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954A -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 Google Patents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954A
KR20160123954A KR1020150150289A KR20150150289A KR20160123954A KR 20160123954 A KR20160123954 A KR 20160123954A KR 1020150150289 A KR1020150150289 A KR 1020150150289A KR 20150150289 A KR20150150289 A KR 20150150289A KR 20160123954 A KR20160123954 A KR 2016012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flow
guide por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기석
이근규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주식회사 더보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주식회사 더보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KR102015015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954A/en
Publication of KR2016012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9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25B9/08
    • C02F2001/461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9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cathodic or alkaline water, e.g. for 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producing functional water, which comprises: a housing; an electrolytic uni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 in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introducing water; an outlet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after electrolyzing water by the electrolytic unit; and a flow interruption par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interrupting flow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fter introduction through the in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wing to an increased amount of dissolved gas produced by the electrolysis, germicidal power of ozone water and efficacy of hydrogen water are improved.

Description

기능수 생성모듈{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본 발명은 기능수 생성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물(H2O)을 전기분해하는 경우, 양극전극에서는 오존(O3)이 발생하고 음극전극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하게 된다. 즉, 양극전극으로부터 오존이 용존된 상태의 물인 오존수가 생성되며, 음극전극으로부터 수소가 용존된 상태의 물인 수소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오존수는 세정 또는 살균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수는 음용이 가능하다.When electrolyzing water (H 2 O), ozone (O 3 ) is generated in the anode electrode and hydrogen (H 2 ) is generated in the cathode electrode. That is, ozone water, which is water in the state where ozone is dissolved, is generated from the anode electrode, and hydrogen water, which is water in a state where hydrogen is dissolv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is generated. The ozonated water thus produced can be used for cleaning or disinfection, and drinking water can be used for drinking water.

한편,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기능수(오존수,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3975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에 따르면 물에 용존되는 오존 또는 수소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오존수의 살균력 또는 수소수의 효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wat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33975) have been disclosed which generate functional water (ozonated water, hydrophobic water) using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dissolved ozone or hydrogen is insufficient and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ozonated water or the efficacy of the drinking water can not be exerted.

(특허문헌 1) KR10-0133975 B1
(Patent Document 1) KR10-0133975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기체의 발생량 및 발생된 기체의 용존량이 증가된 기능수 생성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in which an amount of gas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and a dissolved amount of generated gas ar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유동 방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 electrolytic unit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 in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electrolyzed and discharged by the electrolytic unit; And a flow interrupt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nterfering with a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상기 유동 방해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ow obstruction portion may include a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that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inle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 electrolytic unit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 in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electrolyzed and discharged by the electrolytic unit; And a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changes a flow direction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2회 이상 변경시킬 수 있다.The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may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o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more than twice.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flows in at least a part of the outlet port.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 배출구 및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in which a cath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is located inside and a second housing in which a cath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is located inside and the inlet, And may be located in the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기 유입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n an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located inside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cath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second inlet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outlet includes a first outlet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inlet is discharged, and a second outlet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And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let is discharged.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막의 일면은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해질막의 타면은 상기 제2실링부와 접촉할 수 있다.A first sea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electrolytic unit; And a second sea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electrolytic unit, wherein the electrolytic unit comprises: a pair of electrodes performing an electrolytic reaction in water; and an electrolyt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Wherei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portion.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in a hood shape.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may protrude from a second guide portion guiding at least a part of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into the shape of a hood.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배출구와 연통되며,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third guide por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electrolytic unit and guides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at least in a part of a slit shap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let, And the thir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lo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guide portion.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3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The flow hole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ortion.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유동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유입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제2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has a first region in which water flowing from the flow hole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water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flows in the second guide portion, Region. ≪ / RTI >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may include a pair of electrodes performing an electrolytic reaction in water and an electrolyte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음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상기 음극전극으로 통과시켜 상기 음극전극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lectrolytic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air of electrodes and passes hydrogen ions generated in the anode electrode of the pair of electrodes to the cathode electrode, The auxiliary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electrode.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전극과 전해질막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air of electrodes and separating the anode electrode from the electrolyte membrane.

