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970A -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 Google Patents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970A
KR20160120970A KR1020150050255A KR20150050255A KR20160120970A KR 20160120970 A KR20160120970 A KR 20160120970A KR 1020150050255 A KR1020150050255 A KR 1020150050255A KR 20150050255 A KR20150050255 A KR 20150050255A KR 20160120970 A KR20160120970 A KR 2016012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mensional
waterfront structure
ground
waterfr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휘정
김민철
유종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시스템(주) filed Critical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5005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970A/ko
Publication of KR2016012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는,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3차원 데이터 제작부, 3차원 데이터로 제작된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일치하도록 접합하는 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데이터를 실제 재질로 표현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METHOD FOR 3D DATA BUILDING USING LIDAR AND DRAWINGS}
본 발명은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에 관한 것이다.
GIS는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 그리고 인적자원의 통합체를 말하며, 지표면에 위치한 장소를 설명하는 자료를 모으고,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GIS는 초창기 토지, 환경, 수질, 교통 등의 의사결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정량화된 결과물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되었으며, 국가 차원의 정보인프라 구축의 목적으로 1/1,000, 1/5,000, 1/25,000 등의 수치지도 제작을 시작으로 공간정보 구축 위주의 사업들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공간정보란 국가공간정보 법률적 정의에 따르면 지상, 지하, 수상, 수중 등 공간 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정의되어 있다.
쉽게 말하면 우리 주변에 공간에 위치하는 공간적으로 표현 가능한 고유의 좌표를 가지는 정보를 공간정보라고 한다.
정부는 누구나 공간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구글어스보다 해상도가 뛰어난 3차원 지도와 항공사진, 수치표고모형 등을 서비스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도시의 발달, 인구밀도 증가 등으로 우리가 만드는 건축물이나 SOC 시설물들에 대한 공간정보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실외에서 실내 공간정보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실사와 유사한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요구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내공간에 대한 데이터모델은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표준화한 CityGML의 LoD 4(Level of Detail 4)에서 정의되어 있다.
이 모델에서는 실내공간에 대하여 기하적, 속성적, 가시화적 요소와 실내가구를 정의하고 있다. 기하적 요소는 방, 복도 등 실내공간 도형의 기하 정보이며, 속성적 요소는 실내공간 객체에 대한 추가적 분류 및 속성정보를 말한다.
가시화 요소는 실내 공간을 가시화하기 위한 요소(텍스쳐 이미지 등)를 말하며, 그 외의 이동 가능한 가구 등의 객체를 실내가구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는 실내 공간의 중요한 요소인 이동을 위한 연결성에 관한 요소와 기호적 공간의 요소를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OGC에서는 IndoorGML 표준을 만들고 있다. 이 표준은 실내공간의 연결성과 다중공간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여 외관의 모델링에 치중한 기존의 3차원 공간정보 구조물 모델을 한 단계 발전시켜,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구조물의 부재 별로 모델링을 하여 추후 활용을 감안한 보다 정밀하고 상세한 모델을 제작하는 기술을 고안하였다.
현재 공간정보 업계는 공간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다 정확하고 현실과 일치하는 지도 및 데이터모델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에 구축하던 방법론보다 한 단계 더 진일보한 방법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기존에 구축되는 3차원 공간정보는 LoD 단계에 따라 가장 세밀도가 높은 모델을 LoD 4로 정의하여 구축하고 있으나, 실사 texture 등이 포함된다고 해도 여전히 외관의 모델을 구축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제는 SOC 시설물이나 수변구조물 등 주요 시설물들은 그 구성물을 단위까지 모델링을 수행하여 향후 활용도를 고려하고, 실사와 같은 데이터들이 요구되는 시기를 대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차원 수변구조물을 대상으로 부재 단위 별로 가장 세밀한 기준인 LoD 4 보다 훨씬 현실적으로 실사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실과 유사한 공간정보를 제작하고,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정립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수 있으며, 3차원 구조물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 범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는,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3차원 데이터 제작부, 3차원 데이터로 제작된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일치하도록 접합하는 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데이터를 실제 재질로 표현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수변구조물을 대상으로 부재 단위 별로 가장 세밀한 기준인 LoD 4 보다 훨씬 현실적으로 실사 모델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실과 유사한 공간정보를 제작하고,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정립하는데 있어 참고가 될 수 있으며, 3차원 구조물 공간정보의 구축과 활용 범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변구조물 설계도면을 이용한 데이터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계도면을 이용한 제작데이터의 지상라이다 일치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은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100, 이하 '데이터 구축 장치')는 데이터 수집부(110), 3차원 데이터 제작부(120), 접합부(130) 및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한다.
