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545A -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 Google Patents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545A
KR20160114545A KR1020160048686A KR20160048686A KR20160114545A KR 20160114545 A KR20160114545 A KR 20160114545A KR 1020160048686 A KR1020160048686 A KR 1020160048686A KR 20160048686 A KR20160048686 A KR 20160048686A KR 20160114545 A KR20160114545 A KR 2016011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mat unit
unit
widt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2013B1 (en
Inventor
박영건
최명숙
Original Assignee
박영건
최명숙
최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건, 최명숙, 최진희 filed Critical 박영건
Priority to KR102016004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13B1/en
Publication of KR201601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mper mat assembly has an upper mat unit of a plate upper member and a bottom mat unit as component members for forming multiple compositions in a mutual combinatio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have more than one foldable flab extended in a width direction and is used as a playground apparatus of infants by forming multiple compositions in a state that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folded or spr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mpositions can be fabricated and used for education and playground facility, and a bumper mat assembly useful for the growth of infant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mat assembly for an infant &

본 발명은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아 및 유아의 각종의 교육 및 보육현장에 설치 및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단일의 어셈블리로서 복합적인 구성체를 제공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교육과 놀이에 사용하게 하여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at can be installed and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and childcare sites of infants and toddl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mat assembly which is useful for infant education and play and is useful for infant and child growth.

유아원, 유치원, 각종의 사설 보육원 등, 영아 또는 유아를 교육하기 위한 많은 교육기관이 존재한다.There are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ducate infants or toddlers, such as kindergartens, kindergartens, and various private nurseries.

이러한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아 또는 유아들의 놀이로서의 유희가 성장 및 발육, 두뇌교육 등에 매우 주요한 교육요소로서 다양한 놀이기구가 교육현장에 서 사용되고 있다.In this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various kinds of amusement rides are used in the education field as a very important educational factor such as growth and development, brain education, and play as infant or infant play.

그러나 종래의 다양한 유희용 놀이구 중, 특히 신체발육의 성장을 위한 매트 는 단일의 목적, 예를 들면 평판매트 형상으로 영유아들이 놀 수 있는 유희공간으로 서의 매트체, 또는 놀이집 이나 미끄럼틀 등의 기히 조립된 형상을 가지는 매트어 셈블리로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효용성이 단일의 것이 대부분이고 다양한 유희동작 을 위하여 모두 구비하는 경우, 고가의 것이 되고 또한 실제적으로 설치 및 보관할 공간이 제한적인 교육환경에서 구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among the various types of amusement games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mat for growth of the body development is a single purpose, for example, a mat as a play space in which infants can play in the form of a flat mat, This is a matt assembly that has an assembled shape. If the matt assembly has a single usefulness and is provided for various play operations, it is expensive and has a limited space for actual installation and storage. It is difficult.

따라서, 저렴하고도 다양한 복합적인 목적을 가지는 영아 또는 유아를 위한 놀이용 기구 특히 영유아들의 부상을 방지하면서도 놀이를 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 이 절실한 실정으로서 이는 점차로 영,유아 교육이 중시되는 현실에서 중요한 요소 가 아닐 수 없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n apparatus for infant or infant having a complex and various purpose which is inexpensive and various, especially, a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pla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can not be an elemen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매트구성을 활용한 다양한 선출원이 있었다. 특히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241724에는 유아용 놀이 매트에 있어서, 경사면과 쿠 션재가 안치된 매트는 제 1매트와 이와 연결된 제 2매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매트 와 제2매트 사이에는 펴거나 접을 수 있는 접힘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매트 또는 제2매트 일측에는 아이들의 추락을 방지하는 탈부착 부재가 설치된 가이드가 구성 되도록 하며;상기 가이드의 탈부착 부재는 끼움식, 단추식, 벨크로 테이프, 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탈부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매트 또는 제2매트 일 측에 상기 가이드가 상호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과,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69863호에 커버지와 쿠션재로 구성되는 두개의 매 트패널이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대형매트와 하나의 매트패널로 구성되는 소형 매트로 구성되고, 대형매트의 일측 매트패널이 모서리부분을 대각선으로 구획하여 각 외측 모서리의 삼각형 플랩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사다리꼴 베이스부분으로 구성 되고 각 플랩부분과 베이스부분이 연결부로 연결되는 유아용 놀이매트에 있어서,소 형매트의 매트패널의 일 측 장변부에는 커버지 내 측에 인접하여 커버지와 쿠션재) 사이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고 타측 장변부에는 수 개의 자성체금속편을 배치하며, 대형매트에서 삼각형플랩부분을 갖는 일측 매트패널에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타측 매트패널에는 일측 매트패널의 반대측 장변부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고, 삼 각형플랩부분을 갖는 일측 매트패널의 단변부에 수 개의 자석을 배치하며, 타측 매 트패널의 상부면에는 일측 매트패널의 삼각형 플랩부분을 접었을 때 그 단변부가 놓이는 위치에서 수 개의 자성체금속편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놀이매트가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re have been various prior arts utilizing the mat construction. In particula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1724 discloses an infant playmat in which a mat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a cushion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first mat and a second mat connected to the first mat, And the first mat or the second mat is provided with a folding member, and a guide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for preventing fall of the childre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mat or the second mat, and the detachable member of the guide is a butt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ats are connect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first mat or the second mat, and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cover and a cushioning material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9863 The two mat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a small mat composed of one mat panel, and one side mat of the large mat A playmat for infants, comprising a triangular flap portion of each outer edge and a trapezoidal base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each of which divides the edge of the board diagonally, wherein each fla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magnets are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per and the cushioning member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cover paper on one side long s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magnetic metal pieces are disposed on the other long side portion and adjacent to the one side mat panel having the triangle flap portion on the large mat A plurality of magnets are disposed on the long side of the one side mat panel and a plurality of magnets are arranged on the short side of the one side mat panel having the triangular flap portion, A plurality of metal pieces of a magnetic material are arr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short side portion of the triangular flap portion of the one- There are baby play mat features a chiham.

그러나, 상기하는 선출원의 구성은 대부분 단일의 매트 접철연결체를 구성하 고 있기는 하나 그 목적과 사용이 설계되고 의도된 단일의 기능과 효과만을 발할 뿐이고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요청되는 다양한 놀이환경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매트구성 자체보다는 매트간의 연결구성을 자석을 사용하는 구성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그 사용변형성이 한정되고 기능이 제한적이다.Howe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constitutes a single mat-shaped connection body, the purpose and use of the prior art are merely designed and intended to provide only a single function and effect, and a variety of play environments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ats is focused on a structure using a magnet rather than a mat construction itself, and its use variability is limited and its functions are limited.

