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019A -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019A
KR20160118019A KR1020150046243A KR20150046243A KR20160118019A KR 20160118019 A KR20160118019 A KR 20160118019A KR 1020150046243 A KR1020150046243 A KR 1020150046243A KR 20150046243 A KR20150046243 A KR 20150046243A KR 20160118019 A KR20160118019 A KR 2016011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llumination
control
user
voic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노스 filed Critical (주)아이노스
Priority to KR102015004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019A/en
Publication of KR2016011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05B33/0806
    • H05B37/0227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which can use a mobile terminal of a user, on whic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as an input means for light control, and can enable the user to turn on or off a light through the users voice, and to adjust dimming of the light, and a 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smartphone; a microphone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a memory storing the voice command input from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 sub-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light to control the light to be turned on or off and to control dimming of the light; and a control unit comparing the voic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directing the sub-control unit to control the light to be turned on or off or adjust dimming of the light when the voic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corresponds to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Description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조명제어를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용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 음성을 통해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 조절 가능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using a user's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s input means for illumination control,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실내조명을 위한 조명등이 천장에 설치되고, 이를 켜거나 끄기 위한 스위치는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한 번의 조작으로 조명등의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조명등을 한 곳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In general, the lighting for indoor lighting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switch for turning it on and off is often installed on the wall near the door. Such a switch is generally constituted by a button type so that the illumination lamp can be turned on and off by a single operation. In many cases, a plurality of switches are arranged to control a plurality of illumination lamps in one pla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는 사람이 직접 스위치를 찾아가서 조작을 해야만 하므로, 예를 들면, 한밤중과 같이 주위를 볼 수 없는 어두운 실내에서 스위치를 찾지 못하여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 벽이나 다른 물체에 부딪히거나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witch as described above has to manually go to the switch and operate i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switch can not be found in the dark room where the surroundings can not be seen, for example, at midnight, Occasionally, a person may be injured by being hit by a wall or other object or falling over.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스위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108967호 "리모트 콘트롤 점멸장치" 등과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함)를 사용하여 조명용 스위치를 제어하여 전등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명스위치의 제어기가 제시된 바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witches, a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such a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8967 "remote control flasher" can be used to control the lighting switch to turn the lamp on and off A controller of the lighting switch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리모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다 보면 리모콘을 어디에 두었는지 행방을 정확하게 알 수 없거나, 또는 리모콘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리모콘을 놔둔 곳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리모콘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것보다 벽면 스위치로 이동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도 있다.
However, even when using such a remote control, it is necessary to move the remote control to the place where the remote control is located even if the remote control is not exactly located or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is known. It may be more efficient to control the lighting by moving to the wall switch rather than moving to find it.

