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397A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397A
KR20160120397A KR1020150049119A KR20150049119A KR20160120397A KR 20160120397 A KR20160120397 A KR 20160120397A KR 1020150049119 A KR1020150049119 A KR 1020150049119A KR 20150049119 A KR20150049119 A KR 20150049119A KR 20160120397 A KR20160120397 A KR 2016012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service
financial transaction
transaction servic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윤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5004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397A/ko
Publication of KR2016012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과,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포함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파밍에 의한 전자금융사기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CONTROL SYSTEM USING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기범이 보이스 피싱, 파밍 등의 수법으로 개인금융정보(예컨대, 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보안카드번호 등)를 탈취한 후 탈취한 정보를 악용하여 부정하게 금융거래(예컨대, 자금이체 등)를 하여 자금을 탈취하는 전자금융사고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금융사고는 전자금융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사고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탈취된 개인금융정보를 악용하여 피해자 몰래 전자금융채널(예컨대, 인터넷 뱅킹, 스마트 뱅킹, 텔레 뱅킹 또는 ATM 기기 등)을 통해 접속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전자금융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전자금융 서비스를 중단(OFF)시키고, 사용시에만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자금융채널을 실행(ON)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파밍에 의한 전자금융사기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처리수단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스마트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텔레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현금 자동 입출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평상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는, 금융거래 접속채널, 접속일시, 접속 사용기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부터 전송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미리 탑재된 GPS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정보 메시지 중 접속 사용기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기설정된 위치와 상이할 경우, 사기 의심거래로 판단하여 특정의 경고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거래차단 또는 추가인증을 위한 요청메시지를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금융 처리수단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스마트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텔레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현금 자동 입출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며,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평상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는, 금융거래 접속채널, 접속일시, 접속 사용기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부터 전송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미리 탑재된 GPS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정보 메시지 중 접속 사용기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기설정된 위치와 상이할 경우, 사기 의심거래로 판단하여 특정의 경고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거래차단 또는 추가인증을 위한 요청메시지를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전자금융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전자금융 서비스를 중단(OFF)시키고, 사용시에만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자금융채널을 실행(ON)함으로써, 보이스 피싱, 파밍에 의한 전자금융사기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추가인증 생략에 따른 추가인증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10)을 통해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예컨대,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0)의 임의의 사용자가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사용자 단말(100)과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예컨대,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망(10)을 통하여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다양한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Palm) PC,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전자금융 처리수단(2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이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 LED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 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100)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경우,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 등을 통해 스마트 뱅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우리은행 스마트 뱅킹 등)을 다운로드받아 다양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 뱅킹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에 접속하여 현금 입출금 서비스 등의 다양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은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300)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예컨대, 전자금융 처리를 위한 모듈, 장치, 서버 및 시스템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들이 조합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200-1), 스마트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200-2), 텔레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200-3), 현금 자동 입출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예컨대, ATM 기기 등)(20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전자금융 처리수단(200)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바, 특히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평상시(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OFF)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ON)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예컨대, 1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OFF)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ON)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예컨대, 금융거래 접속채널(ex, 인터넷 뱅킹, 스마트 뱅킹, 텔레 뱅킹, ATM 기기 등), 접속일시, 접속 사용기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 등) 메시지를 예컨대, 푸쉬(PUSH) 형태로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부정사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미리 탑재된 GPS 모듈(미도시)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정보 메시지 중 접속 사용기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또는 기설정된 위치와 상이할 경우, 사기 의심거래로 판단하여 특정의 경고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거래차단 또는 추가인증(예컨대, 본인확인)을 위한 요청메시지를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Time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는 추가인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금융거래 강제종료/신고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S100).
이때, 상기 단계S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예컨대,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한다(S200).
한편, 상기 단계S1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며, 상기 단계S200에서,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상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100 이전에,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평상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200 이후에,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ON)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예컨대, 1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OFF)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200 이후에,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ON)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20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200 이후에, 전자금융 제어서버(30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Timer)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전자금융 처리수단,
300 : 전자금융 제어서버

