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543A - Cosmetic device - Google Patents

Cosme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543A
KR20160113543A KR1020157012566A KR20157012566A KR20160113543A KR 20160113543 A KR20160113543 A KR 20160113543A KR 1020157012566 A KR1020157012566 A KR 1020157012566A KR 20157012566 A KR20157012566 A KR 20157012566A KR 20160113543 A KR20160113543 A KR 2016011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dle
sub
roller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5164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15297A1/en
Publication of KR2016011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5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9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6Electromedical brushes; Electromedical massage devices ; Com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61H2201/1678Means for angularly oscillating massag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2Enhanced rubb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미용기(1)는, 한 쌍의 축부를 가지는 핸들(3)과, 축부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서로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롤러(4)와, 한 쌍의 롤러(4)의 간격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 미용기(1)는, 한 쌍의 롤러(4)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irdressing machine 1 includes a handle 3 having a pair of shafts and rollers 4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shafts and are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axis of the shafts, And pr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to a natural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irdressing machine 1 has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

Description

미용기{COSMETIC DEVICE}{COSMETIC DEVICE}

본 발명은, 신체 각 부의 미용을 위해서 이용하는 미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uty machine used for beauty of parts of the body.

피부의 미용을 위해서, 롤러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회전시켜 이용하는 미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미용기로서, 두 갈래로 분기한 형상을 나타내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선단에 각각 장착된 롤러를 가지며,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각 부를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미용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For the beauty of the skin, there is known a beauty machine which uses the roller while pressing it against the skin. There is a beauty machine of this kind as a beauty machine having a main body portion which is in a bifurcated shape and a roller which i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which sandwiches each body portion of the user between a pair of rollers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 제2007-13032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30327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미용기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해서 신체 각 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사용자의 악력(握力)에 의해서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몸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어렵고, 가압되는 부분의 피부의 혈행(血行) 촉진이나, 신진대사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충분히 체감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beauty machine of Patent Document 1, it is necessary to generat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each body part by the pair of rollers by the grip force of the us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body const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promotion of blood circulation (blood line) of the skin to be pressed and activation of metabolism can not be sufficiently sensed.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신체 각 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용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auty machine which can be suitably used in various parts of the body and can be expected to have excellent beauty effects.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한 쌍의 축부를 가지는 핸들과,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 comprising: a handle having a pair of shafts;

해당 축부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해당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서로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롤러와,A roller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and rotatably supported about an axis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m,

해당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에 있다. And a pr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o a natural state.

상기 미용기는, 상기 축부에 각각 마련되며, 해당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한 쌍의 롤러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서로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서로의 간격이 가변인 한편으로, 서로의 간격이 자연 상태로부터 변경되었을 때에는, 자연 상태의 간격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가압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eauty machine has the pair of rollers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s and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axis of the shaft portions. In addition, the pair of rollers are configur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can be changed. And a pr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o a natural state. That is, the pair of rollers is configured to receive a pressing force that tries to return to an interval of a natural state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is variabl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changed from the natural state.

그 때문에, 사용자는,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상기 한 쌍의 롤러를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의 형상에 따라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눌러 넓힐 수 있고, 사용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미용기는, 얼굴이나 팔 등의 비교적 기복(起伏)이 큰 부분으로부터 복부 등의 비교적 기복이 작은 부분까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press the pair of rollers against the portion where he / she wants to obtain a cosmetic effect,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widened by pressing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shape of the portion And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rtion to be used. As a result, the beauty machine can be suitably used from a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relief (such as a face or an arm) to a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mall relief such as abdomen.

또, 상기 미용기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가압력이 각각의 상기 롤러에 작용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부분에 적당히 큰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되는 부분의 피부의 혈행이 촉진되거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등의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beauty machine,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llers is widened,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means acts on each of the rollers, and the pair of rollers is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ollers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refore, an appropriate large press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ct effects such as promotion of blood circulation of the skin of the pressed part, activation of metabolism, and the like, and furthermore, a beauty effect such as making the skin beautiful can be expected.

이상과 같이, 상기 미용기는, 신체 각 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uty machine can be preferably used for each part of the body, and excellent beauty effect can be expected.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상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측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를 롤러측으로부터 본 전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VI-VI선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VII-VII선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의 핸들을 벌리는 동작의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미용기를 상완부(上脘部)에 사용할 때의 사용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미용기의 서브 핸들부를 분해한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베이스부의 상면도.
도 12는 실시예 2에서의, 스프링 수용부의 하면도.
도 13은 실시예 2에서의, 핸들이 상한까지 벌어진 상태의 스프링 수용부의 하면도.
도 14는 실시예 3에서의, 단일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서브 핸들부를 가지는 미용기의 사시도.
도 15는 실시예 3에서의, 연결부의 단면도(도 7에 상당하는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16은 실시예 4에서의,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는 접속 부재를 구비한 미용기의 상면도.
도 17은 실시예 5에서의, 미용기의 상면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XIX-XIX선 일부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20은 실시예 6에서의, 미용기를 사용할 때에 형성되는 1개의 고리 모양의 전류 경로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uty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Fig. 2 is a top view of a beauty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3 is a side view of a beauty machine in Embodiment 1.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beauty machine as viewed from the roller side in Embodiment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auty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2;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2;
8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operation of opening the handle of the beauty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e when the beauty machine is used in the upper arm portion in Embodiment 1.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ub handle portion of the beauty machine is disassembled.
11 is a top view of the base portion in Embodiment 2. Fig.
12 is a bottom view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13 is a bottom view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opened to the upper limit in the second embodiment;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uty machine having a sub handle portion made of a single resin molded article in Embodiment 3. Fig.
15 is a 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a sectional view seen from an arrow corresponding to Fig. 7) in the third embodiment;
16 is a top view of a beauty machine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bellows structure in the fourth embodiment;
17 is a top view of a beauty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 5. 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in Fig. 17;
Fig. 1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XIX in Fig. 17; Fig.
Fig. 2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one annular current path formed in the case of using the beauty machine in Embodiment 6; Fig.

상기 미용기에서, 상기 자연 상태란, 상기 미용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고,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이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In the hairdresser, the natural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hairdressing machine is not used, and portions where a cosmetic effect is desired to be obtained are not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상기 미용기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미용기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미용기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The beauty machine may hav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By providing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the beauty machine can reliably preven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from being excessively widen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reliably prevented.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은, 개폐 규제 수단에 의해, 50mm 이하로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mm 이하로 규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mm 이하로 규제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러의 간격의 하한은 규제되어 있지 않아도 좋지만,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에서 체감하는 가압력이 과도하게 크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 혹은 그 외의 수단에 의해 규제되어 있어도 좋다.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is preferably regulated to 50 mm or less by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more preferably regulated to 35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mm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interval of the rollers may not be regulated, but may be regulated by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or other means in the case where the pressing force that senses in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becomes excessively large .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축부가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에 부착되어 있는 구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축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축부의 개폐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자연 상태 보다도 벌어진 상태의 축부와 맞닿은 위치에 상기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축부의 개폐 범위의 상한이 상기 부재의 위치에 따라 규제된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할 수 있다. 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chang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for example,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aft portion is attached to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shaft portion. Further, in the case of adopt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s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example, a member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opening / closing range of the shaft portion. That is, by providing the member at a position where it is in contact with the shaft portion that is open compared with the natural state, the upper limit of the opening / closing range of the shaft portion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ember. As a result,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regulated.

또, 상기 핸들은, 상기 축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와, 해당 한 쌍의 서브 핸들부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한 접속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개폐 동작의 반복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미용기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The handle may have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s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opening / closing of the pair of sub-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etchable connecting memb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repet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beauty machine can be us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상기 접속 부재는, 예를 들면 벨로우즈 구조 등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용이하게 신축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어느 경우라도,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하면, 연결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미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stretchable structure such as a bellows structure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expanded and contracted. In either case,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improved if the sub handle portion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접속 부재에 용이하게 신축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부재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부재에 이용되는 엘라스토머로서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의 고무 탄성을 가지는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expanded and contracted on the connec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omer. As the elastomer used for the connecting member, a rubber elastic material such as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may be employed.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는,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 동작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신축하기 때문에, 개폐 동작의 반복에 대한 상기 연결부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connecting member made of the elastomer easily expands and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with respect to repet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가 개폐되었을 때에, 서브 핸들부의 위치를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서브 핸들부가 벌어지고,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한 가압력이 각각의 롤러에 작용하여, 한 쌍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부분에 적당히 큰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the connecting member made of an elastomer can generate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to a natural state when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ar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are opened and a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is widened, a pressing force by the connecting member acts on each roller, and the pair of rollers are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 Therefore, an appropriate large press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As a result,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상기 한 쌍의 축부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서브 핸들부에서의 서로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핸들의 개폐 동작의 크기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변화량과의 관계가 사용자에 있어서 감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urther, the pair of shaft portions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sub handle portion. In this case,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by the us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easily sensed by the user. Further,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to obtain a cosmetic effect can be easily adjusted. As a result,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a more excellent beauty effect can be expected.

상기 핸들이 서브 핸들부와 상기 연결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서브 핸들부의 개폐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자연 상태 보다도 벌어진 상태의 서브 핸들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서브 핸들부의 개폐 범위의 상한이 상기 부재의 위치에 따라 규제된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규제 수단에 의해, 한 쌍의 서브 핸들부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handle has the sub-handl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for example, a member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opening / closing range of the sub-handle portion can be provided as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That is, the upper limit of the open / close range of the sub-handle portion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ember by providing the member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ub-handle portion in a widened state than the natural state. As a result,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regulat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from being excessively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estricting means.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미용기가 상술의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서브 핸들부 자신이 상기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연 상태 보다도 벌어진 상태의 서브 핸들부의 일부가 서로 맞닿는 구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브 핸들부는, 서로 맞닿는 상태가 상한이 되도록 개폐 범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할 수 있다. When the beauty machine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ub-handle portion itself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the opening-closing regulating mean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sub-handle portion in a state wider than the natural stat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pening and closing range of the sub handle portion configured in this way is regulated so that the state of abutment against each other is the upper limit. As a result,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regulated.

