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410A -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 Google Patents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410A
KR20160120410A KR1020150049257A KR20150049257A KR20160120410A KR 20160120410 A KR20160120410 A KR 20160120410A KR 1020150049257 A KR1020150049257 A KR 1020150049257A KR 20150049257 A KR20150049257 A KR 20150049257A KR 20160120410 A KR20160120410 A KR 20160120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reader
mst
nfc
pay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진
경수현
초대열
나혁휘
황호석
김영석
박성범
안상훈
김상열
Original Assignee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주식회사 지니틱스
서울전자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주식회사 지니틱스, 서울전자통신(주) filed Critical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410A/ko
Publication of KR20160120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는,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오리지널 카드 리더(25)를 구비한 결제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30)와, 메모리(120)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Near Field Commnications)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160) 및 MST 리더를 포함한다. MST 리더(150)는 상기 NFC 리더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접촉으로 전송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정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리더로서, 자기 발생용 스와이프(Swipe) 슬롯을 갖지 않는다.

Description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NON-CONTACT PAYMENT INFORMATION RECEIVER HAVING MST READER AND NFC READER}
본 발명은 모바일 지불(Mobile Payment)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접촉식 지불 방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핀테크(fintech)로 알려진 금융 기술(Financial technology)은 최근 모바일 산업에서 크게 부상하고 있다. 핀테크 기술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는 특히 모바일 결제 기술이 중요하다. 요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간편 결제(Payment)를 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이다. 모바일 결제의 목적은 편리함의 추구에 있다.
모바일 결제와 관련하여 애플페이TM가 알려졌다. 애플페이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칩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매장의 결제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지불을 실행한다.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문인증과 보안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지불 시 신용카드 정보가 매장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상의 장점과 편리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애플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문헌으로는 US 2014/0019367, US 2014/0304094 등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애플페이 방식의 모바일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매장의 결제 단말기에 NFC 지원 기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NFC 지원 기능의 결제 단말기는 그렇게 많이 보급되어 있지 않다. NFC 지원 기능이 매장의 결제 단말기에 없다면 NFC 기반의 모바일 결제 기술은 무용지물이다. 이는 구글월렛TM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설령 NFC 방식의 모바일 결제가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그것의 효율성은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다른 방식의 모바일 결제방식을 추가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통적으로 시장에 가장 강력한 결제 인프라는 마그네틱 카드 인프라이다. 매장의 결제 단말기는 NFC 지원 기능을 갖지 않을 수는 있겠으나 대부분의 결제 단말기는 마그네틱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마그네틱 카드 기능을 부가한다면 매장에서 좀더 용이하게 지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한 기술로서 루프페이(LoopPay)TM가 알려졌다.
이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을 하는 별도의 캡슐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매장의 카드 리더기를 통해서 마그네틱 카드를 긁었을 때 발생하는 자기장과 동일한 자기장을 휴대폰에 부착된 캡슐에서 발생시키는 원리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한 특허문헌으로는 미국특허 US8,814,046이 있다.
그러나 루프페이 기술은 결정적으로 휴대폰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캡슐에 마그네틱 신용카드 정보를 복제해둬야 하고, 매장의 카드 리더기에 실제 카드정보가 전송되는 구조여서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모바일 디바이스 내장형이 아니라 독립한 캡슐 형태여서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MST 캡슐을 휴대폰에 내장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는 있겠다. 하지만 포스 단말에 설치되는 리더는 점원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MST 방식으로 모바일 지불을 하려면 점원에게 휴대폰을 건넬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결제방식이 달라서 모바일 지불이 불가능한 상황이 가장 큰 문제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모바일 지불이 가능하더라도 여러 가지 불편함이 초래된다면, 사용자는 휴대폰을 사용하기보다는 전통적인 방식(현금이나 신용카드 사용)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모바일 지불을 위해 휴대폰을 넘기는 것이 바로 그런 불편함이다. 다른 사람이 휴대폰을 만지는 것에 대해서 심리적인 거부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점원과 휴대폰을 주고받는 사이에 자동으로 잠금기능이 실행된다면 타인에게 비밀번호를 말해야 하거나 혹은 다시 돌려받아야 하는데, 모바일 결제가 추구하는 결제의 편리함이라는 목적에 반한다. 더욱이 휴대폰을 건네는 과정에서 그것이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파손되는 경우, 법적보상은 극히 민감한 문제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고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오랫동안 모바일 결제 기술은 오랫동안 보안과 인증에 초점이 맞춰졌다. 보안과 인증 시스템을 완벽히 구축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사업자의 책임일 뿐이다. 사용자의 관심사는 모바일 결제를 하려는 “장소에서의 편리함”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모바일 결제 기술의 핵심이 범용성과 신속성에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 결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범용성의 관점에서, 모바일 결제를 하는 장소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자기장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과제가 되었다. 