본 발명을 통해,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기체의 발생량이 증가된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gas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increased.

또한, 발생된 기체의 용존량이 증가되어 오존수의 살균력과 수소수의 효능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dissolved amount of the generated gas is increased to improve the sterilizing power of ozone water and the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X-Y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Y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a first housing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where a third guide part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7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third guide part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X-Y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where a third guide part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FIG. 7 is a plan view of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hird guide part of the water generating module is removed.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100),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100),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1 to 7, a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an electrolytic unit 200, a guide unit 300, and a sealing member 400 have. However,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y one of the housing 100, the electrolytic unit 200, the guide unit 3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is omitted. have.

하우징(100)은, 기능수 생성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에 가까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 또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내측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can form an appearance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housing 100 can form an appearance close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shape or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The housing 100 may have an inner space therein. The electrolytic unit 200, the guide unit 3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10)의 하면과 제2하우징(120)의 상면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의 하면과 제2하우징(120)의 상면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은, 일례로서 나사결합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housing 110 and a second housing 120 as an example. That is, the housing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housing 110 in which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located inside. 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120 having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positioned inside as an example.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corresponding shap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can be, for example, a screw coupl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sealing member 400 may be positione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제1하우징(110)은,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1하우징(110)은, 내측에 제1가이드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외측에 제1유입구(111)와 제1배출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제1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을 유동하고 제1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양극전극(21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O3)이 용존된 오존수가 되어 제1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제1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이 제1하우징(11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10 can house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nside. However,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The first housing 110 may have a first guide portion 310 on the inner side thereof. The first housing 110 may have a first inlet 111 and a first outlet 112 on the outer si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111 flow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12. As an exampl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as ozone water in which the ozone O 3 generated by the anode electrode 210 is dissolved. The first guide part 310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obstructs the flow of the water flowing in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1 flows into the first housing 110 110). ≪ / RTI >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제2하우징(120)의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외측에 제2유입구(121)와 제2배출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유입구(121)로 유입되는 물은 제2하우징(120)의 내측 공간을 유동하고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유입구(121)로 유입되는 물은 음극전극(220)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H2)가 용존된 수소수가 되어 제2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부(330)는, 제2하우징(12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제2유입구(121)로 유입된 물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20 can house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nside. However,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second guide part 320 and a third guide part 330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second inlet 121 and a second outlet 122 on the outside there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121 flow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As an exampl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21 can be dissolved in the hydrogen (H2) generated by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third guide part 330 loc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water flowing in the second housing 120 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21 The time during which the inflow water stays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can be increased.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제2가이드부(320)를 구비하며 제2가이드부(3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3가이드부(33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의 상부는 제3가이드부(330)가 안착되는 안착단(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가이드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안착단(123) 중 적어도 일부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24)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단차부(124)를 통해 제3가이드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320)와 제3가이드부(330)는, 제3가이드부(33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유동홀(325)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20 can receive the third guide part 330 having the second guide part 320 inside and being seated on the second guide part 32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be provided as a seating end 123 on which the third guide part 330 is seated.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seating end 123 may be provided as a step 124 formed to be stepped. That is,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through the stepped portion 124,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low hole 32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guide part 330.

전해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전해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측공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해유닛(200)은, 물의 전기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해유닛(200)은 유입구(111,12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으며, 전기분해된 물은 배출구(112,122)로 배출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200 can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hat is, the housing 100 has an inner space,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can be loca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The electrolytic unit 200 can perform electrolysis of water. That is, the electrolytic unit 200 can electrolyze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11 and 121, and the electrolytic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전해유닛(200)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10,220)은,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H2O)을 전기분해를 통해, 양극전극(210)에서는 오존(O3)이 발생하고 음극전극(220)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에서는 오존이 용존된 상태의 물인 오존수가 생성되며, 음극전극(220)에서는 수소가 용존된 상태의 물인 수소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오존수는 세정 또는 살균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수는 음용이 가능하다.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include a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performing an electrolytic reaction in water.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210 and a cathode electrode 220. On the other hand, ozone (O 3 ) may be generated in the anode electrode 210 and hydrogen (H 2 ) may be generated in the cathode electrode 220 through electrolysis of water (H 2 O). That is, in the anode electrode 210, ozone water, which is water in the state where ozone is dissolved, is generated, and hydrogen water, which is water in a state where hydrogen is dissolved, can be generated in the cathode electrode 220. The ozone water thus produced can be used for cleaning or sterilizing, and the drinking water can be used for drinking water.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단자(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단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10,220)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는 전해질막과 결합시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극표면에 발생되는 기포를 전극표면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212,2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include a cathode terminal 2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Meanwhile,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include an anode terminal 2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can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have corresponding shapes and can have polarities of positive (+) and negative (-), respectively. The positive electrod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20 may have a planar 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he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coupled with the electrolyte membrane. The positive electrod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20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212, 222 to smoothly remove bubbles generated on the electrode surface, Can be formed.

