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456A -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456A
KR20160120456A KR1020150049465A KR20150049465A KR20160120456A KR 20160120456 A KR20160120456 A KR 20160120456A KR 1020150049465 A KR1020150049465 A KR 1020150049465A KR 20150049465 A KR20150049465 A KR 20150049465A KR 20160120456 A KR20160120456 A KR 2016012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edical
evaluation table
medical record
patient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김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진 filed Critical 김대진
Priority to KR102015004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456A/ko
Publication of KR2016012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31
    • G06F19/32
    • G06F19/322
    • G06F19/324
    • G06Q5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사, 간호사 등이 작성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요양병원에 적합한 일당정액을 산출할 수 있는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평가표를 작성할 수 있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의무기록저장모듈;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의무기록연동모듈;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를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 및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patient evaluation chart prior estimation system for care hospital link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사 및 간호사, 병원관계자 등이 작성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요양병원에 적합한 일당정액을 산출할 수 있는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평가표를 작성할 수 있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의원이나 보건소 등의 각종 의료기관에서는 진료 및 치료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전후 업무사항이나 환자의 진료/치료 기록과 같은 관련 의료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유지하여, 의료행위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에서는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인이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관련 의료 정보들을 진료기록카드와 같은 차트에 기록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입력하도록 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진료기록카드와 같은 차트에 정보를 직접 수기로 기록하는 진료 기록 카드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기록용지가 공급되어야 하고, 각 개인별로 일일이 기록 카드가 할당되어야 한다. 또한, 기록 카드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하여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타 기록매체에 다시 옮겨 적거나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록 카드 형태의 챠트는 환자의 진료/치료과정에서 활용되기 위해서 특정 환자에 해당되는 차트를 수시로 필요로 하는 장소로 일일이 이동시켜 전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 전자 차트 시스템(EMR)인데,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이란 미국 MRI(Medical Record Institute)의 개념정의에 따르면, 종이매체에 의해 기록돼 온 모든 의료기록을 그 업무 처리 구조나 정보의 범위, 정보내용에 있어 변형 없이 동일하게 전산화를 통해 업그레이드 시킨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환자의 진료행위를 중심으로 발생한 업무상의 자료나 진료 및 수술,검사 기록을 전산에 기반해 입력,정리,보관하는 시스템을 통칭한다.
EMR의 주요 내용은 환자의 기초정보부터 병력사항, 약물반응, 건강상태, 진찰 및 입 퇴원기록 방사선 및 화상 진찰 결과, 기타 보조연구결과 등이므로 처방전달시스템인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와 영상전송시스템인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러한 병원정보시스템인 전자 차트 시스템(EMR)을 이용할 경우, 직접 수기로 기록하는 진료기록 차트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장점이 존재한다. 특히 행위별로 진료비를 계산하는 일반병원과 달리 주로 일당정액수가에 의해 진료비를 산정하는 요양병원의 경우, 진료기록 차트 또는 EMR에 의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각 요양병원의 담당자가 환자평가표를 수작업으로 작성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모듈에 대입을 하면 환자의 분류등급코드가 산출되어 일당정액수가가 결정되고, 이러한 일당정액수가를 토대로 각 요양병원은 보험금을 청구하게 된다.
이때, 의무기록 등이 전산으로 처리되는 EMR 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요양병원에서 활용하는 환자평가표는 아직까지도 도 1a 내지 도 1d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환자평가표 서식에 따라 수기로 각 요양병원의 담당자가 일일이 다 작성을 하다보니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첫째, 환자평가표를 작성하는 능력에 따라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해당환자의 환자평가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환자평가표 작성메뉴얼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자평가표 작성메뉴얼의 내용은 방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작성자가 이를 정확히 숙지하여 환자평가표의 작성기준에 맞게 이를 적용함에 있어서 시간적 및 내용적으로 어려움이 있게 된다. 셋째, 환자평가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작성시점에 따라 해당환자의 분류등급이 달라질 수 있는 바, 환자평가표의 작성기준에 의한 일자별 작성시점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해당환자의 분류등급(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신체기능저하군 등)의 사유를 작성자가 정확히 모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의무기록의 누락 및 부실기록에 의해 보험금의 청구가 삭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환자평가표의 작성시 각종 산식의 계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09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평가표를 일일이 요양병원의 담당자가 일일이 직접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간호사 등이 작성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요양병원에 적합한 일당정액을 산출할 수 있는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평가표를 작성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의무기록의 누락 및 부실기록에 의한 보험금 청구액이 삭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의무기록저장모듈;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의무기록연동모듈;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를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 및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은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은 환자평가표를 작성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은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환자평가표 생성모듈은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되, 상기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의무기록저장단계; 상기 의무기록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되, 상기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는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도출되는 의무기록연동단계; 상기 의무기록연동단계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평가표의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에 해당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단계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 및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자평가표를 일일이 요양병원의 담당자가 일일이 직접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간호사 등이 작성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요양병원에 적합한 일당정액을 산출할 수 있는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평가표를 작성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의무기록의 누락 및 부실기록에 의한 보험금 청구액이 삭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수기에 의한 환자평가표 서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배회)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및 vital sign의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체중 및 체온 등의 변화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사지마비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편마비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피부궤양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당뇨매일주사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정맥주사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통증정도 및 