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315A -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315A
KR20160124315A KR1020150053994A KR20150053994A KR20160124315A KR 20160124315 A KR20160124315 A KR 20160124315A KR 1020150053994 A KR1020150053994 A KR 1020150053994A KR 20150053994 A KR20150053994 A KR 20150053994A KR 20160124315 A KR20160124315 A KR 20160124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ath
holes
screen
straine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7752B1 (en
Inventor
최종근
추상필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정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752B1/en
Publication of KR2016012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7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device which prevents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devices by eliminating solid particles contained in fluid. The strainer device comprises: a frame coupled to an internal portion of a pipe; and a screen coupled to the frame. The screen has a triple-layered structure where a metal mesh is installed between outer plates, thereby standing strong against fluid pressure, especially a back flow.

Description

역류압 대응 강화구조의 스트레이너 장치 및 그 제작방법{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er for a counterflow pressure reinforced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내용은, 유체 속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여 이물질이 기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발전 플랜트 등에서 냉각수로 이용되는 해수 및 증기발생기의 열교환장치의 담수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용되거나, 오일 파이프 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스트레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trainer device for removing solids contained in a flui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iner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fresh water of a seawater used as cooling water in a power generation plant or the like and a dehumidifier in a heat exchanger of a steam generator or can be used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n an oil pipe.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 내에는 그 유체 속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그 유체를 목적하는 장소로 이송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목적으로 배관 내에는 스트레이너가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는 배관 내의 유체의 압력 에너지를 가급적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그 속에 포함된 고형물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in the pipe for transporting the fluid, and to transfer the fluid to a desired place. For this purpose, a strainer may be installed in the piping. The strainer maintains the pressure energy of the fluid in the piping as much as possible,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lids contained therein.

이러한 스트레이너는 그 형태나 또는 설치되는 배관 구조에 따라 Y형 스트레이너, 바스켓형 스트레이너, T형 스트레이너 등등이 있다.Such a strainer may be a Y-type strainer, a basket-type strainer, a T-type strainer or the like depending on its shape or the piping structure to be installed.

스트레이너 장치는 골격구조라 할 수 있는 프레임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부분으로서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부식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strainer device may include a frame, which may be a skeletal structure, and a screen as a part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and is generally made of stainless steel in consideration of corrosion.

스트레이너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배관 내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에 대한 유체 압력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유체 압력에 대해 사용 수명 동안 견딜 수 있는 강건한 구조로 만들어진다.In designing the strainer device, it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luid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in the pipe, and is made of a robust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such fluid pressure for the service life.

종래의 스트레이너 장치의 경우, 스트레이너의 스크린은 금속메쉬망이 다공판의 일측면에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strainer device, the screen of the strainer is structured such that the metal mesh ne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erforated plate.

그러한 스크린에 대한 구조 강도 측면의 설계는 유체의 정류 방향 흐름에 대한 압력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은 통상적으로는 정해진 방향으로 흐르게 되지만, 유체가 유입되는 측에서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강하되거나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역류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The structural strength design for such a screen is designed taking into account the pressure to flow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e fluid flow in the tubing typically flows in a given direction, but backflow may occasionally occur due to temporary drops in pressure on the side where the fluid enters, or for other reasons.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경우 그러한 역류로 인해 스크린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r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en is broken due to such reverse flow.

역류에 의해 스크린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래 스트레이너 장치 구조에서 용접부 등을 강화하는 시도를 하였지만 파손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였으며, 또한 용접부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 공정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breakage of the screen due to the reverse flow. To this e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strengthen the welded parts in the conventional strainer structure, but they have not completely prevented the breakage. Also,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스트레이너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ainer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스트레이너 장치는 배관 내에서 그 배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배관의 내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관의 내면에 슬릿홈을 형성하고, 프레임은 슬릿홈에 삽입될 수 있는 모서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trainer device includes a frame coupled to the pipe within the pipe. The frame may include a coupling structure for coupl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For example, a slit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the frame may be formed to have an edge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프레임이 배관에 결합되는 방식은 이 외에도 다양하게 달성될 수 있다.The manner in which the frame is coupled to the piping can be achieved in various other ways.

