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317A -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317A
KR20160122317A KR1020150051771A KR20150051771A KR20160122317A KR 20160122317 A KR20160122317 A KR 20160122317A KR 1020150051771 A KR1020150051771 A KR 1020150051771A KR 20150051771 A KR20150051771 A KR 20150051771A KR 20160122317 A KR20160122317 A KR 2016012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olar
blind
modu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817B1 (ko
Inventor
김수진
서성혁
김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81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H01L35/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 및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항시 최적의 집광률을 유지하고 도서지역은 물론 주택가와 도심지 등에서도 장소에 구애 없이 태양광 발전을 위해 설치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집광필름;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 및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AND BLIN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의 고도 및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항시 최적의 집광률을 유지하고 도서지역은 물론 주택가와 도심지 등에서도 장소에 구애 없이 태양광 발전을 위해 설치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이라 함은 태양 전지에 의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을 말한다. 태양에너지 발전은 다른 발전에 비해 대기오염, 소음, 발열, 진동 등의 공해가 없는 청정에너지로서, 연료의 수송 및 발전설비의 유지관리가 거의 불필요하고 장치의 수명이 길고 설비 규모의 선택과 설치 공사가 쉽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에너지원의 청정 및 무제한, 발전시스템의 용이한 유지보수, 발전을 위한 인력의 최소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태양전지는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입사된 빛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가에 따라 그 효율이 결정된다. 한편, 태양전지를 다수 개 연결한 것을 솔라셀이라 하고, 솔라셀을 패널화한 것을 태양광 패널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의 극대화를 위해서 다수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사용한다.
종래 태양광 패널은 비교적 채광이 유리하고 설치면적의 제약이 없는 도서지역 등에 주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태양광 패널은 태양 고도 등의 변화에 상관없이 항시 일정한 방향만을 향하므로, 일조 및 낙조 시와 같이 태양 고도가 낮은 시점에는 집광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발전량이 급감하고, 최대고도가 다른 하절기와 동절기에도 태양광 패널의 방향을 조정하지 않으면 집광효율에 큰 변화가 생기므로, 태양광 패널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태양광 패널은 채광의 효율성을 고려해서 대지 또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해야 하는 장소 및 위치적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49194호(2011.07.14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태양의 고도 등에 상관없이 최적의 집광 및 발전율을 유지하고, 설치 위치와 장소에 구애없이 활용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과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광필름;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 및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
를 포함하는 솔라셀이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을 덮어 방열하는 그래핀 재질의 방열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라셀은 곡면을 이루는 형상인 것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광필름과,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과,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며, 곡면을 이루는 형상의 솔라셀;
상기 솔라셀의 일단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기 솔라셀의 타단과 크랭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편중한 위치에 연결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모터;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패널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솔라셀의 굴곡진 선단이 삽입되는 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광필름과,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과,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을 구비한 다수의 차양판; 및
연결선을 매개로 상기 차양판을 병렬로 연결해서 현수하는 고정체;
을 포함하는 블라인드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창문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연결선을 매개로 상기 차양판을 현수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제2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양판은 편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다수의 상기 차양판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축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해 회전하고, 상기 차양판의 일단에 돌출된 회전축대를 1회 또는 2회 이상 감아 인출하는 형태로 상기 차양판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감거나 푸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와 벨트를 매개로 회전하고, 상기 차양판의 타단에 돌출된 회전축대를 1회 또는 2회 이상 감아 인출하는 형태로 상기 차양판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감거나 푸는 연동풀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선이 상기 회전축대에 나선으로 감기도록 안내하는 나선형의 권취홈이 상기 회전축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웜기어와 연동하는 구동축대;
상기 구동축대와 연동하는 제1베벨기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하는 제2베벨기어와 연동하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양판은
상기 솔라셀의 일단을 고정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솔라셀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편중한 위치에 연결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굴절률의 집광필름을 복층으로 구성해서 태양의 낮은 고도에서도 최적의 발전효율을 유지하고, 그래핀 재질의 방열필름을 구성해서 발전 중에 발생하는 열을 획기적으로 방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을 갖춘 솔라셀을 블라인드의 차양판으로 응용해서 차양은 물론 발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의 제1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솔라셀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패널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솔라셀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을 구성한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블라인드에 구성된 고정체의 단면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상기 블라인드에 구성된 수광센서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상기 블라인드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이 조합돼 이룬 태양전지 패널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태양전지 패널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구성된 블라인드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3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블라인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4의 전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의 제1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100)은 1차 태양광(L1)을 수광해서 2차 태양광(L2)으로 굴절시키는 집광필름(110)과, 집광필름(110)으로부터 굴절하며 출력되는 3차 태양광(L3)을 수광해서 광 발전하는 태양전지(121)를 갖춘 태양전지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태양전지모듈(120)은 태양전지(121)를 수용하며, 양면에 각각 집광필름(110)과 열전모듈(140)이 층을 이루도록 접합하고, 2차 태양광(L2)을 수광해서 3차 태양광(L3)으로 굴절시키는 재질의 레이어(122)를 포함한다.
