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607A -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607A
KR20160118607A KR1020150046977A KR20150046977A KR20160118607A KR 20160118607 A KR20160118607 A KR 20160118607A KR 1020150046977 A KR1020150046977 A KR 1020150046977A KR 20150046977 A KR20150046977 A KR 20150046977A KR 20160118607 A KR20160118607 A KR 20160118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ath
raw material
provid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117B1 (ko
Inventor
이재설
도현옥
서준석
최두원
한진수
박현호
문주영
Original Assignee
(주)하이비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비젼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하이비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4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11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67/00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화 막힘 현상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 용융액 누출로 인하여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체결 구조를 구비하고,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와 연결되어 원료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에 삽입되어 원료의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방지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APPARATUS FOR USING SEPARABLE MODULE IN SPOUTING 3D PRINTING MATERIAL}
본 발명은 열화 막힘 현상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 용융액 누출로 인하여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술에는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담긴 수조(Vat) 안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고 수조 안에 있는 조형물이 한 층(Layer) 씩 만들어질 때마다 수조가 층 두께만큼 하강하고 다시 레이저를 주사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광경화성 수지(빛을 받으면 경화되는 수지)'에 조형하고자 하는 모양의 빛을 투사하면서 수지를 층층이 굳혀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잉크젯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프린터 헤드의 노즐에서 액체 상태의 컬러 잉크와 경화물질(바인더)을 분말 원료에 압출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 가운데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하나의 동일한 액화 원료(플라스틱, 왁스, 금속 등)를 지정(목표)된 범위에 적층시켜 입체 구조물을 완성 시킨다.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로 불리는 이러한 기술 방식을 이용한 노즐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원료(10)가 노즐(30)로 공급되고, 높은 열에 의해 원료가 녹아 압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즐 조립체는, 열화 막힘 현상, 즉, 장시간 프린트 작업을 지속하는 경우 필라멘트 용융에 필요한 고온의 열이 온도 상승 위치 뿐 아니라 필라멘트 삽입부까지 가해지게 되어 필라멘트 용융·토출을 방해하고 이에 따라 노즐의 막힘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 시 열화 막힘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필라멘트 용융액이 노즐 조립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보수 작업을 위하여 장치 전체를 분해한 후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을 이용한 노즐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열화 막힘 현상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 용융액 누출로 인하여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1 특징은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체결 구조를 구비하고,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와 연결되어 원료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에 삽입되어 원료의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방지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은 상기 부착방지용 관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부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이 삽입되고 하부로 상기 노즐부가 삽입되는 제1 원통형 통로 구조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은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통형 통로 구조 내벽은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과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는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는 상기 경로 제공용 관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나사골이 형성된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와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의 경계에 상기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는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 측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을 3차원 프린터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하부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원통형 통로 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에 나사골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나사골이 형성된 상부와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외부에 장착되는 하부의 경계에 동심 결정용 단차가 형성된 동심 결정용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형 통로 구조의 내벽은 상기 동심 결정용 조립체의 나사골에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는 노즐 조립체에 테프론 호스를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열화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고무링을 이용하여 필라멘트 용융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식에서 발생하던 열화 막힘 현상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 용융액 누출로 인하여 장치 전체 분해 후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내에 장착된 노즐부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내에 장착된 노즐부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내에 장착된 부시 및 동심 결정용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열화 막힘 현상 및 이에 따른 필라멘트 용융액 누출로 인하여 노즐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는, 노즐부(100), 경로 제공용 관(200), 부착방지용 관(300)을 포함한다.