통증기간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semicoma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무기록과의 연동에 의해 환자평가표의 작성일자 산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및 작성일자별 환자평가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질병명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일부처방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환자의 경과기록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간호기록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배회)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및 vital sign의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체중 및 체온 등의 변화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사지마비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편마비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피부궤양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당뇨매일주사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정맥주사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통증정도 및 통증기간 체크)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ADL 점수 체크 및 semicoma 입력)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의무기록과의 연동에 의해 환자평가표의 작성일자 산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및 작성일자별 환자평가표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질병명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일부처방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환자의 경과기록을 나타내는 화면이고, 도 18a 내지 도 18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평가표와 연동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 중 간호기록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10)은 의무기록저장모듈(100), 의무기록연동모듈(200),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400) 및 환자평가표 생성모듈(5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10)은 요양병원의 간호사 및 직원을 포함한 관계자들이 각자의 단말기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어 이용되는 형태이거나 혹은 서버에 상기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이 설치되어 각자의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서 이용하는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10)은 서버나 단말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100)은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100)에 저장된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무기록은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요양병원 포함)의 진료행위에 관한 일체의 행위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200)은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100)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200)은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ADL)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200)은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기능상태 및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분류등급이라 함은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의 7개군으로 대분류되고, 상기 대분류의 7개군은 기능상태에 따라 의료최고도(2), 의료고도(3), 의료중도(3), 문제행동군(1), 인지장애군(1), 의료경도(2), 신체기능저하군(3) 총 15개로 세분화될 수 있다.
특히 요양병원의 진료비는 거의 대부분 일당정액수가에 의해 진료비가 산정되기 때문에 상기 일당정액수가(일당진료비)를 산출하는 행위가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일당진료비는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와 기능상태(ADL)에 따른 일당정액 포괄수가제로서, 기본적으로 일부환자 및 일부진료행위에 대해서만 행위별 수가를 적용할 뿐 대부분은 일당정액수가제를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당진료비를 직접적으로 산출하는 행위는 환자평가표의 작성에 의할 수 밖에 없게 되고, 결국 환자평가표를 통해 해당 환자가 어떤 환자분류등급(환자군)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여 요양병원의 진료비가 결정된다. 즉, 요양병원의 진료비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모듈에 해당 요양병원에서 작성된 환자평가표를 대입하면 환자의 분류등급코드(일당정액수가)가 산출되고, 이러한 값을 토대로 보험료가 청구되어 요양병원의 진료비가 최종적으로 산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은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200)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은 환자평가표를 작성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의무기록연동모듈(200)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요양병원에서 환자평가표 작성 담당자가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서식이나 환자평가표작성메뉴얼을 참고하여 환자평가표를 수작업으로 작성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환자평가표를 작성하는 능력에 따라 정확성이 떨어지고, 해당환자의 환자평가표를 작성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평가표 작성기준에 의한 일자별 작성시점의 관리가 어려우며, 환자분류등급의 사유를 작성자가 정확히 모를 수 있으며, 의무기록의 누락 및 부실기록에 의해 보험금 청구액이 삭감될 수 있으며, 아울러 환자평가표 작성시 각종산식에 의한 계산의 어려움과 환자평가표작성기준의 적용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환자평가표 작성방법은 환자평가표 작성일자에 따라 그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험금이 최대로 될 수 있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를 산출할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을 포함한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에 의해 구현이 될 수 있다.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400)은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400)은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300)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모듈(200)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자평가표 생성모듈(500)은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400)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100)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환자평가표 생성모듈(500)은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400)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100)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4a 내지 도 13a는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고, 도 4b 내지 도 13b는 도 4a 내지 도 13a의 의무기록의 입력에 따라 환자의 분류등급이 예측됨과 동시에 환자평가표가 작성된 화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환자평가표 사전예약시스템을 통할 경우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토대로 해당환자에 대한 환자분류등급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환자평가표를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10)을 통해 환자평가표의 작성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작성시점과 환자분류등급을 미리 예측하여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환자분류등급은 환자평가표의 작성시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작성시점을 예측하여 정확한 작성시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도 14참조), 환자평가표의 작성기준일별로 가장 높은 환자분류등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요양병원의 입장에서는 환자분류등급이 정확할 뿐만 아니라 수익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1단계는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되, 상기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의무기록저장단계이다(S110). 여기서, 도 4a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의 일부(환자의 배회)를 입력 및 저장시키는 화면이다.
제 2단계는 의무기록저장단계(S110)에 의해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되, 상기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는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도출되는 의무기록연동단계이다(S120).
제 3단계는 의무기록연동단계(S120)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평가표의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에 해당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이다(S130).
제 4단계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S130)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단계(S120)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이다(S140).
제 5단계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S140)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단계이다(S150).
