨이 한계값 이상인지를 비교하는 비교부(336)와, 비교부(336)에 의해 주파수 데시벨이 한계값 이상일 때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333)를 통해 스마트폰(5)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진동소자를 진동시키는 진동소자 구동부(339)와, 판단부(337)에 의해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333)를 통해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기 설정된 문자, 아이콘 및 조명을 모니터에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데시벨 검출부(335)는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공지된 바와 같이 A/D 변환부, D/A 변환부, 증폭기 및 승압 트랜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13)는 기 설정된 신호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들이 매칭되어 저장되며, 스마트폰(5)으로부터 신호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구동신호의 신호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추출하며, 추출한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디스플레이부(340)로 입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40)는 제어부(313)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조명을 출력시킨다.
도 9는 도 5의 안전보조장치에서 전시되는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차의 사이렌 소리인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할 때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차량(C)의 음향수집부(2)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신호 카테고리를 '응급차 사이렌소리'로 검출하며, 검출된 '응급차 사이렌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신호를 스마트폰(5)을 통해 안전보조장치(3)로 전송한다. 이때 안전보조장치(3)는 스마트폰(5)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진동소자(39)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구동신호에 포함된 '응급차 사이렌소리'에 대응되는 아이콘(391) 및 안내문구(392)를 독출하여 이를 모니터(311)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안전보조장치(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음향신호의 카테고리 정보가 '차량 경적소리'일 때 이에 대응되는 아이콘(391), (392)을 모니터(311)에 디스플레이 한다.
진동소자(39)들은 몸체(31)의 타면에 설치되어 청각장애인 운전자에게 부착될 때 청각장애인의 손목에 접촉된다.
또한 진동소자(39)들은 제어부(313)의 진동소자 구동부(339)의 제어에 따라 진동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청각장애인의 신체로 진동운동을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이 위급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3의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5)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7)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근거리 무선통신망(11)에 접속된 안전보조장치(3)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이다.
또한 스마트폰(5)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GPS 기능,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폰(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일반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고 시각장애인용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는 입출력 표시부(51)와, 데이터 통신망(10)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2)와, 근거리 무선통신망(11)의 접속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53)와, 문자나 기호,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4)와, 스마트폰의 O.S(Operating System)을 담당하여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부(55)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하여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GPS 부(56)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8)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폰(5)이 입출력 표시부(51), 통신 인터페이스부(52),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53), 입력부(54), 제어부(55), GPS 부(56)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폰(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는 도 3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의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스마트폰(5)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차량 제어부(4)로부터 스마트폰(5)으로 전송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음향신호에 따라 안전보조장치(3)의 진동소자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고, 아울러 스마트폰(5)을 통해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관리서버(7)로 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스마트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은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62)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기 설정된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63)와, 스마트폰(5)으로부터 GPS 위치정보 및 차량 제어부(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64)와, 입력부(64)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주파수 패턴 및 특성을 검출함과 동시에 음향신호가 발생된 방향을 검출하는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와, 데이터베이스부(62)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의 특성 및 패턴들을 탐색하여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과의 오차가 한계치 미만인 위험음향신호가 검출될 때 수집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하는 판단부(66)와,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검출된 위험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카테고리정보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67)와,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카테고리 검출부(67)에 의해 검출된 신호 카테고리정보 및 주파수 및 방향검출부(65)에 의해 검출된 방향정보를 포함하되 안전보조장치(3)의 진동소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68)와,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입력부(64)를 통해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GPS 위치정보를 위험음향신호와 매칭시키는 데이터 매칭부(69)와, 이들 제어대상(61), (62), (63), (64), (65), (66), (67), (68), (69)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61)로 이루어진다.
제어부(61)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61), (62), (63), (64), (65), (66), (67), (68), (6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1)는 입력부(64)를 통해 음향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음향신호를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로 입력하고, 아울러 입력부(64)를 통해 주기적으로 GPS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면 스마트폰(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관리서버(7)에 접속하여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61)는 구동신호 생성부(68)에 의해 구동신호가 생성되면 스마트폰(5)의 근거리 통신인터페이스부(53)를 제어하여 생성된 구동신호가 근거리 무선통신망(11)에 접속된 안전보조장치(3)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61)는 데이터 매칭부(69)에 의해 GPS 위치정보 및 위험음향신호로 판단된 음향신호가 매칭되면 스마트폰(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제어하여 매칭된 데이터가 관리서버(7)로 전송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부(62)에는 기 제작된 위험음향신호의 특성 및 패턴들과, 기 설정된 신호 카테고리 정보들과, 각 위험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카테고리 정보 및 각 신호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 정보를 나타내는 매칭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62)에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들이 저장된다.
