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099A -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 Google Patents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099A
KR20160123099A KR1020150053228A KR20150053228A KR20160123099A KR 20160123099 A KR20160123099 A KR 20160123099A KR 1020150053228 A KR1020150053228 A KR 1020150053228A KR 20150053228 A KR20150053228 A KR 20150053228A KR 20160123099 A KR20160123099 A KR 20160123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ng
cooking
stovepip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기복
Original Assignee
홍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복 filed Critical 홍기복
Priority to KR102015005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099A/en
Publication of KR2016012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vepipe apparatus for being attached to a range hood accessible to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vepipe apparatus for being attached to the range hood accessible to the cooking container composed of two stovepipes having a same size and structure as one group, comprises: a stovepipe attachment unit attached on a lower surface of a kitchen range hood provided with a range hood net on a bottom surface, and forming stovepipe connection holes vertically penetrated and two air suction holes vertically penetrated to communicate with the range hood net; two stovepipe hangers which are pipe type members coupled to the stovepipe attachment unit communicate with the stovepipe connection holes, vertically penetrated; and stovepipes coupled to the stovepipe hangers to make upper end holes communicate with the stovepipe hanger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s to be accessible to the cooking container positioned on a lower side wherein an assembly composed of the stovepipe hangers and the stovepipes can partially be folded to enable positions of the holes on the lower ends of the stovepipes to be moved back and forth.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flow of food smell, smoke, or gas toward a living room; and prevents the food smell, the smoke, or the gas from going up to prevent damages to the health of a cooker.

Description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0001]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for a cooking stove,

본 발명은 가정용 후드의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for a household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hood attachment device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communicating rooms.

최근 요리 시 발생되는 연기로 인하여 폐암이 발생될 수 있다는 연구논문이 언론을 통하여 수차례 발표된 적이 있는바, 가정에서의 요리 시 발생하는 연기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한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paper about the possibility of lung cancer due to smoke in cooking, and it is urgently required to have a device for effectively discharging smoke generated in cooking at home.

그러나 기존의 렌지후드에 구비된 공기배출을 위한 공기흡입구는 가스렌지의 버너와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요리인의 머리에 부딪힐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벽 측에 많이 치우쳐 있기 때문에 가스렌지 버너의 바로 위에 흡입구가 위치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요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 가스 등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요리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거실에 음식 냄새나 연기 등이 퍼짐으로써 불쾌감을 준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ir inlet for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existing range hood is far away from the burner of the gas range, and is located on the wall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may hit the head of the cook, Disadvantages are that the smoke or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s not smoothly discharged due to the fact that the suction port is not located directly above the burner, thereby deteriorating the health of the cook, as well as spreading food odor and smoke in the living room. .

또한, 음식물 조리 시 렌지후드의 팬을 작동시킨다 해도 요리할 때 발생하는 음식 냄새나 연기, 가스 등이 렌지후드로 전량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거실 쪽으로 흘러나올 뿐 아니라 위로 올라오면서 요리인의 코나 입으로 흡입되어 요리인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an of the cooking hood is operated when cooking food, not all of the food odor, smoke, and gas generated when cooking is discharged to the cooking hood, and some of the food is not only discharged to the living room, So that the health of the cook can be impa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805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8050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41238 호는 있으나 이는 본 발명과 같이 연통이 2개 조로 구성되어 있지않고 한 개조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동시에 2개의 조리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불편함이 있다고 생각되며,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41238 discloses tha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munication is not constituted by two sets but is constituted by a modification, it is considered inconvenient when using two cooking vessels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연통부착부 중앙에 얇은 철판으로 구성된 공기차단창이 구성되어 있어서 평소에는 시용하지 않고 있다가 간혹 동시에 연통을 2개구 이상 사용하여 조리할 때에는 공기차단 창을 열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연통의 구조도 하단부에 공기배출 개폐기를 부착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매연 등 배출 공기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 종전 것과는 차별화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n air blocking window composed of a thin iron plat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connecting portion, so that it is not usually used, but when the cooking is performed using two or more openings at the same time, The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is als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by attaching an air discharge switch at the lower end to control the amount of exhaust air such as soot generat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에 공기 배출을 위한 도구를 근접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등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stove which can close a tool for discharging air to a cooking stove so that a st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d attachment communication device.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 장치는 바닥면에 렌지후드 망이 구비된 주방용 렌지후드의 하면에 부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뚫린 연통연결구와 상기 렌지후드 망과 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뚫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연통부착부와, 상기 연통연결구와 통하도록 상기 연통부착부와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뚫린 파이프 형태의 부재인 연통걸대 및 상단 구멍이 상기 연통걸대와 통하도록 상기 연통걸대와 결합하고, 아래쪽의 조리용기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통걸대 및 상기 연통으로 구성되는 조합체는 일부를 꺾을 수 있어서 상기 연통의 하단 구멍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installing the cooking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connector A communicating par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ng po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ng po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ng port, the communicating port being a pipe-shaped member opened upward and downward, And a communicating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ng barrel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ng barrel and is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vessel below the joining barre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hole of the communication can be moved back and forth.

