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356A -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356A
KR20160108356A KR1020167019603A KR20167019603A KR20160108356A KR 20160108356 A KR20160108356 A KR 20160108356A KR 1020167019603 A KR1020167019603 A KR 1020167019603A KR 20167019603 A KR20167019603 A KR 20167019603A KR 20160108356 A KR20160108356 A KR 2016010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ush
push rail
ex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이 피. 웡
아서 에프. 리몬셀리
데이비드 씨. 디비아시
폴 누네스
유진 더블유. Ⅲ 로렌스
존 이. 월쉬
안젤로 에스. 아카리아
Original Assignee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6010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43/005Timer devices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E05B65/1053Panic bars sliding towards and away form the do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15Electric alarm locks triggered by movement of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은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푸쉬 레일과,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른 푸쉬 레일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는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즉각적인 퇴장을 위해 도어를 언록킹시키고, 빛이나 소리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이들과 함께 원격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게 된다.

Description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EXIT PUSH RAIL MONITORING SYSTEM WITH HALL EFFECT SENSOR}
본 출원은 2014. 1. 10.자 미국 특허출원 제61/925,749호 및 2014. 1. 31.자 미국특허출원 제61/934,208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도어 컨트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통해서 빠져나가려는 시도를 모니터링하는 푸쉬 레일이나 패드가 사용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지연 퇴장 출구장치(delayed egress exit devices)는 "퇴장 요청(request to exit)" 모니터링 기구(monitoring feature)로서의 푸쉬 레일이나 패드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학교, 양로원, 산부인과 병동, 알츠하이머 환자 시설, 정신질환자 시설, 공항, 쇼핑 센터, 도서관 및 출구를 통한 미승인된 퇴장을 방지하기 위한 퇴장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여타의 장소에서 사용된다. 지연 퇴장 출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푸쉬 레일이나 패드가 정상적인 홈 위치로부터 눌려진 상태로 있게 되면, 장치 내부의 모니터링 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을 감지하여 레일로부터 경적이나 알람을 울려서 누군가가 퇴장을 시도하고 있음을 담당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경적이나 알람의 울림은, 알람의 소란스러움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일예로 1-5초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눌려진 상태로 남아 있도록 지연된다. 상기 레일이나 패드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서도 "지연 퇴장" 상태로 작동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타이머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출구장치는 이후에 안전하게 록킹된 상태로 유지되어, 일예로 15초나 그 이상에 달하는 소정의 지연 시간만큼 도어의 개방 및 퇴장을 방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담당자로 하여금 위반 상태(pending violation)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결정하여 대응하도록 하는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푸쉬 레일이 해제됨과 아울러 정상적인 출구장치로 동작하여 도어 래치의 언록킹 및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인이 도어를 통해서 즉각적으로 퇴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간의 설정 시간 후에, 비가역적인 알람 상태는 인가된 담당자에 의해 재설정될 때까지 유지된다. 상기 출구장치는 일예로 30-60초의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알람 상태로부터 도어에서 또는 출구장치의 원격 제어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재설정 및 재장착되거나, 수동으로 재설정된다.
이와 같은 지연 퇴장 출구장치는 림(rim), 표면 수직 로드(surface vertical rod), 매입 수직 로드(concealed vertical rod), 및 모티스 출구장치 등과 같은 가장 보편적인 형태의 도어 록 및 래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연 퇴장 출구장치는 대개 레일 조립체 내에 내장되는바, 최상의 보안을 위해서는 외부 마그네틱 록 아웃풋(external magnetic lock outputs)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조립체 내의 표준 크기의 키-동작식 실린더나 원격으로 연결된 장치는 인가된 담당자에 의해서 장치의 해제(disarmed)가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알람을 바이패스시키고 일시적인 지연 퇴장이나 예를 들면 4-50초나 그 이상으로 지속되는 지연 퇴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는 인가된 담당자에 의해 상기 장치를 재설정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화재 경보기나 다른 원격 알람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지연 퇴장 출구장치는 그와 같은 알람이 개시되는 경우에 즉각적인 퇴장이 가능하도록 해제될 수도 있다. 일련의 도어 상에 설치된 지연 퇴장 출구장치는, 일련의 도어 중에서 어느 한 도어가 알람 상태에 돌입하는 때에 상기 지연 퇴장 가능의 일괄적인 해제(gang release)를 위해 연결되거나, 상기 일련이 도어들은 원격으로 해제되어 진다.