더불어, 솔라셀(100)은 태양전지모듈(120)의 수광 중에 발생한 열을 이용해서 기전력을 일으키는 열전모듈(140)과, 열전모듈(140)의 발전 효율이 높아지도록 태양전지모듈(120)과의 비접촉면에 접하면서 방열시키는 방열필름(150)을 더 포함한다.
집광필름(110)과 태양전지모듈(120)의 레이어(122)는 수광한 태양광을 태양전지(121)로 집광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집광필름(110)과 레이어(122)는 서로 다른 재질이 적용되므로 2,3차 태양광(L2, L3)은 서로 다른 굴절 각으로 출력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집광필름(110)은 레이어(1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의 재질이므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2차 태양광(L2)의 굴절 각은 3차 태양광(L3)의 굴절 각보다 크다. 하지만, 이외에도 집광필름(110)의 밀도를 레이어(1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해서 2차 태양광(L2)의 굴절 각이 3차 태양광(L3)의 굴절 각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태양전지(121) 또는 열전모듈(140) 등으로부터 반사해서 집광필름(110)을 향해 일정각도로 출력되는 1차 반사광(L4)은 집광필름(110)에서 반사되어 2차 반사광(L5)으로 태양전지(121)에 입사한다. 결국 본 실시 예의 솔라셀(100)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변하는 1차 태양광(L1)의 입사각에 상관없이 태양전지(121)가 효과적으로 수광하도록 하므로, 태양전지(121)는 시간변화에 따라 급변했던 발전량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일일 평균 및 전체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집광필름(110)은 글라스 재질이 적용되고, 태양전지모듈(120)의 레이어(122)는 집광필름(110)보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 또는 EVA 등의 점착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레이어(122)의 재질은 공기 또는 EVA 등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태양전지(121)는 입사하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공지,공용의 기술로서, 수광을 통한 발전원리와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열전모듈(140)은 열을 받아 발전하는 열전소자가 구성되어서, 상기 열전소자에서 이루어지는 제베크 효과를 통해 발전한다. 태양광에 의해 가열된 집광필름(110)과 태양전지모듈(120)의 열이 열전모듈(140)의 발전 과정에서 냉각되므로, 열전모듈(140)은 발전기능과 더불어서 방열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열전모듈(140)에서 발생한 기전력은 별도의 열발전모듈(550)로 전달되고, 열발전모듈(550)은 수신한 전류를 변압 및 정류해서 일정한 크기의 전기로 변환하며, 별도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520)은 열발전모듈(550)로부터 수신한 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및 충전모듈(520)은 태양전지(121)의 충전 대상과 동일할 수 있다.
