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604A -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604A
KR20160123604A KR1020150053843A KR20150053843A KR20160123604A KR 20160123604 A KR20160123604 A KR 20160123604A KR 1020150053843 A KR1020150053843 A KR 1020150053843A KR 20150053843 A KR20150053843 A KR 20150053843A KR 20160123604 A KR20160123604 A KR 2016012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beacon device
management server
security ke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834B1 (ko
Inventor
문승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834B1/ko
Priority to EP15197140.5A priority patent/EP3086527B1/en
Priority to US14/954,832 priority patent/US9749865B2/en
Priority to CN201510930898.7A priority patent/CN106060760B/zh
Publication of KR2016012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using time-dependent keys, e.g. periodically chang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21Timest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4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time-dependent-passwords, e.g. periodically chang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비콘 관리 서버에서 비콘 장치의 유효 기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관리하고, 비콘 장치는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끊어진 경우 자체적으로 비콘 내 저장되어 있던 비콘 정보를 삭제하여 초기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비콘 장치를 비콘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비콘 장치가 분실된 경우에도 비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분실 후에도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비콘 장치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비콘 장치의 보안성을 갖출 수 있으며 비콘 장치의 유효 기간을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비콘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of beacon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비콘 관리 서버에서 발급한 보안키를 통해서 비콘 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유효성이 검증된 비콘 장치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동작 조건 및 유효 기간을 주기적으로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그런데 NFC는 통신 거리가 짧고 그 통신을 위해 별도의 무선 칩이 필요한 반면, 블루투스는 상대적으로 통신 거리가 길고 대부분의 단말기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비콘(Beacon)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콘으로부터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활용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커피숍, 백화점 등의 매장에 비콘을 설치하고,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ID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들어가게 되면 단말기는 감지한 비콘 ID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이때, 비콘 장치를 매장에 설치하게 되면, 분실의 우려가 있어 관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실된 비콘은 다른 목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비콘 장치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제어할 수 없어 비콘 장치의 주변에 서비스 이용자들은 자신의 위치에 무관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불편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78699, 2007년 02월 05일 등록 (명칭: 비콘 장비의 원격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종래의 비콘 장치가 분실된 경우 비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어, 서비스 이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와 무관하게 불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실한 비콘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비콘 장치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비콘 장치의 유효 기간을 비콘 관리 서버를 통해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비콘 장치에 발급한 보안키를 통해서 유효성을 검증하여 비콘 장치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거나 비콘 관리 서버와의 접속이 일정 기간 끊긴 경우, 비콘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비콘 장치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의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비콘 장치에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로 접속한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비콘 장치의 설정 권한을 확보하여 보안키를 발급하고, 발급한 보안키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보안 인증 모듈, 보안키가 발급된 상기 비콘 장치에 대하여,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한 후, 보안 인증 모듈의 유효성 검증에 따라서 상기 유효 기간을 갱신하는 비콘 관리 모듈 및 비콘 식별 정보 별로 상기 동작 조건 및 보안키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보안 인증 모듈은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여 비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비콘 장치에서 직접 접속하여 비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비콘 신호 송출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상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한 후, 상기 비콘 장치에서의 사용자 암호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비콘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BLE 기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 모듈,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입력 받으면 설정 권한을 제공하고,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보안키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한 동작 조건을 제공 받고, 상기 신호 송출 모듈이 상기 동작 조건에 따른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콘 장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보안키 요청에 대응하여 보안키를 전송하고, 유효성 검증된 경우 갱신된 유효 기간을 재설정하는 제어 모듈,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설정된 유효기간을 포함한 비콘 신호 동작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하고, 비콘 장치 내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비콘 신호 송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에 사용자 암호의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환경 설정 값의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은 비콘 관리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이용하여 비콘 장치에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드로 접속한 비콘 관리 서버가 비콘 장치의 보안키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비콘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콘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장치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발급한 보안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기간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에서의 상기 보안키를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여 비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비콘 장치에서 직접 접속하여 비콘 동작 제어 가능한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안키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한 후, 상기 비콘 장치에서의 사용자 암호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콘 장치를 비콘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비콘 장치가 분실된 경우에도 비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분실 후에도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비콘 장치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콘 관리 서버에서 비콘 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비콘 장치의 보안성을 갖출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을 갱신하여 비콘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가 분실되어 접속이 끊어진 경우 비콘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비콘 장치 초기화 