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739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739A
KR20160118739A KR1020150047319A KR20150047319A KR20160118739A KR 20160118739 A KR20160118739 A KR 20160118739A KR 1020150047319 A KR1020150047319 A KR 1020150047319A KR 20150047319 A KR20150047319 A KR 20150047319A KR 20160118739 A KR20160118739 A KR 2016011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asurement
level
patient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4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739A/ko
Priority to US14/983,825 priority patent/US20160287190A1/en
Publication of KR2016011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06F19/34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06F19/32
    • G06F19/322
    • G06F19/3418
    • G06F19/345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기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각각에 대해 룰 데이터에 근거하여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환자 단말과 의사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제공하며 특정한 측정 값에 따라 화면 구성을 변경하여 환자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 건강 기록(PHR: personal heath record)을 작성 및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 개인 건강 기록을 작성 및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개인 건강 기록을 작성, 취합 및 열람하는 방법에 초점이 맞춰져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병원 또는 의원 내의 전자 의무 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또는 전자 건강 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과 같은 전산화된 환자의 진료 기록 시스템, 또는 약국의 처방전 관리 시스템 등과 연계하여, 개인의 건강 기록을 구축 및 열람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방법은 개인의 건강 기록을 구축하여, 단순히 소정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구축된 개인 건강 기록을 열람하더라도 개인의 건강 관리에 대한 이력 및 특징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직관적인 표시 화면을 제공하여, 병의 진행 상황 및 의료진의 피드백에 대해 빠른 이해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환자 단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측정 데이터의 레벨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는,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환자의 병명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에 따르면 직관적인 표시 화면을 제공하여, 병의 진행 상황 및 의료진의 피드백에 대해 빠른 이해가 가능하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측정 기기, 서버 및 의료진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측정 기기, 서버 및 의료진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인 환자 단말(100), 측정 기기(200), 의료 서버(300) 및 의료진 단말(400)을 포함한다.
환자 단말(100)은 환자의 건강 관련 이력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여 출력하는 모든 컴퓨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환자 단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정 기기(200)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혈압, 혈당 수치, 체중 및 온도 등 환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모든 기기가 사용될 수 있고, 측정 기기의 종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측정 기기(200)는 환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측정된 결과값을 환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측정 기기(200)는 환자 단말(100)과 페어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기기(200)에서 측정한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측정이 완료된 시점에 환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정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측정 항목의 경우 환자 단말(100)을 통해 수동으로 입력 가능하다.
의료 서버(300)는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의료 서버(300)는 환자별로 구별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건강 관련 정보는 처방전이 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병원에서 작성된 각종 의료 기록, 개인 건강 기록(PHR) 또는 전자 건강 기록(EHR)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서버(300)는 과거의 일정 몇 년 등과 같이 현재시점부터 소정 기간 동안 누적하여 환자별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 저장할 수 있다.