또한,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180393호에는 변형가능한 형태의 매트를 제시 하고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실내 바닥에 깔리는 사 각형상의 중앙판과;상기 중앙판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매트 몸체로서 상기 중앙판과 두께가 동일한 판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2절첩판으로 이 루어지며 상호 길이방향으로 재봉질 되어 결합 되며, 상기 제1절첩판은 상기 중앙판 과 길이방향으로 재봉질 되고, 상기 제2절첩판은 그 측면과 배면 일부에 암형 벨크 로파스너가 부착되어 절첩됨으로써 보관을 위해 부피를 축소하거나 펼치거나 또는 유아용 침대로 변형시키기위해 세워지게 된 절첩부와, 상기 중앙판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복수의 상기 절첩부와도 각각 결합되어 유아용 침대의 측벽을 구성하는 가드부로 이루어져 성인용 또는 놀이용 매트와, 유아용 침대로 가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가변형 매트가 제시되어 있으나, 단일의 접철기능을 가짐으로써 매트와 침대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의 변형이 불가능하여 효용성의 제한이 있으며 그에 따라서 침대형 놀이기구 외의 별이의 작 효과를 발하기 어려워 제한적인 기능에 그치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0393 discloses a mat having a deformable shape,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aid on the floor of the room for absorbing impact, And the first folding plate is coupled to the center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first folding plate is coupled to the center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folding plate has a folded portion which is erected to fold or unfold the volume or fold it into a baby bed by being folded with a female-type fastener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guards constituting the sidewalls of the infant be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ide edges of the baby co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attress and a bed but can be modified to other uses as a single folding func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the star other than the bed type play equipment is difficult to be produced and thus the function is limited.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4172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1724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269863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9863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118039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039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다양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체를 만들어 영유아의 교육과 놀이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in various arrangements, which can be used as education and play facilitie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provide a bumper mat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재료로 다양하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mper mat assembly capable of forming various shapes with a minimum amount of material, capable of being installed using a minimum space, and saving material co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호 조합되어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탄성체의 판 상부재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분리된 매트체로서 구비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접철이 가능한 플랩을 가지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 태에서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member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erei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s a plate member of an elastic body are provided as separate mat members Wherei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have at least one foldable flap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form a plurality of constituent members in a folded or unfolded state, It is used as a playground of.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1개 이상의 상기 플랩의 접철된 상 태에서의 상호 접속면에 대응하는 밸크로를 부착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 태에서 벨크로로 접합구성한 복수 형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And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provided with a valve corresponding to an interconnection surface in a folded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laps so that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folded It is used as play equi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by forming the plural form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with velcro in the unfolded state.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하고,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하며,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하고,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라할 때, 상기 각 플랩들의 길이는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한다.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formed by five flaps extending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The fiv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an a1 flap, an a2 flap, an a3 flap, The width of the a1 flap is D1, the width of the a3 flap is A, the width of the a4 flap is C1, the width of the a5 flap is C2, The width of the b1 flap is d2, the width of the b2 flap is d1, the width of the b3 flap is b1, and the width of the b2 flap is d2. The b1 flap is called as b1 flap, b2 flap, b3 flap, When the width of the flap is a, the width of the b4 flap is c1, and the width of the b5 flap is c2, the length of each flap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폭방향의 길이를 B 라 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b 라 할 때,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을 만족한다.Whe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mat unit is B and the length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ttom mat unit is b, the following formula (3) is satisfied.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플랩의 폭방향의 각 길이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한다.The length of each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p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5).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두께를 t1 라 할 때,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각 플랩간의 폭방향의 길이와 어퍼매트유니트의 두께 t1와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6]를 만족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t unit is t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nd the thickness t1 of the upper mat unit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6).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상단부 또는 피복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하단부 또는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로의 삽입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한다.Further, the upper mat unit forms an upper end portion or a constituent portion as a covering body, and the bottom mat unit forms a constituent portion 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nstructing body or an insert to the upper mat unit.

그리고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방향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은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3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but against each other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a1 flap, the a4 flap,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1 flap, the b2 flap,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So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를 이루되 각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4개의 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형성되어 각 벽체로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wall formed of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a fourth wall formed of a b4 flap and a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Each wall is perpendicular to the a3 flap and the b3 flap,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 walls is installed such that the flaps forming each wall are folded or unfolded to form a wall to vary the size of the space formed by each wall.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평을 이루어 벽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개구된다.A first wall formed by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 second wall formed by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fourth wall formed by the b4 flap and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fourth wall formed by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3 flap and the b3 flap And the inner space is opened to the outside due to the absence of the wall.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3플랩 상면과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upper m3 flap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lower b3 flap of the bottom mat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with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a1 flap, the a2 flap,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a5 flap are bent toward the bottom mat unit, and the b1 flap,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the b4 flap of the bottom mat unit, the b5 flap is bent toward the upper mat unit to form a space therein.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된다.A first wall formed by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 second wall formed by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1 flap and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may be formed by folding each of the flaps constituting each wall, The wall surface is opened so that at least one wall surface of the space formed inside is opened.

또한,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플랩이 지면에 펼쳐지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면이 지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되, 제a3플랩의 지면에 접한부근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펼쳐진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펼쳐져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five flaps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spread on the ground, one side of the upper mat unit 10 is rai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bottom mattress unit (A1)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50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forming a space.

그리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다.And a window capable of opening a part of a flap of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is provided.

