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187A -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187A
KR20160115187A KR1020150042362A KR20150042362A KR20160115187A KR 20160115187 A KR20160115187 A KR 20160115187A KR 1020150042362 A KR1020150042362 A KR 1020150042362A KR 20150042362 A KR20150042362 A KR 20150042362A KR 20160115187 A KR20160115187 A KR 2016011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animal model
test
rats
behavi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187A/ko
Publication of KR2016011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5Animal model for multifactorial diseases
    • A01K2267/0356Animal model for processes and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stress, learning, schizophrenia, pain, epileps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93Animal model comprising a reporter system for screening t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우울증 동물 모델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만성 대뇌 저관류의 유발에 의한 우울증 동물 모델의 제작방법, 이에 따라 제작된 우울증 동물 모델 및 이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은 우울증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행동들을 나타내므로 우울증 동물 모델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Novel use of an animal model of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
본 발명은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우울증 동물 모델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만성 대뇌 저관류의 유발에 의한 우울증 동물 모델의 제작방법, 이에 따라 제작된 우울증 동물 모델 및 이를 이용한 우울증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우울증은 특히 노년층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기분장애(mood disorders) 중 하나이다.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년층 우울증 환자는 젊은 시기에 발병한 경우와는 다른 임상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Steffens DC, et al. Cerebrovascular disease and evolu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Stroke. 2002;33(6):163644, Alexopoulos GS. Depression in the elderly. Lancet. 2005;365(9475):196170]. 관련 연구에 따르면 노년기의 우울증 증상은 동맥 경화나 뇌혈관 질환과 같은 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있고[Tiemeier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atherosclerosis and late-life depression: the Rotterdam Study. Arch Gen Psychiatry. 2004;61(4): 36976], 이와 같은 노년기 우울증과 혈관 병태생리학(vascular pathophysiology)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혈관 우울증 가설(vascular depression hypothesis)이 제안되었다[Camus, V et al. Geriatric depression and vascular diseases: what are the links? J Affect Disord. 2004;81(1):116, Alexopoulos GS. The vascular depression hypothesis: 10 years later. Biol Psychiatry. 2006;60(12):13045]. 이 가설은 주로 노년기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우울증 증상과 뇌혈관 병변 또는 혈관 위험인자들 사이의 동반이환율(comorbidity)을 주된 근거로 하고 있다. 또한, 피질하 허혈성 혈관 병변(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lesions)이 노년기의 우울증-실행기능부전 증후군(depression-executive dysfunction syndrome)의 원인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Alexopoulos GS, et al. Clinical presentation of the “depression-executive dysfunction syndrome”of late life. Am J Geriatr Psychiatry. 2002;10(1):98106, Roh JH, Lee JH. Recent updates on 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dementia. J Stroke. 2014;16(1):1826]. 또한,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이나 심장정지를 포함한 다양한 뇌 허혈증(cerebral ischemia) 상태와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을 모방한 설치류 모델에서 정동적 행동(affective-like behaviors)이 보고되었다[Neigh GN, et al. Cardiac arrest/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creases anxiety-like behavior and decreases social interaction. J Cereb Blood Flow Metab. 2004;24(4):37282, Wang SH, et al.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behavioural studies on adult ischemic rat response to chronic mild stress. Behav Brain Res. 2008;189(1):916, Nemeth CL, et al. Microembolism infarcts lead to delayed changes in affective-like behaviors followed by spatial memory impairment. Behav Brain Res. 2012;234(2):25966]. 이러한 허혈성 뇌손상 모델들은 정동장애(affective disorder)와 뇌 허혈상태(brain ischemia)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측 총경동맥(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BCCAo)의 영구적 폐색에 의해 유도된 만성 대뇌 저관류(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의 쥐(rat) 모델을 사용하여 대뇌의 허혈상태(cerebral ischemia)가 정동적 행동(affective-like behaviors)에 미치는 만성적 효과(다양한 행동실험에서의 인지장애,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 및 알츠하이머병 관련 병리학)를 연구하였다. 위 동물 모델은 혈관성 치매나 인지장애 모델로 처음 소개되었으나[Jiwa NS et al. Experimental models of vascular dementia and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J Neurochem. 2010;115(4):81428, Farkas E et al. Permanent,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in the rat: a model for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rel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 Brain Res Rev. 2007;54(1):16280], 만약 이 동물 모델이 우울증-유사 행동들도 나타낸다면, 만성 대뇌 허혈을 가진 노인의 인지장애 및 우울증 증상의 혼재된 임상적 특성을 모델링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CCAo 쥐에서 대뇌 혈류는 양측 경동맥(bilateral carotid arteries)의 수술에 의한 결찰(surgical ligation) 이후에 급격히 낮아졌다가 천천히 회복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Farkas E, Luiten PG, Bari F. Permanent,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in the rat: a model for 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rel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 Brain Res Rev. 2007;54(1):16280]. 따라서, 이 동물 모델에서 처음 한달 내의 초기 저관류(hypoperfusion) 또는 장기간 지속되는 저관류의 효과들은 함께 작용하여 행동 변화를 발전시킬 수 있다. 느리게 개시되고 오래 지속되는 저관류는 만성 피질하 허혈(chronic subcortical ischemia)과 함께 느리게 진행하는 혈관 우울증의 임상적 상황에 더 적합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스트레스는 HPA 축(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을 활성화시켜,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행동 및 대사반응을 조화시키는 호르몬 시스템의 변화를 야기한다[de Kloet ER, et al. Stress and the brain: from adaptation to disease. Nat Rev Neurosci. 2005;6(6):46375]. HPA 축은, 균형잡힌 호르몬 연쇄반응 및 관련 뇌 영역에서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수용체 발현 변화를 포함한 많은 피드백 기작을 갖고 있다[Gomez F, et al.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response to chronic stress in five inbred rat strains:differential responses are mainly located at the adrenocortical level. Neuroendocrinology. 1996;63(4):32737, Mizoguchi K, et al. Chronic stress attenuates glucocorticoid negative feedback: involvement of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Neuroscience. 2003;119(3):88797]. 스트레스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부위인 해마(hippocampus)에서,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s, GR)의 세포질로부터 핵으로의 이동(translocation)이 스트레스 호르몬에 대한 세포 반응의 하나로 보고되었다[Guidotti G, et al. Glucocorticoid receptor and FKBP5 expression is altered following exposure to chronic stress: modulation by antidepressant treatment. Neuropsychopharmacology. 2013;38(4):61627]. HPA 축의 동요(perturbation)나 GR 반응은 불안, 우울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스트레스-관련 뇌 질환의 근원적인 기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de Kloet ER, et al. 2005].
