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671A - Easy air inflatable - Google Patents

Easy air infla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671A
KR20160112671A KR1020150038816A KR20150038816A KR20160112671A KR 20160112671 A KR20160112671 A KR 20160112671A KR 1020150038816 A KR1020150038816 A KR 1020150038816A KR 20150038816 A KR20150038816 A KR 20150038816A KR 20160112671 A KR20160112671 A KR 2016011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inflator
air inlet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박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희 filed Critical 박철희
Priority to KR102015003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671A/en
Publication of KR2016011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6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2Inflatable or partly inflatable
    • B63B35/73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B2035/7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An inflating material for facilitating the inflation thereof is disclosed. The inflating material for facilitating the infl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simply, and rapidly inflated even if the inflating material is large.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separate inflation spaces formed in the inflating material, the air automatically flows into the inflating material, and the inflating material is rapidly inflated.

Description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Easy air inflatab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inflating type inflator,

본 발명은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물놀이 튜브, 에어매트, 침대 또는 소파 등의 다양한 형태로 팽창시켜 사용하는 공기주입식 팽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빠르고, 간편하게 팽창시켜 사용할 수 있는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type inflatable body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inflatable type, To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which is easy to inflate.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성형되고,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물놀이 튜브, 캠핑용 에어매트 또는 박람회나 전시회와 같은 행사에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로 팽창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The inflatable inflatable body is formed of a thin synthetic resin film and inflated 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inside of the inflatable body, thereby expanding the inflatable tube into a variety of shapes used for events such as a watering tube, a camping air mat, or an exhibition or an exhibition.

이러한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휴대,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고, 현장에서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팽창체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팽창되므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n inflatable inflatable material is convenient to carry, store and store because it is small in volume and light in the state that compressed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inflatable inflatable material.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 the field, compressed air is charged into the inflatable material An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크기가 작은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간단하게 사람의 입으로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팽창시킬 수 있는 반면에, 크기가 큰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에어 펌프를 사용하여 내부에 공기를 주입한다 하더라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The inflated inflatable body having a small size can be inflated by blow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with a simple mouth, whereas the inflated inflated body having a large size can be inflated with air There is a problem.

특히, 높이가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할 때 사용하는 인명구조용 에어매트는 현장에서 긴급하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인명구조용 에어매트는 크기가 매우 커서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설치할 때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Especially, the rescue air mats that are used to rescue people who fall from high places should be installed urgently in the field. The rescue air mats are very large in size, There is a problem.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63100호, "물놀이용 구형 공기튜브"Literature 1. 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o. 10-0963100, "Spherical air tube for watering"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848227호, "물놀이 기구"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8227, "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747호, "육상 및 수상 레저 스포츠용 놀이기구"Document 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0747, "Land and Water Sports Equipment for Leisure Spor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간편하고 빠르게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이 용이한 공기 주입식 팽창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latable inflatable that can be easily and rapidly inflated with ea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팽창이 용이한 공기 주입식 팽창체는 구, 도넛, 패널, 소파 형태 등으로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와, 관 형태로 내부에 밀폐된 제1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된 에어폴과, 팽창체의 외부와 에어폴 내부의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1 공기주입구와, 팽창체 외부와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도록 개폐수단을 구비한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 공기주입구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폴 내부의 제1 팽창공간으로 주입되어 제1 팽창공간이 팽창하면서 개방된 제2 공기주입구로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으로 자동 유입되고, 에어폴의 팽창이 완료된 후 제1 공기주입구를 닫고 제2 공기주입구에 약간의 압축공기를 더 주입하여 팽창체가 탱탱하게 팽창되도록 한 후 제2 공기주입구를 닫으면 팽창체의 공기주입이 빠르게 완료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which is easy to inflate, comprising: a casing formed in a shape previously designed to have a second inflated space therein, such as a sphere, a donut, A first air inflow hole formed i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nd having a first inflated space sealed inside thereof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first inflated space inside the air pole, And a second air in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inflation space, so that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 inlet,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first The outside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by the second air inlet opening which is expanded while the first expansion space expands, and after the expansion of the air pole is completed, the first air inlet And the compressed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injection port to inflate the inflator in a stable manner, and then closing the second air inlet closes the air injection of the inflator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구, 도넛, 패널, 소파 형태 등으로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와, 상기 제2 팽창공간을 가로질러 양 측단이 외피의 내면에 체결된 소정 개수의 에어폴과, 다른 에어폴의 내부의 팽창공간과 연통되도록 에어폴 내부에 형성된 제1 팽창공간과,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기주입구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inflatable inflatab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lated. The inflatable inflatable body is formed in a shape preliminarily designed to have a second inflatable space therein such as a sphere, a donut, a panel, a sofa form, A first inf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air po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flated space inside the other air pockets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flator, And a second air inlet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with the second inflated space by having a first air inlet communicating the expansion space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구, 도넛, 패널, 소파 형태 등으로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피와,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형성된 제1 팽창공간과, 소정 간격마다 상기 내피와 외피를 체결하는 연결부와,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기주입구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Further, the inflatable inflatab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lated. The inflatable inflatable body has a shape that is previously designed to have a second inflated space therein such as a sphere, a donut, a panel, a sofa form, A first infl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kin, a connect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hel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 closing the first inflated space, And a second air inlet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space.

이때, 상기 에어폴은 그물망 또는 격자 형태로 외피의 외면 또는 내면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어폴이 팽창하면서 에어폴이 팽창체를 빠르게 미리 성형된 형태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awl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in the form of a net or a lattice, so that the air pawl can be expanded so that the air pawl can quickly expand the inflator in a preformed form.