또, 상기 미용기가 상술의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이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 동작에 관련되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개폐 규제 수단이 1개소에 합쳐져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미용기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개폐 규제 수단이 1개소에 합쳐지는 것에 의해, 미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when the beauty machine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relat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are disposed in one plac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beauty machine is further increased. Further, by combin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in one place,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사이에 걸쳐지고, 서브 핸들부의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한 쌍의 변위를 억제 가능하게 구성된 브리지부를 가지는 보강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상기 미용기는, 상기의 작용을 가지는 보강 부재를 연결부에 적극적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서브 핸들부가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이나 굽힘력 등의,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힘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속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bridge portion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ress a pair of displacements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sub-handle portions. In this case, by positively arranging the reinforcing member having the above-mentioned action on the connecting portion, the beauty machine can suppress displacement of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As a result, the force in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such as the twisting force or the bending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reduc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보강 부재의 형상 및 재질은, 비틀림 방향 등으로의 브리지부의 강성이 충분히 높은 것이면,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 부재로서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브리지부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또,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비교적 강도가 큰 금속판을 이용하거나, 혹은, 판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브리지부의 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통상은, 상기 보강 부재로서 스테인리스 강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고, 접속 부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reinforcing member can take various forms provided that the rigidity of the bridge portion in the twisting direction or the like is sufficiently high. For example, by using a metal plate as the reinforcing member, the rigidity of the bridge portion can be made sufficiently high. Furthermore, the rigidity of the bridge por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a metal plate having a relatively large strength such as a stainless steel plate or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Normally, by using a stainless steel plate as the reinforcing member, sufficient rigidity can be obtained and breakage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uppressed.

상기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서브 핸들부의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강성을 적극적으로 높인 브리지부를 가지는 보강 부재를 이용해도 괜찮다. 브리지부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배열 방향)에서의 단면(斷面) 형상을 대략 L자 모양이나 대략 각통(角筒) 모양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방향이나 절곡 방향으로의 강성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it is possible to use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bridge portion in which the rigidity in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sub handle portion is actively increased. The bridge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by, for example, a substantially L-shaped or substantially square tube shape, The rigidity in the direction can be positively improved.

상기 보강 부재는, 각각의 서브 핸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브리지부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암부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암부의 존재에 의해, 접속부에 비틀림력을 가하는 방향으로의 서브 핸들부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속 부재의 파손을 억제하여,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member may have an arm portion extended from the bridg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ub handle portion. In this case, the presence of the arm por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displacement of the sub-handl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twisting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 각각의 상기 서브 핸들부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2개소 이상의 맞물림부를 가짐과 아울러, 해당 복수의 맞물림부가 상기 보강 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피(被)맞물림부에 맞물려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서브 핸들부가 길이 방향의 2개소 이상에서 상기 보강 부재에 맞물려지기 때문에, 연결부에 비틀림력을 가하는 방향으로의 서브 핸들부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의 파손을 억제하여,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sub-handle portions may have two or more engaging portions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may b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provided in the reinforcing member. In this case, since each of the sub-handle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reinforcing member at two or more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placement of the sub-handl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twisting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적어도 1개소의 피맞물림부에서, 서브 핸들부를 보강 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강 부재가 서브 핸들부의 개폐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서브 핸들부의 개폐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가 보다 취급하기 쉬워진다. In the above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in at least one engaged portion, the sub-handle portion is movable relative to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a result, the beauty machine becomes easier to handle.

또, 상기 접속 부재는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 규제 수단, 상기 보강 부재 혹은 상기 가압 수단 등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속 부재의 통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개폐 규제 수단이나 보강 부재가 보호되기 때문에, 이들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ver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the reinforcing member, the pressing means, or the like is disposed in the cylinder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restricting means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prot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these breakage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한 쌍의 축부는,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핸들측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축선의 간격이 넓어지는 확개(擴開)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상기 미용기를 피부에 대고 누를 때에,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용이하게 눌러 넓힐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미용기는,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The pair of shaft portions may be arranged to be in a widened stat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air of axes is widened from the base portion on the handle side toward the tip side in the natural state. In this case, when the beauty machine is pressed against the ski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ollers can be easily pressed and widened. As a result, the beauty machine is easier to handle than the user.

또,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상기 한 쌍의 롤러를 대고 눌렀을 때에, 상기 롤러의 사이에 해당 부분이 어느 정도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자연스럽게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자연 상태에서 서로 맞닿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이 상기 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눌러 넓힐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미용기는,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을 상기 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는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기 자연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자연 상태에서의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은, 1 ~ 50mm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natural state, the pair of roll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the pair of rollers is pressed against a part where a cosmetic effect is to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naturally realize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art is sandwiched between the rollers to some ext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roll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atural state, in order to realize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rollers, the gap of the pair of rollers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force There is a need. Therefore, in the natural state, the beauty machine in which the pair of roll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more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of interposing a portion to be desired with a cosmetic effect between the rollers, . In the natural state, when the pair of roll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in the natural state can be appropriately set in the range of 1 to 50 mm.

또, 상기 한 쌍의 축부는, 항상, 상기 확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서 체감하는 가압력을 적당히 크게 하여,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air of shafts may always be arranged to be in the widening stat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incre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hereby achieving an excellent cosmetic effect and further improving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또, 상기 핸들은, 상기 한 쌍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핸들이 피부면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피부면에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이 피부면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미용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집어 올려지도록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미용기의 사용에 의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pair of axes. In this case, the plane including the pair of axes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skin surface by pressing the pair of rollers against the skin surface with the handle running along the skin surface. By operating the hairdressing machine while maintaining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portion desired to have a cosmetic effect so as to be picked up by the pair of rollers. As a result,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by use of the beauty machine.

또, 상술한 피부를 집어 올리는 작용은, 한 쌍의 롤러의 간격에 의해서 변화하고,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용을 확실히 체감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핸들이 상기 한 쌍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 규제 수단을 더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용을 확실히 체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ction of picking up the skin changes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llers, and by keeping the interval of the pair of rollers in an appropriate range, the action can be reliably sensed. Therefore, when the hand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including the pair of axes, by further providing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it is possible to surely sense the action, and moreover, have.

또, 상기 롤러는, 대략 구체(救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롤러에 의한 가압력이,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집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체감할 수 있는 가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롤러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동작을 보다 스무스(smooth)하게 행할 수 있어, 미용기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ller may hav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n this case, since the pressing force by the roller is easy to concentrate on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he pressing force capable of feeling can be made sufficiently large, and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pair of rollers against the skin while pressing the ski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 상술한 대략 구체 형상에는, 진구(眞救)와, 회전 타원체나 눈물 방울 형상 등의 일반적인 감각으로서 구형(救刑)이라고 인정되는 정도로 진구를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이 포함된다. 또, 상기 롤러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구성된 표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다수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에 의해 구성된 표면을 가지는 다면체라도 괜찮다. 상기 롤러가 다면체인 경우에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구성된 표면을 가지는 롤러에 비해, 롤러의 표면이 피부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ncludes a shape obtained by deforming a sphere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regarded as a spherical shape as a general feeling such as a sphere and a shape of a spheroid or a tear drop. The roller may have a smooth curved surface, or may be a polyhedron having a surfac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triangles or squares, for example. When the roller is a polyhedron, the surface of the roller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with respect to the skin as compared with a roller having a surface composed of a smooth curved surface, and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상기 가압 수단에는,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나 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는, 금속제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제의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가압력을 적당히 크게 하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 미용기의 사용에 의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the pressing means, for example, a spring member, rubber or the like can be used. Among these, as the press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al spring member.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made of metal is easy to be appropriately increased. Therefore,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by use of the above-mentioned beauty machine.

또, 상기 핸들은 태양 전지 패널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태양 전지 패널의 기전력(起電力)에 의해,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인체 피부에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인체 피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피부 세포가 활성화되고, 림프액의 흐름이 좋게 되거나, 혈행이 촉진되거나, 신진대사가 향상되거나 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상기 미용기의 사용에 의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handle may have a solar cell panel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current to flow through the human skin in contact with the roller due to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olar cell panel.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kin cell is activat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human skin, the flow of the lymph fluid is improved, the blood circulation is promoted, the metabolism is improved, and the like. As a result,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by use of the beauty machine.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상기 미용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는, 한 쌍의 축부(2)를 가지는 핸들(3)과, 한 쌍의 롤러(4)와, 가압 수단(5)으로서의 스프링 부재(51)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롤러(4)는, 각각 축부(2)에 마련됨과 아울러, 축부(2)의 축선(A)(도 3 및 도 4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롤러(4)는, 도 4에 나타내는 서로의 간격(d)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1)는,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미용기(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의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을 가지고 있다. An embodiment of the beauty mach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1 and 5, the beauty machine 1 includes a handle 3 having a pair of shaft portions 2, a pair of rollers 4, a spring member 51 as a pressing means 5 ). The pair of rollers 4 are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2 and are rotatably supported about the axis A of the shaft portion 2 (see Figs. 3 and 4). In addition, the pair of rollers 4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interval d between them as shown in Fig. The spring member 51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to a natural state. 8, the hairdressing machine 1 has a regulating plate 71 and regulating fins 72 as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는 대략 U자 모양을 나타내는 핸들(3)을 가지고 있다. 핸들(3)의 두 갈래로 나누어진 선단에는, 한 쌍의 롤러(4)가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4)는, 각각, 핸들(3)의 선단에 마련된 축부(2)를 매개로 하여, 핸들(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기(1)는, 한 쌍의 롤러(4)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활 모양을 나타내도록 만곡(灣曲)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eauty machine 1 has a handle 3 having a substantially U-shape. A pair of rollers 4 are arranged in line with each other on the tip of the handle 3 divided into two parts. Each of the pair of rollers 4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handle 3 via a shaft portion 2 provided at the tip of the handle 3. 3, the beauty machine 1 is curved so as to show a substantially bow shape 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ollers 4 are arranged.

