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075A -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075A
KR20160110075A KR1020160006058A KR20160006058A KR20160110075A KR 20160110075 A KR20160110075 A KR 20160110075A KR 1020160006058 A KR1020160006058 A KR 1020160006058A KR 20160006058 A KR20160006058 A KR 20160006058A KR 20160110075 A KR20160110075 A KR 2016011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de wall
wearable computer
optical module
computer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334B1 (ko
Inventor
박인혁
Original Assignee
박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혁 filed Critical 박인혁
Publication of KR2016011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양측에 각각 제1측벽부(11a)와 제2측벽부(11b)가 연장되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버튼과 휠을 구비한 조작모듈(2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하부측에 상기 조작모듈(20)과 이격되게 구비된 광학모듈(30); 및 상기 본체부(11)의 제2측벽부(11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모듈(20) 및 상기 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조작모듈과 광학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동안에도 마우스를 작동시킬 수가 있고, 중요기능이 각각의 모듈로 분할되어 있어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고장이 발생한 모듈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Wearable computer mouse}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에 착용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컴퓨터용 마우스는 위치를 측정하는 광학계와 클릭 기능을 수행하는 3개의 버튼, 스크롤을 하는 Wheel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개의 경우 Wheel은 버튼 기능을 겸하고 있다. 마우스가 컴퓨터에 유선으로 거나 무선으로 연결되는지에 따라 마우스의 전자회로에 전원부와 무선 송수신부가 추가되기도 한다.
또한,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 본연의 중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 즉, 조작부, 광학부, 회로부가 착탈 가능한 모듈타입으로 분할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부분 중 하나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마우스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는 가장 보편적인 입력장치로, 문자의 타이핑은 키보드가 담당하고, 모니터 상의 커서의 움직임과 아이콘 메뉴의 실행은 마우스가 담당한다. 대부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키보드와 마우스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런데 최근 등장한 터치타입 모니터의 입력방식은 기존의 마우스로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무리가 많다. 종래의 마우스의 경우, 사용자가 두 손으로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동안에는 컴퓨터와 떨어져있는 마우스를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마우스 사용이 필요할 때는 사용자가 키보드 사용을 멈추고 마우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손을 마우스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고자 손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손바닥 벨트식 마우스가 중국공개실용 201465059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손가락이 불편하여 종래의 통상적인 마우스를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한것으로, 엄지손가락으로 작동할 수 있는 2개의 조작버튼이 U자형 벨트 바닥외측에 형성되고 이 조작버튼이 엄지손가락 근처에 위치하도록 끼워지는 것으로, 엄지손가락만으로 조작가능한 구성으로 마우스 작동수행이 늦어지는 단점 및 휠이 없어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고, 손바닥 위치에 구비되는 광전기 인터페이스는 마우스가 끼워진 손의 손바닥이 위치하는 바닥재질에 따라 인터페이스 기능을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 20-2010-0002922 중국 공개 실용신안 20146505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동안에도 손을 키보드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않고 동시에 마우스를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의 고장난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 낭비를 해결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키보드와 마우스를 둘다 신속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 마우스와 같이 검지나 중지 약지 등 2~3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양측에 각각 제1측벽부(11a)와 제2측벽부(11b)가 연장되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버튼과 휠을 구비한 조작모듈(2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하부측에 상기 조작모듈(20)과 이격되게 구비된 광학모듈(30); 및
상기 본체부(11)의 제2측벽부(11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모듈(20) 및 상기 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조작모듈과 광학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서,
상기 제1측벽부(11a)는 서로 이격된 제1연장부(11c)와 제2연장부(11d)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1c)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상기 조작모듈(2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11d)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상기 광학모듈(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서,
상기 광학모듈(30)은 상기 본체부(11)의 하부 또는 상기 제1측벽부(11a)에 기계적 또는 자기적으로 부착되되, 고정부착 또는 위치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서,
상기 광학모듈(30)과 상기 본체부(11) 또는 상기 제1측벽부(11a) 중 어느 하나가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성부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에서,
상기 조작모듈(20)은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또는 약지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동안에도 손을 키보드로부터 멀리 이동하지 않고 동시에 마우스를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수행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는 마우스의 고장난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 낭비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는 마우스 작동지지 받침대가 필요하지 않고 장소나 재질에 구애없이 마우스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위쪽에서 바라볼 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아래쪽에서 바라볼 때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1에 도시된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조작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1에 도시된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광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회로모듈의 사시도 이다.
