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381A -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381A
KR20160113381A KR1020150037719A KR20150037719A KR20160113381A KR 20160113381 A KR20160113381 A KR 20160113381A KR 1020150037719 A KR1020150037719 A KR 1020150037719A KR 20150037719 A KR20150037719 A KR 20150037719A KR 20160113381 A KR20160113381 A KR 2016011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tegrated input
display device
dimensional camer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262B1 (ko
Inventor
김민규
신희숙
오창목
임정묵
정현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단 각각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과 디스플레이 표면에 인접한 영역을 인지하는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Display integrated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3D 공간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응용한 다양한 컨텐츠 역시 개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영역을 인지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형태는 디스플레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3D 인지 센서를 설치해 전체 영역에서 필요한 영역만을 잘라내 인지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5cm 이내의 인접한 영역까지 터치 센싱을 가능토록 구현한 것이다.
첫 번째 방식의 경우, 3D 인지 센서의 성능에 따라 정확하게 영역 인지를 할 수 있으나, 3D 인지 센서가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디스플레이와 3D 인지 센서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거치는 등의 추가적인 조정이 필요하여,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와의 정확한 인터랙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식의 경우, 터치 센서의 특성상 30cm 가량의 거리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3D 큐브 영역을 인지하는 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표면 및 디스플레이 표면과 인접한 공간을 동시에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단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에 인접한 영역을 인지하는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표면 및 디스플레이 표면과 인접한 공간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3은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가 인지하는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22) 및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 각각에 대하여 재구성된 공간을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표면과 이에 인접한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의 화각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22)와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가 약간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22)는 21.5인치의 화면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양 단에 각도가 고정된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가 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표면 및 이에 인접한 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양 단에 설치된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22)와 직각보다 15도 가량 뒤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표면으로부터 30cm 떨어진 높이까지 인지가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22), 연결바(200) 및 하나의 3차원 카메라 센서(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바(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22)와 3차원 카메라 센서(210)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하나의 3차원 카메라 센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모든 영역을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3차원 카메라 센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222)로부터 최대한 떨어지면, 하나의 3차원 카메라 센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모든 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은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가 인지하는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 210)는 화각이 좁기 때문에,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 210)에 인접한 모든 영역을 인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총 두 대의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가 부착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각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는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양 단 중 부착된 위치의 반대단으로부터 절반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후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는 각 3차원 카메라 센서(110, 120)가 인지한 정보를 혼합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3차원 카메라 센서(110)는 좌측 센서 인지 영역을 인지할 수 있고, 우측의 3차원 카메라 센서(120)는 우측 센서 인지 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센서 인지 영역과 우측 센서 인지 영역이 겹쳐진 영역에 대한 보정이 수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22)와 인접한 모든 영역이 인지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인접 영역으로부터 최소 30cm 떨어진 영역까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표면 및 디스플레이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영역을 모두 인지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소프트웨어 설계를 통해 해당 영역에서의 사용자 손가락 추적과, 이를 통한 제스처 인식을 하는 기능 역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22: 디스플레이 장치
110, 120, 210: 3차원 카메라 센서
200: 연결바

Claims (1)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 단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에 인접한 영역을 인지하는 두 개의 3차원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 장치.



KR1020150037719A 2015-03-18 2015-03-18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KR10213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19A KR102133262B1 (ko) 2015-03-18 2015-03-18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719A KR102133262B1 (ko) 2015-03-18 2015-03-18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381A true KR20160113381A (ko) 2016-09-29
KR102133262B1 KR102133262B1 (ko) 2020-07-14

Family

ID=5707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719A KR102133262B1 (ko) 2015-03-18 2015-03-18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6547A (zh) * 2018-08-30 2018-11-09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一种交互装置及3d计算机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003B1 (ko) * 2010-10-29 2012-04-19 (주)더게이트테크놀러지스 카메라 센서를 장착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 동작 방법
KR20130077874A (ko) * 2010-09-22 2013-07-09 시마네켄 조작입력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874A (ko) * 2010-09-22 2013-07-09 시마네켄 조작입력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101137003B1 (ko) * 2010-10-29 2012-04-19 (주)더게이트테크놀러지스 카메라 센서를 장착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6547A (zh) * 2018-08-30 2018-11-09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一种交互装置及3d计算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262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72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location
US10241616B2 (en) Calibration of sensors and projector
US9213432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15211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8305363B2 (en) Sensing system and locating method thereof
US10222913B2 (en) Device for contactless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and/or computer apparatus, and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8922526B2 (en) Touch detection apparatus and touch point detection method
US10120501B2 (en) Touch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9073363B (zh) 图像识别装置、图像识别方法以及图像识别单元
US20180232101A1 (en) Providing ground truth for touch sensing with in-display fingerprint sensor
US20110304535A1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US10884546B2 (en) Projection alignment
KR20120005903A (ko) 복합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10037107B2 (en) Optical touch device and sensing method thereof
KR20160113381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장치
US9323346B2 (en) Accurate 3D finger tracking with a single camera
US201503389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user feedback of a gesture capturing device
US20160321810A1 (en) Optical navigation sensor, electronic device with optical naviga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40055414A1 (en) Touch screen using infrared ray, and touch recognition apparatus and touch recognition method for touch screen
KR101137003B1 (ko) 카메라 센서를 장착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 동작 방법
US20150331543A1 (en) Optical touch module
KR102637527B1 (ko)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TWI419011B (zh) 觸控點之追蹤方法及追蹤系統
WO2013136380A1 (en) Digitizer apparatus
EP2985678B1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calibrating a position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