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454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454A
KR20160114454A KR1020150040988A KR20150040988A KR20160114454A KR 20160114454 A KR20160114454 A KR 20160114454A KR 1020150040988 A KR1020150040988 A KR 1020150040988A KR 20150040988 A KR20150040988 A KR 20150040988A KR 20160114454 A KR20160114454 A KR 2016011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opening
inner tub
hub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921B1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9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배수 행정 과정에서 자동으로 상기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상기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눈과 상기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형성된 필터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 및 탈수에 이용되는 내조로 구성된다. 이하는 탑로딩 형식의 세탁기를 기준으로 배경기술을 설명한다.
상기 내조의 내부에는 상기 내조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펄세이터(pulsator)가 설치된다. 세탁축 및 탈수축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클러치가 세탁축 및 탈수축을 각각 또는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조의 상부에는 급수를 위해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조의 하부 일 측에는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내조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상기 내조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 또는 헹굼행정이 실행되면 상기 내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조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세탁수의 유동이 발생한다. 이 때, 상기 내조의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다수의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고, 이어서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세탁수는, 상기 내조 바닥과 상기 외조 바닥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내조 내부로 유입된다.
그런데, 상기 세탁수의 순환시스템에서,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상기 내조의 외부로 배출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세탁수의 순환과 함께 다시 상기 내조 내부로 유입되어 다시 세탁물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내조의 소정 위치에 필터부를 구비하는 세탁기가 고안되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탁수의 순환 경로 상에 어디에도 배치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에 의해서, 상기 내조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조의 하부에서 상기 내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필터망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이 축적된다. 상기 축적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망을 막아 상기 세탁수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상기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 세탁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탁수의 배수 행정 단계에서, 상기 내조의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필터망을 상부방향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망의 하부에 상기 축적된 이물질은, 상기 배수시 세탁수의 수류에 의해 상기 필터망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필터망의 하부에 축적된 이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수의 배수시 상기 수류의 발생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상기 필터망 하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0518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세탁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눈과 상기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형성된 필터망을 포함한다.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 개구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허브 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필터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망은,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씌워질 수 있다.
상기 필터 개구부를 씌운 필터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과공이 상기 필터 개구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 개구부를 씌워주는 부분에 상기 통과공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은 상기 그물눈이 형성한 면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과공의 넓이는 상기 그물눈 하나의 넓이에 비해 10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의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저면의 위치에 상기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어, 본 장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세탁수의 여과과정에서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본 장치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필터에 축적된 이물질을 세탁기 작동과정에서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향상시켜, 세탁기를 별도로 분해해야 하는 소요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수 유동방향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조의 하부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부와 허브 및 내조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부의 실시예1이 도시된 확대된 A-A'단면도,
도 5은 도 3에 도시된 필터부의 실시예2가 도시된 확대된 A-A'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기는, 케이싱(미도시),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1), 외조(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4)가 형성된 내조(3), 및 외조(1)로부터 내조 개구부(4)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10)를 포함한다. 필터부(10)는,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눈(12)과 상기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통과공(13)이 형성된 필터망(11)을 포함한다.
내조 개구부(4)는 내조(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필터부(10)는 내조 개구부(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내조(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7)를 포함할 수 있고, 내조(3)의 하부에 결합되고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허브 개구부(21)가 형성된 허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로딩 형식 세탁기의 내조(3)의 바닥 부분에 내조 개구부(4)를 형성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프론트로딩 형식 세탁기의 내조에서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부분의 반대쪽 면에 내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설명 전체에 걸쳐서 내조 '하부'의 의미는, 내조의 바닥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지면방향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조(3) 및 펄세이터(7)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해, 내조 개구부(4)를 통해 외조(1)로부터 내조(3)로 세탁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펄세이터(7)는, 원판형상으로서, 그 중심부에서 내조(3)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판형상의 지름방향을 따라 수 갈래로 뻗은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7)의 돌출부는 펄세이터(7)의 회전시 세탁수에 수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수류에 의해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펄세이터(7)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기 위해서, 펄세이터(7)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조(3)의 내측면에는 내부방향으로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조(3)의 돌출부는 내조(3)의 회전시 세탁수에 수류를 발생시킨다. 내조(3)의 회전에의한 상기 수류에 의해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즉,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에 내조(3) 및 펄세이터(7)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는 회전축에 대한 바깥방향으로 쏠린다.
