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845A -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 Google Patents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845A
KR20160112845A KR1020150039213A KR20150039213A KR20160112845A KR 20160112845 A KR20160112845 A KR 20160112845A KR 1020150039213 A KR1020150039213 A KR 1020150039213A KR 20150039213 A KR20150039213 A KR 20150039213A KR 20160112845 A KR20160112845 A KR 2016011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tocol
middleware
termi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633B1 (ko
Inventor
신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론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론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론웍스
Priority to KR102015003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미들웨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미들웨어에 등록함으로서, 향후 데이터 교환시에 등록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에서 실제 내용이 포함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만 분리하여 이를 수신측 단말기의 통신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서, 이기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기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Method of data enterchange between standrd/non-standard application protocol and Middleware with dynamic control from user-defined condition}
본 발명은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 프로토콜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 작업 또는 변환장치 추가 없이 프로토콜 맵핑만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페이로드 영역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원격지에서 교환하거나, 상/하위 제어 시스템간 또는 사물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술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중 한 예가 사물인터넷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라 함)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고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물과 해당 사물의 제어 시스템간 데이터 교환은 물론, 사물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각종 센서 장치 등을 말한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고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자유로운 사물간 및 제어 시스템과의 연결을 통하여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편의성으로 인하여 사물인터넷에 적용되는 사물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물과 제어 시스템간의 데이터교환 및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통신을 위한 규격화된 프로토콜이 존재해야 하나, 이들 프로토콜들은 단 하나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물별 또는 제조회사별로 다양하게 개발된 다수의 표준(MQTT, CoAP, TCP, UDP등) 및 응용 프로토콜들이 사용되고 신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이기종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이들을 호환시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등을 매번 개발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개발시 한번 정해진 데이터 전송 노드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의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을 이루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종 프로토콜간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881호에서는 상호 연동하려는 이종 기기들의 객체 모델을 각각 획득하고, 획득된 객체 모델들을 종합하여 공통된 공통 객체 모델을 생성한 후, 객체 모델이 획득된 각 기기마다 지원되는 프로토콜을 획득하여 획득된 프로토콜과 공통객체 모델을 매핑시켜 이기종 기기들을 상호 연동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있으나, 이러한 종래 발명은 A기종과 B기종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A기종과 B기종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응용프로토콜 인터페이스(API)개발이 우선 선행되어야 하며 그 다음 A기종의 프로토콜을 XML로 변경하고 다시 XML에서 B기종의 프로토콜로 변경하여야 하므로, 이기종 연동을 위해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할 뿐 아니라, 새로운 기종의 프로토콜과 통신을 위해서는 새로운 API를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의 이종 기기들은 상/하위 시스템으로 국한되어 있어, 사물과 사물간의 데이터교환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 노드를 자유롭게 변경 하는 데는 어려움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교환 장치에 접속할 다수 단말기들이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 및 그 구조 데이터를 사전에 기록한 후, 데이터 송수신 요청이 있을 경우 송신 측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수신 측 프로토콜로 구조 변환하되, 송신 측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만 분리하고, 분리된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를 수신 측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영역에 기록하여 전송함으로서,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추가 개발 없이 이종의 통신 프로토콜을 가진 다른 단말기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 전송에 드는 비용 및 시간이 대폭 절감되도록 하면서,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의해 능동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데이터 교환 장치에 접속할 다수 단말기들이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 정보(통신프로토콜 종류 및 그 구조)를 데이터 교환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프로토콜 등록 과정과, 임의의 송신측 단말기에서 데이터 교환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교환 장치에 구비된 미들웨어는 등록된 해당 송신측 단말기의 통신 프로토콜을 확인 및 분석하여 전송된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만 추출하는 송신 데이터 분석 과정과, 상기 미들웨어는 송신 데이터에서 추출된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의해 수신측의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 