또한, 스트레이너 장치는 배관 내를 흐르는 유체 속에 함유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한다.Further, the strainer device includes a screen for removing the solids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

스크린은 각각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외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두 개의 외판 사이에 금속망이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two shell plates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n, a metal mesh can be tightly bonded between the two outer plates.

외판들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홀은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판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의 사이즈인 제1 사이즈는 제2 외판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의 제2 사이즈와 다르다.Each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hell plates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That is, the first size, which is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first outside sheathing,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size of the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해 제1 외판은 제2 외판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사이즈는 제2 사이즈보다 더 클 수 있다.The first outer sheath may be located behind the second outer sheath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and the first size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size.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는 스크린 때문에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스크린은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허용 수준의 압력 손실 이상으로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외판 및 제2 외판 중 하나의 외판에 있어서 관통홀의 개수 및 사이즈는 허용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외판에 있어서 관통홀의 개수 및 사이즈는 그와 같이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설계된 다른 외판을 관통홀을 막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관통홀의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를 서로 다르게 한다.Fluid flowing in the piping can cause pressure loss due to the screen. In view of this pressure loss, the screen needs to be designed and desirably designed so as not to generate losses beyond an acceptable level of pressure loss. For this purpose, the number and size of the through holes in one of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pressure los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and size of the through holes in the other outer plate are designed so as not to block the through holes in the other outer plate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loss. Therefore, the first size and the second size of the through holes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스트레이너의 종류에 따라 포켓을 가지는 타입의 경우 스크린은 포켓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포켓은 스크린을 벤딩 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벤딩 시에 제1 외판과 제2 외판 중 하나는 압축되고 다른 하나는 인장되게 되는데, 그러한 압축과 인장 차이로 인해 외판들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슬립으로 인해 제1 외판의 관통홀과 제2 외판의 관통홀이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이를 가급적 방지하기 위해, 제1 외판과 제2 외판의 두께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ase of a type having pockets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er, the screen can be formed to have pockets, and such pockets can be made by bending the screen. During bending, one of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is compressed and the other is tensioned. Such compression and tensile difference may cause slip between the outer sheaths, The through holes of the two outer plates can be displac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is as much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different.

그리고, 금속망은 금속선을 엮어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금속망이 가지는 관통홀의 사이즈는 외판들에 형성된 관통홀의 사이즈보다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The metal mesh can be made by weaving metal wires, an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of the metal mesh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outer skin panels.

부식에 강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트레이너 장치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In order to be resistant to corrosion, the strainer device can be made of stainless steel.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은 배관 내의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그 설계에 맞추어 제작될 필요가 있다. 특히, 3중 구조의 스크린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러한 설계 조건에 맞도록 제작하는 방법이 중요하며, 그러한 제작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loss in the piping and needs to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Particularly, in manufacturing a screen having a triple structure, it is important to manufacture the screen in conformity with such a design condition. One embodiment of such a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프레임을 마련한다. 프레임은 배관 내에서 배관과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만들어진다.First, a frame is prepared. The frame is made to include a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pipe within the pipe.

그리고, 제1 직경의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외판과 제2 직경의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외판을 마련한다.A first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of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of a second diameter are provided.

여기서,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Here, the first diamet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diameter.

위와 같은 제1 외판과 제2 외판을 완만한 굴곡으로 1차 벤딩 시킨다. 두 개의 판을 벤딩 시킴에 있어서는 제1 외판과 제2 외판을 겹쳐서 함께 동시에 벤딩 시킴으로서 그 굴곡의 정도를 동일한 정도로 맞춘다. 또한, 벤딩 시키면서 제1 관통홀 내에 제2 관통홀이 잘 위치되는지, 후술하는 2차 벤딩을 통해 벤딩 작업이 진행될 경우 관통홀들 사이에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을지 등등을 확인한다.The first outside sheathing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are first bent at a gentle bend. In bending the two plates, the first outer plate and the second outer plate are overlapped and bend together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degree of bending to the same degree. Also, it is confirmed whether the second through hole is well positioned in the first through hole while bending, whether there is no deviation between the through holes when the bending operation is progressed through secondary bending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다음으로, 1차 벤딩된 제1 외판과 제2 외판 사이에 금속망을 밀착 위치시키고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서 스크린을 형성한다.Next, a metal mesh is placed between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which are first bent and joined together by welding, thereby forming a screen.

