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546A -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546A
KR20160118546A KR1020150046829A KR20150046829A KR20160118546A KR 20160118546 A KR20160118546 A KR 20160118546A KR 1020150046829 A KR1020150046829 A KR 1020150046829A KR 20150046829 A KR20150046829 A KR 20150046829A KR 20160118546 A KR20160118546 A KR 2016011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partial
devices
electronic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5004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546A/ko
Publication of KR2016011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17/21
    • G06F17/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은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작성자 수에 대응하도록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누는 단계 및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복수의 작성자 누구도 전자문서를 갖지 않도록 하고, 본 발명은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 복수의 작성자중 일인이 단독으로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할 수 없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을 제공 함으로서 암호 없이 전자문서의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METHOD FOR AN ELECTRONIC DOCUMENT SECURITY}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문서는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된 정보가 모여 만들어진 단위 정보체로서 흔히 파일단위로 생성, 유통된다. 뿐만 아니라, 문자로만 구성된 텍스트 문서뿐만 아니라 그림, 음악, 동영상 같은 디지털 컨텐츠도 넓게는 전자문서에 속한다. 종이문서와는 달리 전자문서는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해 문서 라이프사이클 (생성, 활용, 보관 폐기) 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바, 전자문서는 종이 문서에 비하여 편집이 용이하고 문서의 배포가 용이하여 다수의 작성자에 의해 공동으로 작업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이 문서에 비하여 전자문서는 수정된 경우 원본과 수정본의 차이를 확인하기 어렵고, 물리적인 실체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용이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보안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문서의 경우 다양한 암호화 기술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암호화 기술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암호를 습득하는 경우 전자문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자문서의 보안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는 없다.
특히, 전자문서가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되어 복수의 작성자 각각이 전자문서를 소유하는 경우 전체 작성자의 동의 없이 전자문서가 편집되거나 배포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고자 복수의 암호를 설정하여 복수의 암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문서를 열람 및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이 있으나, 해킹에 의해 암호가 풀릴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전자문서가 작성된 경우 전자문서의 열람, 편집 및 배포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존재 하였다.
문서 공동 편집 장치 및 그 방법(특허출원번호 제 10- 2000-0017512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문서를 2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저장 함으로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 복수의 작성자 중 일인이 단독으로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할 수 없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작성자 수에 대응하도록 전자문서를 복수의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누는 단계 및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복수의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획득되었을 때 전자문서를 로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분 전자문서 모두를 하나의 디비아스 또는 서버에서 열 수 있는 경우, 부분 전자문서를 결합하여 전자문서를 복원하는 단계 및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결합된 전자문서를 다시 편집하는 경우 편집된 전자문서를 재편집된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기존의 부분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및 재편집된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여 복수의 작성자 누구도 전자문서의 원본을 갖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자문서는 PDF 형식의 문서이고,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의 헤더, 바디, 크로스 테이블, 데이터 등과 같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를 분할 압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를 분할한 파일의 개수와 일련 번호를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는 호스트 (Host) 디바이스로 동작을 하고,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Client) 디바이스로 동작으로 하여,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원거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로 동작을 하고,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동작으로 하여,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온라인 서버에 의해 연결되며,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온라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를 공동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작성자 수에 대응하도록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고,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여 복수의 작성자 누구도 전자문서의 원본을 갖지 않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문서를 2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 저장 함으로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 복수의 작성자 중 일인이 단독으로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할 수 없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을 제공 함으로서 암호 없이 전자문서의 보안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문서란, 정보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 또는 편집되어 생성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는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사의 오피스 (Office) 프로그램 군에 포함된 워드 (Word), 엑셀 (Excel), 파워 포인트 (PowerPoint) 나,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컴 오피스 또는 어도비 (Adobe) 사의 아크로뱃 (Acrobat) 과 같이 PC 를 기반으로 한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뿐만 아니라, 최근 모바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 (smartphone) 또는 태블릿 (Tablet) 컴퓨터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웨어® (Infraware®) 사의 폴라리스 오피스® (Polaris Office®) 군의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문서는 HTML, XML, SGML과 같은 구조화된 전자문서도 포함하며, 전자적 형태로 작성 및 편집되어 생성되거나 저장된 정보라면, 각종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메모, 동영상, 이미지도 전자문서로 상정할 수 있다. 