설정하고 비콘 장치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저장 정보를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비콘 장치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서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콘(Beacon) 서비스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데이터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NFC가 한정된 수십cm 이내에서만 이용 가능한 반면, 상기 블루투스 방식은 수십m의 범위로 동작할 수 있어, 그 활용 분야가 훨씬 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방식은 NFC처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서 태그 할 필요가 없이, 비콘 장치가 설치된 곳을 지나가기만 하더라도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고, 건물 내에서도 상세한 위치 이동을 읽어와 맞춤형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비콘(Beacon) 서비스는 반드시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Zigbee, UWB (Ultra-WideBand), ANT, Wi-fi 등, PAN (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들이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Beacon)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비콘 신호의 전력 크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콘 서비스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비콘 서비스 서버(200), 비콘 장치(400) 및 통신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장치(40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며, 사용자 단말(100)이 비콘 장치(400)과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600)을 통해 비콘 서비스 서버와(200)로 수신한 비콘 신호의 ID를 전송하여, 비콘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해당 ID에 매핑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비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비콘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정보는,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인사 메시지, 쿠폰 정보, 할인 정보, 프로모션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에 근접한 상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하는 비콘 신호의 ID값은 비콘 환경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콘 장치(400)에 기 설정된 암호를 통해 접속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되는 ID 값, 비콘 신호의 송출 전력 등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비콘 장치(400)가 분실되는 경우 불법적인 목적으로 재사용되지 않도록 상기 정보들을 초기화시키는 등의 관리가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렇듯 비콘 장치(400)들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시스템(1010)은 사용자 단말(100), 비콘 서비스 서버(200), 비콘 관리 서버(300), 비콘 시스템(500), 비콘 장치(400), WiFi 또는 인터넷 망(60), 이동통신 망(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4.0 즉,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칭함))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BLE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4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정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70)을 통해 비콘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수신한 비콘 신호의 ID 값에 매핑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비콘 서비스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비콘 장치(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망(600)을 통해 연결되며,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이동통신 망(7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비콘 신호의 ID값에 매핑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로써, 비콘 장치(400)의 환경 설정 및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비콘 관리 서버(300)는 원격지에 위치하고 비콘 장치(4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콘 관리 서버(300)및 비콘 장치(400)는 Wi-Fi 망 및 인터넷 망(60)을 이용하여 접속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장치(400) 및 비콘 관리 서버(300)의 연결 및 사용자 단말(100)과 비콘 서비스 서버(200)의 연결은 WiFi/인터넷 망 및 이동통신 망(60)을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시스템(500)은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은 비콘 관리 서버(300)와 비콘 서비스 서버(200)가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콘 서비스 서버(2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에 기능적으로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일반적으로 매장 내에 설치되며, 5cm ~ 49m까지의 일정 반경 내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일정 반경 내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존재하는지 지속적으로 스캐닝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설정되는 동작 조건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콘 장치(4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지그비(Zigbee),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등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에는 비콘 장치(4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는 비콘 장치(400)의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비콘 장치들의 그룹(group)을 나타내는 메이저(major) 또는 비콘 장치들의 그룹 내에서 특정 비콘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마이너(min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비콘 관리 서버(300) 및 비콘 장치(400) 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콘 장치(400) 및 사용자 단말(100)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시그널을 송출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라면 그 어떠한 통신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 및 비콘 장치는 비콘 관리 서버(300) 및 비콘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는 비콘 시스템(500)과 통신망(600)을 통해 연동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와 WiFi/인터넷 망(60)을 통해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서비스 서버(200)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통신망(600)은 인터넷 망, 인트라넷 망, 이동통신 망, 위성 통신 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은 비콘 시스템(500)과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 망(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 망(6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 망(60)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망(60)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콘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설정되는 환경 설정 값을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비콘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의 관리 과정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는 통신 모듈(310), 보안 인증 모듈(320), 비콘 관리 모듈(330) 및 저장 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비콘 관리 서버(3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 모듈(310)은 통신망(600)을 통해 비콘 장치(400)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의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의 보안 인증 모듈(320)은,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신 모듈(310)을 통해 비콘 장치(400)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혹은 상기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발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안 인증 모듈(320)은 상기 비콘 장치(400)를 MAC 주소 정보 및 Serial Number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MAC 주소 정보는 특정 구역 내 정보통신망인 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말하는 것으로,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장치(ROM)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는 48비트. 전반부 24비트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공동으로 공중통신망 판매업자들에게 할당하고 이들이 다시 후반부 24비트를 세부 할당한다.