이하에서, 한 쌍의 롤러(4)의 배열 방향을「측부 방향」, 롤러(4)와 핸들(3)과의 배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전후 방향에서의 롤러(4)측을 「전방」이라고 하고, 핸들(3)측을 「후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미용기(1)를 측부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대략 활 모양 형상에서의, 볼록 형상측을 「상부」라고 하고, 오목 형상측을 「하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방향에 관한 기재는 편의상의 것이며, 미용기(1)를 사용할 때의 실제의 방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rollers 4 may be referred to as " side direction ",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oller 4 and the handle 3 may be referred to as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Further, the roller 4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 forward ", and the handle 3 side may be referred to as " rearward ". In addition, the convex side of the beauty machine 1 in a substantially bow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upper" and the concave side may be referred to as "lower". The description of these directions i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actual direction when the beauty machine 1 is used.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3)은, 축부(2)를 지지하는 축지지부(31)가, 그것 보다도 후방의 파지부(3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하부를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상면 및 도 4에 나타내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핸들(3)의 축지지부(31)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측부 방향에서의 외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또, 편의상 도시하지 않지만, 축지지부(31)에 각각 지지된 축부(2)는, 축지지부(31)과 함께, 전방을 향함에 따라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축부(2)는, 자연 상태에서, 핸들(3)측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축선(A)의 간격이 넓어지는 확개(擴開)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미용기(1)에서의 한 쌍의 축선(A)이 이루는 각(θ)(도 4 참조)은 70°이다. 한 쌍의 축선(A)이 이루는 각(θ)은 40 ~ 120°의 사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50 ~ 9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 to 4, the handle 3 is formed so that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2 is directed downwardly inclined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32 rearward of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It is curved.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top surface shown in Fig. 2 and the front surface shown in Fig. 4,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of the handle 3 widens outward in the side direction as it goes forward. Although not show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haft portion 2, which is supported by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is extended along with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so as to extend outward toward the front side. As a result, the pair of shaft portions 2 are extended in the natural state from the base portion on the handle 3 side toward the front end side (front sid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axis lines A becomes wider Open) state. The angle? (See FIG. 4) formed by the pair of axes A in the hairdressing machine 1 of this example is 70 degrees. The angle [theta] formed by the pair of axes A can be appropriately set between 40 and 120 [deg.], More preferably between 50 and 90 [deg.].

또, 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핸들(3)의 축지지부(31)는, 파지부(3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하부를 향하고 있다. 그리고, 축지지부(31)에 각각 마련된 축부(2)는, 축지지부(31)와 함께 경사진 하부를 향하여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도시 생략). 그 때문에, 핸들(3)의 파지부(32)는, 한 쌍의 축선(A)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3,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of the handle 3 faces downward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32. As shown in Fig. The shaft portions 2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shaft supporting portions 31 are provided extending toward the inclined lower portion together with the shaft supporting portions 31 (not shown). The grip portion 32 of the handle 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ncluding the pair of axis lines A. Therefore,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2)를 매개로 하여 핸들(3)에 지지되는 롤러(4)는, 다수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다면체이며, 대략 구체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핸들(3)과 롤러(4)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패킹이 마련되어 있어, 핸들(3)과 롤러(4)와의 사이로부터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롤러(4)의 표면에는 티탄 도금이 실시되어 있고,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롤러(4)의 표면은, 후술하는 태양 전지 패널(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미용기(1)는, 자연 상태에서의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도 4 참조)이 10m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예의 롤러(4)는, 축선(A)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직경을, 15 ~ 60m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2 and 3, the roller 4 supported on the handle 3 via the shaft portion 2 is a polyhedr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iangles and shows a roughly spherical shape. A packing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3 and the roller 4 so as to prevent moisture and the like from entering between the handle 3 and the roller 4. The surface of the roller 4 is coated with titanium and has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urface of the roller 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panel 6 to be described later. The beauty machine 1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so that the interval d (see Fig. 4)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n a natural state is 10 mm. The diameter of the roller 4 in this example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A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a range of 15 to 60 mm.

또, 도 2, 도 5 ~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3)의 후방에는, 스프링 부재(51) 및 개폐 규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1) 및 개폐 규제 수단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s shown in Figs. 2, 5 to 6 and 8, a spring member 51 and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andle 3. Details of the spring member 5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restricting mean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3)은, 축부(2)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와,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4)는, 핸들(3)의 후방, 즉 롤러(4)와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핸들부(33)는 연결부(34)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측부 방향으로 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미용기(1)는, 한 쌍의 축부(2)와 연결부(34)가, 서브 핸들부(33)에서의 서로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5 and 5, the handle 3 includes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33 for respectively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2 and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33 for opening /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34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s 34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necting portion 3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andle 3, that is, at the end opposite to the roller 4. The sub handle portion 33 extends for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4 and is arranged in a line in the sid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beauty machine 1 of this embodiment, the pair of shaft portions 2 and the connecting portions 34 are provid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서브 핸들부(3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막대 모양을 나타냄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강성이 높아지도록, 전후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타원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ub handle portion 33 has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in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rod-like shape and to have a high structural rigidity.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핸들부(33)는,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하여 마련되는 베이스부(331)와, 스프링 부재(51)를 수용하는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 및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와,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를 덮는 케이스부(334)를 가지고 있다.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 및 케이스부(334)는, 서브 핸들부(33)의 후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 및 케이스부(334)는, 전후 방향의 양단에서, 나사(335)에 의해 베이스부(331)와 체결되어 있다. 5, the sub handle portion 33 includes a base portion 331 extending all ov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for receiving the spring member 51, An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nd a case portion 334 covering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The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nd the case portion 334 are disposed at the rear half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 5 and 7, the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nd the case portion 334 are fixed to the base portion (not shown) by screws 335 at both ends in the front- 331, respectively.

베이스부(331)는, 전기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31)는, 케이스부(334)와 핸들(3)의 축지지부(31)와의 사이에 태양 전지 패널(6)을 가지고 있다. 태양 전지 패널(6)은, 도시하지 않은 패킹에 의해, 베이스부(331)와의 사이의 간극로부터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 있지 않지만, 동일한 서브 핸들부(33)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 롤러(4) 및 케이스부(334)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6)의 기전력에 의해, 롤러(4)와 접촉하는 인체 피부에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ase portion 331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2 and 5, the base portion 331 has a solar cell panel 6 between the case portion 334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of the handle 3. [ The solar cell panel 6 is attached by a packing (not shown) so as to prevent intrusion of moisture and the like from the gap between the solar cell panel 6 and the base portion 33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olar cell panel 6,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provided on the same sub-handle portion 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olar battery 6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ass current to the human skin contacting the roller 4 by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olar panel 6. [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 및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는, 전기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 및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는,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양자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51)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 공간(35)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 공간(35)은, 핸들(3)의 개폐 동작을 행할 때에 스프링 부재(51)가 큰 유동이 없이 변형하도록, 스프링 부재(51)의 사이즈에 대응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 공간(35)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연결부(34)에서의 접속 부재(341)의 통 내 공간(342)에 연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5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34)를 통과하여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까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nd the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are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resin. 6,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nd the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are provided with a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member 51 between them in a state of being combined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2 and 6,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spring member 51 so that the spring member 51 deforms without a large flow when the handle 3 is opened and closed And is formed in one dimension. 7,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communicates with the in-cylinder space 342 of the connecting member 341 in the connecting portion 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2, the spring member 51 extend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4 and extends to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As shown in Fig.

케이스부(334)는,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부(334)의 표면에는 크롬 도금이 실시되어 있으며, 표면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334)의 표면은, 태양 전지 패널(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The case portion 334 is made of ABS resin. Th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34 is chrome-plated, and its surface has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panel 6.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를 연결하는 연결부(34)는, 접속 부재(341)와, 규제 플레이트(71)와, 규제핀(72)을 가지고 있다.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은,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를 연결하는 연결부(34)로서의 기능과,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의 기능과의 쌍방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규제 플레이트(71)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가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보강 부재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5 and 6, the connecting portion 34 connecting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has a connecting member 341, a regulating plate 71, and a regulating pin 72 . The regulating plate 71 and the regulating pin 72 function as a connecting portion 34 for connecting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and regulate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And functions as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means. The restricting plate 71 has a function as a reinforcing member for restraining displacement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접속 부재(341)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5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단부(343)와, 개재부(344)를 가지고 있다. 개재부(344)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 단부(343)는, 개재부(344)에서의 측부 방향의 양측에 세워서 마련되어 있으며,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341 is made of an elastomer and has an opening end portion 343 and an intervening portion 344 as shown in Figs. The interposing portion 344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 The opening end portion 343 is provided standing on both sides in the side direction in the interposing portion 344 and shows a cylindrical shape.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 단부(343)에는, 하측 스프링 수용부(332)의 후단(332a) 및 상측 스프링 수용부(333)의 후단(333a)이 삽입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재부(344) 및 개구 단부(343)의 내측에 존재하는 통 내 공간(342)은, 연통하는 서브 핸들부(33)에 부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수용 공간(35)과 연통하고 있다. The rear end 332a of the low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2 and the rear end 333a of the upper spring receiving portion 333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opening end portions 343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in-cylinder space 342 existing inside the interposing portion 344 and the opening end portion 343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ng sub-handle portion 33, And communicates with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단부(343)의 선단부 측면에는, 외부를 향해서 연장하여 마련된 플랜지부(345)가 존재하고 있으며, 플랜지부(345)와 개재부(344)와의 사이에 오목 모양 맞물림부(34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 모양 맞물림부(346)에는 베이스부(331)의 후단(331a) 및 케이스부(334)의 후단(334a)이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341)가 서브 핸들부(33)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6 and 7, a flange portion 345 extending outwardly exists on the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pening end portion 343, and a flange portion 345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345 and the interposing portion 344 A concave engaging portion 346 is formed. The concave engaging portion 346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331a of the base portion 331 and the rear end 334a of the case portion 334. As a result, the connecting member 341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33.

규제 플레이트(71)는, 핸들(3)의 후방 단부에서의 대략 U자형 모양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플레이트(71)는, 접속 부재(341) 내를 통과하는 브리지부(712)와, 브리지부(712)로부터 각각의 서브 핸들부(33)를 향해서 연장하여 마련된 암부(713)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713)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핀 삽통(揷通) 구멍(711)을 전방 단부에 가짐과 아울러, 핀 삽통 구멍(711)보다도 브리지부(712)측(후방)에 보스(boss) 삽통 구멍(714)을 가지고 있다. The regulating plate 71 is disposed along the substantially U-shaped shape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3. [ 2 and 8, the regulating plate 71 includes a bridge portion 712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41, and a pair of leg portions 712 extending from the bridge portion 712 toward the respective sub handle portions 33 And a metal plate having an arm portion 713 provided thereon. 8, the arm portion 713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pin insertion hole 711 at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pin insertion hole 711 on the side of the bridge portion 712 And has a boss inserting hole 714 therein.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삽통 구멍(711)에는, 금속으로 구성된 규제핀(72)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핀(72)은, 핀 삽통 구멍(711)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규제핀(72)은, 상하 방향의 단부가 베이스부(331) 및 케이스부(334)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규제핀(72)의 위치는, 핸들(3)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핀 삽통 구멍(711)의 개구하고 있는 범위를 한도로 하여 변경된다(도 8, 화살표 101).As shown in Figs. 6 and 8, a restriction pin 72 made of a metal is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711. As shown in Fig. 6, the regulating fins 72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n inserting holes 711. As shown in Fig. The restricting pin 72 has its upper and lower ends fixed to the base portion 331 and the case portion 334.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ng pin 72 is changed by limiting the opening range of the pin inserting hole 711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Fig. 8, arrow 101).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 삽통 구멍(714)에는, 케이스부(334)에 세워서 마련된 보스(336)가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규제 플레이트(71)는, 보스(336)에 대해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된다. 또, 핸들(3)을 개폐할 때에, 서브 핸들부(33)가 보스(336)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도 8, 화살표 102).7, a boss 336 provided in a standing manner on the case portion 334 is inserted into the boss insertion hole 714.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regulating plate 71 is held at a consta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ss 336. [ When the handle 3 is opened or closed, the sub-handle portion 33 rotates about the boss 336 (FIG. 8, arrow 102).