전자문서는 일반적으로 텍스트를 포함하며, 페이지에 대한 정보인 페이지 구성정보 및 폰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분 전자문서란, 전자문서를 2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시킨 상태의 단위 파일을 의미하며 분리시킨다는 것은 각각의 단위 부분 전자문서로는 전자문서의 일부도 볼 수 없고, 분리된 복수의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모였을 때만 비로소 컨텐츠를 볼 수 있게 하는 특징을 구비하는 모든 형태의 전자문서의 분리된 형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전자문서는 개별적으로는 전자문서 편집기에서 열 수 없는 형태로 된 파일을 의미하며, 전자문서를 n개의 부분 전자 문서로 나눈 경우 n개의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결합하여야 완전한 전자문서를 복원할 수 있어 전자문서 편집기에서 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의 블록도이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프로세서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및 메모리 (140)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전자문서를 편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편집된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적어도 프로세서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및 메모리 (140)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일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거나 이들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를 노트북 컴퓨터로 상정하고 설명하나, 노트북 컴퓨터로 제한되지 않고,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는 위의 열거한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 중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 (110) 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에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프로세서 (110) 를 통해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의 수를 파악하고,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누며, 부분 전자문서를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부분 전자문서를 전자문서로 복원하고, 전자문서를 열람 및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통신부 (120) 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가 외부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 (120) 를 통해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부분 전자문서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거나 외부 디바이스에서 부분 전자문서를 수신 받을 수 있다. 통신부 (120) 는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20) 는 근거리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130) 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저장부 (130) 에 전자문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30) 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 (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일 수 있다. 하지만 저장부 (130) 는 상술한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범용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40) 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00) 는 메모리 (140) 에 전자문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프로세서 (110) 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 (140) 는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일 수 있다. 하지만 메모리 (140) 는 상술한 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범용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는 복수의 작성자의 명령에 따라서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눈다 (S210).
전자문서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는 편집과정이 완료되거나 중단되어 복수의 작성자 각각이나 제 3자에 의해 열람 및 편집이 불가능하도록 부분 전자문서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문서가 부분 전자로 분리되어 저장되는 것은 복수의 작성자 모두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실시될 수 있다.
부분 전자문서로 전자문서를 나누기 위해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는 복수의 작성자의 수를 찾는다. 전자문서 편집단말기가 전자문서의 작성자의 수를 파악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작성자가 직접 전자문서의 작성자의 수를 입력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전자문서 편집기에 연결된 작성자의 정보를 전자문서 편집기가 파악하여 전자문서의 작성자의 수가 자동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작성자의 수가 정해지면,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는 전자문서를 복수의 작성자의 수 대응하는 부분 전자문서로 나눈다. 예를 들어, n명의 작성자에 의해 전자문서가 작성된 경우, 전자문서 편집기는 전자문서를 n개의 부분 전자문서로 나눈다.
부분 전자문서는 각각의 부분 전자문서로는 전자문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도록 나누어 지고,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모여서 하나의 전자문서로 복원된 경우에 한하여 전자문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나누어 진다. 즉, 하나의 부분 전자문서 또는 전체 부분 전자문서에서 일부의 부분 전자문서가 누락된 경우에는 전자문서의 일부의 내용도 파악할 수 없도록 전자문서는 부분 전자문서로 나누어 진다. 따라서,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와 다른 형태의 파일이며, 부분 전자문서 파일명의 확장자는 전자문서 파일명의 확장자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가 PDF 형식이라면, 부분 전자문서는 PDF 파일의 헤더 (header), 바디 (body), 크로스 테이블 (cross table) 및 트레일러 (trailer) 각각에 해당하도록 나누어 질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를 압축한 분할 압축 파일의 조각일 수도 있다.