또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 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한다.Further, the stiffness of the constituting member is further increased as an auxiliary belt having Velcro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 formed by combining and bonding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구성체를 만들어 영유아의 교육과 놀이시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영유아 성장에 유용한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mper mat assembly tha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and play facilit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is useful for growing infants and toddl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의 재료로 다양하게 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mper mat assembly capable of forming various shapes with a minimum amount of material, utilizing a minimum space, and saving material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기본구성의 범퍼메트의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평면도.
도 2a,b는 도 1의 E 부의 각각의 실시형태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1의 용도 를 도시하는 구성의 사시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 2 의 용도를 도시하는 구성의 절첩상태로서 조립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완성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3의 용도 로서 의 구성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4의 용도 로서 의 구성의 사시도.
도 8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5의 용도의 구성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9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6의 용도로서의 구성의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7의 용 도로서 정글짐을 구성한 측면사시도.
도 11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8의 용도로서 터널및 저상터널의 구성으로 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사용하지 않을 시의 보관상태를 도시하는 향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사각스 형의 놀이공간체로 구성한 실제 제품의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ssembly of a bumper mat of an exemplary basic structure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an infant and children's complex r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enlarged views of respective embodiments of part E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showing a first use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and children's complex 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folding as a folded state of a configuration showing a second use.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 4;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hird applica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as a fourth use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fifth use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xth use.
10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titutes a jungle gym for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unnel and a low-floor tunnel as an eighth applica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grou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when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and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FIG.
FIG. 13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product constituted by a square-shaped play space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a composite play apparatu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영유아 유희 교육용 범퍼매트어셈블리(100)는,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 이상의 조합판재를 가지게 되고 기본적으로는 판상매트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bumper mat assembly 100 for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pair of combination plates, and basically includes an upper mat unit 10 as a plate mat, (50).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상호 평면상으로 펼쳐질 수 있 는 매트로서 사용되고 접속되는 면에서의 각각의 길이가 같아 평면상으로 펼지는 경우, 단일의 사각형상체를 구성하는 치수를 가진다.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used as mats that can be spread in a mutually plane manner and when they are spread in a plane with the same length in the connected plane, .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퍼매트유니트(10)는 유희구로서의 구 조물의 상부체 또는 수용부를 구성하게 되고 바텀매트유니트(50)는 구조물의 바닥 체 또는 삽입체로서 사용된다.As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upper mat unit 10 constitutes the upper body or receiving portion of the structure as a game hall, and the bottom mat unit 50 is used as a bottom body or an insert of the structure.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통상의 탄성재질체 예를 들면 합성고무, 강성의 고밀도 스펀지, 비교적 강성의 발포수지판재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재로 만들어 짐으로써 완충력을 보장하여 영유아들의 부상을 방지하게 한다.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made of a variety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ubber, synthetic rubber, rigid high-density sponge, and relatively rigid foamed resin material, Thereby preventing injury.

도 2a에서와 같이,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성하는 판 재는 연결밴드부(H)가 유니트 간에 열압착되어 절첩선을 구성하도록 노출된 그대로 의 판재일 수도 있지만,2A, the plate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may be a plate material in which the connecting band portion H is thermally bonded between the units to expose them so as to form a fold line,

영유아의 부상의 방지와, 미관의 증대, 물청소 등을 위하여 도 1의 E부 확 대도인 도 2b에서와 같이 내부에 탄성판재(P)를 감싸는 형태의 비닐지 등의 합성수 지지 또는 면제 등의 외피체(K)를 구성하여 지퍼(도시하지 아니함)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탄성판재(P)를 수용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는 내부의 탄성판재(P)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2B, which is an enlarged view of E in Fig. 1, synthetic water support such as vinyl paper or the like which encapsulates the elastic sheet P in its inside is used for prevention of injury of infants, increase of aesthetic appearanc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outer shell K of the elastic plate P and finish it with a zipper (not shown) or the like to accommodate the elastic plate P and replace the inner elastic plate P if necessary.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히는 중심선인 접철 선(F)은 측면의 다른 플랩을 구성하는 외피체(C)와는 박음질연결되어 접합될 수 있 다.The fold line F, which is the fold line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can be joined and bonded to the outer casing C constituting the other side flap.

따라서 본 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에 채용되는 판 상구조는, Therefore, the plate-like structure adopted in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1) 노출된 통상의 탄성재질체 예를 들면 합성고무, 강성의 고밀도 스펀지, 비교적 강성의 발포수지판재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 재의 판재가 노출되어 접철 선(F)에서 일측이 열압착 등으로 접합되어 저렴하게 구성된다.(1) Exposed ordinary elast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rigid high-density sponge, and relatively rigid foamed resin material are exposed and joined on one side of the folded line F by thermal compression or the like .

(2) 영유아의 마찰부상의 방지와, 미관의 증대, 물청소 등을 위하여 도 1의 A부에서와 같이 내부에 탄성판재(P)를 감싸는 형태의 비닐지 등의 합성수지지 또는 면제 등의 외피체(C)를 구성하여 지퍼(도시하지 아니함) 등으로 마감처리하여 탄성 판재(P)를 수용 및 필요한 경우 내부의 탄성판재(P)를 교체할 수 있게 하고, 어퍼 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히는 선인 접철선(F)은 측면의 다른 부 재의 외피체(C)와는 박음질연결하여 구성한 것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2) As shown in part A of Fig. 1,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frictional injuri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creasing aesthetic appearance, cleaning water, etc., a synthetic resin paper such as vinyl paper in the form of wrapping an elastic plate material P therein, The upper plate 10 and the bottom plate 10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plate P can be received and replaced if necessary with the zipper The connecting wire F which is the folding line of the mat unit 50 may be any of those formed by connecting with the outer casing C of the other side member.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구성하는 탄성판재(P) 또 는 노출되는 외피체(C)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원색의 색상 을 구분하여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late member P or the cover member C that constitutes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r the cover member C to be exposed is divided into various primary colors in order to induce curiosi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Do.

후술하는 구성의 설명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1개가지는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탄성완충이 더욱 요청되는 경우는 플랩을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described as being on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stitu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wo or more flaps can be constituted when elastic buffering is further demanded.

이러한 탄성판재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 트(50)는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 또는 놀이체를 형성하는 구성체로 하기 위하여 접철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텀매트유니트(50)는 후술하는 목적에 부합하게 적절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직사각형성체의 중앙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좌(우)로 연장되고 절첩되는 제1-1 플랩(52)과 제1-2플랩(53)을 양측에 중앙에 접철선(F)을 기준으로 가지는 것이 좋다.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which are based on such an elastic plate, are configured to be folded in order to form various kinds of play or play bodies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mat unit 5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described below and extends leftward (righ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bottom main plate 51 of the rectangular member, 52 and the first-second flap 53 on both sides with the connecting wire F at the center as a reference.

접철선(F)을 구성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선을 따라서 매트의 두께(t)의 일측에서 연결되도록 박음질 또는 열압착, 외피체(C)의 박음질연결선 등으 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wire F may be constituted by a string or a thermocompression bonding, a stiffening connecting line of the casing C or the like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ckness t of the mat along this line as described above.