전해유닛(200)은, 한 쌍의 전극(210,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유닛(200)은, 음극전극(22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전극(230)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음극전극(220)으로 통과시켜 음극전극(220)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해유닛(200)은, 양극전극(21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전극(210)과 전해질막(230)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membrane 23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and allows the hydrogen ions generated in the anode electrode 230 to pass through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an auxiliary electrode 240 for reducing scale generation in the auxiliary electrode 240.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250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and separating the anode electrode 210 from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원료수를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나 역삼투 여과 등과 같이 고가의 전처리 공정 없이 수도수 수준의 수질로 하여 연속적으로 오존을 발생시킬 경우, 음극전극(220) 표면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보조전극(240)을 음극전극(220)과 전해질막(230)의 사이에 삽입하여 일정량 생성되는 스케일이 물과 함께 유실될 수 있게 한 것이다.In the function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zone is continuously generated using water of a water level without pretreatment such as strong acid cation exchange resin or reverse osmosis filtration, The auxiliary electrode 240 is insert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to reduce the scal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cale can be lost together with the water.

보조전극(240)은 양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음극전극(220)으로 원활하게 전달하고, 음극전극(220)에서 발생되는 OH-이온이 양이온 2가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스케일을 보조전극(240) 표면에 생성시켜 음극전극(220)의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최소화시킨다.The auxiliary electrode 240 smoothly transfers the hydrogen ions generated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scales the OH - ions gener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220 by reaction with the cationic divalent ions, 240 so as to minimize scale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220.

또한, 보조전극(240)은 얇은 세선으로 이루어진 망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케일이 보조전극(240)의 표면에 부착하였다가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스케일 축적에 의해 전기분해 저항이 증대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보조전극(240)은, 음극전극(220) 및 전해질막(230)과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세 망사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electrode 2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ne mesh wire, the scale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240 and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the electrolysis resistance is increased by the existing scale accumulation The problem is solved.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electrode 240 has a fine mesh structure in order to ensure adhesion with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보조전극(240)의 재질은 산/알칼리 성분이나 산화성물질에 강하고 전도성이 우수할 수 있다. 즉, 보조전극(240)은, 일례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탄소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보조전극(240)의 형태는 망구조가 일 수 있으며, 망은 Mesh 10 ∼ 100, 두께는 0.1∼2.0mm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electrode 240 is strong against an acid / alkali component or an oxidizing substance and can be excellent in conductivity. That is, the auxiliary electrode 240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itanium, or carbon. Meanwhile, the shape of the auxiliary electrode 240 may be a network structure, the mesh may be 10 to 100 mesh, and the thickness may be 0.1 to 2.0 mm.

보조전극(240)을 포함하여 전해유닛(200)을 형성하게 되면, 음극전극(220)에서의 스케일 형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해질막(230)에 대한 누름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행하게 되므로 전기분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formation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ncluding the auxiliary electrode 240 can control the scale formation i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amount of pressing on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is uniformly performed as a whole The electrolysi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의 재질은 오존발생에 적합한 백금재질일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의 형태는 전해질막(230)과 결합시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전극표면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전극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개구 면적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일례로서 개구율이 전체 면적대비 30∼80%의 범위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be a platinum material suitable for generating ozone. The shape of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have a planar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adhesion when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is coupled with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eanwhile,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area so that bubbles generated on the electrode surfac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electrode surface. For example,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have an aperture ratio in a range of 30 to 80% of the total area.