또한, 상단부 구멍이 상기 연통의 하단 구멍과 통하도록 상기 연통의 하단부와 결합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거꾸로 된 사발 형태의 연통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d bowl-shaped communication vane that is engaged with a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upper end hole communicates with the lower end hole of the communication hole and widens downward.

또한, 상기 연통날개는 상기 연통의 하단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vanes ar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연통걸대는 상하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걸대는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횡단하는 제1 장볼트를 축으로 하여 전후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bar is vertically connect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and the communication ba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hinge movement about the first bolt traversing the in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

또한, 상기 제1 장볼트에는 나비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나비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상기 연통걸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utterfly nut is coupled to the first bolt so that the angle of the connecting bar can be adjusted or fixed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butterfly nut.

또한, 상기 연통은 텔레스코픽 타입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has a telescopic type structure.

또한, 상기 연통부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태의 와이어감개와, 와이어 한쪽 끝이 상기 와이어감개와 결합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연통의 하단부에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od-shaped wire-guider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and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wire-guid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연통부착부에는 도르래 기능을 하는 롤러가 상기 연통유입구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롤러에 걸쳐져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oller serving as a pulley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mmunication inlet, and the wire is guided along the roller.

또한, 상기 와이어감개의 내부에는 한쪽 말단은 상기 와이어감개의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과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와이어감개의 고정된 부분과 결합하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감개에서 풀리면 상기 스프링이 변형하여 상기 와이어감개를 되감으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ire reel, a spring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to engage with the rotating part of the wire reel and at the other end to engage with a fixed part of the wire reel. When the wire is unwound from the wire reel, And the spring is de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to rewind the wire reel.

또한, 연통을 조리용기에 근접시키기 위하여 연통을 당길때 상기 와이어감개에서 스프링이 풀리면 상기 스프링이 변형하여 상기 와이어감개를 되감으려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연통날개에는 하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추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spring is released from the wire reel when the communication is pulled in order to bring the communication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the spring has an elastic force to deform the wire reel to rewind the wire reel,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에 의하면 필요할 때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흡입구의 위치를 상하, 전후로 이동시켜 조리 도구에 근접시킬 수 있어서 요리인이 가스렌지를 사용하여 요리할 때 발생하는 음식 냄새나 연기, 가스 등을 대부분 연통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음식 냄새나 연기, 가스가 거실 쪽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고, 음식 냄새나 연기, 가스가 위로 올라오면서 요리인의 코나 입으로 흡입되어 요리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며, 창문을 열어 장시간 환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the cooking hood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utensil with two communicating ro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air inlet for discharging air can be moved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o be close to the cooking utensil Smoke, and gas generated when the cooker uses the gas stove to exhaust the food odor, smoke, gas,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thereby minimizing the flow of food odor, smoke, and gas to the living room, And it is sucked into the mouth of the cooker's nose to prevent harm to the health of the cook, and it is advantageous to open the window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ventilation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정면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측면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와이어감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 걸대를 나타낸 측면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 일부를 나타낸 측면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를 나타낸 평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cooking hood in which a cooking cavity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avity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utensil.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in which a cooking cavity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avity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ng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utensil.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communicating ro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e reel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communicating ro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munication of a cooking hood attachment-type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ports can b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barrel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chan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portion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communicating tan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can be made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연통(8)(8a)과 와이어감개(305)는 좌,우 2개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크기나 구조,기능이 같으므로 본 도면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각각 이중으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1개 조만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Although the communication 8 (8a) and the wire reamer 305 are composed of two left and right assemblies, they are the same in size, structure, and function. Therefo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drawing,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정면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통상적인 기존의 렌지후드에 조리 음식에 밀착할 수 있는 같은 크기와 같은구조로 구성된 2개의 연통을 부착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팬(2)이 구비된 통상의 렌지후드(1)의 하면부에 연통부착부(5)를 부착하고 연통부착부(5)에는 같은 구조의 연통(8)(8a)이 부착되며 연통(8)(8a)의 하단부에는 공기를 흡입할 때 모아줄 수 있도록 연통날개(10)가 부착된다. 연통날개(10)는 상단부 중심에 원형 구멍이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거꾸로 된 그릇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The conventional cooking stove hood has two communicating portions each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a conventional cooking stove hood so that the cooking stov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oking stove. A communication pipe 8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and a communication hole 8a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so as to collect the air at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8, (10) is attached. The communicating vane 10 has a circular hole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an inverted bowl that widens downward.