변경하여 별도의 변환장치 설치나 프로그램 개발 없이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해 정의되어 입력된 규칙에 의하여 데이터의 흐름을 1:1에서 1:N으로 변경하거나, 데이터의 전송 노드를 변경하여 자유로운 통신을 제공함은 물론 미들웨어의 스케줄러에 의해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1:1에서 1:N으로 변경한다는 의미는, 1:1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또는 사물과 수신하는 단말기 또는 사물이 각각 하나씩 존재하는 것이고 1:N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또는 사물은 하나이나 수신하는 단말기 또는 사물은 여러개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송노드를 변경하는 것은, 전송노드는 네트웍(Network) 통신을 의미하고 네트웍 통신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것이 IP주소와 메시지 프로토콜이고 IP주소의 포맷은 정의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소만 변경하면 되나 메세지 프로토콜은 하나로 정의되어 있지 않고 사물별 독자적인 메세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송 노드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IP주소변경과 메시지 프로토콜 맵핑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관리자가 정의가 필요한 메시지 프로토콜을 GUI에 의해 정의하면 시스템은 javascript로 저장하게 되고 javascript로 정의된 규칙과 단말기 또는 사물과의 관계 및 단말기 또는 사물과 제어시스템과의 관계를 정의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전송 노드 변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에서 송수신 데이터에 암호가 필요한 경우 암호화 및 복호화기술 또한 등록하여 등록된 암호화/복호화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미들웨어를 통하여 통신 프로토콜이 다른 다수의 단말기간 데이터를 교환하되, 각각 자신의 통신프로토콜로 교환할 수 있게 되므로,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개발이나 교환장치 설치가 필요하지 않아 데이터교환에 발생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떠한 프로토콜이던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종의 프로토콜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현재 사물간 데이터 교환에서 사물이 정보를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달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사물이 판단해야 할 요소를 미들웨어에서 판단하여 데이터를 필요한 사물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사물인터넷의 확장 및 기술개발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들웨어와 이기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6은 데이터 변환을 위한 미들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들웨어와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프로토콜의 수신측 프로토콜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서버에 접속되는 다수의 단말기(Client)들은 통신프로토콜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AP(The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UDP(The User Datagram Protocol)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들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기들간 데이터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프로토콜 형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에는 데이터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미들웨어가 요구되고, 상기 미들웨어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우선, 미들웨어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 교환을 하는 단말기 또는 사물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사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전송된 모든 사물제품명, 사용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 구조 등의 프로토콜 관련 데이터가 웹기반의 GUI를 통해서 입력되어 기록된다.
그리고 프로토콜 수신자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신측 데이터(A Protocol)를 수신하여, 프로토콜 분석자에서 프로토콜 파서(parser)를 진행하여 암호해독 및 메세지 프로토콜의 구조를 해독한 후,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에 의하여 가공처리할 즉, 프로토콜 변환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맵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측 프로토콜에서 수신측 프로토콜 구조로 데이터를 맵핑하여, 프로토콜 생성자에서 수신측 프로토콜에 맞도록 구조를 변환한 후, 프로토콜 전송자를 통해서 수신측 단말기(B Protocol)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프로토콜 수신자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신측 데이터(A Protocol)를 수신하여, 프로토콜 분석자에서 프로토콜 파서(parser)를 진행하여 암호해독 및 메세지 프로토콜의 구조를 해독한 후,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에 의하여 가공처리할 즉, 프로토콜 변환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에 의해 정의된 맵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측 프로토콜에서 수신측 프로토콜 구조로 데이터를 맵핑하여, 프로토콜 생성자에서 수신측 프로토콜에 맞도록 구조를 변환한 후, 프로토콜 전송자를 통해서 수신측 단말기(B Protocol)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프로토콜 분석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토콜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암호가 있는 경우 암호를 해독하고, 프로토콜을 분해/분석하여 분석된 프로토콜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스크립터 관리자에 처리를 요청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도록 한다.
상기 프로토콜 생성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와 스케쥴 관리자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신측 프로토콜 정보를 확인한 후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필요한 경우 암호화하여 프로토콜 전송자로 변환된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토콜 분석자 및 스케쥴 관리자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확인하여 조건별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등록된 맵핑 정보를 확인하여 맵핑 알고리즘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토콜 생성자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조건별 정보 데이터 생성 알고리즘과 맵핑정보 및 맵핑 알고리즘은 미들웨어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임의의 단말기를 통해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전 등록한다.