또한, Serial Number는 비콘 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비콘 장치 제품에 일률적으로 부여하는 고유 번호로서, 이 번호로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의 보안 인증 모듈(320)은 특정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비콘 장치(400)와 통신 세션을 연결하고,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전송하여 비콘 장치(400)로부터 설정 권한을 획득하여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보안 인증 모듈(320)은 상기 비콘 장치(400)에 대한 보안키를 발급할 수 있다. 상기 보안키는 상기 비콘 장치(4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보안키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기 위한 수단 혹은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비권한적 접근을 시도하는 침입자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키는 데이터의 암호화뿐만 아니라, 비콘 장치의 인증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보안키에는 대칭키(Symmetric Key)와 비대칭키(Asymmetric Key)가 있으며, 대칭키는 단일키(Single Key)방식을 사용하여 송수신자가 같은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이때 송수신자 외의 제삼자가 키 값을 알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안키 관리를 위해서 송수신자가 주기적으로 키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비대칭키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또한, 보안키는 암호키를 대신하는 말로써, 암호학적 변환, 예컨대, 암호화, 복호화, 암호학적 검사, 함수 계산, 서명 계산, 서명 검증 등의 작동을 조절하는 기호의 열이며, 메시지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값을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키는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설정한 동작 조건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인증 모듈(320)은 비콘 장치(400)에 보안키를 발급하며, 비콘 장치(400)와 주기적으로 통신 접속하여 발급한 보안키를 확인하여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보안 인증 모듈(320)은 비콘 장치(400)와 통신하여 비콘 동작을 제어하거나, 비콘 장치(400)에서 직접 접속하여 비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여 비콘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모듈(330)은 상기 보안키가 발급된 비콘 장치(400)에 대하여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비콘 관리 모듈(330)에서 설정한 비콘 장치(400)의 동작 조건은 통신 모듈(310)을 통해 비콘 장치(400)로 전송되고, 비콘 관리 모듈(330)은 보안 인증 모듈(320)에서의 유효성 검증에 따라서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에 비콘 장치(400)의 유효 기간을 갱신할 수 있다.
반면, 유효성 검증 결과,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다고 검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 중인 비콘 장치(400)를 초기화하고, 상기 비콘 장치(400)에서 사용자 암호를 재설정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식별 정보 별로 상기 동작 조건 및 보안키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모듈(34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가 통신 모듈(310), 보안 인증 모듈(320), 비콘 관리 모듈(330) 및 저장 모듈(340)만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콘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5의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410), 제어 모듈(420), 저장 모듈(430) 및 신호 송출 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통신망(600)에 접속하여 비콘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BLE 기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 모듈(440)을 구비하여,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의 제어 모듈(420)은 비콘 관리 서버(300)가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면 관리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비콘 관리 서버(300)로 설정 권한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410)을 통해서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키 및 신호 송출 모듈(440)의 동작 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조건은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때, 비콘 장치(400)의 저장 모듈(430)은 상기 비콘 관리 서버(400)로부터 설정된 유효기간을 포함한 비콘 신호의 동작 조건 및 보안키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비콘 장치(400)의 제어 모듈(420)은 주기적으로 비콘 관리 서버(30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410)을 통하여 통신 접속하고,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보안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비콘 장치(400)에 저장된 보안키를 비콘 관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의 제어모듈(420)은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키의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라서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다고 검증된 경우, 비콘 장치(400)의 새로 갱신된 유효 기간을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재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재설정된 유효 기간을 포함한 동작 조건에 따라서 비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신호 송출 모듈(440)에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의 보안키의 유효성 검증 결과,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다고 검증되지 않은 경우,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의 초기화 설정에 의하여 비콘 장치(400)는 초기화되고, 비콘 장치(400) 내부에 저장된 저장 정보는 모두 삭제된다.