그리고, 스크린을 더욱 벤딩 시키는 2차 벤딩 작업을 수행하여 스크린에 원하는 포켓부를 형성한다.Then, a secondary bend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further bend the screen, thereby forming a desired pocket portion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외판을 1차 벤딩 시키고 금속망과 함께 용접 결합한 후 더욱 벤딩 시키는 2차 벤딩의 과정은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1차 벤딩 과정 없이 제1 외판과 제2 외판 사이에 금속망을 위치시키고 이들을 함께 벤딩시켜 포켓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As such, the process of secondary bending,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outside sheaths are first bent, welded together with the metal mesh, and then further bent, may be changed. For example, a metal mesh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without a first bending process, and they may be bent together to form a pocket.

제작하고자 하는 스트레이너의 종류에 따라, 벤딩 과정은 원통형의 디스크 형상을 만들도록 벤딩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특히, 바스켓(또는 버킷) 타입 스트레이너의 경우 스크린은 원통형 구조를 가진다.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er to be manufactured, the bending process may be a process of bending to form a cylindrical disc shap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basket (or bucket) type strainer, the screen has a cylindrical structure.

이와 같이 완성된 스크린을 프레임에 용접을 통해 접합시킨다. 프레임에 용접할 때에는 제1외판 또는 제2 외판 중 하나만을 용접할 수 있다. 제2 외판이 유체 흐름의 후방에 위치되는 경우 제2 외판은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외판을 프레임에 용접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thus completed screen is welded to the frame. When welding to the frame, only one of the first outside sheathing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can be welded. If the second shell plate is located behind the fluid flow, the second shell plate can be made thicker, in which case it may be advantageous to weld the second shell plate to the frame.

정방향의 유체 압력은 물론 역류에 의한 역방향 유체 압력에 대해서도 구조적으로 강한 스트레이너 장치를 얻을 수 있다.Structurally strong strainer devices can be obtained for forward fluid pressure as well as reverse fluid pressure due to reverse flow.

이러한 스트레이너 장치는 내구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저압 유체 흐름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고압 유체 흐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여 그 적용범위가 상당히 넓을 수 있다.Such a strainer device not only prolongs the durability life but is also applicable to a high pressure fluid flow as well as to a low pressure fluid flow, and its application range can be considerably wide.

또한, 소량의 유체 이송 뿐만 아니라 대용량 유체 이송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의 양 또는 고형 이물질의 종류 등에 대해서도 제한을 적게 받기 때문에 그 이용분야가 매우 광범위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not only for transferring a small amount of fluid but also for transferring a large volume of fluid, and there are also a wide range of advantages in the field of application becaus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or the kind of solid foreign matter is limited.

도 1은 스트레이너 장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스트레이너 장치에 있어서 스트레이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스트레이너 중 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스크린을 제작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strainer device is installed.
Fig. 2 shows a strainer in the strainer device of Fig. 1;
Fig.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screen of the strainer of Fig. 2;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creen of Fig.

도 1은 배관(100) 내에 스트레이너(2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2는 도 1에 설치된 스트레이너(200)를 상세히 나타낸다.Fig. 1 shows a state in which a strainer 200 is installed in a piping 100, and Fig. 2 shows a strainer 200 shown in Fig. 1 in detail.

배관(100) 내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트레이너(200)는 그 슬릿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Although not shown, slit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00, and the str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s and coupled.

