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71A -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 Google Patents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071A
KR20160112071A KR1020150036801A KR20150036801A KR20160112071A KR 20160112071 A KR20160112071 A KR 20160112071A KR 1020150036801 A KR1020150036801 A KR 1020150036801A KR 20150036801 A KR20150036801 A KR 20150036801A KR 20160112071 A KR20160112071 A KR 20160112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ouch
pad
image
senso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익찬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5003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071A/en
Publication of KR20160112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0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04N13/04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 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ouch detection device having improved touch detection accuracy, capable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to touch by attenuating a parasitic capacitance generated from a sensor n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3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to display a 3D image including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nd a parallax barrier including a light transmission region and a light blocking region when the 3D image is zoomed in. Elements constituting the parallax barrier are formed in at least two layers. The 3D display apparatus includes the touch detection device. The touch detec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e sensor pads include a plurality of bar-shaped strip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sensor pads are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to be engaged with other sensor pads. Each of the sensor nodes has a portion of at least one sensor pad arranged therein. According to the touch detection device in the present touch 3D image display apparatus, a touch to a first sensing node is detected through a self-driving scheme for a first sensor pad during a first phase. During a second phase, the first sensor pad serves as a reception electrode, and a second sensor pad engaged with the first sensor node serves as a driving electrode.

Description

터치 검출 정확성이 향상된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detection device with improved touch detection accuracy.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터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한 터치일지라도 정확한 터치 발생 지점을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detection apparatus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 accurate touch generation point even when a touch is generated by a touch generation unit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청자로 하여금 장면 속에 있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입체감 실현 기술 또한 개발되고 있다. 즉, 2D 디스플레이에서의 높은 화질 구현에 중점을 두었던 상황에서 3D 디스플레이의 개발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Recently, 3D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viewers to feel as if they are in a scene due to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paradigm shifts with the development of 3D display with emphasis on high image quality in 2D display.

현재 개발된 3D 디스플레이 방식은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안경 방식은 편광 안경 방식(Passive Glasses Type)과 셔터 글라스 방식(Shutter Glasses Type)이 대표적이다. 편광 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을 동시에 출력해주고, 사용자는 편광 안경을 이용하여 좌안용 영상은 좌안을 통해서, 우안용 영상은 우안을 통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디스플레이가 깜빡거리지 않기 때문에 눈에 피로감을 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편광 안경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질 저하의 문제가 따르는 단점이 있다. 한편, 셔터 글라스 방식은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사용자는 좌/우의 셔터가 번갈아가며 개폐되는 안경을 통해 상기 재생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질 저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 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깜빡이기 때문에 눈에 피로감을 많이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Currently developed 3D display methods can be divided into glasses type and non-glasses type. Passive Glasses Type and Shutter Glasses Type are typical glasses type.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utput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t the same time, and the user uses the polarizing glasses to view the left eye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mage through the right eye. This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isplay does not flicker and can reduce fatigue in the eye, but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image quality deteriorates due to the use of polarizing glasses. On the other hand, the shutter glass system sequentially reproduces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and allows the user to view the reproduced image through the glasses which are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by the left and right shutters. This method has a merit that the problem of lowering the image quality is relatively less,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isplay is flickering, which can give a lot of eye fatigue.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구현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과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도 1은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방식은 디스플레이 패널(11) 전면에 단면이 반원 형태인 렌즈가 배열된 스크린(12)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에서 나오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각각 스크린(12)을 통해 굴절되어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으로 향하게끔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렌티큘러렌즈 방식은 제조가 어렵고 그 단가가 비싸며 렌즈의 배치로 인해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물결무늬를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Lenticular lens method and parallax barrier method are typical examples of a method of realizing a non-eyeglass 3D display.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lenticular lens system. 1, in the lenticular lens system, a screen 12 having lenses arrang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is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 and a left-eye image and a right- Are respectively refracted through the screen 12 and directed toward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However, the lenticular lens system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s price is high, and the wave pattern is felt in view of viewer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enses. Therefore, the parallax barriers are relatively utilized in the non-eyeglass type 3D display.

도 2a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1) 전면에 패럴렉스 배리어(22)가 배치된다. 패럴렉스 배리어(22)는 복수의 라인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홀수 라인(a)은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나오는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슬릿으로서 기능하고, 짝수 라인(b)은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나오는 광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슬릿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세로 열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22)에 의해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 각각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데 이렇게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이다.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3D display device of a parallax barrier type. Referring to FIG. 2A, a parallax barrier 2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1. The parallax barrier 22 has a plurality of line patterns. For example, the odd line (a) serves as a slit for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21, and the even line (b) serve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21 as it is And can function as a slit. The display panel 21 displays a fram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t this time, the left-eye image L and the right-eye image R are incident o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by the parallax barrier 2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viewer can feel a stereoscopic effect from the image. Thus, the parallax barrier system provides stereoscopic effect by the binocular parallax.

그러나, 이러한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에 있어서는 배리어를 구성하는 슬릿 간의 격차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에 대해서만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영상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를 하면 배리어에 의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입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However, in such a parallax barrier system, since the gap between the slits constituting the barrier is fixed, a stereoscopic effect can be realized only for an image having a fixed resolution. That is, if the same image is enlarged or reduce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not properly blocked by the barrier, thereby causing no stereoscopic effect.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출사되는 영상 프레임이 줌 인(Zoom In) 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줌 인이란 원본 영상에서 단위 픽셀이 표현하던 정보를 복수개의 픽셀이 표현하도록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For example, a problem arises when the image fram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21 zooms 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zoom-in means enlarging the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unit pixel in the original image so that a plurality of pixels express the information.

도 2b는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를 나타낸다. 2B shows a case where an image outputted from the display panel 21 is zoomed in 2 times.

원본 영상은 하나의 픽셀씩 번갈아가며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되었었으나, 도 2b를 참조하면,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연속되는 2개의 픽셀에 좌안용 영상이 표시되고 그 다음 2개의 픽셀에 우안용 영상이 표시된다. 영상은 줌 인 되어 확대되었으나, 패럴렉스 배리어(22)에서의 광차단 영역과 광투과 영역의 너비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좌안용 영상 중 일부가 제대로 차단 또는 투과되지 못하고 시청자의 우안으로 입사되고, 우안용 영상 중 일부가 제대로 차단 또는 투과되지 못하고 시청자의 좌안으로 입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대로 된 입체감을 느낄 수 없게 된다.The original image is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lternately one pixel at a time. Referring to FIG. 2B, in the case of zooming in 2 times, a left eye image is displayed in two successive pixels, The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pixel. 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light shielding region and the light shielding region in the parallax barrier 22 does not change, some of the images for the left eye can not be blocked or transmitted properly and are incident on the right eye of the viewer. A part of the images can not be properly intercepted or transmitted, and the image is incident on the left eye of the viewer. As a result, the user can not feel a proper stereoscopic effect.

한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 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영상 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a touch screen panel is a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of a user by touching characters or graphics displayed on a screen of a video display device with a finger or other contact means, and is attached and used on a video display device. Th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a contact position that is touched by a human finger or the lik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used as an input signal.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 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 패턴 또는 접지 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ouch screen panel, a resistive film type, a light sensing type, and a capacitive type are known. Among them, the capacitive touch panel converts the contact posi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a change in the capacitance that the conductive sensing pattern forms with other peripheral sensing patterns or the ground electrode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touches. The electrical signal is used as an input signal.

도 8은 통상적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apparatus.

도 8에 도시되는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패널(20)과 구동 장치(30) 및 이 둘을 연결하는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8 includes a touch panel 20, a driving device 30, and a circuit board 40 connecting the two.

터치패널(20)은 기판(21) 위에 형성되며 다각형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서패드(22) 및 센서패드(2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배선(23)을 포함한다. The touch panel 2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 formed on a substrate 21 and arrang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matrix and a plurality of signal wirings 23 connected to the sensor pads 22.

각 신호배선(23)은 한쪽 끝이 센서패드(2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기판(21)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다. 센서패드(22)와 신호배선(23)은 커버 유리(50)에 패터닝 될 수 있다.Each signal wiring 2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pad 22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lower edge of the substrate 21. The sensor pad 22 and the signal wiring 23 can be patterned on the cover glass 50. [

구동 장치(30)는 복수의 센서패드(22)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하여 해당 센서패드(22)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터치 발생 여부를 검출해낸다. The driving device 30 sequentially selects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 one by one to measure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pad 22, thereby detecting whether or not a touch is generated.

