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97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973A
KR20160109973A KR1020150056802A KR20150056802A KR20160109973A KR 20160109973 A KR20160109973 A KR 20160109973A KR 1020150056802 A KR1020150056802 A KR 1020150056802A KR 20150056802 A KR20150056802 A KR 20150056802A KR 20160109973 A KR20160109973 A KR 2016010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age
terminal
base station
control target
targ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818B1 (ko
Inventor
전요셉
김용상
맹승주
최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69,2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75959B2/en
Priority to CN201680015335.8A priority patent/CN107431940B/zh
Priority to PCT/KR2016/002498 priority patent/WO2016144145A2/en
Priority to EP16762032.7A priority patent/EP326917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 제어 방법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커버리지가 증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UPLINK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한편, VoLTE(Voice over LTE)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방식인 LTE/LTE-A의 기술 중 하나로,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3세대 무선통신과 같이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VoLTE는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사용할 수 있는 VoIP(voice over IP)와는 달리, 통신사(또는, 사업자)가 네트워크(network) 상황에 따라 전송 속도를 조절하고 통화가 끊기지 않도록 관리한다. 이에 따라, VoLTE는 회선 교환 방식에 비하여 연결 속도가 빠르고 높은 통화 품질을 유지한다.
그러나 VoLTE는 기존 3세대 무선통신에서 사용하는 낮은 데이터 전송율(low data rate), 회선 교환 방식 기반의 음성 통신 전용 규격에 비하여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커버리지가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지국이 커버리지 증대가 필요한 단말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말들에 대해 커버리지 증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 제어 방법은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커버리지가 증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커버리지가 증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 내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 중 상향링크 커버리지 증대가 필요한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상향링크 커버리지가 증대된 단말은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상향링크 전송 신뢰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커버리지 증대가 필요한 단말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단말들에 대해 커버리지 증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증대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단말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증대 방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커버리지 증대가 필요한 단말을 선택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이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단말이 RLC 패킷을 MAC 패킷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원 코디네이터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끊임없는 VoLTE(voice over LTE)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에서 커버리지 향상이 필요한 단말을 결정하고,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적용하며, 커버리지 향상이 필요하지 않은 단말에 대해서는 상기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방안 적용을 해제하는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커버리지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 링크보다,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 링크가 더 작다. 이에 따라, 상향 링크 커버리지 향상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향링크 커버리지 향상을 위해,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bundling), RLC(Radio Link Control) 분할(segmentation),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증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HARQ 재전송 시 번들링(bundle) 단위 호핑, 자원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사용하는 UL smart(또 다른 용어로, 'UL 자원 코디네이션'으로 칭할 수도 있다) 등의 방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상기 TTI 번들링(bundling) 방법은 커버리지 외곽(coverage edge)에 있는 단말들의 HARQ 재전송 횟수 증가로 인한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RLC 분할(segmentation) 방법은 LTE 규격의 RLC에서 패킷(packet)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한번에 전송하는 패킷 크기를 줄이고 여러 번에 걸쳐 전송하는 방안이다. 상기 RLC 분할 방법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예를 들어, TTI) 동안 전송할 RB(Resource Block) 수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낮게 설정할 수 있어 BLER(Block Error Rate)을 낮춰 전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HARQ 최대 재전송 횟수 증가 방법은 기지국에서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이 다르지만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가 전송하여, 단말의 디코딩 성공 확률을 높이는 방안이다.
상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은 HARQ 재전송 시에, 각 전송 타이밍 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이득을 얻는 방안이다.
상기 HARQ 재전송 시 번들링(bundle) 단위 호핑은 TTI 번들링을 사용할 경우 HARQ 재전송 시에 각 전송 타이밍 마다 번들 단위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방안이다.