또한, 리모콘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명등이 설치된 건물의 외부에 있을 때 그 외부로부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명을 제어하고자 할 때는 별도의 조명제어용 컨트롤러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case of using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no way to control the illumination from the outside when the user is outside the building where the illumination lamp is installed.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illumination from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경우, 음성 녹음 및 입력을 위해서 벽면의 스위치에 내장된 마이크에 다가가서 입력을 해야 하고 입력이 정확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udio-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microphone built in the switch on the wall for voice recording and input, and to check whether the input is correc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또,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와, 여러 개의 입력 버튼과, 스피커와 출력수단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제공되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장치의 외관이 커져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장치의 크기 및 부품이 많아져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order to input or confirm a voice command, a separate display,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a speaker, and an output means must be provided in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apparatus becomes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and the number of parts of the apparatus are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perate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조명제어를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용 가능하고,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디밍, dimming) 조절이 가능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or an application as input means for lighting control,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based on the sound-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크기와 부품의 수가 절감되고, 외부 디자인의 설계 자유도가 높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hich has a reduced size and a reduced number of parts,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조명에 연결되어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제어부로 하여금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정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음성에 기반하여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commands of a user; A memory for storing voice commands entered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 auxiliar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unit to control on /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Comparing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matches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the auxiliary controller adjusts the on / And controlling the on /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based on the voice.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며,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성 명령어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y one or both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or a Wi-Fi communic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조명부가 접속된 조명부 각각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제어하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및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조명에 연결되어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제어부로 하여금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정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for on / off or brightness control for each illumination section to which a plurality of illumination sections are connected, and a smart phone Wherein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commands of a user; A memory for storing voice commands entered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 auxiliar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unit to control on /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Comparing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matches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the auxiliary controller adjusts the on / And a control unit for instructing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각각의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고, 각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모듈은 무선공유기를 통해 접속된다.
Preferab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includes one or both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each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r a plurality of Wi-Fi communication modules ar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router .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공유기를 통해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각각에 접속되어 접속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연결된 조명등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 제어를 수행하며, 조명등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정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via the wireless router to perform on /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control of the light for the connected lighting device, / Off < / RTI > or brightness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을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방법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에 연결된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사용될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를 비교하고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를 비교하고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ound-based lighting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on /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of illu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on the basis of a user's vo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based lighting contr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Searching for a device; Determining whether a searched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is present and, if so, displaying it in a smartphone application;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speech 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Storing voice commands to be used in a memory of the selected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Inputt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through a microphone of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Comparing the user's voice comma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command is the same; Comparing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command is the same, executing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control command if the same is determined.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조명제어를 위한 입력수단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조명등의 온/오프 및 밝기(dimming)를 조절하기 때문에 건물의 외부에서도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음성인식 기능, 음성녹음 기능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등 제어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user's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s used as input means for illumination control, And dimming, so lighting can be controlled from out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s voice recognition function,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 명령어를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 명령어를 청취하고 또한 음성 명령의 삭제와 추가 등록과 같은 절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음성, 터치)를 통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oice commands are record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using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smart phone, listening to recorded voice commands, and deletion and addition registration of voice commands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lighting through the user interface (voice, touch) provid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이나 건물 등에 상시 제공되는 AC 220V 전원으로부터의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라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구성요소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일부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조명제어장치의 사이즈를 대폭으로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명제어장치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 voltage from an AC 220V power supply, which is always provided in a home or a building, is converted into a DC voltage and provided to the audio-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Thus,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power source.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can be greatly reduced by using the components of the smart phone as a part of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increased accordingl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대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접속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대해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접속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외부에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와이파이 통신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사용한 음성기반 조명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peech 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functions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FIG. 3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to a smartphon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FIG. 3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to a smartphone using Wi-Fi communication.
4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ation for external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a plurality of voice 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4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iFi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ation for external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a plurality of voice 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oice-based illumination using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인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는 조명부(300)에 연결되어 스마트폰(200) 또는 마이크(150)로부터의 입력 명령에 기반하여 조명부(300)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절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eech 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peech 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n illumination unit 300 and is connected to a smart phone 200 or a microphone 150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based on the input command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

구체적으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는 외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00), 상기 무선통신부(110) 또는 마이크(150)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제어부(120)의 제어하에서 조명부(300)의 온/오프 및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140),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고감도 마이크(15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0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martphone or a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a microphone 150 A memory 130 for storing voice commands input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 auxiliary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on / off and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140), and a high-sensitivity microphone (150) to which a user's voice is input.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제어부(140)는 상기 제어부 또는 마이컴(120)과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요지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제어부(140)와 제어부(12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auxiliary controller 140 is shown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or the microcomputer 1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uxiliary controller 140, (12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부(110)는 외부의 스마트폰(11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되고, 블루투스 통신모듈, 지그비 통신모듈, 와이파이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경우 대부분은 하드웨어적으로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스마트폰(200)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110)는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martphone 11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Since most of the smart phone 20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in hardwa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Bluetooth A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communication module, or both.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포함된 경우 블루투스 모듈은 식별을 위한 블루투스용 주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에 대해 장치 이름 또는 시리얼 번호 등이 지정될 수 있다.
When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included, the Bluetooth module includes an address for Bluetooth for identification, and a user can designate a device name or a serial number for the corresponding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제어부(또는 마이컴(120))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무선통신부(110)로부터의 입력, 마이크(150)로부터의 입력, 메모리(130)의 관리, 보조 제어부(140)를 통한 조명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or microcomputer 1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includes an in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from the microphone 150, And to perform lighting control through the auxiliary control unit 140.

전원부(160)는 가정 또는 건물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류 220V를 입력받아 DC 5V를 출력하여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 제어부(120), 마이크(150), 보조제어부(140), 메모리(130)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교류-직류의 변환을 위해 전원부(160)는 교류-직류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receives AC 220 V commonly used in a home or building and outputs DC 5 V to output the components of the voice 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such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microphone 150, the auxiliary control unit 140, and the memory 130, as shown in FIG. As is well known, the power supply section 160 may include an AC-DC converter for AC-DC conversion.