노즐부(100)는, 경로 제공용 관(200)과 연결되는 원통형 체결 구조(110)를 구비하고, 필라멘트인 원료를 입력받아 열을 가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된 필라멘트를 압출한다. 즉, 노즐부(100)는, 경로 제공용 관(200)을 통하여 주입된 필라멘트를 용융·압출하여 조형판(Bed) 위에 성형물을 만든다. 여기서, 원료로서 열 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가소성 수지는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나일론(Nylon), 레이우드(Laywood)인 필라멘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부(100)의 원료 토출 부분의 구경은 0.25mm 내지 0.4mm 구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료의 종류 및 원료를 액화하는 온도에 따라 원료의 점성은 변화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로 제공용 관(Pipe)(200)은, 노즐부(100)의 원통형 체결 구조(110, 120)와 연결되어 원료 공급 경로를 형성한다. 즉, 경로 제공용 관(200)은, 필라멘트가 노즐부(100)에 정확하게 주입되도록 돕는 경로를 형성하며, 금속 재질의, 특히, 스테인리스(Stainless)의 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부착방지용 관(300)은, 경로 제공용 관(200) 내에 삽입되어 원료의 상기 경로 제공용 관(200) 내 부착을 방지한다. 즉, 부착방지용 관(300)은, 경로 제공용 관(200) 내 장착 시, 경로 제공용 관(200)의 내벽을 이루어 경로 제공용 관(200)과 함께 필라멘트가 노즐부(100)에 정확하게 주입되도록 돕는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필라멘트가 경로 제공용 관(200)의 내벽에 부착되어 필라멘트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테플론(Teflon) 재질의 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부착방지용 관(300)은, 경로 제공용 관(200)의 내벽을 보호하여 경로 제공용 관(200)의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부(100), 경로 제공용 관(200) 및 부착방지용 관(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며, 부착방지용 관(300)은 경로 제공용 관(200)의 하부로 삽입된다. 즉, 부착방지용 관(300)은, 필라멘트가 경로 제공용 관(200)의 내벽에 부착되어 노즐부(100)로의 원료 공급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부착방지용 관(300)이 상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노즐의 장시간 사용 시 경로 제공용 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빠져 나오는 현상이 실험에 의하여 관찰된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더하여, 경로 제공용 관(200)은 부착방지용 관(300)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210)가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경로 제공용 관(200)의 단차(210)는, 상술한 하부 삽입 형태의 설계를 한층 더 보완하여 노즐의 장시간 사용 시 경로 제공용 관(200)의 상부를 통하여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경로 제공용 관(200)의 단차(210)는, 필라멘트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 높이(210a)가 부착방지용 관(300)의 두께(300a)에 근접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부(400)는, 경로 제공용 관(200) 및 노즐부(1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부로 경로 제공용 관(200)이 삽입되고 하부로 노즐부(100)가 삽입되는 제1 원통형 통로 구조(410)를 제공하고,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110)은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원통형 통로 구조(410) 내벽은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110)과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는, 연결부(400)의 도움 없이 경로 제공용 관(200) 및 노즐부(100)각각의 체결 구조에 의하여 경로 제공용 관(200) 및 노즐부(100)를 연결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0)를 이용하여 경로 제공용 관(200) 및 노즐부(100) 간에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내에 장착된 노즐부(100)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노즐부(100)는,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10) 및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10)은,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고, 본 발명의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의 조립 시에 경로 제공용 관(200)과 노즐부(100) 사이에 삽입되어 필라멘트 용융액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노즐부(100)의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120)는, 경로 제공용 관(20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나사골이 형성된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110)와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120)의 경계에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10)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20)은,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10)과 마찬가지로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고, 본 발명의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의 조립 시에 경로 제공용 관(200)과 노즐부(100) 사이에 삽입되어 필라멘트 용융액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노즐부(100)의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120)는, 경로 제공용 관(20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경로 제공용 관(200) 측에 인접한 부분에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520)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10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내에 장착된 부시(600) 및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는, 부시(Bush, 축받이통)(600) 및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시(600)는, 경로 제공용 관(200)을 3차원 프린터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하부로 경로 제공용 관(20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원통형 통로 구조(61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700a)에 나사골이 형성되고 하부(700b)는 경로 제공용 관(20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나사골이 형성된 상부(700a)와 경로 제공용 관(200)의 외부에 장착되는 하부의 경계에 동심 결정용 단차(7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는, 경로 제공용 관(200)이 3차원 프린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중심이 비틀어지지 않도록 단차(710)를 제공함으로써 필라멘트가 노즐부(100)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는, 제2 원통형 통로 구조(610)의 내벽에 동심 결정용 조립체의 나사골(700a)에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됨으로써 동심 결정용 조립체(700)와 부시(6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원료
20: 롤러
30 : 노즐
100: 노즐부
110, 120: 원통형 체결구조
200: 경로 제공용 관
210: 단차
300: 부착방지용 관
400: 연결부
410: 제1 원통형 통로 구조
510: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
520: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