즉,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모듈을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를 지원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MST 방식의 결제뿐만 아니라, NFC 방식의 결제도 지원한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그렇다면 모바일 결제는 실물 신용카드만큼이나 범용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속성의 관점에서, 사용자는 지갑에서 신용카드를 꺼내는 행위만큼이나 신속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결제 장소에서 결제를 할 때, 자신의 디바이스를 점원에게 건네지 않고서도 즉시 결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이 결제를 행하는 장소에서의 모바일 지불의 범용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디바이스를 개발해야만 했다. 그것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제정보 수신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제 단말기와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며 MST 및 NFC를 지원하는 결제정보 수신기로서: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오리지널 카드 리더를 구비한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Near Field Commnications)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 및
상기 NFC 리더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접촉으로 전송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MST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NFC 리더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MST 리더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케이블을 매개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에 있어서 에 있어서, 상기 MST 리더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자기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인 코일 리시버와 이 코일 리시버의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디코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결제방식이 가능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결제 인프라의 변경없이 기존의 대규모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제 단말기의 교체작업이 없어도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자기장 결제 방식에서는 스와이프로 인한 신용카드 복제의 문제가 지적되었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해결하려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그 자기장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그 경우 결제 단말기에 설치된 오리지널 카드 리더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근접돼야 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를 점원에게 건네야 하는 매우 민감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에 따르면 그와 같은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된다.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는 오리지널 카드 리더와 달리, 점원의 지배영역이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한 쪽에 별도의 장치로 설치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가장 광범위한 자기장 결제 인프라를 이용해서, 안심하고 신속하게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는 MST 결제 및 NFC 결제를 함께 지원하기 때문에 모바일 결제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결제의 다양성을 보장하려는 본 발명의 정신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수신기(10)의 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수신기(10)의 외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가 포함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단말기(20)의 오리지널 카드 리더(25)에 설치되는 MSR(90)의 구성을, 도 5(b)는 MST 리더(150a)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5(c)는 MST 리더(150b)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5(d)는 NFC 리더(16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내부 전자적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시나리오 중에서 결제정보 수신기(10)의 MST 리더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실행하는 플로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결제의 다양성을 보장한다. 도 1은 그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결제 장소에서 사용자(1000)는 신용카드를 사용하거나 현금을 지불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런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사용자(1000)는 신용카드 또는 현금을 점원(cashier)에게 건넨다. 신용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결제 장소에는 신용카드 결제를 지원하는 결제 단말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1000)는 모바일 디바이스(1a, 1b)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 모바일 결제는 결제 단말기가 설치된 가맹점의 결제 인프라를 이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접촉 통신을 통해서 결제 단말기로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1000)가 NFC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1b)를 소지하고 있다면, 그 모바일 디바이스(1b)를 이용하여 결제 장소에서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장소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가 NFC 방식의 결제를 지원해야 한다. 즉, NFC 수신기가 있어야 한다.
사용자(1000)는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1a)를 소지하고 있다면, 그 모바일 디바이스(1a)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단말기는 자기장을 이용한 결제를 지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결제 장소의 결제 단말기에는 MSR(Margnetic Stripe Reader)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MSR를 이용한 결제에서는 자기장 발생을 위한 슬롯을 통해서 스와이핑(swiping)을 해야만 한다. 신용카드를 슬롯에 통과시킴으로써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을 통해서 신용카드의 정보가 결제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다.
문제는 모바일 디바이스(1a)로는 이 슬롯을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기존의 MSR 방식 결제 인프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a)에서 직접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자기장 정보를 결제 단말기로 직접 전송해 주는 방식을 고안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고안된 모바일 디바이스(1a)라 하더라도, 자기장 통신에는 거리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1000)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a)를 점원에게 건네야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모바일 결제의 신속성을 해칠 수밖에 없다. 또한 휴대폰 파손에 따른 심리적 거부감과 휴대폰 주고받기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한다.