상기 자원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사용하는 UL Smart('UL 자원 코디네이션) 방안은 자원 coordinator를 이용하여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기지국을 제어하여 셀 간 간섭이 적도록 VoLTE 단말에 RB를 할당하는 방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EUTRAN,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10) 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20) 및 S-GW(Serving - Gateway, 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한다)(100)은 ENB 및 S-GW, 그리고 P-GW(PDN - Gateway)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ENB(기지국)(110)는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로서, UTRAN 시스템의 RNC 그리고 GERAN 시스템의 BSC에 대응된다. ENB(110)는 UE(100)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RNC/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ENB는 여러 개의 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가 담당한다.
MME(120)는 각 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하나의 MME는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어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140)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수준에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이다.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150)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와 관련된 정책(policy)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정책에 해당하는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rule)은 P-GW(160)에 전달되어 적용된다.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150)는 트래픽에 대한 QoS 및 과금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엔터티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UP라 함은 사용자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UE(100)와 RAN 노드(110), RAN 노드(110)에서 S-GW(130), 그리고 S-GW(130)에서 P-GW(160)를 잇는 경로를 일컫는다. 그런데 이 경로 중 자원의 제한이 심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부분은 UE(100)와 RAN 노드(110) 사이의 경로이다.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S를 적용할 수 있는 단위는 EPS 베어러 이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동일한 QoS 요구사항을 갖는 IP 플로우(IP Flow)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EPS 베어러에는 QoS와 관련된 파라메터가 지정될 수 있으며 여기엔 서비스 품질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 QCI)와 할당 및 보유 우선순위(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가 포함된다. 상기 QCI는 QoS 우선 순위를 정수 값으로 정의한 파라미터이며, ARP는 새로운 EPS 베어러 생성을 허락 또는 거절할 것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파라미터이다.
EPS 베어러는 GPRS 시스템의 PDP 컨텍스트(PDP context)에 대응된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PDN 커넥션(PDN connection)에 속하게 되며, PDN 커넥션 은 APN(Access Point Name)을 속성으로 가질 수 있다. 만약 VoLTE와 같은 IMS 서비스를 위한 PDN 커넥션이 생성된 경우, 해당 PDN 커넥션은 well-known IMS APN을 사용해 생성되어야 한다.
한편, LTE 망에서는 음성 통화를 지원하기 위해 PS(Packet Switched) 방식으로 IMS 기반의 VoLTE (Voice over LTE) 기술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2G/3G 시스템의 CS(Circuit Switched) 방식을 재활용하는 CSFB(CS fall back)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LTE 망에서 VoLTE는 VoIMS(Voice over IMS)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단말들에 대해 커버리지 증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는 기지국이 셀 내의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들 중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단말에 커버리지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단계, 이후에 커버리지 향상 방안이 필요하지 않은 단말에 대해서는 커버리지 향상 방안을 적용하지 않도록 해제하는 단계, 커버리지 향상 방안 해제된 단말의 파라미터를 기지국에서 통상적인 운용 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들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커버리지 제어는 커버리지를 증대시키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대되도록 제어되는 커버리지는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의 수행하는 도 2의 과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우선 S210 단계에서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을 결정한다. 기지국이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기지국은 Vo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논리적인 데이터 전송 통로)가 규격에 따라 설정된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에 대해서는 VoLTE 전송을 위한 논리적인 절차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VoLTE를 위한 무선 베어러는, 상기 무선 베어러의 특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 하나인 QCI(QoS Class Identifier)가 1 또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의 QCI를 확인하면, 단말에 대해 Vo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상기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 단말들 중,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블록 사이즈 (transport block size, TBS)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TBS_setupthreshold) 보다 작은 단말을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TBSi < TBSsetupthreshold
여기서, 상기 TBSi 는 단말 i 가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 이다.
또는, 기지국은 상기의 VoLTE를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RSRP_setupthreshold) 보다 작은 단말을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수학식 2]
RSRPi < RSRPsetupthreshold
여기서, 상기 RSRPi는 서빙 셀로부터 단말 i가 수신하는 RSRP 이다.