도 13은 도 12의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제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시되는 빈도수 가상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63)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요청받거나 또는 연산처리 결과 및 특정 데이터들이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관리부(6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실행 시 스마트폰(51)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7)로 위험음향신호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1)와,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1) 이후에 스마트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2)와,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빈도수 가상맵이 전시되는 제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3)와,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스마트폰(5)의 모니터로 전시되며 기 설정된 안내문구가 전시되는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4)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 제2, 제3,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1), (632), (633), (634)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및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각장애인에게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등록된 위험음향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를 입력받는 입력버튼 또는 아이콘(641)이 노출된다. 이때 청각장애인에 의해 입력아이콘(641)이 클릭되면 인터페이스 관리부(63)는 스마트폰(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관리서버(7)로 위험음향신호의 데이터갱신을 요청하고, 관리서버(7)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데이터갱신을 요청받으면 현재 등록된 위험음향신호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를 비교하여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의 위험음향신호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2)는 청각장애인으로부터 빈도수 가상맵 열람을 입력받는 입력버튼 및 아이콘이 노출된다. 이때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2)는 빈도수 가상맵 열람 입력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면 스마트폰(5)을 통해 관리서버(7)로 빈도수 가상맵을 요청한다.
또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2)는 청각장애인으로부터 현재 수집된 음향신호를 신규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하기 위한 입력버튼 및 아이콘이 노출된다. 이때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신규 등록 입력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면 해당 음향신호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고, 관리서버(7)는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신규 등록을 요청받으면 현재 등록된 위험음향신호에 전송받은 음향신호를 추가하여 저장한다.
즉 청각장애인은 안전보조장치(3)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수집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로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2)를 통해 해당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의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비교대상인 위험음향신호의 데이터양이 확장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가 별도로 일일이 위험음향신호를 검출하여 저장하지 않아도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위험음향신호가 등록될 수 있게 된다.
제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3)는 스마트폰(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해 관리서버(7)로부터 빈도수 가상도로맵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빈도수 가상도로맵(500)을 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때 빈도수 가상맵(5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지면 형상에 대응되되 기 설정된 셀(501)들로 분리됨과 동시에 각 셀의 위험음향신호 발생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503) 및 청각장애인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505)가 매핑된 가상맵으로 정의된다.
즉 청각장애인은 제3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3)를 통해 전시되는 빈도수 가상맵(500)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 위치의 위험음향신호 발생상황을 사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카테고리 검출부(67)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카테고리 정보 및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로부터 입력받은 방향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되는 아이콘(691) 및 안내문구(692)를 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즉 청각장애인 운전자는 위험음향신호 발생 시 스마트폰의 제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34)를 통해 위험음향신호 발생 여부와 발생된 위험음향신호의 신호 카테고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된 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는 입력부(64)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들을 검출하며, 아울러 음향신호가 발생된 방향을 검출한다. 이때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는 음향수집부(2-1), (2-2), (2-3), (2-4)들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들 중 주파수 데시벨이 가장 높은 위치의 음향수집부를 음향신호가 발생된 방향으로 판단한다.
또한 주파수 및 위치 검출부(65)는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 정보를 판단부(66)로 입력하며, 검출된 방향정보를 구동신호 생성부(68)로 입력한다.
판단부(66)는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로부터 음향신호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 정보를 입력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62)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의 특성 및 패턴들을 탐색하여 입력받은 음향신호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과의 오차가 한계치 미만일 때 해당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한다.
카테고리 검출부(67)는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구동되며, 데이터베이스부(62)에 저장된 매칭정보를 탐색하여 검출된 위험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카테고리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카테고리 검출부(67)에 의해 검출된 신호 카테고리 정보는 구동신호 생성부(68)로 입력된다.
구동신호 생성부(68)는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카테고리 검출부(67)로부터 입력받은 신호 카테고리 정보 및 주파수 및 방향 검출부(65)로부터 입력받은 방향정보를 포함하되 안전보조장치(3)의 진동소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신호인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구동신호 생성부(68)에 의해 생성된 구동신호는 제어부(61)의 제어에 따라 안전보조장치(3)로 전송된다.
데이터 매칭부(69)는 판단부(66)에 의하여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입력부(64)를 통해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GPS 위치정보를 위험음향신호와 매칭시킨다. 이때 데이터 매칭부(69)에 의해 매칭된 데이터는 제어부(61)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7)로 전송된다.
