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324A -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324A
KR20160115324A KR1020150042729A KR20150042729A KR20160115324A KR 20160115324 A KR20160115324 A KR 20160115324A KR 1020150042729 A KR1020150042729 A KR 1020150042729A KR 20150042729 A KR20150042729 A KR 20150042729A KR 20160115324 A KR20160115324 A KR 2016011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nsity
electromagnetic wave
spatial
electromagnetic wav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833B1 (ko
Inventor
홍진우
임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833B1/ko
Priority to US15/081,047 priority patent/US20160282460A1/en
Publication of KR2016011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91Intrusion detection systems, i.e. where the body of an intruder causes the interference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03Bistatic radar systems; Multistatic rad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47Determining att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5/163Determination of attitu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로,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using Spatial Electronic Wave}
본 발명은 물체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공간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체 인식 기술은 임의의 공간 내에 설치된 송신 장치에서 소스 신호(빛, 전자파 등)를 송출하고, 수신 장치에서 반사된 소스 신호의 변화를 통해 물체를 인식한다. 이 때문에 소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용 장치와 소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가 반드시 한 쌍으로 묶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물체 인식 장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한 쌍으로 묶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비효율적이다. 즉, 송신장치의 설치 위치에 종속되어 수신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모두 설치함에 따라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또한, 송신 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공간 내에서 송신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수신 장치만을 이용하여 공간 내에서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의 변화를 감지 및 식별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로,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으로,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임의의 공간 내에서 송신장치는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수신 장치만을 이용하여 임의의 공간 내에서 물체 변화를 감지 및 식별이 가능하므로 비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임의 장소에 수신장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송신장치의 고장이나 오류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물체를 감지하거나 물체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어 가정이나 사무실의 방범용 센서로, 또는 실내 공간에서의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는 센서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송신장치가 없기 때문에 기존 제품들처럼 침입자가 송신장치를 제거하거나 막을 수 없어 기존 제품들보다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신장치를 임의의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정밀도에 따라 수신장치를 다수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송신장치를 다른 목적의 서비스를 위해 항상 제공하는 공간 내에 주파수 전자파를 이용함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신기술로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 측정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체 인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 100-n) 및 물체 인식부(200)를 포함한다.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는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전자파는 임의의 공간 내에서 존재하는 한 개의 전자파 또는 각각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둘 이상의 종류의 전자파일 수 있고, 일 예로 FM 방송, TV 방송, 이동 통신 등 특정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 내 무선 전자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으로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간 전자파 측정부가 하나일 경우, 공간 전자파 측정부는 물체 인식부(20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물체 인식부(200)는 하나 이상의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100-n)에 의해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한다. 이러한 물체 인식부(200)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의 공간 내에 존재하는 전자파는 FM 방송 주파수와 TV 방송 주파수 대역 전자파만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FM 방송 주파수와 TV 방송 주파수 중 하나의 전자파만 존재할 수도 있고, 이 외에 다른 전자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공간 전자파 측정부들(100-1, 100-2, 100-3, 100-4)은 FM 방송 주파수 대역과 TV 방송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 값이 큰 값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주파수 범위를 FM 방송 주파수 대역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선택 주파수 범위는 전 대역으로 할 수 있다.
물체 인식부(20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들(100-1, 100-2, 100-3, 100-4) 각각에서 전송된 신호세기값을 통해 물체의 변화를 감지한다. 만일, 하나의 전자파만이 존재한다면(예를 들어, FM 주파수 대역 또는 TV 방송 주파수 대역만이 존재) 전자파의 주파수 선택 과정없이, 존재하는 하나의 전자파의 전 신호 세기값을 통해 물체의 변화를 감지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공간 내에 물체(10)가 존재하게 되면 공간 전자파 측정부들(100-1, 100-2, 100-3, 100-4) 각각에서 측정된 FM 방송 주파수는 물체에 반사되거나 방해되어 신호 세기값이 도 2a 도시된 환경에서의 신호 세기값과는 상이하도록 변화된다. 물체 인식부(200)는 이러한 변화값이 확인되면 물체(10)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물체(10)가 A 영역에서 B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공간 전자파 측정부들(100-1, 100-2, 100-3, 100-4) 각각에서 측정한 주파수 신호 세기값의 변화에 따라 물체 인식부(200)에서 이 변화를 감지하고, 어느 위치에서 어느 위치로 이동하였는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 측정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는 각각 안테나(110), 신호 세기 측정부(120), 주파수 선택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안테나(110)는 소정 공간 내에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120)는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주파수 선택부(130)는 신호 세기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신호 세기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전자파를 선택한다. 그리고, 주파수 선택부(130)는 신호 세기 측정부(120)가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한다. 예컨대, 집을 비우는 경우, FM 방송, TV 방송, 이동통신 등의 주파수들 중에서 가장 신호 효율이 좋은 것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아무도 없는 환경에서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 세기 측정부(120)는 소정 주기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된 신호 세기값을 관리하거나 물체 인식부(2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간 전자파 측정부가 하나일 경우, 제어부(140)는 물체 인식부(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체 인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물체 인식부(200)는 전자파 정보 저장부(210), 신호 세기 분석부(220), 상황 인식부(230) 및 공간 상황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전자파 정보 저장부(21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종류 및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전자파 정보 저장부(210)는 전자파 종류 및 신호 세기를 측정 위치 및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신호 세기 분석부(22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2,..., 100-n) 각각에 의해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이전에 측정된 신호 세기와 상이한지를 판단하고, 신호 세기가 변화되었을 경우 이를 상황 인식부(230)에 알린다.