지연 퇴장 출구장치의 푸쉬 레일이나 패드는 지연 출구장치가 눌려지기 전 및 눌려진 후에 이른바 연장된(extended) 또는 "홈(home)" 위치에서 스프링이나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장치의 푸쉬 레일이나 패드가 매우 적은 거리만큼이라도 홈 위치를 유지하지 않거나, 해제시에 적절한 홈 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되면, 상기 제품은 "에러 모드"로 되어 최종 사용자에게 그 제품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시키게 된다. 상기 장치의 레일이나 패드가 적절한 홈 위치에 머무르거나 홈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은 오장착(mis-installation), 템퍼링(tampering), 블로킹(blocking) 또는 구성 부재의 마모를 비롯한 푸쉬 레일이나 패드에 영향을 미치는 여타의 조건들에 의해서 초래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과 단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출구 푸쉬 레일과, 특히 지연 퇴장 출구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신뢰성을 구비함과 아울러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홈 포지셔닝에 있어서의 문제로부터 초래되는 에러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지연 퇴장 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제시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작은 미스-포지셔닝(mis-positioning)에도 불구하고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지연 퇴장 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잦은 현장 조정(field adjustment)의 필요를 배제하는 한편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홈 위치 변화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지연 퇴장 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적으로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홈 위치를 모니터하는 지연 퇴장 출구장치를 위한 방법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은 부분적으로 자명하게 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및 그 외의 목적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고, 도어에 장착가능한 하우징,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푸쉬 레일, 푸쉬 레일이나 하우징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컨트롤 회로는 홈 위치 내에 있는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에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센서는 아날로그 홀 센서(analog Hall effect sensor)로서 레일이나 하우징 중의 어느 한 쪽에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푸쉬 레일이나 하우징의 다른 한 쪽에 연결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와 마그네트는 상기 푸쉬 레일이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레일과 하우징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위해서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 회로는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아날로그 홀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범위에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 회로는 푸쉬 레일이 이전의 홈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함에 따른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 회로에 연결된 알람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회로는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때 알람을 활성화시킨다. 타이머가 상기 컨트롤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 회로는 주기적으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해 낸다.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경우, 상기 컨트롤 회로는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에러를 지시함과 아울러/또는 상기 컨트롤 회로는 다음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동작을 개시한다: a) 알람을 활성화시킨다,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해 도어를 언록킹시킨다, c) 빛이나 소리로 에러 메시지를 전달한다 및/또는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푸쉬 레일이 제2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하며, 푸시 레일이 제2 위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때에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주기적으로 감지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홈 위치와 도어를 열기 위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푸쉬 레일과,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그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을 위해 장착되는 아날로그 홀 센서로 구성된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에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를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홈 위치와 도어를 열기 위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푸쉬 레일과,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푸쉬 레일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된 컨트롤러로 구성된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에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에서 에러로 지시함과 아울러/또는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시작한다: a) 알람의 활성화,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한 도어의 언록킹, c) 빛이나 소리로 에러 메시지를 전달 및/또는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 상기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푸쉬 레일이 문을 열기 위한 제2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푸쉬 레일이 제2 위치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에 대해서 판단한다.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는, 상기 푸쉬 레일이 이전의 홈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함에 따른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감지되어 진다.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컨트롤러 내의 컨트롤 회로에 의해서 감지된다. 만일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인 경우, 컨트롤러에서 출구 푸쉬 레일에서의 에러를 지시함과 아울러/또는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시작한다: a) 알람의 활성화,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한 도어의 언록킹, c) 빛이나 소리로 에러 메시지를 전달 및/또는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방법은 푸쉬 레일이 도어를 열기 위한 제2 위치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푸쉬 레일이 제2 위치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에 주기적인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구성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정확한 축척에 따르고 있지 않다. 본 발명 자체와 구조 및 동작 방법은 아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일실시예가 설치된 일부 개방 상태 도어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3은 내장 부품들을 보여주는 도1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평면 사시도.