전원부(160)와 AC 전원(400) 사이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조명용 벽 스위치(4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으로부터의 전원라인은 전원부(160)와 보조 제어부(140)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조명용 벽 스위치(410)를 거쳐 AC 전원이 전원부(160)와 보조제어부(140)로 연결된 경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오동작시 또는 사용자가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조명부(3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벽 스위치(410)를 통해 조명부(300)에 대한 온 및 오프를 동작 수행할 수 있다.
A wall switch 410 for illumin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ower source unit 160 and the AC power source 40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upply line from the AC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140. When the AC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60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140 via the wall switch 410 for illumination, if the user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lfunctions The user can perform on and off operations for the illumination unit 300 through the wall switch 410. In this case,

보조제어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의 명령에 기반하여 조명부(300)의 온/오프 제어를 위해 조명부(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 스위치 회로 및 조명부(300)로 공급되는 전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보조제어부(140)는 조명부(300)의 상태, 예를 들면, 온/오프 또는 밝기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전송된 신호는 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The auxiliary controller 140 is connected to the relay switch circuit and the illumination unit 300 for turn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illumination unit 300 for on / off control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based on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20 And a dimming circuit for adjusting the current magnitude. The auxiliary controller 14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such as on / off or brightness, to the controller 120, and the transmit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200 ) ≪ / RTI > applications.

또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50)를 더 포함하고, 마이크(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제어부(120)로 입력되며, 제어부(120)는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여 해당하는 조명제어신호를 보조제어부(140)에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audio-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150 for receiving voice from a user,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5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20, 12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140 in comparison with the user's voic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30.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기능 또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인데, 스마트폰(200)에 설치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 2 shows a main function or an interface of a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As shown in Figure 2, the user, via the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1.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등록 기능(인터페이스),1. A voice registration function (interface) for storing voice commands to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2.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를 원격에서 온/오프 또는 디밍제어하기 위한 조명 원격제어 기능(인터페이스),2. an illumination remote control function (interface) for remotely controlling on / off or dimming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100,

3.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조명상태 확인 기능(인터페이스)을 포함한다.
3. Includes a lighting condition checking function (interface) for checking the current state of the audio-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

1. 음성등록 기능1. Voice registration function

먼저,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등록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에 사용자의 음성을 등록하기 위해 두가지의 방법이 사용가능하다.
First, a voice registration function for storing a voice command to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Two methods are available for registering the user's voice in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

도 3a은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명령어 등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을 수행한다.
FIG.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luetooth-based voice command registration function. In order to store a user's voice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of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a user searches for a Bluetooth device .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검색 화면에 검색되고, 사용자는 검색된 블루투스 화면을 통해 1:1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각각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에 대해 수행하고, "조명등 온", "조명등 오프", "조명등 밝게", "조명등 어둡게" 등과 같은 조명 관련 명령어들에 대한 음성 명령어를 각각 등록한다.
When a plurality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es 100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es 100 are searched on the Bluetooth search screen of the smartphone, and the user performs Bluetooth pairing 1: 1 through the searched Bluetooth screen 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and registers voice commands for illumination-related commands such as "illumination on,"" off light, "" bright light,"

1:1 블루투스 페어링의 편리를 위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페어링시 이를 알리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or convenience of 1: 1 Bluetooth pairing,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LED indicator for notifying whe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is paired.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식별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름(Name)은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서 제공된 이름 Vo 0001은 "거실등"으로, Vo 0002는 "안방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the name provided for each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identified through Bluetooth pairing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name. For example, the name Vo 0001 provided in FIG. 3 A may be changed to "living room, etc. " and Vo 0002 can be changed to"

이런 상태에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통해 거실, 안방, 작은방, 화장실에 설치된 4대의 블루투스 장치를 포함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를 검색한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들에 대한 "조명등 온", "조명등 오프", "조명등 밝게", "조명등 어둡게" 등과 같은 음성 명령어를 각각의 메모리(130)에 등록한다.
In this state,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a voice-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100 including four Bluetooth devices installed in a living room, a living room, a small room, and a toilet through a search for a Bluetooth device of a smartphone, Such as "light on", "off light", "bright light", "dark light", etc., for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es 100 in the respective memories 130.