방열필름(150)은 솔라셀(100)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해서 태양전지(121)가 받는 열 부담을 줄인다. 이를 위해 방열필름(150)은 형상적으로 외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필름(150)는 그래핀 등의 특수 물질을 적용해서 솔라셀의 견고성을 높이고 경량화를 이룰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솔라셀(100)의 방열은 열전모듈(14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추가 방열필름(150)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나, 솔라셀(100)의 방열률을 높임은 물론 열전모듈(140)의 온도차를 극명하게 해서 열전모듈(140)의 발전효율이 증가하도록 보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솔라셀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패널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솔라셀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솔라셀(100')은 제1실시 예의 솔라셀(100)과 동일한 집광필름(110)과 태양전지모듈(120) 및 방열필름(150)을 구성하되,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이룬다. 더 나아가 본 실시 예의 솔라셀(100')은 도 3의 (a)도면과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횡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횡력에 대응해서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결국, 솔라셀(100')이 구성된 태양전지패널(200a, 200b)은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시간대 또는 태양광의 고도 등에 따라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면서, 발전을 위한 태양광의 수광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태양의 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대인 일출시간 및 오전에는 대부분의 1차 태양광(L1)이 측방향으로 입사한다. 따라서, 측방향으로 입사하는 1차 태양광(L1)에 대한 수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1차 태양광(L1)과 마주하도록 다수의 태양전지(121) 중 일부를 기립시킨다. 이를 위해서 도 2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솔라셀(100')의 양측에 압력을 가해서 솔라셀(100')을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결국 측방향으로 입사하는 1차 태양광(L1)은 태양전지(121)에 곧바로 입사하고, 태양전지(121)는 고효율의 발전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집광필름(110, 120)의 굴절 각 조정을 통해서, 1차 태양광(L1)에 노출되지 않는 반대편의 일부로도 1차 태양광(L1)의 입사가 이루어지므로, 낮은 태양 고도에서도 솔라셀(100')에 위치한 다수의 태양전지(121)가 효과적인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태양의 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간대인 정오 무렵에는 도 2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능한 넓은 면적을 1차 태양광(L1)에 노출시키기 위해서 솔라셀(100')의 양측에 장력을 가한다. 따라서 1차 태양광(L1)은 솔라셀(100')의 모든 면적에 입사하고, 이를 수광하는 각 위치의 태양전지(121)는 원활한 발전을 수행한다. 물론 솔라셀(100')의 중앙에 위치한 태양전지(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배지는 위치인 솔라셀(100') 가장자리의 태양전지(121)는 집광필름(110, 120)에 의해 1차 태양광(L1)이 곧바로 입사하므로, 모든 위치의 태양전지(121)가 일률적인 발전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c)도면은 본 실시 예의 솔라셀(100')이 태양의 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조 및 늦은 오후 시간대에 동작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a)도면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을 구성한 블라인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블라인드에 구성된 고정체의 단면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블라인드에 구성된 수광센서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상기 블라인드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블라인드(10)는 블라인드(1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고정체(400)와, 고정체(400)에 고정되서 차양 및 발전하는 다수의 태양전지 패널(200)을 포함한다. 고정체(400)는 창문(미설명)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401)과, 태양전지 패널(200)을 지지하며 제1프레임(401)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402)과, 제1프레임(401)에 설치되어서 회전력을 일으키는 회전장치(403)와, 회전장치(403)의 연동축대(403a)의 동력을 받도록 제2프레임(402)에 설치되는 연동회전축대(404)와, 다수의 태양전지 패널(200)을 병렬로 연결해서 제2프레임(402)에 현수하는 기본연결선(43)을 포함한다. 태양전지 패널(200)은 블라인드(10)에서 차양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조와 형상 및 구성 등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체(400)는 창문의 창틀에 설치되어서 태양전지 패널(200)이 발전하기 위한 자세를 맞춰준다. 이를 위해서 고정체(400)의 제1프레임(401)은 상기 창틀의 상단에 고정되고, 제2프레임(402)은 회전장치(403) 및 연동회전축대(404)를 매개로 제1프레임(401)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2프레임(402)에 내설된 연동회전축대(404)는 회전장치(403)의 회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도 9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프레임(402)은 연동회전축대(404)의 회전에 의해서 연동회전축대(40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참고로, 회전장치(403)는 회전력을 일으키는 모터와 더불어서, 회전속도와 회전력 및 회전각도 등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회전장치(403)는 제어모듈(540)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일으킨다. 제어모듈(540)은 태양전지 패널(200)이 고효율로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태양의 고도와 조사 위치에 맞춰서 태양전지 패널(200)의 방향을 조정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모듈(540)은 타이머(510) 또는 수광센서(560) 중 선택된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서, 타이머(510)의 시간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200)의 방향 조정을 위한 회전장치(403) 동작을 제어하거나, 수광센서(560)의 수광 방향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200)의 방향 조정을 위한 회전장치(403)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 수광센서(560)는 제1,2,3센서(562, 563, 564)가 각각 수광 방향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베이스(561)에 3방향으로 분할 배치되며, 수광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제1,2,3센서(562, 563, 564)의 경계부에는 경계벽(561a)을 형성시킨다. 결국, 수광센서(560)는 태양광의 조사 방향을 정확히 인식해서 제어모듈(540)에 전달하고, 제어모듈(540)은 수신한 조사 방향 정보를 활용해서 태양전지 패널(200)의 수광 방향을 조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이 조합돼 이룬 태양전지 패널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태양전지 패널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200)은 곡면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형상의 솔라셀(100')을 갖춘 장치이다. 태양전지 패널(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솔라셀(100')을 수용하는 케이스(210)와, 솔라셀(100')과 크랭크(230)를 연결하는 고정브래킷(220)과, 크랭크(230)와, 크랭크(230)가 연결되는 휠(240)과, 휠(240)을 회전시키는 휠모터(250)를 포함한다.
