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689A - 중공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중공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689A
KR20160118689A KR1020150047178A KR20150047178A KR20160118689A KR 20160118689 A KR20160118689 A KR 20160118689A KR 1020150047178 A KR1020150047178 A KR 1020150047178A KR 20150047178 A KR20150047178 A KR 20150047178A KR 20160118689 A KR20160118689 A KR 20160118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ssembly
lead plate
cover
tab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413B1 (ko
Inventor
홍영진
이영재
강순선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오렌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렌지파워 filed Critical (주)오렌지파워
Priority to KR102015004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413B1/ko
Priority to PCT/KR2015/007052 priority patent/WO2016010294A1/ko
Priority to CN201580000908.5A priority patent/CN105637696A/zh
Priority to US15/326,033 priority patent/US20170200935A1/en
Priority to EP15787121.1A priority patent/EP2996189A4/en
Publication of KR2016011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417
    • H01M2/08
    • H01M2/1241
    • H01M2/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때 내부가 자동으로 단락되는 구조를 가지는 중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는 한 쌍의 전극판과, 한 쌍의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 커버;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과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리드 플레이트; 상기 전극조립체의 타측면과 제2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리드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2 리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2 관통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 2 커버에 각각 접촉하는 제1, 2 단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중공형 이차전지{HOLLOW-SHAPED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중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때 내부가 자동으로 단락되는 구조를 가지는 중공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이차전지 중 고에너지 밀도와 높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는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디바이스 한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의 이차전지(단위전지)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외부 및 내부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대략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크게 젤리 롤형(권취형)과 스택형(적층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젤리 롤형 전극조립체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이차전지에는 과충전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전지 내부에서 이상이 발생할 때를 대비하는 안전장치로 전류차단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전류차단 소자는 외부 단자와, 전극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가 전지 내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용접된 부위가 외부 단자 또는 전극조립체와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류차단 소자는 ESS, 자동차 전지와 같이 고출력 전지에 적용될 경우 용접부위의 전류 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강하고 많은 용접 포인트를 필요로 하므로 설치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고출력 전지에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전극판과, 한 쌍의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 커버;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과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리드 플레이트; 상기 전극조립체의 타측면과 제2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리드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2 리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2 관통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 2 커버에 각각 접촉하는 제1, 2 단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락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설치되어 제1 관통홀을 밀봉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단락부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 리드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단락부는 제2 관통홀에 설치되어 제2 관통홀을 밀봉시키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단락부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2 리드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2 탄성부재는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중앙부가 반전되어 상기 제1, 2 커버에 각각 접촉하는 반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락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 커버와 제1 커넥터를 절연시키는 제3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락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2 커버와 제2 커넥터를 절연시키는 제4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4 인슐레이터의 내면에는 제1, 2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2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제1, 2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2 체결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 커버에는 상기 제3, 4 인슐레이터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제1, 2 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단부에는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을 띠는 제1, 2 무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 무지부에는 제1, 2 리드 플레이트가 각각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2 탭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탭 플레이트 및 제1 리드 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탭이 설치되며, 상기 제2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2 탭 플레이트 및 제2 리드 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2 탭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탭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 탭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제1, 2 인슐레이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2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1, 2 탭이 제1, 2 탭 플레이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커버와 제1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1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제2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2 가스켓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 압력이 일정이상 증가할 때 전지 내부 단락이 자동적으로 유도되므로 과충전 등에 따른 이상 현상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는 전지 내부 단락을 유도하는 제1, 2 단락부를 용접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조립 및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의 절단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의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단락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커버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의 절단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의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100)와, 케이스(200)와, 제1, 2 커버(300,400)와, 제1, 2 리드 플레이트(500,600)와, 제1, 2 단락부(700,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조립체(100)는 양극 또는 음극을 띠는 한 쌍의 전극판과, 한 쌍의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seperator)가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전극조립체(100)의 양단부에는 제1, 2 무지부(110,111)가 형성된다. 제1 무지부(110)는 양극을 띠는 전극판에 형성되어 양의 극성을 가지며, 제2 무지부(111)는 음극을 띠는 전극판에 형성되어 음의 극성을 가진다.