기지국은 VoLTE를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 상기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단말을 커버리지 증대를 위한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220 단계에서, 커버리지 제어를 위해 설정된 단말들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향상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향링크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RLC(Radio Link Control) 분할(segmentation),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증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bundling), HARQ 재전송 시 bundle 단위 호핑, Uplink 자원에 대한 multicell coordinator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의 각 방법은 단독으로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상기 RLC 분할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LTE 규격의 RLC 계층에서 생성된 VoLTE 패킷을 복수 개의 MAC 패킷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RLC 분할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상기 DCI format 0에 MCS와 RB 수를 지정하여 상기 단말의 RLC 분할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단말로 하여금 많은 수의 MAC 패킷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할 수록, 단말이 물리 계층(PHY)에서 한 번에 전송하는 패킷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동일한 크기의 원본 패킷을 복수 회에 걸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줄어든 패킷 크기에 맞게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의 수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가 낮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사항을 도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단말이 RLC 패킷을 MAC 패킷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단말이 하나의 RLC 패킷을 두 개의 MAC 패킷으로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RLC 계층에서 하나의 RLC 패킷을 두 개의 MAC 패킷으로 분할하였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b에서와 같이 4 개의 MAC 패킷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RB 수가 줄어들면, RB당 소모되는 단말의 출력이 높아지고, 또한 MCS가 낮아지게 되면 패킷 에러율(packet error rate)이 낮아지므로, 통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에 대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VoLTE codec 12.2 kbps로 VoLTE 패킷이 20ms 마다 입력된다고 가정해보도록 한다. 이 경우,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미적용 시 약 78 바이트(Byte)의 TBS(transport block size)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3 RB, MCS 12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VoLTE 패킷(packet)을 2개로 분할(segment)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할된 패킷을 전송하는데 각각 3 RB, MCS 7가 사용되게 된다. 즉, 동일한 R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CS 레벨을 낮출 수 있으므로 통신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 VoLTE 패킷을 2개로 분할한 경우, MCS를 동일하게 12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2RB가 사용되게 된다. 즉, 동일한 MCS 레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되는 RB의 개수를 낮출 수 있으므로 RB당 소모되는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두 번째 방법으로, HARQ 재전송 횟수를 늘리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HARQ 재전송 횟수를 최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실패하였을 경우 이를 재전송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상기 HARQ 재전송 횟수는 LTE 규격상의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 MAC-MainConfig > ul-SCH-Config > maxHARQ-Tx 설정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을 도시하면 하기의 표 1과 같다.
MAC-MainConfig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MAC-MainConfig ::= SEQUENCE {
ul-SCH-Config SEQUENCE {
maxHARQ-Tx ENUMERATED {
n1, n2, n3, n4, n5, n6, n7, n8,
n10, n12, n16, n20, n24, n28,
spare2, spare1} OPTIONAL, -- Need ON
periodicBSR-Timer ENUMERATED {
sf5, sf10, sf16, sf20, sf32, sf40, sf64, sf80,
sf128, sf160, sf320, sf640, sf1280, sf2560,
infinity, spare1} OPTIONAL, -- Need ON
retxBSR-Timer ENUMERATED {
sf320, sf640, sf1280, sf2560, sf5120,
sf10240, spare2, spare1},
ttiBundling BOOLEAN
} OPTIONAL, -- Need ON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세 번째 방법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수신 시 주파수 호핑에 의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억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 호핑은 LTE 규격상의 PUSCH-Config > PUSCH-ConfigCommon > pusch-ConfigBasic > hoppingMode 설정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을 도시하면 하기의 표 2와 같다.
PUSCH-Config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PUSCH-ConfigCommon ::= SEQUENCE {
pusch-ConfigBasic SEQUENCE {
n-SB INTEGER (1..4),
hoppingMode ENUMERATED {interSubFrame, intraAndInterSubFrame},
pusch-HoppingOffset INTEGER (0..98),
enable64QAM BOOLEAN
},
ul-ReferenceSignalsPUSCH UL-ReferenceSignalsPUSCH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네 번째 방법으로, TTI 번들링 방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제어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에게 TTI 번들링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TTI 번들링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지만, 리던던시 버전이 다르게 설정된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패킷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므로, 데이터 복조 및 복호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TTI 번들링은 LTE 규격상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 MAC-MainConfig > ul-SCH-Config > ttiBundling 설정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을 도시하면 하기의 표 3과 같다.