Claims (20)

  1.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처리수단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스마트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텔레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현금 자동 입출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평상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는, 금융거래 접속채널, 접속일시, 접속 사용기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부터 전송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미리 탑재된 GPS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정보 메시지 중 접속 사용기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기설정된 위치와 상이할 경우, 사기 의심거래로 판단하여 특정의 경고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거래차단 또는 추가인증을 위한 요청메시지를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는,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금융거래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금융 처리수단 및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해당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단 또는 실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는, 전자금융 관련 아이디(ID)/비밀번호(PW), 통장계좌번호/비밀번호(PW), 보안카드번호, 주민번호, 이동전화번호, 현금인출 비밀번호,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금융 처리수단은,
    인터넷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스마트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텔레 뱅킹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현금 자동 입출 서비스 처리를 위한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서비스 요청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며,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암호화되어 전송된 기기고유식별 코드를 해독한 후, 기등록된 기기고유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기기고유식별 코드가 존재할 경우,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평상시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도록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서비스 요청메시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실행될 경우,
    각 전자금융 처리수단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의 사용시 해당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는, 금융거래 접속채널, 접속일시, 접속 사용기기의 정보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부터 전송된 금융거래 서비스에 대한 사용정보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미리 탑재된 GPS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정보 메시지 중 접속 사용기기의 위치 정보를 통해 위도와 경도로 변환하여 지도로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기설정된 위치와 상이할 경우, 사기 의심거래로 판단하여 특정의 경고문구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거래차단 또는 추가인증을 위한 요청메시지를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상기 전자금융 제어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금융정보에 대한 금융거래 서비스가 중단 또는 실행되는 기간 및 시간을 해당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150049119A 2015-04-07 2015-04-0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0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19A KR20160120397A (ko) 2015-04-07 2015-04-0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19A KR20160120397A (ko) 2015-04-07 2015-04-0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397A true KR20160120397A (ko) 2016-10-18

Family

ID=5724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119A KR20160120397A (ko) 2015-04-07 2015-04-07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3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671A3 (en) * 2017-06-16 2019-02-2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DETECTION OF A SUSPECT PAYMENT BY ANALYSIS OF A FINANCIAL BEHAVIOR
KR20220056018A (ko) * 2020-10-27 2022-05-04 임성중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및 보이스 피싱 예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1671A3 (en) * 2017-06-16 2019-02-2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DETECTION OF A SUSPECT PAYMENT BY ANALYSIS OF A FINANCIAL BEHAVIOR
KR20220056018A (ko) * 2020-10-27 2022-05-04 임성중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및 보이스 피싱 예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706B2 (en) Secure NFC data authentication
KR102089191B1 (ko)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007174B2 (en) Servic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US20080148186A1 (en) Secure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CN107483213B (zh) 一种安全认证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9544020B2 (en) NFC negotiated pairing
WO2015196973A1 (en)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259301B (zh) 一种账号数据共享方法及电子设备
US9326114B2 (en) Transferring a voice call
CN105577375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KR101633965B1 (ko)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121112A1 (en) Mutual authentication with pseudo random numbers
KR101611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맹점 금융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55169B (zh) 数据加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574720A (zh) 安全的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装置
KR20160120397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전자금융거래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74929B (zh) 功耗模式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997730A (zh) 一种加密数据的解密复制粘贴方法
CN108712384B (zh) 终端认证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KR101528681B1 (ko) 보안 푸시 메시징 제공 방법
KR20170078320A (ko) 사용자 모바일 단말의 악성코드 침투 및 무단 액세스 방지를 위한 실시간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8805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부인방지 대금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5095B1 (ko) 현금자동인출기를 이용한 가상의 전자금고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713B1 (ko)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2070B1 (ko)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보안 중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