스프링 부재(51)는, 도 2 및 도 5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U자 모양으로 굴곡된 금속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브 핸들부(33)의 스프링 수용 공간(35)과, 접속 부재(341)의 통 내 공간(342)과의 쌍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스프링 부재(51)는, 핸들(3)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변형하고, 스프링 부재(51)가 변형한 상태에서는,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프링 수용 공간(35)의 벽면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가압력은, 서브 핸들부(33)를 매개로 하여 한 쌍의 롤러(4)에 전달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5 to 7, the spring member 51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U-shaped bent metal bar, and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And the in-cylinder space 342 of the cylinder chamber 341, respectively. The spring member 51 is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and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natural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spring member 51 is deformed, . As a result,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1 is transmitted to the pair of rollers 4 via the sub-handle portion 33.

다음으로, 본 예의 미용기(1)의 개폐 규제 수단의 동작에 대해서, 미용기(1)의 사용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미용기(1)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서브 핸들부(33)의 케이스부(334)를 손바닥에 접촉시키면서, 태양 전지 패널(6)에 광이 입사 하도록 하여 파지부(32)를 파지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2)가 피부면(8)을 따르도록 하여 한 쌍의 롤러(4)를 피부면(8)에 대고 누른다. 이와 같이 롤러(4)를 대고 누르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축선(A)을 포함하는 평면(P)이 피부면(8)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restricting means of the beaut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method of using the beauty machine 1. When the beauty machine 1 is used, the user grasps the grasping portion 32 by allowing light to enter the solar cell panel 6 while contacting the case portion 334 of the sub-handle portion 33 with the palm of the hand. Then,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rollers 4 are pressed against the skin surface 8 so that the grip portion 32 follows the skin surface 8. By pressing the roller 4 in this manner, the plane P including the pair of axis lines A become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kin surface 8.

한 쌍의 롤러(4)를 피부면(8)에 맞닿게 한 상태로부터, 한 쌍의 롤러(4)를 대고 누르는 힘을 더 강하게 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5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핸들(3)이 벌어지고(도 8, 화살표 102),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을 눌러 넓힐 수 있다(도 4, 화살표 100). 본 예의 미용기(1)에서의 한 쌍의 축부(2)는,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이 자연 상태로부터 변경된 상태 및 자연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핸들(3)측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축선(A)의 간격이 넓어지는 확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예의 미용기(1)는, 항상, 확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essing force of the pair of rollers 4 against the skin surface 8 is further strengthened by pressing the pair of rollers 4 against the skin surface 8, 3) are opened (Fig. 8, arrow 102), the interval d of the pair of rollers 4 can be pressed (Fig. 4, arrow 100). The pair of shaft portions 2 in the beaut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s changed from the natural state to the natural state, So as to maintain a widened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the axes A is widened from the portion toward the tip side. That is, the beaut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ways configured to be in a widened state.

이 때,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은, 이하와 같이 하여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서브 핸들부(33)의 내부에서는, 베이스부(331) 및 케이스부(334)에 고정된 규제핀(72)이, 핸들(3)이 자연 상태로부터 벌어짐(도 8, 화살표 102)에 따라서 측부 방향의 외부로 이동한다(도 8, 화살표 101). 그리고, 규제핀(72)이 핀 삽통 구멍(711)의 단부 가장자리에 맞닿으면, 그 이상 핸들(3)을 벌릴 수 없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gulating plate 71 and the regulating fins 72 function as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as follows. In the inside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the regulating pin 72 fixed to the base portion 331 and the case portion 334 is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 331 along the direction (arrow 102 in Fig. 8) (Fig. 8, arrow 101). When the restricting pin 7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edge of the pin inserting hole 711, the abnormal handle 3 can not be opened.

본 예의 미용기(1)에서의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은, 서브 핸들부(33)를 개폐시켰을 때에,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을 1 ~ 50mm의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본 예의 미용기(1)는, 베이스부(331)가 ABS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롤러(4)를 피부면(8)에 대고 누르는 힘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서브 핸들부(33)를 탄성 변형시켜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을 상기 특정의 범위 보다도 넓힐 수 있다. 본 예의 미용기(1)에서는, 실용상, 서브 핸들부(33)를 탄성 변형시킨 경우에서의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의 최대값은 65mm이다. The regulating plate 71 and the regulating pin 72 in the hairdressing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sub handle portion 33 is opened or closed, the interval d of the pair of rollers 4 is set within a range of 1 to 50 mm It is designed to be changeable within On the other hand, in the beauty machine 1 of this embodiment, the base portion 331 is made of ABS resin. Therefore, by increasing the force pressing the pair of rollers 4 against the skin surface 8, the sub-handle portion 33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t can be widened beyond a certain range. In the beaut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ximum value of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when the sub-handle portion 33 is elastically deformed is 65 mm in practice.

한 쌍의 롤러(4)를 피부면(8)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미용기(1)를 롤러(4)측으로부터 핸들(3)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감아 들어가, 피부면(8)이 상기 한 쌍의 롤러(4)에 의해 집어 올려지도록 변형한다. By moving the beauty machine 1 in the direction from the roller 4 side toward the handle 3 side while the pair of rollers 4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8, As shown in Fig. 5A, the portion to be desired cosmetic effect is wound around the pair of rollers 4, and the skin surface 8 is deformed so as to be picked up by the pair of rollers 4. Fig.

이 때, 미용기(1)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핸들(3)을 닫는 방향으로 힘을 거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부분에 걸리는 가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can be increased by moving the beauty machine 1 and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handle 3. [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사용 방법 외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상완부(上腕部), 전완부(前腕部), 장딴지 등을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미용기(1)를 왕복 이동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methods of use shown in Figs. 3 and 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pair of rollers 4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rm portion, the forearm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iprocate the hairdressing machine 1 in a fitted state.

또, 롤러(4)가 피부면(8)과 접촉하고, 또한, 핸들(3)의 케이스부(334)가 손바닥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태양 전지 패널(6), 롤러(4), 케이스부(334) 및 인체를 포함하는 폐회로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태양 전지 패널(6)의 기전력에 의해, 롤러(4)와 접촉하는 인체 피부에 전류를 흘릴 수 있다. While the roller 4 is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8 and the case portion 334 of the handle 3 is in contact with the palm of the hand, the solar cell panel 6, the roller 4, A portion 334 and a human body are formed. Therefore,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olar cell panel 6 makes it possible to pass a current to the human skin contacting the roller 4. [

다음으로, 본 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effect of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미용기(1)는, 서로의 간격(d)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한 쌍의 롤러(4)와, 가압 수단(5)으로서의 스프링 부재(51)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미용기(1)는, 얼굴이나 팔 등의 비교적 기복이 큰 부분으로부터 복부 등의 비교적 기복이 작은 부분까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한 쌍의 롤러(4)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도 9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팔이나 다리 등을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팔 등을 끼워 넣고, 미용기(1)를 왕복시켜 롤러(4)를 굴리는 것에 의해, 근육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The beauty machine 1 has a pair of rollers 4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interval d between them and a spring member 51 as the pressing means 5. Therefore, the beauty machine 1 can be used preferably from a portion with relatively large undulations such as a face or an arm to a portion with relatively small undulations such as abdomen. In addition,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can be changed, an arm, a leg, or the like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as shown in Fig. 9 as an example. As described above, by putting an arm or the like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and rolling the roller 4 by reciprocating the beauty machine 1, the massage effect on the muscles can be effectively obtained.

또, 미용기(1)는,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가압 수단(5)에 의한 가압력이 각각의 롤러(4)에 작용하여, 한 쌍의 롤러(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롤러(4)에 가압되는 부분의 피부의 혈행이 촉진되거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등의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e beauty machine 1,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s widened,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means 5 acts on the respective rollers 4 and the pair of rollers 4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effects such a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of the skin to be pressed on the pair of rollers 4, or activating the metabolism, and further, beauty effects such as making the skin beautiful can be expected.

또, 미용기(1)는,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의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미용기(1)는,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미용기(1)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The beauty machine 1 has a regulating plate 71 and regulating fins 72 as opening and closing regulating means. Therefore, the beauty machine 1 can reliably prevent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from being excessively widened,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breakage of the beauty machine 1.

또, 한 쌍의 축부(2)는, 항상, 핸들(3)측의 베이스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한 쌍의 축선(A)의 간격이 넓어지는 확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미용기(1)는, 자연 상태에서 상기 확개 상태가 실현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취급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이 자연 상태로부터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확개 상태가 실현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서 체감하는 가압력을 적당히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air of shaft portions 2 are always arranged so as to be in a widened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axes A is widened from the base portion on the handle 3 side toward the tip side. In other words, the beauty device 1 realizes the widening state in a natural state,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handle. The widening state is realiz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s changed from the natural state so that the pressing force for sensing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s appropriately increased So that a more excellent beauty effect can be expected.

또, 핸들(3)은, 축부(2)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와,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를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축부(2)와 연결부(34)가, 서브 핸들부(33)에서의 서로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서브 핸들부(33)의 개폐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을 변경하고,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용기(1)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handle 3 has a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2 and a connecting portion 34 for connecting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A pair of the shaft portion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4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on the opposite sides. Therefore,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33, the user can change the interval d of the pair of rollers 4, and can easily appl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desired to obtain a cosmetic effect . As a result,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1 can be further improved, and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핸들(3)은, 한 쌍의 축선(A)을 포함하는 평면(P)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게다가, 본 예에서는,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 핀(72)은, 서브 핸들부(33)를 개폐시켰을 때에, 한 쌍의 롤러(4)의 간격을 1 ~ 50mm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 쌍의 롤러(45)의 간격을 적절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피부의 집어 올림에 의한 작용을 확실히 체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handle 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P including the pair of axes A. [ In this example, the regulating plate 71 and the regulating pin 72 are design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can be changed within a range of 1 to 50 mm when the sub-handle portion 33 is opened or closed . By keeping the interval of the pair of rollers 45 within an appropriate range, it is possible to reliably feel the action of the aforementioned picking up of the skin. As a result,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롤러(4)는, 대략 구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롤러(4)에 의한 가압력이 집중하기 쉽게 되고, 사용자가 체감하는 가압력이 충분히 크게 되기 쉽다. 또, 한 쌍의 롤러(4)를 피부에 대고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동작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어, 미용기(1)의 취급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oller 4 has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by the roller 4 is easily concentrated, and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user senses is likely to become sufficiently large. Further,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pair of rollers 4 against the skin while pushing it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and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1 can be further improved.