물론, 전극판의 극성이 변경될 경우 제1, 2 무지부(110,111)의 극성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제1 무지부(110)는 양극의 극성을 띠고, 제2 무지부(111)는 음극의 극성을 띤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전극조립체(100)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양단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며, 내부에는 상기 전극조립체(100)가 수용된다. 이러한 케이스(20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강철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제1, 2 커버(300,400)는 케이스(200)의 개방된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케이스(200) 내부에 상술한 전극조립체(100)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2 커버(300,400) 역시 도전성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500)는 전극조립체(100)의 일측면과 제1 커버(300) 사이에 설치되어 전극조립체(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500)는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제1 무지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의 A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를 위해 제1 무지부(1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재질의 제1 탭 플레이트(12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제1 탭 플레이트(12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 사이에는 제1 탭 플레이트(120) 및 제1 리드 플레이트(500)에 각각 접촉하여 제1 무지부(11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재질의 제1 탭(130)이 설치된다.
물론, 제1 리드 플레이트(500)와 전극조립체(100)의 연결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탭(130)이 직접 제1 무지부(110)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1 탭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제1 탭 플레이트(120)와 케이스(200)의 절연을 위한 제1 인슐레이터(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탭(130)이 제1 인슐레이터(140)를 통과하여 제1 탭 플레이트(1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인슐레이터(140)에는 삽입홀(14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30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 사이에는 제1 커버(30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의 절연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재질의 제1 가스켓(1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30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는 제1 가스켓(15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600)는 전극조립체(100)의 타측면과 제2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어 전극조립체(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600)는 상기 전극조립체(100)의 제2 무지부(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1의 B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B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를 위해 제2 무지부(111)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재질의 제2 탭 플레이트(121)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제2 탭 플레이트(121)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 사이에는 제2 탭 플레이트(121) 및 제2 리드 플레이트(600)에 각각 접촉하여 제2 무지부(111)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재질의 제2 탭(131)이 설치된다.
물론, 제2 리드 플레이트(600)와 전극조립체(100)의 연결구조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탭(131)이 직접 제2 무지부(111)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2 탭 플레이트(121)의 하면에는 제2 탭 플레이트(121)와 케이스(200)의 절연을 위한 제2 인슐레이터(14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탭(131)이 제2 인슐레이터(141)를 통과하여 제2 탭 플레이트(121)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인슐레이터(141)에는 삽입홀(1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커버(400)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 사이에는 제2 커버(400)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의 절연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재질의 제2 가스켓(151)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커버(400)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는 제2 가스켓(151)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제1, 2 단락부(700,800)는 제1, 2 리드 플레이트(500,600)에 형성되는 제1, 2 관통홀(510,61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1, 2 커버(300,400)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전지 내부를 단락시킨다.(도 3 내지 도 6 참조)
구체적으로, 과충전이나 외부충격 등에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제1 단락부(700)는 상기 제1 커버(300)에 접촉함으로써 제1 리드 플레이트(500)와, 제1 커버(300), 케이스(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2 단락부(800)는 상기 제2 커버(400)에 접촉함으로써 제2 리드 플레이트(600)와, 제2 커버(400), 케이스(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지 내부가 단락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단락부(700)는 제1 관통홀(510)에 설치되어 제1 관통홀(510)을 밀봉시키는 제1 탄성부재(710)와, 상기 제1 단락부(700)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 리드 플레이트(500)에 접촉하는 제1 커넥터(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 단락부(800)는 제2 관통홀(610)에 설치되어 제2 관통홀(610)을 밀봉시키는 제2 탄성부재(810)와, 상기 제2 단락부(800)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2 리드 플레이트(600)에 접촉하는 제2 커넥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2 탄성부재(710,810)는 소정두께를 가지며, 제1, 2 무지부(110,111)를 향해 라운드진 반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 