또는, 상기 에어폴을 팽창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팽창하는 에어폴이 팽창체를 빠르게 미리 성형된 형태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ole expanding by forming the air pole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inflator is capable of rapidly expanding the inflator in a preformed form.

이때, 상기 연결부는 외피의 내면과 내피의 외면을 서로 접착하여 형성하거나, 짧은 섬유의 양측에 각각 외피의 내면과 내피의 외면을 체결하여 형성하거나, 격막의 양측에 각각 외피의 내면과 내피의 외면을 체결하여 형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외피와 내피 사이에 팽창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bo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o each other, or by faste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to both sides of the short fiber, The expansion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또한, 상기 팽창체의 내부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제2 팽창공간을 분할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팽창체가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is formed in the inflatable body so as to divide the second inflatable space so that the inflatable body can be expanded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 격벽에는 구멍 형태의 공기유통공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격벽의 공기유통공을 통해 팽창체 내부에서 압축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is constructed so as to have an air flow hole in the form of a hole so that the compressed air smoothly flows inside the inflator through the air flow hole of the partition.

또한, 상기 팽창체의 외면 일부분에는 팽창공간이 없는 베이스패널을 구성함으로써 제1 팽창공간을 최소화하여 팽창체가 빠르게 부풀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anel having no expansion space is formed i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atable body, so that the inflatable body can be inflated quickly by minimizing the first inflatable spa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팽창체의 제1 팽창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제1 팽창공간이 부풀면서 팽창체 내부의 제2 팽창공간으로 공기가 저절로 유입되어 팽창체가 미리 성형된 형태로 빠르게 부풀기 때문에 간편하고 빠르게 팽창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expansion space of the inflator, the first inflated space swells and air flows into the second inflated space in the inflator internally. As a result, It can be expanded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에어매트로 사용할 때 제1 팽창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매트를 빠르게 팽창시키고, 제2 공기주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에어매트로 추락시 에어매트 내부의 공기가 적절히 배출되도록 하며 추락한 사람을 튕겨내지 않고 부드럽게 충격을 완충시킨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apidly expanding an air mat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a first expansion space when the air mat is used as a life structure air mat, It does not bounce the person who crashed but smoothly shocks the shock.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형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형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폴이 외피의 외면에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폴이 외피의 외면에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도넛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도넛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일면에 베이스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일면에 베이스 패널이 설치된 상태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구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herical air injection inf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pherical air injection infl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hexahedral inflatable infla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flated inflator in the form of a hexahedron in which an air p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shell;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ir inflating inflator in the form of a hexahedr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airf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hexahedral air inflatable inflat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nut-shaped inflatable inflatable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donut-shaped inflatable inflat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hexahedral air inflatable inflat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a hexahedron type inflatable inflat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se panel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a hexahedron-shaped air inflatable type inflat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base panel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a hexahedron-shaped air inflatable type infla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herical air inflating inflatab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제1 팽창공간'은 팽창체의 작은 부피를 차지하면서 상기 제1 팽창공간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팽창체의 구조물 역할을 하여 팽창체를 설계된 형태로 팽창시키는 수단을 지칭하고, '제1 공기주입구'는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수단을 지칭하며, '제2 팽창공간'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팽창체의 부피를 차지하면서 상기 제1 팽창공간이 팽창될 때 연동하며 부풀려지는 팽창체 내부공간을 지칭하고, '제2 공기주입구'는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수단을 지칭한다.Hereinafter, the 'first expansion space' refers to means for expanding the inflatable body into a designed form by acting as a structure of the inflatable body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inflatable space while occupying a small volume of the inflatable body, The 'first air inlet' refers to a means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with the first inflated space,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occupies the volume of the other inflator except for the first inflated space, Refers to an internal space of the inflator that is inflated when the space expands, and the 'second air inlet' refers to a means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본 발명에 의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합성수지 필름을 외피로 하여 구(sphere), 도넛(donut), 육면체, 패널 또는 다양한 형태로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 내면 또는 외면에 제1 팽창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팽창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주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팽창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공기주입구를 형성하여 구성된다.The inflatable inflatabl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lated by forming a synthetic resin film as a sheath to form a sphere, a donut, a hexahedron, a panel or a body in various forms, A first air inlet for injecting air into the first expansion space is formed and a second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제1 공기주입구에 입 또는 에어 펌프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면 제1 팽창공간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면서 제1 팽창공간이 팽창하게 되고 개방된 제2 공기주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 내부로 자동 유입되면서 팽창체가 부푼다. When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 inlet of the inflated inflat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inflated space and the first inflated space expands,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through the air inlet, and the inflator is inflated.

제1 팽창공간의 팽창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공기주입구를 폐쇄하고, 제2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더 주입하여 제2 팽창공간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면서 공기주입식 팽창체가 탱탱하게 부풀고, 제2 공기주입구를 폐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팽창체의 팽창이 완료된다.
After the expansion of the first expansion space is completed, the first air inlet is closed, the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inlet,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The expansion of the inflatable infla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flatable infla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1st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기주입식 팽창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팽창공간(118)을 구비하도록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의 외피(111)를 구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외피(111)에는 팽창체(110)의 외부와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115)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flatable inflatable element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n outer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shell 111 so as to have a second inflated space 118 therein And a second air inlet 115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10 with the second inflated space is formed in the outer shell 111.