또, 핸들(3)은 태양 전지 패널(6)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 전지 패널(6)의 기전력에 의해, 롤러(4)와 접촉하는 인체 피부에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미용기(1)의 사용에 의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handle 3 has a solar cell panel 6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ass a current to the human skin contacting the roller 4 due to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olar cell panel 6. [ Therefore, by using the beauty machine 1, a more excellent beauty effect can be expected.

또, 본 예에서는, 동일한 서브 핸들부(33)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 롤러(4) 및 케이스부(334)가 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 핸들부(33)마다 인체 피부를 포함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롤러(4) 및 케이스부(334)와 인체 피부와의 접촉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용기(1)는,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since the solar cell panel 6,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provided on the same sub-handle portion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As a result, poor contact between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and the human skin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beauty machine 1 can expect a more excellent beauty effect.

또, 본 예의 서브 핸들부(33)는, 전후 방향의 단면이 대략 타원형이기 때문에, 구조상, 높은 강성을 가진다. 그리고, 서브 핸들부(33)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규제 플레이트(71)에 의해 보강되어, 규제 플레이트(71)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진다. 이들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미용기(1)는, 서브 핸들부(33)가 탄성 변형한 경우에도, 한 쌍의 롤러(4)에 의해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 handle portion 33 of this embodiment has a high rigidity due to its structure, because its cross sec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ubstantially elliptical. The sub handle portion 33 is reinforced by the regulating plate 71 made of a metal plate and has higher rigidity than the case where the regulating plate 71 is not provided. With these arrangements, the hairdressing machine 1 is capable of sufficientl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exerted on the portion where a cosmetic effect is desired to be obtained by the pair of rollers 4 even when the sub-handle portion 33 is elastically deformed can do.

서브 핸들부(33)의 강성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을 한 쌍의 롤러(4)에 의해 가압하려고 하면, 서브 핸들부(33)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3)의 개폐 동작을 행해도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이 충분히 좁혀지지 않아,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충분히 체감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예의 미용기(1)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핸들(3)의 개폐 동작에 의해 미용 효과를 얻고 싶은 부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미용기(1)는, 체감할 수 있는 가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the rigidity of the sub-handle portion 33 is excessively low, there is a fear that the sub-handle portion 33 may be bent if a portion to be obtained with a cosmetic effect is to be pressed by the pair of rollers 4. [ Therefore, in some cases, even i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is performed, the interval 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is not sufficiently narrow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rtion to obtain a cosmetic effect can be sufficiently sen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be lost. On the other hand, the hairdressing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void such a problem by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art where the hairdressing effect is desired to be obtai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have. As a result, the hairdressing machine 1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 pressing force that can be sensed, and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연결부(34)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한 접속 부재(34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속 부재(341)는 고무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브 핸들부(33)의 개폐 동작의 반복에 대한 연결부(3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34)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미용기(1)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4 has a connecting member 341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The connecting member 341 is made of an elastomer having rubber elastic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34 to the repeti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33.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suppressed, and the beauty machine 1 can be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 연결부(34)는, 브리지부(712)를 가지는 규제 플레이트(7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브리지부(712)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의 변위를 억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3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이나 굽힘력 등을 저감할 수 있어, 연결부(34)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4 has a regulating plate 71 having a bridge portion 712. [ The bridge portion 712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strain displacement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Therefore, the twisting force and the bending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reduced, and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suppressed.

또, 각각의 서브 핸들부(33)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 보스(336) 및 규제핀(72)에 의해, 규제 플레이트(71)에 마련된 핀 삽통 구멍(711) 및 보스 삽통 구멍(714)에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미용기(1)는, 각각의 서브 핸들부(33)가, 길이 방향의 2개소 이상에서 규제 플레이트(71)에 맞물리기 때문에, 연결부(34)에 비틀림력을 가하는 방향으로의 서브 핸들부(33)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Each of the sub handle portions 33 is provided with a pin inserting hole 711 and a boss inserting hole 711 provided in the regulating plate 71 by a boss 336 and a regulating fin 72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714).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pective sub handle portions 33 of the beauty machine 1 are engaged with the regulating plate 71 at two or more positions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 displacement of the portion 33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 규제 플레이트(71)는, 각각의 서브 핸들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브리지부(712)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암부(713)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34)에 비틀림력을 가하는 방향으로의 서브 핸들부(33)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연결부(34)의 파손을 억제하여, 미용기(1)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gulating plate 71 has an arm portion 713 extending from the bridge portion 7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sub handle portions 33. Therefore, displacement of the sub-handle portion 33 in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twisting force to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suppres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machine 1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과 같이, 미용기(1)는, 신체 각 부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uty machine 1 can be preferably used for each part of the body, and an excellent beauty effect can be expected.

(실시예 2)(Example 2)

본 예는, 부품수를 저감하면서, 강성을 높인 서브 핸들부(36)를 가지는 미용기(1)의 예이다.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본 예의 미용기(1)의 외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a beauty machine 1 having a sub-handle portion 36 with increased rigidit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xternal shape of the beauty machine 1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핸들부(36)는, 베이스부(361)와, 스프링 수용부(362)와, 케이스부(363)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362) 및 케이스부(363)는, 베이스부(361)의 후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베이스부(361)에 체결되어 있다. 또, 도 10에서는, 편의상, 롤러(4), 규제핀(72) 및 나사 등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10, the sub handle portion 36 is composed of three parts: a base portion 361, a spring receiving portion 362, and a case portion 363.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362 and the case portion 363 are disposed on the rear half of the base portion 361 and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361 by screws (not shown). In Fig. 10, the rollers 4, the regulating fins 72, screws, etc. ar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61)는, 스프링 수용부(362)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강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364)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부(361) 자신의 강성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서브 핸들부(36)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base portion 361 has a rib 364 for increasing rigidity at a portion where the spring receiving portions 362 overlap each other.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base portion 361 itself can be enhanced, and the rigidity of the sub-handle portion 36 can be further increased.

스프링 부재(51)가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 공간(35)은, 베이스부(361)와 스프링 수용부(362)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스프링 수용 공간(35)은, 스프링 수용부(362)에, 스프링 부재(51)의 사이즈에 대응한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in which the spring member 51 is accommodated is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361 and the spring accommodation portion 362. 12, the spring accommodation space 35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providing a recess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pring member 51 in the spring accommodation portion 362. As shown in Fig.

또, 본 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362)의 후단, 즉, 연결부(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부분에,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규제 볼록부(365)가 마련되어 있다. 12,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362, that is, at a portion facing the connecting portion 34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34, a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are provided.

규제 볼록부(365)는,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된 꼭대기부(366)가 자연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규제 볼록부(365)는, 꼭대기부(366)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측부 방향의 외부로 후퇴하는 경사면(367(367a, 367b))을 가지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스프링 수용부(362)에서의 경사면(367a)은, 자연 상태에서 타방의 스프링 수용부에서의 경사면(367a)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일방의 스프링 수용부(362)에서의 경사면(367b)은, 자연 상태에서 타방의 스프링 수용부에서의 경사면(367b)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restricting convex portion 36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p portion 366 provided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abuts against each other in a natural state. The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has inclined surfaces 367 (367a and 367b) that retreat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it goes from the top portion 366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the inclined surface 367a in one spring receiving portion 362 is arranged to be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367a in the other spring receiving portion in a natural state. Likewise, the inclined surface 367b in one spring receiving portion 362 is arranged so as to be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367b in the other spring receiving portion in a natural state.

이와 같이 구성된 규제 볼록부(365)는, 이하와 같이 하여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즉, 핸들(3)을 벌리면, 규제 플레이트(71)의 보스 삽통 구멍(714)(도시 생략)에 삽입된 보스(368)를 중심으로 하여 한 쌍의 서브 핸들부(36)가 회동한다(도 12, 화살표 103). 이 때, 서브 핸들부(36)의 회동에 따라서, 규제 볼록부(365)에서의 후방측의 경사면(367a)이 서로 접근하고, 결국 경사면(367a)끼리가 맞닿는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후방측의 경사면(367a)끼리가 맞닿은 상태를 한계로 하여, 그 이상 핸들(3)을 벌어질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367a)끼리가 맞닿는 위치를 상한으로 하여 핸들(3)의 개폐 동작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의 변경 가능한 범위의 상한이 규제된다. The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thus configured functions as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in the following manner. That is, when the handle 3 is opened,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36 are pivoted about the boss 368 inserted in the boss insertion hole 714 (not shown) of the regulating plate 71 12, arrow 103).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sub-handle portion 36, the inclined surfaces 367a on the rear side in the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approach each other and eventually the inclined surfaces 367a abut each other. 13, it is impossible to open the further handle 3 with the limit of the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inclined surfaces 367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limit of the changeable range of the interval d of the pair of rollers 4 is regulated by regulat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with the position where the slopes 367a abut each other as the upper limit.

또, 본 예에서는, 규제 볼록부(365)에서의 전방측의 경사면(367b)에 의해, 핸들(3)을 닫을 때의 하한이 규제된다. 즉, 상술과 마찬가지로, 핸들(3)을 닫으면, 서브 핸들부(36)가 회동함과 아울러, 전방측의 경사면(367b)이 서로 접근한다. 그리고, 핸들(3)을 닫는 동작을 계속하면, 결국 경사면(367b)이 맞닿고, 전방측의 경사면(367b)끼리가 맞닿은 상태를 한계로 하여, 그 이상 핸들(3)을 닫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367b)끼리가 맞닿은 위치를 하한으로 하여 핸들(3)의 개폐 동작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롤러(4)의 간격(d)의 변경 가능한 범위의 하한이 규제된다. In this example, the lower limit when the handle 3 is closed is regulated by the inclined surface 367b on the front side in the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 That is, similarly to the above, when the handle 3 is closed, the sub-handle portion 36 rotates and the slope 367b on the front side approaches each other. If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handle 3 is continued, the stat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s 367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clined surfaces 367b on the front sid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limited, and the abnormal handle 3 can not be closed.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limit of the changeable range of the interval d of the pair of rollers 4 is regulated by regul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andle 3 with the lower limit of the contact position of the inclined faces 367b.