음식물 조리 시에는 연통(8)의 각도를 조절하여 조리 음식에 연통날개(10)를 근접시킬 수 있는데, 연통(8)(8a)의 각도 조절을 위해 연통(8)(8a)의 상부에는 제1 연통걸대(7a)와 제2 연통걸대(7b)가 구비된다.In ord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holes 8 and 8a, the communication wings 10 and 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s 8 and 8a, And one communicating bar 7a and a second communicating bar 7b are provided.

연통날개는(1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날개걸대(11)에 좌우 2개의 리벳(1002)으로 고정되며, 연통(8)(8a)은 안테나처럼 다단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져서 상하로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으며, 연통(8)(8a)의 상단부는 연통부착부(5)와 결합된다.The communication wings 10 are fixed by two rivets 100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g bracket 11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The communication holes 8 and 8a have a multi-stage telescopic structure like an antenna, And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ng tube 8 (8a) is engaged with the communicating portion 5.

연통부착부(5)는 나사(4)에 의해 렌지후드의 공기흡입구 망(3)에 부착되어 공기흡입구 망(3) 바로 아래 위치한다. 렌지후드(1)와 연통(8)과의 결합은 연통(8)과 결합된 연통부착부(5)의 나사구멍(308a)(308b)(308c)(308d)(308e)(308f)(308g)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attached to the air inlet opening 3 of the cooking hood by a screw 4 and i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air inlet opening 3. The combination of the cooking hood 1 and the communicating tube 8 is formed by screw holes 308a, 308b, 308c, 308d, 308e, 308f )

(308h)에 나사(4)를 통과시켜 렌지후드(1)와 결합시키는 것에 의한다.당업자가 실행과정에서 사나의 숫자와 위치는 다소 증감,변경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nd the screw 4 is passed through the hood 308h to engage with the range hood 1.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anna in the course of execution.

본 발명에 의한 연통 장치를 사용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연통날개(10)가 조리 용기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손잡이(502)를 잡고 끌어다가 조리 용기(9)에 가까이 붙임으로써 가스배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s shown in FIG. 2, and the upper and lower lengths can be adjusted so as to hold the handle 502 so that the communication wings 10 ar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cooking container By sticking it close to the cooking vessel 9, the gas emission effect can be enhanced.

연통(8)의 이동에 따라 연통날개(10)의 각도도 맞춰주어야 하는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통(8)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꺾어질 수 있게 리벳(1002) 있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vane 10 mus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mmunication port 8. 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port can be adjusted by the rivet 1002 so that the communication port can be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on port 8 as shown in FIG. .