신호배선(23)은 센서패드(22)와 구동 장치(30)를 연결하는데, 이러한 신호배선(23)은 ITO 로 패터닝 될 수 있다. The signal wiring 23 connects the sensor pad 22 and the driving device 30, and this signal wiring 23 can be patterned with ITO.

도 9는 도 8에 도시되는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ouch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터치패널(20)에는 센서패드(22)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구동 장치(30)는 센서패드(22)들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발생 지점을 판단해낸다. 도 9에서는 센서패드(22)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구동 장치(3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배선(23)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9, the sensor pad 22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on the touch panel 20, and the driving device 30 drives the touch panel 20 based on the output signal from the sensor pads 22, . 9, the signal wiring 23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from each of the sensor pads 22 to the driving device 30 is omitted.

터치 발생 수단은 센서패드(22)와의 관계에서 터치 정전용량을 형성하기 때문에, 터치가 발생한 센서패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터치 미발생인 경우와 차이를 보이게 된다. 터치 정전용량은 터치 발생 수단이 센서패드(22)에 닿는 면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그 면적이 넓을수록 터치 정전용량이 크게 형성되므로, 터치 전후 센서패드(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 차이가 커지게 된다.Since the touch generating means forms the touch capacitance in relation to the sensor pad 22, the output signal from the sensor pad 22 in which the touch occurs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no touch occurs.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capacitance depends on the area of touching the sensor pad 22. The larger the area of the touch capacitance, the larger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capacitance. Therefore, the difference in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pad 22 before and after the touch .

터치 발생 수단이 하나의 센서패드(22)에 대해서만 터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센서패드(22)가 일정 크기의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기 때문에 터치 발생 영역은 복수의 센서패드(22)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nsor pads 22 are arranged in a row and a column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touch generating area May be formed to cover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22.

일 예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해 형성된 터치 영역(T)이 4개의 센서패드(22_1, 22_2, 22_3, 22_4)를 덮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4개의 센서패드(22_1, 22_2, 22_3, 22_4)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터치 미발생인 경우와 차이를 보이게 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touch region T formed by the touch generating means covers four sensor pads 22_1, 22_2, 22_3, and 22_4, as shown in FIG. 9, four sensor pads 22_1, 22_2, 22_3, and 22_4) are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output signal from each of them is not touch generated.

터치 발생 수단과 닿는 면적이 제2 센서패드(22_2)에서 가장 크다고 가정하면, 터치 전후 출력 신호의 차이를 가장 많이 보이는 센서패드는 제2 센서패드(22_2)가 될 것이다. 따라서, 구동 장치(30)는 제2 센서패드(22_2)에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Assuming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touch generating means is the largest at the second sensor pad 22_2, the sensor pad having the most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touch will be the second sensor pad 22_2. Accordingly, the driving device 30 determines that the touch has occurred in the second sensor pad 22_2.

이와 같이 종래 터치 검출 방법은 터치 발생 수단이 접촉되는 면적을 기초로 하여 어느 센서패드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hus, in the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method,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act area of the touch generation means that the touch occurred on the sensor pad.

이처럼 터치 발생 수단의 단면적이 넓어 터치 발생 영역(T)이 큰 경우에는 그 정확도에 있어서 큰 문제가 없으나, 터치 발생 수단의 단면적이 센서패드(22)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ouch generating means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ensor pad 22,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

터치 발생 수단에 의해 제5 센서패드(22_5) 영역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5 센서패드(22_5)의 영역 중 좌측 상단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고(Ta), 중심부 근처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Tb), 우측 가장자리에 터치가 발생할 수도 있다(Tc). 그러나, 이 세가지 경우 모두 터치 발생 수단과 센서패드(22_5) 간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30)는 어느 경우에나 제5 센서 패드(22_5)의 영역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게 된다. If a touch occurs in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by the touch generating means, touch may occur at the upper left of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Ta) (Tb), and a touch may occur on the right edge (Tc). However, in all three cases, since the capacitances formed between the touch generating means and the sensor pads 22_5 are the same, the driving device 30 judges that a touch is generated in the area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in any case I can not help it.

이에 따르면, 3가지의 경우 모두 터치 지점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제5 센서 패드(22_5)의 무게 중심인 중앙부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터치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this case, although touch points are different in all three cases,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fth sensor pad 22_5, which is the center of gravity.

따라서, 손가락 외 단면적이 좁은 터치 발생 도구의 신규 개발 등의 추세에 맞추어, 미세 터치 동작에도 그 터치 검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ouch detection in a fine touch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a new development of a touch generating tool with a small finger cross sectional are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내의 터치 검출 장치의 센서패드의 열 방향 길이를 길게 형성하되, 열 방향으로의 양단 영역을 바 형 스트립으로 구성하여 인접 센서패드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해당 영역에서의 터치 검출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detection device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formed with a sensor pad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column direction, So 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ouch detection in the are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방식과 채널 수를 동일하게 하면서도 행 방향의 터치 여부 검출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etection resolution in the row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number of channels as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 센서패드와 맞물리는 영역의 기생 정전용량의 형성을 방지하여, 터치 검출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in a region that is engaged with an adjacent sensor pa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ccuracy of touch detectio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패드가 형성된 영역과 신호배선이 형성된 영역 간의 패턴을 유사하게 하여 영역별 광투과 특성 차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difference in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regions by making the patterns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pad is formed and the region where the signal wiring is formed simila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검출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적층될 때 단위 영역별 색온도 차이 및 색감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col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a color difference from being generated for each unit area when the touch detection device is stacked on a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접 터치된 복수의 터치들을 구분하여, 터치 검출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touch detection by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touched touch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터치 검출 장치는 적어도 일측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바 형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열 방향으로 다른 센서 패드들과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패드들 및 각각이 일 이상의 상기 센서 패드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노드들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arallax barrier are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r strips at least one side of which extends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sensor pads arranged to mate with other sensor pads in the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each of which is arranged with a portion of one or more of the sensor pads.

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 터치 검출 장치는 제1 페이즈 동안 제1 센서패드에 대해 셀프 구동 방식으로 제1 센싱 노드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제2 페이즈 동안 상기 제1 센서 패드는 수신 전극으로, 상기 제1 센서 패드에 맞물린 제2 센서 패드는 구동 전극으로 기동한다. The touch sensing device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detects a touch to a first sensing node in a self-driving manner with respect to a first sensor pad during a first phase, and during a second phase, The second sensor pad engaged with the first sensor pad starts as a driving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페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 영상 구현을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내의 터치 검출 장치의 센서 패드의 열 방향 길이를 길게 형성하되, 열 방향으로의 양단 영역을 바 형 스트립으로 구성하여 인접 센서패드와 맞물리도록 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터치 발생 시 각 센서패드로부터 출력되는 터치 검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터치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pad of a touch detection device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of a parallax barrier system has a longer length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size of the touch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each sensor pad is compared when the touch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so that the touch generation point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서패드의 개수를 줄이되 그 해상도를 유지하고, 열 방향에서 줄어든 센서패드의 개수로 열의 개수를 늘려 전체적으로는 동일한 채널 수를 사용하면서도 해상도가 향상된 터치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ensor pad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but maintain the resolution thereof, increase the number of columns by the number of sensor pads reduced in the column direction, Device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 이상의 센서 패턴들이 혼재되어 있는 구간에 복수의 터치 객체들이 가까운 거리 내에서 접촉되어도, 각 터치 지점의 좌표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어 실제 사용한 채널 수에 비해 멀티 터치에 대한 더욱 향상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s of each touch point can be separately obtained even if a plurality of touch objec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in a short distance in a region where at least two sensor patterns are mixed. Thus, A further improved resolu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구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패럴렉스 배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의 확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센서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센서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서 멀티 터치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3D display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system.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3D display method of a parallax barrier system.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re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4B,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realiz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allax barrier in one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nlarging a stereoscopic image output from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uch detection apparatus.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ouch detection device of Fig. 1;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ensor pad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ensor pad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ulti-touch detection operation in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onnection with another system in the midd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과 그 일측(예를 들면, 전면)에 배치되는 패럴렉스 배리어(320)로 구성된다. 3A and 3B,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310 and a parallax barrier 320 disposed on one side (e.g., a front surface) thereof.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는 입체 영상용 다시점 영상이 출력된다. 다시점 영상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점으로부터 획득한 오브젝트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제1 열 방향(예를 들면, 세로 열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발광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또는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310 outputs a multi-view image for a stereoscopic image. The multi-view image is an image of an object acquired from various viewpoints to display the image in three dimensions. 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310 outputs a frame in which the left-eye image L and the right-eye image R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olumn direction). The display panel 31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a plasma display panel, o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력되는 다시점 영상의 일 방향 빛은 투과시키면서, 타 방향 빛은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에 투사되는 빛 중 좌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을 투과시키면서, 우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은 차단시킨다. 반대로 좌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을 차단시키면서, 우안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향의 빛은 투과시킬 수도 있다. 결국 하나의 픽셀에 대해서 시청자는 좌안 또는 우안 중 하나로만 시청할 수 있게 된다. The parallax barrier 320 is configured to transmit light in one direction of the multi-view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310 while blocking light in the other direction. Specifically, li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viewed in the left eye among lights projected on pixels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is transmitted, while li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viewed with the right eye is blocked.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li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viewed with the right eye, while blocking li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viewed in the left eye. As a result, for one pixel, the viewer can view only one of the left eye or the right eye.