또,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본 예에서는, 규제 플레이트(71)의 암부(713)의 길이가, 실시예 1에 비해 3배 정도로 길게 되어 있다. 암부(713)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서브 핸들부(36)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n this example, the length of the arm 713 of the regulating plate 71 is about three times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arm portion 713, the rigidity of the sub-handle portion 36 can be further increased.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 도 10 ~ 도 13에서 이용한 부호 중,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The oth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mong the codes used in Figs. 10 to 1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unless otherwise described.

본 예와 같이, 서브 핸들부(36)에 리브(364)를 가지는 베이스부(361)를 이용하고, 규제 플레이트(71)의 암부(713)를 보다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서브 핸들부(36)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34)에 비틀림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의 서브 핸들부(36)의 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연결부(34)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361 having the rib 364 in the sub handle portion 36 and the arm portion 713 of the regulating plate 71 are made longer as shown in this exampl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antenna. As a result, displacement of the sub-handle portion 3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rs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and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34 can be suppressed.

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는, 개폐 규제 수단으로서, 규제 플레이트(71) 및 규제핀(72)을 이용한 구성이나, 서브 핸들부(36)에 규제 볼록부(365)를 마련한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서브 핸들부(36)를 체인 등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서브 핸들부(36)의 개폐 가능한 범위를 체인이 신장하는 범위 내로 규제하는 구성이 있다. In Embodiments 1 and 2, explanation will be given of a constitution using the regulating plate 71 and the regulating fin 72 as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and a constitution in which the regulating convex portion 365 is provided in the subordinate handle portion 36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is. For example, by connecting a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6 with chains or the like, a range in which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6 can be opened and closed is restric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hain extends.

(실시예 3)(Example 3)

본 예는, 단일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서브 핸들부(37)를 가지는 미용기(1b)의 예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미용기(1b)는, 축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7) 및 한 쌍의 서브 핸들부(37)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가지는 핸들(3)과 축부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4)를 가지고 있다. 또, 연결부(34)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7)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한 접속 부재(38)를 가지고 있다.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a beauty machine 1b having a sub handle portion 37 made of a single resin molded article. As shown in Fig. 14, the beauty machine 1b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37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34 for connecting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37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Has a roller (4) which is provided on a handle (3) and a shaft portion and is rotatably supported about an axis of the shaft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34 has a connecting member 38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7.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미용기(1b)의 외형은, 실시예 1의 미용기(1)와 동일하다. 또, 도 14에서 사용한 부호 중,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14, the outline of the beauty machine 1b of this examp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beauty machine 1 of the first embodiment. Incidentally, among the codes used in Fig. 1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unless otherwise described.

서브 핸들부(37)는 ABS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수지 성형체이다. 즉, 본 예의 서브 핸들부(37)는, 실시예 1과 같이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되어 있지 않고, 태양 전지 패널(6)이나 스프링 부재(51) 등도 내장되어 있지 않다.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축부는, 서브 핸들부(37)를 성형할 때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축지지부(31)에 고정되어 있다. The sub handle portion 37 is a single resin molded body made of ABS resin. That is, the sub-handle portion 37 of this embodiment is no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olar cell panel 6, the spring member 51, and the like are not built i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haft portion is fix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by insert molding when the sub-handle portion 37 is molded.

연결부(34)는, 접속 부재(38)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38)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서브 핸들부(37)의 사이에 배치되는 개재부(381)와, 개재부(381)의 양측에 세워서 마련된 기둥 모양부(382)를 가지고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34 is composed of only the connecting member 38. 15, the connecting member 38 is made of an elastomer and includes an intervening portion 381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37 and a pillar 38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vening portion 381 Shaped portion 382 as shown in Fig.

기둥 모양부(382)의 선단부 측면에는, 외부를 향해서 연장하여 마련된 플랜지부(383)가 존재하고 있으며, 플랜지부(383)와 개재부(381)와의 사이에 오목 모양 맞물림부(38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 모양 맞물림부(384)에는, 서브 핸들부(37)의 후단(371)이 맞물려 있으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접속 부재(38)가 서브 핸들부(37)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 flange portion 383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is present on the side of the tip end of the columnar portion 382 and a concave engagement portion 384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383 and the intervening portion 381 . The rear end 371 of the sub handle portion 37 is engaged with the concave engaging portion 384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38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 handle portion 37 have.

이와 같이, 연결부(34)가 접속 부재(38)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접속 부재(38)가 서브 핸들부(37)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하면, 미용기(1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nnecting portion 34 is made only of the connecting member 38, if the connecting member 38 can expand and contract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37,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eauty device 1b is obtained .

(실시예 4)(Example 4)

본 예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는 접속 부재(39)를 구비한 미용기(1c)의 예이다. 접속 부재(39)는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접속 부재(39)의 양단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베이스부(331)의 후단(331a) 및 케이스부(334)의 후단(334a)이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39)는 서브 핸들부(33)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접속 부재(39)의 통 내에는, 규제 플레이트(71) 및 스프링 부재(51)가 배치되어 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 도 16에서 이용한 부호 중,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a beauty machine 1c having a connecting member 39 having a bellows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member 39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has a bellows structure. The rear end 331a of the base portion 331 and the rear end 334a of the case portion 334 ar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9, although they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As a result, the connecting member 39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33. A regulating plate 71 and a spring member 51 are disposed in the cylinder of the connecting member 39. The oth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mong the codes used in Fig. 1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예와 같이, 연결부(34)에 이용하는 접속 부재(39)는, 예를 들면 벨로우즈 구조 등의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접속 부재(39)를 구성하는 재료에,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무 탄성을 갖지 않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벨로우즈 구조를 가지는 접속 부재(39)의 재료에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in this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39 used for the connecting portion 34 may have a stretchable structure such as a bellows structure. In this case,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no rubber elasticity such as polypropylen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necting member 39. [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lastomer as a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39 having a bellows structure.

(실시예 5)(Example 5)

본 예는, 미용기(1)에서의, 태양 전지 패널(6), 롤러(4) 및 케이스부(334)의 전기적인 접속의 일례이다. 본 예의 미용기(1)는, 롤러(4)의 표면에 마련된 작용 전극(41) 및 케이스부(334)의 표면에 마련된 대전극(對電極)(337)이 태양 전지 패널(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전극(337)이 피부면(8)과 접촉하고, 또한, 핸들(3)의 대전극(337)이 손바닥(81)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6), 작용 전극(41), 대전극(337) 및 인체를 포함하는 폐회로가 형성되고, 태양 전지 패널(6)의 기전력에 의해, 롤러(4)와 접촉하는 인체 피부에 전류를 흘릴 수 있다.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olar cell panel 6,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in the beauty machine 1. [ The beauty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orking electrode 41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4 and the counter electrode (electrode) 337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6 Respectively. 17, while the counter electrode 337 is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8 and the counter electrode 337 of the handle 3 is in contact with the palm 81,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human body ski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4 by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olar cell panel 6 have.

도 17 ~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3)에 지지되는 롤러(4)는, 다수의 삼각형으로 구성되는 다면체이며, 대략 구체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롤러(4)의 표면에는 티탄 도금이 실시되어 있고,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티탄 도금막으로 이루어지는 작용 전극(41)이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7 to 19, the roller 4 supported by the handle 3 is a polyhedr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iangles, and shows a roughly spherical shape. The surface of the roller 4 is coated with titanium, and a working electrode 41 made of a titanium-plated film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is provided.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4)는, 축부(2) 및 축부(2)에 부착된 베어링(21)을 매개로 하여 핸들(3)에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1)은 도전성을 가지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롤러(4)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용 전극(41)과 접촉하고 있다. 작용 전극(41)은, 베어링(21) 및 축부(2)를 매개로 하여 후술하는 태양 전지 패널(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The roller 4 is supported on the handle 3 via a bearing 21 attached to the shaft portion 2 and the shaft portion 2 as shown in Fig. The bearing 21 is made of a conductive resin and is in contact with the working electrode 41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4 is mounted. The working electrode 4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panel 6 to be described later via the bearing 21 and the shaft portion 2. [

또, 축부(2)의 길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주위 보다도 외경이 굵은 O링 받이부(22)가 형성되어 있고, O링 받이부(22)와 축지지부(31)와의 사이에 O링(23)이 끼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핸들(3)과 롤러(4)와의 사이로부터 핸들(3)의 내부를 향하여 수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n O-ring receiving portion 22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2. An O-ring receiving portion 22 is formed between the O- (Not shown). This prevents moisture and the like from entering between the handle 3 and the roller 4 toward the inside of the handle 3. [

베이스부(331)에의 축부(2)의 매설(埋設)은, 이하의 순서에 의해 행해진다. 먼저, 베이스부(331)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컵 모양의 O링 누름부(24)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축부(2)에 O링(23) 및 O링 누름부(24)를 순차적으로 부착하고, O링(23)이 O링 누름부(24)와 O링 받이부(22)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의 축부(2)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베이스부(331)에 매설한다. 이상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지지부(31)에 축부(2)를 매설할 수 있다. The shaft portion 2 is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31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 cup-shaped O-ring pressing portion 24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portion 331 is prepared. Next, the O-ring 23 and the O-ring pushing portion 24 are sequentially attached to the shaft portion 2, and the O-ring 23 is inserted between the O-ring pushing portion 24 and the O-ring receiving portion 22 As shown in Fig. The shaft portion 2 in this state is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31 by insert molding. As described above, the shaft portion 2 can be embedded in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as shown in Fig.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331)에서의 케이스부(334)의 근방 부분에는, 통전(通電) 핀(65)이 매설되어 있다. 통전 핀(6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6)과 대전극(337)과의 사이의 전류 경로의 일부가 된다. 베이스부(331)에의 통전 핀(65)의 매설은, 축부(2)의 매설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행해진다. 먼저, 베이스부(331)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컵 모양의 O링 받이부(651) 및 판 모양의 O링 누름부(652)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통전 핀(65)에, O링 받이부(651), O링(653) 및 O링 누름부(652)를 순차적으로 부착하고, O링(653)이 O링 누름부(652)와 O링 받이부(65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의 통전 핀(65)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베이스부(331)에 매설한다. 이상에 의해, 베이스부(331)에 통전 핀(65)을 매설할 수 있다. 통전 핀(65)에 부착된 O링(653)에 의해, 후방(케이스부(334)측)으로부터 태양 전지 패널(6)측으로의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19, an energizing pin 65 is buried in the vicinity of the case 334 in the base portion 331. As shown in Fig. The energizing pin 65 becomes part of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solar cell panel 6 and the counter electrode 337 as described later. The energizing pins 65 are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31 in the same manner as the burying of the shaft portion 2 is carried out. First, a cup-shaped O-ring receiving portion 651 and a plate-shaped O-ring pressing portion 652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portion 331 are prepared. Next, the O-ring receiving portion 651, the O-ring 653, and the O-ring pressing portion 652 are sequentially attached to the energizing pin 65. When the O- And the O-ring receiving portion 651. The O- The energizing pin 65 in this state is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31 by insert molding. As a result, the energizing pin 65 can be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31. The O-ring 653 attached to the energizing pin 65 can prevent water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solar cell panel 6 side from the rear side (the case portion 334 side).