연통날개(10)는 자중에 의해 연통(8)이 기울어지더라도 연통날개(10)와 날개걸대(11)를 연결해주는 리벳(1002) 축으로 하여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항상 아래쪽 면이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리벳(1002)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축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wing 10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rivet 1002 axis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wing 10 and the wing collar 11 even if the communication hole 8 is tilt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lower surface always faces downward So as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rivet 1002 serves as a shaft f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측면투시도이다.FIG.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cooking hood in which two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기존의 가정용 렌지후드(1)의 위치는 가스렌지의 버너보다 벽 쪽으로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렌지후드(1)에 연결된 연통(8)을 수직으로 내리면 조리용기(9)에 정확하게 근접시킬 수가 없으므로 통상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해야만 조리용기(9)에 근접시킬 수 있으며 연통(8)을 화살표 방향으로 옮겼을 경우 연통(8)의 무게와 중력으로 인하여 연통(8)이 다시 저절로 원위치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통걸대(7a)와 제2 연통걸대(7b)의 겹쳐진 부위에는 관통하는 장볼트(806a)와 나비너트(801a)로 연통(8)을 압착하여 잡아줌으로써 연통(8)이 저절로 원위치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통(8)을 움직일 때에는 연통(8)이 무게로 인하여 원위치 되지 않을 만큼 나비넛트를 조여주면 될것이다.Since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domestic range hood 1 is biased toward the wall side of the burner of the gas range so that the communication 8 connected to the range hood 1 can not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9 when it is vertically lowered, It is necessary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2 so that it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vessel 9 and when the communication 8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communication 8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weight and gravity of the communication 8 . 8, the communication 8 is compressed by the long bolt 806a and the butterfly nut 801a passing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bar 7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bar 7b as shown in FIG. So that the communication pipe 8 is not spontaneous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when moving the communication pipe (8), the communication pipe (8) should be tightened so that the weight of the communication pipe (8) is not restor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5)의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tove hood attachment in which the two communication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연통부착부(5)의 몸체는 도 11의 점선을 따라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구성하며, 연통부착부(5)를 렌지후드 망(3)에 부착하기 위해 연통부착부(5)의 바닥면에 여러 개 형성된 나사구멍(308a)(308b)(308c)(308d)(308e)(308f)(308g)(308h)에 나사(4)를 통과시켜 렌지후드 망(3)에 결합시킨다.The body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formed by bending a thin steel plate along the dotted line in Fig. 11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for attaching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to the range hood net 3 The screw 4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formed screw holes 308a, 308b, 308c, 308d, 308e, 308f, 308g and 308h, and is engaged with the range hood net 3.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구멍은 통상적인 렌지후드 망(3) 구멍보다 2~3배 정도 크게 뚫어서 렌지후드 망(3)의 구멍 위치가 연통부착부(5)의 나사구멍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연통부착부(5)의 나사구멍이 크므로 나사(4)를 약간씩 옮기면서 렌지후드 망(3) 구멍에 맞추어 결합시키면 되는 구조이다. The screw holes are drilled 2 to 3 times larger than the holes of the conventional range hood net 3 so that the hole position of the range hood net 3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screw hole position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5 The threaded hole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large, so that the screw 4 is slightly moved and fitted to the hole of the cooking stove hood netting 3.

이때 사용하는 나사(4)에는 와셔를 사용하여 연통부착부(5)의 나사구멍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은 기존의 렌지후드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가 필요에 의하여 본 발명의 연통 장치만을 구입하여 부착하여 할 수도 있게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a washer is used for the screw 4 so that the screw hole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 the purpose of enabling a consumer using a conventional range hood to purchase and attach only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needed.

연통(8)(8a)을 사용할 때는 연통부착부(5)의 바닥면에 구성된 공기흡입구(311)를 공기차단창(313)을 닫아서 폐쇄함으로써 팬(2)에서 빨아들이는 공기가 연통(8)(8a)으로만 빠지게 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한다.When the communication 8 (8a) is used, the air intake port 3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closed by closing the air shutoff window 313 so that the air sucked in by the fan 2 flows into the communication 8 ) 8a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공기차단창(313)은 얇은 철판으로 구성하였으며, 설치를 위하여 공기차단창(313)의 일측면에 정첩(503)을 부착하였으며 다른 측면에는 두께가 있는 자석을 붙여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를 할수 있게 하였다.The air shutoff window 313 is made of a thin steel plate. A mallet 503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ir shutoff window 313 for installation, and a thick magnet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pening and closing.

연통을 밑으로 당겨 사용할 때에는 제1 앵커핀(301a)은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그 결과 스프링(304)의 연통(8)과 결합된 말단부는 회전하지만 스프링(304)의 제1 앵커핀(301a)의 "V"형 부재와 결합된 말단부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304)이 더 촘촘하게 말리면서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The first anchor pin 301a is in a fixed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is pulled down so that the distal end coupled with the communication 8 of the spring 304 is rotated but the first anchor pin 301a are fixed, the spring 304 is denser and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s increased.

연통(8)을 당길 때 스프링(304)이 감기면서 연통(8)이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연통의 중력과 바란스를 유지하게 되며, 당겨진 상태에서 연통은 정지되어 있을 것이다. When the communication pipe 8 is pulled, the spring 304 is wound and the elasticity of the communication pipe 8 is restored. This maintains the gravity and the balance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is stopped in the pulled state.