한편, 비콘 장치(400)가 비콘 관리 서버(300)와 주기적으로 접속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 되어있는 경우, 비콘 장치(400)는 자체적으로 비콘 장치(400)를 초기화하고, 비콘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콘 관리 서버(3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비콘 장치(400)자체적으로 상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암호를 변경하거나 재설정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와 주기적으로 접속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400)의 신호 송출 모듈(44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 및 기타 비콘 장치(400)의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송출 모듈(440)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4.0 즉, 블루투스 저 전력(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칭함))을 기반으로 한 BLE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와의 접속 여부 외에도, 비콘 장치(400)에 저장된 동작 조건 중, 유효기간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여 비콘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 접속을 인증하여 관리자 모드로 접속한 비콘 관리 서버(300)로 설정 권한을 제공하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키 및 비콘 장치(400)에서의 신호 송출 모듈(44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동작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 모듈(4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비콘 장치(400)의 제어 모듈(420)은 신호 송출 모듈(440)이 수신한 동작 조건에 따라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비콘 장치 유효성 검증을 위한 보안키 요청에 대응하여 기 저장한 보안키를 전송하고, 비콘 관리 서버(300)의 비콘 장치 유효성 검증 경과에 따라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유효 기간을 갱신하여 설정한 값을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기 저장된 유효 기간에 대하여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를 초기화하고, 상술했던 비콘 장치(400)와 비콘 관리 서버(300)의 접속이 차단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비콘 장치(300)에 저장된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400)는 더 이상 비콘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장치로 판단되어 자체적으로 또는 비콘 관리 서버(300)에 의하여 초기화되고, 비콘 장치(400) 내부에 저장된 저장 정보는 모두 삭제된다.
또한, 상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암호를 변경하거나 재설정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콘 장치(400)의 신호 송출 모듈(44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 및 기타 비콘 장치(400)의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분실 또는 도난한 비콘 장치의 부정적인 재사용과 같은 무단 사용을 막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하, 후술할 내용은 도 3에서 설명한 비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내용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비콘 장치(40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S101). 이때, 비콘 장치의 식별 정보는 MAC 주소 정보 또는 Serial Number 일 수 있다.
이에 비콘 관리 서버(300)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콘 장치(400)의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여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고, 설정 권한을 획득한다(S103).
관리자 모드로 접속한 비콘 관리 서버(300)가 비콘 장치(400)의 보안키를 발급하고(S105), 이후, 비콘 관리 서버(400)를 통해서 비콘 장치(300)에 접근하거나, 비콘 장치(300) 자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암호를 설정한다(S107).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하는 비콘 신호의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109). 이때 비콘 신호의 동작 조건은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비콘 관리 서버(300)는 상기 동작 조건을 상기 보안키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콘 장치(200)의 동작 조건을 설정한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의 보안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비콘 장치(400)와 접속하여 비콘 장치(400)로 발급한 보안키를 요청하고(S111), 비콘 장치(400)로부터 보안키를 수신하여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을 검증한다(S113).
이때, 유효성 검증은 비콘 관리 서버(300)가 비콘 장치(400)로 발급한 보안키와, 상기 접속중인 비콘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보안키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 등의 과정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 검증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알고리즘의 해시알고리즘, 서명자를 확인하고 서명자가 당해 전자문서에 서명을 하였음을 나타내는 데 이용하기 위하여 당해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의 전자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비콘 장치(400)가 유효한 비콘 장치(400)로 검증된 경우, 비콘 장치(400)의 유효 기간을 갱신하고(S121), 만약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비콘 장치(400)가 유효한 비콘 장치(400)로 검증되지 않은 경우, 접속 중인 비콘 장치(400)가 유효하지 않은 비콘 장치(400)로 판단하고 비콘 장치를 초기화(S117)하고, 비콘 장치에서의 사용자 암호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S119).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비콘 장치(400)가 비콘 관리 서버(300)와 통신 접속 연결되면(S201),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입력되는 관리자 암호를 인증하고, 비콘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 모드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관리자 인증을 수행한다(S203).
이후,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설정한 비콘 장치(400)의 보안키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한 동작 조건을 수신하여(S205),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비콘 장치(400)는 수신한 동작 조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S207), 주기적으로 비콘 관리 서버(300)와 통신 접속하여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키 요청을 수신하고(S209), 저장 모듈에 저장한 보안키를 비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211).
이후, 보안키를 수신한 비콘 관리 서버(300)에서 유효성 검증이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213), 유효성 검증이 된 경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갱신된 유효 기간을 수신하여 동작 조건을 갱신하여 저장하고(S217), 유효성 검증이 되지 않은 경우, 비콘 관리 서버에 의해 비콘 장치가 초기화(S215)되어 서비스는 종료된다.