이를 위해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극(32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극(321)은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길이 방향, 즉, 영상의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 전극(321)의 너비(W1)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의 너비(W2), 즉, 단위 픽셀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 전극(321) 간의 간격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전극(321) 간에 미세한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다. To do this, the parallax barrier 3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321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Each of the electrodes 321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in the display panel 310, The width W1 of each electrode 321 may be equal to the width W2 of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that are basically outputted from the display panel 310, But it may not. Also, in the figur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electrodes 321, but a minut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321.

각 전극(321)에 해당하는 영역은 액정셀(Liquid Crystal Cell)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패럴렉스 배리어(320)는 복수의 상부 전극(321), 상기 상부 전극(321)들과 대향하는 하부 전극(미도시됨), 상부 전극(321)과 하부 전극 사이의 액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321)과 하부 전극에는 제어 회로(33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 회로(330)는 상부 전극(321)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접지시킨다. 상부 전극(321)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대향하는 하부 전극과의 관계에서 전위차가 형성되고, 그 영역의 액정층은 턴 온되어 광투과 영역을 형성한다. 반대로, 상부 전극(321)이 접지되면 그 영역의 액정층이 턴오프되어 광차단 영역을 형성한다. 전극(321)들은 투명 전극(예를 들면, IT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electrode 321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cell. That is, the parallax barrier 3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electrodes 321, a lower electrode (not shown) facing the upper electrodes 321, a lower electrode And a liquid crystal layer. Signals from the control circuit 330 may be input to the upper electrode 321 and the lower electrode. The control circuit 330 selectively applies or grounds the driving signal to the upper electrode 321. When a driving signal is inputted to the upper electrode 321, a potential difference is formed in relation to the opposing lower electrode,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in the region is turned on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region. Conversely, when the upper electrode 321 is grounded, the liquid crystal layer in the region is turned off to form a light shielding region. The electrodes 32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for example, ITO or the like).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사되는 영상 프레임은 도 3a에 도시되는 것처럼 픽셀별로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이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홀수 번째 전극(321a)이 접지되면, 홀수 번째 전극(321a)에 해당하는 영역은 광차단 영역이 되고, 접지되지 않은 짝수 번째 전극(321b)에 해당하는 영역은 모두 광투과 영역이 된다. 좌안용 영상(L) 및 우안용 영상(R)은 각각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투과 또는 차단되어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만 입사된다. The image fram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310 is configur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by pixels as shown in FIG. 3A. At this time, when the odd-numbered electrode 321a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grounde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dd-numbered electrode 321a becomes a light blocking region,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even- All become light transmitting regions.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are transmitted or blocked by the parallax barrier 320, respectively, and are incident only on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본 발명은 원본 영상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의 광차단 영역과 광투과 영역도 변화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ntercepting area and the light transmitting area of the parallax barrier are also changed by zooming in or out of the original imag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of FIG. 3A is zoomed in two times, and FIG. 4B shows a state of the parallax barrier at this time.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표시되는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됨에 따라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2배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영상에서의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한 픽셀의 너비와 동일했다면, 2배 줌 인 되었을 때 각 영상(L, R)의 너비는 두 픽셀의 너비와 같아진다. 예를 들어, 800×480 픽셀 사이즈의 영상을 2배 줌 인 한 경우에는 해당 영상이 1600×960 픽셀 사이즈가 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is doubled as the original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10 is zoomed in. For example, if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in the original image are the same as the width of one pixel, the width of each image (L, R) Lt; / RTI > For example, when an image of 800 × 480 pixels size is zoomed in twice, the size of the image is 1600 × 960 pixels.

이 때,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인가되는 신호가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영상이 줌 인 된 정도에 따라 각각의 전극(321)에 구동 신호 및 접지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가 가변된다. 영상이 N배 줌 인 된 경우, N개의 전극(321)에 연속하여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즉, N개의 전극(321)에 연속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그 다음 N개의 전극(321)에는 접지 신호가 인가되어, N개씩의 전극(321)이 번갈아가며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영상이 원본 영상 대비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첫번째 전극(321a)과 두번째 전극(321b)에는 접지 신호가 입력되어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세번째 전극(321c)과 네번째 전극(321d)에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광투과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de 321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changed. Specifically, the period in which the driving signal and the ground signal are applied to the respective electrodes 321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zooming of the image. When the image is zoomed in N times, a drive signal or a gr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N electrodes 321 continuously. That is, a driving signal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N electrodes 321, a ground signal is applied to the N electrodes 321, and the N electrodes 321 alternate to form the light transmitting region and the light blocking region . 4A, when the image is zoomed 2 times as much as the original image, a ground signal is input to the first electrode 321a and the second electrode 321b of the parallax barrier 320, And a driving signal is inputted to the third electrode 321c and the fourth electrode 321d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region.

즉,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N배 줌 인 됨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의 너비 또한 N배가 되며, 이에 따라, N배 확대된 좌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정확히 차단 또는 투과되어 시청자의 좌안에 입사되고, N배 확대된 우안용 영상은 패럴렉스 배리어(320)에 의해 정확히 차단 또는 투과되어 시청자의 우안에 입사된다. That is, as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display panel 310 is zoomed in N times, the width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and the light blocking area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N times as well, Is blocked or transmitted by the parallax barrier 320 and enters the left eye of the viewer. The N-fold magnified right eye image is correctly intercepted or transmitted by the parallax barrier 320 to enter the right eye of the viewer.

이러한 동작을 위해 영상이 원본 영상 대비 N배 줌 인 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여야 하는데, 그 동작은 제어 회로(330) 또는 이와는 다른 컨트롤러(미도시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For this oper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mage has been zoomed N times the original image, which may be done by the control circuit 330 or another controller (not shown).

예를 들어, 1024×768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이 2048×1536 픽셀 사이즈로 확대되어 표시되는 경우라면, 영상이 2배 확대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여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를 적절하게 인가해준다. For example, if the original image having a resolution of 1024 x 768 pixels is displayed in an enlarged size of 2048 x 1536 pixels, it is recognized that the image has been enlarged twice, and then the electrode 321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driven The signal or ground signal is applied appropriately.

도 5a 및 도 5b는 도 3a에 도시되는 원본 영상이 4배 줌 인 된 상태에서의 패럴렉스 배리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원본 영상 대비 4배 줌 인 된다면, 좌안용 영상(L)과 우안용 영상(R)의 너비가 각각 4배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의 전극(321)에 있어서는 4개씩의 전극(321)들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첫번째 전극(321a)으로부터 네번째 전극(321d)까지 모두 접지 신호가 공급되고, 다섯번째 전극(321e)으로부터 연속해서 여덟번째 전극(321h)까지 구동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 parallax barrier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shown in FIG. 3A is zoomed in four times.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are respectively increased four times as long as the original image is zoomed by four times. Thus, in the electrode 321 of the parallax barrier 320, the ground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four electrodes 3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A and 5B, a ground signal is supplied from the first electrode 321a to the fourth electrode 321d, and from the fifth electrode 321e to the eighth electrode 321h A driving signal can be supplied.