예를 들면, 거실등에 설치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메모리에는 "거실등 온", "거실등 오프", "거실등 밝게", "거실등 어둡게" 등으로 음성 명령어를 저장시키고, 안방에 설치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메모리에는 "안방등 온", "안방등 오프", "안방등 밝게", "안방등 어둡게" 등으로 음성 명령어를 저장시켜둘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memory of the audio-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0 installed in a living room or the like, voice commands are stored in the "living room on", "off living room, etc.", "living room bright" It is possible to store voice commands in the memory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100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100 by using the words "turn on / off "," turn off ","

또한, 이와 같은 조명 관련 음성 명령어들은 하나의 동작, 예를 들면 "조명등 온"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명등 온"에 대해 사용자 본인과 동거인 또는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들을 모두 메모리(130)에 등록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uch illumination-related voice commands are capable of voice input of a plurality of users for one operation, for example "illumination on ".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allowed to register the voice of the user himself / herself or a family member in the memory 130 with respect to the "illumination light on ".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의 메모리에 등록된 음성 명령어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청취될 수 있으며, 삭제 또는 추가 등록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voice command registered in the memory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100 can be listened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and can be deleted or additionally registered.

또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이용하지 않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공유기 또는AP(Access Point))(51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without us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router or an access point (AP) 510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3B.

스마트폰(200)과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는 무선공유기(500)를 통해 서로 접속됨에 따라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 내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를 무선공유기를 통해 제공되는 IP와 Mac 어드레스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200 and the plurality of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wireless router 500. 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0 is connected to the voice- (100a to 100d)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IP and Mac address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router.

따라서 사용자는 검색된 내부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들 각각에 대해 IP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중 하나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장치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어, 예를들면 "조명등 온", "조명등 오프", "조명등 밝게", "조명등 어둡게" 등과 같은 조명 관련 명령어들에 대한 음성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conn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in the searched internal network by using IP communication, Voic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related commands such as "illumination light on "," illumination light off ","bright illumination "," dark illumination ", and the like can be registered.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이름(Name)은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제공된 이름 Vo 0001은 "거실등"으로, Vo 0002는 "안방등"으로 변경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name provided for each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identified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change the name. For example, the name Vo 0001 provided in FIG. 3 can be changed to "living room, etc. " and Vo 0002 can be changed to"

이와 같은 조명 관련 음성 명령어들은 하나의 동작, 예를 들면 "조명등 온"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명등 온"에 대해 사용자 본인과 동거인 또는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들을 모두 메모리(130)에 사용자별로 등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illumination-related voice commands are capable of voice input of a plurality of users for one operation, for example "illumination on ".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voices of the user himself / herself or family members or members of the family members are registered in the memory 130 on a user-by-user basis for the "illumination light on ".

이 경우에도, 내부 네트워크의 IP를 통한 연결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는 와이파이를 통한 연결시 이를 알리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 LED indicator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connection through the Wi-Fi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connection via the IP of the internal network.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등록과 관련된 모든 절차, 예를 들면,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와이파이 접속,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온/오프, 디밍 관련)의 선택, 검색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이름 변경, 사용자별 음성 명령어 녹음과 같은 절차들은 모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음성을 등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l procedures related to voice registration of the user, such as Bluetooth pairing or Wi-Fi connection, selection of instructions to be executed (on / off, dimming related), name change of the retrieved voice- Procedures such as recording a separate voice command are all provided as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smartphon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gister the voice in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이와 같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통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내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는 마이크(150)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시에 조명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즉, 마이크(150)로부터의 음성 입력시 제어부(120)는 마이크(150)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를 비교하고 음성 일치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음성 일치율이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하는 음성 명령을 실행하도록 보조제어부(140)에 지시한다.
The user's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30 in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ler through the Bluetooth or Wi-Fi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as a reference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unit 300 at the time of voice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150 . That is, when the voice is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150, the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150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30, calculates the voice coincidence rate, and if the calculated voice coincidence rat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instructs the sub control unit 140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2. 원격 제어 기능 / 3. 조명 상태 확인2. Remote control function / 3. Lighting status check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c)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기능과, 조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externally controlling the sound-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es 100a to 100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for checking a lighting state.

도 4a는 블루투스를 통해 원격으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 이기 때문에,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100m 범위 내에서 스마트폰과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와의 페어링을 통해 원격 제어만이 가능하다.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remotely via Bluetooth. Since Bluetooth is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remote control through pairing of the smartphone and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within a radius of 10 to 100 m using 2.45 GHz frequency.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원격제어의 거리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는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를 통해 접속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for eliminating the distance limitation of remote control via Bluetooth, and a plurality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are connected through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는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와 통신하면서 블루투스 망 외의 장치와는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is a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Ethernet communication with devices other than the Bluetooth network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via the Bluetooth method.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로 TCP/IP(이더넷) 통신을 통해 접속하고 접속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 연결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고, 현재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 연결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The user connects to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200 and connects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to the voice based lighting control devices 100a through 100d Off or brightness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100a-100d connected to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The voice-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는 제1조명 내지 제4조명이 각각의 대응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특히 제2조명은 현재 온 상태로 있으며, 밝기는 2단계로 조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is now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fourth lights through respective corresponding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100a through 100d, It is in the ON state, and the brightness is adjusted in two steps.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조명제어 GUI 통해 각각의 조명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조명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monitor the state of each light through the light control GUI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nd can control ON / OFF or brightness of each light.