평소에는 와니어를 와이어감개(305)에 말아놓은 상태로 유지하다가 조리시에는 연통(8)을 밑으로 잡아당겨 조리용기(9)에 밀착시키게 되며 와이어감개(305)를 당기는 역할은 와이어(315)를 이용하여 연통이 하게 되며 이때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은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와이어(304)의 끝은 와이어감개(305)의 중앙에 구멍을 뚫러 그곳에 고정시켰다The wire 8 is pulled down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oking container 9 while the wire is wound around the wire reel 305. At this time, The end of the wire 304 is punctured at the center of the wire take-up part 305 and is fixed there

와이어(315)는 연통(8)의 상단 구멍과 통하도록 연통부착부(5)에 형성된 연통연결구(3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르래 역할을 하는 롤러(317)에 걸려 안내되며, 와이어(315)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감개(30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뻗다가 롤러(317)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수직 하방으로 뻗는다. 와이어(315)의 하단은 연통(8)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어서 연통(8)의 하단부가 내려가면 와이어(315)가 당겨지면서 탄성에 의하여 연통의 중력과 바란스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통은 당겨진 위치에서 그대로 정지되어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The wire 315 is guided by a roller 317 serving as a pulley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connector 312 formed in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end hole of the communication pipe 8,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wire reel 305 as shown in Fig. 5, and is turned by the roller 317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wire 315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ipe 8 so that wh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ipe 8 is lowered, the wire 315 is pulled to maintain the gravity and balance of the communication due to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being stopped as it is.

이를 위하여 연통날개(10)의 외측면에 쇠로 된 추(12)를 장착할 수 있게 하여 혹시 장시간 사용시 스프링(304)의 힘에 변화가 있을 때 추(12)를 가감하여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연통날개(10)의 외측면에는 짤막한 봉 형태의 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추(12) 두 개를 상기 봉 형태의 부재에 끼워넣은 상태로 사용하다가 스프링(304)의 탄성이 약해지면 추(12) 하나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된다. For this purpose, the weight 12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vane 10 so that the weight 12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orce of the spring 304 when the force of the spring 304 is changed for a long time. Shaped members are protruding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vanes 10 and two weights 12 having through-hole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re fitted in the rod-shaped members, and the elasticity of the springs 304 When weakened, one of the weights 12 may be removed and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ng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oking utensil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utensil.

연통의 하단내부에는 원형개폐기(501)를 구성하여 조리용기를 한곳만 사용할때는 공기흡입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손잡이(502)를 돌려 연통내부의 공기흐름막고, 원형개폐기(501)를 열거나 닫아 공기흐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게 하였다.또한 사용시 열로 인하여 연통이 뜨거워질수 있는데 손잡이(502)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을 것이다 A circula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1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ort so that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used only in one place, the handle 502 is closed to block the air flow inside the communication port and the circula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1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502 can protrude from the heat due to heat during use, there is no problem in us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5)의 정단면도이다. Fig.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tove hood attachment in which the two communication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와이어감개(305)의 측단면도이다.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reamer 30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cooking hood attachment in which the two containers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연통(8)을 당길때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304)이 강제로 말리며 이때 풀리려는 스프링(304)의 탄성과 연통의 중력이 바란스를 유지하게 되므로 당겨진 높이에서 연통은 정지되게 된다When the communication pipe 8 is pulled, the spring 304 built therein is forcibly dried.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04 to be pulled and the gravity of the communication maintain balance, the communication is stopped at the pulled-up height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8)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mmunication 8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cing a range hood, in which two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연통(8)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연통(8) 안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통(8)이 끼워질 수 있어서 끼워지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mmunicating tube 8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its length by adjusting the degree of fitting of the communicating tube 8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 the communicating tube 8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직경의 차이가 있는 두 개의 연통(8)이 연결되는 부위를 보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통(8)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돌출부(701)가 구성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연통(8)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돌출부(702)가 구성되어 두 개의 돌출부(701)(702)가 서로 걸림으로써 연통(8)이 빠져서 이탈되지 않으며, 마지막 연통(8)의 하단부에는 와이어(315) 끝을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 걸대를 구성하여 연통(8)을 밑으로 당겨 조리할 때 와이어(315)가 당겨지면서 자동으로 공기차단막(313)이 공기흡입구(311)를 막게 한다.The portion where the two communicating tubes 8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connected is shown as the protruding portion 70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ng tube 8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the lower end The protrusion 70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st communication hole 8 so that the two protrusions 701 and 70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 8 is not released, The wire 315 is automatically pulled when the communication pipe 8 is pulled downward to automatically close the air inlet 311 by the air barrier 313.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걸대(7a)의 정면 투시도이다. 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ommunication bar 7a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installing the range hood, in which the two communication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제1 연통걸대(7a)는 상단에 볼트구멍(803)을 전,후,좌,우 4개를 뚫어 연통부착부(5)에 리벳못이나 나사로 부착하며, 연통(8)의 각도를 조절하여 움직인 상태에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하단에는 횡으로 볼트구멍 2개를 뚫어 제1 장볼트(806a)를 끼운 다음 제1 나비너트(801a)를 결합시켜 압착하며, 사용자가 제1 나비너트(801a)로 조이는 압력을 손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연통(8)이 무게에 의하여 저절로 수직하게 되어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communicating bar 7a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803 at the upper end by drilling four holes in front and rear and attaching it to the connecting portion 5 with a rivet nail or screw and adjusting the angle of the communicating pipe 8 The first butterfly nut 801a is inserted and then the first butterfly nut 801a is connected to the first butterfly nut 801a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first butterfly nut 801a. So that the communicating tube 8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displaced by its own weight.