다시, 유효성 검증이 된 이후, 갱신된 유효 기간을 저장하고, 비콘 장치(400)는 설정되어 있는 유효 기간이 만료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9),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400)를 자체적으로 초기화하고(S221)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때, S215 및 S221 단계에서, 비콘 장치(400)는 초기화와 함께, 비콘 장치(4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 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에 저장된 동작 조건을 포함한 환경 설정 값의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비콘 장치(400)의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비콘 장치(400)는 다시 기 설정된 동작 조건에 따라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S207), 이후 동작을 흐름도에 맞추어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가 비콘 관리 서버와의 접속 여부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에서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와 접속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301).
이후,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400)와 접속 중인지를 판단하여(S303), 접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를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305).
이후, 비콘 장치(400)는 반복적으로 비콘 관리 서버(300)와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301)을 수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장치(400)가 비콘 관리 서버(300)과 접속중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 결과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에 의하여 초기화 될 수 없으므로 비콘 장치(400)에서 자체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S307).
더하여, 비콘 장치(400)는 비콘 장치(400) 내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며,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기 설정된 사용자 암호에 대해서 비콘 장치(400) 임의로 재설정 또는 변경을 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장치(400)는 기 저장된 비콘 장치(400)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환경 설정 값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비콘 관리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시스템은 비콘 관리 서버(300)가 비콘 장치(40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S401) 상기 비콘 장치(400)와의 통신 세션이 연결되면,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입력한다(S403).
이때, 관리자 암호가 인증되면,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에 관리자 모드로 접속할 수 있다(S405).
관리자 모드로 접속 중인 비콘 관리 서버(300)는 상기 비콘 장치(400)로 보안키를 발급하고(S407), 상기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에서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여 전송하고(S409), 비콘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 조건은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효 기간은 상기 비콘 장치(4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아울러, 전송되는 동작 조건을 상기 보안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비콘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보안키 및 동작 조건을 저장하고(S411), 상기 동작 조건에 따른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S413).
이후,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장치(400)와의 주기적으로 통신 하여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비콘 장치(400)로 발급했던 보안키를 요청하고(S415), 비콘 장치(40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비콘 장치(400)에 저장했던 보안키를 비콘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417).
이때, 비콘 관리 서버(300)는 비콘 관리 서버(300)가 비콘 장치(400)와 통신하여 비콘에서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비콘 장치(400)에서 직접 비콘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암호를 더 설정하여 비콘 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비콘 장치(400)로부터 보안키를 수신한 비콘 관리 서버(300)는 상기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을 검증하여(S419), 상기 비콘 장치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421).
여기서, 비콘 관리 서버(300)의 유효성 검증은 비콘 관리 서버(300)가 비콘 장치(400)로 발급한 보안키와, 상기 접속중인 비콘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보안키를 비교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 검증은, 해시알고리즘,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의 전자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비콘 관리 서버(300)는 접속 중인 비콘 장치(400)에 보안상의 이상이 생긴 상태로 판단하여 접속 중의 비콘 장치(400)를 초기화 설정한다(S421).
이때, 본 발명의 비콘 관리 서버(300)는 상기 비콘 장치(400)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콘 장치(400)에서 사용자 암호를 재설정 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콘 장치(400)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 비콘 장치(400)의 유효 기간을 갱신하고(S425), 갱신한 유효 기간 설정 정보를 비콘 장치(400)로 전송한다(S42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400)는 비콘 관리 서버(300)로부터 유효 기간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된 유효 기간을 저장한다(S427).
이후, 비콘 장치(400)는 기 저장한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비콘 장치(400)의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29).
판단 결과, 비콘 장치(400)의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400)는 자체적으로 비콘 장치(400)를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지만 비콘 관리 서버(300)와 접속중인경우 비콘 관리 서버(300)를 통해서 초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비콘 장치(400)의 초기화와 함께, 비콘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비콘 장치(40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암호를 재설정하거나 변경하려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비콘 장치(400)는 기 저장된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환경 설정 값의 변경을 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비콘 장치(4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을 통해 비콘 관리 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비콘 서비스 서버(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비콘 장치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9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비콘 서비스 서버(200), 비콘 관리 서버(300) 및 비콘 장치(4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비콘 관리 서버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비콘 관리 서버는 비콘 장치에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여 유효성 검증을 위한 보안키를 발급하고 비콘 장치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유효 기간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것이다.