탄성부재(710,810)는 전지 내부 압력이 일정이상 증가하면, 내부 압력에 의해 도 4 및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2 무지부(110,1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반전되어 제1, 2 커버(300,400)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제1, 2 탄성부재(710,810)가 반전되는 전지 내부 압력은 제1, 2 탄성부재(710,810)의 재질 또는 두께를 조절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락부(700)는 제3 인슐레이터(730)를 더 포함하며, 제2 단락부(800)는 제4 인슐레이터(8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인슐레이터(730)는 제1 커넥터(72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제1 커버(300)와 제1 커넥터(720)를 절연시키고, 상기 제4 인슐레이터(830)는 제2 커넥터(82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제2 커버(400)와 제2 커넥터(820)를 절연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단락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4 인슐레이터(730,830)의 내면에는 제1, 2 돌기부(731,8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2 커넥터(720)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제1, 2 돌기부(731,831)가 각각 삽입되는 제1, 2 체결홈(721,8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인슐레이터(730)는 제1 커버(300)에 결합되어 제1 단락부(700)가 제1 커버(300)와 제1 리드 플레이트(50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4 인슐레이터(830)는 제2 커버(400)에 결합되어 제2 단락부(800)가 제2 커버(400)와 제2 리드 플레이트(60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커버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2 커버(3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4 인슐레이터(730,830)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제1, 2 홈(310,41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2 탄성부재(710,810)가 전지 내부 압력에 의해 반전될 경우 제1, 2 탄성부재(710,810)는 상기 제1, 2 홈(310,410)의 중앙부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도 4 및 도 6 참조)
물론, 제1, 2 단락부(700,800)의 고정을 위해 제1, 2 커넥터(720,820)를 제1, 2 리드 플레이트(500,600)에 각각 용접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별도의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미설명부호 900은 제1 리드 플레이트(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의 극성을 띠는 제1 외부 단자이며, 미설명부호 910은 제2 리드 플레이트(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의 극성을 가지는 제2 외부 단자이다.
또한, 미설명 부호 920은 제1 커버(3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외부 단자(900)를 감싸 절연시키는 상부 가스켓이며, 미설명 부호 930은 제2 커버(4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외부 단자(910)를 감싸 절연시키는 하부 가스켓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이차전지의 내부 단락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과충전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전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내부 압력이 점차 증가하면, 이러한 압력은 1, 2 관통홀(510,610)을 통해 제1, 2 탄성부재(710,810)에 전달된다.
이때, 제1, 2 탄성부재(710,810)는 제1, 2 무지부(110,111)를 향해 라운드진 형태를 유지하다가 압력이 일정이상 높아지면, 제1, 2 커버(300,400)를 향해 반전되어 제1, 2 커버(300,400)에 각각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2 탄성부재(710,810)가 제1, 2 커버(300,400)에 각각 접촉하면, 제1 탄성부재(710)에 의해 제1 무지부(110)와 케이스(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탄성부재(810)에 의해 제2 무지부(111)와 케이스(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2 외부 단자(900,910)로 흐르는 전류의 패스가 케이스(200)로 변경되어 전류의 단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극조립체 110: 제1 무지부
111: 제2 무지부 120: 제1 탭 플레이트
121: 제2 탭 플레이트 130: 제1 탭
131: 제2 탭 140: 제1 인슐레이터
141: 제2 인슐레이터 150: 제1 가스켓
151: 제2 가스켓 200: 케이스
300: 제1 커버 310: 제1 홈
400: 제2 커버 410: 제2 홈
500: 제1 리드 플레이트 510: 제1 관통홀
600: 제2 리드 플레이트 610: 제2 관통홀
700: 제1 단락부 710: 제1 탄성부재
720: 제1 커넥터 730: 제3 인슐레이터
800: 제2 단락부 810: 제2 탄성부재
820: 제2 커넥터 830: 제4 인슐레이터
900: 제1 외부 단자 910: 제2 외부 단자
920: 상부 가스켓 930: 하부 가스켓

Claims (10)

  1. 한 쌍의 전극판과, 한 쌍의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 커버;
    상기 전극조립체의 일측면과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리드 플레이트;
    상기 전극조립체의 타측면과 제2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리드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2 리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2 관통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 2 커버에 각각 접촉하는 제1, 2 단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형 이차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락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설치되어 제1 관통홀을 밀봉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단락부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1 리드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단락부는 제2 관통홀에 설치되어 제2 관통홀을 밀봉시키는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단락부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제2 리드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형 이차전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탄성부재는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중앙부가 반전되어 상기 제1, 2 커버에 각각 접촉하는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락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 커버와 제1 커넥터를 절연시키는 제3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락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2 