압착 강도를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너트는 나비너트(801a)를 사용하며, 압착할 때 연통(8)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통걸대의 소재는 두께가 2mm 정도의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관을 사용하여 나비너트로 압력을 가해도 외부에 구성된 연통(8)이 찌그러지지 않게 한다. In order to easily operate the pressing strength by hand, a butterfly nut (801a) is used as a nut. In orde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pipe (8) from being crushed when compressed,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ipe Even if pressure is applied by a butterfly nut using an aluminum tube, the communication 8 formed on the outside is not crushed.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걸대(7a)의 작동도이다.Fig. 9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communication bar 7a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cooking hood attachment, in which two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the cooking container.

연통(8)을 전,후로 각도를 틀어 움직일 때 연통날개(10)도 연통(8)과 일체가 되어 같이 움직이면 연통날개(10)의 각도가 틀어질 수 있는데, 공기흡입 효율을 높여주기 위하여는 연통날개(10)가 조리용기 위에서 수평으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연통날개(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다.When the communication wing 10 is moved integrally with the communication pipe 8 when the communication wing 1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communication pipe 8, 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wing 10 may be changed. To increase the air suction efficiency, Since the communication vanes 10 must be held horizontally on the cooking container, 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vanes 1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하여 연통날개(10)도 제1 연통걸대(7a)구조와 같은 원리로 구성하되, 연통날개(10)를 수평으로만 유지시켜 주면 되므로 연통날개(10)와 연통(8)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1 리벳(1002)또는 나사로 결합시키며, 조리할 때는 연통날개(10)를 손으로 잡고 끌어서 조리용기(9) 상단에 근접시키면 연통날개(10)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수직하게 된다. The communication vane 10 and the communication port 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principle as that of the first communication bargain 7a because the communication vane 10 is held horizontally only. When the cooking utensil is cooked, the cooking utensil 10 is brought close to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utensil 9 by holding the cooking utensil 10 with the hand, .

통상적으로 가정용 가스랜지의 노줄 좌,우 간격은 국제규격으로서 일정함으로 본 발명에서도 2개의 연통 간격은 가스랜지의 간격에 맞추어 구성하면 좌우로는 조절되지 않아도 될 것이므로 전후로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Generally, since the left and right gaps of the domestic gas ranges are constant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only the front and rear parts as the two communication intervals do not need to b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if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gas rang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을 나타낸 평단면도. FIG. 1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of a cooking hood attachment communicat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po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연통 2개가 한 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의 연통부착부(5)의 평면도이다.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stove hood attachment, in which two communication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composed of one set.

연통부착부(5) 몸체의 재질은 철판이며, 프레스로 절단하고 점선을 따라 절곡하여 완성한다. The material of the communicating part 5 is an iron plate, which is cut by a press and bent along the dotted line.

제1 연통걸대(7a)를 연통부착부(5)에 부착하기 위하여 걸대결합부(314) 4개를 구성하는데 걸대결합부(314)의 중앙에는 나사구멍을 내고 점선 부분을 직각으로 절곡한다. 철판의 강도에 따라서 당업자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걸대결합부(314)를 4개 이상 혹은 이하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Four hooking portions 314 are formed to attach the first hooking bar 7a to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A screw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nging portion 314 and the dotted line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steel plate, the number of the bar coupling portions 314 may be four or more in the course of execution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통상적으로 가정용 가스랜지의 노즐 간격은 좌,우 국제규격으로서 일정함으로 본 발명에서도 2개의 연통 간격은 가스랜지의 노즐 간격에 맞추어 구성하면 좌우로는 조절되지 않아도 될 것이므로 전후로만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Since the nozzle spacing of the domestic gas ranges is normally fixed as the left and right international standards, the two communication intervals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have to b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as long as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nozzle spacing of the gas ranges.