즉, 영상이 4배 줌인 될 때 각각의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 또한 적응적으로 4배로 확대되어 입체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image is zoomed in four times, the respective light transmission areas and the light blocking areas are also adaptively enlarged four times,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stereoscopic effect.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패럴렉스 베리어(320)의 전극(321)이 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극(321)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전극은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형태, 즉, 적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4 and 5 show only the case where the electrode 321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formed as one layer.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321, each electrode is formed into two or more layers Or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form.

도 6a 및 도 6b는 패럴렉스 베리어(320)의 전극(321)이 2개의 층으로 구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의 전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3a의 원본 영상이 4배 줌 인 된 경우의 전극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321 of the parallax barrier 320 is implemented as two layers. FIG. 6A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state when the original image of FIG. 3A is zoomed in 2 times, and FIG. 6B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state when the original image of FIG.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극(321) 중 일부 전극, 예를 들면, 홀수번째 전극(321a, 321c)이 제1 층에 형성되고, 짝수번째 전극(321b, 321d)들은 제2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었으나, 3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극(321)이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영상 줌 인에 따른 전극(321)에의 신호 인가는 동일하게 동작한다. 영상이 2배 줌 인 된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두개씩의 전극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4배 줌 인 된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속하여 네개씩의 전극에 번갈아 가면서 접지 신호와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신호 인가에 따라서, 전극(321)이 적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체 패럴렉스 베리어(320)는 단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광차단 영역 및 광투과 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6A and 6B, some of the electrodes 321, for example, odd-numbered electrodes 321a and 321c are formed in the first layer, and the even-numbered electrodes 321b and 321d are formed in the second layer . Although FIGS. 6A and 6B illustrate only two layers, they may be formed of three or more layers. Even when the electrodes 321 are formed in multiple layers, the signal application to the electrodes 321 according to the image zooming operation is the same. When the image is zoomed in 2 times, the ground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can be alternately applied to the two electrodes as shown in FIG. 6A. In addition, when the image is zoomed in 4 times, the ground signal and the driving signal can be alternately applied to four electrodes successively as shown in FIG. 6B.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ccording to the signal application, even when the electrodes 321 ar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the entire parallax barrier 320 can form a light blocking region and a light transmitting region similarly to the case of forming a single layer.

한편, 원본 영상이 줌 인 될 때 그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패럴렉스 배리어(320)에서도 기준이 되는 전극(321)이 특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riginal image is zoomed in, the reference electrode 321 may be specified in the parallax barrier 3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도 7은 원본 영상이 동일한 배율로 줌 인 되는 경우일지라도 그 기준점이 각각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7 shows that the reference points may be different even if the original image is zoomed in at the same magnification.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본 영상이 확대되되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좌측 상단을 기준점으로 확대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원본 영상이 표시될 때 패널 최좌측 영상이 좌안용 영상이었다면, 확대된 영상에서도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최좌측에서 출사되는 영상은 좌안용 영상일 것이다. 따라서, 패럴렉스 배리어에서도 최좌측 전극이 기준 전극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는 확대에 따라 바뀌지 않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이 N배 줌 인 되는 경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전극들에는 N개씩 연속하여 구동 신호 또는 접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어야 할 것인데, 기준 전극에 인가되는 신호는 영상이 N배 줌 인 되기 전과 후에 변함이 없어야 한다. 기준 전극은 해당 전극을 포함하며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연속되는 전극들의 그룹 중 중간 지점의 전극 또는 이와 최근접 위치에 존재하는 전극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original image is enlarged and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splay panel 310 is enlarged to a reference point, as shown in FIG. 7 (a). If the leftmost image of the panel is the left eye image when the origi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10,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leftmost of the display panel 310 in the enlarged image may be the left eye image. Therefore, in the parallax barrier, the leftmost electrode should be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de should not change with enlargement. For example, when the image is zoomed N times, either the drive signal or the ground signal should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parallax barrier N consecutively. The signal applied to the reference electrode is N It should not change before and after zooming i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electrode is an electrode at an intermediate point among the group of consecutive electrod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electrode and the same signal being applied thereto or an electrode existing at a nearest position thereof.

이러한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확대되는 기준점과, 패럴렉스 배리어가 형성하는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의 너비가 확대되는 기준점이 일치하게 된다. With this operation, the reference point at which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310 is enlarged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point at which the width of the light transmitting area and the light blocking area formed by the parallax barrier is enlarged.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우측 상단을 기준점으로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에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전극 중 N번째 전극을 특정하기 위한 시작점이 되는 전극이 최우측 전극이 되어야 할 것이다. Similarly, as shown in FIG. 6B, when the image is enlarged with the reference point at the right upper end of the display panel 310, it is a starting point for specifying the Nth electrode among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parallax barrier The electrode should be the rightmost electrode.

도 6의 (c), (d)에 도시되는 경우도 동일한 이유에 의해 각각 최좌측 전극 및 최우측 전극이 N번째 전극 특정을 위한 시작점이 되는 기준 전극이 되어야 한다. In the case shown in FIGS. 6 (c) and 6 (d), the leftmost electrode and the rightmost electrode should be reference electrodes serving as starting points for specifying the Nth electrode, respectively, for the same reason.

한편, 도 6의 (e)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특정 지점(예를 들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원본 영상이 확대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때에도 역시 해당 지점과 가장 인접해 있는 전극이 기준 전극이 될 것이다. 6E shows a case where the original image is enlarged with reference to a specific point (for example, a center point) of the display panel 310. At this time, It will be the reference electro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검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uch detection apparatus included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패널(100)과 구동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ouch panel 100 and a driving unit 200.

터치패널(100)은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패드(11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센서 패드(110) 각각은 하나씩의 신호 배선(120)을 통해 구동부(200)와 연결된다. The touch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110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pads 1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through one signal line 120.

구동부(200)는 터치 검출부(210), 터치 정보 처리부(220), 메모리(230), 제어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210), 터치 정보 처리부(220), 메모리(230), 제어부(240)는 각각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touch detection unit 210, a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 memory 230, a control unit 240,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 (IC) chips.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he memory 230, and the control unit 240 may be separated, or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터치 검출부(210)는 신호배선(120)과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 복수의 커패시터 및 복수의 임피던스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검출을 위해 센서패드(110)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검출부(210)는 멀티플렉서를 통해 특정 센서패드(110)를 선택하고, 해당 센서패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20, a plurality of capacitors and a plurality of impedance elem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for selecting the sensor pad 110 for touch detection ha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can select a specific sensor pad 110 through a multiplexer and detect whether or not the touch is detected through a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pad 110.

센서패드(110)는 터치 발생 수단과의 관계에서 터치 정전용량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터치 정전용량에 따라 센서패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상이하므로, 그 출력 신호 검출을 통해 해당 센서패드(110)에 대한 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치 검출부(210)는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아 터치 검출을 위한 회로들을 구동하고, 터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터치 검출부(210)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패드(110)의 출력 신호 차이를 변환 및 증폭 또는 디지털화하여 메모리(230)에 기억시킬 수 있다. The sensor pad 110 forms a touch capacitance in relation to the touch generating means. Since the signal outputted from the sensor pad 110 differs according to the touch capacitance, the sensor pad 110 Or the touch of the user.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40, drives circuits for touch detection, and outputs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detection result.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n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may convert, amplify or digitize an output signal difference of the sensor pad 110 and store it in the memory 230.

터치 정보 처리부(220)는 메모리(230)에 기억된 디지털 전압을 처리하여 터치 여부, 터치 면적 및 터치 좌표 등의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processes the digital voltage stored in the memory 230 to generat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touch state, touch area, and touch coordinates.

제어부(240)는 터치 검출부(210) 및 터치 정보 처리부(220)를 제어하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 웨어를 통해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and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may include a micro control unit (MCU), and may perform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through the firmware.