도 1의 B화살표 방향을 참고하여, 상기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세탁수의 순환수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조(3)는 다수의 내조 관통홀(5)을 측면에 형성할 수 있고, 내조 관통홀(5)을 통하여 세탁수가 내조(3)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해서, 내조 관통홀(5)을 통하여 내조(3)의 외부로 세탁수가 유출된다. 이어서, 상기 유출된 세탁수는 내조(3)와 외조(1)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유동한다. 상기 세탁수는, 내조(3)의 하부와 외조(1)의 하부 사이의 공간에서 내조 개구부(4)를 통하여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세탁수는 다시 상기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순환을 반복한다.
상기 세탁수가 내조 개구부(4)를 통하여 유입되는 경로 상에 필터부(10)가 배치되어 상기 세탁수를 여과한다. 상기 세탁수의 유입을 위해서, 펄세이터(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조 개구부(4) 상에 펄세이터(7)가 배치되면 내조 개구부(4)를 막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펄세이터(7)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세탁수가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C화살표 방향을 참고하여, 세탁수의 배수시 발생하는 세탁수의 수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 시, 최소한 펄세이터(7)의 회전은 멈추고, 배수관(2)을 개방한다. 이 경우, 세탁수는 배수관(2)을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되고, 내조(3)의 내부의 세탁수 중 일부는 내조 개구부(4)를 통해서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세탁수가 내조 개구부(4)를 통하여 유출되는 경로 상에 필터부(10)가 배치되어, 상기 세탁수는 필터부(1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펄세이터(7)에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실시예에서는, 펄세이터(7)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세탁수가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허브(20)는 내조 개구부(4)보다 지름이 더 큰 원반 형상으로서, 내조 개구부(4)를 가리면서 내조(3)와 결합될 수 있다. 내조(3)와의 결합방식은 볼팅 형식일 수 있다.
허브(20)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내조(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허브(20)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허브(20)는, 회전축에서 지름방향으로 복수의 리브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복수개의 리브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구조는 허브(20)의 강성을 보완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내조(3)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허브(20)는 큰 강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허브(20)가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허브(20)는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허브 개구부(21)가 형성된다. 허브(20)가 내조 개구부(4)를 가리더라도, 허브 개구부(21)에 해당하는 넓이만큼은 내조 개구부(4)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세탁수가 허브 개구부(21) 및 내조 개구부(4)를 통해 내조(3)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눈(12)과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통과공(13)이 형성된 필터망(11)을 포함한다. 또한, 필터부(10)는 필터 개구부(16)가 형성된 프레임(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물눈(12)은 제1 소정 입도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는 메쉬(mesh)구조이다.
통과공(13)은 상기 메쉬구조 상에 형성된다. 통과공(13)은 제2 소정 입도 이하의 이물질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2 소정 입도는 상기 제1 소정 입도 보다 크다. 그물눈(12) 하부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세탁수 통과가 쉽지 않을 때에도, 통과공(13)으로는 쉽게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다.
프레임(15)이 포함된 실시예에서, 필터망(11)은 필터 개구부(16)에 씌워지는데, 필터 개구부(16)의 둘레부분에 의해서 필터망(11)이 지지된다. 내조 개구부(4)의 하부에 필터 개구부(16)가 배치되어, 내조 개구부(4)를 통과하는 세탁수 중 적어도 일부는 필터 개구부(16)를 통과하게 된다. 허브(20)가 포함된 실시예에서는, 허브 개구부(21)의 하부에 필터 개구부(16)가 배치되어, 허브 개구부(21)를 통과하는 세탁수 중 적어도 일부는 필터 개구부(16)를 통과하게 된다. 세탁수가 필터 개구부(16)를 통과할 때 필터망(11)은 상기 세탁수를 여과한다.
내조 개구부(4)(허브(20)가 포함된 실시예에서는, 허브 개구부(21))와 필터 개구부(16) 사이에 갭(gap)이 있는 실시예에서는, 내조 개구부(4)를 통과하여 내조(3)의 외부로 유출되는 세탁수 중 일부가 상기 갭으로 빠져나갈 수 있어서, 내조 개구부(4)를 통과하는 세탁수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수량이 필터 개구부(16)를 통과한다. 상기 갭이 없는 실시예에서는, 내조 개구부(4)를 통과하는 세탁수 전량이 필터 개구부(16)를 통과한다.