그리고 얇은 합성수지 필름을 소재로 관 형태로 성형되어 내부에 제1 팽창공간(113)이 구비된 에어폴(112)을 상기 외피(111)의 내면과 접하도록 공기주입식 팽창체(110)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팽창공간(113)과 공기주입식 팽창체(110) 외부가 연통되도록 제1 공기주입구(114)를 형성한다.An air pole 112 having a first expansion space 113 formed therei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with a thin synthetic resin film as a material and is formed inside the air injection inflator 110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1 And a first air inlet 114 is formed so that the first inflation space 113 and the outside of the inflatable envelope 1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공기주입식 팽창체(11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14)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관 형태의 에어폴(11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13)에 충전되면서 에어폴(112)을 팽창시켜 에어폴(112)이 외피(111) 내부에서 기둥 형태로 부푼다.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14 in a state in which the inflatable inflatable member 110 is folded, the compressed air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air- The airfoil 112 is inflated while being filled in the first expansion space 113 so that the airfoil 112 bulges in the form of a column inside the shell 111.

상기와 같이 상기 에어폴(112)이 외피(111) 내부에서 기둥 형태로 팽창하면서 에어폴(112)이 구조물 역할을 하여 외피(111)가 대략적인 구(sphere) 형태로 펼쳐지면서, 외피(111) 내부의 제2 팽창공간(118)에 음압이 발생하고, 제2 공기주입구(11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118)으로 자동 유입되면서 외피(111)가 구(sphere) 형태로 부풀려진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ole 112 expands in the form of a column inside the enclosure 111, so that the air pole 112 serves as a structure and the enclosure 111 spreads in a rough sphere shap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econd inflation space 118 inside the first inflation space 118 and external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18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15 so that the envelope 111 forms a sphere .

에어폴(112)이 완전히 팽창하면 개폐수단으로 제1 공기주입구(114)를 막고, 제2 공기주입구(115)로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충전하여 제2 팽창공간(118)을 탱탱하게 부풀린 후, 개폐수단으로 제2 공기주입구(115)를 막으면 팽창체(110)에 공기를 충전하는 작업이 완료된다.When the air pole 112 is fully inflated, the first air inlet 114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second air inlet 115 is further filled with a little compressed air to inflate the second inflated space 118 Thereafter, when the second air inlet 115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ans, the operation of filling the inflator 110 with air is completed.

즉, 에어폴(11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13)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에어폴(112)이 부풀면서 자동으로 제2 팽창공간(118)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체(100)가 대략적인 구 형태로 부풀고, 제2 팽창공간(118)으로 약간의 압축 공기를 더 주입하면 제2 팽창공간(118)이 완전히 탱탱하게 부풀어 팽창체(110) 내부 공기 충전작업이 완료된다.That is, when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expansion space 113 inside the air pillar 112, the air pillar 112 swells and air automatically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118, The second inflation space 118 is fully inflated and the air filling operation of the inside of the inflator 110 is complet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 형태의 에어폴(112)은 외피(111) 내부에서 팽창하며 팽창체(110)의 대략적인 형태를 잡는 구조물 역할의 수단으로서, 관 형태의 에어폴(112)이 팽창하면서 효과적으로 형태를 잡도록 에어폴(112)이 외피(111) 내면에서 그물망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ubular air pole 112 expands inside the envelope 111 and serves as a structure for approximating the shape of the inflator 110. As the air pole 112 in the form of a tube expand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ir pawl 112 to be in the form of a n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111 so as to effectively take shape.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에어폴(112)이 외피(111)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에어폴(112)을 외피(111)의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air pole 1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1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ir pole 1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1.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육면체 형태의 팽창체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폴이 외면에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에어폴이 외면에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flating-type inflator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flating infl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flated inflatabl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having an airf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air inflated inflatable of a hexahedr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air p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팽창체(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팽창공간(128)을 구비하도록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의 외피(121)가 육면체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외피(121)에는 팽창체(120)의 외부와 제2 팽창공간(128)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125)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nflator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thin synthetic resin film envelope 121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so as to have a second inflation space 128 therein. And a second air inlet 125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20 with the second inflation space 128 is formed in the outer shell 121.

그리고 내부에 제1 팽창공간(123)이 형성된 관 형태의 에어폴(122)이 상기 외피(121)의 내면과 접하도록 팽창체(120)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팽창공간(123)과 팽창체(120)의 외부가 연통되도록 제1 공기주입구(124)가 형성된다.A tubular air pole 122 having a first inflation space 123 formed therein is formed inside the inflator 120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21, A first air inlet 124 is formed so that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ir inlet 12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팽창체(12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24)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관 형태의 에어폴(12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23)에 충전되면서 에어폴(122)을 팽창시켜 에어폴(122)이 팽창체(120) 내부에서 기둥 형태로 팽창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24 in a state where the inflator 120 is folded,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22 The air pole 122 is expanded while being filled in the expansion space 123 so that the air pole 122 expands into a column shape inside the expansion body 120.

상기와 같이 에어폴(122)이 팽창체(120) 내부에서 기둥 형태로 팽창하면서 에어폴(122)이 구조물 역할을 하여 외피(121)가 대략적인 육면체 형태로 펼쳐지면서 팽창체(120)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고, 개방된 제2 공기주입구(12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128)으로 자동 유입되면서 외피(121)가 육면체 형태로 팽창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ole 122 expands in the form of a column in the interior of the inflator 120, and the air pillar 122 serves as a structure, so that the enclosure 121 spreads in the form of a roughly hexahedro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nd external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28 through the opened second air inlet 125, so that the envelope 121 expands in a hexahedron form.