도4는 푸쉬 레일이 연장된 상태의 홈 위치에 있는 도3의 4-4선에 따른 지연 퇴장 출구 장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5는 푸쉬 레일이 눌린 상태의 제2 위치에 있는 도3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푸쉬 레일 홈 위치 및 전압 측정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연 출구 장치의 에러 모드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본 발명에 대한 기술을 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유사한 특징들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8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를 수정한 것으로서,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위치를 측정하는 모니터링 기구를 제공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레일이란 용어는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도어를 통해서 개인적인 사용자가 빠져나가려고 밀어 젖혀지는 패드나 여타의 메커니즘도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상기 모니터링 기구는 마그네트, 아날로그 홀 센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펌웨어(firmware)가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다. 상기 푸쉬 레일은 완전히 연장된 위치인 "홈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된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푸쉬 레일의 이동과 연계되어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는 마그네트의 자기장 적용에 대응하여 그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환기(transducer)로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레일과 마그네트를 통해서 푸쉬 레일에서의 어떠한 이동도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의 전압 출력은 프로세서에 의해 감지된다. 푸쉬 레일의 어떠한 이동도 전압 차동(voltage differential)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있는지를 전압 측정을 통해서 판단할 수 있는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치로부터의 어떠한 이동도 전압 차동을 낳고, 상기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는 상기의 이동이 프로세서로 하여금 알람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정해진 값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상기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있지 않아 에러 모드를 개시하여야 할지를 평가하게 된다. 일반적인 사용 중에, 사용자가 레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레일과 마그네트는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 쪽으로 이동하여 전압 차동을 프로세서로 보내서 제품의 알람 모드 진입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홈 위치 모니터링 기구에서는, 소정의 어느 시간에 또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상기 센서는 기동(startup) 시에, 일예로 전압 출력과 같은 홈 위치 파라메타가 자기-조정 측정(self-adjusting calibration) 루틴을 통해서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측정은 기기의 사용수명이 다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은 모든 때에 장치의 적절한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방법이 사용된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일실시예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는, 문의 한쪽 모서리와 문설주(26)에 장착된 힌지(24) 상에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를 스윙하는 도어(22) 상에 수평으로 장착된다(도1). 파워 및/또는 콘트롤 연결부(28)는 마스터 제어 시스템(52)으로부터 전기 힌지(24a)를 통해서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에 구축됨과 아울러 지연 퇴장 출구 장치(20')(20")가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사한 형태의 도어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상태를 모니터함과 아울러 동작시키게 된다. 도어의 반대편 모서리 상에 위치하는 록(27) 내의 래치볼트(28)는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연장된 상태로서 도어 캐치(29) 내에 록킹된 위치에 있다. 푸쉬 레일(30)을 도어 쪽으로 밀어붙임에 의해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경적이나 알람(60)이 울리게 되고, 상기 레일에 누르는 힘이 유지되는 동안의 지연 시간을 기다린 후에, 상기 래치볼트(28)은 안쪽으로 이동하여 언래칭 위치로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레일에 계속해서 힘을 가하여 도어를 밀어 개방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외부로 퇴장한 후에, 일예로 도어클로저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되고, 래치볼트는 자동적으로 통상의 래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어떠한 종류의 도어 록이나 래치라도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20)의 일실시예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조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2)은 직사각형으로서 기다란 푸쉬 레일(3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 조립체(34a)(34b)가 내부에 장차된다(도3). 각 브래킷 조립체 상에는 연결암(36)이 하우징(32)의 베이스 상에 고정된 샤프트(39a)에 일측 단부(38a)가 피벗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38b)는 레일(30) 안쪽에 고정된 샤프트(39b)에 피벗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4에서 레일(30)은 레일 내부 표면과 하우징(30) 베이스 사이의 거리(d1)을 갖는 연장된 또는 홈 위치로 되어 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이 안쪽으로 밀려서 눌려지게 됨에 따라 레일(30)은 하우징 베이스에 가깝게 이동하여 더 짧아진 거리(d2)로 되고, 그에 따라 센서에서 누군가가 퇴장을 시도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되는바,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동시에 일어나는 암(26)의 회전 피벗팅의 결과로 하우징 내에서 하우징과 수평을 유지한 가운데 거의 수평으로(도3 내지 도5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브래킷 조립체는 샤프트(39b)를 감싸는 코일 형태의 복귀스프링(42)을 구비함과 아울러 각기 레일(30)의 내부와 암(36)에 결합된 암(43a) (43b)을 구비하여 커넥팅 암이 레일로부터 떨어지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개인이 레일을 안쪽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가하지 않는 때에 상기 레일이 하우징 베이스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레일이 연장된 또는 홈 위치에 있게 된다.