의료 서버(300)는 환자 단말(100) 및 의료진 단말(400)과 소정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상으로 연결되어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400)은 의료 서버(300)를 통해 환자 단말(100)로부터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중요한 측정 데이터는 다른 측정 데이터와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될 수 있다. 중요한 측정 데이터가 다른 측정 데이터와 구별되도록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100)은 서버 통신부(110), 메모리(120), 제어부(130), 측정기기 통신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서버 통신부(110)와 측정기기 통신부(140)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서버 통신부(110)와 측정기기 통신부(140)는 하나의 통신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환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룰(RULE)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어링(pairing)된 측정기기(200)로부터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의료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의료 서버(300)는 이를 의료진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서버 통신부(110)가 페어링된 측정기기(200)로부터 수신한 건강 관련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정 정보를 저장하고 정렬한다. 메모리(120)는 측정된 데이터를 시간순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환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소정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환자의 상태(병명)에 기초하여 필요한 측정기 리스트, 측정 기기(200)와의 페어링 상태, 측정 기기(200)에서 측정한 결과값 등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측정 기기(200)를 표시할 수 있다. 환자가 복수의 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각 병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 기기(200)를 나타낼 수 있으며, 측정 기기(200)를 선택하면 선택한 기기에서 측정한 과거의 측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기(200)의 측정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병의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특정의 측정 기기(200)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강조 표시되는 측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정 기기(200) 중에서 중요하다고 설정된 측정 기기(200)는 다른 색상, 다른 크기, 특수 문자의 표시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형식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측정기기 통신부(140)는 측정 기기(200)와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페어링에 의해 측정 기기(200)에서의 데이터를 환자 단말(100)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페어링에 의해 환자에 따른 측정 기기(200)의 설정값을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기기(200)가 페어링에 의해 환자에 따른 설정값으로 실행된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30)에서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顚?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어부(130)에서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의 명령 또는 요청을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100의 단계에서 측정 기기(200)는 환자의 건강관련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강관련 정보를 페어링된 환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환자마다 다르게 설정된 측정 기기(200)의 설정값에 따라 측정 기기(200)의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건강관련 정보는 측정 기기(20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환자 단말(100)은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치료 내역, 처방 이력, 데이터의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환자 단말(100)은 측정 데이터를 표시한다. 의료진에 의해 미리 설정된 룰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자 단말(100)은 측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측정 데이터인 경우에도 룰 데이터가 변경되면 환자 단말(100) 또는 의료진 단말(400)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 단말(100)은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의료 서버(300)로 전달하고(S200), 의료 서버(30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의료진 단말(400)로 전달한다(S300). 의료진 단말(400)은 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S400), 환자의 상태에 따라 룰 데이터를 변경한다(S500). 룰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의료진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의료 서버(300)는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룰 데이터를 환자 단말(100)로 전달하고(S600), 환자 단말(100)은 수신한 룰 데이터에 따라 표시 화면을 구성한다(S700).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화면은 측정항목(10) 및 측정값(20)이 표시되고, 각각의 측정값은 시간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값은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시기에 측정된 다른 측정 항목들과의 관련성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측정항목(10)은 혈압(11), 혈당 농도(12), 체중(13) 및 체온(14)일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병명에 따라, 병의 진행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혈압 환자의 경우, 혈압(11)을 맨 위에 표시할 수 있고,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혈당 농도(12)를 맨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환자의 병명에 따라 측정항목(10)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각각의 측정항목(10)은 동일한 아이콘, 크기, 색상, 모양으로 표시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이 다른 측정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각각의 측정항목(10)은 측정값에 따라 복수의 레벨 중 하나의 레벨에 위치한다. 복수의 레벨은 예를 들어 5단계로 구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항목은 균등한 레벨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측정값의 레벨은 안정상황을 나타내는 레벨과 주의상황을 나타내는 레벨이 있으며, 측정값이 안정 범위를 벗어날수록 주의상황인 것으로 레벨이 높게 책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혈압(11)의 최고값이 140이상 145미만이면 4레벨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정되고, 145 이상인 경우는 5레벨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혈압(11)의 최저값이60 이상 70 미만이면 4레벨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항목(10)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레벨이 높은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압(10)의 최고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3레벨을 값을 갖고, 혈압(10)의 최저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4레벨을 값을 갖는 경우,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값이 높은 값을 갖는 레벨로 최종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400)의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측정 데이터가 하이라이트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체중의 경우, 환자의 키와 병의 