이 외에도, 조명제어 GUI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조명에 대한 예약 점등, 예약 소등과 같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특정 조명을 자동으로 점등하고 소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우는 경우 시간대별로 점등을 하도록 구성하여 도난 또는 무단침입과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illumination control GUI may further include functions such as reserved light and reserved light for each light, and the user can automatically turn on and off specific lights at desired times, When the user empties the house for a long time, it is configured to be lit on a time basis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theft or trespassing.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 사이에는 서버(600)가 더 위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서버(600)를 경유하여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 접속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the server 600 may be further located between the smartphone 200 and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via the server 600. [

이 경우 서버(500)는 스마트폰(200)을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로 접속시키기 위한 중계서버로서 기능하고, 서버에는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어드레스(MAC ADDRESS)와 사설 DNS(Domain Naming System)이 저장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500 functions as a relay server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200 to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The server includes a hardware address (MAC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and a private address Domain Naming System).

서버는 서버에 저장된 하드웨어 어드레스(MAC ADDRESS)와 사설 DNS(Domain Naming System)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대응하는 블루투스 무선공유기(500)에 접속시도록 중계한다. 이와 같은 중계 서버시스템은 블루투스 무선공유기에 고정아이피가 유동아이피가 제공되는 경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The server relays the user's smartphone to access the corresponding Bluetooth wireless router 500 using a hardware address (MAC ADDRESS) stored in the server and a private DNS (Domain Naming System). Such a relay server system is advantageous when a fixed IP is provided to a Bluetooth wireless router and a floating IP is provided.

도 4b는 와이파이를 통해 원격으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를 통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100a~100d)의 원격제어는 도 4a에 도시한 블루투스 원격제어와 비교하여 와이파이 공유기(510)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remotely via Wi-Fi. As shown in FIG. 4B, the remote control of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100a to 100d via the Wi-Fi is similar to the Bluetooth remote control shown in FIG. 4A except that the Wi-Fi router 510 is use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설명에서는 조명부(300)의 원격 제어를 터치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음성에 기반하여 조명을 원격제어하는 음성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음성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한다.
Although the remote control of the illumination unit 3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touch-type interfac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ser's voice may be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smartphon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voice-based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hat remotely controls the light, and a voice-based user interfac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통해 조명이 음성제어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a voice through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 사용자는 먼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기반 통신 또는 와이파이 기반 통신을 통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검색한다.
As shown in FIG. 5, in step S100, the user first searches for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through Bluetooth-based communication or Wi-Fi based communication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단계 S200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가 존재하는지 검색한 후 검색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In step S200, the smartphone application searches for a presence of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and displays the retrieved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to a user through a display of the smart phone or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단계 S200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 다시 단계 S100으로 복귀한다.
If the smartphone application can not find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in step S20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 again.

단계 S200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사용자는 단계 S300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서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선택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연결한다.
In step S300, the user selects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to which a voice command is to be input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단계 S400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음성 명령어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조명을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한다.
In step S400, the user stores a voice command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or adjusting the brightness in the memory of the selected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using the voice command recording function provided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단계 S40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각각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대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한 후, 단계 S500에서 사용자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설치된 고감도 마이크에 음성 명령어를 입력한다.
After the user stores voice commands for each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as in step S400, the user enters voice commands into the high-sensitivity microphones installed in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in step S500.

사용자가 단계 S500에서 마이크에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면, 단계 S600에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제어부는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단계 S400에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와 비교하고,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어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와 일치한다고 판정되면 제어부는 보조제어부로 해당하는 제어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 S700에서 보조제어부는 제어부로부터 송신되어온 제어명령 신호에 기반하여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과 같은 제어를 실행한다.
If the user inputs a voice command to the microphone in step S500, the control unit of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in step S600 compares the voice comm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s input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in step S400,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and in step S700, the auxiliary control unit controls the ON / OFF of the illumination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echnical scop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a, 100b, 100c, 100d: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200: 스마트폰
300, 310, 320, 330: 조명
400: AC 전원부
110: 무선통신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
140: 보조제어부
150: 마이크
410: 벽스위치
500, 510: 무선공유기
100, 100a, 100b, 100c, 100d: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200: Smartphone
300, 310, 320, 330: illumination
400: AC power source
110:
120:
130: memory
140:
150: microphone
410: Wall switch
500, 510: wireless router