도 17은 도 3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의 관리서버(7)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72)와, 스마트폰(3)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와, 접속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청각장애인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이동경로 추적부(74)와, 이동경로 추적부(74)에 의해 추적된 청각장애인의 현재 위치 및 현재 등록된 빈도수 가상도로맵의 셀 위치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가 빈도수 가상도로맵의 셀들 중 경계셀로 설정된 위치로 진입할 때 청각장애인이 경계셀로 진입하였다는 진입정보를 생성하는 진입정보 생성부(75)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 및 위험음향신호가 매칭된 매칭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위치영역이 기 제작된 빈도수 가상도로맵의 어느 셀에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셀 검출부(76)와, 셀 검출부(76)에 의해 검출된 셀의 위험음향신호 빈도수에 '1'을 합산하는 빈도수 합산부(77)와, 실제 지면 형상에 대응됨과 동시에 상기 셀들로 분할된 선형수치지도인 가상도로맵에 빈도수 합산부(77)에 의해 검출된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 및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를 매핑시켜 빈도수 가상도로맵을 생성하는 가상도로맵 생성부(78)와, 주기적으로 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빈도수를 기 설정된 설정값(TH)에 비교하여 빈도수가 설정값(TH) 이상일 때 해당 셀을 경계셀로 설정하는 경계셀 설정부(79)와,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받으면 현재 저장된 위험음향신호에 요청받은 신규 위험음향신호를 추가하여 위험음향신호를 갱신하는 신규 위험음향신호 생성부(80)와, 이들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 (79), (80)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부(71)로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실제 지면을 분할한 기 설정된 영역인 셀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상기 셀들 각각의 위험음향신호 발생 빈도수와, 위험음향신호들과, 가상도로맵 및 빈도수 가상도로맵이 저장된다.
제어부(71)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안전보조장치(3)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접속된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이동경로 추적부(74)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진입정보 생성부(75)에 의해 진입정보가 생성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제어하여 해당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생성된 진입정보를 전송시킨다.
또한 제어부(71)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위치정보 및 위험음향신호가 매칭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매칭된 데이터를 셀 검출부(76)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받으면 해당 데이터를 신규 위험음향신호 생성부(80)로 입력하고, 신규 위험음향신호 생성부(80)에 의해 위험음향신호가 갱신되면 갱신된 위험음향신호를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빈도수 가상도로맵 열람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된 빈도수 가상도로맵에 해당 청각장애인의 위치정보를 매핑시킨 빈도수 가상도로맵을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6)으로 전송한다.
1:차량 안전보조시스템 2:음향수집부 3:안전보조장치
4:차량제어부 5:스마트폰 6: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
7:관리서버 10:통신망 11:근거리 무선통신망
12:디스플레이 단말기 31:몸체 33, 35:연결부
39:진동소자 331:메모리 333:근거리통신인터페이스부
335:데시벨 검출부 336:비교부 337:판단부
339:진동소자 구동부 340:디스플레이부

Claims (9)

  1. 차량 외측에 설치되어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음향수집부들;
    상기 음향수집부들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차량제어부;
    청각장애인 운전자에게 지급되며, 상기 차량제어부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제어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기;
    진동소자와, 음향을 수집하는 음향수집수단과, 상기 음향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데시벨이 기 설정된 제1 한계치 이상일 때 위험음향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진동소자를 진동시키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청각장애인 운전자의 신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안전보조장치;
    기 설정된 위험음향신호들의 패턴 및 특성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음향수집부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음향신호의 패턴 및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의 패턴 및 특성에 비교하여 오차가 기 설정된 제2 한계치 미만일 때 상기 음향수집부에 의한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한 후 상기 안전보조장치의 상기 진동소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생성된 구동신호를 상기 안전보조장치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인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을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부;
    상기 주파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의 특성 및 패턴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의 특성 및 패턴에 비교하여 오차가 기 설정된 제2 한계치 미만일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위험음향신호로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수집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로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수집부들은 상기 차량의 전방좌측, 전방우측, 후방좌측 및 후방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주파수 검출부는 상기 음향수집부들에 의해 수집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음향신호들의 주파수를 검출할 때 상기 음향수집부들의 위치를 통해 검출된 주파수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방향정보를 상기 구동신호에 매칭시키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를 전송받을 때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되는 안내문구를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메모리에는 기 설정된 신호 카테고리 정보들과, 상기 위험음향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신호카테고리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패턴 및 특성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 카테고리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의 카테고리정보를 검출하는 카테고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는 상기 구동신호에 상기 카테고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카테고리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더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구동신호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정보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안내문구를 검출하여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안전보조시스템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GPS 모듈에 의해 검출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입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가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정보를 위험음향신호라고 판단된 음향신호에 매칭시키는 데이터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매칭부에 의해 데이터가 매칭되면 매칭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 형상에 대응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영역들인 셀들로 분할된 선형수치지도인 가상맵과, 상기 셀들 각각의 위치정보와, 상기 셀들 각각의 위험음향신호 발생 빈도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칭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동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셀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매칭된 데이터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셀을 검출하는 셀 검출부;
    상기 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셀의 발생 빈도수에 '1'을 합산하는 빈도수 합산부;
