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269A -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69A
KR20160121269A KR1020150051048A KR20150051048A KR20160121269A KR 20160121269 A KR20160121269 A KR 20160121269A KR 1020150051048 A KR1020150051048 A KR 1020150051048A KR 20150051048 A KR20150051048 A KR 20150051048A KR 20160121269 A KR20160121269 A KR 2016012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arning
screen
subject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수
김우진
Original Assignee
박정수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수, 김우진 filed Critical 박정수
Priority to KR102015005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269A/ko
Publication of KR2016012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색상을 갖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앞에서 행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피사체 영상과 컨텐츠 화면을 합성하여 학습 영상을 생성하는 학습 영상 처리부 및 생성된 학습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 아이들을 교육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아이들의 학습 활동시 교사의 물음에 대하여 아이가 실제 행동을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학습 동영상을 보면서 학습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고, 또한 아이의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 동영상을 부모가 인터넷을 통하여 스마트폰 등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하여 시청하여 학습 내용 및 아이의 학습 활동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APPARATUS OF CREATING EDUCATION VIDED USING CHROMA KEY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화면을 따로 촬영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만드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 동영상을 제작하고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학부모는 어린이집에서 설치된 CCTV를 통하여 아이의 활동 상황에 대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으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업 내용에 자신의 아이가 어떤 학습활동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즉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는 학부모들은 자녀가 어떤 학습, 놀이 활동을 했는지 교사와 직접 대면하거나 알림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알 수 있음으로 아이와 학습 활동에 대한 대화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어린이집에서는 아이들의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육, 놀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오프라인상에서 교사와 아이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전달하는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 컨텐츠의 개발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크로마키 기법은 주로 청색을 띤 크로마 백(chroma back) 앞에서 움직이는 피사체를 다른 화면에 합성하는 화면 합성 기법으로, 일기 예보, 선거 방송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크로마키 기법은 색(chroma)의 차이를 키(key)로 하여 피사체와 배경을 분리하고, 분리된 피사체를 다른 화면에 합성하는 원리이다. 크로마키 기법에 의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청색 크로마 백,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배경 영상 및 영상 제작 및 편집을 위한 컴퓨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1913호의 "댄스 동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블루스크린을 배경으로 하는 댄스 교습에 참여한 고객의 댄스 동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상기 고객의 댄스 동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블루스크린 배경화면을 고객이 선택 및/또는 지정하는 배경화면으로 대체하는 데이터 가공 처리수단 및 상기 고객이 선택 및/또는 지정하는 배경화면으로 대체 처리된 상기 고객의 댄스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고객이 지정하는 통신수단으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650호의 "영상 크로마키 기능이 있는 유무선 전송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며, 특정색상의 배경스크린 전면에 배치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 1 영상과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영상을 다중합성 및 수정하여 합성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크로마키 기능이 있는 유무선 전송시스템으로서, 상기 특정색상이 도색되고 상기 피사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경스크린, 상기 특정색상의 유사색상 범위의 색상이 일정영역에 도색되거나 상기 색상이 도색된 물체가 부착된 소정의 가림도구, 상기 가림도구를 착용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 1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제 1 영상 상의 상기 특정색상 및 상기 유사색상 범위의 색상을 제거하여 피사체영상을 생성하는 피사체영상 생성모듈, 상기 배경영상을 포함하는 제 2 영상을 생성하는 제 2 영상 생성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과 상기 제 2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모듈을 구비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크로마키 기법을 활용하여 피사체(댄서)를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과 배경영상을 크로마키 기법을 활용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아동과 교사가 대화전달과 그에 따른 학습 행동을 함으로써 아이가 학습 활동에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활동이 요구된다. 또한 아동이 어린이집에서 학습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제작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함으로써 학부모와 아동간 학습 내용을 공유함에 따라 학습 효율성 향상 및 아이와 소통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1913호(2007.12.