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919A -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919A
KR20160109919A KR1020150035192A KR20150035192A KR20160109919A KR 20160109919 A KR20160109919 A KR 20160109919A KR 1020150035192 A KR1020150035192 A KR 1020150035192A KR 20150035192 A KR20150035192 A KR 20150035192A KR 20160109919 A KR20160109919 A KR 2016010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bile cell
node
cell nod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919A/ko
Publication of KR2016010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셀 기반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에 기지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셀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셀 노드는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및 로컬 서버(local server)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200)과의 무선 백홀(backhaul) 링크,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사이드홀(sidehaul) 링크,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10)들과 액세스(access) 링크를 제공하여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ased on moving cell node}
본 발명은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이동셀 기술은 트래픽 폭증의 해결 기술인 고정형 소형셀 기술을 더욱 진화시켜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지속적인 연결이 가능한 이동셀 기술로 네트워크가 사용자를 따라 움직이는 개념이다. 이동셀 기술은 필요한 시간 및 필요한 장소에 사용자 중심의 이동셀을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무선자원 용량증대 효과 및 기존에 서비스를 공급받는 사용자의 형태에서 서비스 공급자로 변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사용하는 단말이 움직이는 방법으로, 고정형 소형셀 설정이나 새로운 기지국이 설정될 때 self-organization 을 통한 설정 방법이 사용된다. 새로운 기지국이 설치되었을 경우 설정 절차는 두 가지의 종래의 절차가 존재한다. 하나는 단말이 주위에 새로운 기지국 있을 경우 새로운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현재 접속되어있는 기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과, 다른 하나는 새로운 기지국이 self-configuration 방식으로 망에 직접 접속하여 기지국으로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망에서 획득하여 기존의 다른 기지국과의 x2 인터페이스 설정하고,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인터페이스인 S1 설정을 한 후 동작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4-70185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셀 노드와 기지국과의 관계에서 이동셀 노드가 단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에서는 이동셀 노드가 기지국 또는 단말직접 통신을 통해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에 기지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셀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셀 노드는,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및 로컬 서버(local server)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200)과의 무선 백홀(backhaul) 링크,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사이드홀(sidehaul) 링크,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10)들과 액세스(access) 링크를 제공하여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셀 노드는, 로컬 게이트웨이 기능을 통해 이동셀 노드에 연결된 하위의 사용자 단말에게 로컬 라우팅(local routed)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셀 노드는, IP 위의 계층 및 베어러와 IP 계층을 관리하는 계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셀 노드는, 이동셀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이동셀 내부에서 연결된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연결인지 혹은 GTP-U를 통한 코어망으로의 연결인지를 판별하여 베어러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셀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주변의 이동셀 노드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변 이동셀 노드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셀 노드는, 주변 이동셀 노드의 탐색(discovery)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 이동셀 노드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셀 노드는, D2D(device-to-device) 방식으로 이동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셀 노드가 주변 이동셀 노드와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셀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셀 노드에 연결된 하위의 사용자 단말에게 로컬 라우팅(local routed) 기능을 통해 코어망으로 나가서 사용될 데이터 량을 내부에서 해소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셀 노드가 무선 백홀 및 사이드홀을 통해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셀 간 협력을 통해 수신단에서의 간섭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의 이동셀 노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방법에 대한 이동셀 노드 설정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방법에 대한 이동셀 노드 통신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중심의 이동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셀이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10), 이동셀 노드(Moving Cell Node, MCN)(100), 기지국(e-Node Base station, eNB)(200), 이동성 관리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300), 게이트웨이(Gateway, GW)(400), 공중 데이터망(Public Data Network, PDN)(500) 및 서버(Server, SV)(6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이동셀 노드(100)와 통신 접속되어, 이동셀 노드(100)와 연결된 기지국(20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노트북(notebook),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무선 센서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은 어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셀 노드(10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동셀 노드(100)는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로컬 서버(local server)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 기존의 모바일 릴레이(mobile relay) 보다 상위 계층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셀 노드(100)는 로컬 게이트웨이 기능을 통해 이동셀 노드(100)에 연결된 하위의 사용자 단말(10)에게 로컬 라우팅(local routed) 기능을 통해 코어망으로 나가서 사용될 데이터 량을 내부에서 해소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셀 노드(100)는 IP 위의 계층 및 베어러와 IP 계층을 관리하는 계층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셀 노드(100)는 로컬 라우팅 기능을 위해 이동셀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X 부분에서 이동셀 내부에서 연결된 사용자 단말(10)들에 대한 연결인지 혹은 GTP-U를 통한 코어망으로의 연결인지를 판별하여 베어러를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셀 노드(100)는 로컬 서버 역할을 함으로서 로컬 캐싱 기능을 통해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10)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셀 노드(100)는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200)과의 무선 백홀(backhaul) 링크,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사이드홀(sidehaul) 링크,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10)들과 액세스(access)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셀 노드(100)는 무선 백홀 및 사이드홀을 통해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셀 간 협력을 통해 수신단에서의 간섭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동셀 노드(1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주변의 이동셀 노드(1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주변 이동셀 노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동셀 노드(100)는 주변 이동셀 노드의 탐색(discovery)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 이동셀 노드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셀 노드(100)는 기지국(200)에 연결되어 새로운 셀을 구성하고, 구성된 이동셀에서 탐색(discovery)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셀 내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어 액세스(access)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셀 노드(10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중심으로 셀을 이동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동셀 노드(100)는 이동셀과 접속 단말 간의 동적 클러스터링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접속 단말의 원거리 기지국(200)과의 통신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은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셀 노드(100)는 사물인터넷 허브(Internet of Things Hub, IoT Hub) 역할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셀 노드(100)는 M2M 단말과 같은 사물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네트워크에 수용될 수 있으며, 공공안전 소형셀의 역할로서 인프라 부재인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이동셀 노드(100)와 RRC 연결 설정 및 재설정 과정을 통해 이동셀 노드(100)와의 통신 구조를 구성한다.