상황 인식부(230)는 신호 세기가 변화되었을 경우, 물체의 존재 또는 이동 여부를 포함하는 공간 상황을 감지한다. 또한, 상황 인식부(230)는 감지된 공간 상황을 공간 상황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그러면, 상황 인식부(230)는 추후에 공간 상황 저장부(240)에서 이전에 감지된 공간 상황을 참조하여 현재의 공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b와 같이 물체(10)가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 공간 상황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전 공간 상황을 참조할 경우,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에 의해 감지된 주파수의 세기는 증가하고,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4)에 의해 감지되는 주파수의 세기는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상황 인식부(230)는 물체(10)가 A에서 B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는 각각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S510~S540). 여기서,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는 ㄱ둘 이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는 각각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한다(S510). 그런 후, 모니터링된 신호 세기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전자파를 선택한다(S520). 그리고,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는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S540)하되, 소정 주기(S530)로 측정할 수 있다.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는 각각 측정된 정보를 물체 인식부(200)에 전달한다(S550).
그러면, 물체 인식부(20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 각각에 의해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한다(S560~S580). 상세하게는, 물체 인식부(20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 100-n)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종류 및 신호 세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60). 이때, 전자파 종류 및 신호 세기를 측정 위치 및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물체 인식부(200)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100-1,..., 100-n) 각각에 의해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이전에 측정된 신호 세기와 상이한지를 판단한다(S560)
S560의 판단 결과, 신호 세기가 변화되었을 경우, 물체 인식부(200)는 물체의 존재 또는 이동 여부를 포함하는 공간 상황을 감지한다(S570). 이때, 물체 인식부(200)는 감지된 공간 상황을 저장할 수 있는데, 추후에 저장된 감지된 공간 상황을 참조하여 현재의 공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하나의 전자파의 또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된 신호 세기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전자파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신호 세기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소정 주기로 신호 세기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이전에 측정된 신호 세기와 상이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신호 세기가 상이할 경우, 물체의 존재 또는 이동 여부를 포함하는 공간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측정 위치 및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이 발생될 경우, 전자파들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 변화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에 감지된 공간 상황을 참조하여 현재의 공간 상황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방법.
  9. 소정 공간에서 별도의 소정 용도로 발생되는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공간 전자파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소정 공간에 존재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전자파 측정부는
    소정 공간에서 발생되는 하나의 전자파의 또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 각각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신호 세기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전자파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전자파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전자파 측정부는
    둘 이상으로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전자파 측정부는
    소정 주기로 신호 세기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인식부는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저장하는 전자파 저장부와,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이전에 측정된 신호 세기와 상이한지를 판단하는 신호 세기 분석부와,
    상기 판단 결과 신호 세기가 상이할 경우, 물체의 존재 또는 이동 여부를 포함하는 공간 상황을 감지하는 상황 인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저장부는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를 측정 위치 및 측정 시간과 함께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인식부는
    둘 이상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들이 발생될 경우, 전자파들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 변화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인식부는
    상기 감지된 공간 상황을 저장하는 공간 상황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 인식부는
    상기 공간 상황 저장부에서 상기 이전에 감지된 공간 상황을 참조하여 현재의 공간 상황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KR1020150042729A 2015-03-26 2015-03-26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14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729A KR102314833B1 (ko) 2015-03-26 2015-03-26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US15/081,047 US20160282460A1 (en) 2015-03-26 2016-03-25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ing spatial electromagnetic wa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729A KR102314833B1 (ko) 2015-03-26 2015-03-26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324A true KR20160115324A (ko) 2016-10-06
KR102314833B1 KR102314833B1 (ko) 2021-10-19

Family

ID=5697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729A KR102314833B1 (ko) 2015-03-26 2015-03-26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282460A1 (ko)
KR (1) KR102314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2236A (zh) * 2019-02-27 2019-05-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微波雷达对数据交互的屏蔽方法及装置
WO2020150128A1 (en) * 2019-01-17 2020-07-23 T-Mobile Usa, Inc.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828A (ja) * 1988-08-01 1990-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受信装置
