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109A -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109A
KR20160110109A KR1020160024556A KR20160024556A KR20160110109A KR 20160110109 A KR20160110109 A KR 20160110109A KR 1020160024556 A KR1020160024556 A KR 1020160024556A KR 20160024556 A KR20160024556 A KR 20160024556A KR 20160110109 A KR20160110109 A KR 2016011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ignal
present
signals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이노
Priority to KR102016002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0109A/ko
Publication of KR2016011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G06F19/3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체의 제1 지점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인체의 제2 지점에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고, 상기 동기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MULTIPLE BIO SIGNAL}
본 발명은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인류 전체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으며, 의료 환경에서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과거에는 병원에서 X-ray, CT, fMRI 등의 의료영상을 촬영한 후 몇 시간 또는 며칠을 기다려야 영상 판독이 가능했었다.
그러나 최근 10여년 전부터 의료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모니터 화면으로 영상이 전송되어 즉시 판독할 수 있는 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e Communication System)이 도입되었다. 또한, 병원에 가지 않고서도 자신의 혈당과 혈압을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헬스케어 관련 의료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혈당 환자나 고혈압 환자들은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각종 질환의 주요한 발명 원인이 되고 있고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고혈압의 경우에는, 혈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유형의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혈압뿐만 아니라 심전도, 심박수, 체온 정보, 산소포화도, 근전도, 땀샘 활성도, 발한량, 호흡수 등의 생체 정보는 인체 상의 둘 이상의 접점(반드시 물리적으로 붙어 있을 필요는 없음)으로부터 각각 획득되는 다중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체의 여러 접점으로부터 획득되는 다중 생체 신호를 적절히 처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다중 생체 신호의 측정 과정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인체와 측정 장치 사이에 둘 이상의 접점을 만들기 위한 행위(예를 들면, 측정 장치를 왼쪽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쪽 손가락을 측정 장치에 접촉시키는 행위 등)를 의식적으로 행해야 했으며, 특히, 혈압과 같은 생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체의 양 극단(예를 들면, 손목, 손, 발목, 발 등)이 측정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했다.
예를 들면, 심전도(ECG)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체의 두 말단에서 각각 획득되는 두 신호를 하나의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에 입력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자신의 인체의 두 말단을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입력 단자에 접촉시키거나 자신의 인체의 두 말단을 차동 증폭기의 입력 단자와 유선으로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위와 같은 측정 방식에 의하면, 다중 생체 신호가 측정되기 위해 사용자가 의식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상황(예를 들면, 의식이 없는 상황 등)에서는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측정 장치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중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제1 지점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인체의 제2 지점에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하고, 위의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측정 장치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중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체의 제1 지점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인체의 제2 지점에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고, 상기 동기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인체의 제1 지점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인체의 제2 지점에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생체 신호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하고, 상기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고, 상기 동기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측정 장치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중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식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행할 필요 없이 상시적으로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심전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LTE 다이렉트(LTE Direct),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인체의 제1 지점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인체의 제2 지점에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위의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하고, 위의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측정 장치 각각에서 측정되는 다중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획득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의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내에서 실현되거나 디바이스(300)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스마트 넥클리스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이거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는 인체로부터 다중 생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센싱 수단(예를 들면, 접촉 전극, 영상 촬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생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디바이스(30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의 생체 신호 획득부(210), 생체 신호 처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생체 신호 획득부(210), 생체 신호 처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 획득부(210), 생체 신호 처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 획득부(210)는 인체의 제1 지점에 상시적으로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 인체의 제2 지점에 상시적으로 배치되는 제2 다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제1 지점 및 제1 디바이스 사이의 접촉 상태(반드시 물리적으로 붙어 있지는 않더라도 제1 디바이스가 인체의 제1 지점으로부터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와 인체의 제2 지점 및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접촉 상태가 상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식적인 행위를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더라도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가 각각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상시적으로 획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생체 신호 또는 제2 생체 신호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생체 신호 또는 제2 생체 신호는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LTE 다이렉트(LTE Direct),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의 무선 전송은 해당 생체 신호에 대한 양자화(Quantization)가 수행된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 처리부(220)는 위와 같이 획득되는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부(220)는, 인체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서 획득되는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양자화를 수행하여 이들 생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뒤에 이어서 처리되거나 저장될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신호 처리부(220)는 위와 같이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고, 그 동기화된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정보에는, 심전도, 심박수, 체온 정보, 혈압, 산소포화도, 근전도, 땀샘 활성도, 발한량, 호흡수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생체 정보가 반드시 상기 열거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다중 생체 신호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생체 정보가 생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배치된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생체 신호를 획득하고(S311) 사용자의 오른쪽 손목에 배치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S312), 이렇게 획득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각각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S321, S32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양자화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하고(S330), 위와 같이 동기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참조로 하여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0).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생체 정보 중 심전도(ECG) 정보와 같은 일부 생체 정보의 경우에는, 해당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된 다중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르면, 생체 신호 처리부(220)는 앞서 양자화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생체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후속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부(220)는, 앞서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을 수행하여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위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증폭(Amplifying) 및 대역 통과 필터링(Band Pass Filtering)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심전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왼쪽 손목 및 오른쪽 손목에 각각 배치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로부터 각각 획득되어 양자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동기화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은, 위의 동기화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수행하여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 모두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고, 이렇게 변환된 제1 생체 신호 및 제2 생체 신호를 차동 증폭기(450)에 입력시킨 결과로서 도출되는 출력 신호에 대하여 대역 통과 필터링(460) 및 증폭(470)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심전도(ECG) 정보, 즉, 완성된 심전도 신호(ECG(t))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생체 신호 획득부(210), 생체 신호 처리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4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생체 신호 획득부(210), 생체 신호 처리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210: 생체 신호 획득부
220: 생체 신호 처리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

