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430A -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430A
KR20160114430A KR1020150040926A KR20150040926A KR20160114430A KR 20160114430 A KR20160114430 A KR 20160114430A KR 1020150040926 A KR1020150040926 A KR 1020150040926A KR 20150040926 A KR20150040926 A KR 20150040926A KR 20160114430 A KR20160114430 A KR 2016011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ervice
watermark
pres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유정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4430A/ko
Publication of KR2016011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Abstract

본 발명은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OND SCREEN SERVICE}
본 발명은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을 시청하면서 스마트 기기를 동시에 활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용자들은 TV 시청 중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TV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SNS, 메신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태블릿 사용자의 70%, 스마트폰 사용자의 68%가 TV 시청 중에 스마트 기기를 동시에 사용한다고 한다.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란, 스마트 기기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에서 TV와 같은 다른 장치의 콘텐츠에 대한 강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TV와 같은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세컨드 스크린, 즉, 스마트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콘텐츠 인식과 관련된 기술에는 오디오 지문인식 기술과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이 있다. 오디오 지문인식 기술은 방송 콘텐츠의 지문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TV 오디오를 녹음하여 생성한 지문을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매칭하여 콘텐츠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은 콘텐츠 제작 시, 오디오 워터마크를 콘텐츠에 삽입하고, 이를 스마트 기기에서 검출하여 콘텐츠를 인식하고, 동기화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장치와 스마트 기기를 동시에 활용하는 사용자가 시청 환경 및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인식하여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 환경이 시끄럽거나, TV 소리 음량을 크게 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장치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는 영상 재생 장치(110), 휴대 단말기(130),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 및 서비스 서버(17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110)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TV 가 될 수 있고,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재생 장치(11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110)는 직접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고, 동글과 결합하여 동글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130)는 영상 재생 장치(110)가 재생하는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120)하고,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한다. 그 후,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에 전송(141)하여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확인한다(142). 휴대 단말기(130)는 확인된 콘텐츠 정보를 서비스 서버(170)로 전송하고(161), 서비스 서버(17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1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3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 재생 장치(1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는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므로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나아가 주변에 소음을 유발하지 않고도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은 Wi-Fi 일 수 있다.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지문 또는 워터마크 정보를 저장한다.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는 휴대 단말기(130)로부터 오디오 지문 또는 워터마크를 수신(141)하여 DB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콘텐츠를 휴대 단말기(130)에 알려줄 수 있다(142).
서비스 서버(170)는 휴대 단말기(130)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161)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1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70)는 광고, 쇼핑, 커뮤니티, 부가정보 등의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는 영상 재생 장치(210), 휴대 단말기(230), 오디오 지문 DB 서버(250) 및 서비스 서버(27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10)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TV 가 될 수 있고,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재생 장치(21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30)는 영상 재생 장치(210)가 재생하는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220).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와 다르게 오디오 데이터를 무선으로 입력 받는 것이 아니라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230)는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한다. 그 후,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오디오 지문 DB 서버(250)에 전송(241)하여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확인한다(242). 휴대 단말기(230)는 확인된 콘텐츠 정보를 서비스 서버(270)로 전송하고(261), 서비스 서버(27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2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30)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무선 통신 장치 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다.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지문 또는 워터마크 정보를 저장한다. 오디오 지문 DB 서버(150)는 휴대 단말기(130)로부터 오디오 지문 또는 워터마크를 수신(141)하여 DB에서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매칭되는 콘텐츠를 휴대 단말기(130)에 알려줄 수 있다(142).
서비스 서버(170)는 휴대 단말기(130)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161)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1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70)는 광고, 쇼핑, 커뮤니티, 부가정보 등의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310 단계에서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특히, Wi-Fi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영상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그 후, 320 단계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32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330 단계로 진행하여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32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360 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지문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340 단계에서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오디오 지문 DB 에서 콘텐츠를 확인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광고, 쇼핑, 커뮤니티 등의 정보일 수 있다.
350 단계에서는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405 단계에서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무선 통신, 특히, Wi-Fi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영상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그 후, 410 단계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41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415 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워터마크를 추출하고, 420 단계에서 추출 여부를 판단한다. 42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 추출에 실패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425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에서 추출 구간을 변경하고, 415 단계로 돌아가 오디오 워터마크 추출을 다시 시도한다. 42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 추출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430 단계로 진행하여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오디오 지문 DB 에서 오디오 지문 또는 오디오 워터마크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광고, 쇼핑, 커뮤니티 등의 정보일 수 있다.
410 단계에서 오디오 워터마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440 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지문을 생성한다. 그 후, 445 단계에서 생성한 오디오 지문으로 콘텐츠 확인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콘텐츠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450 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지문 생성 구간을 변경 후, 440 단계로 돌아가 오디오 지문을 다시 생성한다. 445 단계에서 생성한 오디오 지문으로 콘텐츠 확인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430 단계로 진행하여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과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435 단계에서는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흐름도/블록도들에서의 각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모듈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들에 언급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매체가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501), 동글(502), 영상 재생 장치(503) 및 서비스 서버(50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영상 재생 장치(503)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501)로 전송하는 과정(507)을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501)는 505 단계에서 동글(502)로부터 QR코드 또는 NFC 태그를 통해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수신하여 510 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휴대 단말기(501)가 515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525 단계에서 동글(502)로부터 QR코드 또는 NFC 태그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53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501)와 동글(502) 간에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즉,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서로 간에 발견하는 것이다. 그 후, 520 단계에서 영상 재생 장치(503)가 동글(502)로 오디오를 입력하면, 535 단계에서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해 휴대 단말기(501)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글(502)이 영상 재생 장치(503)와 휴대 단말기(501)의 중간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재생 장치(503)가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직접 휴대 단말기(501)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오디오 지문 기반의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508)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501)는 540 단계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지문을 생성한다. 그 후, 545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504)로 생성한 오디오 지문을 바탕으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 경우, 오디오 지문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식별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고, 오디오 지문 자체를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504)에서 해당 오디오 지문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식별할 수도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은 서비스 서버(504)는 550 단계에서 식별된 콘텐츠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오디오 워터마크 기반의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509)를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501)는 555 단계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에서 오디오 워터마크를 추출한다. 그 후, 560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504)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 경우, 오디오 워터마크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식별하여 서비스 링크를 제공할 수도 있고, 오디오 워터마크의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504)에서 해당 오디오 워터마크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식별할 수도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은 서비스 서버(504)는 565 단계에서 식별된 콘텐츠에 따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통신부(610), 마이크부(620), 표시부(630), 입력부(640), 저장부(650) 및 제어부(66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610)는 영상 재생 장치와 통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0)는 Wi-Fi 모듈일 수 있다.
마이크부(620)는 외부 소리를 입력 받는 역할을 수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부(620)는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표시부(6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70)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640)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 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660)에 전달한다. 입력부(6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640)는 표시부(630)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입력부(6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650)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650)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어플리케션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부(61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660)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하고 오디오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기반으로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서비스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영상 재생 장치
130: 휴대 단말기
150: 오디오 DB 서버
170: 서비스 서버