프레임(15)에 돌출된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조가 내조(3) 또는 허브(20)의 하부에 닿도록 하여, 상기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구조는 내조(3) 또는 허브(20)의 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15)은, 필터 개구부(16)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허브(20)가 포함된 실시예에서, 허브(20)는 허브 개구부(21)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 개구부(16)는 복수의 허브 개구부(2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특징과 하기될 특징을 가진 필터망(11)은,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16) 중 적어도 하나에 씌워진다. 이 경우, 필터 개구부(16)의 둘레부분에 의해서 필터망(11)이 지지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내조(3)의 하부에 1개의 내조 개구부(4)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조 개구부(4)를 덮어주는 원판형의 허브(2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6개의 원형 허브 개구부(21)가 형성되며, 프레임(15)에는 허브 개구부(2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필터 개구부(16)가 형성되고, 필터망(11)은 6개의 필터 개구부(16)에 씌워진다. 내조 개구부(4), 허브 개구부(21) 및 필터 개구부(16)를 연결하는 공간은 세탁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통과공(11)을 형성하는 필터망(11)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세탁수 순환수류(B)가 필터망(11)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망(11)의 하부(내조 외부 측)에 축적된다. 이는, 세탁수 순환수류(B)에 의해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내조 개구부(4)를 통해 다시 내조(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다.
한편, 배수시 세탁수 수류(C)에 의해서, 필터망(11)의 하부에 축적된 상기 이물질은 내조(3)의 외부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즉,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배수 행정시 자동으로 필터망(11)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물눈(112,212)의 하부에 이물질이 많이 축적되어 그물눈(112,212)이 상당부분 폐쇄된 경우에는, 배수 행정 개시 시 그물눈(112,212)을 통과하는 화살표(C2) 방향의 수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원활하지 않은 화살표(C2) 방향의 수류에 의해서는 축적된 이물질의 제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통과공(113,213)의 면적이 그 부분에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을 정도로 넓게 기설정 되었다면, 통과공1(113,213)을 통과하는 화살표(C1) 방향의 수류는 쉽게 형성된다. 화살표(C1) 방향의 수류의 마찰력에 의해 통과공(113,213) 주위 부분의 그물눈(112,212)에 축적된 이물질이 제거되면, 상기 주위 부분을 통과하는 수류(C2)가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화살표(C1) 방향의 수류에 포함된 물의 점착력에 의해, 화살표(C1) 방향의 수류 주변에 수류(C2)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와 같은 이유 등으로, 배수 행정 개시 이후 시간이 흐르면 화살표(C2) 방향의 수류가 원활해져서 필터망(11)에 축적된 이물질의 제거가 쉬워진다.
그 밖에도, 통과공(113,213)은, 그물눈(112,212)의 하부에 이물질이 많이 축적된 경우에도 빠르게 배수 행정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배수 행정시 세탁수 수류(C)에 의해 그물눈(112,212)의 상부(내조 내부 측)에도 이물질이 걸릴 수 있는데, 화살표(C1) 방향의 수류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 쓸려 내조(3)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필터망(11)에는, 통과공(113,213)이 필터 개구부(16)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수류(C1)가 필터 개구부(16)의 중앙에서부터 형성되어 주변 수류(C2)를 유도하므로 효과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망(11)은, 필터 개구부(16)를 씌워주는 부분에 통과공(113,213)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수류(C1)가 하나의 필터 개구부(16)의 여러 부분에 형성되어, 주변 수류(C2)를 유도하므로 효과적이다.
통과공(113,213)은 상기 그물눈이 형성한 면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과공(113,213)은, 고리구조 부재가 그물눈(112,212)이 형성한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리구조 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통과공(113,213)의 넓이는 그물눈(112,212) 격자 하나의 넓이에 대해 다양한 비율로 더 클 수 있고, 상기 비율에 따라 기능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비율이 10배인 경우를 경계로, 다음과 같이 효과의 차이가 크게 달라진다.
그물눈(112,212)이 상당부분 폐쇄된 경우의 배수 행정 개시 시 수류(C1)가 원활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통과공(113,213)이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지 않아야 한다. 린트는 필터망에 의해 축적시 서로 뭉쳐지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뭉쳐진 린트에 의해서도 통과공(113,213)이 폐쇄될 수 있다. 통과공(113,213)에서 상기 폐쇄현상의 발생확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통과공(113,213)의 넓이가 그물눈(112,212) 격자 하나의 넓이에 비해 10배 이상 되어야 바람직하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즉, 통과공(113,213)의 상기 폐쇄현상의 발생확률은, 통과공(113,213)의 넓이가 그물눈(112,212) 격자 하나의 넓이에 비해 10배 이상인 경우에, 그 보다 작은 넓이인 경우보다 급격히 낮아진다.