곡면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형상의 솔라셀(100')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210)는 솔라셀(100')을 수용하면서 태양전지 패널(200)의 몸체를 이룬다. 이를 위해서 케이스(210)는 솔라셀(100')이 안착하는 바닥판(211)과, 솔라셀(100')의 일측인 고정단을 케이스(210)에 고정하며 횡압력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솔라셀(100')을 가이드하는 측판(212, 213)과, 솔라셀(100')의 타측인 자유단을 감싸며 고정브래킷(220)과 크랭크(230)와 휠(240)과 휠모터(25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1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바닥판(211)은 솔라셀(100')의 저면 전체를 덮어 보호하는 판 형상을 이루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측판(212, 213)은 바닥판(211)과 일체를 이루고, 솔라셀(100')의 굴곡진 선단인 양측 가장자리가 이동가능하게 삽입하는 안내홈(213a)을 갖는다. 따라서 솔라셀(100')의 자유단에 횡력 또는 장력이 가해지면 솔라셀(100')은 수축 또는 이완을 하고, 이때 솔라셀(100')의 양측 가장자리는 안내홈(213a)을 따라 이동하면서도 케이스(210)로부터 분리됨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솔라셀(100')의 상기 고정단은 측판(212, 213)과 안착판(211)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고정할 수 있다.
보호커버(214)는 바닥판(211)과 일체를 이루고, 솔라셀(100')의 상기 자유단 측에 배치되어서, 고정브래킷(220)과 크랭크(230)와 휠(240)과 휠모터(250)를 덮어 보호한다.
고정브래킷(220)은 크랭크(230)의 일단을 솔라셀(100')의 상기 자유단에서 돌출된 고정돌기(10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돌기(101)는 긴 바아(Bar) 형상이고, 고정브래킷(220)은 고정돌기(101)에 대응한 바아 형상으로 했으나, 크랭크(230)의 일단을 솔라셀(100')의 자유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크랭크(230)는 휠(240)의 회전운동을 고정브래킷(22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연결부재로서, 일단은 고정브래킷(220)을 매개로 솔라셀(100')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휠(240)의 편중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참고로, 크랭크(230)는 고정브래킷(220)과 휠(24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하므로, 핀 등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브래킷(220)과 휠(240)에 연결한다.
휠(240)은 휠모터(25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휠모터(250)는 소형의 전동기가 적용되며, 구동을 위한 전력공급과 제어는 별도의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한다.
이상의 내용을 참고해서 크랭크(230)를 이용한 고정브래킷(220)의 동작모습을 순차 설명한다.
도 11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휠(240)과 연결된 크랭크(230)의 타단이 휠(2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솔라셀(100')의 배치방향에 위치하면, 고정브래킷(220)의 위치는 휠(24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가 된다. 이때, 고정브래킷(220)은 솔라셀(100')에 압력을 가하는 방향이므로, 솔라셀(100')은 도 11의 (a)도면 및 (c)도면과 같이 수축한 상태를 이룬다.
계속해서, 도 11의 (b)도면 및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휠(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크랭크(230)의 타단이 휠(2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솔라셀(100')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면, 고정브래킷(220)의 위치는 휠(24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된다. 이때, 고정브래킷(220)은 솔라셀(100')을 이완시키는 방향이므로, 솔라셀(100')은 도 11의 (b)도면과 같이 이완한 상태를 이룬다.
참고로, 크랭크(230)의 이동은 휠모터(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0)에 의해 이루어지며, 컨트롤러(500)는 설정된 시간에 맞춰 휠모터(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500)를 태양전지 패널(200)의 케이스(210)에 내설해서 태양전지 패널(200)별로 컨트롤러(500)가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태양전지 패널(200)과는 독립시켜서 1개의 컨트롤러(500)가 다수의 태양전지 패널(200)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휠(240)의 동작으로 크랭크(230)가 이동하면서 솔라셀(100')을 수축 또는 이완시키고,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솔라셀은 태양광의 고도에 맞춘 최적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구성된 블라인드의 제2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10)는 건물의 창 또는 문 등에 설치되어서 태양광의 실내 조사를 차단하는 기구이다. 이를 위한 블라인드(10)는 차양판(300)과 고정체(400)을 포함한다.