메모리(230)는 터치 검출부(210)로부터 검출된 전압 변화의 차이에 기초한 디지털 전압과 터치 검출, 면적 산출, 터치 좌표 산출에 이용되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또는 실시간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The memory 230 stores the digital voltage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voltage change detected from the touch detection unit 210, predetermined data used for touch detection, area calculation, touch coordinate calculation, or data receiv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의 센서패드(110)는 상부 서브패드(110_1), 중부 서브패드(110_2), 하부 서브패드(110_3), 총 세 부분으로 나뉜다. The sensor pad 110 of the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 upper sub pad 110_1, a middle sub pad 110_2, and a lower sub pad 110_3.

중부 서브패드(110_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중부 서브패드(110_2)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열 방향으로 상하 방향에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된다.The middle sub pad 110_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lum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rectangular middle sub pad 110_2 Respectively.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는 길이 방향이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바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센서패드(110)의 적어도 일측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바 형 스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are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ars whos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That is, at least one side of the sensor pad 1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bar strips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도 10에서는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가 각각 3개씩의 바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FIG. 10,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three bars, but they may be formed as two or four or more bars.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가 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열 방향으로 이웃한 다른 센서패드(110)와 해당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중첩될 수 있다. 환언하면, 열 방향으로 이웃한 센서패드(110)들은 바 형 스트립(strip) 들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so as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other sensor pads 11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olumn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ensor pads 110 adjacent in the column direction can be arranged so that the bar strips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부 서브패드(110_1)의 바 형 스트립들은 해당 센서패드(110)와 열 방향으로 상부에 인접해 있는 다른 센서패드의 하부 서브패드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과 상호 절연된 상태로 동일 평면에서 맞물릴 수 있고, 하부 서브패드(110_3)의 바 형 스트립들은 해당 센서패드(110)와 열 방향으로 하부에 인접해 있는 다른 센서패드의 상부 서브패드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과 상호 절연된 상태로 동일 평면에서 맞물릴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r strips of the upper sub pad 110_1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with the bar strips forming the lower sub pad of the sensor pad 110 and other sensor pads adjacent to the upper side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bar strips of the lower sub pad 110_3 are mutually insulated from the bar strips forming the upper sub pad of the sensor pad 110 and other sensor pads adjacent to the bottom in the column direction In the same plane.

제1 서브패드와 제2 서브패드가 맞물린다는 것은 제1 서브패드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 사이의 간격에 제2 서브패드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이 배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fact that the first sub pad and the second sub pa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means that the bar strips constituting the second sub pad are disposed at intervals between the bar strips constituting the first sub pa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패드(110)가 커버하는 열 방향 길이, 즉, 상부 서브패드(110_1), 중부 서브패드(110_2) 및 하부 서브패드(110_3)의 열 방향 길이의 합은 센서패드(110)의 행 방향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열 방향 길이가 길더라도, 상하로 인접한 센서패드(110)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며, 터치 발생 시에는 각 센서패드(110)를 통해 검출되는 터치 발생 신호의 크기들 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터치 발생 지점을 정확히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The sum of the length in the column direction covered by the sensor pad 110, that is, the length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upper sub pad 110_1, the central sub pad 110_2 and the lower sub pad 110_3, 110 in the row direction. Even if the length in the column direction is long, some areas of the adjacent sensor pads 110 are overlapped. In the case of touch generation,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sizes of the touch generation signal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pads 110, So that the touch generation poi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예를 들어, 도 10에서 'A' 지점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a 센서패드(110a)에서 출력되는 터치 발생 신호(예를 들면, 터치 미발생 시와 터치 발생 시 간의 출력 신호 차이값)가 모든 센서패드(110)를 통틀어 월등히 클 것이며, 이에 따라, 터치 지점은 a 센서패드(110a)로 판단되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touch occurs at a point 'A' in FIG. 10, a touch generation signal (for example, an output signal difference value between when a touch is not generated and when a touch is generated) The sensor pad 110 is greatly larger than the sensor pad 110, so that the touch point is determined as a sensor pad 110a.

만약, 도 10에서 'B' 지점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a 센서패드(110a)와 b 센서패드(110b)에서 터치 발생 신호가 출력되겠지만, 상대적으로 a 센서패드(110a)에서 조금 더 큰 터치 발생 신호가 출력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기초로, a 센서패드(110a)와 b 센서패드(110b) 사이의 영역 중 a 센서패드(110a)와 조금 더 가까운 지점이 터치 발생 지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If a touch occurs at a point 'B' in FIG. 10, a touch generation signal will be outputted from a sensor pad 110a and a sensor pad 110b. However, A signal will be output. Based on this point, a point a little closer to the a sensor pad 110a of the area between the a sensor pad 110a and the b sensor pad 110b can be recognized as the point of touch generation.

다음으로, 도 10에서 'C' 지점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동일한 원리로서 b 센서패드(110b)의 하부 영역에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Next, when a touch occurs at the point 'C' in FIG. 10, it can be determined that a touch occurs in the lower region of the b sensor pad 110b as the same princi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패드(110)의 열 방향 길이를 길게 하되, 일부 영역을 열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센서패드(110)와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그 중첩 영역에서 터치 발생 시 터치 발생 지점이 열 방향으로 어느 센서패드(110)에 어느 정도 가까운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ensor pad 110 in the column direction is made long, and a part of the sensor pad 110 is overlapped with other sensor pads 110 adjacent in the column direction. In this overlapping are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o which sensor pad 110 the sensor pad 110 is closer.

또한, 센서패드(110)의 행 방향 폭을 기존 형태보다 좁게 함으로써, 행 방향의 터치 여부 감지 해상도(resolution)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전체 터치패널(100)에 걸쳐서 터치 발생 여부 및 터치 지점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sensor pad 110 in the row direction to be narr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ensor pad 1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sensing the touch in the row direction. As a result, The accuracy of judgment on the point can be improved.

행 방향 폭을 기존 형태보다 좁게 하여 열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열에 배치되는 센서패드(110)의 개수가 기존 형태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종래 터치 패널과 동일한 수의 센서패드(110)로 동일한 면적의 터치 패널(1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Even if the number of columns is increased by narrowing the width in the row direction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ype, the number of sensor pads 110 arranged in one colum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ype, The touch panel 100 having the same area can be realized.

따라서, 기존 형태와 동일한 수의 채널을 유지하면서도 터치 여부 감지에 대한 해상도 및 터치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olution and the accuracy of the touch det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number of channels as the conventional type.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열에는 m개(m은 자연수)의 센서노드(N1, N2)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0, m (m is a natural number) sensor nodes N1 and N2 may be formed in one column.

센서노드(N1, N2)는 터치 여부 검출의 단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노드(N1, N2)는 그 내부에 하나의 센서패드(110)가 단독으로 배치되는 단독 영역 노드(N1) 및 그 내부에 적어도 2개의 센서패드(110)가 함께 배치되는 공유 영역 노드(N2)로 나뉜다. The sensor nodes N1 and N2 may be a unit of touch detection. Each of the sensor nodes N1 and N2 includes a single area node N1 in which a single sensor pad 110 is disposed, And a shared area node N2 in which at least two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together.

구체적으로, 단독 영역 노드(N1)에는 a 센서패드(110a)의 일부가 단독으로 배치되고, 그와 열 방향으로 인접한 공유 영역 노드(N2)에는 a 센서패드(110a)의 일부와 b 센서패드(110b)의 일부가 함께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바 형 스트립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독 영역 노드(N1)는 스트립이 배치되지 않는 노드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Particularly, a part of the a sensor pad 110a is arranged in the single area node N1 and a part of the a sensor pad 110a and a part of the b sensor pad 110a are arranged in the shared area node N2 adjacent thereto in the column direction. 110b are arranged together. Specifically, a plurality of bar strip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re arranged to mesh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single area node N1 may be defined as a node in which the strip is not disposed.

하나의 열 내에서 단독 영역 노드(N1)와 공유 영역 노드(N2)는 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된다.The single area node N1 and the shared area node N2 are formed alternately in the column direction in one column.

도 10의 예에서 하나의 센서패드(110)는 하나의 단독 영역 노드(N1)와 상기 단독 영역 노드(N1)와 열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공유 영역 노드(N2)에 배치된다. In the example of FIG. 10, one sensor pad 110 is disposed in one single area node N1 and two single shared area nodes N2 adjacent to the single area node N1 in the column direction.