또한 후술하는 구성체의 형성 시에 불요한 탄발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바텀메 인판(51)과 제1-1플랩(52),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접철선(F)은 상호 반 대되는 면상에 제공함으로써 접을 경우 직각이 형성되어 소망하는 구성체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main flap 51 and the first 1-1 flap 52,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first 1-2 flap 53 are provided so as not to give an unnecessary elastic force at the time of formation of the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ng wires F are provided on mutually opposite surfaces so that a right angle is formed when the connecting wires F are folded to form a desired structure.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폭(c1,c2)은 접을 경우 매트의 두께(t)를 흡수하도록 외측의 제1-1플랩(52)을 내측의 제1-2플랩(53)보다 매트의 두께(t)만큼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후 이상의 플랩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접철가능한 2개의 플랩을 각유니트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우(좌)에는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역시 연결하여 가진다.The widths c1 and c2 of the first-first flap 52 and the first-second flap 53 connected to the bottom main plate 51 are set so as to absorb the thickness t of the mat, It is preferable to form one flap 52 longer than the inner first flap 53 by the thickness t of the mat. This is because the two flaps, which are exemplarily foldable, The second-1 flap 55 and the second-2 flap 56 are also connected to the right (left) side of the bottom mat unit 50.

제2-1플랩(55)과 제2-2플랩(56)의 폭(c3,c4)은 제1-1플랩(52)과 제1-2플 랩(53)의 폭(c1,c2) 보다 크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의 폭(c1,c2)보다 6t 정도 크게 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러한 규격의 설정이 필 요한 것은 아니고 청구하는 범위에서의 기술적 사상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widths c3 and c4 of the second-1 flap 55 and the second 2 flap 56 are set to be equal to the widths c1 and c2 of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first 1-2 flap 53,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s c1 and c2 of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by about 6t.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set such a standard, And can be variably set within the range of technical thought in the range.

또한 제2-2플랩(56)의 폭(c4)이 제2-1플랩(55)의 폭(c3)보다 4t정도 길게 형성한다.The width c4 of the second-2 flap 56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c3 of the second-1 flap 55 by about 4t.

예시적으로는 바텀메인판(51)의 폭(a)은 124cm, 제1-1플랩(52)의 폭(c1)은 24cm, 제1-2플랩(53)의 폭(c2)는 26cm, 제2-1플랩(55)의 폭(c3)은 36cm, 제2-2플 랩(56)의 폭(c4)은 40cm 정도가 영유아의 신체와 놀이공간을 고려할 때에 적합하였다.Illustratively, the width a of the bottom main plate 51 is 124 cm, the width c1 of the first 1-1 flap 52 is 24 cm, the width c2 of the 1-2 flap 53 is 26 cm, The width c3 of the second-1 flap 55 was 36 cm and the width c4 of the second-second flap 56 was about 40 cm, which was suitable when considering the infant's body and play space.

또한, 상기에서 고려할 점은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 과 제1-2플랩(53)의 폭(c1,c2)은 접을 경우 직각으로 꺽여서 구조물이 안정되도록, 바텀메인판(51)과 제1-1플랩(52)의 접철선(F)과,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의 접철선(F)의 위치는 평면상 반대에 위치에 존재하여야 구조물의 구성시에 정확한 구성체가 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widths c1 and c2 of the first-first flap 52 and the first-second flap 53 connected to the bottom main plate 51 are bent at right angles when they are folde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wire F of the bottom main plate 51 and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wire F of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Should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lane to be an accurate constitu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물론 접철선(F)을 매트판의 두께의 상하위치의 중앙부에 부여하여도 구성이 가능하나 구조물의 구성 시에 매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소망하는 형상의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Of course, the connecting wire F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ickness of the mat plate,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esired shap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at itself when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상기의 바텀매트유니트(50)과 협동하여 후술하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어퍼매 트유니트(10)의 구성 역시 접철이 가능한 매트구성이다.The structure of the upper mat unit 10 constituting the structure described later in cooper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bottom mat unit 50 is also a foldable mat construction.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판으로서 어퍼메인판(11)에 대하여 좌우로 플랩을 가지게 되고, 어퍼메인판(11)의 좌(우)측에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을, 우(좌)측에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을 가지며 그 구성은 바텀매트유니트(50)과 거의 동일 하나, 접철 상태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를 그 내방에 수용하여 구성체를 형성하도록 어퍼메인판(11)과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 랩(16)은 치수를 설정하여 가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plate has left and right flaps with respect to the upper main plate 11, and a third-1 flap 12 and a 3rd-2nd flap (left- Flap 15 on the right side and a 4-2 flap 16 on the right side and the constitu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bottom mat unit 50. In the folded state, the bottom mat unit 50 Flap 13, the 4-1 flap 15, the 4-2 flap 13, the 4-1 flap 14, the 3-1 flap 12, (16) has a dimension set.

즉 어퍼매트유니트(10)의 길이(A)는 바텀매트유니트(50)이 접철되어 그 내방 에 수용되도록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b)과 동일한 치수, 예를 들면 80cm 로 구 성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폭(B)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a)에 매트의 두 께(t)의 8배 즉 8t 정도를 추가하여 접을 경우의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접철된 폭 을 수용하고 구성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length A of the upper mat unit 10 is set to the same dimension as the width b of the bottom mat unit 50, for example, 80 cm so that the bottom mat unit 50 is folded and accommodated in the inside thereof The width B of the upper mat unit 10 is equal to the width a of the bottom mat unit 50 when folded by adding 8 times or 8t of the thickness t of the mat to the length a of the bottom mat unit 50. [ Lt; RTI ID = 0.0 > shape < / RTI >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 플랩(16)의 길이(C1,C2,C3,C4)는 각각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c1,c2,c3,c4)보다 매트의 두께(t)의 2배 이상으로 구성하여야 후술하는 구성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돌 출부위가 없어지고 구성체의 형태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놀이기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The lengths C1, C2, C3, and C1 of the third-1 flap 12 and the third-2 flap 13, the fourth-1 flap 15, and the 4-2 flap 16 of the upper mat unit 10, C4 must be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t of the mat as compared with the widths c1, c2, c3 and c4 of the bottom mat unit 50. In forming the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used as a playground by keeping its shape stable.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의 폭방향 양단에는 통상적인 암(female),수(male) 어느 하나의 벨크로(상 품명(Velcro:V1)를 박음질 접착 등으로 소정의 두께(바람직하게는 매트의 두께(t) 의 2배 이상)의 폭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바텀매트유니 트(50)의 바텀매트유니트(50)의 바텀메인판(51)에 대하여 연결된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의 폭방향 두께(t)면 즉, 매트의 측 면부에는 수,암 어느 하나의 벨크로(V2)를 두께(t)의 폭으로 박음질 또는 접착형 성한다.The widthwise ends of the 3-1 flaps 12 and the 3-2 flaps 13 and the 4-1 flaps 15 and the 4-2 flaps 16 of the upper mat unit 10 are provided with a common arm female) or male (Velcro: V1) is formed with a width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preferably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t) of the mat) by sticking adhesive or the like,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connected to the bottom main plate 51 of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bottom mat unit 50 so that the first 1-1 flap 52, The thickness of the flap 55 and the second flap 56 is set to be the thickness t of the flap 55 and the second flap 56. That is, .