다만, 부분 전자문서는 전체 부분 전자문서의 수와 각각의 부분 전자문서의 순서를 알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전자문서 파일의 명칭에 m/n과 같이 전체 n개의 부분 전자문서 중 m번째 부분 전자문서라는 표시가 추가되어 각각의 부분 전자문서는 다른 부분 전자문서와 구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분 전자문서를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S220).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는 부분 전자문서 중 하나를 중복되지 않게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로 하나씩 전송한다. 따라서, 복수의 작성자 각각은 부분 전자문서의 조각을 하나씩 수신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부분 전자문서를 전송하는 경우 부분 전자문서의 원본이 되는 전자문서는 삭제된다. 원본이 되는 전자문서가 삭제됨에 따라서 어느 누구도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할 수 없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밀번호 또는 별도의 보완을 위한 수단이 없이도 복수의 작성자 모두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원본이 되는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가 획득된다.
또한, S210 단계 및 S220 단계 만으로도 전자문서를 복수의 작성자 각각 및 제 3자에 의해 열람 및 편집이 불가능 하다는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다시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하기 위하여는 S230 단계 내지 S240 단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전자문서를 다시 열람하거나 편집하기 위해 부분 전자문서를 전자 문서로 복원한다 (S230).
전자문서를 복원하기 위해 복수의 작성자 모두가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을 요청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로 부분 전자문서를 모두 전송하면,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전송된 디바이스는 모든 부분 전자문서를 합성하여 전자문서를 복원할 수 있다.
다만, 부분 전자문서를 모두 전송 받을 디바이스는 S210 단계에서 전자 문서를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눈 전자문서 편집단말기가 아니라도 무관하며, 전자문서 편집단말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디바이스라면 부분 전자문서를 전자문서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를 다시 합성하기 원하는 복수의 작성자 중 일인이 다른 복수의 작성자 (들) 에게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을 요청하고, 복수의 작성자 각각의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에 대한 승인이 있는 경우 각각의 부분 전자문서는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을 요청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모든 부분 전자문서가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을 요청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로 전송되면, 모든 부분 전자문서를 합쳐서 하나의 전자문서로 복원할 수 있다.
전자문서가 복원 되면 전자 문서를 열람 및 편집을 한다 (S240).
복원된 전자문서는 부분 전자문서로 나누어 지기 전의 전자문서와 동일한 전자문서로서 기존의 작성된 전자문서를 연속성 있게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복원된 전자문서는 부분 전자문서의 전송을 요청한 전자문서 편집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작성자의 전자문서 편집단말기에서 열람 및 편집을 할 수 있다.
편집이 완료되거나 중단된 경우 다시 복수의 작성자 모두의 승인이 있는 경우, 이러한 전자문서는 다시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누어 복수의 작성자에게 다시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디바이스 (310 내지 313) 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디바이스 (310 내지 313) 각각은 복수의 작성자 각각의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310) 은 호스트 디바이스로 동작을 하고, 디바이스 (311 내지 313)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동작을 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 (311) 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이고, 호스트 디바이스 (311) 는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눈다. 호스트 디바이스 (311)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 내지 313) 와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은 유선랜, 무선랜,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 일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망이나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통신망 일 수도 있다. 다만, 특정한 통신망으로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다.