US20050055568A1 (en) * 2003-08-12 2005-03-10 Agrawala Ashok 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cal security in an area of interest
KR20050049067A (ko) * 2003-11-21 2005-05-25 정효미 인체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4077703A (ja) * 2012-10-10 2014-05-01 Furuno Electric Co Ltd 魚種判別装置、信号処理装置、水中探知機、魚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00856A1 (en) * 2010-12-13 2014-07-17 Xandem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of device-free motion detection and presence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236B2 (en) * 2002-06-26 2006-08-08 It University Of Copenhagen Method of and a system for surveillance of an environment utilising electromagnetic waves
JP4301080B2 (ja) * 2004-05-24 2009-07-22 船井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US7800496B2 (en) * 2006-07-07 2010-09-21 Innovalarm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security systems utilizing wireless networks and detection devices
US20080079572A1 (en) * 2006-09-28 2008-04-03 Zohar Tsaba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wireless network as a motion detection system
US7890060B2 (en) * 2006-10-11 2011-02-15 Nokia Corporation Enhanced location based service for positioning intersecting objects in the measured radio coverage
US8138918B2 (en) * 2009-09-17 2012-03-20 Raytheon Company Intrusion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JPWO2012137285A1 (ja) * 2011-04-04 2014-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在圏検知システム、在圏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85528B2 (en) * 2012-06-28 2015-11-1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WiFi mapping and motion detection
EP2915149A1 (en) * 2012-11-05 2015-09-09 Ekin Labs OY Monitoring intrusion in an area using wifi-enabled devices
US9786138B1 (en) * 2014-03-21 2017-10-10 Symantec Corporation Using the home wireless router to detect an intruder not carrying any wireless device
US9378634B1 (en) * 2014-12-30 2016-06-28 Symantec Corporation Leveraging neighbors' wireless access points in wireless-signal-variation-based physical intruder detec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828A (ja) * 1988-08-01 1990-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受信装置
US20050055568A1 (en) * 2003-08-12 2005-03-10 Agrawala Ashok 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cal security in an area of interest
KR20050049067A (ko) * 2003-11-21 2005-05-25 정효미 인체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40200856A1 (en) * 2010-12-13 2014-07-17 Xandem Technology, Llc Systems and methods of device-free motion detection and presence sensing
JP2014077703A (ja) * 2012-10-10 2014-05-01 Furuno Electric Co Ltd 魚種判別装置、信号処理装置、水中探知機、魚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0128A1 (en) * 2019-01-17 2020-07-23 T-Mobile Usa, Inc.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838058B2 (en) 2019-01-17 2020-11-17 T-Mobile Usa, Inc.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millimeter wave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9782236A (zh) * 2019-02-27 2019-05-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微波雷达对数据交互的屏蔽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833B1 (ko) 2021-10-19
US20160282460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605B2 (en) Auxiliary device for a hazard alarm constructed as a point type detector for function monitoring of the hazard alarm, and an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a device of this kind
WO2016110844A1 (e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changes in a defined area
EP3251388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ximity detection for device control
KR20160074309A (ko) 단말의 설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8949076B2 (en)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communications networks and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networks
US917246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infrared noise at a remote control
JP2017206333A (ja) ゴミ箱監視システム
KR102314833B1 (ko) 공간 전자파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5182761B (zh) 指定操作触发方法及装置
KR20200022652A (ko) 비콘과 공기질 측정을 통한 사용자 재실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27509A1 (en) Object detection system
KR101042365B1 (ko)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 및 중첩 영역을 가지는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들 간의 동작 동기화 방법
KR100959098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EP19537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a radio connection between two wireless devices
US11941960B2 (en) Radio frequency presence alert system
US20100198559A1 (en)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communications networks and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networks
US818456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self sensing function
US2014000206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tal detection
US9945710B2 (en) High liquid-level alarm device
KR100789761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JP548070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903948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setup
KR101045479B1 (ko) 다인자 계측시스템
KR102276918B1 (ko) 무선 데이터 송출 방법 및 시스템
WO2021100870A1 (ja) 樹脂容器および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