이러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벨크로(V1)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벨크 로(V2)는 상호 접착하여 후술하는 구성체의 조립, 형성 시에 매트부재간의 고정결합 력을 제공하여 놀이 및 유희기구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Velcro V1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Velcro V2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adher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fixed engagement force between the mat members at the time of assembling and forming a constituent body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mechanism.

물론 이러한 벨크로(V1,V2) 대신 똑딱이단추 또는 마그네트를 구성할 수 있 으나 그러한 변형은 단순한 접합수단의 치환으로서 선원에 구애받지 않음은 물론이 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knot or magnet instead of a velcro (V1, V2), but such a modification is of course marginal as a replacement for a simple means of joining.

또한 상기하는 구성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에 절개된 형태의 윈도우(W)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하우스체 등의 구성 시에 창문으로 함으로써 더욱 영유아의 호 기심을 촉발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 3, 도 9b, 도 11a에는 이러한 윈도우(W)가 없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도시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window W in the form of an incision in the upper mat unit 10 to form a window in the construction of a house body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3, 9B and 11A show that the window W is absent, so that it is selectively applicable.

상기하는 플랩접철구성을 가지는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놀이기구로서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구성체가 도 이하에 도시된다.The constitu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and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as the various play apparatuses constituted by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having the above flap folding configuration is shown in the figure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1의 용도 를 도시하는 구성으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벨크로(V1) 형성면을 부분을 뒤집 어(영유아의 마찰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배면으로하고, 바텀매트유니트(50)를 상호 접대어 펼침으로써 영유아들이 뛰어놀 수 있는 전체 매트체(M)로서 사용이 가 능함을 도시한다.3 is a view showing a first use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children's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of the upper mat unit 10 on which the velcro V1 is formed is turned upside down The bottom mat unit 50 can be used as an entire mat M for infants and toddlers to play with.

도 4, 5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2의 용도로서 영유아들이 그 안에 들어가 놀 수있는 사각박스형의 놀이공간체(P)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Figs. 4 and 5 show that, as a second use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and children's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ants can be used as a rectangular box-like play space body P in which they can enter and play.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1-2플 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접고 이 접철된 구성체를 어퍼매트유니 트(10)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이 접힌 구 성체에 삽입함으로써 사면이 폐색된 놀이공간체(P)로 기능하고 사면은 복수 개의 접철된 플랩들에 의하여 완충되므로 영유아들의 부상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놀이 를 할 수 있다.For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2-1 flap 55 and the 2-2 flap 56 are folded, Folded structure is folded on the folded structure of the 3-1 flap 12 and the 3-2 flap 13, the 4-1 flap 15 and the 4-2 flap 16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slope functions as a closed play space P and the slope is buffered by the plurality of folded flaps so that the play can be safely performed without fear of injur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도 6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3의 용도 로서 제1형의 소파를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을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 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 중, 어느 한 쌍의 플랩만을 접어 겹쳐 접철하면 소파형상체(S1)를 구성하므로 영유아들이 변형 된 상태에서의 유희가 가능하다.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mat unit 50 includes a first 1-1 flap The upper flap 52 and the 1-2 flap 53, the 2-1 flap 55 and the 2-2 flap 56 are folded and the upper mat unit 10 is folded on one side flap, Shaped flap S1 is formed by folding and folding only one of the flaps 13-2, 13-2, 14-1, 14-2 and 14-2, Playing in the deformed state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4의 용도 로서 제2형의 소파를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 랩(53),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의 어느 한 쌍의 플랩을 접고, 어퍼매트유 니트(10) 역시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중 어느 한 쌍의 플랩만을 접어 겹쳐 접철하면 변형된 소파형상체(S2)를 구성하므로 영유아들이 다른 변형된 상태에서의 유희가 가능하다.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children's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mat unit 50 includes a first 1-1 flap (not shown)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upper flap 52 and the 1-2 flap 53 are folded and the upper mat flap 10 is also folded in one of the two flaps 56. [ When the folding of the folded flaps of either the 3-1 flap 12 and the 3-2 flap 13, the 4-1 flap 15 or the 4-2 flap 16 is folded and folded, (S2), it is possible for infants to play in other modified states.

도 8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5의 용도로서 놀이집으로서의 하우스체를 구성한 정면사시도와 배면사시도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를 세워서 조립하되 바텀매트유니 트(50)는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은 접고, 제2-1플 랩(55)와 제2-2플랩(56) 펼친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하여 조립하면 하우스 체(H)를 구성하고 벽면부에 도어공간(D)이 개방되므로 영유아들이 집과 같은 느낌 을 부여하면서 각종의 놀이가 가능하다.8A and 8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ouse structure as a play house as a fifth applica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The bottom mat unit 50 folds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second 1-1 flap 55 and The upper mat unit 10 folds only the one flap and the 3-1 flap 12 and the 4-1 flap 15 to join them together with the Velcro V1 and V2 And the door space D is open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wall, so that various kinds of play can be performed while infants and toddlers feel like a house.

도 9 a,b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6의 용도로서 놀이집을 구성한 것으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 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 조립하면 하우스체(H)를 구성하고 벽면부에 한쌍의 대응하는 도어공간(D)이 개방되므로 영유아들이 다른 형태의 집과 같은 느낌을 부여하면서 각종의 놀이가 가능하다.9A and 9B illustrate a sixth embodiment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children's complex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laps 52 and 52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upper flap 55 and the second flap 56 are folded together and the upper mat unit 10 is folded on one side of the flap, Folding only the flaps 15 and joining them together with the velcro V1 and V2 assembles the house structure H and opens a pair of corresponding door spaces D on the wall portion so that infants can feel like other houses Various kinds of play are possible while giving.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7의 용 도로서 정글짐을 구성한 측면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접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플랩(12)과 제4-1플랩(15)만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조립하된 바텀매트유니트(50)를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놀이기구로서의 정글짐(J)의 구성이 가능하다.10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titutes a jungle gym for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1-1 flap 52 and the 1-2 flap 53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folded together and the 2-1 flap 55 and the 2nd flap 56 are folded, When the bottom mat unit 50 which is folded and folded together with the velcro strips V1 and V2 by folding only one side flap, the 3-1 flap 12 and the 4-1 flap 15 is moved inward, The construction of the jungle gauges J as a mechanism is possible.