이러한 패턴으로 배치됨에 따라, 하나의 열에 존재하는 센서노드(N1, N2)의 수보다 하나의 열에 배치되는 센서패드(110)의 수가 더 적어질 수 있다. With this pattern, the number of sensor pads 110 disposed in one column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sensor nodes N1 and N2 existing in one column.

도 10의 예에서 하나의 열에 배치된 센서패드(110)의 개수는 5개이지만, 5개의 센서패드(110)가 형성하는 센서노드(N1, N2)는 총 9개가 된다. 일반화시키면, 하나의 열에 n개의 센서패드(110)가 배치되는 경우, n개의 센서패드(110)에 의해 형성되는 센서노드(N1, N2)는 총 2(n-1)+1 개가 된다.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number of the sensor pads 110 arranged in one column is five, but the number of the sensor nodes N1 and N2 formed by the five sensor pads 110 is nine. The number of sensor nodes N1 and N2 formed by n sensor pads 110 is 2 (n-1) + 1 in total, when n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in one column.

이에 따라, 기존 형태의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더 적은 수의 센서패드(110)로 동일한 길이의 열을 구성할 수 있고, 줄어든 숫자의 센서패드(110)로 열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있다. 즉, 기존 방식과 동일한 개수의 센서패드(110)로 동일한 면적의 터치 패널을 구현하되, 그 열의 수를 더 늘릴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기존 방식과 동일한 채널 수로 동일한 면적의 터치 패널을 구현하되, 그 열의 수를 더 늘릴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yp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ame length of the sensor pad 110 with a smaller number of sensor pads 110 and to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columns with the reduced number of sensor pads 110. That is, the same number of sensor pads 110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can realize a touch panel having the same area, but the number of the rows can be further increas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ouch panel having the same area with the same number of channels as the conventional method, but the number of the columns can be further increased.

이렇게 함으로써, 행 방향 터치 여부 판단에 있어서의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독 영역 노드(N1)와 공유 영역 노드(N2) 각각에서의 터치 여부 판단이 가능하므로, 열 방향 터치 여부 판단의 해상도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olution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ouch in the row direction.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touch is made in each of the single area node N1 and the shared area node N2,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esolu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ouch in the column direc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서 센서패드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ensor pad in a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서패드(110)는 상부 서브패드(110_1), 중부 서브패드(110_2), 하부 서브패드(110_3)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one sensor pad 110 may include an upper sub pad 110_1, a middle sub pad 110_2, and a lower sub pad 110_3, as described above.

중부 서브패드(110_2)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중부 서브패드(110_2)의 일 방향(바람직하게는, 열 방향) 상하 가장자리 영역 중 상부 서브패드(110_1) 또는 하부 서브패드(110_3)와 접속되지 않는 영역에는 내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h)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홈(h)은 길이 방향이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열 방향과 평행한 형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iddle sub pad 110_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grooves h ar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in the reg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b-pads 110_2 which are not connected to the upper sub-pad 110_1 or the lower sub-pad 110_3 in one direction (preferably in the column direction) . The plurality of grooves h may b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복수개의 홈(h)의 깊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패드(110)의 중부 서브패드(110_2)의 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홈(h)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 홈(h)의 깊이는 행 방향을 기준으로 주기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The depths of the plurality of grooves 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11, when a plurality of grooves h are form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row direction of the middle sub pad 110_2 of the sensor pad 110, ) Can be repeatedly increased or decreased periodically based on the row direction.

한편,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는 길이 방향이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바 형 스트립으로 형성되며, 이 바 형 스트립들은 모두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중부 서브패드(110_2)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가 중부 서브패드(110_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중부 서브패드(110_2), 상부 서브패드(110_1), 하부 서브패드(110_3)는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and lower sub-pads 110_1 and 110_3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bar strip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The bar strips are all rectangula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formed middle sub pad 110_2.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ddle sub pad 110_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middle sub pad 110_2, the upper sub pad 110_1,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110_3 is integrally manufactured.

상부 서브패드(110_1)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의 상부 가장자리(즉, 일단부), 하부 서브패드(110_3)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들의 하부 가장자리(즉, 일단부)에도 역시 중부 서브패드(110_2)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홈(h)이 형성된다.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h)들 또한 그 길이 방향이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홈(h)들의 깊이도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행 방향을 따라 주기적인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edge (i.e., one end) of the bar strips constituting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edge (i.e., one end) of the bar strips constituting the lower sub pad 110_3 are also connected to the middle sub pad 110_2 The same groove h as formed is formed. A plurality of grooves h formed in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may be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 110 is disposed. The depth of the grooves h may be formed so as to repeat the periodic increase or decrease along the row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종합적으로, 센서패드(11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는 길이 방향이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t least a part of the edge of the sensor pad 11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h whose lengthwise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한편, 상부 서브패드(110_1), 중부 서브패드(110_2), 하부 서브패드(110_3)의 영역 중 홈(h)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는 길이 방향이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열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슬릿(l)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s where the grooves h are not formed in the regions of the upper sub-pad 110_1, the central sub-pad 110_2, and the lower sub-pad 110_3,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pad 110 is disposed A plurality of slits 1 are formed.

슬릿(l)의 폭은 홈(h)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홈(h)의 말단부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릿(l)의 일단부와 홈(h)의 말단부가 맞닿는 부분을 브릿지(b)로 정의한다면, 센서패드(110)는 슬릿(l)과 홈(h)에 의해 분리되되, 서로 브릿지(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스트립 패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묘사할 수도 있다. The width of the slit 1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groove h and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adjacent to the ends of the different grooves h. The sensor pad 110 is separated by the slit 1 and the groove h and the sensor pad 110 is separated from the bridge b by a distance d between the slit 1 and the end of the groove h, And a plurality of strip pad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strip pads.

각각의 센서패드(11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씩의 신호배선(120)을 통해 구동부(200; 도 10 참조)와 연결되는데, 만약 센서패드(110)에 홈(h)과 슬릿(l)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신호배선(120)들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는 영역과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영역 간에는 패턴면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신호배선(120)이 나란히 배열된 영역은 보수개의 스트립들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형상을 갖게 되지만,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영역은 하나의 도전판이 넓게 배치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터치패널(100; 도 10 참조)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배치되는데, 신호배선(120)이 배치된 영역과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영역 간 광투과성 차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 또한 양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광투과 특성을 보이게 된다. Each of the sensor pads 1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00 (see FIG. 10) through one signal line 120 as described above. If the sensor pad 110 has grooves h and slits l If the sensor pad 110 is not formed, a difference occurs in the pattern surface between the area where the signal lines 120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area where the sensor pad 110 is arranged. Specifically, the region where the plurality of signal wirings 120 are arranged side by side has a shape in which the repairing strip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but the region where the sensor pads 110 are disposed is a region in which one conductive plate is widely arranged . The touch panel 100 (see FIG. 10) is typically disposed on a display device. The touch panel 100 is disposed on a display device, The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in both reg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패드(110)에 홈(h)과 슬릿(l)을 형성하고, 홈(h)과 슬릿(l)의 폭을 신호배선(120)들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서로 평행한 홈(h)들 간의 간격 및 슬릿(l)들 간의 간격을 신호배선(120)의 폭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영역과 신호배선(120)이 배치된 영역 간의 외관상 패턴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h and the slit 1 are formed in the sensor pad 110 and the width of the groove h and the slit 1 are formed to be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the signal lines 120 The interval between the parallel grooves h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lits 1 are equal to the width of the signal line 120 so that the area where the sensor pad 110 is disposed and the area where the signal line 120 is dispos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appearance patterns of the regions the same.

또한, 이에 따라, 터치패널(100)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적층시켰을 경우에도 센서패드(110)가 배치된 영역과 신호배선(120)이 배치된 영역 간의 광투과성 차이가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touch panel 100 is stacked on the display device, the difference in light transmittance between the region where the sensor pad 110 is disposed and the region where the signal wiring 120 is disposed can be eliminated.