배관(100) 내에서는 유체가 도시한 정류 방향(1)으로 흐르게 되며, 압력 변동 등에 의해 역류(2)가 발생하기도 한다.In the piping 100, the fluid flows in the rectifying direction 1 shown in the drawing, and a reverse flow 2 is generated due to pressure fluctuations or the like.

스트레이너(200)는 프레임(210)과 스크린(220)을 포함하며, 프레임(210)의 모서리부는 배관(100)의 슬릿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태 및 구조로 만들어진다.The strainer 200 includes a frame 210 and a screen 220. The corner portion of the frame 210 is formed into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slit grooves of the pipe 100.

물론, 프레임(210)을 배관(10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이 외에도 다양하게 달성될 수 있다.Of course, a method of coupling the frame 210 to the pipe 100 can be variously achieved.

스크린(220)은 유체에 포함된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프레임(210)에 용접되어 결합된다.The screen 220 is welded to the frame 210 as a part for removing soli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도 2의 스트레이너(200)는 T형 스트레이너(200)의 일례로서, 스크린(220)은 제1 스크린(221)과 제2 스크린(222)으로 구성된다. 제1 스크린(221)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의 경사된 부분에 대응하며, 제2 스크린(222)은 그 윗부분에 대응된다. 제1 스크린(221)과 제2 스크린(222)는 그 만나는 모서리에서 서로 용접되어 결합된다.The strainer 200 of FIG. 2 is an example of a T-type strainer 200, and the screen 220 is composed of a first screen 221 and a second screen 222. The first screen 221 corresponds to the lower inclined portion as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 screen 222 corresponds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first screen 221 and the second screen 222 are welded and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respective corners.

스크린(220)은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포켓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스트레이너(200)에 머물도록 한다.The screen 220 is formed to have a pocket as shown in FIG. 2, so that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then stays in the strainer 200.

한편, 도 3은 스크린(222)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screen 222. Fig.

도 3의 스크린(222)은 3중 구조로서,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과 그 외판들 사이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금속망(330)을 포함한다.The screen 222 of FIG. 3 has a tripl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outer sheath 310, a second outer sheath 320, and a metal mesh 330 closely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heaths.

제1 외판(310)에는 제1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관통홀(311)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외판(320)에는 제2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관통홀(321)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311 having a first diameter are formed in the first outer shell 310.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321 having a second diameter are formed in the second outer plate 320.

제1 직경과 제2 직경은 서로 다르며, 제1 직경이 제2 직경보다 크다.The first diameter and the second diamet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diameter i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스크린(222)이 최종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직경의 관통홀(311) 내에 제2 직경의 관통홀(321)이 위치될 수 있을 정도로 제1 직경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first diameter sufficiently large such that the through hole 321 of the second diameter can be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311 of the first diameter in the state where the screen 222 is finally bent.

즉, 제1 외판(310)은 제2 외판(320)의 제2 관통홀(321)들을 가리지 않도록 만들어진다.That is, the first outer plate 310 is made not to block the second through holes 321 of the second outer plate 320.

제2 외판(320)에 형성된 제2 관통홀(321)의 개수 및 직경은 배관(100)에서 스트레이너(200)에 의한 유체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그렇게 고려된 설계 사항에 제1 외판(310)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The number and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s 321 formed in the second outer sheathing 320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luid pressure loss due to the strainer 200 in the pipe 100, 310) are not affected.

그리고,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은 그 두께가 서로 다르다. 스크린(222)을 벤딩 시켜 포켓부를 형성할 때 내측에 위치하는 판은 압축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판은 인장되는데, 내측에 위치하는 판의 두께가 더 얇은 것이 유리하다. 도 3의 스크린(222)에서 제1 외판(310)의 두께가 제2 외판(320)의 두께보다 더 얇다.The thicknesses of the first outer shell 310 and the second outer shell 3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screen 222 is bent to form the pocket portion, the plate located inside is compressed and the plate located outside is pulle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ickness of the plate located inside is thinner. In the screen 222 of FIG. 3,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sheath 31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outer sheath 320.