만약,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는 경우 비콘 장치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비콘 장치의 환경 설정 값의 변경을 제한하여 비콘 장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콘 장치가 분실된 경우 비콘 장치는 비콘 관리 서버와의 접속이 끊어짐을 확인하고 비콘 장치 자체적으로 초기화를 실행하여 비콘 내부에 저장된 저장 정보를 삭제하고 보안성 높은 비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실 후에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중단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곧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60: WiFi/인터넷 망 70: 이동통신 망
100: 사용자 단말 200: 비콘 서비스 서버
300: 비콘 관리 서버 310: 통신 모듈
320: 보안 인증 모듈 330: 비콘 관리 모듈
340: 저장 모듈 400: 비콘 장치
4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420: 제어 모듈
430: 저장 모듈 440: 신호 송출 모듈
500: 비콘 시스템 600: 통신망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해 비콘 장치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의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비콘 장치에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로 접속한 관리자 모드에서 상기 비콘 장치의 설정 권한을 확보하여 보안키를 발급하고, 발급한 보안키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보안 인증 모듈;
    보안키가 발급된 상기 비콘 장치에 대하여, 비콘 신호의 ID값, 송출 전력값, 신호 주기 및 유효 기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한 후, 보안 인증 모듈의 유효성 검증에 따라서 상기 유효 기간을 갱신하는 비콘 관리 모듈; 및
    비콘 식별 정보 별로 상기 동작 조건 및 보안키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인증 모듈은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여 비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비콘 장치에서 직접 접속하여 비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비콘 신호 송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한 후, 상기 비콘 장치에서의 사용자 암호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버.
  5. 통신망을 통해 비콘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비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BLE 기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 모듈;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입력 받으면 설정 권한을 제공하고,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보안키 및 유효 기간을 포함한 동작 조건을 제공 받고, 상기 신호 송출 모듈이 상기 동작 조건에 따른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콘 장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보안키 요청에 대응하여 보안키를 전송하고, 유효성 검증된 경우 갱신된 유효 기간을 재설정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비콘 관리 서버로부터 설정된 유효기간을 포함한 비콘 신호 동작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하고, 비콘 장치 내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에 사용자 암호의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관리 서버와 일정 시간 이상 접속이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환경 설정 값의 변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장치.
  9. 비콘 관리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암호를 이용하여 비콘 장치에 관리자 모드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드로 접속한 비콘 관리 서버가 비콘 장치의 보안키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비콘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기간을 포함하는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콘 관리 서버가 상기 비콘 장치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발급한 보안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비콘 장치의 유효기간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키를 발급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장치와 통신하여 비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비콘 장치에서 직접 접속하여 비콘 동작 제어 가능한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키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콘 장치를 초기화 한 후, 상기 비콘 장치에서의 사용자 암호 재설정 또는 변경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50053843A 2015-04-16 2015-04-16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2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43A KR102424834B1 (ko) 2015-04-16 2015-04-16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5197140.5A EP3086527B1 (en) 2015-04-16 2015-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con device
US14/954,832 US9749865B2 (en) 2015-04-16 2015-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con device
CN201510930898.7A CN106060760B (zh) 2015-04-16 2015-12-15 用于管理信标装置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43A KR102424834B1 (ko) 2015-04-16 2015-04-16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04A true KR20160123604A (ko) 2016-10-26
KR102424834B1 KR102424834B1 (ko) 2022-07-25

Family

ID=5506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843A KR102424834B1 (ko) 2015-04-16 2015-04-16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49865B2 (ko)
EP (1) EP3086527B1 (ko)
KR (1) KR102424834B1 (ko)
CN (1) CN10606076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60A (ko) * 2017-08-03 2019-02-13 (주) 헬로팩토리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017A (ko) * 2018-08-27 2020-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02989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엘핀 인증 및 위치 측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1502B1 (en) * 2013-02-01 2014-07-15 Swir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of supplemental content responsive to location
JP6558279B2 (ja) * 2016-03-08 2019-08-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80240318A1 (en) * 2017-02-17 2018-08-23 Cejay Engineering, Llc Beacon device and beacon communication system
EP3315405A1 (en) * 2016-10-25 2018-05-02 Alcatel Lucent Collaborative security system to control drones