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5650호(2003.08.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아이의 자연스러운 학습 활동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학부모와 아동간의 학습 내용을 공유함에 따라 학습 효율성 향상 및 아이와 소통을 이룰 수 있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는 소정의 색상을 갖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앞에서 행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피사체 영상과 컨텐츠 화면을 합성하여 학습 영상을 생성하는 학습 영상 처리부 및 생성된 학습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운용자(교사)의 객체 실행키에 대한 입력에 따른 컨텐츠 내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객체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아이가 활동하고 있는 실내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서버로 실내 영상을 전송하는 CCTV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공방법은 학습 영상 제작장치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어린이집의 학습 활동을 참여하는 아이들의 학습 영상을 제작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는 상기 학습 영상을 부모들의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학습 영상 제작장치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어린이집의 학습 활동을 참여하는 아이들의 학습 영상을 제작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는 교사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화면 및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 영상에서 피사체만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에 분리된 피사체를 합성시켜 학습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학습 영상 생성과정 중 교사가 아이의 동작에 따른 객체 실행키를 조작함에 따라 컨텐츠 내의 객체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 아이들을 교육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아이들의 학습 활동시 교사의 물음에 대하여 아이가 실제 행동을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학습 동영상을 보면서 학습 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아이의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 동영상을 부모가 인터넷을 통하여 스마트폰 등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하여 시청하여 학습 내용 및 아이의 학습 활동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 활동에 대하여 아이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하여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또한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학습 활동에 관심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더 집중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린이집의 입장에서도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학부모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충성도를 유발하여 다른 어린이집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규 원생 확보를 위한 홍보 마케팅에 전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학습 영상 제작 및 제작한 학습 영상을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영상 처리부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학습 영상 제작 및 제작한 학습 영상을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사와 아이간 학습 활동을 담은 학습 영상 제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화면에서 객체 실행키를 이용하여 아이의 행동에 따른 객체 실행을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휴대 단말에서 학습 영상 및 CCTV를 시청할 수 있는 앱 화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학습 영상은 선택된 컨텐츠 화면과 크로마 백 앞에서 아이의 학습 활동을 담은 화면이 합성된 최종적으로 부모가 사용자 휴대 단말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말한다. 또한 영상, 화면, 이미지 등은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 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동일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학습 영상 제작 및 제작한 학습 영상을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는 피사체(아이) 뒤에 놓여 영상에서 피사체를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색상(예를 들어 청색)을 갖는 스크린(200), 상기 스크린 앞에서 행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300), 상기 피사체 영상과 컨텐츠 화면을 합성하여 학습 영상을 생성하는 학습 영상 처리부(100) 및 생성된 학습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에서 제작된 학습 영상은 네트워크 망(50)을 통하여 관리서버(400)에 업로드 되어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5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스마트폰 어플인 앱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므로써 사용자(부모)는 간편하게 학습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400)는 학습 영상 처리부(100)의 요청에 따라 학습 목적에 맞게 미리 제작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각 사용자들의 로그 관리, 주소록 관리, 학습 컨텐츠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접속한 스마트 폰 정보를 이용하여 이와 관계된 아이의 학습 동영상을 검색하고 이를 스마트 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는 어린이집 등 아이의 교육 활동과 관련된 시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200), 카메라(300) 및 학습 영상 처리부(100)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학습 영상 제작을 위한 소정의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300)는 웹캠일 수 있으며 학습 영상 처리부(100)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학습 영상 처리부(100)는 휴대 가능한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모니터 또는 디지털 TV 및 프로젝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학습 영상을 학습 영상 처리부(100)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다.