    상기 빈도수 합산부에 의해 합산되어 누적된 셀의 발생 빈도수를 기 설정된 설정값(TH)에 비교하여 상기 셀의 발생 빈도수가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셀을 위험음향신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역인 경계셀로 설정하는 경계셀 설정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이동경로 추적부;
    상기 이동경로 추적부에 의해 추적된 위치정보가 상기 경계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경계셀에 포함될 때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위치가 위험음향신호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임을 나타내는 진입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안전보조장치로 진입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니터에 진입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안전보조장치는 상기 진입정보를 전송받으면 모니터에 상기 진입정보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셀들 각각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표식기호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표식기호를 상기 가상맵에 매핑시킨 빈도수 가상맵을 생성하는 가상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빈도수 가상맵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가상맵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빈도수 가상맵을 전송받으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빈도수 가상맵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보조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수집된 음향신호가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에 포함되지 않으나 위험음향신호로 등록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으면 상기 관리서버로 수집된 음향신호를 포함하는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험음향신호들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신규 위험음향신호 등록을 요청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위험음향신호들에 상기 수집된 음향신호를 추가하여 위험음향신호들을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안전보조 어플리케이션은 최초 구동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위험음향신호들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조시스템.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안전보조장치는 시계 또는 팔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조시스템.
KR1020150055618A 2015-04-21 2015-04-21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KR10170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18A KR101702612B1 (ko) 2015-04-21 2015-04-21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18A KR101702612B1 (ko) 2015-04-21 2015-04-21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24A true KR20160125024A (ko) 2016-10-31
KR101702612B1 KR101702612B1 (ko) 2017-02-13

Family

ID=5744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18A KR101702612B1 (ko) 2015-04-21 2015-04-21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6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7651A (zh) * 2019-06-21 2019-08-30 吉林大学 一种车辆人机交互系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90121102A (ko) 2018-04-17 2019-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74B1 (ko) 2019-11-08 2021-06-07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차량 청각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6653A (ja) * 2006-07-21 2008-02-07 Denso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529126A (ja) * 2005-01-21 2008-07-31 ローレンス ケーツ 難聴者のため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KR20130124707A (ko) * 2012-05-07 2013-11-15 한국과학기술원 음원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청각보조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43069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사건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126A (ja) * 2005-01-21 2008-07-31 ローレンス ケーツ 難聴者のため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JP2008026653A (ja) * 2006-07-21 2008-02-07 Denso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30124707A (ko) * 2012-05-07 2013-11-15 한국과학기술원 음원의 방향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청각보조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40143069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사건 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102A (ko) 2018-04-17 2019-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장애인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제어방법
CN110390239A (zh) * 2018-04-17 2019-10-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包括用于残疾人的通信系统的车辆及通信系统的控制方法
US10926635B2 (en) 2018-04-17 2021-02-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including communication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system for disabled person
CN110187651A (zh) * 2019-06-21 2019-08-30 吉林大学 一种车辆人机交互系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612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473B2 (en) Management and assistance system for the deaf
US8606316B2 (en) Portable blind aid device
EP3675121A2 (en) Two-way in-vehicle virtual personal assistant
US20080033644A1 (en) Navigation Routing System Having Environmentally Triggered Routing
CN11316877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332385B2 (en) Location based support request messages responsive to alert recommendation
KR20180066509A (ko) 후방 차량의 시각화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hod et al. Low cost GPS and GSM based navigational aid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1702612B1 (ko) 청각장애인용 차량 안전보조 시스템
JP2002245595A (ja) 通行障害通報システム
US11613277B2 (en) Network of home smart listening devices linked to autonomous vehicle
JP2012178127A (ja)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装置
KR101598466B1 (ko) 청각장애인용 안전보조시스템
KR102240772B1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4123B1 (ko) 차량 및 이와 통신하는 휴대 단말기
JP2000205891A (ja) 盲人用誘導案内装置
KR20110049928A (ko) 실시간 위치추적 단말을 이용한 미아찾기 방법 및 시스템
Hoque et al. BLIND GUARD: Designing Android App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KR101613022B1 (ko) 착용형 햅틱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보행 안내 정보 제공 방법
Prathipa et al. Ultrasonic waist-belt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20230381025A1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in hearing prot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350073A1 (en) Edge and generative ai-based sustainable gps navigated wearable device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Pham et al. Intelligent Helmet Supporting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Obstacle Detection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KR20160025840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교통법규위반 차량 신고시스템 및 신고방법
Kumar et al. Advancements in IoT Technology: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