결제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실물 신용카드 결제를 지원함과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a)를 이용한 MST 결제를 지원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실물 신용카드(즉, ID-1 Type) 결제를 지원하는 수단(MSR)과 MST 결제를 지원하는 수단(MST)을 분리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보한다. 그 “분리”의 원리는 도 3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분리된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대략적인 외부 구성을 나타낸다. 결제정보 수신기(10)는 패드 형태의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전면부(10a)에는 디스플레이부(11), NFC 리더 영역(12) 및 MST 리더 영역(13)이 구성되며, 전자 펜(15)과 케이블(17)이 포함될 수 있다.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칩이 내장되어 결제 단말기와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가 무선 통신을 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블(17)이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1)가 포함되었지만,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런 실시형태에서는 NFC 리더 영역(12) 및 MST 리더 영역(13)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더욱 경제적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은 NFC 리더와 MST 리더를 필수적으로 갖는 신규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장치여도 좋고, 디스플레이부가 없는 장치여도 좋다. 그런 취지로 본 명세서의 도면의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도 2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것은 대략 사각 형태의 터치스크린 영역이 전자서명 입력영역일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의 서명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는 미리 등록된 혹은 결제 단말기에서 전송하는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NFC 리더 영역(12)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이며, 이곳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NFC 결제정보란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신용카드 및 신용카드에 준하는 결제용 매체의 정보를 의미한다. NFC 리더 영역(12)에 대응하는 전면부(10a) 내부 위치에 전자적 구성으로서 NFC 리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NFC 리더 영역(12)과는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에는 MST 리더 영역(13)이 설치된다. 이 MST 리더 영역(13)에 대응하는 내부 위치에 MST 리더가 설치되며, 이 MST 리더가 MST 결제정보를 수신한다. MST 결제정보란 모바일 디바이스의 MST 모듈로부터 자기장 전송을 통해 전달되는 신용카드 및 신용카드에 준하는 결제용 매체의 정보를 의미한다.
신속한 모바일 결제를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NFC 리더 영역(12) 및 MST 리더 영역(13) 중 어느 한 영역 위에 비접촉식으로 정확히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NFC 리더 영역(12)에는 NFC 모듈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곳에 위치시키라는 인디케이터(12a)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MST 리더 영역(13)에는 MST 모듈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키라고 안내하는 인디케이터(13a)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NFC 결제는 NFC 인디케이터(12a)의 표시에 따라, MST 결제는 MST 인디케이터(13a)의 표시에 따라 안내되도록 결제정보 수신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간편하고 신속한 결제를 보장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11)와 NFC 리더 영역(12)과 MST 리더 영역(13)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별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태와 배치, 즉 각 영역의 크기, 형상, 위치는 임의적이며, 그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3은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결제정보 수신기(10)에는 한 개 이상의 버튼, 전원 케이블, 스피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우리는 실물 신용카드 결제를 지원하는 수단과 MST 결제를 지원하는 수단이 분리되어야 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 구체적인 원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결제정보 수신기(10)는 결제 단말기(20)와 이격되어 있다. POS 또는 CAT 방식의 결제 단말기(20)는 점원의 지배영역(29) 안에 있다. 점원의 지배영역(29)은 계산 업무를 수행하는 점원이 위치한 곳으로, 통상 결제 단말기(20) 앞이다. 사용자는 이 영역(29) 바깥에 있으며, 그 바깥 위치, 즉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점유를 잃지 않으면서 결제를 할 수 있는 위치에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가 설치된다.
결제 단말기(20)에는 오리지널 카드 리더(25), 즉 MSR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 리더(25)는 실물 신용카드를 독출하는 것으로서, 결제 단말기(2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것이며, 일반적으로 자기장 발생을 위한 슬롯 및 헤더가 포함될 수 있다. 결제 단말기(20)는 원격에 있는 서버(30)로 승인을 요청하고 받는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는 상기 오리지널 카드 리더(25)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결제용 디바이스이다. 결제정보 수신기(10)는 모바일 디바이스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제 단말기(20)와 데이터 통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는 상기 오리지널 카드 리더(25), 즉 MSR과는 달리 ID-1 Type 카드를 스와이프할 수 있는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5는 상기 오리지널 카드 리더(25), 즉 MSR과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10)의 구성이 어떻게 다른가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5(a)는 상기 오리지널 카드 리더(25)의 구성을 나타낸다. 오리지널 카드 리더(25)는 MST 수신부(90)를 포함하며, 이 MST 수신부(90)는 슬롯(91), 헤더(93) 및 디코더(95)를 포함한다.