에어폴(122)이 완전히 팽창하면 개폐수단으로 제1 공기주입구(124)를 막아 제1 팽창공간(123)을 폐쇄하고, 제2 공기주입구(125)를 통해 제2 팽창공간(128)으로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충전하여 제2 팽창공간(128)을 탱탱하게 부풀린 후, 개폐수단으로 제2 공기주입구(125)를 막아 제2 팽창공간(128)을 밀폐시키면 팽창체(120)에 공기를 충전하는 작업이 완료된다.When the air pole 122 is fully inflated, the first air inlet 124 i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lose the first inflation space 123 and the second air inlet 125 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28 And then the second inflation space 128 is closed by closing the second air inlet 125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so that the inflator 120 is filled with air Is completed.

즉, 에어폴(122) 내부 제1 팽창공간(123)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에어폴(122)이 부풀면서 자동으로 제2 팽창공간(128)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체(120)가 대략적인 육면체 형태로 부풀고, 마지막으로 제2 팽창공간(128)으로 약간의 압축공기를 더 주입하면 팽창체(120)가 완전히 탱탱하게 부풀어 팽창체(120) 내부 공기 충전작업이 완료된다.That is, if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expansion space 123 of the air pole 122, the air pole 122 swells and air automatically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128, Finally, when a small amount of compressed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128, the inflator 120 is fully inflated to complete the air filling operation of the inside of the inflator 1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 형태의 에어폴(122)은 팽창하면서 팽창체(120)의 대략적인 형태를 잡는 구조물 역할의 수단으로서, 관 형태의 에어폴(122)이 팽창하면서 효과적으로 팽창체(120)의 형태를 잡도록 에어폴(122)이 그물망 또는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ubular air pawl 122 is a means of a structure for approximating the shape of the inflator 120 while expanding. As the tubular air pawl 122 expands and effectively inflates the inflato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awls 122 are formed in a mesh or lattice form.

그리고 에어폴(122)이 외피(121)의 내면에 접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폴(122)이 외피(121)의 외면에 드러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5 and 6, the air pawl 122 may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21.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제3 Thir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공기주입식 팽창체(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로 내부에 제2 팽창공간(138)이 구비되도록 육면체 형태의 외피(131)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131)에는 상기 제2 팽창공간(138)과 팽창체(130) 외부가 연통되도록 제2 공기주입구(135)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inflatable inflatable 1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hin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and has a hexahedron-like envelope And a second air inlet 135 is formed in the outer shell 131 so that the second inflation space 138 and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팽창체(130)의 내부에는 도 8과 같이 내부에 제1 팽창공간(133)이 구비된 관 형태의 에어폴(132)이 제2 팽창공간(138)을 가로질러 에어폴(132)의 양 측단이 외피(131)의 내면에 체결됨으로써 에어폴(13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33)이 밀폐되도록 에어폴(132)이 설치된다.8, a tube-shaped air pole 132 having a first inflation space 133 inside the inflator 130 is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air pole 132 across the second inflation space 138, The air pockets 132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expansion chambers 133 inside the air pockets 132 are closed by fastening the both e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131.

이때, 상기 에어폴(132)은 팽창체(130) 내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외피(131)의 내면에 체결되고, 각각의 에어폴(13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33)은 팽창체(130)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도 8과 같이 팽창체(130)의 외부와 어느 한 에어폴(132)의 내부 제1 팽창공간(133)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공기주입구(134)가 형성된다.The airfoil 132 extends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inflator 130 and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31. The first inflation space 133 inside each airfoil 132 is connected to an inflator And the first air inlet 134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inflator 132 and the first internal inflated space 133 of the air port 132 as shown in FIG.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팽창체(13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34)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에어폴(132) 내부의 제1 팽창공간(133)에 충전되면서 에어폴(132)을 팽창시켜서 팽창체(130) 내부에서 기둥 형태로 팽창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34 in a state in which the inflator 130 is folded,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first inflated space 133, the air pole 132 is inflated and expanded in the form of a column inside the inflator 130.

에어폴(132)이 기둥 형태로 팽창하면 팽창한 에어폴(132)이 구조물 역할을 하여 외피(131)가 육면체 형태로 펼쳐지면서 제2 팽창공간(138)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고, 제2 공기주입구(13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138) 내부로 자동 유입되면서 팽창체(130)가 육면체 형태로 부풀려진다.When the airfoil 132 expands in the form of a column, the expanded airfoil 132 functions as a structure, and the envelope 131 expands in a hexahedron shape, so that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second expansion space 138, The outside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38 through the injection port 135, and the inflator 130 is inflated in a hexahedron shape.

에어폴(132)이 완전히 팽창하면 개폐수단으로 제1 공기주입구(134)를 막아 제1 팽창공간(133)을 밀폐하고, 제2 공기주입구(135)로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충전하여 제2 팽창공간(138)을 탱탱하게 부풀린 후, 개폐수단으로 제2 공기주입구(135)를 막아 제2 팽창공간(138)을 밀폐함으로써 팽창체(130)에 공기를 충전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When the air pole 132 is fully inflated, the first air inlet 134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ans to seal the first inflation space 133, and the second air inlet 135 is further filled with a little compressed air, The second inflation space 138 is closed by closing the second air inlet 135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operation of filling the inflator 130 with air is completed.

제4 Fourth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넛 형태의 팽창체로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도넛 형태의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도넛 형태의 팽창체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nut-shaped infl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l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nut-shaped expandable body sec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팽창체(1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팽창공간(148)이 형성되도록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의 외피(141)가 도넛(donut)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외피(141)의 내부로 외피(141)와 소정 간격을 띄어 내피(142)를 형성함으로써 외피(141)와 내피(142) 사이에 압축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제1 팽창공간(14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inflator 140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n synthetic resin film envelope 141 so as to form a second inflated space 148 therein, and the inner skin 14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skin 141 inside the outer skin 141 so that the compressed air can be filled between the outer skin 141 and the inner skin 142. [ 1 expansion space 143 is formed.