그러나 본 발명의 연통이 유격이 전혀 없이 정확하게 전후로만 움직인다면 소비자가 조리할 때 조리용기를 좌나 우로 치우치지 않고 가스랜지의 정중앙에 올려놓고 조리를 해야만 되는데, 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당업자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걸대결합부(314)를 전후로 2개만 구성한다면 연통이 약간은 좌나 우로 조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if th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cisely moved back and forth without any clearance, when the cooker is cooked, the cooking container must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gas range without being shifted to the left or right.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The communication may be slightly adjusted to the left or right if only two bar coupling portions 314 are 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연통부착부(5)는 얇은 철판으로 구성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힘을 보강하기 위하여 전후 끝 부분에는 점선과 같이 "ㄷ" 형으로 2회 절곡하며, 좌우 측면은 "ㄴ"형으로 한번 절곡하게 한다.In order to reinforce the force of maintaining the shape,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is made of a thin steel plate, and bends two times in a "C" shape as shown by a dotted line at the front and rear ends and bends once in a " .

한편, 연통부착부(5)의 좌우측 2곳 측면판에는 제1 앵커핀(301a)과 제2 앵커 핀(301b)을 걸기 위해 제1 앵커핀걸대공(1101a)(1101c)과 제2 앵커핀걸대공The first and second anchor pins 1101a and 1101c and the second anchor pins 1120a and 1102b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5 to fasten the first and second anchor pins 301a and 301b.

(1101b)(1101d)를 뚫는다.(1101b) 1101d.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렌지후드 2: 팬
3: 렌지후드 망 4: 나사
5; 연통부착부 7a; 제1연통걸대
7b: 제2 연통걸대 8,8a: 연통 9: 조리용기 10: 연통날개
11: 날개걸대 12: 추
301a: 제1 앵커핀 301b: 제2 앵커핀
304: 스프링 305; 와이어감개
306: 와이어걸대구멍
308a,308b,308c,308d,308e,308f,308g,308h: 나사구멍
311: 공기흡입구 312: 연통연결구
313: 공기차단막 314: 걸대결합부
315: 와이어 317: 롤러
318: 자석 319, 319a:롤러결합구멍
501: 원형개폐기 502: 손잡이
503: 정첩 701, 702: 돌출부
801a: 나비너트 803: 볼트구멍
806a: 제1 장볼트 806b: 제2 장볼트
1002: 리벳 1101a, 1101c: 제1 앵커핀걸대공 1101d, 1101b: 제2 앵커핀걸대공
1: Range hood 2: Fan
3: Range hood net 4: Screw
5; A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7a; The first communicating strap
7b: second communicating bar 8,8a: communicating 9: cooking vessel 10: communicating vane
11: Wing Hangers 12: Chu
301a: first anchor pin 301b: second anchor pin
304: spring 305; Wire reel
306: WIRE HOLDER HOLE
308a, 308b, 308c, 308d, 308e, 308f, 308g, 308h:
311: air intake port 312: communication connector
313: air blocking membrane 314:
315: Wire 317: Roller
318: magnets 319, 319a: roller engaging hole
501: Circular switch 502: Handle
503: mats 701, 702: protrusions
801a: butterfly nut 803: bolt hole
806a: Chapter 1 Bolts 806b: Chapter 2 Bolts
1002: rivet 1101a, 1101c: first anchor pin-hole air hole 1101d, 1101b: second anchor pin-

Claims (8)