실물 신용카드(9)를 슬롯(91)을 통해 스와이프를 하면 헤더(93)의 마그네틱 엘레멘트(93a)를 통해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은 코일(93b)을 통해 F2F 디코더(95)에 전달된다. F2F 디코더(95)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F2F 코드로 변환하여 결제 단말기(20)의 CPU로 전송한다.
도 5(b) 및 도 5(c)는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10)의 MST 리더(150a, 150b)의 전자적 구성을 나타내며, 각각 도 2의 MST 리더 영역(13)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수신기(10)의 MST 리더(150a)는 상기 결제 단말기(20)에 설치된 MSR과는 달리 슬롯이 없는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도 5(c)의 실시예에서는, 결제정보 수신기(10)의 MST 리더 (150b)는 결제 단말기(20)의 MSR과는 달리 슬롯 및 헤더(즉, 마그네틱 엘레멘트(93b))가 없는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자기 정보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코일 리시버(51b)가 모바일 디바이스(1a)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전송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고, F2F 디코더(53a,53b)가 아날로그 신호를 F2F 코드로 변환하여 결제정보 수신기(10)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5(a)의 오리지널 카드 리더(25)와 달리, MST 리더(150a, 150b)는 결제 단말기(20)가 아니라 결제정보 수신기(10)의 제어부로 신용카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부의 CPU가 데이터 파싱을 수행한다.
이때의 자기 정보는 MST 규격 표준에 의해 정해진 데이터 포맷이다.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10)는 스와이핑을 위한 슬롯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MST 리더(150)는 간명하고 작고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c)의 실시예에 있어서, MST 리더(150)는 상기 오리지널 카드 리더(25)의 마그네틱 엘레멘트(93a)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도 5(d)는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10)의 NFC 리더(150)의 전자적 구성을 나타내며, 도 2의 NFC 리더 영역(12)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 안테나 리서버(61)가 모바일 디바이스(1b)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데이터를 수신하고 NFC 콘트롤러(62)로 전송할 수 있다. NFC 콘트롤러(62)는 이 데이터를 변환하여 결제 단말기(20)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NFC 리더(150)의 전자적 구성 자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내부 전자적 구성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부(110), 메모리(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전자서명 입력부(140), MST 리더(150) 및 NFC 리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부, 입력버튼, 스피커 등이 필수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MST 리더(150) 및 NFC 리더(160)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결제정보는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MST 리더(150) 및 NFC 리더(16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b) 내지 도 5(d)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디스플레이(140)는 LCD와 터치패널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수신하거나 또는 안내 정보를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40)에 의해 수신되는 서명 데이터는 제어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결제정보 수신기(10)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결제 단말기(20)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변형 예에 따라서 시리얼 통신, USB 케이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MST 리더(15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와 NFC 리더(16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서 결제 단말기(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를 이용한 다양한 시나리오 중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MST 결제에 관한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물론 사용자는 이 시나리오 대신 현금이나 실물 신용카드를 점원에 건네어 전술한 오리지널 카드 리더(25)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이하의 시나리오는 모바일 결제에 관한다.
결제 장소에서 상품 판매가 행해질 것이다. 그리고 그 결제 장소에는 결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상품 리더가 상품 코드를 인식하여 상품정보(상품명, 가격정보 등)를 읽거나, 점원이 결제 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품 판매 프로세스가 개시된다(S100). 상품가격이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결제정보 수신기는 대기상태에 있다(S110). 결제정보 수신기에 디스플레이부가 있다면 대기화면으로 표시된다.
결제 단말기에 구매할 상품이 선택되고 그 상품정보가 입력되어 상품가격이 결정될 때 상품 판매는 잠정적으로 확정된다. 그러면 결제 단말기는 모바일 지불 요청을 한다(S1).