그리고 도 10과 같이 제1 팽창공간(143)에는 소정 간격마다 외피(141)와 내피(142)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연결부(144)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44)는 초음파 열 융착 또는 핫 에어 웰딩 등의 여러 방법으로 외피(141)의 일부분과 내피(142)의 일부분을 체결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0, the connection portion 144 is formed in the first expansion space 143 so that the outer skin 141 and the inner skin 142 are fasten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onnection part 144 is formed by fastening a part of the outer skin 141 and a part of the inner skin 142 by various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or hot air welding.

상기 외피(141)에는 팽창체(140)의 외부와 제2 팽창공간(148)을 연통하는 제2 공기주입구(146)가 형성되고, 팽창체(140)의 외부와 제1 팽창공간(143)을 연통하는 제1 공기주입구(145)가 형성된다.A second air inlet 146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40 and the second inflating space 148 is formed in the outer envelope 141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inflating space 143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40, A first air inlet 14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inlet 145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팽창체(14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45) 및 제2 공기주입구(146)의 개폐수단인 마개(147)를 열어 개방하고, 제1 공기주입구(145)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외피(141)와 내피(142) 사이의 제1 팽창공간(143)에 충전되면서 팽창공간(143)이 팽창하여 외피(141)와 내피(142) 사이의 제1 팽창공간(143)이 도넛 형태로 부푼다.In the folded state of the inflato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air inlet 145 and the second air inlet 146 are opened and closed and the first air inlet 145 The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first inflation space 143 between the outer shell 141 and the inner skin 142 to cause the inflation space 143 to expand and the air between the outer shell 141 and the inner skin 142 The first inflation space 143 of the first inflator 140 bulges in the form of a donut.

제 1팽창공간(143)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팽창하면서 팽창공간(143) 내부에 가장 많은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해 외피(141)와 내피(142) 사이의 공간인 제1 팽창공간(143)이 도넛 형태로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제2 팽창공간(148)에 음압이 작용하면서 제2 공기주입구(14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148)으로 유입되며, 제1 팽창공간(143)의 팽창이 끝난 후 개폐수단인 마개(147)로 제1 공기주입구(145)를 막은 후 제2 공기주입구(146)에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더 주입하여 제2 팽창공간(148)을 탱탱하게 팽창시킨 후 개폐수단인 마개(147)로 제2 공기주입구(146)를 막아 제2 팽창공간(148)을 밀폐함으로써 팽창체(140)의 팽창이 완료된다.
The first inflation space 143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outer envelope 141 and the inner envelope 142 is filled with compressed air in the first inflation space 143 and expanded to store the most compressed air inside the inflation space 143, The external air flows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148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46 while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second expansion space 148 in this process, The first air inlet 145 is closed with the stopper 147 serving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fter the expansion of the first expansion chamber 143 and then a little compressed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inlet 146 to form the second expansion space 148 The expansion of the inflator 140 is completed by sealing the second inflation space 148 by closing the second air inlet 146 with the stopper 147 serving as opening / closing means.

제5 Fifth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육면체 형태의 팽창체로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팽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팽창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육면체 형태의 팽창체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lator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formed inside an inflator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팽창체(1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의 외피(151)가 내부에 제2 팽창공간(158)이 형성되도록 육면체 형태로 성형되고, 상기 외피(151)의 내부로 외피(151)와 소정 간격을 띄어 내피(152)를 형성함으로써 외피(151)와 내피(152) 사이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 1팽창공간(153)이 형성된다.11 and 12, in the inflator 15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151 of the thin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such that a second inflated space 158 is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by filling compressed air between the outer skin 151 and the inner skin 152 by forming an inner skin 152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kin 151 inside the outer skin 151, (153) are formed.

그리고 도 12와 같이 제1 팽창공간(153)에는 소정 간격마다 외피(151)와 내피(152)가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연결부(154)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54)는 초음파 열 융착 또는 핫 에어 웰딩 등의 여러 방법으로 체결하여 형성한다.12, a connecting portion 154 is formed in the first expansion space 153 so that the outer skin 151 and the inner skin 152 are fasten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onnection part 154 is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or hot air welding.

상기 외피(151)에는 팽창체(150)의 외부와 내피(152)의 내부 공간인 제2 팽창공간(158)을 연통하는 제2 공기주입구(156)가 형성되고, 팽창체(150)의 외부와 제1 팽창공간(153)을 연통하는 제1 공기주입구(155)가 형성된다.A second air inlet 156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50 with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8 which is an internal space of the inner skin 152 is formed in the outer envelope 151, A first air inlet 155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xpansion space 153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팽창체(15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55) 및 제2 공기주입구(156)의 개폐수단인 마개(157)를 열어 개방하고, 제1 공기주입구(155)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외피(151)와 내피(152) 사이의 제1 팽창공간(153)에 충전되면서 팽창공간(153)이 팽창하여 제1 팽창공간(153)이 육면체 형태로 부푼다.In the folded state of the inflato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air inlet 155 and the second air inlet 156 are opened and closed and the first air inlet 155 The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first inflation space 153 between the outer shell 151 and the inner skin 152 so that the inflation space 153 expands and the first inflation space 153 becomes a hexahedron shape .