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는 교사와 아이들의 학습 할동시 다양한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상호 작용을 통하여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교사는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를 이용하여 학습 활동에 맞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아이는 스크린(200) 앞에서 움직이는 자신의 행동이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과 합성되어 생성된 학습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음으로 자발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부모들은 아이들과 교사간의 어린이집 학습 활동에 대하여 자신의 아이가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 스마트 폰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어린이집의 운영에 만족함과 동시에 아이와 그날 학습 활동에 대한 대화를 가짐으로 의사 소통을 원활히 하여 유대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 학습 영상 제작 과정에 대하여 도 2 및 도 5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영상 처리부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 영상 처리부(100)는 카메라 및 컨텐츠 화면을 처리하여 학습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다수의 컨텐츠(121,122,123) 및 어린이집, 교사, 아이의 주소, 휴대폰 번호 등의 주소록 정보(124)를 관리하는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학습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크로마키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운용자(교사)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피사체 영상 처리부(111)는 카메라(300)로부터 피사체 영상을 입력받아 피사체 영상에서 특정 색상(청색)을 제거하고 피사체(아이)에 대한 데이터만을 분리한다. 컨텐츠 화면 표시부(112)는 교사의 선택에 따른 컨텐츠를 저장부(120)로부터 입력받아 운용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113)는 상기 분리된 피사체 데이터와 컨텐츠 데이터들을 합성시켜 학습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학습 영상을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 분리 및 분리된 피사체와 컨텐츠 화면과 합성하는 기법들은 공지된 다양한 알고리즘 예를 들어 RGB 크로마키, 라인 크로마키, 소프트 크로마키 등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사와 아이간 학습 활동을 담은 학습 영상 제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70)이 모니터에 표시되고 운용자(교사)는 선택한 컨텐츠 화면(410), 피사체 영상(430) 및 컨텐츠 화면(410)과 피사체 영상(430)을 영상합성 아이콘(450)을 실행시켜 생성된 학습 영상(420)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운용자(교사)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70)상에 있는 사진 아이콘(460)을 실행시켜 학습 영상(420)에서 스크린 샷을 캡쳐하여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운영자(교사)는 아이들과의 학습 활동 진행시 아이들과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미리 해당 컨텐츠에 설정되어 있는 객체 실행키(440)들을 이용하여 아이들에게 내린 학습 요구 행동에 대하여 아이들이 반응시 시각적인 효과를 느끼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화면에서 객체 실행키를 이용하여 아이의 행동에 따른 객체 실행을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객체 실행키(411)는 곰인형을 장난감 상자에 배치, 제2 객체 실행키(412)는 옷을 옷장으로 배치, 제3 객체 실행키(413)은 신발을 신발장에 배치 및 제4 객체 실행키(414)는 의자를 책상쪽으로 배치시키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아이에게 "곰 인형을 장남감 상자에 배치해요"라고 학습 요구 행동을 말하면, 아이가 이에 따라 곰 인형을 잡고 장남감 상자쪽에 놓은 행위를 함과 동시에 제1 객체 실행키(411)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학습 영상내에서 자신이 정리하는 모습을 보면서 학습 할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객체 실행부(114)는 운용자(교사)의 객체 실행키에 대한 입력에 따른 컨텐츠 내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객체 실행키는 각각의 컨텐츠에 맞게 미리 설정된 다수의 객체들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이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곧바로 인지함으로써 학습 활동에 흥미를 느낄 수 있다.
CCTV 영상 처리부(115)는 카메라(300)를 통하여 획득된 아이가 활동하고 있는 실내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통신부(116)를 통하여 관리서버(400)로 실내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부모)는 휴대 단말(5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스마트폰 어플인 앱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므로써 사용자(부모)는 간편하게 실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학습 영상 제작장치(1000)는 학습 영상 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이 아닌 아이들의 어린이집 생활을 실시간으로 부모에게 전달함으로써 부모가 현재 자신의 아이의 생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통신부(116)는 Wi-Fi 등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학습 영상 제작 및 제작한 학습 영상을 아이의 부모에게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는 교사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화면 및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고(S31), 상기 피사체 영상에서 피사체만을 분리시킨다(S32). 이후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에 분리된 피사체를 합성시켜 학습영상을 생성한다(S33). 제어부는 학습 영상 생성과정 중 교사가 아이의 동작에 따른 객체 실행키를 조작함에 따라 컨텐츠 내의 객체의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34). 계속적으로 제어부는 학습 활동에 따른 학습 영상을 계속적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학습 활동이 종료되는 경우(S35) 제어부는 학습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휴대 단말에서 학습 영상 및 CCTV를 시청할 수 있는 앱 화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부모) 휴대 단말(500)에는 관리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어플인 앱이 설치되어 학습 영상 시청 아이콘(510) 및 CCTV시청 아이콘(520)이 메인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부모)는 휴대 단말(500)을 통하여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간편하게 학습 영상 및 CCTV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자신의 아이의 학습 활동 및 실내활동에 대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은 어린이집의 교사와 학부모간의 소통을 위한 문자채팅, 생활기록부, 일정표, 식단표, 투약요청, 귀가요청, 출석부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학습 영상 처리부 110:제어부