3차원 데이터 제작부(120)는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한다.
또한, 3차원 데이터 제작부(120)는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으로부터 구축대상을 확인하고, 상기 구축대상별 상세도면을 분석하는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데이터 제작부(120)는 상기 구축 대상별 상세도면 상에서 필요하지 않은 레이어를 추출하여 삭제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데이터 제작부(120)는 실제 현장으로부터 취득한 지상라이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정밀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접합부(130)는 3차원 데이터로 제작된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일치하도록 접합하는 접합데이터를 생성한다.
처리부(140)는 상기 접합데이터를 실제 재질로 표현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처리부(140)는 실제 현장을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텍스쳐(texture)를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변구조물 설계도면을 이용한 데이터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치의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도면의 분석을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면을 분석하여 구축 대상 확인하여 대상별 상세도면(평면도, 단면도, 구조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전체 종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대상별 일반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면을 정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대상별 상세 도면의 불필요한 레이어(3ds max로 import 시 필요 없는 레이어) 정리하여 3차원 데이터 구축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정리 전 도면 레이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정리 후 도면 레이어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ds max imort를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ds max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계도면 파일(확장자 dwg, dxf 등)을 import를 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3ds max의 import 명령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와 같이, 레이어가 정리된 설계도면을 import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c)와 같이, 대상의 상세도면(평면도, 단면도, 구조도 등)을 import 하여 3차원 데이터 구축에 용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ds max modeling을 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import 된 설계도면을 활용하여 3차원 데이터 구축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여러 방향을 확인하여 전체적인 외형 modeling을 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방향별 설계도면을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 구축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측면을, 도 5의 (b)는 단면을, 도 5의 (c)는 평면을, 도 5의 (d)는 전체 외형 구축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상세한 부분을 분석한 정밀 modeling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난간, 계단, 진입로, 기타 돌출 구조물 등 구축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철제 난간을, 도 6의 (b)는 돌출 구조물을, 도 6의 (c)는 수력발전소 입구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대상별 3ds max 파일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상 구분되어 있는 대상을 구축 후 하나의 파일로 병합할 수 있다. 도 7은 설계도에서 구분되어 있는 대상별 구축데이터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8의 (a)는 소수력발전소를, 도 8의 (b)는 공도교를, 도 8의 (c)는 수변무대를, 도 8의 (d)는 전망데크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9는 상기의 모델링을 병합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현장에서 취득한 지상라이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정밀 3차원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3ds max프로그램에 import 하기 위해서 확장자 rcs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확장자 변환으로서, Autodesk Recap p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상라이다(xyz, txt. las 등) 데이터를 사용가능한 확장자(rcs)로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b)는 변환된 파일의 분할로서, 지상라이다는 대용량의 포인트 데이터이기 때문에 3ds max에서 import 후 modeling 가 수월하지 않으므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일정 범위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지상라이다의 3ds max import로서, 지상라이다는 point cloud 형태로 3ds max에 import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를 활용한 3차원 데이터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의 포인트 위치를 확인하여 3차원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대상의 외형 포인트 위치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포인트 위치를 확인하여 대상의 외형을 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구분된 선을 이용한 modeling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즉, 지상라이다 point와 modeling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1의 (c)는 생성된 면의 지상라이다 point를 일치하는 과정일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생성된 polygon을 분할하여 지상라이다 point와 일치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polygon의 분할 및 지상라이다 point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d)는 완성된 3차원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계도면을 이용한 제작데이터의 지상라이다 일치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현장에서 취득한 지상라이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정밀 3차원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차원 데이터와 지상라이다 point를 import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면을 활용하여 구축된 3차원데이터에 지상라이다 point를 import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좌표일치를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차원 데이터를 지상라이다 point 좌표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 point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좌표 일치 후 지상라이다와 3차원 데이터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3차원 데이터의 vertex 이동 및 polygon 분할을 이용하여 지상라이다 point와 일치 시킬 수 있다. 