전해질막(230)은, 막의 두께(mm) = 0.05∼0.5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해질막(230)은, 한 쌍의 전극(210,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막(2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전해질막(230)의 일면은 제1실링부(410)와 접촉하고, 전해질막(230)의 타면은 제2실링부(420)와 접촉할 수 잇다.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have a film thickness (mm) of 0.05 to 0.5. Meanwhile,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Further,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aling members 400 as shown in Figs. 3 and 4. Fig. More 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4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portion 420.

스페이서(250)는 전해질막(230)과 양극전극(21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페이서(250)는, 양극전극(210)의 가장자리 및 중앙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50)는, 테프론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열화특성이 우수한 재질의 테이프, sheet, film, 혹은 플라스틱을 사용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250)와 양극전극(2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0.05∼0.5mm일 수 있다.The spacer 250 may serve to fix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and the anode electrode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acer 250 may be disposed at the edg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like. The spacer 25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tape, a sheet, a film, or a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eflon.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spacer 250 and the anode electrode 210 may be 0.05 to 0.5 mm.

스페이서(250)와 보조전극(240)은, 전해질막(2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전극(210,22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서 전해질막(230)에 대한 균일한 기계적 누름 특성을 확보하도록 한다.The spacer 25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2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so as to provide a uniform mechanical pressing property to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유동 방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之)형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zigzag)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111,121), 배출구(112,122) 및 유동 방향 변경부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interrupting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Meanwhile,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that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hat flows into the inlet ports 111 and 12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s 112 and 122. At this time, the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may be formed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s 112 and 122 flows in at least a part of the outlet port. That is, the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s 112 and 122 flows in a zigzag from at least a part thereof. The inlet ports 111 and 121, the outlet ports 112 and 122, and the flow direction changing section may be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respectively.

한편, 유동 방해부 또는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interrupting unit or the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may include a guide unit 300 for guiding the flow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가이드부(300)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일례로서 제1가이드부(310),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300)는, 제1가이드부(310),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part 300 can guide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s 112 and 122. The guide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guide unit 310, a second guide unit 320, and a third guide 330 as an example. However, the guide unit 300 may be provided by omi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unit 310, the second guide unit 320, and the third guide 330.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part 310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can be guided at least in a part of a pipe shape.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310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can be guided at least in a zigzag manner.

제1가이드부(31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11) 및 제2격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12)은 제1격벽(31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12)과 제1격벽(31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0)는, 제1유동로(313) 및 제2유동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13)는, 제1격벽(31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1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13)을 통해 제2격벽(31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14)는, 제2격벽(31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1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14)를 통해 제2격벽(31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13)와 제2유동로(314)는, 제1격벽(311)과 제2격벽(31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13)와 제2유동로(31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11 and a second partition 312 as shown in FIG. The second barrier ribs 312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rrier ribs 311. In addition, water may flow between the second bank 312 and the first bank 311. The first guide portion 31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13 and a second flow path 314. The first flow path 313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311.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partition 311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31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The second flow path 31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bank 312.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bank 312 can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nk 31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14. The first flow path 313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flow path 313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do not overla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ank 311 and the second bank 312 are disposed. With this structure, the water tha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has a flow of a gravel-like shape.

제2가이드부(320)는, 제2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는, 제2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to guide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at least in part into a hinged shape.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320 is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so that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can be guided at least in a zigzag manner.

제2가이드부(320)는,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21) 및 제2격벽(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22)은 제1격벽(32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22)과 제1격벽(32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1유동로(323) 및 제2유동로(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23)는, 제1격벽(32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2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23)을 통해 제2격벽(32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24)는, 제2격벽(32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2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24)를 통해 제2격벽(32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23)와 제2유동로(324)는, 제1격벽(321)과 제2격벽(32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23)와 제2유동로(32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include a first barrier rib 321 and a second barrier rib 322 as shown in FIG. The second barrier rib 322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rrier rib 321. In addition, water may flow between the second bank 322 and the first bank 321.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23 and a second flow path 324. The first flow path 323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21.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partition 321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32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The second flow path 32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22.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322 can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32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24. The first flow path 323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flow path 323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do not overla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ank 321 and the second bank 322 are dispos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water tha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has a flow of a dust-like shape.