US10193981B2 (en) * 2016-12-23 2019-01-2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rnet of things (IoT) self-organizing network
US10219106B1 (en) * 2018-01-26 2019-02-2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ecure BLE broadcast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
CN108323229B (zh) * 2018-01-26 2021-01-15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用于基于位置的服务的安全ble广播系统
US10609573B2 (en) 2018-05-08 2020-03-31 Landis+Gyr Innovations, Inc. Switching PANs while maintain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US20190349277A1 (en) * 2018-05-08 2019-11-14 Landis+Gyr Innovations, Inc. Information element to indicate loss of backhaul connection
US10530638B2 (en) 2018-05-08 2020-01-07 Landis+ Gyr Innovations, Inc. Managing connectivity for critical path nodes
CN108834162B (zh) * 2018-05-22 2021-09-24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信标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510892A (zh) * 2019-01-31 2020-08-07 朗德万斯公司 用于将Zigbee设备加入到Zigbee网络的方法和相应的Zigbee设备
CN111770430A (zh) * 2019-03-12 2020-10-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处理方法及系统、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6388A1 (en) * 2001-03-20 2002-11-28 Rankin Paul J. Beacon update mechanism
JP2005051625A (ja) * 2003-07-30 2005-02-2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無線lanシステム、プロファイルの更新方法、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78699B1 (ko) 2005-10-19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콘 장비의 원격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8539A1 (en) * 2002-11-01 2004-05-06 Infante Steven 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messages
CN101442551B (zh) * 2008-11-13 2011-08-31 上海交通大学 基于ieee802.15.4协议的传感器节点占空比独立自适应调节方法
US8589970B2 (en) * 2009-05-14 2013-11-1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Content transmitter and receiver apparatus and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WO2013170904A1 (en) * 2012-05-18 2013-11-21 Nokia Siemens Networks Oy Facilitating proximity services
US9220012B1 (en) * 2013-01-15 2015-12-22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devices
US9307355B2 (en) * 2013-06-27 2016-04-05 Bluecats Australia Pty Limited Location enabled service for enhancement of smart device and enterprise software applications
KR20150006131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통신에서 암호화 적용 방법 및 장치
US9998437B2 (en) * 2015-02-04 2018-06-12 Belkin International Inc. Key exchange through a trusted prox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6388A1 (en) * 2001-03-20 2002-11-28 Rankin Paul J. Beacon update mechanism
JP2005051625A (ja) * 2003-07-30 2005-02-2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無線lanシステム、プロファイルの更新方法、取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78699B1 (ko) 2005-10-19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콘 장비의 원격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60A (ko) * 2017-08-03 2019-02-13 (주) 헬로팩토리 Nfc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 설정값을 변경하는 비콘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017A (ko) * 2018-08-27 2020-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02989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엘핀 인증 및 위치 측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49865B2 (en) 2017-08-29
EP3086527B1 (en) 2021-02-17
CN106060760B (zh) 2019-09-27
CN106060760A (zh) 2016-10-26
EP3086527A1 (en) 2016-10-26
US20160309330A1 (en) 2016-10-20
KR102424834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834B1 (ko) 비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58781B2 (en) Context and device state driven authorization for devices
US8494576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to access corporate data
EP3412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TWI592051B (zh) 網路輔助之詐欺偵測裝置及方法
US8474020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nd account management apparatus
CN100390773C (zh) 通信系统中的认证
JP6170844B2 (ja) 認証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80295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ersistent authentication
US2008000397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mproved bluetooth security during the pairing process
KR20150034196A (ko) 하드웨어 강제 액세스 보호
EP3704622B1 (en) Remote locking a multi-user device to a set of users
US201902810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rictionless two-factor authentication
KR20190014719A (ko)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CN112514323B (zh) 用于处理数字密钥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JP201225342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レジストラ機器
KR101502999B1 (ko) 일회성 비밀번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425275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의 통신 제어 방법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JP4103995B2 (ja) Icチップ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7005528B (zh) 用于无线频谱使用的无线设备硬件安全系统
KR101991511B1 (ko) 휴대용 스마트장치를 이용한 홈아이오티기반 장치의 환경설정 및 등록방법
KR20170010341A (ko)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인증 처리 방법
CN106209804A (zh) 一种增强wap协议安全的方法及装置
JP691130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