  1.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024556A 2016-02-29 2016-02-29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10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56A KR20160110109A (ko) 2016-02-29 2016-02-29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56A KR20160110109A (ko) 2016-02-29 2016-02-29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676 Division 2015-01-27 2015-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109A true KR20160110109A (ko) 2016-09-21

Family

ID=5707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56A KR20160110109A (ko) 2016-02-29 2016-02-29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0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61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휴이노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14477A (ko) * 2018-08-01 2020-0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39929A (ko) 2020-09-22 2022-03-30 주식회사 웰리시스 다중 채널 연결 방식을 이용한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261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휴이노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14477A (ko) * 2018-08-01 2020-02-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US11134843B2 (en) 2018-08-01 2021-10-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electrocardiogram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20039929A (ko) 2020-09-22 2022-03-30 주식회사 웰리시스 다중 채널 연결 방식을 이용한 웨어러블 패치형 다중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o-Zahhad et al. A wireless emergency telemedicine system for patients monitoring and diagnosis
US20180103859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Patient Monitoring
US20170105679A1 (en) Earphone comprising bio-signal measurement means, and bio-sig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ame
US20160256086A1 (en) Non-Invasive, Bioelectric Lifestyle Management Device
JP2009136666A (ja) 生体信号測定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健康管理サービス方法
US10376211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detecting body physiological information trajectories and establishing disease prevention using a personal wearable device
WO2017069644A2 (en) Wireless eeg headphones for cognitive tracking and neurofeedback
US20210000419A1 (en) Bio-signal measurement means and bio-signal monitoring system
KR20160110109A (ko) 다중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60521B1 (ko) 혈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KR10219355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60213264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McGillion et al. Beyond wellness monitoring: continuous multiparameter remote automated monitoring of patients
Lin et al. The develop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ECG monitoring
US201600451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physiological signal
KR101596274B1 (ko) 원격 건강 진단 시스템
JP6697622B1 (ja) 映像記録システム、映像記録方法及び映像記録プログラム
WO2020050042A1 (ja) 生体情報解析装置、生体情報解析方法、および生体情報解析システム
KR101560285B1 (ko) 광전용적맥파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309569A (zh) 结合智能床组的健康管理系统
KR20180128159A (ko) 고감도 다중 생체신호 취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US10383577B2 (en) Portable sensing and operational device
Castano et al. Redundant measurement of vital signs in a wearable monitor to overcome movement artifacts in home health care environment
Ahmed et al. Conceptual Hybrid Model for Wearable Cardiac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