도 11 a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제8의 용도로서 고상(高床)형의 터널로 한 각 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은 모두 펼치고 그 위에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의 플랩, 제3-1 플랩(12)과 제4-1플랩(15)만을 접어 벨크로(V1,V2)로 접합,조립하면 터널체(T)를 구성하게 되고 영유아들이 이 터널체(T) 내방으로 이동하면서 신기감을 가지면서 놀이를 할 수 있다.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 floor type tunnel as an eighth application of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grou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1-1 flap 52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first 1-2 flap 53 and the 2nd -1 flap 55 and the 2nd 2 flap 56 are all extended and the upper mat unit 10 has a flap on one side and a 3-1 flap 12 and the 4-1 flaps 15 are folded and assembled with the Velcro V1 and V2 to form the tunnel body T. Infants and young children move to the inside of the tunnel body T, .

도 11b는 저상(低床)형의 터널형태의 터널체(T)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도시한다.Fig. 11B shows that the tunnel body T in the form of a tunnel of the low floor type can also be constituted.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를 사용하지 않을 시의 보관상태를 도시하는 향태의 사시도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1플 랩(52)과 제1-2플랩(53)과, 제2-1플랩(55)와 제2-2플랩(56) 및 어퍼매트유니트(10) 의 제3-1플랩(12)과 제3-2플랩(13), 제4-1플랩(15) 제4-2플랩(16) 를 선택적으로 접어서 적층 보관함으로서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협소한 놀이공간의 수납공 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2의 상태를 벽면에 기대어 세워서 보관하여도 무방하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state when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 / child complex play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lap 53 and the second-1 flap 55 and the second-2 flap 56 and the third-1 flap 12 and the third-second flap 13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4-1 flap 15 and the 4-2 flap 16 can be selectively folded to minimize the storage area as a laminated storage box,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narrow play space is reduce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stored standing up against the wall.

또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의 사각스형의 놀이공간체로 구성한 실제 제품의 사진으로서 컬러풀한 색상으로 구성 하여 영유아들의 인지능력을 증대하게 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3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product constituted by a square space type play space of a bumper mat assembly for a composite play apparatu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in a colorful color so as to increase the cognitive ability of infants.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랩이 접혀진 상태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와 어퍼 매트유니트(10)가 접촉하여 꺽이는 부분에 보조적인 벨크로 장착 식의 보조벨트(도 멘에서 흰색으로 도시됨)를 더 부여하여 구성체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할 수 있 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uxiliary belt-type auxiliary belt (indicated by white in the figure) is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upper mat unit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olded state of the flap So that the stiffness of the structure can be increased.

상기하는 각각의 실시예 이외에 다양한 접철방법과 보조기구의 사용으로써 각종의 구성체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된 구성체는, 어퍼매트유 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조합체로서 구성되는 이상, 모두 본 발명의 기술 적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various constructions can be constructed by using various folding methods and ancillary mechanisms, and such a modified constitution can be used as a combination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bumper mat assembly for a compound play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된다.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e formed of five flaps.

이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각 플랩들의 명칭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name of each flap is defined as follows.

상기에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1-2플랩(53)을 제b1플랩으로, 제1-1플랩(52)을 제b2플랩으로, 제2-1플랩(55)을 제b4플랩으로, 제2-2플랩(56)을 제b5플랩으로 정의한다. The first 1-2 flap 53 of the bottom mat unit 50 is used as the b1 flap, the 1-1 flap 52 as the b2 flap, the 2-1 flap 55 as the b4 flap , And the second -2 flap 56 is defined as a b5 flap.

상기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3-2플랩(13)을 제a1플랩으로, 제3-1플랩(12)을 제a2플랩으로, 제4-1플랩(15)을 제a4플랩으로, 제4-2플랩(16)을 제a5플랩으로 정의한다.The third-2 flap 13 of the upper mat unit 10 is set as the a1 flap, the 3-1 flap 12 as the a2 flap, the 4-1 flap 15 as the a4 flap , And the 4-2 flap 16 is defined as an a5 flap.

또한 바텀메인판(51)은 제b3플랩으로, 어퍼메인판(11)을 제a3플랩으로 정의한다.The bottom main plate 51 defines the b3 flap and the upper main plate 11 defines the a3 flap.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퍼매트유니트(10)과 바텀매트유니트(50)에서 긴쪽을 폭방향(도 1의 A, a가 표기된 방향)으로 짧은쪽(도 1의 B, b가 표기된 방향)을 길이“‡향으로 정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er side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indicated by A and a in Fig. 1) (the direction indicated by B and b in Fig. 1) Is defined as the ratio.

일반적으로 긴쪽이 길이방향, 짧은쪽이 폭방향으로 정의하나 이는, 각 플랩을 기준으로 보면 긴쪽이 길이방향이 되고 짧은쪽이 폭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Generally,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orter side is defined as the width direction, becau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horter side is the later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respective flaps.

따라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5개 플랩은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정의되며,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 정의한다(도1 참조)Therefore, the fiv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10 are defined as the a1 flap, the a2 flap, the a3 flap, the a4 flap and the a5 flap, respectively, and the width of the a1 flap is D2, D1, the width of the a3 flap is defined as A, the width of the a4 flap is defined as C1, and the width of the a5 flap is defined as C2 (see Fig. 1)

또한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 플랩은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정의되며,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라 정의한다(도1 참조).The five flaps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defined as a b1 flap, a b2 flap, a b3 flap, a b4 flap and a b5 flap,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b1 flap is d2, the width of the b2 flap is d1, the width of the b3 flap is a, the width of the b4 flap is c1, and the width of the b5 flap is c2 (see Fig. 1).

즉 어퍼매트유니트(10)의 각 플랩의 폭은 대문자로 표시하였으며, 바텀매트 유니트(50)의 각 플랩의 폭은 소문자로 표시하였다.That is, the width of each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is indicated by an upper case letter, and the width of each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is indicated by lower case letters.

먼저,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 전체 플랩의 폭이 같다.First, the width of the entire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is the same.

즉, "C2+C1+A+D1+D2 = c2+c1+a+d1+d2"와 같다.That is, C2 + C1 + A + D1 + D2 = c2 + c1 + a + d1 + d2.

