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569A -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 Google Patents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69A
KR20160112569A KR1020150038529A KR20150038529A KR20160112569A KR 20160112569 A KR20160112569 A KR 20160112569A KR 1020150038529 A KR1020150038529 A KR 1020150038529A KR 20150038529 A KR20150038529 A KR 20150038529A KR 20160112569 A KR20160112569 A KR 2016011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smart
store
web serv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주
박우출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569A/ko
Publication of KR2016011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TV 환경에서 게임 콘텐츠의 범용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개발자 단말로부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하는 앱스토어 및 앱스토어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 중 스마트 TV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제조사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 결과 정보를 앱스토어로 전송하는 수신 및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 PROVIDING UNIVERSAL SMART TV APPLICATION STORE OF GAME CONTENTS}
본 발명은 스마트 TV 환경에서 게임 콘텐츠의 범용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TV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빠른 성장으로 범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범용 OS 기반의 오픈 모바일 플랫폼을 확보하고, API 및 SDK를 공개함으로써 플랫폼과 호환성을 유지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스마트 TV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삼성, LG 등 제조사 중심의 앱 생태계와 구글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의 생태계가 표준화되지 않고, 서로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는 바, 각 사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맞춰서 개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도 iOS, Android, Window 8 등 OS가 다양하여 각 플랫폼 별로 따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개발한 게임 콘텐츠들은 각 제조사의 다른 플랫폼에 탑재될 수 있도록 제조사마다 검증을 다시 받아야 하므로, 검증 소요기간이 길고, 플랫폼 의존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로부터, 개발자는 게임 콘텐츠의 개발보다는 플랫폼 적용에 더 많은 시간적, 인적 비용을 투자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TV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연동형 게임 콘텐츠의 스마트 TV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개발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웹을 통해 게임을 업로드하고, 스마트 TV의 웹 브라우저에서 게임의 시연이 가능하도록 앱을 다운로드시키는 앱스토어를 포함하는 웹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개발자 단말로부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하는 앱스토어 및 앱스토어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 중 스마트 TV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제조사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 결과 정보를 앱스토어로 전송하는 수신 및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웹 환경에서 게임을 선택하고 시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성, LG 등 제조사 중심의 앱 생태계와 구글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의 생태계가 표준화되지 않고, 서로 상이하게 운영됨에 따른 개발 환경의 제약 요소를 극복하고, 제조사나 운영체제에 독립적으로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HTML 5 게임 콘텐츠를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특정 플랫폼에 대한 종속성이 없고, 개발 후에도 여러 플랫폼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개발 비용 및 소요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동 게임 개발 및 보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앱 생태계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개발자 단말, 스마트 TV 및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의 탑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 상의 관리자 페이지 및 앱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의 사용자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스마트 TV 게임 프레임워크는 스마트 TV에서 실행되는 게임 앱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추상화, 객체 지향 API,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실제로 스마트 TV 디바이스에서 게임 앱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삼성, LG 등 각 스마트 TV 제조사의 방식에 따라서 앱을 패키징하고 각 제조사의 앱 스토어를 통해서 앱이 배포되어야 한다.
즉, 게임 개발자로써는 개발 단계에서는 디바이스 이슈나 인터페이스 제약 등에 구애 받을 필요 없이 앱 개발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개발된 앱을 통해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각 제조사가 지정한 방식과 절차에 따라서 앱을 등록하고 배포해야 하기 때문에, 게임 앱 생태계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 게임 앱 개발자가 보다 쉽게 개발된 스마트 TV용 게임 앱을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매 측면에 있어서도 통일된 범용 앱스토어를 통하여 익숙한 콘텐츠 선택 및 시연이 가능하도록, 범용 스마트TV 앱스토어를 제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는 스마트 TV에 탑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스토어는 앱스토어 개발자가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으로, 게임 개발자는 이에 대하여는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된 앱 스토어용 앱을 실행하게 되면, 이 앱은 기존에 제조사가 제공하였던 것과 유사하게 다양한 앱에 대한 목록과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해당 앱을 설치, 삭제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TV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연동형 HTML 5 게임의 스마트 TV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TV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에서 게임을 시연할 수 있도록 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웹 환경에서 앱을 업로드,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220)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 개발자 단말(100), 스마트 TV(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는 개발자 단말(100)로부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하는 앱스토어(220) 및 앱스토어(220)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 중 스마트 TV(30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제조사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 결과 정보를 앱스토어(220)로 전송하는 수신 및 매칭부(210)를 포함한다.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스마트 TV 제조사의 SDK를 사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220)에 업로드되는 HTML 5 게임 콘텐츠는 PC용으로도 개발이 가능하여, 웹 서버(20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의 리스트는 앱스토어(220)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페이지에 출력하여 제공된다.
사용자가 웹 기반의 앱스토어(220)에서 게임 콘텐츠를 선택하면, 이는 스마트 TV(300)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시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웹 서버(200)의 수신 및 매칭부(210)는 스마트 TV(300)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 기반의 앱으로부터 게임 콘텐츠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조사마다 상이한 스마트 TV의 리소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매칭을 수행하고, 매칭 결과 정보를 웹 서버(200)의 앱스토어(220)로 전송한다.
앱스토어(220)는 이를 참고하여, 기저장된 앱 중 해당 스마트 TV(300) 에 매칭되는 앱을 해당 스마트 TV(300)로 전송하고, 스마트 TV(300) 및 사용자 단말(400)은 연동하여 게임 콘텐츠의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 상의 관리자 페이지 및 앱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220)는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개발자 단말(100)로부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의 사용자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220)는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 별로 앱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가 앱스토어(220)를 통하여 설치 또는 삭제하는 명령은 실제로 디바이스에서 앱이 설치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앱스토어(220)가 포함되는 웹 서버(200)에서 해당 앱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별로 관리되는 것이다.
즉, 앱스토어 앱이 실행되면, 각 스마트 TV 제조사가 제공하는 수신기에 대한 의존성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220)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는 상세 정보 조회 탭을 구비하여, 앱 소개, 조작 방법, 리뷰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앱스토어(220)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를 통하여, 게임 콘텐츠의 경우 소개와 조작방법, 타 사용자가 등록한 다양한 리뷰 의견 등을 참조하여, 게임 설치 이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앱 아이콘과 함께 제공되는 설치 버튼을 실행하여 해당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치한 앱스토어 앱은 해당 스마트 TV(300)에서 실행되며, 앱스토어 앱으로부터 다운로드한 게임 콘텐츠는 해당 스마트 TV(300)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연된다.
사용자는 앱 스토어(220)가 아닌 각 제조사 디바이스에 설치된 앱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으로 해당 앱을 실행하고 게임 콘텐츠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개발자 단말 200: 웹 서버
210: 수신 및 매칭부 220: 앱스토어
300: 스마트 TV 400: 사용자 단말