차양판(300)은 태양전지 패널(200)과 본체(310)를 포함한다. 태양전지 패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광을 통한 발전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태양전지 패널(200)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310)는 태양전지 패널(200)을 수용해서, 태양전지 패널(200)의 외형을 유지하고 외력으로부터 태양전지 패널(200)을 보호한다. 본체(310)는 평판 형태의 태양전지 패널(2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차양을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이며, 저중량과 내열 효과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태양광 발전 효율을 고려해서 태양전지 패널(200)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판 등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310)에 수용된 태양전지 패널(200)을 덮어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보호판을 보강할 수도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10)는 다수의 차양판(300)이 병렬하게 배치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한다. 이를 위해서 다수의 차양판(300)은 제1연결선(430)과 제2연결선(43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고, 제1,2연결선(430, 430')은 고정체(40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2연결선(430, 430')은 4각 형상의 차양판(300)의 네 귀퉁이에 각각 고정되며, 제1,2연결선(430, 430')의 이동을 따라 함께 이동하므로, 서로 연결된 차양판(300)들이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제1,2연결선(430, 43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고정체(40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고정체(400)은 창 또는 문에 고정되어서, 다수의 차양판(300)을 상기 창 또는 문을 덮도록 배치한다. 고정체(400)의 내측에는 제1,2연결선(430, 430')을 연결해 동작시키는 기어부(미도시함)가 내설되며, 사용자가 제1연결선(430) 또는 제2연결선(430')을 직접 당기거나 별도의 회전암(미도시함)을 돌려서,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2연결선(430, 430')을 통해 다수의 차양판(300)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고정체(400)은 전환풀리(410)와 절첩선(420)을 보강 구성해서, 사용자가 절첩선(420)을 당기면 전환풀리(410)의 회전으로 상기 기어부가 구동하고, 제1,2연결선(430, 430')은 상기 기어부에 권취되어 다수의 차양판(300)을 고정체(400) 쪽으로 중첩한다.
고정체(400)과 기어부와 제1,2연결선(430, 430') 및 절첩선(420) 등의 연동구조는 기존 블라인드 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고정체(400)과 기어부와 제1,2연결선(430, 430') 및 절첩선(420)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3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블라인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의 전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4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10')는 창 형상의 고정체(400')과, 고정체(40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다수의 차양판(300')으로 구성된다.
고정체(400')은 창문 등에 설치해서, 차양판(300')이 상기 창문에서 안정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고정체(400')은 차양판(3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동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입설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440, 440')과, 차양판(300')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450)를 더 포함한다.
차양판(300')은 솔라셀(100, 100')을 수용하는 본체(310')와, 가이드프레임(440, 440')과 본체(3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대(320, 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의 본체(310')는 회전축대(320, 320')가 고정되는 축심구(311)와, 차양판(300')의 형상 유지시키는 지지대(313)의 고정을 위한 삽입홈(312)과, 삽입홈(312)에 고정되는 지지대(31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310')와 회전축대(320, 320')가 독립된 구성인 것으로 예시했으나, 본체(310')와 회전축대(320, 320')는 일체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축심구(311)는 본체(310')의 편중된 위치에 배치하므로, 회전축대(320, 320')는 차양판(300')의 편중한 위치에 배치된다. 결국 차양판(300')은 회전축대(320, 320')로부터 힘을 받지 않으면 본체(310')의 자중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대(320, 320')는 축심구(311)에 삽입되어서 본체(310')와 일체를 이루는 삽입대(321)와, 삽입대(321)의 단부에 형성되며 가이드프레임(440, 440')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연결축대(3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삽입대(321)가 본체(310')의 축심구(311)에 삽입되어 본체(3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연결축대(322)가 직접 본체(3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계속해서 연결축대(322)는 가이드프레임(440, 440')의 연결홈(441)에 삽입되어서 연결홈(441)을 따라 이동하고, 연결축대(322)의 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홈(3221)은 연결홈(441)에 형성된 레일(442)과 맞물려서 연결축대(322)가 가이드프레임(440, 440')의 연결홈(441)에 안정하게 연결된다.