제1 팽창공간(153)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팽창하면서 팽창공간(153) 내부에 가장 많은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해 제1 팽창공간(153)이 육면체 형태로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제2 팽창공간(158)에 음압이 작용하면서 제2 공기주입구(15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으로 유입되며, 제1 팽창공간(153)의 팽창이 끝난 후 개폐수단인 마개(157)로 제1 공기주입구(155)를 막아 제1 팽창공간(153)을 밀폐하고, 제2 공기주입구(156)에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더 주입하여 제2 팽창공간을 탱탱하게 팽창시킨 후 개폐수단인 마개(157)로 제2 공기주입구(156)를 막아 밀폐함으로써 팽창체(150)의 팽창이 완료된다.The first inflation space 153 expands in a hexahedron form to store the most compressed air in the inflated space 153 while the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first inflated space 153 and inflates,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56 whil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pace 158. After the expansion of the first expansion space 153 is completed, The first inflation space 155 is closed to seal the first inflation space 153 and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6 is further inflated by further injecting a small amount of compressed air into the second air inlet 156, The expansion of the inflator 150 is completed by closing and sealing the second air inlet 156 with the stopper 157.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공기주입식 팽창체(150)를 육면체로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는데, 팽창체(150) 내부에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육면체 뿐만 아니라 땅콩 형태를 비롯하여 오리, 배, 용, 나뭇잎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제조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inflatable inflatable member 150 is formed as a hexahedron. However, by providing a partition wall inside the inflatable member 150, not only a hexahedron but also a peanut form, An inflatable inflatable bod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식 팽창체(150)의 내부에 제2 팽창공간(158)이 분할되도록 공기유통공(159a)이 구비된 격벽(159)을 설치한다.As shown in FIG. 13, a partition wall 159 having an air flow hole 159a is installed in the inflatable inflatable element 150 so that the second inflated space 158 is divided.

상기 격벽(159)은 얇은 두 장의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는 팽창공간을 형성하되, 얇은 두 장의 필름은 다수의 연결부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격벽(159)의 팽창공간은 내피(152)와 외피(151) 사이의 제1 팽창공간(153)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partition wall 159 separates two thin film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expansion space filled with compressed air therein. The two thin films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The spa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expansion space 153 between the inner skin 152 and the outer skin 151.

상기와 같이 내부에 격벽(159)이 형성된 팽창체(150)의 제1 공기주입구(155)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제1 팽창공간(153) 및 내부 격벽(159)의 팽창공간이 팽창하면서 제2 공기주입구(156)를 통해 팽창체(150) 내부의 제2 팽창공간(158)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격벽(159)의 공기유통공(159a)을 통해 공기가 제2 팽창공간(158)에 고르게 공급되면서 팽창체(150)가 균일하게 팽창된다.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55 of the inflator 150 having the partition 159 formed therein as described above, the inflated space of the first inflated space 153 and the internal partition 159 expands, 2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8 inside the inflator 150 through the air inlet 156 and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hole 159a of the partition 159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8, The inflator 150 is uniformly inflated.

그리고 제2 공기주입구를 통해 제2 팽창공간에 추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팽창체(150)는 최대량의 공기를 저장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육면체의 면이 둥글게 부풀기 때문에 정확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기 힘들다. 도 13과 같이 팽창체(150) 내부에 설치된 격벽(159)이 육면체 면이 둥글게 부푸는 것을 잡아 고정함으로써 팽창체(150)가 정확한 육면체 형태에 가깝게 팽창되도록 한다.Further, when the compressed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expansion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the inflator 150 is difficult to achieve an accurate hexahedral shape because the surface of the hexahedron is rounded due to the property of storing the maximum amount of air . As shown in FIG. 13, the partition wall 159 provided inside the inflator 150 holds and fixes the rounded surface of the hexahedron so that the inflator 150 is inflated close to the accurate hexahedron shape.

도 13에서 격벽(159)이 제2 팽창공간(158)을 각각 밀폐되도록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격벽(159) 너머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통공(159a)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공기유통공(159a) 없이 격벽(159)의 일부 테두리부분이 개방되도록 설치하여 격벽(159)의 개방된 곳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13, the partition wall 159 is divided so that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8 is closed, and the air flow hole 159a is formed in which the divided space is sealed so that air can flow over the partition 159 ,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of the rim of the partition 159 is opened without the air circulation hole 159a to allow the air to flow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partition 159.

또한, 도 13에서 격벽(159)은 두 장의 얇은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는 팽창공간을 형성한 격벽(159)을 도시하였는데, 내부에 팽창공간 없이 한 장의 얇은 필름으로 격벽(159)을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공기유통공(159a) 또는 개방된 곳이 형성되어야만 제2 팽창공간의 공기가 유동하여 팽창체(150)를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In Fig. 13, the partition wall 159 shows a partition 159 in which two thin film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n expansion space in which compressed air is filled. The partition 159 has a single thin film The barrier rib 159 may be formed. Of course, at this time, the air in the second expansion space flows only when the air circulation hole 159a or the open space is formed, so that the expansion body 150 can be uniformly expanded.

상기와 같이 제2 팽창공간(158)에 소정 형태 및 소정 개수의 격벽(159)을 설치함으로써 땅콩 형태를 비롯하여 오리, 배, 용, 나뭇잎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제조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predetermined and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artition walls 159 in the second inflation space 158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inflatable type inflatable body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peanut shape, a duck, a ship, a dragon, and a leaf.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체(15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베이스패널(151a)을 구성함으로써, 베이스패널(151a)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여 팽창체(15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고, 베이스패널(151a)을 다양한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팽창체(150)를 여러 복잡한 형태로 간단하게 성형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팽창체(150)의 베이스패널(151a)이 서로 접하도록 붙여 다양한 형태의 팽창체(150)를 구성할 수도 있고, 팽창체(150)에 팽창공간이 없으며 미리 형태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패널(151a)을 구성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팽창체(150)를 팽창시킬 수 있는 등 베이스패널(151a)을 통해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14 and 15, the base panel 151a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flato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ase panel 151a faces the ground, Or the base panel 151a may be molded into various shapes so that the inflator 150 can be easily formed into various complicated shapes and the base panel 151a of the different inflator 150 So that the inflator 150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The inflator 150 can be configured to have the inflated space and the preformed base panel 151a,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effects through the base panel 151a.