바닥면에 망이 구비된 주방용 렌지후드의 하면에 부착되고, 수직 방향으로 뚫린 2개의 연통연결구와 상기 렌지후드 망과 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2개 뚫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연통부착부;
상기 2개의 연통연결구와 통하도록 상기 2개의 연통부착부와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뚫린 파이프 형태의 부재인 2개의 연통걸대; 및
상단 구멍이 상기 2개의 연통걸대와 통하도록 상기 2개의 연통걸대와 결합하고, 아래쪽의 조리용기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2개의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연통걸대 및 상기 2개의 연통으로 구성되는 조합체는 상단에서 각도를 꺽고, 꺾은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어서 상기 2개의 연통의 하단 구멍의 위치를 전후 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A communication attachment unit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a cooking stove hood having a net on a floor surface and having two communication port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ir inlet ports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oking hood net;
Two communicating bars, which are joined to the two communicating portion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wo communicating ports, and are vertically open pipe-shaped members; And
And an upper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wo communicating peg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wo communicating pegs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to be close to the lower cooking receptacle,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communicating pegs and the two communicating pegs can be bent at an angle from the top and can be fixed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ottom peg of the two communicating pegs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 communicating device for attaching a range hood that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composed of a set of two communicates.
제1항에 있어서,
상단부 구멍 2개가 상기 2개의 연통이 하단 구멍과 통하도록 상기 2개의 연통이 하단부와 결합하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거꾸로 된 사발 형태의 연통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holes further include an inverted bowl-shaped communication vane that connects the two communicating portions to the lower end portion so that the two communicating portions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hole, and is widened downwardly. A communication device for attaching a range hood that can be brought close to a cooking contai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날개는 상기 연통의 하단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vane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an anteroposterior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wherein the communication vane is capable of approaching to a cooking container having two sets of communica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걸대는 상하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걸대는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횡단하는 장볼트를 축으로 하여 전후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mmunication bar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herein the communication ba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ward and backward hinge movement about an elongated bolt that transversely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ommunicating device for attaching a cooking hood according to claim 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 에는 나비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나비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상기 연통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tterfly nut is coupled to the long bolt so that the angle of the communication can be adjusted or fixed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butterfly nut so that the two communicating ports can be close to the cooking receptacl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통은 전자제품의 안테나처럼 상하로 움직일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연통의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부착하며, 손잡이와 연결된 원형개폐기를 구성하여 공기흡입 강도를 조절하여 공기배출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wo communicating ports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like an antenna of an electronic product. A handle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ort, and a circular switch connected to the handle is formed to adjust the air suction intensity to efficiently discharge air. Wherein the cooking chamber is provided with two communicating chambers which are arranged in a row.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착부의 중앙에는 공기 차단창을 구성하며,
공기차단창의 한쪽 끝에는 정첩을 결합하고 반대편에는 자석을 결합하여 차단창을 수동으로 개폐할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air blocking window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attachment portion,
Wherein the air shut-off window is configured such that a mating pa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air shut-off window and a magnet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shut-off window.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통부착부에는 연통걸대를 걸기위한 걸대결합부(314)를 2개이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 2개가 한조로 구성된 조리 용기로의 근접이 가능한 렌지후드 부착용 연통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hooking portions (314) for hooking the hook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od.
KR1020150053228A 2015-04-15 2015-04-15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KR201601230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28A KR20160123099A (en) 2015-04-15 2015-04-15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228A KR20160123099A (en) 2015-04-15 2015-04-15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99A true KR20160123099A (en) 2016-10-25

Family

ID=5744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228A KR20160123099A (en) 2015-04-15 2015-04-15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09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21B1 (en) *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Hood device for long-distance with multi-stage sleeve type duct
KR20230080859A (en) * 2021-11-30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Hood for range
KR20230080841A (en) * 2021-11-30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Hood for ran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21B1 (en) *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Hood device for long-distance with multi-stage sleeve type duct
WO2020091142A1 (en) * 2018-10-31 2020-05-07 (주)엔코아네트웍스 Long-distance automatic hood device having multi-stage sleeve-type duct
KR20230080859A (en) * 2021-11-30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Hood for range
KR20230080841A (en) * 2021-11-30 2023-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Hood for ra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6219B2 (en) Modular vent hood blower kit for in-line or external application
US5884619A (en) Cook top intake director
US11143408B2 (en) Portable burning stove providing warm air
JP2018526037A (en) Oval grill with hinge lid
KR20160123099A (en) A stovepipe device comprised of 2 stovepipes as one set attached to range hood accessible to cooking pan
EP1698832A3 (en) Oven
CN109288385A (en) Steam cook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door opening steam
US5517902A (en) Indoor/outdoor grill and fry cooker
CA2034752A1 (en) Stove for Wok Cooking
KR20160085690A (en) A duct of range hood
KR20160142612A (en) Ventilator
CN208404118U (en) Air curtain device for electric steam box and electric steam box
KR20140078850A (en) Cookware using charcoal gas
KR102152770B1 (en) Movable smoke collector
JP6251052B2 (en) Gas furnace
US20080216345A1 (en) Device for dehydrating food
CN208551412U (en) A kind of barbecue apparatus for chicken and duck class carbon formula stove
JP3144942U (en) Cooking exhaust
JP3142375U (en) Wood-burning stove
US8209932B2 (en) Backsplash for an appliance
CN208765009U (en) A kind of range hood with a plurality of air exhaust passage
CN219120626U (en) Integrated kitchen range
KR20050074676A (en) Wall mounted type microwave oven
CN218484057U (en) Integrated kitchen range
CN201166414Y (en) Agricultural smoke discharging and steam discharging dual-purpose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