제2가이드부(320)는,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과 연통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은, 제2가이드부(320)를 거쳐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은, 제2배출구(122)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이드부(320)는, 유동홀(33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2유입구(121)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320)는, 제1영역(A1)을 통과한 물이 제2배출구(122)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분리벽(325)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는, 분리벽(325)을 기준으로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분리벽(325)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이 연통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유동홀(335) 및 제2영역(A2)과 연통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제1영역(A1) 및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각각은 유동하는 물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ortion 330.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can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320 . At this time,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art 330. That is,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ortion 330 can be positioned near the second outlet 122. In this case,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include a first region A1 in which water flowing from the flow hole 335 flows toward the second inlet 121.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A2 in which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region A1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122. [ Meanwhile, the separation wall 32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320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based on the separating wall 325.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separating wall 325 is opened so that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area A1 can communicate with the flow hole 335 and the second area A2. The second area A2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outlet 122. [ Each of the first region A1 and the second region A2 can guide the flowing water in at least a part in a hinged shape.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와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third guide part 3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can guide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at least partly in a hinged shape. That is, the third guide part 330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and can guide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zigzag at least in part.

제3가이드부(33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31) 및 제2격벽(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32)은 제1격벽(33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32)과 제1격벽(33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1유동로(333) 및 제2유동로(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33)는, 제1격벽(33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3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33)을 통해 제2격벽(33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34)는, 제2격벽(33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3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34)를 통해 제2격벽(33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33)와 제2유동로(334)는, 제1격벽(331)과 제2격벽(33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33)와 제2유동로(33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31 and a second partition 332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The second barrier ribs 332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rrier ribs 331. In addition, water may flow between the second bank 332 and the first bank 331.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33 and a second flow path 334. The first flow path 333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The second flow path 33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can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34. The first flow path 333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flow path 333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do not overla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ank 331 and the second bank 332 are dispos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water that flows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has a flow of a gravel-like shape.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단에 해당하는 안착단(123)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는, 제2하우징(12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안착단(123)은 적어도 일부에서 단턱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3가이드부(330)의 하부에는, 단턱부(124)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3가이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The third guide portion 33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end 123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That is, the third guide unit 33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120. The seating end 123 of the second housing 120 may have a step 124 at least in part.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be provided with a step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ep portion 124. The third guide portion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through such a structure.

제3가이드부(330)는, 바닥면에 유동홀(33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유동홀(335)은, 제2유입구(121)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3가이드부(330)의 유로는 지그재그형이므로 유동홀(335)과 제2유입구(121)의 직선거리는 가까울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3가이드부(330)는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한 물은,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third guide part 330 may have a flow hole 335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at is, the flow hole 335 may b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guide portion 330. The flow hole 335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ortion 330. That is, the flow hole 335 may be locat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second inlet 121.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flow path of the third guide part 330 is zigzag, and therefore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low hole 335 and the second inlet 121 may be short.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That i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can flow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실링부재(4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부는 실링부재(4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4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can be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400. [

실링부재(400)는, 일례로서 제1실링부재(410) 및 제2실링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410)는, 제1하우징(110)과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420)는, 제2하우징(120)과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유닛(200)의 전해질막(230)의 일면에는 제1실링부재(410)가 접촉하고, 전해질막(230)의 타면에는 제2실링부재(420)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물과 제2하우징(12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 내부의 물의 유로와 제2하우징(120) 내부의 물의 유로는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aling member 400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410 and a second sealing member 420 as an example. The first sealing member 4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The second sealing member 4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4, a first sealing member 41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and a second sealing memb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4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is structure, water flowing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water flowing in the second housing 120 can independently flow. That is, the water flow path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water flow path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may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housing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housing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where a third guide part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third guide part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it is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의 유로와 제2하우징(120)의 유로가 전해유닛(200)의 전해질막(230)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1하우징(110) 내부의 제1가이드부(310)를 통과하여 제1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구(121)로 유입된 물은 제2하우징(120) 내부의 제3가이드부(330)를 통과하고 제2가이드부(320)를 통과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을 유동하는 물과 음극전극(220)을 유동하는 물이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오존수와 수소수를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4, the flow path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flow path of the second housing 12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12 through the first guide unit 310 in the first housing 11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21 passes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in the second housing 120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 That is, water flowing through the anode electrode 210 and water flowing through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not be mix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zonated water and the hydrogenated water can be obtained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도 5를 참고하여, 오존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양극전극(210)이 위치하고 제1하우징(110)의 구성을 통해 오존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양극전극(210)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제2하우징(120)의 구성을 통해 오존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rocess of generating ozone water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anode electrode 21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ozonated water is genera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rst housing 110. However, when the anode electrode 210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So that the ozone water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ing 120.