본 발명에서 각 플랩들의 폭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each flap is made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수학식 3] [수학식 4]의 의미는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을 90도 각도로 다르게 겹쳐서 배치할 때 변의 길이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The term " (4) " means that when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3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an angle of 90 degrees, .

본 발명에서 각 플랩간의 길이와 폭의 관계를 수학식으로 표시함에 있어, 동일(=)의 부호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가공상의 오차 및 조립상의 오차 등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대략동일을 포함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 sign is used in expres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ength and the width of each flap in the mathematical expression.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judge i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rror in processing and the error in assembly, As a matter of course.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각 플랩들의 폭들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s of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is made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두께를 t1, 바텀매트유니트(50)의 두께를 t2 라 할 때,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각 플랩간의 폭과 어퍼매트유니트(10)의 두께 t1와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6]를 만족하도록 제작된다.When the upper mat unit 10 has a thickness t1 and the bottom mat unit 50 has a thickness t2, the widths of the respectiv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10 is made to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이하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결합형상을 통해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다.An embodiment in which various shapes are formed through the combined shape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여기서 제1실시예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방향이 서로 직각방향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측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측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은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upper side of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upper side of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50 in the state where the direction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a1 flap, the a4 flap, the a5 flap, and the b1 flap, the b2 flap, and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4 flap and the b5 flap are vertically erected to form a space therein.

여기에서 제a3플랩 상측면이란 도 1에서 보이는 면(도1에서 앞쪽)을 의미하고, 제b3플랩 하측면이란 도 1에서 보이지 않은 면(도 1에서 뒤쪽)을 의미한다. Here, the a3 flap upper side means a face (front side in Fig. 1) shown in Fig. 1 and the b3 flap lower side means a face (rear side in Fig. 1) not shown in Fig.

이때,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를 이루되 각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4개의 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형성되어 각 벽체로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5 참조).At this time, the first wall formed of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a fourth wall formed of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Each wall is perpendicular to the a3 flap and the b3 flap And at least one of the four walls may be installed such that each of the flaps forming each wall is folded or unfolded to form a wall to vary the size of the space formed by each wall.

여기서 제2 실시예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평을 이루어 벽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개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6, 7 참조).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wall formed of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third wall formed of the b1 flap and the b2 flap of the mat unit 50 and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inner space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open to the outside due to the fact that the wall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b3 flap (see Figs. 6 and 7).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제3실시예로서,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측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측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바텀매트유니트(50)를 향해 절곡되고,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As a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shape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a3 flap upper side of the unit 10 and the b3 flap lower side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gap therebetween and the a1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10 are bent toward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b1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b2 flap, the b4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b5 flap is bent toward the upper mat unit 10 to form a space therein.

이때,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각 벽체의 형태를 바꿀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8a, 도8b, 도9a 참조).At this time, the first wall formed of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bottom mat unit 50,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1 flap and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may be formed by folding each of the flaps constituting each wall, (See Figs. 8A, 8B, and 9A). In this case, the shape of each wall can be changed.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되어 설치될 수 있다(도8a, 도8b, 도9a, 도9b 참조). The first wall formed of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second wall formed of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1 flap and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fourth wall formed of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may be formed by folding each of the flaps constituting each wall, (See FIGS. 8A, 8B, 9A, and 9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또한, 본원발명의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형상을 나타내는 제4실시예로서,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플랩이 지면에 펼쳐지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면이 지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되, 제a3플랩의 지면에 접한부근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펼쳐진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펼쳐져 공간이 형성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showing the shapes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five flaps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spread on the ground, and the upper mat unit 10 Flap side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a part of the b1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2 flap,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a5 flap are folded and unfolded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mat unit 50 to form a space.

또한, 어퍼매트유니트(10)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다.Further, a window is provided which can open a part of the flaps of any one of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10. [

즉, 어퍼매트유니트(10)와 바텀매트유니트(50)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igidity of the constituting member can be further increased as the auxiliary belt having the Velcro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stituent member formed by combining and bonding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10: 어퍼매트유니트
50: 바텀매트유니트
100: 범퍼매트어셈블
10: Upper mat unit
50: Bottom mat unit
100: Bumper mat assemble

Claims (11)