본 발명자들은 위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1) 만성 대뇌 저관류 쥐(rat) 모델에서 우울증 유사 행동과 (2) 이러한 행동의 가능한 기작으로 HPA 축의 동요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7-0045056
본 발명의 목적은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을 이용한 우울증 동물 모델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성 대뇌 저관류를 이용한 우울증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 예방 및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험 동물을 수술하여 만성 대뇌 저관류(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를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 동물 모델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만성 대뇌 저관류를 유발하기 위한 수술방법은 양측 총경동맥(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을 접합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울증 동물 모델 제작방법은 상기 수술을 시행한 동물 모델에 대해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행동실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행동실험은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행동실험은, 수술 3, 4 및 5개월 후에 연속적으로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을 수행하고; 수술 6개월 후에 강제 수영 실험을 수행하고; 수술 9개월 후에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울증 동물 모델 제작방법은 상기 수술을 시행한 동물들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및/또는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CS)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CTH 및/또는 CS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행동실험의 종료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울증 동물 모델 제작방법은 상기 수술을 시행한 동물들의 해마(hippocampus)에서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s, GR)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우울증 동물 모델 제작방법은 실험 동물을 수술하여 만성 대뇌 저관류(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를 유발하는 단계; 상기 수술을 시행한 실험 동물에 대해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행동실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행동실험을 수행한 실험 동물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및/또는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CS)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험 동물의 해마(hippocampus)에서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s, GR)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우울증 동물 모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은 혈관성 우울증(vascular depression)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은 쥐(rat) 모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우울증 예방 및/또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에 시료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시료 투여 후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행동실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행동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완화시킨 시료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에 시료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시료 투여 후 동물 모델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및/또는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CS)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CTH 및/또는 CS 의 수준을 낮춘 시료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에 시료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시료 투여 후 동물 모델의 해마(hippocampus)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s, GR)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질 GR에 대한 핵 GR의 비율이 향상된 시료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은 우울증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행동들을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혈관성 우울증(vascular depression)의 증상 및 기작과 관련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은 우울증 동물 모델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성 우울증의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스케줄을 나타낸 것이다. (BCCAo: permanent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ham 및 BCCAo 그룹의 행동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a) 연속적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erial sucrose preference tests), (b) 강제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c)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실험결과는 평균±SE로 표시하였다; n은 그룹당 동물 수를 나타낸다. sham 그룹 대비 *P<0.05. NS: not significant, BCCAo: permanent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ham 및 BCCAo 그룹에서 (a) ACTH 및 (b)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의 혈장 수준을 나타낸다. (실험결과는 평균±SE로 표시하였다; 그룹당 n=5. sham 그룹 대비 *P<0.05. NS: not significant, BCCAo: permanent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ACT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도 4는 해마에서 (a) 세포질 및 (b) 핵 GR의 발현을 보여주는 웨스턴 블랏 실험 결과이다. (c) BCCAo 그룹은 상당히 증가된 세포질 GR 수준을 나타냈으나, 핵 GR의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d) 따라서 BCCAo 그룹에서 세포질 GR에 대한 핵 GR의 상대적 비율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SE로 표시하였다; 그룹당 n=5. sham 그룹 대비 *P<0.05. NS: not significant, BCCAo: permanent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GR glucocorticoid receptor)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에서 나타나는 우울증-유사 행동들
우울감, 의욕상실, 흥미감소, 체중변화, 수면방해, 및 정신운동 초조 또는 지연(psychomotor agitation or retardation)을 포함한 다양한 행동변화들은 우울증을 겪는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주된 임상적 특징이다[Alexopoulos GS. Depression in the elderly. Lancet. 2005;365(9475):196170]. 동물들에서 나타나는 우울증-유사 행동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SPT (sucrose preference test)와 같은 보상-기반 실험(reward-based tests); FST (forced swim test) 및 TST (tail suspension test)와 같은 절망-기반 실험(despair-based tests); 및 OFT (open field test), EPM (elevated plus maze) 실험 및 SIT (social interaction test)와 같은 불안-기반 실험(anxiety-based tests)을 포함한 다양한 행동실험들이 개발되었다[Anisman H, Matheson K. Stress, depression, and anhedonia: caveats concerning animal models. Neurosci Biobehav Rev. 2005;29(45):52546]. 동물 모델의 우울증-유사 행동들의 특징은 동물 종, 스트레스 요인의 특징, 실험 디자인 또는 행동실험의 유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은, 육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다른 동물 모델에서와는 다른 정동적(affective-like) 행동 변화들을 나타낼 수 있다.