먼저, 제1하우징(110)의 제1유입구(111)에 물이 공급된다(A). 공급된 물은 제1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310)로 유입된다. 제1가이드부(310)로 유입된 물은 제1격벽(311)을 만나 제1격벽(31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13)를 통과하게 된다(E). 이후, 제1유동로(31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11)과 제2격벽(31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14)를 통과하게 된다(F). 이후, 제2격벽(31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1가이드부(31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11), 제1유동로(313), 제2격벽(312), 제2유동로(314)를 거치며 갈지자(之)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1가이드부(31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310)에서는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부(310)의 하측에는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위치하므로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은 양극전극(210)과 접촉하게 된다. 양극전극(210)의 양극단자(211)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양극전극(21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음극전극(22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에 대한 전기분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양극전극(210)에 의해 전기분해된 물에서는 오존(O3)이 발생된다. 한편, 발생된 오존은 물에 용존되어 오존수로서 제1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First,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inlet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A). The supplied water flows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11 and flow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11 to pas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E).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flows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14 (F). And then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nk 312.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11, the first flow path 313,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 The water flows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in a grate shape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guiding portion 310 may guide guided flow of five times. Since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guide unit 310,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guide unit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210.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node terminal 211 of the anode electrode 210, the anode electrode 210 flows through the first guide portion 310 by interaction with the cathode electrode 220 arranged to face the anode electrode 210 Perform electrolysis on water. In this process, ozone (O 3 ) is generated in the water electrolyzed by the anode electrode 210.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ozone is dissolved in water and discharged as ozone water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제1가이드부(310)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물과 양극전극(210)이 접촉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오존의 양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된 오존도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과 마찬가지로 유동을 방해받게 되므로 발생된 오존이 물에 용존되는 양도 증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배출구(112)를 통해서는 오존이 충분히 용존된 상태의 오존수를 취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function number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guide part 310 interferes with the flow of water an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anode electrode 210 is delayed,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increased. Further, since the ozone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also disturbed by the flow lik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guide part 310, the amount of dissolved ozone is increased in the water. That is, the ozone water in a state in which ozone is sufficiently dissolved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수소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2하우징(120) 내부에 음극전극(220)이 위치하고 제2하우징(120)의 구성을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음극전극(220)이 제1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제1하우징(110)의 구성을 통해 수소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generation process of hydrogenated water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to generate the hydrogenated water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ing 120. However, when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hydrogenated water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rst housing 110.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20)의 제2유입구(121)에 물이 공급된다(C). 공급된 물은 제2하우징(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3가이드부(330)로 유입된다. 제3가이드부(330)로 유입된 물은 제1격벽(331)을 만나 제1격벽(33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33)를 통과하게 된다(G). 이후, 제1유동로(33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31)과 제2격벽(33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34)를 통과하게 된다(H). 이후, 제2격벽(33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3가이드부(33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31), 제1유동로(333), 제2격벽(332), 제2유동로(334)를 거치며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3가이드부(33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다(I). 한편,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부(330)에서는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3가이드부(330)의 상측에는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위치하므로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하는 물은 음극전극(220)과 접촉하게 된다. 음극전극(220)의 음극단자(221)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음극전극(22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전극(21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하는 물에 대한 전기분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음극전극(220)에 의해 전기분해된 물에서는 수소(H2)가 발생된다. 한편, 발생된 수소는 물에 용존되어 수소수로서 제2가이드부(320)를 통과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6,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inlet 121 of the second housing 120 (C). The supplied water flows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meets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and flows along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to pas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flows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34 (H). And then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nk 332.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flows in the shape of a hatching through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the first flow path 333,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 The water flows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in a spiral shape and flows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I).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the fifth guiding flow can be guided by the third guide part 330. Since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positioned above the third guide unit 330,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guide unit 3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220.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athode terminal 221 of the cathode electrode 220, the cathode electrode 220 flows through the third guide portion 330 by interaction with the anode electrode 210 arranged so as to face Perform electrolysis on water. In this process, hydrogen (H 2 ) is generated in the water electrolyzed by the cathode electrode 220.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hydrogen is dissolved in water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320 as hydrogen water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의 유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유동홀(335)은 일례로서 제2배출구(122)와 가깝게 위치한다. 이때,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J)은 제1격벽(321)을 만나 제1격벽(32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23)를 통과하게 된다(K). 이후, 제1유동로(32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21)과 제2격벽(32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24)를 통과하게 된다(L). 이후, 제2격벽(32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2가이드부(32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21), 제1유동로(323), 제2격벽(322), 제2유동로(324)를 거치며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2가이드부(32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다(D). 한편,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부(320)에서는 9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A1)에서 4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되고, 제2영역(A2)에서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유동홀(335)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제1영역(A1)을 통해 제2유입구(121) 방향으로 유동하고, 제2영역(A2)을 통해 제2배출구(122)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the flow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low hole 335 is located close to the second outlet 122 as an example. At this time, the water J flowing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meets the first partition wall 321 and flows on the first partition wall 321 to flow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K). Thereafter,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flows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24 (L). And then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nk 322. That 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flows in a gob shape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21, the first flow path 323, the second partition wall 322,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 In the second guide part 320, the water flows in a gutter shap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the nine guide flow can be guided in the third guide part 320. At this time, four tabular flows are guided in the first region A1 and five tabular flows are guided in the second region A2.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hole 335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121 through the first region A1 and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122 through the second region A2,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제3가이드부(330) 및 제2가이드부(320)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물과 음극전극(220)이 접촉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수소의 양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된 수소도 제3가이드부(330) 및 제2가이드부(320)를 유동하는 물과 마찬가지로 유동을 방해받게 되므로 발생된 수소가 물에 용존되는 양도 증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2배출구(122)를 통해서는 수소가 충분히 용존된 상태의 수소수를 취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rd guide part 330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interfere with the flow of water and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delayed, And the amount of hydrogen generated through decomposition is increased. Further, the hydrogen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lysis is also disturbed by the flow lik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so that the amount of dissolved hydrogen is increased in the water. In other words, it becomes possible to take in the hydrogen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hydrogen is sufficiently dissolv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of the function numb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200: 전해유닛
300: 가이드부
400: 실링부재
100: Housing
200: electrolytic unit
300: guide portion
400: sealing member