MAC-MainConfig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MAC-MainConfig ::= SEQUENCE {
ul-SCH-Config SEQUENCE {
maxHARQ-Tx ENUMERATED {
n1, n2, n3, n4, n5, n6, n7, n8,
n10, n12, n16, n20, n24, n28,
spare2, spare1} OPTIONAL, -- Need ON
periodicBSR-Timer ENUMERATED {
sf5, sf10, sf16, sf20, sf32, sf40, sf64, sf80,
sf128, sf160, sf320, sf640, sf1280, sf2560,
infinity, spare1} OPTIONAL, -- Need ON
retxBSR-Timer ENUMERATED {
sf320, sf640, sf1280, sf2560, sf5120,
sf10240, spare2, spare1},
ttiBundling BOOLEAN
} OPTIONAL, -- Need ON
한편, TTI 번들링을 수행할 경우 같은 위치의 RB에서 여러 TTI에 걸쳐 신호가 전송된다. 이때, 무선 채널 환경이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환경인지, 평면 페이딩 환경인지 혹은 사용자 단말이 고속이나 저속으로 이동하는 환경인지에 따라 적합한 채널 추정 방법을 사용하면 정밀한 채널 추정이 가능하여 추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채널 추정 방법은 시간 도메인 필터링(time-domain filtering)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다섯 번째 방법으로, HARQ 재전송 시 bundle 단위로 호핑하는 방법을 기술하도록 한다. TTI bundling 적용 시 bundling 되는 시국간 내에서의 scheduling을 동일한 RB 위치에 할당하도록 하면 bundling 자원에 대해서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 해당 bundling 된 자원에 대한 채널 추정 이득을 얻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TTI bundling 자원을 재전송할 경우, bundling 내에서의 RB 는 동일한 위치로 고정하여 scheduling 하되, 재전송되는 bundling 단위는 frequency hopping 이득을 얻도록 RB 를 변경하여 hopping 효과를 얻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재전송시 채널 추정 이득과 frequency hopping 이득을 모두 얻을 수 있다.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여섯 번째 방법으로, 자원 코디네이터(coordinator)를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원 코디네이터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상향링크 스케쥴링 자원 코디네이터(uplink scheduling resource coordinator)(900)가 있는 경우, coordinator(900)는 S910 단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1(910), 기지국 2(920) 등으로부터 VoLTE 커버리지 향상 방안이 필요한 단말 list, VoLTE packet 전송 시점에 대한 정보, 채널 추정 정보, 간섭 정보 등을 전달 받는다.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coordinator(900)는 uplink volte packet 전송이 필요한 시점에 대하여 셀 간에 uplink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coordination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을 A, B로 나누어 A는 기지국 1(910)의 셀 경계(cell edge)에서 VoLTE 커버리지 향상 방안이 필요한 단말에게 할당하고, B는 기지국 2(920)의 셀 경계(cell edge)에서 VoLTE 커버리지 향상 방안이 필요한 단말에게 할당한다. 또한 주파수 대역 B를 기지국 1(910)의 중앙(center)에 있는 단말에게 할당하여 기지국 2(920)에 간섭(interference)이 적게 가도록 설정한다.
유사하게, 주파수 대역 A를 기지국 2(920)의 중앙(center)에 있는 단말에게 할당하여 기지국 1(910)에 간섭(interference)이 적게 가도록 설정한다.
또한, 자원 코디네이터(coordinator)(900)와 기지국 간, 메시지 전송 지연(delay)이 있는 경우에는 bundling 이 사용되거나 재전송이 예상되는 단말에 대하여서도 시구간에서의 연속적인 coordination과 재전송을 고려한 coordination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자원 Coordinator)900)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정보는 특정 기지국이 특정 시간에 상향링크 커버리지(uplink coverage) 확대를 위해 사용하는 자원 여부를 비트맵(bitmap)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coordination 된 정보를 각 기지국에 전달하여 각 기지국이 상향링크 커버리지(uplink coverage) 확대가 필요한 단말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에서 비간섭적으로 스케줄링(scheduling)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지국은 도 2의 S23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커버리지 제어로 설정된 단말들에 대해 커버리지 제어 적용을 해제할 수 있다.