한편, 연결축대(322)는 둘레면을 따라 권취홈(3222)이 형성되고, 일지점에는 연결축대(322)를 관통하는 관통공(3223)이 형성되며, 솔라셀(100, 100')의 전선이 배선되는 중공(3224)이 형성된다.
권취홈(3222)은 상하로 배치된 차양판(300')을 제3연결선(430")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제3연결선(430")은 권취홈(3222)을 따라 감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연결선(430")은 상하로 병렬 배치된 다수의 차양판(300')을 일체로 연결하는데, 이를 위해서 한 쌍의 제3연결선(430")을 각각 차양판(300') 양쪽에 돌출된 회전축대(320, 320')에 연결한다. 회전축대(320, 320')에 대한 제3연결선(430")의 권취는 일정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해서, 제3연결선(430")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이 회전축대(320, 3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서 블라인드(10')에 구성된 모든 차양판(30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참고로, 권취홈(3222)은 연결축대(322)를 감는 제3연결선(430")의 인입선 및 인출선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선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3223) 및 중공(3224)으로 솔라셀(100, 100')의 전선(WL)을 배선한다. 솔라셀(100, 100')은 태양광으로 발전한 전기를 외부에 출력시켜야 하므로, 배터리(530)와의 전선 배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차양판(300')에 내설된 솔라셀(100')의 휠모터(250)도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선 배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차양판(300')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WL)은 관통공(3223)을 통해서 컨트롤러(500)의 배터리(530)로 배선된다. 참고로 회전축대(320, 320')는 제3연결선(430")의 당김 등에 의해서 180도 이내로만 회전하므로, 관통공(3223) 및 중공(3224)을 통해 배선된 전선(WL)은 꼬임 없이 배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장치(450)는 컨트롤러(500)의 제어를 받아 차양판(300')을 자동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450)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회전모터(451)와, 회전모터(45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대(452)와, 구동축대(452)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웜기어(454)와, 웜기어(454)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회전기어(455)와, 벨트 또는 체인(B, 이하 '벨트')을 매개로 회전기어(455)와 연동하는 연동풀리(456)와, 구동축대(452)와 동축을 이루며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457)와, 구동축대(452)의 수동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458)을 포함한다.
구동장치(450)의 동작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따라 회전모터(451)가 회전해서 구동축대(452)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모터(451)는 제1연동기어(4511)를 회전시키고, 구동축대(452)는 연동기어(4511)와 치합하는 제2연동기어(453)가 구성되어서, 회전모터(451)의 회전력이 제1,2연동기어(4511, 453)를 통해 구동축대(452)에 전달되도록 했으나, 이외에도 회전모터(451)와 구동축대(452)가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회전모터(451)가 직접 구동축대(452)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연동기어(4511, 453) 이외에 다수의 연동방식을 통해서, 회전모터(451)의 회전력이 구동축대(452)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축대(452)의 회전력을 받아 웜기어(454)가 회전하면, 치합을 이루는 회전기어(455)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다.
회전기어(455)와 벨트(B)를 매개로 연동하는 연동풀리(456)는 회전기어(455)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한다. 이때, 웜기어(454)가 갖는 특성으로 인해서 웜기어(454)가 회전하기 전에는 회전기어(455)는 그 회전이 제한되므로, 구동축대(452)가 회전해서 차양판(300')을 회전시키면 차양판(300')은 현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회전모터(451)의 회전력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구동축대(452)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핸들(458)을 보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축대(452)를 고정체(400')의 가이드프레임(440, 440')을 따라 입설하고 하단에 제1베벨기어(457)를 구성한다. 또한 제1베벨기어(457)와 치합해서 연동하는 제2베벨기어(4582)를 갖춘 핸들(458)을 가이드프레임(440, 440')의 일지점에 구성한다. 여기서 제2베벨기어(4582)는 핸들(458)의 기어축(4581)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고정체(400')에 노출한 핸들(458)을 조작해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기어축(4581)을 통해 제2베벨기어(4582)로 전달된 후, 제2베벨기어(4582)와 치합한 제1베벨기어(457)을 통해 구동축대(452)로 전달된다. 구동축대(452)에 전달된 회전력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웜기어(454)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서 회전기어(455)가 회전한다.