벤딩되어 굴곡되는 부분에서 제1 외판(310)의 벤딩 곡률은 제2 외판(320)의 벤딩 곡률보다 작으며, 굴곡부에서 제2 외판(320)과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제2 외판(320)의 그 굴곡을 잘 따라 벤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외판(310)의 두께가 작은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이는 제1 외판(310)의 제1 관통홀(311)과 제2 외판(320)의 제2 관통홀(321)이 의도한 대로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데 유리하다.The bending curvature of the first outer sheath 310 is smaller than the bending curvature of the second outer sheath 320 and the gap between the second outer sheath 320 and the second outer sheath 320 does not expand at the be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shell 310 is small.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rst through holes 311 of the first outer shell 3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321 of the second outer shell 320 are not displaced as intended.

또한, 스크린(222)은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망(330)을 포함한다. 금속망(330)은 금속선을 엮어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금속망(330)의 관통홀은 제2 관통홀(321)에 비해 매우 작다.The screen 222 also includes a metal mesh 33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outer sheath 310 and the second outer sheath 320. The metal net 330 can be made by weaving metal wir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through-hole of the metal net 330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second through-hole 321.

그리고, 금속망(330)의 두께는 제1 외판(310)의 두께보다 더 얇은 것이 유리하며, 제1 외판(310) 및 제2 외판(320) 보다 더 유연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that the thickness of the metal net 33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sheathing 310 and that it is made so that it can be bent more flexibly than the first outer sheathing 310 and the second outer sheathing 320, Do.

이와 같이 스크린(222)은 전술한 제1 외판(310), 제2 외판(320) 및 금속망(330)이 서로 밀착되어 3중의 구조를 가진다.Thus, the screen 222 has a tripl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outer sheath 310, the second outer sheath 320, and the metal mesh 33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스트레이너(200)는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다.The strainer 200 is made of stainless steel to prevent corrosion.

도 4에서는 도 3의 스크린(222)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FIG. 4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reen 222 of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에 각각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21)을 형성하여 제1 외판(310) 및 제2 외판(320)을 마련한다.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311 and 321 are formed in the first outer plate 310 and the second outer plate 320 to form the first outer plate 310 and the second outer plate 320 do.

그리고, 제1 외판(310) 및 제2 외판(320)을 완만한 곡률로 1차 벤딩시킨다.The first outer sheath 310 and the second outer sheath 320 are first bent at a gentle curvature.

이 때,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을 서로 겹쳐 놓고 함께 동시에 벤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밀착될 수 있는 곡률 상태를 갖도록 한다. 이때, 벤딩 시키면서 제1 관통홀(311) 내에 제2 관통홀(321)이 잘 위치되는지, 후술하는 2차 벤딩을 통해 벤딩 작업이 진행될 경우 제1 관통홀(311)과 제2 관통홀(321) 사이에서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는지 등등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outside sheathing 310 and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320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bent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321 is well positioned in the first through hole 311 while bending, and the bending operation is progressed through the second bending described later, the first through hole 3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1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discrepancy between them.

다음으로, 제1 외판(310)과 제2 외판(320) 사이에 금속망(330)을 위치시키고 모서리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제1 외판(310), 제2 외판(320), 및 금속망(330)을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한다.Next, the first outer sheath 310, the second outer sheath 320, and the metal sheath 330 (FIG. 3) are positioned by placing the metal net 330 between the first outer sheath 310 and the second outer sheath 320, )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이로써, 3중 구조의 스크린(222)으로서 1차적으로 벤딩된 스크린(222)의 준비가 완료된다.This completes the preparation of the screen 222 which is primarily bended as the screen 222 of the triple structure.

다음으로, 3중 구조의 스크린(222)을 더욱 벤딩 시키도록 2차 벤딩을 수행하여 스크린(222)에 포켓부를 형성한다.Next, secondary bending is performed to further bend the triple-structured screen 222 to form a pocket portion in the screen 222.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포켓부를 가지는 도 3과 같은 형태 및 구조의 스크린(222)이 만들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screen 222 having the shape and structure as shown in FIG. 3 having the pocket portion can be made.