상기 베이스패널(151a)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딱딱하고 견고한 강체(剛體)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한 부드럽고 유연한 한 겹의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base panel 151a may be formed of a rigid rigid body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or a soft and flexible film having a single layer of synthetic resin.

상기와 같이 팽창체에 베이스패널(151a)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2 팽창공간(158)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구(156)를 베이스패널(151a)에 형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base panel 151a is formed on the inflator as described above, a second air inlet 156 for injecting air into the second inflated space 158 may be formed on the base panel 151a.

제6 6th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구 형태의 팽창체로서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구 형태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herical air inflating inflatab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lator of spherical shape.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팽창체(16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팽창공간(168)이 형성되도록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의 외피(161)가 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161)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내피(162)를 형성함으로써 외피(161)와 내피(162) 사이에 제1 팽창공간(163)이 형성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6, the inflator 16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ell 161 made of a thin synthetic resin film material so as to form a second inflation space 168 therein A first inflation space 163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kin 161 and the inner skin 162 by forming the inner skin 16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161.

그리고, 상기 내피(162)와 외피(161) 사이에는 연결부(164)로서 다수의 섬유 또는 얇은 필름 형태의 격막으로 외피(161)와 내피(162)를 연결하고, 외피(161)에는 제1 팽창공간(163)과 팽창체(160) 외부가 연통되도록 제1 공기주입구(165)를 형성하고, 팽창체(160) 외부와 제2 팽창공간(168)이 연통되도록 제2 공기주입구(166)를 형성한다.The outer shell 161 and the inner shell 1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fibers or a thin film type diaphragm as a connecting portion 164 between the inner shell 162 and the outer shell 161, A first air inlet 165 is formed so that the space 163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60 and a second air inlet 166 is provided so that the outside of the inflator 160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16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팽창체(16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공기주입구(165) 및 제2 공기주입구(166)를 개방하고, 제1 공기주입구(165)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압축공기가 외피(161)와 내피(162) 사이의 제1 팽창공간(163)에 충전되면서 제1 팽창공간(163)이 팽창하며 구 형태로 부푼다.When the first air inlet 165 and the second air inlet 166 are opened and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165 in the folded state of the inflato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xpansion space 163 expands and bulges in a spherical shape while the first expansion space 163 between the outer shell 161 and the inner skin 162 is filled.

이때, 상술한 내피(162)와 외피(161)를 연결하는 연결부(164)가 섬유가 아닌 얇은 필름 형태의 격막일 경우에는 제1 팽창공간(163)으로 주입된 압축공기가 균일하게 퍼지지 못할 수가 있는데, 연결부(164)로서 격막을 짧은 길이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거나, 격막에 개방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제1 팽창공간(163)으로 주입된 압축공기가 제1 팽창공간(163)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part 164 connecting the inner skin 162 and the outer skin 161 is a thin film type diaphragm rather than a fiber, the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first expansion space 163 may not spread uniformly A plurality of diaphragms may be provided as the connecting portions 164 with a short leng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an open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diaphragm, so that the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first inflating space 163 flows into the first inflating space 163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팽창공간(163)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팽창하면서 제1 팽창공간(163) 내부에 가장 많은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해 제1 팽창공간(163)이 구 형태로 팽창하고, 이 과정에서 제2 팽창공간(168)에 음압이 작용하면서 제2 공기주입구(16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2 팽창공간(168)으로 자동 유입되며, 제1 팽창공간(163)의 팽창이 끝난 후 개폐수단인 마개(167)로 제1 공기주입구(165)를 막아 밀폐시키고, 제2 공기주입구(166)에 약간의 압축공기를 추가로 더 주입하여 제2 팽창공간(168)을 탱탱하게 팽창시킨 후 개폐수단인 마개(167)로 제2 공기주입구(166)를 막아 제2 팽창공간(168)을 밀폐함으로써 팽창체(160)의 팽창이 완료된다.The first inflation space 163 expands in the form of a sphere in order to store the most compressed air in the first inflation space 163 while the compressed air is filled in the first inflation space 163 and expanded, 2 external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ion space 168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66 while sou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flation space 168. After the inflation of the first inflation space 163 is completed, The first air inlet 165 is closed with a stopper 167 and further compressed air is further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inlet 166 to inflate the second inflation space 168 firmly, The expansion of the inflator 160 is completed by closing the second inflation space 168 by blocking the second air inlet 166 with the stopper 167.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주입식 팽창체는 제1 팽창공간(163)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제1 팽창공간(163)이 부풀면서 제2 팽창공간(168)으로 공기가 자동 유입되어 팽창체(160)가 미리 성형된 형태로 빠르게 부풀기 때문에 간편하고 빠르게 팽창시킬 수 있다.
When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inflated space 163, the first inflated space 163 swells and air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flated space 168, (160) is rapidly inflated in a preformed form, so that it can be expanded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서는 제1 공기주입구 및 제2 공기주입구의 개폐수단으로 마개를 사용하였으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마개가 있거나 없는 개폐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is us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st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inlet,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opening and closing means with or without various types of known stoppers.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Further,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10,120,130,140,150,160 : 팽창체
111,121,131,141,151,161 : 외피
142,152,162 : 내피
112,122,132 : 에어폴
113,123,133,143,153,163 : 제1 팽창공간
118,128,138,148,158,168 : 제2 팽창공간
114,124,134,145,155,165 : 제1 공기주입구
115,125,135,146,156,166 : 제2 공기주입구
116,126,136,147,157,167 : 마개
144,154,164 : 연결부
151a : 베이스패널
159 : 격벽
159a : 공기유통공
110,120,130,140,150,160:
111, 121, 131, 141, 151, 161:
142, 152, 162:
112, 122, 132:
113, 123, 133, 143, 153, and 163:
118, 128, 138, 148, 158, 168:
114, 145, 145, 155, 165: a first air inlet
115, 125, 135, 146, 156, 166:
116, 126, 136, 147, 157, 167:
144, 154, 164:
151a: base panel
159:
159a: air distribution ball