SPT에서, 수크로스 소비에 대한 선호도의 감소는 스트레스를 받는 우울증 동물 모델의 쾌감상실(anhedonia)의 징표로 해석되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BCCAo 쥐들이 우울증을 의미하는 감소된 수크로스 소비 선호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BCCAo 쥐들의 수크로스 소비 선호도는 대조군인 sham-수술 쥐들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도 2a). 이러한 결과는 일부 노년층 우울증 또는 치매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식습관 변화인 당에 대한 갈망(sugar craving)에 비교될 수 있다[Christensen L, Pettijohn L. Mood and carbohydrate cravings. Appetite. 2001;36(2):13745, Cullen P, et al. Eating disorders in dementia. Int J Geriatr Psychiatry. 1997;12(5):55962, Piguet O, et al. Eating and hypothalamus changes in behavioral-variant frontotemporal dementia. Ann Neurol. 2011;69(2):3129]. 당 보상(sweet rewards)에 대한 갈망의 증가는 만성 스트레스(chronic mild stress)나 짧은 광주기(short photoperiods)에 의해 유발된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Willner P, et al. “Depression” increases “craving” for sweet rewards in animal and human models of depression and craving. Psychopharmacology(Berl). 1998;136(3):27283, Sinitskaya N, et al. Short day-length increases sucrose consumption and adiposity in rats fed a high-fat diet. Psychoneuroendocrinology. 2008;33(9):126978]. 또한, 전두측두엽 치매 환자에게서, 시상하부, 복측 전두엽(ventral frontal lobe), 측두근(temporal pole) 또는 편도선의 병리학적 변화들은 증가된 식욕, 단 음식에 대한 선호 및 같은 음식에 대한 선호도의 증가와 같은 비정상적 식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이 보고되었다[Ikeda M, Brown J, et al. Changes in appetite, food preference, and eating habits in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2;73(4):3716, Piguet O, JR, et al. Eating and hypothalamus changes in behavioral-variant frontotemporal dementia. Ann Neurol. 2011;69(2):3129]. 시상하부는 식욕-자극 및 식욕-억제 경로를 통해 섭식 항상성 회로(feeding homeostatic circuit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Morton GJ, et al. Central nervous system control of food intake and body weight. Nature. 2006;443(7109):28995]. 최근 관련 연구에서 섭식장애가 있는 bvFTD (behavioral variant frontotemporal dementia)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시상하부 후엽의 상당한 위축과 이 영역의 신경세포 손실이 보고되었으며,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만성 대뇌 저관류의 동물 모델이 시상하부 및 전측두엽 피질과 관련된 뇌의 대사저하(cerebral hypometabolism)를 유도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본 발명의 BCCAo 쥐에서 나타난 상기 수크로스 선호는 만성 대뇌 저관류와 관련된 정동적(affective-like) 행동 변화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FST는 우울증 연구에 흔히 사용되는 절망에 기반한 우울증 행동 실험(despair-based depressive behavioral test)으로, 육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동물들의 급성 항우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성(immobility)의 그룹간 편차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준은 아니었지만, BCCAo 쥐는 sham-수술 쥐에 비해 증가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나타냈다(도 2b).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요인의 특성 차이 때문에 BCCAo 쥐들이 행동 실험에서 명확한 우울증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을 수 있다. 만성 대뇌 저관류에 의해 유발된 스트레스는 직접적인 육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에 비해 더 지속적이고 덜 반응적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BCCAo 쥐에서의 인지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FST 동안의 부동성은 일반적으로 절망감(despair) 또는 우울증의 결과로 해석되어왔다[Petit-Demouliere B, et al. Forced swimming test in mice: a review of antidepressant activity. Psychopharmacology(Berl). 2005;177(3):24555]. 하지만, 이는 단순하게 절망에 기반한 우울증(despair-based depression)이라기보다는 학습과 기억에 기반한 에너지보존적 행동을 채용한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대응전략의 개발로 해석될 수도 있다[West AP. Neurobehavioral studies of forced swimming: the role of learning and memory in the forced swim tes t .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1990;14(6):86377, Nam H, et al. Learned helplessness and social avoidance in the Wistar-Kyoto rat. Front Behav Neurosci. 2014;8:109]. 따라서, 근본적인 인지장애를 갖고 있는 BCCAo 쥐에서의 FST 결과는 학습 및 기억과 대비하여 절망감과 우울증의 양측면 모두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BCCAo 쥐에서 근본적인 인지장애로 인한 성공적인 대응전략 개발의 실패는 FST의 결과를 어느 정도 부정적인 방향으로 약화시켰다. 절망에 기반한 우울증(despair-based depression)에 의해 유도된 BCCAo 쥐의 증가된 부동성은 인지장애 때문에 불충분한 대응전략으로 균형이 맞춰졌을 수 있다.