Claims (1)

  1.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워터마크 또는 오디오 지문을 기반으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040926A 2015-03-24 2015-03-24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14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26A KR20160114430A (ko) 2015-03-24 2015-03-24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26A KR20160114430A (ko) 2015-03-24 2015-03-24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30A true KR20160114430A (ko) 2016-10-05

Family

ID=5715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26A KR20160114430A (ko) 2015-03-24 2015-03-24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44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237B2 (en) Methods, systems and processor-readable media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and data sharing
US10219011B2 (e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946545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supplemental data about a displayed movie, show, event or video game
US8750677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dia playback from a different device
US9412368B2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ystem, and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2164481B1 (ko) 패턴 매칭 및 문자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시청 행동을 추적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US9128593B2 (en) Enabling an interactive program associated with a live broadcast on a mobile device
KR102147329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5049950A (zh) 显示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8842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141085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188228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생체 인증 방법
CN105763897A (zh) 用于识别广播服务器的方法和设备
US20130041666A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oice recognition server,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US20120331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associated information
US20190147889A1 (en)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coustic features
KR20130074922A (ko) 디지털 워터마크를 이용한 멀티 디바이스간 프로그램 동기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N103077711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5160236A (zh) 一种输入验证码的方法和装置
US1050377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20180182393A1 (en) Security enhance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4965907A (zh) 结构化对象的生成方法及装置
KR20160114430A (ko) 세컨드 스크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5802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bin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1613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user information in hom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