Claims (9)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
관 형태로 내부에 밀폐된 제1 팽창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된 에어폴;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의 외부와 에어폴 내부의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기주입구;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A casing molded in a pre-designed form to have a second expansion space therein;
An air po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with a first expansion space sealed inside thereof in a tube shape;
A first air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with the first inflated space inside the air pole; And
And a second air inlet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
상기 제2 팽창공간을 가로질러 양 측단이 외피의 내면에 체결된 소정 개수의 에어폴;
다른 에어폴 내부의 팽창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에어폴 내부에 형성된 제1 팽창공간;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기주입구;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A casing molded in a pre-designed form to have a second expansion space therein;
A predetermined number of air poles,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across the second expansion space;
A first expansion space formed in the air pole to communicate with an expansion space inside another air pole;
A first air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with the first inflation space; And
And a second air inlet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내부에 제2 팽창공간을 구비하도록 미리 설계된 형태로 성형된 외피;
상기 외피의 내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내피;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형성되는 제1 팽창공간;
상기 내피와 외피를 체결하는 연결부;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1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기주입구;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팽창체 외부와 상기 제2 팽창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A casing molded in a pre-designed form to have a second expansion space therein;
An inner ski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A first expansion space formed by filling compressed air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 connect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inner skin to the outer skin;
A first air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inflator with the first inflation space; And
And a second air inlet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inflator and the second inflated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폴은 그물망 또는 격자 형태로 외피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어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a shell in the form of a mesh or a lattice, the air pole being easy to swe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폴은 팽창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ir pole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inflator and is easy to expa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피와 내피가 서로 접착하여 형성되거나,
섬유의 양측에 각각 외피의 내면과 내피의 외면이 체결되어 형성되거나,
격막의 양측에 각각 외피의 내면과 내피의 외면이 체결되어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portio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re formed by adhering to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be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shell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diaphragm,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공간에서 격벽이 형성되어 제2 팽창공간을 분할하도록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second inflation space to divide the second inflation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격벽 너머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곳이 형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artition is formed with an open portion for allowing air to flow over the partition wal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의 외면 일부분에는 팽창공간이 없는 베이스패널이 구성된 팽창이 용이한 공기주입식 팽창체.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base panel having no expansion space is formed i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atable body.
KR1020150038816A 2015-03-20 2015-03-20 Easy air inflatable KR201601126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16A KR20160112671A (en) 2015-03-20 2015-03-20 Easy air infla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816A KR20160112671A (en) 2015-03-20 2015-03-20 Easy air infla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671A true KR20160112671A (en) 2016-09-28

Family

ID=5710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816A KR20160112671A (en) 2015-03-20 2015-03-20 Easy air infla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67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Y1 (en) 2005-06-27 2005-11-09 신승만 Land and prime minister Rejyeo sports utensil
KR100848227B1 (en) 2008-02-22 2008-07-24 나종선 Device for a rippling
KR100963100B1 (en) 2010-01-29 2010-06-14 정철호 Spherical air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7Y1 (en) 2005-06-27 2005-11-09 신승만 Land and prime minister Rejyeo sports utensil
KR100848227B1 (en) 2008-02-22 2008-07-24 나종선 Device for a rippling
KR100963100B1 (en) 2010-01-29 2010-06-14 정철호 Spherical air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031B1 (en) Human implantable tissue expander
ES2266030T3 (en) BRACELET FOR SFFIGMOMANOMETER ABLE TO BLOCK FAVORABLY THE BLOOD CIRCULATION EVEN WITH A SMALL DIMENS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WAS WRAPPED.
US3994102A (en) Inflatable element and system
ES2887228T3 (en) Coated balloon that does not depend on inflation
US7264533B2 (en) Bubble-squeezing toy
JP2016504955A5 (en)
ES2129464T3 (en) SELF-DEPLOYABLE STRUCTURES.
US9415321B2 (en) Self-sealing balloon or bladder
KR20160112671A (en) Easy air inflatable
US5522181A (en) Devices for the rapid deployment of igloos
US6773330B1 (en) Expandable toy
US3098248A (en) Bathing drawers
CN203505803U (en) Waterproof bag for air pump
WO2004073801A2 (en) Rigid balloon
RU139444U1 (en) INFLATABLE MODULAR CONSTRUCTION OF FILLED BY BALLS OF THE POOL
US2900994A (en) Collapsible inflatable tent
US3073058A (en) Inflatable toys
JP2008544675A (en) Inflatable loudspeaker housing
US20070077855A1 (en) Inflatable self-sealing toy
US20080064542A1 (en) Inflatable play ball
KR20180032478A (en) Manufacturing methods for buoy with aircell sheet
JP2002191722A (en) Hollow body
TW201447218A (en) Water toy with bellows
JP6159500B2 (en) Water rescue device
US20050282460A1 (en) Bubble-squeezing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