이동성 관리기(300)는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동셀 노드(100), 기지국(200), 게이트웨이(400), 서버(600) 등의 세션 관리, 이동성 관리와 같은 호 처리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동성 관리기(300)는 게이트웨이(400) 간 디폴트 베어러(default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00)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및 PDN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기지국(200) 간 또는 LTE 망과 다른 3GPP망 간의 핸드오버 시 기준점(anchor point)이 된다. 이때, 서빙 게이트웨이는 이동성 관리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PDN 게이트웨이는 단말과 외부 데이터 망사이의 연결성(connectivity)을 제공하며 LTE 망과 non-3GPP 망간의 핸드오버 시 기준점이 된다. 이때, PDN 게이트웨이는 베어러의 QoS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PDN 게이트웨이는 즉, P-GW는 베어러 레벨에서 QCI(QoS Class Identifier),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GBR(Guaranteed Bit Rate) 및 MBR(Maximum Bit Rate)와 같은 QoS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PDN 게이트웨이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쌍의 페어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PDN 게이트웨이는 공중 데이터망(50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 신호를 서빙 게이트웨이로 전달할 수 있다.
공중 데이터망(500)은 공중에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 운영되는 망으로, PDN 게이트웨이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전달할 경로를 탐색하여 해당 서버(600)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600)는 이동셀 노드(100)의 환경구성 서버일 수 있다. 서버(600)는 이동셀 노드(100)의 환경 설정 파라메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셀 노드(100)의 요청에 따라 파라메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의 이동셀 노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셀 노드(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연결 설정부(140), 파라메터 설정부(150) 및 신호 탐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이동셀 노드(100)의 각 부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기지국,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 등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이 속한 이동셀 주변의 셀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D2D(device-to-device)방식으로 이동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이동셀 노드(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30)는 이동셀 구성을 위한 설정값, 기지국, 주변 이동셀 노드 및 사용자 단말 등과의 통신을 위한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이동망 선택, 연결 설정, 인증 요청, 주변 이동셀 노드 또는 사용자 단말의 탐색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설정부(140)는 기지국과의 무선 백홀(backhaul) 링크,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사이드홀(sidehaul) 링크,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들과 액세스(access) 링크와 같은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설정부(140)는 무선 백홀 및 사이드홀을 통해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파라메터 설정부(150)는 이동셀 노드(100)의 환경구성 서버에 접속하여 이동셀 설정 파라메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파라메터 설정부(150)는 환경구성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셀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파라메터 설정부(150)에 의해 이동셀 노드(100) 동작에 필요한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셀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신호 탐색부(160)는 이동셀 노드(100) 주변에 위치한 주변 이동셀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신호 탐색부(160)는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주변 이동셀 노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주변 이동셀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탐색부(160)는 주변 이동셀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탐색(discovery)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주변 이동셀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신호 탐색부(160)는 이동셀 노드(100)가 이동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셀 내에 있는 단말들로 탐색(discovery) 신호를 방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신호 탐색부(160)의 탐색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해당 이동셀 노드(100)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이동셀 노드(100)와 사용자 단말 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방법에 대한 이동셀 노드 설정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동셀 노드의 초기 설정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셀 노드(MCN)(100)는 처음으로 망에 접속을 하고자 하는 경우, 마치 단말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이동셀 노드(MCN)(100)는 이동망을 지원하는 기지국 식별정보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선택하고(S110), 이때 선택된 기지국(eNB)(200)과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한다(S120). 이후, 이동셀 노드(MCN)(100)는 기지국(eNB)(200)을 통해 이동성 관리기(MME)(300)로 접속(attach)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30).