SIT는 불안에 기반한 우울증 행동실험(anxiety-based depressive behavioral test)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BCCAo 쥐에서 나타난 사회적 상호관계 시간(social interaction time)의 감소(도 2c)는 우울증 또는 치매와 결합된 우울증을 겪는 노년층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사회적 고립이나 이탈 증상에 비교될 수 있다[Starkstein SE, et al. Specificity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lzheimer disease: a longitudinal analysis. Am J Geriatr Psychiatry. 2005;13(9):8027].
HPA 축( hypothalamuspituitary - adrenal axis )의 동요( perturbation )
만성 스트레스(chronic mild stress)에 의해 유도된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HPA 활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혈장 CS 수준의 증가가 관찰되어왔다. 더 높은 베이스라인(baseline) CS 수준과 함께, 꾸준하게 증가된 HPA 축 활성은 만성 스트레스 쥐 모델에서 행동 변화와 함께 나타났다[Raone A, et al.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modifications consequent to chronic stress exposure in an experimental model of depression in rats. Neuroscience. 2007;146(4):173442]. 본 발명에 사용된 위스타 종(Wistar strain)을 포함한 다양한 종의 쥐들에서 베이스라인 ACTH 및 CS 수준은 일반적으로 만성 부동성 스트레스(chronic immobilization stress) 후에 증가하였다[Gomez F, et al.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response to chronic stress in five inbred rat strains: differential responses are mainly located at the adrenocortical level. Neuroendocrinology. 1996;63(4):3273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혈장 CS 수준은 sham-수술 쥐에 비해 BCCAo 쥐에서 상당히 향상되었다(도 3b).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나타난 BCCAo 쥐의 혈장 ACTH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준은 아니었지만(도 3a), 그 결과는 만성 스트레스 쥐 모델에서 증가된 HPA 축 활성을 암시한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유사하다. HPA 축의 증가된 베이스라인 토닉(tonic) 활성은 만성스트레스를 겪는 쥐와 유사한 방식으로 만성 대뇌 저관류를 겪는 쥐에서 우울증 유사 행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에서 HPA 축의 활성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시상하부 및 해마를 포함한 관련된 뇌 영역의 GR 기능 활성에 의해 균형이 맞춰진다[Guidotti G, et al. Glucocorticoid receptor and FKBP5 expression is altered following exposure to chronic stress: modulation by antidepressant treatment. Neuropsychopharmacology. 2013;38(4):61627]. GR 단백질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현상은 스트레스-유도 동물 모델에서 HPA 축의 병리생리학적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 스트레스 쥐 모델에서, HPA 축의 음성 피드백(negative feedback) 손상은 관련 뇌 영역에서 GR 발현의 이상을 초래한다[Mizoguchi K, et al. Chronic stress attenuates glucocorticoid negative feedback: involvement of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Neuroscience. 2003;119(3):88797]. 만성스트레스에 노출됨에 따라 쥐들의 복측 해마(ventral hippocampus) 및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에서 세포질 GR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증가된 세포질 GR 단백질은 핵으로의 이동(translocation)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Guidotti G, et al. Glucocorticoid receptor and FKBP5 expression is altered following exposure to chronic stress: modulation by antidepressant treatment. Neuropsychopharmacology. 2013;38(4):6162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sham-수술 쥐에 비해 BCCAo 쥐의 세포질 GR 수준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은 세포질 GR에 대한 핵 GR의 전환율이 감소한 것을 나타내며(도 4), 이는 GR 단백질의 세포질로부터 핵으로의 이동(translocation)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HPA 축의 동요와 손상된 해마의 GR 신호전달은 만성 대뇌 저관류에 의해 유발된 우울증-유사 행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에서 나타나는 위와 같은 우울증-유사 행동은, 혈관성 우울증(vascular depression)으로 불리는, 노년층의 뇌혈관질환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동물 및 임상 실험에서 우울증 위험의 감소와 관련성을 나타낸, 3-히드록실-3-메틸-글루타릴-CoA 환원효소 억제제(statins)나 HPA 축에 작용하는 세로토닌 재흡수(reuptake) 억제제는 혈관성 우울증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Young-Xu Y, et al. Long-term statin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 Am Coll Cardiol. 