아날로그 홀 센서(40)는 하우징(40)의 브래킷 조립체(34a)상에 설치되어 정지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레일이 안쪽으로 밀린 때를 감지함과 아울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마그네트(44)는,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 부근에서 푸쉬 레일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연결암(36)상에 위치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마그네트(44)가 고정체인 하우징에 고정되고, 아날로그 홀 센서(40)가 이동가능한 연결암이나 레일에 고정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고정되고 이동가능하게 됨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홀 센서와 마그네트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하우징 베이스로부터 떨어지도록 연장된 홈 위치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가까운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판단된다. 푸쉬 레일의 이동과 이동의 정도에 대한 판단은 하우징(32) 내의 컨트롤러(50)에 위치하여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연결된 컨트롤 회로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컨트롤러(50)는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며 아날로그 홀 센서(40), 알람(60) 및 실린더(40)에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회로는 아날로그 홀 센서(40)의 전압 출력을 마그네트(44)의 상대적인 이동의 결과로 측정하고, 레일(30)과 연결암(36)의 이동이 정해진 바의 충분한 양만큼 안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전압의 변화가 있게 되면, 상기 컨트롤 회로에 의해서 하우징 내의 경적과 알람(60)이 동작되고, 컨트롤 회로 내의 타이머는 어느 시점에 록 래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통해서 빠져나가도록 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 선택 (timing)을 개시하게 된다. 인가된 담당자는 키(64)를 사용하여 실린더(60)를 동작시켜 컨트롤러(50)로 신호를 보내서 지연 퇴장 출구 장치(20)를 바이패스, 해제 또는 재설정시키게 된다. 컨트롤러(50)는 유사한 형태의 도어 군의 일부로서 연결부(28)를 통해서 마스터 콘트롤러(52)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동작된다(도1).
홈 위치 내의 레일(30)은 오장착(mis-installation), 템퍼링(tempering), 레일의 블로킹(blocking), 스프링이나 다른 구성 부재의 마모 또는 여타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 반복해서 정확한 거리(d1)에서 지속적으로 위치하지는 못하게 된다. 홈 위치에서의 이와 같은 레일(30)의 변화나 오장착은 도4에서 변위 Δd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를 불능화시키는(disabling)시키는 이와 같은 에러 모드를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불능화 에러 모드로 진입되기 전에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에 대해서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이내에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컨트롤러(50) 내의 제어회로는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함과 아울러 에러 모드를 가늠하게 된다.
상기 푸쉬 레일이 재정비되어(re-armed) 완전히 연장된 홈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마그네트(44)와 연계된 아날로그 홀 센서(40)에서는 전압값(Vhome)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Vhome 전압값은 마이크로컨트롤러(50)에서 측정되며 푸쉬 레일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상대 값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대 값은 푸쉬 레일이 홈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알람 상태를 초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값과의 비교가 이루어지게 된다. 적절한 횟수의 시험으로 정해진 시험 데이터를 통해서 레일이 "홈 위치"에 있을 때로 설정되는 수용가능한 전압 범위가 정해지게 된다. 상기 Vhome 홈 위치 전압 값이 이와 같이 정해진 바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러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컨트롤러에 의해 일예로 매 30초 단위의 주기로 측정 루틴이 가동되어 Vhome이 상기 정해진 바의 전압 범위 내에 있는가를 확인하게 된다. 만일 그와 같은 정해진 바의 전압 값 이내에 있는 경우, Vhome값은 푸쉬 레일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반면에 그와 같은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측정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100)이 도6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정상적인 동작은, 1) 도어가 닫혀서 록킹되고, 2) 래치볼트가 연장되고, 3) 상기 지연 퇴장 출구 장치가 알람 상태가 아닌 채로 정상 상태로 유지된 상황(110)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어서 컨트롤러(50)에서는 기다렸다가 푸쉬 레일이 트립(trip) 위치(도5에서 위치 d2)를 통과할 정도로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홈 위치 전압 Vhome 에 마그네트(44)가 가까이로 이동함에 따른 전압의 변화나 일예로 +0.260V증가가 더해진 아날로그 홀 센서(40)의 전압 측정에 의해서 컨트롤러로 표시되어 진다. 만일 측정된 아날로그 홀 센서 전압이, 사용자가 도어(130)를 통해 퇴장하려 하는 것을 지시할 정도로 푸쉬 레일이 충분히 눌려진 것을 지시하는 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에서 경적과 알람을 울리는 한편으로 도어를 언록킹시켜서 정해진 설정시간, 일예로 15초 또는 30초 후에 퇴장을 허락하게 된다. 상기의 설정시간 후에는 인가된 담당자에 의해 재설정되기까지 비가역적인 알람 상태가 유지된다. 일예로 30분간의 정해진 시간 동안에 레일의 푸쉬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레일위치 측정모드(200)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레일위치 측정모드(200)는 도7의 흐름도에 보다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측정 요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한다(210). 