도 6의 (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광학모듈이 위치이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를 착용한 상태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1)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1)는 도 1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 조작모듈(20), 광학모듈(30) 및 회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모듈과 광학모듈은 연결케이블이나 다양한 접속수단을 통해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를 가지며, 본체부(11) 양측에 각각 제1측벽부(11a)와 제2측벽부(11b)가 연장되어 구비된다. 제1측벽부(11a)가 손바닥쪽으로 배치되고, 제2측벽부(11b)가 손등쪽으로 배치된다.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상부측 일부분에는 검지나 중지 및 약지를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적정위치에 조작모듈(20)을 구비하고, 조작모듈(20)과 이격된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하부측 일부분에 광학모듈(30)을 구비한다. 또한, 제2측벽부(11b)의 외측면의 일부분에는 회로모듈(4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체부(11)와 제1측벽부(11a) 및 제2측벽부(11b)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1), 제1측벽부(11a), 제2측벽부(11b)의 내측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요철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크기 및 형상 등은 사용자의 손에 적합하도록 손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밴드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재나 천재질 또는 금속이나 목재, 석재, 유리 등의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제1측벽부(11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 8 내지 도 9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11a)가 상하 측벽부로 분지된 본체(5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본체(50)의 제1측벽부(11a)는 서로 이격된 제1연장부(11c)와 제2연장부(11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부(11c)의 외측면 일부분에는 조작모듈(20)이 배치될 수 있고 제2연장부(11d)의 외측면 일부분에는 광학모듈(30)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모듈(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 상에 버튼(22)과 버튼(23) 사이의 휠(24)을 구비한다. 버튼 및 휠의 동작 및 구조와 관련된 기계적 및 전자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없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조작모듈의 버튼과 휠은 키보드 작업과 동시에 빠른 조작 및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와 중지 또는 약지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모듈(20), 광학모듈(30), 회로모듈(40)이 본체(10) 혹은 본체(50)과 결합 될 때 권장하는 위치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돌기와 요철 등의 구조를 서로 고정되는 상대면에 적용할 수 있다.
광학모듈(30)은 본체(10)의 제1측벽부(11a)에 자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고정부착되거나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광학모듈(30)은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11a)의 하측부에서 위치이동시키거나,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하부쪽, 즉 손바닥의 날쪽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30'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모듈의 위치이동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주변환경에 따라 광학모듈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정한 위치에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광학모듈은 구비된 광학 센서에서 발사한 빛을 바닥에서 반사된 빛으로 변화를 감지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광학모듈이 위치하는 바닥면 재질에 따라 작동에 영향을 받게 된다.
광학모듈(30)이 본체(10)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제1측벽부(11a) 중 하나가 자기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자성부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자석, 예를 들어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모듈(30)이 자성부재(31), 예를 들어 철부재를 구비하고 제1측벽부(11a)는 자석(13)을 포함한다. 이와 반대로 광학모듈(30)이 자석을 구비하고, 제1측벽부(11a)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자성부재(31)는 단면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선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평평한 판재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체형이거나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형 또는 사각형 선재는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회로모듈(40)은 본체부(11)의 제2측벽부(11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조작모듈(20) 및 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조작모듈과 광학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도 5에 도시된 회로모듈(4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1)의 신호처리 및 전원 구성에 필요한 회로부품과 커버, 건전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모듈을 비롯하여 마우스에 관련된 기계적 및 전자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없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조작모듈(20), 광학모듈(30), 회로모듈(40)은 본체(10)내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케이블 또는 다른 접속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광학모듈의 위치이동에 따라 대응되도록 연결케이블은 스프링형태의 케이블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체내의 지정된 위치에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광학모듈의 저면에 구비하여 회로모듈과 광학모듈이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블의 구성과 연결방식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없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1)를 착용한 상태이다. 사용자의 손과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의 착용된 힘을 높이기 위해, 도 1에 명시된 본체(10)의 본체부(11)쪽 거리(D2)보다 본체부(11) 반대쪽 거리(D1)를 작게 할 수도 있다.