도4의 실시예1에 따른 필터망(11)은 평면형태 일 수 있다. 그물눈(112)이 형성하는 면은 평면이고, 상기 평명 상에 통과공(113)이 형성된다.
도5의 실시예2에 따른 필터망(11)은, 상기 내조의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저면의 위치에 상기 통과공(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물눈(212)이 상당부분 폐쇄된 경우의 배수 행정 개시 시 수압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류(C1)가 형성될 수 있고, 수류(C1)에 대해 그물눈(212)이 형성하는 면이 비스듬하여 그물눈(212) 상부에 걸려있는 이물질도 효과적으로 쓸려 내려가 통과공(213)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외조 2 : 배수관
3 : 내조
4 : 내조 개구부 5 : 내조 관통홀
7 : 펄세이터
10 : 필터부
11 : 필터부의 필터망
12 : 그물눈 13 : 통과공
112 : 실시예1의 그물눈 113 : 실시예1의 통과공
212 : 실시예2의 그물눈 213 : 실시예2의 통과공
15 : 필터부의 프레임 16 : 필터 개구부
20 : 허브 21 : 허브 개구부
B : 세탁 또는 헹굼 행정시 세탁수 순환 수류
C : 배수시 세탁수 수류
C1 : 배수시 세탁수 수류 중 그물눈을 통과하는 수류
C2 : 배수시 세탁수 수류 중 통과공을 통과하는 수류

Claims (11)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외조;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조 개구부가 형성된 내조; 및
    상기 외조로부터 상기 내조 개구부로 유입되는 세탁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눈과 상기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형성된 필터망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필터 개구부에 씌워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개구부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내조 개구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필터 개구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씌워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허브 개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 개구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허브 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필터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은,
    상기 복수의 필터 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씌워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2항, 제 4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과공이 상기 필터 개구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2항, 제 4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필터 개구부를 씌워주는 부분에 상기 통과공이 복수로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은,
    상기 그물눈이 형성한 면을 절개하여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의 넓이는,
    상기 그물눈 하나의 넓이에 비해 10배 이상인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은,
    상기 내조의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함몰되고, 상기 함몰된 저면의 위치에 상기 통과공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50040988A 2015-03-24 2015-03-24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9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88A KR102399921B1 (ko) 2015-03-24 2015-03-24 세탁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88A KR102399921B1 (ko) 2015-03-24 2015-03-24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54A true KR20160114454A (ko) 2016-10-05
KR102399921B1 KR102399921B1 (ko) 2022-05-18

Family

ID=5715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88A KR102399921B1 (ko) 2015-03-24 2015-03-24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106A (zh) * 2018-04-28 2019-11-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77B1 (ko) * 1994-09-01 1998-04-23 김광호 세제 용해장치
KR20140051828A (ko) 2011-04-11 201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677B1 (ko) * 1994-09-01 1998-04-23 김광호 세제 용해장치
KR20140051828A (ko) 2011-04-11 201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106A (zh) * 2018-04-28 2019-11-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921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805B2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101332286B1 (ko) 세탁기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5018372A (en) Filter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040046954A (ko) 세탁기의 필터 구조
JP6985530B2 (ja) 洗濯機の循環濾過装置および洗濯機
US20160130741A1 (en) Washing machine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US3027742A (en) Lint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228751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60114454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6548872B2 (ja) 洗濯機
KR10242821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TW202012733A (zh) 洗衣機
KR10238959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89595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0751781B1 (ko) 드럼세탁기의 보풀 제거구조
US20180135220A1 (en) Washing machine
KR102442966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20070059438A (ko) 세탁기의 펌프 유닛
KR10196137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943474A (en) Washing machine recirculation system
KR101293230B1 (ko) 드럼 세탁기
WO2016108795A1 (en) A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WO2018210313A1 (zh) 一种线屑过滤装置及洗衣机
WO2018205964A1 (zh) 一种洗衣机线屑过滤装置及洗衣机及线屑过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