2003;42(4):6907, Renshaw PF, et al. Lovastatin potentiates the antidepressant efficacy of fluoxetine in rats. Pharmacol Biochem Behav. 2009;92(1):8892, de Kloet ER, et al. Stress and the brain: from adaptation to disease. Nat Rev Neurosci. 2005;6(6):46375, Chollet F, et al. Fluoxetine for motor recovery after acute ischaemic stroke (FLAME):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Neurol. 2011;10(2):12330].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BCCAo에 의해 유발된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에서 우울증-유사 행동들이 관찰되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HPA 축 활성 및 세포 내 GR 신호전달 경로의 동요(perturbation)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만성 대뇌 저관류 쥐 모델은 혈관성 우울증의 병리생리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실험동물 및 수술방법
3개월령의 수컷 위스타 쥐(Wistar rat)(Charles River, 가평, 대한민국)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제어된 환경의 동물 사육장에서 사육하였다(22±1 ℃, 습도 50±10 %,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 조사). 달리 기술하지 않는 한 실험기간 동안 섭식 및 수분섭취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쥐들을 무작위적으로 실험군(BCCAo 그룹)과 대조군(sham 그룹)으로 나누었다. BCCAo 그룹에 대해, 정중선(midline) 절개를 통해 양측 총경동맥(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을 조심스럽게 노출시키고 실크 봉합사로 영구 이중접합(double-ligated)하였다. sham 그룹에 대해서도 양측 총경동맥의 차단 없이 동일한 수술을 수행하였다. 5 % 이소플루란/산소(isoflurane/oxygen) 혼합물을 이용하여 쥐들을 마취시키고 수술 과정동안 3 % 이소플루란/산소에 유지시켰다. 수술 중 직장(rectal) 온도는 전기담요로 37±0.5 ℃로 유지시켰다.
<1-2> 행동실험
상기 수술을 시행한 쥐들에 대해 다음 순서에 따라 행동실험(behavioral tests)을 수행하였다: 수술 3, 4 및 5개월 후에 연속적으로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을 수행하고; 수술 6개월 후에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을 수행하였으며; 수술 9개월 후에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을 수행하였다(도 1).
본 발명자들의 이전 연구에서 수술 3개월 후에 BCCAo 쥐가 인지장애를 나타냈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행동실험을 수술 후 3개월째 수행하였다. 피질하 혈관성 치매(subcortical vascular dementia)를 앓고 있는 환자의 사회적 위축(social withdrawal) 증상이 더 긴 팔로우업(follow-up)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Moretti R et al. Behavioral alterations and vascular dementia. Neurologist. 2006;12(1):437], 본 발명자들은 SIT에서 행동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수술 후 더 긴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위축 증상의 평가를 위한 SIT를 마지막으로 수술 후 9개월째 수행하였다.
<1-3>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 sucrose preference test , SPT )
공지의 방법에 따라 SPT를 수행하였다[Wang SH et al.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behavioural studies on adult ischemic rat response to chronic mild stress. Behav Brain Res. 2008;189(1):916]. 1 % 수크로스 용액과 아무 맛이 나지 않는(unflavored) 물이 각각 들어 있는 두 개의 병에 단독으로 사육된 쥐들을 동시에 넣었다. 실험 전에 20시간 동안 쥐들에게 음식과 물을 먹이지 않았다. 각각의 실험에서 쥐들에게 1시간 동안 섭취하게 하였다. 두 병들의 위치를 30분마다 조정하여 균형을 맞추었다. 실험은 양 그룹의 쥐들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숙련된 연구자가 수행하였다. 수크로스 선호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수크로스 선호도 (%) = [수크로스 용액 섭취량, mL / (수크로스 용액 섭취량, mL + 맛이 나지 않는(unflavored) 물 섭취량, mL)] × 100.
각 그룹당 7-8마리의 동물들을 측정하였다.
<1-4> 강제 수영 실험( Forced Swim Test )
공지의 방법에 따라 FST를 수행하였다[Morales-Medina JC et al. Role of neuropeptide Y Y(1) and Y(2) receptors on behavioral despair in a rat model of depression with co-morbid anxiety. Neuropharmacology. 2012;62(1):2008]. 실험쥐들을 뒷다리로 바닥을 짚을 수 없는 40 cm 높이의 물(25±2 ℃)로 채워진 투명한 아크릴 실린더(직경 30 cm; 높이 60 cm)에 개별적으로 넣어 강제적으로 수영을 시켰다.