스트레이너 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배관(100) 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는 프레임(210)을 마련하고, 스크린(220)을 프레임(210)에 용접하여 고정 결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In manufacturing the strainer device, the frame 210 having the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in the pipe 100 is provided, and the screen 220 is welded to the frame 210 and fixedly coupled.

이 때, 스크린(220)을 프레임(210)에 용접함에 있어서는, 외측 또는 유체 흐름에 있어서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외판의 모서리를 프레임(210)에 용접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예의 스크린(220)의 경우는 제2 외판(320)을 프레임(210)에 용접하여 결합시킨다.At this time, when welding the screen 220 to the frame 210, it is possible to weld the outer edge of the outside sheathing, which is located outside or behind the fluid flow, to the frame 210. In the case of the screen 220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second outside sheathing 320 is welded to the frame 210 and joined thereto.

또한, 도 2와 같은 스트레이너(200)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제1 스크린(221)을 전술한 과정을 거쳐 만들고, 도 3의 스크린(222)과 함께 프레임(210)에 용접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2, the first screen 221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n welded to the frame 210 together with the screen 222 of FIG. 3 .

1 : 정방향 흐름 2 : 역류
100 : 배관 200 : 스트레이너
210 : 프레임 220 : 스크린
221 : 제1 스크린 222 : 제2 스크린
310 : 제1 외판 (내측판, 전면판) 311 : 제1 관통홀
320 : 제2 외판 (외측판, 후면판) 321 : 제2 관통홀
330 : 금속망
1: Forward flow 2: Reverse flow
100: piping 200: strainer
210: frame 220: screen
221: first screen 222: second screen
310: first outside plate (inner plate, front plate) 311: first through hole
320: second outer plate (outer plate, rear plate) 321: second through hole
330: metal mesh

Claims (9)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에서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제1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외판과, 제2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외판과, 상기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보다 더 작은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1 외판 및 상기 제2 외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외판 및 제2 외판과 밀착되어 위치하는 금속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을 걸러내는 스크린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A frame coupled to the tubing within a fluid-flowing tubing; And
A first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having a first size, a second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having a second size, and a plurality of through- And a metal ne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And a strainer for a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판은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상기 제2 외판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사이즈는 상기 제1 관통홀의 직경인 제1 직경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사이즈는 상기 제2 관통홀의 직경인 제2 직경으로 정의되되, 상기 제1 직경은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er plate is located forward of the second outer plat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size is a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size is defined as a second diameter that is a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wherein the first diameter i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가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ize and the second size are determined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side the other o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적어도 한 번 벤딩되고, 상기 벤딩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나의 관통홀이 다른 하나의 관통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사이즈 및 제2 사이즈가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creen is bent at least once, and the first size and the second size are determined so that the one through-hole is located inside the other through-hole in spite of the ben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판 및 제2 외판 중 하나의 외판에 있어서 그 관통홀의 개수 및 사이즈는 상기 배관 내에서의 스크린에 의한 유체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다른 하나의 외판에 있어서 그 관통홀의 개수 및 사이즈는 상기 하나의 외판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들을 가리지 않도록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and size of the through holes in one of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fluid pressure loss caused by the screen in the pipe,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through holes in the other outer sheath Is determined so as not to cover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one outer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판 및 제2 외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외판보다 두께가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is thinner than the other outer she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판, 제2 외판, 및 금속망은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외판 또는 제2 외판이 상기 프레임에 용접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er sheath, the second outer sheath, and the metal net are welded and joined to each other in an overlapped state, and the first outer sheath or the second outer sheath is welded to the frame.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에서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프레임; 및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금속판과, 상기 제1 금속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가지는 제2 금속판과, 제1 금속판 및 상기 제2 금속판 사이에서 위치하는 금속망이 모서리에서 서로 용접 결합되어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에 용접 결합된 스크린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A frame coupled to the tubing within a fluid-flowing tubing; And
A second meta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metal plate; and a second meta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metal plate Weld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s of the frame and made of a triple structure,
And a strainer for a pipe.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에서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마련하는 단계;
제1 직경의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가지는 제1 외판과 제2 직경의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가지는 제2 외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외판 및 제2 외판 사이에 금속망을 밀착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외판, 상기 제2 외판 및 상기 금속망을 용접으로 서로 결합시켜 스크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을 스트레이너 종류에 따라 변형시킨 후 상기 프레임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제작방법.
Providing a frame coupled to the tubing within a fluid-flowing tubing;
Providing a first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of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out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of a second diameter;
Placing a metal ne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sheath and the second outer sheath, and joining the first outer sheath, the second outer sheath and the metal net together by welding to form a screen;
Transforming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trainer type and then welding the frame to the frame
Wherein the strainer is attached to the strainer.
KR1020150053994A 2015-04-16 2015-04-16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87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94A KR101687752B1 (en) 2015-04-16 2015-04-16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94A KR101687752B1 (en) 2015-04-16 2015-04-16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15A true KR20160124315A (en) 2016-10-27
KR101687752B1 KR101687752B1 (en) 2016-12-20