기지국이 커버리지 제어로 설정된 단말들에 대해 커버리지 제어 적용을 해제할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하기의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우선, 기지국은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클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제어 적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TBSi ≥ TBSsetupthreshold
여기서, 상기 TBSi 는 단말 i 가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 이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설정된 VoLTE 전송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가 해제된 단말들에 대해서도 커버리지 제어 적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S24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제어 적용을 해제 하기 위해, 단말에 설정된 파라미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술한 LTE 규격 상 radioResourceConfigDedicated > MAC-MainConfig > ul-SCH-Config > maxHARQ-Tx 를 통상적인 운용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PUSCH-Config > PUSCH-ConfigCommon > pusch-ConfigBasic > hoppingMode 를 통상적인 운용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제어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단말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2의 S210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우선, 기지국은 S310 단계에서, 자신이 운용하는 서빙 셀 내에 VoLTE 전송을 위한 라디오 베어라가 설정된 단말을 확인한다.
이어서, 기지국은 S320 단계에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TBS_setupthreshold) 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기 S32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RSRP_setupthreshold) 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들에 대해서는 S330 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향상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대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은 상기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지 않는 단말들에 대해서는 S34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향상 방안을 미적용하는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단말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기지국은 S410 단계 및 S420 단계를 통해,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TBS_setupthreshold) 보다 작고, VoLTE 전송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가 계속 설정된 단말들에 대해서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향상 방안 적용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은 S410 단계에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TBS_setupthreshold) 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단말에 대해서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향상 방안 적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420 단계에서, 비록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TBS_setupthreshold) 보다 작은 단말이라 하더라도, VoLTE 전송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가 해제된 단말에 대해서도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커버리지 향상 방안 적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커버리지 0가 필요한 단말을 선택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이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S510 단계에서,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S510 단계에서, 서빙 셀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빙 셀에 대한 RSRP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Measurement Report)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520 단계에서, 단말에게 상기 단말이 커버리지 제어 적용 단말로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통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송수신부(710)와, 제어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신호는 단말의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단말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한 엔티티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잇다.
제어부(720)는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커버리지를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20)는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상기 확인된 단말들 중에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블록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는 상기 언급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단말들을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720)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들에 대해,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이, RCL(Radio Link Control) 패킷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패킷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주파수 호핑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20)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20)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 중에서,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해제되거나, 또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큰 단말에 대해, 커버리지 제어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720)가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를 더 포함하고, 각 유닛들이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한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721)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72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810)와, 제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단말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8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8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820)로 출력하고, 제어부(8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단말이 기지국의 제어를 통해 커버리지가 증대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TBS(transport block size)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0)는 서빙 셀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빙 셀에 대한 RSRP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Measurement Report)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된 TBS 또는 RSRP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의 커버리지 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0)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커버리지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RLC(Radio Link Control) 분할(segmentation),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최대 재전송 횟수 증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bundling)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운영하는 셀 내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 중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가 필요한 단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상향링크 커버리지가 증대된 단말은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상향링크 전송 신뢰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기지국>
710 : 송수신부
720 : 제어부
721 : 커버리지 제어 단말 관리부
<단말>
810 : 송수신부