Claims (10)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포함하는 전해유닛;
상기 전해유닛을 내측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양극전극과 물이 반응하는 양극수 챔버;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양극수 챔버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극전극과 물이 반응하는 음극수 챔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수 챔버 또는 상기 음극수 챔버를 유동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유동하도록 배치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An electrolytic unit including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 housing housing the electrolytic unit inside;
A positive electrode water chamber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is reacted with water;
A cathode water chamber which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ode water chamber and in which the cathode electrode reacts with water; And
And a flow direction changing section which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is arranged so that water flowing in the anode water chamber or the cathode water chamber flows in at least a part in a stagger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수 챔버를 유동하는 물과 상기 음극수 챔버를 유동하는 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flowing in the anode water chamber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cathode water chamber independently 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양극수 챔버를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음극수 챔버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defining the anode water chamber inside and a second housing defining the cathode water chamber inside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유입구;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유입구;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inlet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A second inlet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A first outlet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And a second outlet located in the second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let is discharg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양극전극 및 상기 음극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막의 일면은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해질막의 타면은 상기 제2실링부와 접촉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sea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electrolytic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al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electrolytic unit,
Wherein the electrolytic un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olyte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Wherei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양극수 챔버 또는 음극수 챔버의 내부에 단일층으로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disposed in a single layer inside the anode water chamber or the cathode water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양극수 챔버 또는 음극수 챔버의 내부에 층을 나누어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 및 제3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guide portion and a third guide portion that are divided into layers in the anode water chamber or the cathode water cha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유동홀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rd guid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electrolytic unit,
And the third guide portion includes a flow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guid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3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flow hole is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유동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유입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제2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has a first region in which water flowing from the flow hole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water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let flows in the second guide portion, A function generation module containing a region.