컴퓨터 화면에 키보드 입력을 실행하는 중에도 커서의 움직임이 필요하면, 광학모듈이(30)이 도1, 도6, 도 9과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마우스를 착용한 손을 키보드가 있는 바닥에 내려 광학모듈(30)과 바닥이 일치하게 되면 마우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에 손목 보호대가 있는 경우에도 보호대 표면의 광학적 특성이 일반적이라면 바닥이 아닌 보호대 표면에 광학모듈(30)을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10: 본체
11: 본체부 11a: 제1측벽부
11b: 제2측벽부 11c: 제1연장부
11d: 제2연장부 13: 자석
20: 조작모듈 21: 지지부
22, 23: 버튼 24: 휠
30: 광학모듈 31: 자성부재
40: 회로모듈 D1, D2: 거리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 양측에 각각 제1측벽부(11a)와 제2측벽부(11b)가 연장되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버튼과 휠을 구비한 조작모듈(20);
    상기 본체부(11)의 제1측벽부(11a)의 외측면의 하부측에 상기 조작모듈(20)과 이격되게 구비된 광학모듈(30); 및
    상기 본체부(11)의 제2측벽부(11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모듈(20) 및 상기 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조작모듈과 광학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11a)는 서로 이격된 제1연장부(11c)와 제2연장부(11d)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1c)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상기 조작모듈(2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11d)의 외측면의 일부분에 상기 광학모듈(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30)은 상기 본체부(11)의 하부 또는 상기 제1측벽부(11a)에 기계적 또는 자기적으로 부착되되, 고정부착 또는 위치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모듈(30)과 상기 본체부(11) 또는 상기 제1측벽부(11a) 중 어느 하나가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성부재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모듈(20)은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또는 약지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KR1020160006058A 2015-03-09 2016-01-18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KR101767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810 2015-03-09
KR20150032810 2015-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075A true KR20160110075A (ko) 2016-09-21
KR101767334B1 KR101767334B1 (ko) 2017-08-10

Family

ID=5708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058A KR101767334B1 (ko) 2015-03-09 2016-01-18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03A1 (ko) * 2016-12-05 2018-06-14 박재홍 웨어러블 컨트롤러
CN109814728A (zh) * 2019-04-08 2019-05-2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小型设备的局部转向结构及磁吸式指环穿戴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922U (ko) 2008-09-04 2010-03-12 조종만 컴퓨터용 마우스
CN201465059U (zh) 2009-05-11 2010-05-12 北京灿翔科技有限公司 一种掌带式无线鼠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13B1 (ko) * 2008-07-28 2009-11-11 함찬영 센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컴퓨터용 마우스
KR100972057B1 (ko) * 2008-08-29 2010-07-22 박종원 마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922U (ko) 2008-09-04 2010-03-12 조종만 컴퓨터용 마우스
CN201465059U (zh) 2009-05-11 2010-05-12 北京灿翔科技有限公司 一种掌带式无线鼠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903A1 (ko) * 2016-12-05 2018-06-14 박재홍 웨어러블 컨트롤러
CN109814728A (zh) * 2019-04-08 2019-05-2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小型设备的局部转向结构及磁吸式指环穿戴结构
CN109814728B (zh) * 2019-04-08 2024-02-27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小型设备的局部转向结构及磁吸式指环穿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334B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791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10365730B2 (en) Input device with track ball
NZ593922A (en) Interactive game pieces using touch screen devices for toy play
KR100996664B1 (ko) 고정형 마우스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JP2014006565A5 (ko)
US20100177043A1 (en) Flip-operation mouse device
KR101219676B1 (ko) 전자기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67334B1 (ko) 웨어러블 컴퓨터 마우스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RU2430402C2 (ru) Манипулятор типа "мышь"
CN102479007A (zh) 光学键盘
US9035885B2 (en) Optical input apparatus
US20120218185A1 (en) Non-directional mouse
TW201643621A (zh) 游標控制裝置與方法
US20120327010A1 (en) Pointing device
KR20140022584A (ko) 스마트 ir 입력장치
KR20170103312A (ko) 펜 마우스 장치
US20080316172A1 (en) Manual input device
WO2010095069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TWI382332B (zh) 具有非觸控介面之手持裝置
KR101032995B1 (ko) 전자제품용 신호입력장치
KR101602454B1 (ko) 펜 마우스 장치
US20100194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694281B1 (ko) 다방향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