본 발명에 의한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방법을 통할 경우, 도 15 내지 도 18g에서 알 수 있듯이, 환자평가표가 의무기록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질병명, 일부처방, 경과기록, 간호기록 등을 포함한 의무기록이 일정한 형식에 맞게 작성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의무기록저장단계(S110), 의무기록연동단계(S120),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S130),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S140) 및 환자평가표 생성단계(S150)를 통해 환자평가표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환자평가표를 일일이 요양병원의 담당자가 일일이 직접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간호사 등이 작성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요양병원에 적합한 일당정액을 산출할 수 있는 환자평가표를 자동으로 작성되도록 프로그램화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평가표를 작성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의무기록의 누락 및 부실기록에 의한 보험금 청구액이 삭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 시스템
100: 의무기록저장모듈
200: 의무기록연동모듈
300: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
400: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
500: 환자평가표 생성모듈

Claims (7)

  1.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의무기록저장모듈;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의무기록연동모듈;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환자평가표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를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 및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의무기록연동모듈은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해당 환자의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은 환자평가표를 작성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은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모듈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평가표 생성모듈은 환자분류등급 예측모듈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7.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의 진료행위에 따른 의무기록을 저장하되, 상기 의무기록은 전산으로 기록된 병원정보시스템 중의 하나인 의무기록저장단계;
    상기 의무기록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의무기록을 불러와 환자평가표가 작성되도록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를 도출하되, 상기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는 환자의 의료서비스요구도 및 기능상태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료최고도, 의료고도, 의료중도, 문제행동군, 인지장애군, 의료경도 및 신체기능저하군으로 분류된 환자분류등급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도출되는 의무기록연동단계;
    상기 의무기록연동단계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평가표의 작성을 위한 작성일자에 해당하는 해당월별 시작일과 종료일을 산출하는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
    상기 환자평가표 작성일자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작성일자별로 의무기록연동단계에 의해 도출된 의무기록과 환자평가표 간의 관계로부터 환자의 분류등급을 예측하는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 및
    상기 환자분류등급 예측단계에 의해 예측된 작성일자별 환자의 분류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분류등급을 선택하여 의무기록저장모듈에 저장된 의무기록을 근거로 환자평가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환자평가표에는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의식상태, 인지기능, 신체기능, 배설기능, 질병진단, 건강상태, 구강 및 영양상태, 피부상태, 투약, 특수처치 및 전문재활 치료를 포함하는 사항이 표시되도록 하는 환자평가표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방법.
KR1020150049465A 2015-04-08 2015-04-08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0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465A KR20160120456A (ko) 2015-04-08 2015-04-08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465A KR20160120456A (ko) 2015-04-08 2015-04-08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456A true KR20160120456A (ko) 2016-10-18

Family

ID=5724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465A KR20160120456A (ko) 2015-04-08 2015-04-08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9635A (zh) * 2020-01-09 2020-06-09 智业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对病历书写文本补全和预测的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55B1 (ko)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55B1 (ko) 2005-04-19 2007-09-21 린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의무 기록 생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9635A (zh) * 2020-01-09 2020-06-09 智业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对病历书写文本补全和预测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756C2 (ru) Электро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нные медицинские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программы и считываемые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и записи для хран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медицински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программ
Britt et al. General Practice Activity in Australia 2011-12: General Practice Series No. 31
US86557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verifiable documentation
US20150254403A1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Interface
US20040199404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ing and billing patient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office management
Wilson et al. Mapping the Potential of eHealth: Empowering the Citizen through eHealth Tools and Services. Research Report presented at the eHealth Conference, Cork, Ireland, 5-6 May 2004
US201202394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care information data storage
Biernacki et al. Transformation of care: integrating the registered nurse care coordinator into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Moore et al. The future of health care in the Kurdistan Region—Iraq: toward an effective, high-quality system with an emphasis on primary care
Cheung et al. Corrigendum to: Model for integrated care for chronic disease in the Australian context: Western Sydney Integrated Care Program
Chakraborty et al.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adoption on care service orchestration, agility and responsiveness
JP4506396B2 (ja) 健康情報表示システム
US20090248449A1 (en) Care Plan Oversight Billing System
Chambliss et al. Adding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o your practice
KR20160120456A (ko)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되는 요양병원용 환자평가표 사전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Van Der Eijk et al. “Best practice”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 international survey and audit
Pittman et al. Neurosurgery clinical registry data collection utilizing informatics for integrating biology and the bedside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de Mul et al.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CareSuite from Picis
Wells et al. Description of pharmacist-led quality improvement huddles in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model
Cuenca Preparing for value-based payment: Five essential skills for success
Walzer Digital Healthcare in Germany: An Overview
Kashner et al. Measuring use and cost of care for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the utilization and cost inventory
Michel Into the black box of a nursing burden, a comparative analysis of administrative tasks in French and American hospitals
Poon et al. Empowering pati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hared health maintenance module in a US integrated healthcare delivery network
Koecheler et al. Outcome-focused counseling program for quality assurance in ambulatory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