도 14의 (a)는 3차원 데이터 vertex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의 (b)는 3차원 데이터 polygon 분할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지상라이다 point에서 확인되는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설계도면과 상이한 부분(계획변경, 구조물 추가 등)은 polygon 분할 및 extrude 기능을 활용하여 수정하거나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설계도면에서 확인되지 않는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의 (b)는 상기 구조물을 polygon 분할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c)는 3ds max의 extrude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며, 도 15의 (d)는 변경된 부분을 삭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텍스처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대상의 실제 모습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현실성을 반영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사진 분석을 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현장에서 촬영된 사진을 구축 대상별로 구분하고, 지상라이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도 16은 지상라이다 데이터와 현장사진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구축 대상별 사진을 편집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촬영 각도, 렌즈 왜곡, 촬영당시 날씨로 인한 색상 변질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7의 (a)는 왜곡된 부분을 수정하는 과정이고, 도 17의 (b) 및 도 17의 (c)는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한 폐색부분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의 (d)는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된 사진을 이용하는 과정이고, 도 17의 (e)는 기둥 형태 대상물의 사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파노라마 형식으로 편집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texture 제작(3ds max에 사용)을 할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편집된 사진을 3ds max에서 사용할 수 있는 texture 이미지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8은 각각 편집된 사진을 취합하여 한 장의 texture 이미지로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3ds max의 적용시킬 수 있다. 데이터 구축 장치(100)는 제작된 texture는 3ds max의 material Editor에 대상별로 등록 후, 3ds max의 기능중 하나인 Unwrap uvw를 통해 polygon에 texture를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9의 (a)는 3ds max의 material Editor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의 (b)는 각각의 polygon에 texture 이미지를 적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9의 (c)는 texture가 적용된 최종 3차원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3차원 데이터 제작부
130 : 접합부
140 : 처리부

Claims (5)

  1.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3차원 데이터 제작부;
    3차원 데이터로 제작된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 및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일치하도록 접합하는 접합데이터를 생성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데이터를 실제 재질로 표현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제작부는,
    상기 수변구조물 설계도면으로부터 구축대상을 확인하고, 상기 구축대상별 상세도면을 분석하는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제작부는,
    상기 구축 대상별 상세도면 상에서 필요하지 않은 레이어를 추출하여 삭제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 제작부는,
    실제 현장으로부터 취득한 지상라이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정밀 3차원 데이터를 제작하는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실제 현장을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텍스쳐(texture)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 장치.
KR1020150050255A 2015-04-09 2015-04-09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KR20160120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55A KR20160120970A (ko) 2015-04-09 2015-04-09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55A KR20160120970A (ko) 2015-04-09 2015-04-09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970A true KR20160120970A (ko) 2016-10-19

Family

ID=5725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255A KR20160120970A (ko) 2015-04-09 2015-04-09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9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885B1 (ko) * 2022-08-03 2023-07-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28682A (ko)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맥케이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CityGML 파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682A (ko)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맥케이 지상라이다 데이터를 CityGML 파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
KR102549885B1 (ko) * 2022-08-03 2023-07-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schi et al. Oblique photogrammetry supporting 3D urban reconstruction of complex scenarios
López et al. 3D modelling in archaeology: The application of Structure from Motion methods to the study of the megalithic necropolis of Panoria (Granada, Spain)
CN111629193B (zh) 一种实景三维重建方法及系统
US10297074B2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from optical capture
McCarthy Multi-image photogrammetry as a practical tool for cultural heritage survey and community engagement
US20190026400A1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from point cloud data migration
Baik et al. Jeddah Historic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JHBIM"–Object Library
Yan et al. Integration of 3D objects and terrain for 3D modelling supporting the digital twin
CN110489897A (zh) 一种基于bim和gis的三维施工场布vr全景沙盘制作方法
KR102318522B1 (ko)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3차원 가상 환경 저작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Barrile et al. Comparison between techniques for generating 3D models of cultural heritage
KR20160120970A (ko) 지상라이다와 설계도면을 이용한 정밀 3차원 수변구조물 데이터 구축기법
Rüther et al. Challenges in heritage documentation with terrestrial laser scanning
Singh et al. Image based 3D city modeling: Comparative study
CN112132466A (zh) 基于三维建模的路线规划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Rubinowicz Application of Available Digital Resources for City Visualisation and Urban Analysis
Al Khalil et al. 2D & 3D reconstruction workflows from archive images, case study of damaged monuments in Bosra Al-Sham city (Syria)
Chen et al. Rapid 3d modeling using photogrammetry applied to google earth
CN110163962A (zh) 一种基于Smart 3D倾斜摄影技术输出实际地形等高线的方法
Nakagawa et al. Fusing stereo linear CCD image and laser range data for building 3D urban model
Meesuk et al. Using multidimensional views of photographs for flood modelling
KR102210344B1 (ko) 3d 정밀 스캐너 기반 현지조사 및 보완측량을 활용한 수치지형도 제작 방법
Kurdi et al. Automated building footprint and 3d building model generation from lidar point cloud data
Lesparre et al. Simplified 3D city models from LiDAR
KR100609004B1 (ko) 수치사진측량기술을 이용한 지형복원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