820 : 제어부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커버리지가 증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에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블록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이, RCL(Radio Link Control) 패킷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패킷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주파수 호핑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 중에서,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해제되거나, 또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큰 단말에 대해, 커버리지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제어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를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커버리지가 증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에서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블록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 내에 있으며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단말들 중에서,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을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이, RCL(Radio Link Control) 패킷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패킷으로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재전송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주파수 호핑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리지 제어 대상 단말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번들링 수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VoLTE(voice over LTE)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해제되거나, 또는 측정 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서빙 셀에 대한 기준 신호 수신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값보다 큰 단말에 대해, 커버리지 제어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50056802A 2015-03-12 2015-04-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69,267 US10075959B2 (en) 2015-03-12 2016-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680015335.8A CN107431940B (zh) 2015-03-12 2016-03-14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上行链路的覆盖的方法和装置
PCT/KR2016/002498 WO2016144145A2 (en) 2015-03-12 2016-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762032.7A EP3269172B1 (en) 2015-03-12 2016-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1946P 2015-03-12 2015-03-12
US62/131,946 2015-03-12
KR1020150045712 2015-03-31
KR20150045712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973A true KR20160109973A (ko) 2016-09-21
KR102301818B1 KR102301818B1 (ko) 2021-09-15

Family

ID=5708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02A KR102301818B1 (ko) 2015-03-12 2015-04-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69172B1 (ko)
KR (1) KR102301818B1 (ko)
CN (1) CN107431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8286B (zh) * 2018-08-03 2020-08-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据重传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1670A1 (en) * 2007-10-01 2009-06-04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control header format
WO2013138779A1 (en) * 2012-03-16 2013-09-19 Intel Corporati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bundling
US20130279480A1 (en) * 2011-01-08 2013-10-24 Dong Hyun Park Method for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n harq ack/nack signal, and device using same
WO2013169152A1 (en) * 2012-05-07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ditional range expansion in a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40362832A1 (en) * 2012-01-24 2014-1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uplink coverag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42346A (zh) * 2007-11-20 2009-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反向功率控制的实现方法
CN101488788B (zh) * 2008-01-16 2013-01-16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下行发射功率的方法及系统
US8321740B2 (en) * 2008-08-15 2012-11-27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TTI bundling
CN101494894B (zh) * 2008-12-31 2011-0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反向功率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1877860B (zh) * 2009-04-28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节点、服务网关、中继数据的传输方法及系统
US9591593B2 (en) * 2011-07-22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uplink power control
WO2013098594A1 (en) * 2011-12-30 2013-07-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age extension
US9813197B2 (en) * 2012-01-30 2017-11-07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verage enhancement of uplink VoIP
EP3288208B1 (en) * 2012-09-25 2021-06-23 NEC Corporation Methods for enhancing coverage
EP3809759A3 (en) * 2012-10-05 2021-05-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feedback
CN104349458B (zh) * 2013-08-08 2019-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通信节点及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1670A1 (en) * 2007-10-01 2009-06-04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control header format
US20130279480A1 (en) * 2011-01-08 2013-10-24 Dong Hyun Park Method for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an harq ack/nack signal, and device using same
US20140362832A1 (en) * 2012-01-24 2014-1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uplink coverage
WO2013138779A1 (en) * 2012-03-16 2013-09-19 Intel Corporati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bundling
WO2013169152A1 (en) * 2012-05-07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ditional range expansion in a heterogeneous tele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9172A4 (en) 2018-04-11
EP3269172A2 (en) 2018-01-17
EP3269172B1 (en) 2019-12-25
CN107431940A (zh) 2017-12-01
KR102301818B1 (ko) 2021-09-15
CN107431940B (zh)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8033A1 (en) Selecting among various dual connectivity and single connectivity configurations
EP3709733B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in d2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67560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サイドリンク制御情報送信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AU20142640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aware medium access selection
KR102446209B1 (ko) 단일의 라디오 사용자 장비를 통한 듀얼 액티브 접속들
JP6478246B2 (ja) 通信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機器
US20210120528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60234851A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11089645B2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base station
WO2020200135A1 (zh) 一种资源配置方法及通信装置
US10470097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20503803A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端末デバイス
US20150264703A1 (en)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and Mitigation for LTE-M
WO2019051782A1 (zh) 用于资源选择的方法和设备
JP6833868B2 (ja) 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設備及び端末設備
JP2021523615A (ja)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9196748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US1082748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US2021029718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0050415B (zh) 用于上行链路传送的方法和设备
US11889474B2 (en) Method for carrier selection in vehicle to everyth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WO202203052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US100759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8511205A (ja) Wlan/3gppアグリゲーションでの上り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
WO2020124534A1 (zh) 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