상술한 바와 같이, O링(23)이나 O링(653)을 O링 누름부(24) 등과 함께 미리 축부(2) 등에 부착하고, 다음으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베이스부(33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좁고, 뒤얽힌 구조를 가지는 부분에서도,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미리 축부(2)나 통전 핀(65)에 O링(23) 등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축부(2) 등을 고정한 후에 O링(23) 등을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O링(23) 등을 소정의 위치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해, O링(23) 등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확실히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ing 23 and the O-ring 653 are previously attached to the shaft portion 2 or the like together with the O-ring pressing portion 24 and the like, and then fixed to the base portion 331 by insert molding The waterproof property can be ensured easily and reliably even in a portion having a narrow and entangled structure. That is, by attaching the O-ring 23 or the like to the shaft 2 or the energizing pin 65 in advance, the O-ring 23 or the like is attached after the shaft portion 2 is fixed, 23) can be easily and reliab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performing the insert molding in this state, since the O-ring 23 and the like are fix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waterproofness can be surely obtained.

또, O링 누름부(24) 등에 베이스부(331)와 서로 녹을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인서트 성형할 때에, O링 누름부(24) 등과 베이스부(331)를 서로 용착(溶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O링 누름부(24) 등과 베이스부(331)와의 사이의 간극을 씰링할 수 있어,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The O-ring pressing portion 24 and the base portion 331 are weld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insert molding by using a material which can mutually melt with the base portion 331, . Thus, the gap between the O-ring pressing portion 24 and the base portion 331 can be sealed, and the waterproof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6)은, 렌즈 커버(61), 태양 전지 셀(62), 제1 셀 지지체(63) 및 제2 셀 지지체(6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렌즈 커버(61)가 베이스부(331)의 상측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 렌즈 커버(61)와 베이스부(331)와의 사이에는 패킹(611)이 끼워 지지되어 있어, 베이스부(331)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수분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서브 핸들부(33)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 롤러(4) 및 케이스부(334)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태양 전지 셀(62)의 일방의 단자(621)는, 축부(2) 및 베어링(21)을 매개로 하여 롤러(4)의 표면에 마련된 작용 전극(4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19, the solar cell panel 6 has a structure in which a lens cover 61, a solar cell 62, a first cell support 63 and a second cell support 64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lens cover 61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31. A packing 611 is held between the lens cover 61 and the base portion 331 so that the intrusion of moisture and the like from the gap between the lens cover 61 and the base portion 331 can be prevented. The solar cell panel 6,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provided on the same sub handle portion 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one terminal 621 of the solar cell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orking electrode 41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4 via the shaft portion 2 and the bearing 21.

또, 케이스부(334)의 표면에는 크롬 도금이 실시되어 있으며,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크롬 도금막으로 이루어지는 대전극(337)이 마련되어 있다. 태양 전지 셀(62)의 타방의 단자(622)는, 통전 핀(65) 및 통전 스프링(66)을 매개로 하여 대전극(33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17 and 19, a counter electrode 337 made of a chromium-plated film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portion 334. The other terminal 622 of the solar cell 6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nter electrode 337 via the energizing pin 65 and the energizing spring 66.

본 예에서는, 동일한 서브 핸들부(33)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 작용 전극(41) 및 대전극(337)이 서로 접속되어 있어, 서브 핸들부(33)마다 인체 피부를 포함하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olar cell panel 6, the working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337 provided on the same sub-handle portion 3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losed circuit including the human skin for each sub- Can be formed.

즉, 도 17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33a, 33b))는 각각 태양 전지 패널(6(6a, 6b)) 및 대전극(337(337a, 337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6), 작용 전극(41(41a, 41b)) 및 대전극(337)은, 한 쌍의 롤러(4)가 피부면(8)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 태양 전지 패널(6a)을 포함하는 고리 모양의 제1 전류 경로(i1)와, 제2 태양 전지 패널(6b)을 포함하는 고리 모양의 제2 전류 경로(i2)가 형성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7에는, 태양 전지 패널(6)의 정극(正極, +극)을 작용 전극(41)에 접속하고, 부극(負極, -극)을 대전극(337)에 접속한 예를 나타냈지만, 태양 전지 패널(6)의 정극을 대전극(337)에 접속하고, 부극을 작용 전극(41)에 접속하는 구성의 경우에도, 2개의 전류 경로(i1 및 i2)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 도 17 ~ 도 19에서 이용한 부호 중,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낸다. That is, as shown in an example in Fig. 17,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 (33a and 33b) are connected to the solar cell panels 6 (6a and 6b) and the counter electrodes 337 (337a and 337b) Have. The solar cell panel 6, the working electrodes 41 (41a and 41b) and the counter electrode 337 are arranged such that the pair of rollers 4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8, The annular first current path i1 including the panel 6a and the annular second current path i2 including the second solar cell panel 6b are formed. 1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panel 6 is connected to the working electrode 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unter electrode 337 Two current paths i1 and i2 can be formed even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panel 6 is connected to the counter electrode 337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working electrode 41. [ The oth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cidentally, among the codes used in Figs. 17 to 19,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unless otherwise described.

미용기(1)는, 작용 전극(41)을 가지는 롤러(4)를 구비한 서브 핸들부(33)에 태양 전지 패널(6)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패널(6)과 작용 전극(41) 등을 접속하는 배선이나 회로 부품 등을 연결부(34)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서브 핸들부(33)의 개폐에 따라서, 태양 전지 패널(6)과 작용 전극(41) 등을 접속하는 배선 등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접점 불량이나 배선의 단선 등의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롤러(4) 및 케이스부(334)와 인체 피부와의 접촉이 불량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서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ince the solar cell panel 6 is provided on the sub-handle portion 33 provided with the roller 4 having the working electrode 41, the beauty device 1 is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panel 6 and the working electrode 41,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wiring, circuit components, and the like in the connection portion 34 for connection. Therefore, str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wiring for connecting the solar cell panel 6 and the working electrode 41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b-handle portion 33, and troubles such as contact failure, Can be avoided. As a result, poor contact between the roller 4 and the case portion 334 and the human skin can be suppressed, and an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 한 쌍의 롤러(4)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태양 전지 패널(6), 작용 전극(41), 한 쌍의 롤러(4) 사이에 끼워진 피부면(8), 손바닥(81) 및 대전극(33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고리 모양의 전류 경로(i1 및 i2)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제1 전류 경로(i1) 및 제2 전류 경로(i2)의 각각에서의 작용 전극(41)과 피부면(8)과의 접촉 부분에 효율 좋게 미약(微弱) 전류를 흘릴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skin surface 8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the palm 81, and the skin layer 6 sandwiched between the solar cell panel 6, the working electrode 41, the pair of rollers 4, Shaped current paths i1 and i2 that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counter electrode 337 are formed.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flow a weak current 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working electrode 41 and the skin surface 8 in each of the first current path i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i2. As a result,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또, 태양 전지 패널(6)은, 서브 핸들부(33)의 각각에서의,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32)와 축부(2)를 지지하는 축지지부(3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미용기(1)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파지부(32)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태양 전지 패널(6)이 손이나 팔의 그림자에 의해 덮여지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작용 전극(41)에의 전력의 공급이 끊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미용기(1)의 취급 용이성이 보다 향상한다. 그 외,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solar cell panel 6 is provided between the grip portion 32 held by the user and the shaft support portion 31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2 in each of the sub handle portions 33. [ 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 portion 32 when using the beauty machine 1, the solar panel 6 is hardly covered by the shadow of the hand or the arm. Therefor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working electrode 41 can be made more difficult to cut off, and the ease of handling of the beauty machine 1 is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실시예 6)(Example 6)

본 예는, 한 쌍의 롤러(4)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2개의 태양 전지 패널(6(6a, 6b))이 직렬 접속되도록 구성된 미용기(1)의 예이다.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a beauty machine 1 in which two solar panels 6 (6a, 6b)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a pair of rollers 4 in contact with the skin.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미용기(1)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33a, 33b)에, 각각 태양 전지 패널(6a, 6b) 및 대전극(337a, 337b)을 가지고 있다. 일방의 서브 핸들부(33a)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a)의 정극은 롤러(4a)의 작용 전극(41a)에 접속되어 있고, 부극은 대전극(337a)에 접속되어 있다. 또, 타방의 서브 핸들부(33b)에 마련된 태양 전지 패널(6b)의 정극은 대전극(337b)에 접속되어 있고, 부극은 롤러(4b)의 작용 전극(41b)에 접속되어 있다. 그 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다. 또, 도 20에서 이용한 부호 중, 실시예 5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 5와 동일한 구성 요소 등을 표현한다. 20, the beaut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olar cell panels 6a and 6b and counter electrodes 337a and 337b on a pair of sub handle portions 33a and 33b, respectively.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panel 6a provided on one of the sub handle portions 33a is connected to the working electrode 41a of the roller 4a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ounter electrode 337a.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olar cell panel 6b provided on the other sub handle portion 33b is connected to the counter electrode 337b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working electrode 41b of the roller 4b. The others are the same as in the fifth embodiment. Incidentally, among the codes used in FIG. 20, the same symbols as those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fth embodiment unless otherwise described.