커버와 제2 커넥터를 절연시키는 제4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형 이차전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 인슐레이터의 내면에는 제1, 2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2 커넥터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제1, 2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2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커버에는 상기 제3, 4 인슐레이터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일정 깊이의 제1, 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단부에는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을 띠는 제1, 2 무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 무지부에는 제1, 2 리드 플레이트가 각각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2 탭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이차전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 탭 플레이트 및 제1 리드 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1 탭이 설치되며,
    상기 제2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2 탭 플레이트 및 제2 리드 플레이트에 각각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제2 탭이 설치되는 중공형 이차전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제2 탭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제1, 2 인슐레이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2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1, 2 탭이 제1, 2 탭 플레이트에 접촉할 수 있도록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중공형 이차전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제1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1 가스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제2 리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제2 가스켓이 설치되는 중공형 이차전지.
KR1020150047178A 2014-07-14 2015-04-03 중공형 이차전지 KR10167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8A KR101679413B1 (ko) 2015-04-03 2015-04-03 중공형 이차전지
PCT/KR2015/007052 WO2016010294A1 (ko) 2014-07-14 2015-07-08 중공형 이차전지
CN201580000908.5A CN105637696A (zh) 2014-07-14 2015-07-08 中空型二次电池
US15/326,033 US20170200935A1 (en) 2014-07-14 2015-07-08 Hollow core secondary battery
EP15787121.1A EP2996189A4 (en) 2014-07-14 2015-07-08 HOLLOW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178A KR101679413B1 (ko) 2015-04-03 2015-04-03 중공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89A true KR20160118689A (ko) 2016-10-12
KR101679413B1 KR101679413B1 (ko) 2016-11-25

Family

ID=5717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78A KR101679413B1 (ko) 2014-07-14 2015-04-03 중공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40A1 (ko) * 2017-05-26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351B1 (ko) * 2021-01-19 2022-09-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47738B1 (ko) * 2021-02-19 2022-09-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19123339U (zh) * 2021-10-22 2023-06-02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包括它的电池组及汽车
CN219350420U (zh) * 2021-10-22 2023-07-14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包括该圆筒形电池的电池组及汽车
CN219123348U (zh) * 2021-10-22 2023-06-02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包括该圆筒形电池的电池组及汽车
WO2023149688A1 (ko) * 2022-02-04 2023-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45B1 (ko) 2007-01-1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40A1 (ko) * 2017-05-26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80129433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11121434B2 (en) 2017-05-26 2021-09-1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413B1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13B1 (ko) 중공형 이차전지
US1012848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036070B1 (ko) 이차 전지
US8753765B2 (en) Secondary battery
US9490468B2 (en) Secondary battery
US9299972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separating member between current collector and battery case
EP2403036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39785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20110095101A (ko) 이차 전지
US20170200935A1 (en) Hollow core secondary battery
KR20160042243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1406A (ko) 이차 전지
KR20150047417A (ko)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EP3544078B1 (en) Secondary battery
KR20150035205A (ko) 이차 전지
KR102332447B1 (ko) 이차 전지
KR102361705B1 (ko)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50028632A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US9853281B2 (en) Secondary battery
KR20140124247A (ko) 이차 전지
KR20160019016A (ko)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70121998A (ko)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US10084176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070081559A (ko) 억지끼움 결합 방식의 리벳을 이용한 무용접 방식의 전지팩
KR20140135096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