한편, 미들웨어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정보가 아니라 단순 데이터로서, 상기 단순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치를 부과하면 정보(information)가 되는데, 상기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는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정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수신측 단말(제어 시스템 포함)에 프로토콜 생성자 및 프로토콜 발신자를 통해서 제공한다.
상기에서 데이터와 정보의 예를 들면, 온도나 습도의 값을 제공하는 단말기와 특정 온도나 습도가 되면 구동되는 환풍기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온도 또는 습도의 값은 데이터가 되지만, 환풍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정된 온도와 습도 조건은 정보(information)라 표현한다.
이런 일련의 알고리즘은 관리자가 구현할 수 있도록 미들웨어가 GUI를 통하여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맵핑 알고리즘은 프로토콜 맵핑을 해주는 관리자가 설정할 알고리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역시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통해서 설정할 수 있도록 미들웨어가 GUI를 통하여 설정메뉴를 제공한다.
한편 도 2에서 스케쥴(Schedule) 관리자는 상기 미들웨어를 구성하는 모든 프로세스의 스케쥴을 관리하고, 등록 관리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웹기반의 GUI를 통한 프로토콜 데이터 외에 프로토콜 맵핑 알고리즘의 등록, 스케쥴등록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데이터 변환 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미들웨어가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이하 송신 데이터라 함)를 수신하면(S201), 미들웨어는 송신측 단말기의 정보(IP주소, 로그인 정보 등)를 확인하여 미들웨어에 상기 송신측 단말기 정보와 매칭되게 기록된 송신측 통신프로토콜을 확인하고, 해당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페이로드(Payload)부분에서 메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S202), 상기 메세지 데이터 중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내용인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추출한다(S203).
이러한 데이터 추출과정을 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 데이터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분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헤더는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의 맨앞에 위치한 보충 데이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실제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기재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형식적인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페이로드는 데이터 전송에서 실제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자체를 포함하는 메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메세지 데이터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포함되는 부가적인 check sum, STX, ETX등을 제외한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내용이 기록된 데이터 부분을 클라이언트 데이터라한다.
그리고, 미들웨어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데이터 생성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S204), 정보데이터 생성이 필요한 경우 사전 정의된 규칙에 의거하여 수신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S205)
이와 같이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정보데이터 생성이 필요 없는 경우, 미들웨어는 추출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요구하는 다른 임의의 사용자 즉, 수신측 단말기가 미들웨어에 접속된 경우(S206), 미들웨어는 수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들웨어에 기록된 수신측 통신프로토콜을 확인하고, 해당 수신측 단말기의 통신프로토콜에 맞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변환하여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이하 수신 데이터라 함)를 생성한다.(S207)
이는 도 8에서와 같이 송신측 통신프로토콜이 TCP 통신프로토콜인 경우, 송신 데이터를 수신측 UDP 통신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하여 수신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상기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UDP 통신 프로토콜의 메세지 데이터에서 해당 클라이언트 데이터 기록부분에 기록한 후 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헤더와 결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생성한 후, 해당 데이터의 전송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208), 필요로 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S209), 데이터 저장이 필요한지를 확인하여(S210), 데이터저장이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저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과정을 종료한다.(S211)
한편, 상기 송신 데이터에서 추출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는 선저장 후 수신측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측 프로토콜에 맞게끔 적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된 데이터는 관리자가 정의한 규칙에 의해서 수신측으로 전송이 되고 송신된 데이터는 로그 데이터로써 저장이 되어, 빅데이터 수집을 위해서 저장이 된다.