111:피사체 영상 처리부 112:컨텐츠 화면 표시부
113:영상 합성부 114:객체 실행부
115:CCTV 영상 처리부 116:통신부
120:저장부 121,122,123:컨텐츠
124:주소록 400:관리서버
410:컨텐츠화면 420:학습영상
430:피사체 영상 440:객체 실행키
500:사용자 휴대 단말 1000:학습 영상 제작장치

Claims (5)

  1. 소정의 색상을 갖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 앞에서 행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피사체 영상과 컨텐츠 화면을 합성하여 학습 영상을 생성하는 학습 영상 처리부 및
    생성된 학습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운용자(교사)의 객체 실행키에 대한 입력에 따른 컨텐츠 내의 객체를 이동시키는 객체 실행부를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아이가 활동하고 있는 실내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저장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서버로 실내 영상을 전송하는 CCTV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4. 학습 영상 제작장치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어린이집의 학습 활동을 참여하는 아이들의 학습 영상을 제작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는 상기 학습 영상을 부모들의 휴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학습 영상 제작장치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어린이집의 학습 활동을 참여하는 아이들의 학습 영상을 제작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는
    교사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화면 및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피사체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 영상에서 피사체만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화면에 분리된 피사체를 합성시켜 학습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학습 영상 생성과정 중 교사가 아이의 동작에 따른 객체 실행키를 조작함에 따라 컨텐츠 내의 객체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공방법.
KR1020150051048A 2015-04-10 2015-04-10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KR20160121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48A KR20160121269A (ko) 2015-04-10 2015-04-10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48A KR20160121269A (ko) 2015-04-10 2015-04-10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69A true KR20160121269A (ko) 2016-10-19

Family

ID=5725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048A KR20160121269A (ko) 2015-04-10 2015-04-10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2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50A (ko) 2002-01-30 2003-08-09 (주)자이언트 코리아 영상 크로마키 기능이 있는 유무선 전송시스템
KR20070121913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골든오일 댄스 동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50A (ko) 2002-01-30 2003-08-09 (주)자이언트 코리아 영상 크로마키 기능이 있는 유무선 전송시스템
KR20070121913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골든오일 댄스 동영상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42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xpert assistance from a remote expert to a user operat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TWI515032B (zh) 用於協同娛樂平臺之系統、方法、查看裝置以及機器可讀取媒體
US201803568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ttention of a user to virtual content that is displayable on a user device operated by the user
US20150312520A1 (en) Telepresence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a case-study approach to lecturing and teaching
CN110636354A (zh) 一种显示设备
CN110570698A (zh) 一种在线教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04575142A (zh) 体验式数字化多屏无缝跨媒体互动开放教学实验室
WO2019019403A1 (zh) 一种用于k12阶段的互动情景教学系统
CN102595212A (zh) 与多媒体内容的模拟组交互
CN112839190B (zh) 虚拟图像与现实场景同步视频录制或直播的方法
JP2022500795A (ja) アバターアニメーション
CN114402276A (zh) 授课系统、视听终端、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Kounlaxay et al. Design of Learning Media in Mixed Reality for Lao Education.
Pope et al. The latest in immersive telepresence to support shared engineering education
CN108831216B (zh) 真三维虚拟仿真交互方法及系统
KR20110006976A (ko) 전시관용 인터렉티브제어시스템
JP20172195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4302221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投屏媒资播放方法
KR101383176B1 (ko) 체험형 영상 콘텐츠 제작 방법
CN114286077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vr场景图像显示方法
WO2020248682A1 (zh) 一种显示设备及虚拟场景生成方法
Nummenmaa et al. Space Pace: Method for creating augmented reality tours based on 360 videos
KR20160121269A (ko) 크로마키를 이용한 학습 영상 제작장치 및 그 학습 영상 제공방법
JP2017199058A (ja) 認識装置、映像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4846808A (zh) 内容发布系统、内容发布方法以及内容发布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