이동성 관리기(MME)(300)는 접속 요청한 이동셀 노드(MCN)(100)를 인증하고(S140), 이동셀 노드(MCN)(100)의 초기 설정에 필요한 서버(SV)(600), 게이트웨이(GW)(400), 이동셀 노드(MCN)(100)의 IP 주소를 할당하도록 한다(S150).
또한, 이동성 관리기(MME)(300)는 게이트웨이(GW)(400) 간에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하고(S160), 기지국(eNB)(200)으로 초기 컨텍스트 설정을 요청하도록 한다(S170). 'S170' 과정에서 이동성 관리기(MME)(300)는 'S160' 과정에서 설정된 디폴트 베어러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eNB)(200)은 이동셀 노드(MCN)(100)에게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전송하여 RRC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S180). 'S180' 과정에서 기지국(eNB)(200)은 이동성 관리기(MME)(300)로부터 수신한 디폴트 베어러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동셀 노드(MCN)(100)와 기지국(eNB)(200) 간 RRC 연결 재구성이 완료되면, 기지국(eNB)(200)은 이동성 관리기(MME)(3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190), 이동성 관리기(MME)(300)는 기지국(eNB)(200)의 응답에 근거해 게이트웨이(GW)(400) 간 베어러 설정을 업데이트하도록 한다(S200).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셀 노드(MCN)(100)는 서버(SV)(600)에 접속하여 이동셀 설정 파라메터 정보를 요청하고(S210, S220), 서버(SV)(6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이동셀 파라메터를 설정하도록 한다(S230, S2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방법에 대한 이동셀 노드 통신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셀 노드는 도 3에서와 같이 이동셀 파라미터 설정이 완료되면, 이동셀 모드로 동작한다(S310).
이때, 이동셀 노드는 주변의 이동셀 노드를 탐색하도록 한다(S310). 여기서, 이동셀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주변 이동셀 노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주변 이동셀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이동셀 노드는 주변 이동셀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탐색(discovery)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주변 이동셀 노드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S320' 과정에서 주변 이동셀 노드가 탐색되면, 이동셀 노드는 탐색된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통신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330, S340). 한편, 'S340'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셀 노드는 이동셀 내에 있는 단말들로 탐색(discovery) 신호를 방송하도록 한다(S350). 이때,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으면(S360), 이동셀 노드는 해당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연결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37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UE) 100: 이동셀 노드(MCN)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연결 설정부
150: 파라메터 설정부 160: 신호 탐색부
200: 기지국(eNB) 300: 이동성 관리기(MME)
400: 게이트웨이(GW) 500: 공중 데이터망(PDN)
600: 서버(SV)

Claims (1)

  1.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에 기지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셀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셀 노드는,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 및 로컬 서버(local server)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기지국(200)과의 무선 백홀(backhaul) 링크, 주변 이동셀 노드와의 사이드홀(sidehaul) 링크, 이동셀 내의 사용자 단말(10)들과 액세스(access) 링크를 제공하여 이동셀 간의 통신환경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셀 기반의 통신 시스템.
KR1020150035192A 2015-03-13 2015-03-13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92A KR20160109919A (ko) 2015-03-13 2015-03-13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92A KR20160109919A (ko) 2015-03-13 2015-03-13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919A true KR20160109919A (ko) 2016-09-21

Family

ID=5708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92A KR20160109919A (ko) 2015-03-13 2015-03-13 이동셀 노드 기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9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985A (ko) 2011-12-09 2014-08-18 페이스북, 인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985A (ko) 2011-12-09 2014-08-18 페이스북, 인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42259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通信的方法和装置
CN109246793B (zh) 多链接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506394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terminal in V2X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CN106604356B (zh) 无线通信接入方法、装置、处理器和无线终端
EP30057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offload in wireless networks
US96031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default path and direct 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328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de switching
US20130016648A1 (en) Connectivity Setup For Dynamic Wireless Mesh Networks
US20110258327A1 (en) D2D Communications Considering Different Network Operators
US102125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143871B (zh) 网络连接方法、网络去连接方法及通信装置
EP2739111B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establishing a D2D communication path in MTC capillary networks
US20180049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onnection Setup and Communication for Power Conscious Devices
CN109076639A (zh) 信息传输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US20150139096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erving gateway, network, and logical path establishment method
KR20230041008A (ko) 릴레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5398975A (zh) 用于侧链路中继通信的信令传输的系统和方法
WO2021151247A1 (en) Connection management in multi-hop networks
WO2021151254A1 (en) Connection management in multi-hop networks
WO2016165385A1 (zh) 接入控制方法、通信节点和计算机存储介质
WO201513375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s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7548166B (zh) 配置多连接信令的方法、主基站、用户设备及通信系统
US20220303749A1 (en) User Equipment Operating as Relay via a Sidelink Connection
US20220312178A1 (en) Sidelink relay selection
US10433234B2 (en) SDN controlled overlay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