Claims (6)

  1. 개발자 단말로부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하는 앱스토어; 및
    상기 앱스토어가 제공하는 앱 리스트 중 스마트 TV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제조사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 결과 정보를 상기 앱스토어로 전송하는 수신 및 매칭부
    를 포함하는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스토어는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개발자 단말로부터 상기 앱을 전송 받아 업로드하는 것
    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스토어는 상기 매칭 결과 정보를 참고하여, 기저장된 앱 중 해당 스마트 TV 에 매칭되는 앱을 상기 해당 스마트 TV로 전송하는 것
    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스마트 TV로 전송된 앱은 상기 해당 스마트 TV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연되는 것
    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스토어는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 별로 앱 정보를 관리하는 것
    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리스트는 상세 정보 조회 탭을 구비하여, 앱 소개, 조작 방법,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인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KR1020150038529A 2015-03-20 2015-03-20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KR20160112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29A KR20160112569A (ko) 2015-03-20 2015-03-20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29A KR20160112569A (ko) 2015-03-20 2015-03-20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69A true KR20160112569A (ko) 2016-09-28

Family

ID=571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529A KR20160112569A (ko) 2015-03-20 2015-03-20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5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29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mpiling multi-platform native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s
US92016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9317282B2 (en) Server providing cloud service, terminal for developer and method for supporting application development using the same
KR101231104B1 (ko) 스마트 tv를 위한 rcu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93217A1 (en) Wearable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 management thereof
CN109002320B (zh) 用于软件开发包的更新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12930A1 (en) Application test system, application test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4536752A (zh) 自动生成apk的方法及装置
CN104133701A (zh) 一种应用程序安装方法和装置
KR101373550B1 (ko) 네트워크 기반의 플랫폼 시스템
US20170168796A1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transferring application program from pc to mobile apparatus
CN104866335A (zh) 一种移动终端基于Egret Runtime运行游戏的方法及装置
KR20180050001A (ko) 사물인터넷 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AU2019222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201801890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pplication installation
KR20140090503A (ko) 앱 미리보기 수행 및 자동 인증 가능한 앱스토어 시스템
KR20160112569A (ko) 게임 콘텐츠의 범용 스마트 tv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웹 서버
US8347314B2 (en) Method for managing java applications
CN112910956B (zh) 一种资源创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475141B (zh) 基于rn的视频播放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13191283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JP5698205B2 (ja) 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配信方法
KR20140042053A (ko) 개방형 홈서비스 api 기반의 홈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316076B1 (ko) 아이피티브이에서 위젯을 실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787B1 (ko)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홈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