한편, 컨트롤러(500)는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510)와, 솔라셀(100)로부터 전기를 수신해서 배터리(530)에 충전시키는 충전모듈(520)과, 배터리(530)와, 타이머(510)로부터 시간을 수신해서 구동모터(451)를 동작시키는 제어모듈(540)을 포함한다. 제어모듈(540)은 사용자가 오전, 정오, 오후 등의 시간을 입력하면 해당 시간에만 구동모터(451)를 동작시킬 수도 있고, 광도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미도시함)가 지정된 세기 이하의 세기를 감지하면 구동모터(451)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530)는 분리돼 구성할 수 있고, 외부 배선과 연결되어서 배터리(530)의 충전전기를 일상생활에 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10')의 동작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컨트롤러(500)의 제어모듈(540)은 타이머(510)의 시간을 확인하거나 수광센서의 신호를 감지해서 설정된 시간 또는 지정 세기 이하의 신호를 확인하면 구동모터(451)를 동작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51)의 회전력은 구동축대(452), 웜기어(454), 회전기어(455), 연동풀리(456) 순으로 순차 전달된다. 여기서, 회전기어(455)와 연동풀리(456)는 벨트(B)를 매개로 연동한다. 이를 위해 회전기어(455)는 제1연동활차(4551)를 구성하고, 연동풀리(456)는 제2연동활차(4561)를 구성하며, 벨트(B)는 제1연동활차(4551)와 제2연동활차(4561)에 무한궤도 형태로 걸린다. 한편, 회전기어(455)와 연동풀리(456)는 제4연결선(430")을 권취하는 제1권취활차(4552)와 제2권취활차(4562)를 각각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연결선(430")은 회전축대(320, 320')의 권취홈(3222)을 1회 이상 감은 후 인출되어서 다음 차양판의 회전축대(320, 320')의 권취홈(3222)을 감는 방식으로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제4연결선(430")은 최종적으로 제1,2권취활차(4552, 4562)를 권취한다. 결국, 제1,2권취활차(4552, 4562)가 회전해서 제4연결선(430")을 권취하거나 풀면, 제4연결선(430")은 회전축대(320, 320')의 권취홈(32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대(320, 320')에 회전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서 차양판(100')이 회전축대(320, 3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참고로, 회전축대(320, 320')는 차양판(100')에 편중하게 위치하므로, 제4연결선(430")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차양판(100')은 편중한 부분이 자중에 의해서 중력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서 차양판(100')은 창문을 덮어서 태양광을 차양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0'; 블라인드
100,100'; 솔라셀 110; 집광필름 120; 태양전지모듈
121; 태양전지 140; 열전모듈 150; 방열필름
200; 태양전지 패널
210; 케이스 211; 바닥판 212,213; 측판
214; 보호커버 220; 고정브래킷 230; 크랭크
240; 휠 250; 휠모터 300,300'; 차양판
310,310'; 본체 311; 축심구 312; 삽입홈
313; 지지대 320,320'; 회전축대 321; 삽입대
322; 연결축대 3221; 걸림홈 3222; 권취홈
3223; 관통공 3224; 중공 400,400'; 고정체
410; 전환풀리 420; 제2연결선 430,430'; 제3연결선
430"; 제4연결선 440,440'; 가이드프레임 441; 연결홈
442; 레일 450; 구동장치 451; 회전모터
452; 구동축대 454; 웜기어 455; 회전기어
4551; 제1연동활차 4552; 제1권취활차 456; 연동풀리
4561; 제2연동활차 4562; 제2권취활차 457; 제1베벨기어
458; 핸들 4581; 기어축 4582; 제2베벨기어
500; 컨트롤러 510; 타이머 520; 충전모듈
530; 배터리 540; 제어모듈

Claims (12)

  1. 집광필름;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 및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을 덮어 방열하는 그래핀 재질의 방열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은 곡면을 이루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셀.
  4. 집광필름과,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과,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며, 곡면을 이루는 형상의 솔라셀;
    상기 솔라셀의 일단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기 솔라셀의 타단과 크랭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편중한 위치에 연결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솔라셀의 굴곡진 선단이 삽입되는 측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패널.