이와 같은 요건은 1) 도어 군의 모든 동작이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이고(즉, 뱅크 내에 연결된 다른 도어에 의해 초래된 지연 퇴장의 해제가 없는), 2) 시스템 알람이 활성화되지 않고, 상기 푸쉬 레일 활성 모드가 개시되지 않은 것(즉, 아날로그 홀 센서로부터의 전압이 레일의 눌려짐을 지시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만일 상기 측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게 되면, 측정이 생략되고(220), 상기 장치는 에러 모드가 아닌 의도된 바대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측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컨트롤러에서는 아날로그 홀 센서의 측정에 의해 상기 레일이 정해진 바의 허용가능한 홈 위치(도4의Δd)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 허용가능한 홈 위치 편차는, 일예로 0.390V와 1.033V 사이이다. 상기 레일이 허용된 홈 위치 전압 및 위치 값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에러 모드(300)로 진입되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원격 알람이 즉시 동작되고, 2) 즉각적인 퇴장을 위해 도어가 언록킹되며, 3) 박스 3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빛이나 소리를 통해서 에러 메시지가 전달된다. 상기 빛은 컬러 LED 등이 상기 장치에 장착되어 발생되고, 상기 소리는 경적(60)을 통해서 발생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는 마스터 컨트롤 시스템(52) 등과 같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되어 인가된 담당자에게 통보된다. 상기 레일이 허용된 홈 전압 및 위치 값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현재의 아날로그 홀 센서 전압 Vhome을 판독함과 아울러 기록함으로써 측정(240)이 수행된다. 새로운 현재 위치 전압 값 Vhome은 이후에 아날로그 홀 센서와 마그네트의 상대적인 위치의 전압 판독을 통한 추가적인 레일 위치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레일이 도어를 통한 지연 퇴장을 활성화시 키도록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일실시예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형태를 취하고 있거나 소프트웨어(펌웨어, 내장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한)를 사용하는 실시예 형태를 취한다. 또한, 일실시예는 저장 매체 내에 구현된 컴퓨터 사용기반(computer-usable)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사용기반 저장 매체에 수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를 취한다. 메모리 장치나 도3에 도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메모리부가 상기 저장 매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나 펌웨어는,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나 펌웨어를 도어 컨트롤러에 로딩시키기 전의 운송이나 저장시에 광학 또는 자기 저장 매체에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나 펌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세서(50)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외부 콘트롤러와의 연결을 통해서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비일시적인 (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적으로 소프트 웨어 실시예(펌웨어 내장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또는 일반적으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불리우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특징들이 조합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되어 내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이다. 바람직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면 전자적 (electronic), 자기적(magnetic), 광학적(optical), 전자기적 (electromagnetic), 적외선(infrared) 또는 반도체(semiconductor) 시스템, 장치 또는 기구나 이들의 적절한 조합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열거된 것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다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구비한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CD-ROM(potable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광학 저장장치, 자기 저장장치, 또는 상기 열거된 매체들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구에 의해 또는 이와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내장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어떠한 유형의 매체라도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내에 또는 반송파 (carrier wave)의 일부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되어 구비된 전파(propagated)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파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전자기적(electro-magnetic), 광학적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어느 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아니면서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구에 의해 또는 이들과 연계되어 사용될 프로그램과 통신하거나 전파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된 프로그램 코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wireless), 유선 (wireline), 광섬유 케이블, RF 등이나 이들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는 어느 한 적절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달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자바 (Java), 스몰토크(Smalltalk), C++ 등의 객체 중심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프로그래밍 언어나 이와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처리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모든 조합에 의해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전산 장치(computing device)(컴퓨터 등과 같은)에 의해서 실행되거나, 독립형(stand alone)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사용자의 전산 장치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전산 장치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원격 전산 장치상에서 실행되거나, 전적으로 원격 전산 장치나 서버상에서 실행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원격 전산 장치는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원거리 통신망(WAN)을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의 전산 장치에 연결되거나, 상기 연결은 외부 전산 장치(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서)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세서상에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 예시 및/또는 블럭도, 장치(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있다. 