KR1020150150289A 2015-10-28 2015-10-28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KR201601239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89A KR20160123954A (en) 2015-10-28 2015-10-28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89A KR20160123954A (en) 2015-10-28 2015-10-28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19A Division KR101695675B1 (en) 2015-04-16 2015-04-16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954A true KR20160123954A (en) 2016-10-26

Family

ID=5725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89A KR20160123954A (en) 2015-10-28 2015-10-28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95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62B1 (en) * 2017-02-08 2018-06-18 (주)다남이엔이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ed water
CN108394961A (en) * 2018-04-03 2018-08-14 佛山市海狮凯尔科技有限公司 Electrolysis unit and intelligent disinfecting toilet lid
WO2018147550A1 (en) * 2017-02-08 2018-08-16 (주)다남이엔이 Electrolysis modul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CN108423770A (en) * 2018-03-24 2018-08-2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It is electrolysed filter core and water purifier
WO2019240314A1 (en) * 2018-06-14 2019-12-19 다온기전 주식회사 Brown's gas generating device
WO2019240312A1 (en) * 2018-06-14 2019-12-19 다온기전 주식회사 Brown's gas generating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62B1 (en) * 2017-02-08 2018-06-18 (주)다남이엔이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ed water
WO2018147550A1 (en) * 2017-02-08 2018-08-16 (주)다남이엔이 Electrolysis modul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CN108423770A (en) * 2018-03-24 2018-08-2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It is electrolysed filter core and water purifier
CN108394961A (en) * 2018-04-03 2018-08-14 佛山市海狮凯尔科技有限公司 Electrolysis unit and intelligent disinfecting toilet lid
CN108394961B (en) * 2018-04-03 2024-05-07 佛山市海狮凯尔科技有限公司 Electrolysis device and intelligent disinfection toilet lid
WO2019240314A1 (en) * 2018-06-14 2019-12-19 다온기전 주식회사 Brown's gas generating device
WO2019240312A1 (en) * 2018-06-14 2019-12-19 다온기전 주식회사 Brown's gas gener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675B1 (en)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KR20160123954A (en) Module for manufacturing ionic water
CN102869616B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electrolytic cell using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zone water, method for disinfection and method for wastewater or waste fluid treatment
WO2011135749A1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electrolytic cell using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zone water, method for disinfection and method for wastewater or waste fluid treatment
KR101934222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CN102618881A (en) Electrolytic tank
JP5069292B2 (en) Equipment for electrochemical water treatment
KR101895525B1 (en) Sodium hydroxid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and hybrid system using the same
WO2011115370A2 (en) Electrolyzer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KR101191480B1 (en) Non_diaphragm apparatus for electrolysis having separator and electrolyzed-water system having the same
JP5282201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14217820A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KR100533710B1 (en) making apparatus of electrolysis water
KR20180029649A (en) Electrolytic bath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EP2115445B1 (en) Internal flow control in electrolytic cells
KR101810392B1 (en) Dissolving filter modul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uctional water
WO2014141587A1 (en) Electrolyzed water-generating device
CN111032919B (e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de plate for electrolytic cell
KR20230084730A (en) Electrolytic bath module for producing hydrogen-water
JP2007252963A (en) Electrolytic water producer
KR200365102Y1 (en) A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having water flow line in it
KR101990671B1 (en) System for mixing hydrogen water
KR100729570B1 (en) Electrolyzer
CN216378414U (en) Tubular ozone generator
KR200338144Y1 (en) making apparatus of electrolysis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