독립한 10분 단위(single 10-min period)로 각각의 실험을 비디오테이프에 녹화한 후 부동시간(immobility time) 측정을 위해 기록하였다. 수영 중 쥐의 네 다리가 모두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시간을 부동시간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 실험쥐들을 실린더에서 꺼내어 타월로 건조시켰다. 각 그룹의 쥐들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숙련된 연구자가 각 그룹의 모든 쥐들의 평균 부동시간을 계산하였다. 각 그룹당 7마리의 동물들을 측정하였다.
<1-5>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 Social Interaction Test , SIT )
공지의 방법에 따라 SIT를 수행하였다[File SE, Seth P. A review of 25 years of the social interaction test. Eur J Pharmacol. 2003;463(13):3553 및 Stack A et al. Sex differences in social interaction in rats: role of the immediate-early gene zif268. Neuropsychopharmacology. 2010;35(2):57080]. 실험에 앞서 5일간 쥐들을 따로따로 사육하였다. 실험은 4일 동안 연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처음 3일은 적응기간(accommodation sessions)으로, 마지막 날은 실험기로 구성하였다. 적응기간 동안 쥐들을 매일 5분간 희미한 불빛(20 lux) 하에서 차폐되지 않은(uncovered) 80 cm×80 cm×42 cm (높이) 검은색 아크릴 상자에 개별적으로 넣었다. 실험기간 동안 sham 또는 BCCAo 그룹으로부터의 한 마리 쥐와 생소한 한 마리의 테스트 파트너를 동시에 약 60 cm 떨어지게 상자 안에 위치시켰다. 쥐들의 상호작용 행동(interactive behaviors)은 각 그룹에서 한 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에 비해 두 마리씩 짝을 지었을 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File SE, Seth P. A review of 25 years of the social interaction test. Eur J Pharmacol. 2003;463(13):3553],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쌍에서 체중이 50g 이상 차이나지 않는 동종의 친하지 않은 쥐를 실험 파트너로 사용하였다. 실험 파트너 쥐들은 한 번씩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기(test sessions)는 10분간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되었다. 각 실험기 사이에 활동장소(arena)를 10 %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냄새를 제거하였다. 킁킁거리거나(sniffing), ??거나(licking), 기거나(crawling under), 기어오르는 것과 같은 특정 행동에 소요된 시간을 사회적 상호관계 시간(social interaction time)으로 간주하고, 각 그룹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숙련된 연구자가 점수를 매기게 하였다. 각 쌍에 대해 sham 및 BCCAo 그룹의 쥐들의 점수만을 분석하였다. 그룹마다 6마리의 쥐들을 평가하였다.
<1-6> 혈장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Adrenocorticotropic Hormone ) 및 코르티코스테론( Corticosterone)의 정량
행동실험으로 인한 HPA 축에의 영향을 막기 위하여 분리된 집단(cohort)들을 혈액 및 뇌 조직 샘플링에 사용하였다. HPA 축에 미치는 만성 대뇌 저관류(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의 장기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술 9개월 후에, 모든 행동실험의 종료와 동시에 혈액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본 동물 모델은 반복된 육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보다는 장기간에 걸친 만성 대뇌 저관류의 영향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HPA 축을 평가하기 위한 호르몬 지표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과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CS)의 아침 베이스라인 혈장 수준(baseline morning plasma levels)을 사용하였다. 설치류의 활동일주기(circadian rhythm)는 그들이 밤에 활발히 움직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침의 CS 혈장수준은 더 낮고 일관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Gomez F et al.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response to chronic stress in five inbred rat strains:differential responses are mainly located at the adrenocortical level. Neuroendocrinology. 1996;63(4):32737]. 따라서, 오전 8시와 10시 사이에 채혈한 혈액 샘플들로부터 아침 베이스라인 혈장 수준을 측정하였다.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리(cage)로부터 꺼낸 뒤 20초 이내에 꼬리 정맥에 흠집을 내어 샘플링하였다. 샘플들을 EDTA가 담긴 튜브에 넣고 즉시 원심분리하였다(5000 rpm, 15분, 4 ℃). 어세이(assay) 분석을 할 때까지 분리된 혈장을 20 ℃에서 보관하였다. ACTH 및 CS의 혈장 농도는 ACTH 및 CS 용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각각 E90836Ra, Uscn Life Science Inc. 및 IB79175, IBL-Americ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룹당 5마리의 동물들을 측정하였다.