한편, 센서패드(110)는 제조 공정 또는 동작 시 발생하는 정전기 등에 의해 그 일부가 파손될 수 있는데, 일부가 파손이 되더라도 서로 브릿지(b)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립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일해지므로, 전체 단일 센서 패드(110) 관점에 있어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The sensor pad 110 may be partially damaged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the like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operation. Even if a part of the sensor pad 110 is broken, a plurality of strip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ridge b are formed. So that it can operate normally in view of the entire single sensor pad 1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패드(110)의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더미패드(110_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mmy pad 110_D may be further formed on a side edge of a bar strip that forms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of the sensor pad 110. [

더미패드(110_D)는 센서패드(110)의 바 형 스트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이격된 거리는 홈(h) 및 슬릿(l)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패드(110_D)의 길이 방향은 센서패드(110)의 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ummy pad 110_D is spaced apart from the bar strip of the sensor pad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ed distance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groove h and the slit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mmy pad 110_D is arranged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of the sensor pad 110. [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의 영역에서는 바 형 스트립들이 다른 센서패드의 바 형 스트립들과 중첩되게 되는데, 더미패드(110_D)는 이렇게 다른 센서패드의 바 형 스트립들과 중첩될 시, 센서패드 간 기생 정전용량의 형성 및 신호 간섭을 최대한 막기 위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더미패드(110_D)는 센서패드(110)의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 중 다른 센서패드의 바 형 스트립들과 인접하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패드(110)의 바 형 스트립과 제2 센서패드(110)의 바 형 스트립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때 그 사이 영역에 더미패드(110_D)가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gion of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the bar strips are overlapped with the bar strips of the other sensor pads. The dummy pad 110_D overlaps the bar strips Type strips, it is form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sensor pads and the signal interference as much as possible. The dummy pad 110_D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ide edge of the bar strip which forms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of the sensor pad 110 and adjacent to the bar strips of the other sensor pads . That is, when the bar strips of the first sensor pad 110 and the bar strips of the second sensor pad 1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ummy pad 110_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r strips.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ensor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패드(110)에 있어서, 열 방향과 평행한 선분들이 모두 톱날(saw)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패드(110)의 상부 서브패드(110_1)와 하부 서브패드(110_3)를 이루는 바 형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 중부 서브패드(110_2)의 측면 가장자리가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 센서패드(110)에 있어서 홈(h)의 내측 벽면을 이루는 선분 및 슬릿(l)을 이루는 선분 중 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분이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언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패드(110)는 홈(h)과 슬릿(l)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스트립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스트립 패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선분들이 모두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in the sensor pad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line segments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aw pattern. That is, the side edges of the bar strips forming the upper sub pad 110_1 and the lower sub pad 110_3 of the sensor pad 110 and the side edges of the middle sub pad 110_2 may be formed in a saw pattern. A line segment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roove h and the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slit 1 in the pad 110 may be formed in a saw pattern.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ensor pad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ip pad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groove h and the slit 1. In such a plurality of strip pads, May be formed in a saw blade pattern.

한편, 이에 따라, 더미패드(110_D) 역시 그 길이 방향 선분이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신호배선(120) 또한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ummy pad 110_D may also have a saw-tooth pattern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ignal line 120 may also be formed in a saw-tooth pattern.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적층되거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편광판, 기판, 액정층, 픽셀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픽셀 층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층의 면(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컬러 필터를 의미하며, 적색, 녹색, 청색(이하, R, G, B이라 함)의 화소 단위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ouch panel may be stacked on or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backlight, a polarizing plate, a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a pixe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 G, and B), and colors can be implement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units of red, green, and b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 G, and B) pixels.

픽셀 층은 R, G, 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데, 상부 터치패널에 배치된 센서패드(110) 및 신호배선(120)의 선분들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 각 센서패드(110) 및 신호배선(120)들이 R, G, B 서브 픽셀과 중첩되는 면적이 각 영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픽셀 각각은, 각 픽셀 위에 중첩된 센서패드(110) 및 신호배선(120)의 광투과율에 따라 각 픽셀이 발생시키는 색온도에 차이를 보이게 되고, 색감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R, G, B 서브 픽셀의 행 또는 열 방향과 센서 패드(110)의 선분 및 신호배선(120)이 일정 각도를 형성하게 되며, 그 각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바뀜에 따라 터치패널(100)을 복수개의 단위 영역으로 나누었을 경우, 단위 영역 별로 R, G, B 서브 픽셀과 센서패드(110) 또는 신호배선(120)이 중첩되는 면적에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터치패널(100) 전체에 걸쳐서 영역에 따른 색온도 차이 및 색감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The pixel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including R, G, and B subpixels. When the line segments of the sensor pad 110 and the signal line 120 disposed on the upper touch panel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area where the signal lines 110 and the signal lines 120 overlap with the R, G, and B sub-pixels varies depending on each region. As a result, each pixel exhibits a difference in color temperature caused by each pixel depending o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sensor pad 110 and the signal line 120 superimposed on each pixel, resulting in a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w or column direction of the R, G, and B subpixels, the line of the sensor pad 110, and the signal line 120 form a certain angle, and the angle is periodically repeated When the touch panel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there is no large difference i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R, G, and B subpixels with the sensor pads 110 or the signal wires 120 in each unit area. Accordingly, the col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over the entire touch panel 100 can be minimiz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에서 멀티 터치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ulti-touch detection operation in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채널 감소 및 터치 객체의 최소화를 위해 사용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혼재형 패턴에 있어,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패턴이 혼재되어 있는 구간에 터치 객체가 접촉되면 해당 센싱 노드에 포함되어 있는 채널에 데이터가 취득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물체가 접촉된 경우, 데이터를 통해 두 터치 객체들의 접촉점을 분리하여 인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긴 중심거리를 요구하게 된다.Generally, when a touch object touches a region where two or more patterns are mixed in a mixed pattern as shown in FIG. 3 used for channel reduction and minimization of a touch object, Data is acquired in a channel. Therefore, when two or more objec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long center distance is basically required in order to separate and recognize the contact points of two touch objects through data.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3의 (1) 내지 (4)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 B+C, C+D의 채널 혼재구간에 각 50%의 비율 구성으로 패턴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each of FIGS. 13 (1) to 13 (4), a pattern is constituted by a ratio of 50% in the channel mixed region of A + B, B + C and C + D Let's assume.

(1) A+B, B+C에 두 개의 객체가 같은 크기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 원으로 도시된 지점에 접촉되는 경우 각 물체가 접촉된 지점의 면적을 합치면 A=50% B=100% C=50%이다. 이는 B구간을 중심으로 두 개의 원을 합친 면적에 해당하는 큰 물체가 접촉된 것과 구분할 수가 없다,(1) If two objects in A + B and B + C are spaced the same distance by a first distance and contact the point shown by each circle, when the areas of the points where the objects are in contact are combined, A = 50% B = 100% C = 50%. This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tact of a large object corresponding to an area of two circles,

(2) 같은 원리로 A+B, C에 두 개의 객체가 같은 크기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 원으로 도시된 지점에 접촉되는 경우 각 물체가 접촉된 지점의 면적을 합치면 A=50%, B=50%, C=100%이다. 이는 C를 중심으로 물(water)과 같은 물체가 길게 A,B까지 끌려있는 형상과 유사하여 멀티 터치 검출 처리가 곤란하다, 실제로 물(water)을 이용하여 A= 50%, B=200%, C=100%로 취득되어야 C에서 A+B까지 물체가 이어진 하나의 물체가 연결된 것이지만, 터치 검출 알고리즘만으로 보상한다고 하면 최소 도시된 제2 거리 이상의 중심거리가 필요하다. 이 경우는 좌표처리를 위해 C의 일부분에 접촉된 물체의 중심점을 추적하기 위해 B의 데이터에 어느정도 의존해야하는 가하는 부분이 불분명하므로 상측의 A+B구간은 C의 데이터를 무시하고 처리하면되지만 C측의 좌표는 정확한 중심점의 위치 추적이 곤란하다. (2) If two objects in A + B and C are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by a second distance and contact the point shown by each circle on the same principle, A = 50% B = 50%, C = 100%.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multi-touch because the object such as water is drawn up to A and B with the center of C being long. Actually, water is used to make A = 50%, B = 200% If C = 100%, it means that one object connected from C to A + B is connected. However, if it is compensated only by the touch detection algorithm, a center distance of at least the second distance shown is required. In this case, since the portion to be dependent on the data of B is unclear in order to track the center point of the object contacted to the part of C for coordinate processing, the upper A + B section can be processed by disregarding the data of C,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3)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객체가 같은 크기로 제3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 원으로 도시된 지점에 접촉되는 경우 A=B=C=D=50%를 형성하지만, B와 C의 데이터는 각각 반드시 200%가 필요하므로 알고리즘으로 보상하여 비교적 정확한 두 개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3) As in the case of (2), when two objects are spaced the same distance by a third distance and contact each point shown by each circle, A = B = C = D = 50% Of the data must be 200% each, so it is possible to find two relatively accurate positions by compensating with the algorithm.