진행상황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상 범위가 설정되고, 정상 범위와 측정값의 차이의 절대값이 클수록 높은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값이 각각 어느 레벨의 값을 갖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룰 데이터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룰 데이터는 환자별, 시기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측정값이라 하더라도 룰 데이터에 따라 다른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측정항목(10)에 대해 레벨의 수를 총합하여 그 비율에 따라 표시화면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값을 갖는 측정항목(10)이,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값을 갖는 측정항목(10)에 비해 크기가 크게 표시되거나, 색상이 진하게 표시되는 등의 방법으로 화면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혈압(11)의 측정레벨은 4, 혈당 농도(12)의 측정레벨은 3, 체중(13)의 측정레벨은 3, 체온(14)의 측정레벨은 2인 경우, 측정레벨의 총합은 12이므로, 각각의 측정 레벨을 반영한 표시 방법과 관련된 룰 데이터에서 혈압(10)은 4의 레벨이고, 측정레벨의 총합이 12이므로 전체 표시 장치 화면의 4/12, 즉 1/3의 크기로 표시되고 혈당 농도(12) 및 체중(13)은 각각 1/4, 체온(14)은 1/6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장 높은 측정 레벨을 전체 표시 장치 화면의 절반의 크기로 표시하고 나머지는 균등하여 표시하는 룰 데이터에서는 혈압이 전체 표시 장치 화면의 1/2, 나머지 항목은 각각 1/6의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이 낮은 항목은 작게 표시하고 레벨이 높은 항목은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인 데이터의 이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레벨에 따라 화면 구성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환자 단말
200: 측정 기기
300: 의료 서버
400: 의료진 단말

Claims (13)

  1. 환자 단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측정 데이터의 레벨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은 균등한 레벨단위로 세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은 해당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높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의료진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의 알람이 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상기 레벨이 높은 측정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레벨이 낮은 측정 데이터에 비해 크기가 크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은 복수이되,
    상기 복수의 측정항목에 대한 복수의 측정 데이터의 레벨의 총합과 상기 복수의 측정 데이터 각각의 레벨 사이의 비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측정 데이터 각각의 표시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룰 데이터는 환자별, 시기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상기 환자의 병명에 기초하여 화면의 최 상단에 표시될 측정항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항목에 대해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환자의 병명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의 레벨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측정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레벨이 낮은 측정 데이터에 비해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KR1020150047319A 2015-04-03 2015-04-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KR2016011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19A KR20160118739A (ko) 2015-04-03 2015-04-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US14/983,825 US20160287190A1 (en) 2015-04-03 2015-12-30 Method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er interfa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19A KR20160118739A (ko) 2015-04-03 2015-04-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739A true KR20160118739A (ko) 2016-10-12

Family

ID=5701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319A KR20160118739A (ko) 2015-04-03 2015-04-03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87190A1 (ko)
KR (1) KR20160118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8312A (zh) * 2017-07-16 2017-11-21 北京酷我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灯效果的进度条的展现方法
CN107346250B (zh) * 2017-07-16 2020-07-31 北京酷我科技有限公司 一种呼吸灯效果的进度条的层叠显示方法
CN113138706A (zh) * 2020-01-17 2021-07-20 株式会社森田制作所 医疗系统、存储介质、警告的通知方法及受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7190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mitrov Medical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n healthcare
Caulfield et al. What is Connected Health and why will it change your practice?
US201302621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distibution of medical information
US11152114B2 (en) Patient state representation architectures and uses thereof
RU2678636C1 (ru) Монитор пациента и способ наблюдения за состоянием пациента
US11037678B2 (en) Medical device with interfaces for capturing vital signs data and affirmatively skipp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vital signs data
US11551815B2 (en) Risk monitoring scores
US2021040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ormal observations about a care recipient by caregivers
CN104850729A (zh) 在脓毒症监控中电子监控传感器信号的监控器单元及方法
US20230116079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WO2020106794A1 (en) Method and systems for a healthcare provider assistance system
Klebbe et al. Wearables for older adults: requirements, design, and user experience
KR2016011873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US20220139550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KR102144938B1 (ko)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가족력 위험도 산출 방법
US20140006054A1 (en) Segregation system
Adeogun et al. Models of information exchange for UK telehealth systems
EP3726533A1 (en) Sepsis automated reporting system
JP2019032775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Liaw et al. Primary care: the actual intelligence requir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vance health care and improve health
Collen et al. Medical informatics: past and future
Portela et al. Improvements in data quality for decision support in Intensive Care
McCallum et al. Health management,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in gerontechnology
Marinescu et al. Challenges and Persp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a Future Ecosystem for Elderly within Pandemic
US20230377741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