<1-7> 해마( hippocampus )에서 GR 에 대한 웨스턴 블랏 분석
호르몬 정량을 위한 혈액 샘플링 후에 즉시 쥐들의 목을 잘라 희생시켰다. 뇌를 제거한 후에, 해마(hippocampus)를 얼음 위에서 재빨리 절개하고 즉시 드라이 아이스 위에서 얼린 후 80 ℃에서 보관하였다. 해마 조직은 세포 용해 버퍼(10 mM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HEPES), pH 7.5; 0.6 % NP-40; 150 mM NaCl; 1 mM EDTA; 1 % Triton X-100; 10 mM NaF; 10mM Na3VO4; 10 mM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및 1 % protease inhibitors) 안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물을 원심분리하고(4000 rpm, 10분), 세포질 분획물을 함유한 각 샘플의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에 옮겼다. 버퍼(20 mM HEPES, pH 7.5; 25 % glycerol; 420 mM NaCl; 1.2 mM MgCl2; 0.2 mM EDTA; 0.5 mM DTT; 1 % Triton X-100; 10 mM NaF; 10 mM Na3VO4; 10 mM PMSF; 및 1 % protease inhibitors)로 펠렛(pellet)을 다시 균질화하고 20분간 얼음에서 배양하였다. 용해되지 않은 펠렛을 총 60분 동안 매 10분마다 15초간 볼텍싱(vortexing)한 후 튜브를 원심분리(마이크로원심분리기의 최대 속도로 10분간)하여 핵 분획물을 얻었다. 각 샘플의 총 단백질 농도는 브래드포드법(Bradford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웨스턴 블랏 분석을 위해 각각의 샘플을 5×샘플 버퍼(250 mM TrisHCl pH 6.8, 50 % glycerol, 10 % SDS, 500 mM β-mercaptoethanol, 및 0.1 % bromophenol blue)와 혼합하고, 100℃에서 35분간 끓이고, 얼음에서 유지시켰다. 단백질들을 SDS-PAGE로 분리시키고 전기영동 방법으로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막으로 이동시켰다. 5 % 스킴밀크(skim milk)에서 막을 차단시키고 GR 에 대한 1차 항체들(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과 함께 배양시킨 후 HRP-연결된 2차 항체들(1:5000, Jackson Labs, 또는 1:2000, Santa Cruz Biotechnology)과 함께 배양시켰다. 단백질들은 하이퍼필름(hyperfilm)에서 ECL 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덴시토메트리(densitometry)(Image Gauge software, GE Healthcare)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각 그룹당 5마리의 동물들을 측정하였다.
<1-8> 통계분석
일방향 ANOVA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SPTs의 행동 편차를 측정하였다. 개별적인 SPTs, FST, 및 SIT 로부터의 행동 데이터; ACTH 및 CS의 혈장 수준에서의 편차; 및 GR 발현들은 t 테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 값 <0.05를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분석들은 SPSS 소프트웨어(ver. 17.0)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 실시예 2>
우울증 유사 행동( Depressive - Like Behavior )
연속적인 SPT에서, 수크로스 소비에 대한 선호는 sham-수술 쥐들에 비해 BCCAo 쥐에서 시간-의존적인 방식으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F(1, 13)=4.94, P=0.045; 도 2a). 수술 3개월 후에 수행한 첫 번째 SPT에서, 수크로스 선호도는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t13=0.27, P=0.795). 그러나 BCCAo 쥐들의 같은 집단(cohort) 내 수크로스 선호도는 sham-수술 쥐에 비해 수술 4개월 후(t13=3.01, P=0.010) 및 5개월 후(t13=3.61, P=0.003)에 서서히 증가하였다.
수술 6개월 후 수행한 FST에서, BCCAo 쥐들은 sham-수술 쥐들에 비하여 약간 증가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러한 편차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t12=0.84, P=0.413; 도 2b).
수술 9개월 후 수행된 SIT에서, BCCAo 쥐들은 sham-수술 쥐들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된 상호관계 시간(interaction time)을 나타내었다(t10=2.39, P=0.038; 도 2c).
< 실시예 3>
HPA 축에서의 호르몬 변화
위와 같은 행동변화의 가능한 분자수준의 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룹간 ACTH 및 CS 혈장 농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ham-수술 쥐에 비해 BCCAo 쥐에서 약간 더 높은 수준의 혈장 ACTH를 관찰하였지만 그 편차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t8=1.07, P=0.315; 도 3a). 반면에, BCCAo 쥐의 혈장 CS 수준은 sham-수술 쥐에서보다 훨씬 더 높았다(t8=3.58, P=0.007; 도 3b).
< 실시예 4>
해마에서의 GR 발현의 변화
웨스턴 블랏팅을 이용하여 그룹들 사이의 해마에서의 GR 발현을 조사하였다. 정량분석 결과 BCCAo 쥐의 해마 세포의 세포질에서 sham-수술 쥐들의 것과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된 GR 발현이 나타났다(t8=3.17, P=0.028). 해마 세포에서 핵의 GR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편차를 나타내지 않았다(t8=0.14, P=0.894; 도 4c). 세포질 GR에 대한 핵 GR의 비율은 sham 그룹에 비하여 BCCAo 그룹에서 더 낮았다(t8=2.74, P=0.038; 도 4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실험 동물을 수술하여 만성 대뇌 저관류(chronic cerebral hypoperfusion)를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증 동물 모델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술을 시행한 실험 동물들에 대해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행동실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상기 우울증 동물 모델은 혈관성 우울증(vascular depression)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동물 모델.