  6. 집광필름과,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필름과 복층을 이루는 태양전지모듈과, 열을 받아 기전력을 일으키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복층을 이루는 열전모듈을 구비한 다수의 차양판; 및
    연결선을 매개로 상기 차양판을 병렬로 연결해서 현수하는 고정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창문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연결선을 매개로 상기 차양판을 현수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기준으로 제2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편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다수의 상기 차양판을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축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해 회전하고, 상기 차양판의 일단에 돌출된 회전축대를 1회 또는 2회 이상 감아 인출하는 형태로 상기 차양판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감거나 푸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와 벨트를 매개로 회전하고, 상기 차양판의 타단에 돌출된 회전축대를 1회 또는 2회 이상 감아 인출하는 형태로 상기 차양판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감거나 푸는 연동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이 상기 회전축대에 나선으로 감기도록 안내하는 나선형의 권취홈이 상기 회전축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웜기어와 연동하는 구동축대;
    상기 구동축대와 연동하는 제1베벨기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하는 제2베벨기어와 연동하는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은
    상기 솔라셀의 일단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기 솔라셀의 타단과 크랭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
    상기 크랭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편중한 위치에 연결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모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150051771A 2015-04-13 2015-04-13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KR10169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71A KR101693817B1 (ko) 2015-04-13 2015-04-13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71A KR101693817B1 (ko) 2015-04-13 2015-04-13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17A true KR20160122317A (ko) 2016-10-24
KR101693817B1 KR101693817B1 (ko) 2017-01-09

Family

ID=5725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71A KR101693817B1 (ko) 2015-04-13 2015-04-13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00B1 (ko) * 2021-05-03 2022-04-01 (주)어반서페이스 태양광 발전 창호
KR102472197B1 (ko) * 2021-10-19 2022-11-28 조수영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08A (ja) * 2007-12-17 200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積層熱電変換シート
KR20090105905A (ko) * 2009-09-17 2009-10-07 정재헌 유동 유로가 구비된 블라인드
KR20090105899A (ko) * 2009-09-13 2009-10-07 정재헌 블라인드 태양 추미구동 장치
KR20110066307A (ko) * 2009-12-11 2011-06-17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집광형 플렉시블 씨아이지에스 모듈 형성 방법
KR101049194B1 (ko) 2011-03-22 2011-07-14 디아이케이(주) 집광효율을 향상시킨 봉형상 솔라셀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208A (ja) * 2007-12-17 200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積層熱電変換シート
KR20090105899A (ko) * 2009-09-13 2009-10-07 정재헌 블라인드 태양 추미구동 장치
KR20090105905A (ko) * 2009-09-17 2009-10-07 정재헌 유동 유로가 구비된 블라인드
KR20110066307A (ko) * 2009-12-11 2011-06-17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집광형 플렉시블 씨아이지에스 모듈 형성 방법
KR101049194B1 (ko) 2011-03-22 2011-07-14 디아이케이(주) 집광효율을 향상시킨 봉형상 솔라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00B1 (ko) * 2021-05-03 2022-04-01 (주)어반서페이스 태양광 발전 창호
KR102472197B1 (ko) * 2021-10-19 2022-11-28 조수영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817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800B2 (en) Blind with solar batteri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643262C2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и электрогенер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на солнечной энергии
EP1644759B1 (en) Concentrating type solar collection and daylighting system within glazed building envelopes
US20140116497A1 (en) Building Integrated Solar Aperture Fixtures
KR101280641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수집장치
KR101000293B1 (ko) 태양광 복층유리시스템
KR102081324B1 (ko) 태양 추종식 블라인드 장치
JP2011052533A (ja) 太陽光発電機能を有する防音壁
KR100978525B1 (ko) 태양광 복층유리시스템
KR101251937B1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난방 및 발전이 가능한 장치
TWM444227U (zh) 太陽能屋頂裝置
KR101693817B1 (ko) 솔라셀과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성한 블라인드
KR20120115072A (ko) 태양광 발전 효율이 높으면서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59240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창호
KR101876206B1 (ko) 방충망이 구비된 태양광 블라인드
KR101363430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수집장치
KR101377261B1 (ko)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KR101227088B1 (ko) 추적형 비아이피브이 패널
KR101436141B1 (ko) 반사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JP2012146967A (ja) 構造物内設置用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90079755A (ko) 태양광의 실내유입 제어 기능의 가변식 천창시스템
US20110139220A1 (en) Solar device and sola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22799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94197B1 (ko) 캐노피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00813B1 (ko) 버티컬 블라인더용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