호스트 디바이스 (311) 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311 내지 313) 로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분 전자문서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b는 호스트 디바이스 (310) 에서 부분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전자문서를 복원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부분 전자문서 (321) 는 부분 전자문서의 일련번호 (322) 를 가지고 있으며, 각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부분 전자문서의 수신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부분 전자문서의 수신상태에 따라서 수신완료 (331), 수신중 (341) 및 미수신 (351) 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상태를 표시함에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부분 전자문서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 (310) 에 모든 부분 전자문서가 수신된 경우 부분 전자문서를 전자문서로 복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나누고, 나누어진 부분 전자문서를 전자문서로 합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문서 편집단말기는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310 내지 313) 이 아니라, 별도의 서버 (4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 (410) 는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310 내지 313) 로 부분 전자문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 (410) 는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310 내지 313) 로 부터 부분 전자문서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서버 (410) 는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310 내지 313) 는 도 3a에서 상술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자문서 편집단말기
110 : 프로세서
120 : 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메모리

Claims (12)

  1.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 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자문서를 복수의 부분 전자문서 조각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부분 전자문서가 모두 획득되었을 때 상기 전자문서를 로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전자문서 모두를 하나의 디비아스 또는 서버에서 열 수 있는 경우,
    상기 부분 전자문서를 결합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된 상기 전자문서를 다시 편집하는 경우 편집된 상기 전자문서를 재편집된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기존의 상기 부분 전자문서를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재편집된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작성자 누구도 상기 전자문서의 원본을 갖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는 PDF 형식의 문서이고,
    상기 부분 전자문서는 전자문서의 헤더, 바디, 크로스 테이블, 데이터 등과 같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전자문서는 상기 전자문서를 분할 압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전자문서는 상기 전자문서를 분할한 파일의 개수와 일련 번호를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는 호스트 (Host) 디바이스로 동작을 하고,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Client) 디바이스로 동작으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원거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로 동작을 하고,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동작으로 하여,
    상기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는 온라인 서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12. 복수의 작성자에 의해 작성된 전자문서를 공동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성자 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자문서를 부분 전자문서로 분할하고,
    상기 부분 전자문서 각각을 상기 복수의 작성자의 디바이스 각각에 중복되지 않게 하나씩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작성자 누구도 상기 전자문서의 원본을 갖지 않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50046829A 2015-04-02 2015-04-02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KR20160118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29A KR20160118546A (ko) 2015-04-02 2015-04-02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829A KR20160118546A (ko) 2015-04-02 2015-04-02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46A true KR20160118546A (ko) 2016-10-12

Family

ID=5717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829A KR20160118546A (ko) 2015-04-02 2015-04-02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5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35A (ko)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문서 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512A (ko) 1998-08-28 2000-03-25 구마모토 마사히로 웨이퍼 기판 재생방법 및 웨이퍼 기판 재생을 위한 연마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512A (ko) 1998-08-28 2000-03-25 구마모토 마사히로 웨이퍼 기판 재생방법 및 웨이퍼 기판 재생을 위한 연마액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035A (ko)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문서 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6788B2 (en) Developer based document collaboration
US8134553B2 (en) Rendering three-dimensional objects on a server computer
CN106843978B (zh) 一种sdk接入方法及系统
US7933924B2 (en) Document objects
CN102007509A (zh) 通过基于web的桌面生产力应用程序来插入多媒体文件
WO2013044048A2 (en) Generating a visual depiction of a cover for a digital item
CN107111649B (zh) 将用户和系统数据从源位置上传到目的地位置
US20170076008A1 (en) Dynamic file concatenation
JP2016085609A (ja) 電子著作物のコンテンツの二次利用を支援する方法、並びに、電子著作物のコンテンツの二次利用を支援する為の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そのサーバ・コンピュータ用プログラム
US11822700B2 (en) Method and system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a certified document while persisting state in a dynamic form
KR101908410B1 (ko) 페이지 정보를 이용한 전자책 제공 방법
US9928751B2 (en) Generic media covers
US7594169B2 (en) Compressing, and extracting a value from, a page descriptor format file
US10176334B2 (en) Data security using alternative encoding
JP6755539B2 (ja) ネットワークに著作物を公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60118546A (ko) 전자문서의 보안 방법
US9135725B2 (en) Generic media covers
JP5547917B2 (ja) 携帯情報端末用コンテンツ生成・配信システム
US201103209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Utilizing XooML: Cross (X) Tool Markup Language
US9552463B2 (en) Functionality watermarking and management
CN107749892B (zh) 会议记录的网络读取方法、装置、智能平板和存储介质
CN108875403B (zh) 一种文件管理方法及装置
KR101469882B1 (ko) 가상 프린터를 이용한 모바일 열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3970799A (zh) 一种电子文档的生成方法、装置和客户端
US9646015B1 (en) Digital work com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