Claims (12)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을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조명에 연결되어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제어부로 하여금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정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A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n /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based on a user's voice, the apparatus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commands of a user;
A memory for storing voice commands entered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 auxiliar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unit to control on /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Comparing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matches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the auxiliary controller adjusts the on / ;
Wherein the speech-based illumination control un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모듈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 or a Wi-Fi communication module.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되는 음성 명령어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is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using either Bluetooth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AC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udio-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oice-bas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Wherein the power unit includes an AD converter for receiving power from an AC power source and converting the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AC 전원 사이에는 기계적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mechanical switch is form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AC power supply.
복수의 조명부, 상기 조명부 각각에 접속되어 조명부 각각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및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조명에 연결되어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를 비교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명령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명령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조제어부로 하여금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를 조정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illumination sections and performing ON / OFF or brightness control on each of the illumination sections and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1.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commands of a user;
A memory for storing voice commands entered from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 auxiliar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unit to control on / off or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Comparing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voice command inputted from the microcomputer matches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the auxiliary controller adjusts the on / ;
Wherein the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각각의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each of the voice 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includes one or both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루투스 통신모듈 또는 복수의 와이파이 통신모듈은 무선공유기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ch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s or the plurality of Wi-Fi communication modules is connected via a wireless router.
제8항에 있어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각각에 접속되어 접속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연결된 조명등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on /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control for the illumination light connected to the connected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router, Control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각각에 접속되어 접속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에 연결된 조명등에 대한 온/오프 또는 밝기 정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martphone appl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s via a wireless router to display on / off or brightness information on the illumination light connected to the connected voice-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Bas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무선공유기의 접속은 중계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wireless router is performed through a relay server.
조명의 온/오프 또는 밝기 조정을 사용자 음성에 기반하여 제어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기반 조명제어방법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에 연결된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사용될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는 단계;
음성기반 조명제어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를 비교하고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명령어를 비교하고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기반 조명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sound based on illumination of on / off or brightness adjustment based on a user's voice,
The method comprising:
Retrieving the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nnected to the illumination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Determining whether a searched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is present and, if so, displaying it in a smartphone application;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speech bas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s;
Storing voice commands to be used in a memory of the selected voice-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Inputt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through a microphone of a voice-based light control device;
Comparing the user's voice comma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oice command is the same;
Comparing the user's voice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with the voic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the same, executing the corresponding lighting control comm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Wherein the speech-base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comprises:
KR1020150046243A 2015-04-01 2015-04-01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18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43A KR20160118019A (en) 2015-04-01 2015-04-01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243A KR20160118019A (en) 2015-04-01 2015-04-01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19A true KR20160118019A (en) 2016-10-11

Family

ID=5716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243A KR20160118019A (en) 2015-04-01 2015-04-01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0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4933A (en) * 2020-08-31 2022-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4933A (en) * 2020-08-31 2022-03-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2042258A1 (en) * 2020-08-31 2022-03-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114933B (en) * 2020-08-31 2024-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0149A1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location of an occupant and mobile devices
US11726516B2 (en)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the location of an occupant and/or mobile device
US11234313B2 (en) Smart light switch with vacation mode
US20190199545A1 (en) Wireless enabled load control device with voice controller
US8340975B1 (en) Interactiv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ystem for hands-free building control
WO2019156272A1 (en) Location-based voice recognition system through voice command
CN108476351A (en) Illumination and audio system
US20130211844A1 (en) Solar Powered Portable Control Panel
JP6584719B1 (en) Lighting control
CN105022275A (en) Intelligent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coordinated 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platform
KR2019005950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18019A (en) Illumination lamp control device based on vo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995759A (en) Th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lamp
WO2018006234A1 (en) Intelligent home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796381B (en) The illumination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illuminator and mobile phone
TWI737113B (en) Switch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smart appliances
CA3037177A1 (en) Smart light switch with integrated scheduling
CN210839618U (en) Intelligent home system based on remote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2599783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unified control of conferencing devices
WO2022176946A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22154713A (en) Lighting operation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TWI706690B (en) Single live wire intelligent voice-controlled wall switch system
JP2016170987A (en) Ligh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JP2020129468A (en) Server and switch system
EP3969968A1 (en) Integrated scalable system for managing and monitoring a home or work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