따라서 수신측의 요청이 없어도 송신측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수신측으로 전달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데이터에 암호화 및 복호화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및 복호화기술을 전송받아 미들웨어에 등록하고, 이후 송/수신 데이터 발생시에 해당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암호화/복호화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데 복호화된 송신 데이터로부터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이용해 수신데이터용 메세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암호화를 수행하여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에서 미들웨어는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상기에서 사용자 정의 조건은 사용자 즉 관리자가 프로토콜 맵핑을 설계한다는 것과 사물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관리자가 정의한 조건에 의해서 정보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설계를 하여 관리자가 정의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사물이나 제어시스템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관리자가 정의한 조건이 이에 해당 된다.
그리고, 동적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A라는 사물이 B라는 사물로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별도의 개발 없이 관리자가 맵핑 UI를 통해 C라는 사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실시간으로 사물들을(설비, 엑츄에이터, 센서 등) 동적 제어 하기 위해 먼저 통신이 이루어지는 사물간 제어 조건을 미들웨어에서 설계(디자인)해야 한다.
예를 들면 온도에 민감한 특수작물을 재배하는 길이 200m, 폭10m에 이르는 하우스에, 온도센서 장치가 양쪽으로 10m 간격으로 위치해 있고, 냉난방기는 하우스 처음과 끝에 위치해 있는 경우, 22~23도가 재배하는 식물이 자라는 최적의 온도이며, 하우스 전체에 고른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난방기의 송풍 방향, 세기, 바람 온도 등을 시시때때로 조작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온도센서와 냉난방기간 실시간 동적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미들웨어를 통해 조건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온도센서는 온도 값을 매초마다 미들웨어 측으로 전송한다고 가정 했을 때, 사용자는 하우스 내에 일정한 온도를 365일 유지하기 위해 각 온도 센서에서 올라오는 값을 이용해 냉난방기가 일정 온도를 하우스 전체에 고루 유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 온도센서와 냉난방기간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일차적으로 프로토콜 매핑이 이루어지고, 장치측에서 전송한 응용 프로토콜 내 페이로드 영역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사용자가 설계한 조건과 비교해보고 조건에 만족 또는 만족하지 않을 시 수행해야 하는 서브루틴(사용자 입장에서 설계된 정책을 컴퓨터가 수행 할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 단위)을 호출하고 또한 실행 및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장치(온도센서, 냉난방기)가 동작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외부 환경과 조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사물간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동적 제어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동적 제어를 위해서는 동작을 수행할 가이드가 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조건의 설정이 필요하고 관리자가 정의한 조건에 의해 능동적 제어가 진행되게 된다. 관리자가 정의하게 될 조건은 GUI를 통하여 설정하게 되고 설정한 정보는 javascript 형태로 시스템에 저장되어 능동적 제어를 위한 데이터처리에 활용된다.

Claims (3)

  1. 미들웨어에 접속할 다수 단말기들이 사용하는 통신프로토콜 데이터를 기록하는 프로토콜 등록 과정과,
    임의의 송신측 단말기에서 미들웨어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미들웨어에 등록된 해당 송신측 단말기의 프로토콜을 확인하여 전송된 데이터 중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만 추출하는 송신 데이터 분석 과정과,
    수신측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미들웨어는 수신측 단말기의 통신프로토콜을 확인하여 요청된 송신측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클라이언트 영역 데이터를 수신측 단말기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클라이언트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터 변환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데이터에 암호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암호화 및 복호화기술을 미들웨어에 등록하여, 등록된 암호화/복호화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 후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
  3. 프로토콜 수신자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송신측 데이터(A Protocol)를 수신하여, 프로토콜 분석자에서 프로토콜 파서(parser)를 진행하여 암호해독 및 메세지 프로토콜의 구조를 해독한 후, 스마트 프로세서 관리자에 의하여 가공처리할 즉, 프로토콜 변환요소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프로토콜 변환이 필요한 경우 맵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송신측 프로토콜에서 수신측 프로토콜 구조로 데이터를 맵핑하여, 프로토콜 생성자에서 수신측 프로토콜에 맞도록 구조를 변환한 후, 프로토콜 전송자를 통해서 수신측 단말기(B Protocol)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들웨어.