상호 조합되어 복수 개의 구성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탄성체의 판 상부재로서의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를 분리된 매트체로서 구비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5개의 접철이 가능한 플랩을 가지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5개의 상기 플랩의 접철된 상태에서의 상호 접속면에 대응하는 밸크로를 부착하여 가짐으로써,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상기 플랩이 접철되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벨크로로 접합구성한 복수 형태의 구성체를 형성하여 영유아의 놀이기구로 사용하며,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5개의 플랩으로 형성되되,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a1플랩, 제a2플랩, 제a3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이라 하고, 제a1플랩의 폭을 D2, 제a2플랩의 폭을 D1, 제a3플랩의 폭을 A, 제a4플랩의 폭을 C1, 제a5플랩의 폭을 C2라하며,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5개 플랩을 각각 제b1플랩, 제b2플랩, 제b3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이라 하고, 제b1플랩의 폭을 d2, 제b2플랩의 폭을 d1, 제b3플랩의 폭을 a, 제b4플랩의 폭을 c1, 제b5플랩의 폭을 c2,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두께를 t 라할 때,
상기 각 플랩들의 길이는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수학식 1]
D1 = C1, D2 = D1+t
[수학식 2]
d2=d1+t, c2=c1+t
And an upper mat member and a bottom mat unit as a plate member of an elastic body as a constituent member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bodies in combination,
Wherei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have five foldable flap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provided with a valv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connection surface in the folded state of the five flaps,
Wherei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formed by folding or folding the flaps in a state that the upper and lower flaps are folded with Velcro to be used as a play apparatu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erein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are formed as five flap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a1 flap is D2, the width of the second a2 flap is D1, the width of the third a3 flap is a3, The width of the flap is A, the width of the a4 flap is C1, the width of the a5 flap is C2,
The width of the b1 flap is d2, the width of the b2 flap is d1, the width of the b3 flap is b1, and the width of the b2 flap is d2. The b1 flap is called as b1 flap, b2 flap, b3 flap, When the width of the flap is a, the width of the b4 flap is c1, the width of the b5 flap is c2, and the thicknes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is t,
Wherein a length of each of the flaps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s (1) and (2): " (1) "
[Equation 1]
D1 = C1, D2 = D1 + t
&Quot; (2) "
d2 = d1 + t, c2 = c1 + 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각 플랩의 폭방향의 각 길이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 퍼매트 어셈블리.
[수학식 5]
D1 > d1 > c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ngular length of each of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in the width direction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5): " (5) "
&Quot; (5) "
D1>d1> c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상단부 또는 피복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는 구성체의 하단부 또는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로의 삽입체로서의 구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at unit forms an upper end portion or a constituent portion as a covering body and the bottom mat unit forms a constituent portion 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nstructing body or as an insert to the upper mat unit.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방향 상태에서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3플랩 상면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제a4플랩, 제a5플랩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제b2플랩, 제b4플랩, 제b5플랩은 수직으로 세워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3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re flush with each other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1 flap, a4 flap,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 b1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 b2 flap, a b4 flap, a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Is formed vertically so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bumper mat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를 이루되 각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4개의 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형성되어 각 벽체로 형성된 공간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wall formed by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a second wall formed by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 third wall formed of a first b1 flap and a second b2 flap, and a fourth wall formed of a b4 flap and a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each wall being perpendicular to the a3 flap and the b3 flap,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 walls is provided such that the flaps forming the wall are folded or folded to form a wall so that the size of the space formed by each wall varies. Mat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제a3플랩 및 제b3플랩과 수평을 이루어 벽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wall formed by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a second wall formed by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third wall formed by the b1 flap and the b2 flap, and the fourth wall formed by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t least one wall is parallel to the a3 flap and the b3 flap And the inner space is opened to the outside due to the absence of the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3플랩 상면과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3플랩 하면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상기 바텀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1플랩, 제b2플랩, 바텀매트유니트의 제b4플랩, 제b5플랩이 상기 어퍼매트유니트를 향해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urface of the a3 flap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3 flap of the bottom mat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a1 flap, the a2 flap,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and the a5 flap are bent toward the bottom mat unit, and the b1 flap, the b2 flap of the bottom mat unit, the b4 flap of the bottom mat unit, And the b5 flap is folded toward the upper mat unit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bumper mat assemb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및 제a2플랩으로 형성된 제1벽체와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및 제a5플랩으로 형성된 제2벽체와,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 및 제b2플랩으로 형성된 제3벽체와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4플랩 및 제b5플랩으로 형성된 제4벽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는 각 벽체를 이루는 각 플랩이 절첩되어 포개지거나 펼쳐져 벽체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어느하나 이상의 벽체면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wall formed by the a1 flap and the a2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a second wall formed by the a4 flap and the a5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third wall formed by the b1 flap and the b2 flap, and the fourth wall formed by the b4 flap and the b5 flap of the bottom mat unit 50, at least one wall is formed by folding and folding each flap constituting each wall Wherein at least one wall surface of the space formed inside is opened so as to form a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매트유니트(50)의 5개플랩이 지면에 펼쳐지고, 어퍼매트유니트(10)는 일측면이 지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되, 제a3플랩의 지면에 접한부근과 바텀매트유니트(50)의 제b1플랩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1플랩, 제a2플랩, 어퍼매트유니트(10)의 제a4플랩, 제a5플랩이 펼쳐진 바텀매트유니트(50)의 폭방향 외측면으로 절곡되어 펼쳐져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mat unit 50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one side of the upper mat unit 10 facing the ground surface. The bottom mat unit 50 and the bottom mat unit 5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at unit 50, The a1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a4 flap of the upper mat unit 10, and the bottom mat unit 50 of the upper mat unit 10, The bumper mat assembl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ving a bumper mat assembly.
제1항,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의 플랩들 중 어느 하나의 플랩 일부분을 개구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 window capable of opening a part of a flap of the flaps of the upper ma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매트유니트와 바텀매트유니트가 조합 및 접합되어 형성하는 구성체 의 접속부에 벨크로를 부착한 보조벨트로서 구성체의 강성을 더욱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igidity of the constituent body is further increased by attaching a velcro to a connecting portion of a constituent member formed by combining and bonding the upper mat unit and the bottom mat unit.





KR1020160048686A 2016-04-21 2016-04-21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KR101732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86A KR101732013B1 (en) 2016-04-21 2016-04-21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86A KR101732013B1 (en) 2016-04-21 2016-04-21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756A Division KR101650338B1 (en) 2014-03-26 2015-03-24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545A true KR20160114545A (en) 2016-10-05
KR101732013B1 KR101732013B1 (en) 2017-05-02

Family

ID=5715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86A KR101732013B1 (en) 2016-04-21 2016-04-21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01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93B1 (en) 2005-12-01 2012-09-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Level shif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241724B1 (en) 2011-04-06 2013-03-11 서정수 Fold installation Child mat Playing Apparatus
KR101269863B1 (en) 2011-12-21 2013-06-07 황정은 Playmat for bab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90Y1 (en) 2005-01-17 2005-03-29 박래봉 separable folding mattress
JP2006340991A (en) 2005-06-10 2006-12-21 Sanwa Shokai:Kk Folding deformable mattress
KR101181393B1 (en) 2011-05-02 2012-09-19 김학선 Mat with complex sha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93B1 (en) 2005-12-01 2012-09-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Level shif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241724B1 (en) 2011-04-06 2013-03-11 서정수 Fold installation Child mat Playing Apparatus
KR101269863B1 (en) 2011-12-21 2013-06-07 황정은 Playmat for bab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013B1 (en)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56600A1 (en) Configurable panel display
KR101650338B1 (en)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US4242767A (en) Play pillows
US5265848A (en) Folding portable play enclosure for children
US20110315754A1 (en) Foldable paper box
US10086304B1 (en) Modular panel system for interactive play or display
KR200485388Y1 (en) Variable mat set
KR20150108070A (en) Folding storage box
KR101204773B1 (en) Transformable mat into toy house
US20030153243A1 (en) Construction set toy
KR20130088306A (en) Assembling type cube-block for chilren
KR101732013B1 (en) An infant play mat having multiple usage
KR101269863B1 (en) Playmat for babies
JP3119330U (en) Simple assembly house
KR200468095Y1 (en) Teaching Tools for a Little Child
US20190060776A1 (en) Modular toy system for building child forts or other play spaces
KR101464444B1 (en) Block builder for child
KR20110002662U (en) A pillow book
JP2010255238A (en) Corrugated board partition or set of corrugated board partition and floor material
KR200476364Y1 (en) Prefabricated mattress
CN208001810U (en) Quick disassembled type Pet combined room
JP3201273U (en) Infant panel playground equipment mat
KR100846916B1 (en) Assembly toy playing house
KR101700351B1 (en) Bumper mat set
US10737192B1 (en) Construction block assembly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