  3. 제2항의 우울증 동물 모델에 시료를 투여하는 단계; 상기 시료 투여 후 수크로스 선호도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 test, FST) 및 사회적 상호관계 실험(social interaction test, 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행동실험을 수행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행동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울증의 증상을 완화시킨 시료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울증 동물 모델을 이용한 우울증 예방 및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50042362A 2015-03-26 2015-03-26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KR20160115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62A KR20160115187A (ko) 2015-03-26 2015-03-26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62A KR20160115187A (ko) 2015-03-26 2015-03-26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187A true KR20160115187A (ko) 2016-10-06

Family

ID=5716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62A KR20160115187A (ko) 2015-03-26 2015-03-26 만성 대뇌 저관류 동물 모델의 신규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1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0129A (zh) * 2020-02-26 2020-06-16 重庆医科大学 一种青幼期食蟹猴抑郁模型的构建方法
CN113520363A (zh) * 2021-06-25 2021-10-22 安影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下丘脑及垂体的血流灌注获取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056A (ko) 2005-10-26 2007-05-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의 릴 회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056A (ko) 2005-10-26 2007-05-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의 릴 회전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0129A (zh) * 2020-02-26 2020-06-16 重庆医科大学 一种青幼期食蟹猴抑郁模型的构建方法
CN113520363A (zh) * 2021-06-25 2021-10-22 安影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下丘脑及垂体的血流灌注获取方法及系统
CN113520363B (zh) * 2021-06-25 2023-08-25 安影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下丘脑及垂体的血流灌注获取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enzuela et al. Exercise benefits on Alzheimer’s disease: State-of-the-science
Hou et al. Anti-depressant natural flavonols modulate BDNF and beta amyloid in neurons and hippocampus of double TgAD mice
Krishnan et al. AKT signaling with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regulates cellular and 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ful stimuli
Dinel et al. Lipopolysaccharide-induced brain activation of the indoleamine 2, 3-dioxygenase and depressive-like behavior are impaired in a mous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Fortress et al. 17β-Estradiol regulates histone alterations associated with memory consolidation and increases Bdnf promoter acetylation in middle-aged female mice
Yang et al.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salidroside on olfactory bulbectomy-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hyperactivity of HPA axis in rats
Kondo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ameliorates a motor coordination deficit in a mouse model of Rett syndrome–Mecp2 gene dosage effects and BDNF expression
Réus et al. Ketamine and imipramine in the nucleus accumbens regulate histone deacetylation induced by maternal deprivation and are critical for associated behaviors
Zhang et al. Curcumin produces antidepressant effects via activating MAPK/ERK-dependent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in the amygdala of mice
Corrales et al. Long‐term oral administration of melatonin improves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nd protects against cholinergic degeneration in middle‐aged T s65 D n mice, a model of D own syndrome
Guo et al. Fingolimod suppressed the chronic unpredictable mild stress-induced depressive-like behaviors via affecting microglial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Xu et al. Activation of liver X receptors prevents emotional and cognitive dysfunction by suppressing microglial M1-polarization and restoring synaptic plasticity in the hippocampus of mice
ElBatsh Antidepressant-like effect of simvastatin in diabetic rats
Kida et al. Long-term running alleviates some behavioral and molecular abnormalities in Down syndrome mouse model Ts65Dn
Horowitz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systemic brain rejuvenation strategie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Wu et al. C/EBPβ/δ-secretase signaling mediates Parkinson’s disease pathogenesis via regulating transcription and proteolytic cleavage of α-synuclein and MAOB
Xu et al. Inhibition of phosphodiesterase-4 reverses Aβ-induced memory impairment by regulation of HPA axis related cAMP signaling
Valente et al. C/EBPβ expression in activated microglia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Haussmann et al. Minireview: Lithium: A therapeutic op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its prodromal stages?
Rosa et al. Antidepressant effects of creatine on amyloid β1–40-treated mice: the role of GSK-3β/Nrf2 pathway
Jiang et al. GSK3β is involved in promoting Alzheimer’s disease pathologies following chronic systemic exposure to Porphyromonas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in amyloid precursor proteinNL-F/NL-F knock-in mice
Song et al. Cysteine-rich whey protein isolate (Immunocal®) ameliorates deficits in the GFAP. HMOX1 mouse model of schizophrenia
Wu et al. Effects of chronic stress on depressive-like behaviors and JMJD3 expression in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of C57BL/6 and ob/ob mice
Abdulla et al. Creatine transporter knockout mice (Slc6a8) show increases in serotonin-related proteins and are resilient to learned helplessness
Kirsten et al. Zinc, but not paracetamol, prevents depressive-like behavior and sickness behavior, and inhibits interferon-gamma and astrogliosis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