Family

ID=5724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94A KR101687752B1 (en) 2015-04-16 2015-04-16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7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43B1 (en) 2019-02-13 2019-06-27 주식회사 페이스 Shade canopy having charging port
KR102116297B1 (en) 2019-05-23 2020-05-28 주식회사 페이스 Shade canopy having charging port
KR20200134704A (en)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페이스 Camera booth having charging 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65B1 (en) * 1987-08-31 1997-01-09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lexible filter element employing filtering sheets formed with by-pass openings
JP2011005419A (en) * 2009-06-25 2011-01-13 Hitachi Metals Ltd Y-type strainer and pressure ta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65B1 (en) * 1987-08-31 1997-01-09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lexible filter element employing filtering sheets formed with by-pass openings
JP2011005419A (en) * 2009-06-25 2011-01-13 Hitachi Metals Ltd Y-type strainer and pressure ta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43B1 (en) 2019-02-13 2019-06-27 주식회사 페이스 Shade canopy having charging port
KR102116297B1 (en) 2019-05-23 2020-05-28 주식회사 페이스 Shade canopy having charging port
KR20200134704A (en)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페이스 Camera booth having charging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752B1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9972A (en) Method of fabricating a heat exchanger
KR101687752B1 (en) Strainer for Sea or Fresh Water Flow Pipe Having a Strong Structure against Back Flow Press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3687656B (en) For the high capacity suction strainer of the emergence core stacking cool system in nuclear power station
EP2728293A1 (en) Heat exchang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exchanger plate
EP2981780B1 (en) Plate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ltiple passes in the plate heat exchanger
KR102190135B1 (en) Steam generator with a horizontal bundle of heat exchange tube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211635433U (en) Y-shaped pipeline filter
CN101890261A (en) Containment sump filter and filter cartridge structure thereof
JP5764116B2 (en) Heat exchanger
RU105730U1 (en) SPIRAL HEAT EXCHANGER COIL
CN104713271A (en) Improved structure for collecting main assembly for micro-channel heat exchanger
CN210833172U (en) Internal pressure plate bundle and heat exchanger formed by same
DE202012101622U1 (en) Heat exchanger
EP3914872A1 (en) Heat exchanger module, heat exchang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heat exchanger system
JPS6229892A (en) Heat exchanger having finned heat transmission pipes
CN106796093A (en) The TEMA type BFU special devices of real adverse current
CN110017016A (en) The tool-type wall-connecting piece of wall construction scaffold
CN209945070U (en) Special-shaped pipe column shell type heat exchanger
CN210486610U (en) Oil cooler core group of non-metallic tube sheet
CN210978865U (en) Combined self-locking flange
CN203687692U (en) Ultra-long double-row circular copper tube integral core
CN213790243U (en) Multi-stage filter
CN203803218U (en) Filtering device for containment sump
CN216344500U (en) Hydraulic flange convenient to concatenation
CN214287035U (en) Hydraulic engineering filt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