600: 부시
610: 제2 원통형 통로 구조
700: 동심 결정용 조립체
710: 동심 결정용 단차

Claims (7)

  1.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체결 구조를 구비하고,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와 연결되어 원료 공급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에 삽입되어 원료의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내 부착을 방지하는 부착방지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각각 서로 분리가능하며, 상기 부착방지용 관은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하부로 삽입되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은 상기 부착방지용 관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가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 및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부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이 삽입되고 하부로 상기 노즐부가 삽입되는 제1 원통형 통로 구조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은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통형 통로 구조 내벽은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 외벽과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는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는 상기 경로 제공용 관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나사골이 형성된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하부와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의 경계에 상기 제1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가 형성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무 재질의 링형 구조를 갖는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체결 구조 중 상부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 측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제2 원료 누설 방지용 고무링이 안착되는 홈형 구조가 형성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을 3차원 프린터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부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시는 하부로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원통형 통로 구조를 구비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에 나사골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나사골이 형성된 상부와 상기 경로 제공용 관의 외부에 장착되는 하부의 경계에 동심 결정용 단차가 형성된 동심 결정용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형 통로 구조의 내벽은 상기 동심 결정용 조립체의 나사골에 정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된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KR1020150046977A 2015-04-02 2015-04-02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KR10168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77A KR101689117B1 (ko) 2015-04-02 2015-04-02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77A KR101689117B1 (ko) 2015-04-02 2015-04-02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607A true KR20160118607A (ko) 2016-10-12
KR101689117B1 KR101689117B1 (ko) 2016-12-23

Family

ID=5717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77A KR101689117B1 (ko) 2015-04-02 2015-04-02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555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큐비콘 3d 프린터용 고경도 노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244A (ja) * 2006-04-03 2009-09-10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押出ラインを有する、単一モータの押出ヘッド
CN103963302A (zh) * 2014-04-25 2014-08-06 福建海源三维打印高科技有限公司 一种蜡材料3d打印机机头
KR101432121B1 (ko) * 2013-06-25 2014-08-20 주식회사 오픈크리에이터즈 3차원 프린터용 노즐 어셈블리
CN104369385A (zh) * 2014-11-28 2015-02-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打印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244A (ja) * 2006-04-03 2009-09-10 ストラタ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押出ラインを有する、単一モータの押出ヘッド
KR101432121B1 (ko) * 2013-06-25 2014-08-20 주식회사 오픈크리에이터즈 3차원 프린터용 노즐 어셈블리
CN103963302A (zh) * 2014-04-25 2014-08-06 福建海源三维打印高科技有限公司 一种蜡材料3d打印机机头
CN104369385A (zh) * 2014-11-28 2015-02-2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打印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555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큐비콘 3d 프린터용 고경도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117B1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753B2 (en) Liquefier assembly having inlet liner for use i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101502342B1 (ko) 스크류 압출 방식을 이용하는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3d 프린터
US3694292A (en) Extrusion head for producing a multilayer blown tubular film
AU664261B2 (en) Plastic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and extruding a hollow tube for forming a plastic container by blowing
US20160096321A1 (e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KR101689117B1 (ko) 모듈 분리형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CN109094011B (zh) 一种适合聚醚醚酮的3d打印机头
CN204712470U (zh) 打印头及三维打印机
CN104890243A (zh) 打印头、三维打印机及三维打印方法
KR101802193B1 (ko) 3차원 프린터용 노즐 구조
KR102262891B1 (ko) 3d 프린터용 노즐 구조
EP1732742A1 (en) Injection device
CN103052488A (zh) 挤压模头
KR20090060954A (ko) 압출성형 공구에 관한 구성 및 방법
RU2363576C2 (ru) Экструзионное сопло для экструдирования полых профилей
KR102106209B1 (ko) 3d 프린터용 압출기
JP2006516934A (ja) コインジェクションノズル
GB1594870A (en) Method for forming a hot melt adhesive cartridge
KR101316883B1 (ko) 속금형의 교환을 통한 내경 프로파일의 형상 변환과 색채 가미용 합성수지관 및 그 장치와 제조방법
JP2016091950A (ja) 線状材被覆方法及び線状材被覆装置
KR20170031888A (ko) 3차원 프린터 원료 감지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
EP3703929B1 (en) Polymer coextrusion head with a dual-channel nozzle
JP2009056758A (ja) 射出ノズル
CN112743828A (zh) 一种环状夹心多材料4d打印喷头及4d打印设备
CN109109267B (zh) 分配机构、注塑喷嘴和带注塑喷嘴和分配机构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