본 예의 미용기(1)는, 태양 전지 패널(6), 작용 전극(41) 및 대전극(337)이 상기와 같이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롤러(4)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2개의 태양 전지 패널(6)을 함께 포함하는 1개의 고리 모양의 전류 경로(i3)가 형성된다. 전류 경로(i3)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태양 전지 패널(6), 한 쌍의 작용 전극(41) 및 한 쌍의 대전극(337)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작용 전극(41)의 사이는, 한 쌍의 롤러(4)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피부면(8)에 의해 도통하고 있으며, 한 쌍의 대전극(337)의 사이는, 손바닥(81)에 의해 도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류 경로(i3)의 경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태양 전지 패널(6)에 의한 기전력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한 쌍의 롤러(4)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피부면(8)에, 보다 확실히, 또한, 효율 좋게 미약 전류를 흘릴 수 있어, 보다 뛰어난 미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외, 실시예 5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solar cell panel 6, the working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337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beauty machine 1 of this example.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rollers 4 are in contact with the skin, one annular current path i3 including the two solar cell panels 6 is formed. The current path i3 includes a pair of solar cell panels 6, a pair of working electrodes 41 and a pair of counter electrodes 337 as shown in Fig.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working electrodes 41 is made conductive by the skin surface 8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and between the pair of counter electrodes 337, (Not shown). Therefore, the path length of the current path i3 can be shortened, and the electromotive force by the solar cell panel 6 can be easily increased. As a result, a weak current can flow more reliably and efficiently to the skin surface 8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4, and a more excellent cosmetic effect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f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는, 작용 전극(41) 및 태양 전지 패널(6)이 서브 핸들부(33a 및 33b)의 양쪽 모두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작용 전극(41) 및 태양 전지 패널(6)은 일방의 서브 핸들부(33)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the working electrode 41 and the solar cell panel 6 are provided on both the sub-handle portions 33a and 33b. However, The battery panel 6 may be provided only on one of the sub handle portions 33. [

또,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6)을 이용하여 작용 전극(41)에 전력을 공급하는 미용기(1)의 예를 나타냈지만, 태양 전지 패널(6)을 대신하여 1차 전지나 2차 전지 등을 전력원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미용기(1)는, 필요에 따라서 전류의 크기나 극성 등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an example of the beauty device 1 that supplies power to the working electrode 41 using the solar cell panel 6 is shown. However, in place of the solar cell panel 6,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as a power source. In addition, the beauty machine 1 may have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ize and polarity of the current, if necessary.

전력원으로서 1차 전지나 2차 전지를 이용하는 경우, 서브 핸들부(33)는, 이들의 전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이들의 전지는 서브 핸들부(33)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도 괜찮다.When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is used as a power source, the sub handle portion 33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ccommodate these batteries therein. These batteries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handle portion 33.

Claims (11)

한 쌍의 축부를 가지는 핸들과,
해당 축부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해당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서로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롤러와,
해당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A handle having a pair of shafts,
A roller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and rotatably supported about an axis of the shaft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a pressing means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for returning the interval of the pair of rollers to a natural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간격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interval of the pair of rollers.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한 쌍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and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plane including the pair of axes.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대략 구체(救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oller is substantially in a salient shape.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a spring member made of metal.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축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핸들부와, 해당 한 쌍의 서브 핸들부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개폐에 따라서 신축 가능한 접속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handle has a pair of sub-handle portions for supporting the shaf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ir of sub-handle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sub-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connecting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축부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서브 핸들부에서의 서로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ir of shaft portions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provided at ends of the sub-handle portion opposite to each other.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omer.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개폐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개폐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has an opening / closing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upper limit of the opening / closing range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사이에 걸쳐진 브리지부(bridge部)를 가지는 보강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브리지부는 상기 개폐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기 한 쌍의 서브 핸들부의 변위를 억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bridge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and the bridge portion is capable of restraining displacement of the pair of sub handle portions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the hair clipper.
청구항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통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속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vered by the connecting member.
KR1020157012566A 2014-01-30 2015-01-22 Cosmetic device KR201601135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5871 2014-01-30
JP2014015871 2014-01-30
JPJP-P-2014-125326 2014-06-18
JP2014125326A JP6344992B2 (en) 2014-01-30 2014-06-18 Beauty machine
JPJP-P-2014-125328 2014-06-18
JP2014125328A JP6630032B2 (en) 2014-01-30 2014-06-18 Beauty instrument
JP2014125327A JP2015163177A (en) 2014-01-30 2014-06-18 beauty instrument
JPJP-P-2014-125327 2014-06-18
JPJP-P-2014-133451 2014-06-30
JP2014133451A JP6792932B2 (en) 2014-01-30 2014-06-30 Cosmetology device
PCT/JP2015/051646 WO2015115297A1 (en) 2014-01-30 2015-01-22 Cosmet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543A true KR20160113543A (en) 2016-09-30

Family

ID=5418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566A KR20160113543A (en) 2014-01-30 2015-01-22 Cosmetic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4) JP6630032B2 (en)
KR (1) KR20160113543A (en)
CN (1) CN106068115A (en)
TW (1) TWI65973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14A1 (en) * 2016-10-08 2018-04-12 김종호 Beaut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3730A1 (en) * 2016-05-24 2017-11-30 株式会社大木工藝 Cosmetic device
TWI599378B (en) * 2016-05-25 2017-09-21 亞星健康科技有限公司 Electromagnetic wave applying skin care apparatus for skin-lift and skin analysis and system
JP2017217427A (en) * 2016-06-02 2017-12-14 計芳 鈴木 Throat muscle training device
JP6596721B2 (en) * 2016-06-24 2019-10-30 ベス工業株式会社 Beauty roller
WO2018123176A1 (en) * 2016-12-26 2018-07-05 株式会社 Mtg Beauty device
JP6621031B2 (en) * 2017-01-12 2019-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auty equipment
JP2018191898A (en)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 Mtg Beauty instrument
JP6694188B2 (en) * 2017-10-04 2020-05-13 株式会社大木工藝 Beauty equipment
CN108261319A (en) * 2017-12-08 2018-07-10 武汉市海沁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face message hand-held device
JP6427255B1 (en) * 2017-12-13 2018-11-2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Massage tool
JP7104549B2 (en) * 2018-04-26 2022-07-21 株式会社 Mtg Cosmetology device
JP7075113B2 (en) * 2018-04-26 2022-05-25 株式会社京都プラテック Beauty Equipment
JP2019188047A (en)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 Mtg Beauty tool
JP2020010737A (en) * 2018-07-13 2020-01-23 株式会社 Mtg Beauty appliance
KR102189190B1 (en) * 2018-09-19 2020-12-10 주식회사 케이 Skin care device
JP7407514B2 (en) * 2018-12-19 2024-01-04 株式会社 Mtg Beauty device
KR102417600B1 (en) * 2019-06-13 2022-07-07 주식회사 케이 Skin care device
KR20210058182A (en)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sager
CN111870498A (en) * 2020-08-14 2020-11-03 蒙淑珍 Abdominal rectus muscle separation rehabilitation devic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JP7106167B1 (en) 2021-02-26 2022-07-26 株式会社ユニッシュ Facial ligament/facial fascia releas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327A (en) 2005-11-11 2007-05-31 Harumi Kitano Massa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156Y2 (en) * 1972-11-10 1977-05-10
JPS5232188U (en) * 1975-08-28 1977-03-07
JPS5895829U (en) * 1981-12-23 1983-06-29 小塩 二郎 shoulder massager
JPS62133625U (en) * 1986-02-17 1987-08-22
JPS62202839U (en) * 1986-06-14 1987-12-24
CN2120571U (en) * 1992-04-29 1992-11-04 董桂新 Percussion type massage device
JP2003019173A (en) * 2001-07-05 2003-01-21 Hiroyuki Fujii Massage instrument with roller
FR2891731B1 (en) * 2005-10-12 2008-10-31 Oreal MASSAGE DEVICE WITH DEFORMABLE AND / OR MOBILE BRANCHES.
JP3120948U (en) * 2006-02-10 2006-04-20 株式会社コジット Massage equipment
JP3123693U (en) * 2006-04-25 2006-07-27 株式会社マーナ Beauty massager
CN201171776Y (en) * 2008-04-04 2008-12-31 林忠生 Facial massaging device
CN201572024U (en) * 2009-11-17 2010-09-08 赵士革 Automatic massage and scrubbing device
JP2011104236A (en) * 2009-11-20 2011-06-02 Kony:Kk Massage device
TWM402099U (en) * 2010-07-20 2011-04-21 Ming-Hong Liang Structure of massage device
CN201879990U (en) * 2010-12-08 2011-06-29 陈宁 Roller massager
JP2013103086A (en) * 2011-11-16 2013-05-30 Mtg:Kk Beauty instrument
CN202437625U (en) * 2012-01-09 2012-09-19 阎阳 Finger massager
JP5937375B2 (en) * 2012-02-08 2016-06-22 株式会社 Mtg Beauty machine
CN203252885U (en) * 2013-05-21 2013-10-30 刘宝社 Portable massage instrument
JP5356625B2 (en) * 2013-06-20 2013-12-04 株式会社 Mtg Beauty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0327A (en) 2005-11-11 2007-05-31 Harumi Kitano Massag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814A1 (en) * 2016-10-08 2018-04-12 김종호 Beau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8115A (en) 2016-11-02
JP2015163176A (en) 2015-09-10
TW201542189A (en) 2015-11-16
JP2015163179A (en) 2015-09-10
JP2015163178A (en) 2015-09-10
TWI659735B (en) 2019-05-21
JP6792932B2 (en) 2020-12-02
JP6344992B2 (en) 2018-06-20
JP6630032B2 (en) 2020-01-15
JP2015163177A (en)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543A (en) Cosmetic device
TWI664962B (en) Beauty container
TWI631920B (en) Beauty container
BR112014017355B1 (en) Portable electrically powered skin care device
JP2018082778A (en) Beauty instrument
US20200383867A1 (en) Beauty device
WO2015115297A1 (en) Cosmetic device
KR20190018965A (en) Cosmetic device
JP5451189B2 (en) Beauty Equipment
CN105664355B (en) Low frequency therapeutic instrument and pad of low frequency therapeutic instrument
JP2023038329A (en) Beauty appliance
SG188030A1 (en) Flexible massager
KR101949421B1 (en) Joint apparatus for multi degree of freedom applied to robot
KR20180125862A (en) Cosmetic device
KR20130013087A (en) Portable multi function massage device
KR20180042535A (en) Device for hand massage
KR102380552B1 (en) Small Skin Beauty Equipment
CN209579540U (en) It can elastic energy storage mechanism and applied to the driving joint on exoskeleton robot
KR102287118B1 (en) A skin-care apparatus capable of galvanic and electric stimulation
JP2019187929A (en) Cosmetic device
KR100610255B1 (en) Iontophoresis device
US11213011B2 (en) Massaging tool for pets
US20150313791A1 (en) Lay-on Vibrator
JP2023120136A (en) Cosmetic mask
CN108992329A (en) A kind of mini mass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