이때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S120). 예컨대 결제금액을 표시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MST 리더 영역에 가까이 대라고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MST 리더 영역에 근접시킴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MST 모듈을 통해서 자기장 전송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결제정보 수신기(10)로 전송한다(S130). 결제정보 수신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카드 정보를 결제 단말기로 전송한다(S2). 그러면 결제 단말기(20)는 VAN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 승인을 받은 후에 모바일 결제를 종료할 수 있다.
그 이후에 부가된 프로세스는 신용카드와 가맹점 사이의 계약, 기업 혹은 국가의 정책이나 법령규정 등에 의해서 실시되거나 혹은 실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부가된 프로세스가 실시된다고 가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결제정보 수신기(10)가 카드 정보를 결제 단말기(20)로 전송한 다음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서 카드가 처리되었다고 안내할 수 있다S140). 다음으로 결제 단말기는 결제정보 수신기로 전자서명을 요청한다(S3). 그러면 결제정보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 서명입력을 요청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서명입력을 을 수 있다(S150).
결제정보 수신기(10)는 입력받은 전자서명을 결제 단말기(20)로 전송하고(S4). 그러면 결제 단말기(20)는 VAN 서버로 승인을 요청한다(S5). VAN 서버가 결제를 승인하면(S6) 모든 결제 절차는 완료되고, 결제 단말기는 영수증을 출력한다(S160).
모바일 결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결제정보 수신기 사이의 통신에 의해서만 행해지지 않는다. 보안과 인증절차는 그것과 별도로 필수적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지문인식기, 모바일 결제를 위한 보안/인증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데이터처리 기술이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방식을 이용하든 본 발명의 결제정보 수신기(10)를 통해서 사용자가 간편결제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은 변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5)

  1. 결제 단말기와 별개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며 MST 및 NFC를 지원하는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로서:
    상기 결제정보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오리지널 카드 리더를 구비한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Near Field Commnications)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NFC 리더; 및
    상기 NFC 리더와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접촉으로 전송되는 자기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MST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리더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T 리더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케이블을 매개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인,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T 리더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자기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인 코일 리시버와 이 코일 리시버의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디코더로 구성되는, MST 및 NFC 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KR1020150049257A 2015-04-07 2015-04-07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KR20160120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57A KR20160120410A (ko) 2015-04-07 2015-04-07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57A KR20160120410A (ko) 2015-04-07 2015-04-07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410A true KR20160120410A (ko) 2016-10-18

Family

ID=5724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57A KR20160120410A (ko) 2015-04-07 2015-04-07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7961A1 (en) * 2015-07-14 2017-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80137777A (ko) * 2017-06-19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Mst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72351B1 (ko) * 2018-01-12 2019-04-25 황승준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7961A1 (en) * 2015-07-14 2017-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0846695B2 (en) * 2015-07-14 2020-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yment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80137777A (ko) * 2017-06-19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Mst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72351B1 (ko) * 2018-01-12 2019-04-25 황승준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3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action tokens for mobile devices
US10592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ercial transactions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RU261531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тчика данных магнитной полосы в ближнем поле
US20180114260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3778533B (zh) 用于在移动终端上执行支付的系统
US20170221043A1 (en) Transaction fac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8706628B2 (en) Automated opening of electronic wallet function in mobile device
US202000130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iometric card enrollment
Ghosh et al. Swing-pay: One card meets all user payment and identity needs: A digital card module using NFC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peer-to-peer payment
US20130060701A1 (en) Electronic payment service method, and electronic payment service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ac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70161709A1 (en) Method and system to organize and manage transactions
CN107851247A (zh) 通过移动设备和可穿戴设备上的消息传递和呼叫多媒体系统利用触觉控制的单触支付、货币代币界面、销售点设备和电子支付卡
CA2820701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ped communicator
US20160275471A1 (en) Wearable Point of Sale (WPOS) Terminal
US8485436B2 (en) Simulated contactless identification card reader
KR20160120410A (ko) Mst 및 nfc겸용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US11829977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KR101800717B1 (ko)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새로운 핀테크 디바이스
KR20160120409A (ko) Mst 비접촉식 결제정보 수신기
KR20190033899A (ko) 멀티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US11010743B2 (en) Enabling card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enabling card in a POS
US116066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criminating one of a group of NFC transmitters
US120040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scriminating one of a group of NFC transmitters
US20240086896A1 (en) Mobile wallets and companion smart cards
KR101509125B1 (ko) 엔에프씨 통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0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02

Effective date: 201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