KR1020150039213A 2015-03-20 2015-03-20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KR101707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13A KR101707633B1 (ko) 2015-03-20 2015-03-20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13A KR101707633B1 (ko) 2015-03-20 2015-03-20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45A true KR20160112845A (ko) 2016-09-28
KR101707633B1 KR101707633B1 (ko) 2017-02-17

Family

ID=5710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213A KR101707633B1 (ko) 2015-03-20 2015-03-20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9863A (zh) * 2016-10-27 2017-03-29 北京物联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物联网网关、终端及其协议自适应方法和装置
CN106789965A (zh) * 2016-12-05 2017-05-31 华北计算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五研究所) 一种物联网数据交换方法及系统
CN114553980A (zh) * 2021-12-31 2022-05-27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控制流与数据流解耦的消息服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419A (ko) * 1999-08-11 2001-03-05 장병우 감시 및 보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02624A (ko) * 2002-06-18 2004-01-07 (주)마하넷 실시간 미들웨어 구성을 위한 멀티 프로토콜 연동 장치 및그 방법
KR20060020851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컴퓨팅을 위한 다수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미들웨어 장치 및 방법
KR100714708B1 (ko) * 2006-01-1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간 호환성을 지원하는 미들웨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419A (ko) * 1999-08-11 2001-03-05 장병우 감시 및 보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02624A (ko) * 2002-06-18 2004-01-07 (주)마하넷 실시간 미들웨어 구성을 위한 멀티 프로토콜 연동 장치 및그 방법
KR20060020851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컴퓨팅을 위한 다수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미들웨어 장치 및 방법
KR100714708B1 (ko) * 2006-01-1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간 호환성을 지원하는 미들웨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9863A (zh) * 2016-10-27 2017-03-29 北京物联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物联网网关、终端及其协议自适应方法和装置
CN106549863B (zh) * 2016-10-27 2019-06-21 北京物联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物联网网关、终端及其协议自适应方法和装置
CN106789965A (zh) * 2016-12-05 2017-05-31 华北计算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五研究所) 一种物联网数据交换方法及系统
CN114553980A (zh) * 2021-12-31 2022-05-27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控制流与数据流解耦的消息服务方法
CN114553980B (zh) * 2021-12-31 2023-11-10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一种控制流与数据流解耦的消息服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33B1 (ko)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623B2 (en) Securing devices to process control systems
US10904340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on network
US8769106B2 (en) Universal configurable device gateway
KR101871512B1 (ko) 자가 설치 m2m 플랫폼 장치 및 m2m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770553A (zh) 物联网设备接入系统、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80007173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otocol Parsing in a Cloud
WO2020233049A1 (zh) 区块链系统的数据授权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373702B (zh) 用于现场总线网络与云之间的数据交换的接口装置
KR101707633B1 (ko) 표준/비표준 응용 프로토콜간 데이터 교환 방법과 사용자 정의 조건에 따른 동적제어 가능한 미들웨어 장치
KR20160133615A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사물기기 제어 시스템과 가상화 사물 서버에서 실행되는 사물기기 제어방법
KR102028664B1 (ko)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정보 전송장치
KR100978141B1 (ko) 유선 및 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Toutsop et al. A comparative analyses of current IoT middleware platforms
CN111352602A (zh) 一种led屏幕的控制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094041B1 (ko) IoT 단말 간 실시간으로 자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RDF 그래프 기반의 Semantic 엔진을 구비한 시스템
CN105323128A (zh) 前端设备接入服务器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523235B (zh) 一种自适应支持多监控设备的方法
CN113557707A (zh) 设备注册机制
Hoefling et al. jOSEF: A Java-Based Open-Source Smart Meter Gateway Experimentation Framework
Ghobakhlou et al. A service oriented wireless sensor node management system
KR101834632B1 (ko) 이동체 정보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체 정보 보안 방법
KR102000199B1 (ko) 사물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장치
Robu et al. Social Networking of Instrumentation--a Case Study in Telematics
CN105378643A (zh) 虚拟打印机接口节点
US11503134B2 (en) Electronic device subscri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