(4) 두 개의 객체가 같은 크기로 제4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 원으로 도시된 지점에 접촉되는 경우 A=B=50%, C=0%, D=100%이므로 C에 의해 형성된 경계 구간으로 인해 별도의 알고리즘 보상이 없어도 2개의 터치 객체를 각각 인지할 수 있다.(4) If two objects are spaced the same distance by a fourth distance and contact each point shown by each circle, A = B = 50%, C = 0%, D = 100% Thus, two touch objects can be recognized without any additional algorithm compensation.

이때 만약 A+B, B+C,C+D와 같이 혼재된 구간의 터치 데이터를 별도로 취득할 수 있어 A+B=A',B+C=B',C+D=D'의 별개의 노드로 인지할 수 있다면, 노드의 터치 해상도는 실제 사용한 채널 수 대비 2배에 달하는 향상 효과를 이끌어내어 (1)의 경우와 같은 제1 거리를 두고 접촉된 물체에 대해서도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ouch data of the mixed section such as A + B, B + C and C + D can be obtained separately, and the touch data of A + B = A ', B + C = B' and C + D = D '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contacted at a first distance as in the case of (1), by bringing an improvement in the touch resolution of the node to twice the actually used number of channels.

상기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패턴이 혼재한 영역에 대해서 별개의 노드처럼 터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셀프 커패시턴스 구동 방식과 상호 커패시턴스 구동 방식을 교번시킴에 따라 혼재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여 혼재 부분을 별개의 노드와 같이 취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capacitance driving method and the mutual capacitance driving method are alter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ouch data is acquired as a separate node for a region where two or more patterns are mixed, thereby detecting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of the mixed region, It can be handled like a separate node.

일 예로, 첫번째 페이즈에서는 A 채널에 대해서 셀프 구동 방식으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어지는 두번째 페이즈에서는 A 채널을 수신 전극으로 B 채널을 구동 전극으로 기동하여 A+B구간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세번째 페이즈에서는 B 채널에 대해서 셀프 구동 방식으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어지는 네번째 페이즈에서는 B 채널을 수신 전극으로 C 채널을 구동 전극으로 기동하여 B+C구간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한다.For example, in the first phase, the data is acquired in a self-driving manner for the A channel, and in the subsequent second phase, the A channel is activated as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B channel is activated as the driving electrode to detect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in the A + B section. In the third phase, data is acquired by the self-driving method for the B channel. In the following fourth phase, the B channel is used as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C channel is used as the driving electrode to detect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of the B + C section.

일반적인 방법으로 2개의 터치 객체를 정확하게 분하기 위해서는 (4)의 경우와 같은 중심거리가 필요하지만, 상기 예와 같이 셀프 커패시턴스 구동 방식과 상호 커패시턴스 구동 방식을 교번시킴에 따라 혼재 영역의 상호 커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데이터를 취득하게 되면, (2)경우에서 B'= 0%이므로 B'를 통해 두 개의 터치 객체에 대한 경계가 분명해진다.In order to precisely divide two touch objects in a general manner, a center distance as in the case of (4) is required. However, as in the above example, the mutual capacitance change of the mixed region is changed by alternating the self capacitance driving method and the mutual capacitance driving method If the touch data is sensed and the touch data is acquired, the boundary for two touch objects becomes clear through B 'since B' = 0% in case (2).

여기에 (1)의 경우에서도 A'=100%, B'=100%이라면, A'와 B'에 접촉된 물체가 하나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셀프 구동 방식으로 취득한 B의 Data는 200%가 취득되어야 한다. 만약 100% 혹은 특정 문턱값 이하로 B가 취득되면 이는 두 개의 터치 객체가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B/2과 C 채널의 터치 데이터로 보간(Interpolation)을 위한 그룹 데이터를 치환 적용하여 실제 물체가 접촉한 중심점의 정확한 좌표를 추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1), if A '= 100% and B' = 100%, 200% of the B data acquired in the self-driven manner should be acquired so that the objects contacted with A 'and B' . If B is obtained at 100% or below a certain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wo touch objec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by substituting group data for interpolation with B / 2 and C channel touch data, It is possible to track the exact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contact with the object.

그 결과, 예시의 경우에서 Normal한 경우보다 접촉물체의 구분감지가 가능한 거리를 75% 단축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tance by which the detection of the contact object can be detected by 75% than in the case of the normal cas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치패널
110: 센서패드
120: 신호배선
200: 구동부
210: 터치 검출부
220: 터치정보 처리부
230: 메모리
240: 제어부
310: 디스플레이 패널
320: 패럴렉스 배리어
321: 전극
100: Touch panel
110: Sensor pad
120: Signal wiring
200:
210:
220: Touch information processor
230: Memory
240:
310: display panel
320: Parallax Barrier
321: Electrode

Claims (1)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입체 영상이 줌 인 될 때, 광투과 영역 및 광차단 영역을 형성하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패럴렉스 배리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측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바 형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열 방향으로 다른 센서 패드들과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패드들;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서 패드의 일부분이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노드들을 포함하며,
제1 페이즈 동안 제1 센서패드에 대해 셀프 구동 방식으로 제1 센싱 노드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제2 페이즈 동안 상기 제1 센서 패드는 수신 전극으로, 상기 제1 센서 패드에 맞물린 제2 센서 패드는 구동 전극으로 기동하는 것인, 터치 검출 장치를 갖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stereoscopic image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a parallax barrier forming a light transmission area and a light shielding area when the stereoscopic image is zoomed in, Wherein the elements are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A plurality of sensor pads made of a plurality of bar strips, at least one side of which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arranged to mesh with other sensor pads in the column direction;
A plurality of sensor nodes, each sensor node having a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sensor pads disposed therein,
Wherein the first sensor pad detects a touch to a first sensing node in a self-driven manner with respect to a first sensor pad during a first phase, and the second sensor pad detects a touch with a second sensor pad Is driven as a driving electrode.
KR1020150036801A 2015-03-17 2015-03-17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KR20160112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1A KR20160112071A (en) 2015-03-17 2015-03-17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01A KR20160112071A (en) 2015-03-17 2015-03-17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071A true KR20160112071A (en) 2016-09-28

Family

ID=5710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01A KR20160112071A (en) 2015-03-17 2015-03-17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07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4051A (en) * 2017-12-29 2019-07-09 乐金显示有限公司 With the 3 d display device for stopping panel
CN112631457A (en) * 2020-12-21 2021-04-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4051A (en) * 2017-12-29 2019-07-09 乐金显示有限公司 With the 3 d display device for stopping panel
US10855975B2 (en) 2017-12-29 2020-12-01 Lg Display Co., Lt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panel
CN112631457A (en) * 2020-12-21 2021-04-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9571B2 (en) 3-dimensional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KR101575938B1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detection function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230549B1 (en) Touch sensible optical syste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460494B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sensor input device
JP5914403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9058780B2 (en) 2D/3D switchable and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197382B1 (en) Bendable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US2008020487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WO2014000366A1 (en) Liquid crystal cell and 3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70921A1 (en) Liquid crystal grating,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of
KR20150109890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parasitic capacitance compensation circuit
KR20150109887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ensor pad forming fixed degree with pixels
KR20160112071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improved touch detecting accuracy
KR20160109056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touch detecting method with improved accuracy of touch detecting
KR20150109886A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with improved visualbility and touch detecting
KR101503329B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50109891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featuring graded size slits
KR20160103769A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with improved visualbility and touch detecting
KR101503330B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50109888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with equivalent level signal generator
KR1024079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glasses-free 3D display capable of simultaneous 2D/3D output
KR20160107792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sinusoidal voltage
KR20160107791A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detecting apparatus of improved efficiency deviation
KR20160112070A (en) Touch detec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KR101621277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