플로우 차트 예시 및/또는 블럭도의 각 블럭과, 플로우 차트 예시 및/또는 블럭도에서의 블럭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general purpose) 전산 장치(컴퓨터 등), 전용(special purpose) 전산 장치, 또는 기계를 생산하기 위한 여타의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제공되며, 전산 장치의 프로세서나 여타의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통해서 실행되는 상기 명령은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서 구체화된 기능/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전산 장치, 여타의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명령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된 상기 명령은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서의 구체화된 기능/동작을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전산 장치, 여타의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장치 또는 전산 장치상에서 수행될 일련의 동작 단계가 일어나도록 하는 여타의 장치상에 로딩될 수 있으며, 전산 장치나 여타의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를 실행시키는 상기의 명령은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이나 블록들에서 구체화된 기능/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의 기능 블록들이나 모듈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시스템 구성(architecture), 기능(functionality), 및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또는 제품의 잠재적인 실행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도면상의 각 블록은 구체적인 논리 기능(specified logical function)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으로 이루어진 모듈, 세그먼트(segment) 또는 코드의 일부분(portion of cord)을 나타낸다. 일부의 대체 실행(alternative implementations)에서, 블럭에 나타난 기능들은 도면에서 표시된 순서를 벗어나서 일어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연속되는 것으로 도시된 두 블럭의 기능은 사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내재된 기능성에 의존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때때로 반대의 순서로 실행되기도 한다. 모든 도면에서 각 블록 및 블록의 조합은 특별한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베이스 시스템이나 전용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의 조합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기능 블럭들이나 모듈들 사이의 통신은 도면상에서 한 방향으로 지시되고 있는바, 그러한 통신은 양방향으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는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부재의 변화에 따른 또는 환경적으로 초래된 변화에 따른 새로운 위치 값을 포착해 내기 위하여 푸쉬 레일이나 패드의 홈 위치를 주기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본 발명은 상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게 됨과 아울러 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단속적인 감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장치에 대한 해킹이 발생하였는지 또는 기계적인 블로킹이 발생하였는지와 매 측정 싸이클에서 레일 홈 위치가 이동되었는 지까지도 감지해 내게 된다. 본 발명의 지연 퇴장 출구 장치의 장점은 종래의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치 중에 그리고 설치 후에 행해지는 빈번한 현장 조정작업(field adjustment)을 배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확한 트립(trip) 위치 모니터링과 계속해서 측정된 홈 위치에 기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스위치 가동 부재의 배제를 통해서 스위칭 신뢰성이 향상되고, 알람 신호를 동작시키는 에러 모드로 보안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자기-조정 및 자기-시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는바, 상기의 설명을 바탕으로 해서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화를 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화를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사상 내에 속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Claims (22)

  1. 도어에 장착가능한 하우징;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한 푸쉬 레일;
    상기 레일이나 하우징 중의 어느 한쪽에 연결된 센서; 및
    상기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컨트롤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연 퇴장 출구 장치를 위한 것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레일이나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된 아날로그 홀 센서이며, 상기 레일이나 하우징의 다른 쪽에 연결된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와 마그네트는 상기 푸쉬 레일이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른 이들 두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위해 장착되며, 이때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연결되어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한편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연결되어 푸쉬 레일이 이전의 홈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에 따른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에 연결되는 알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회로는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바의 범위 밖인 때에 알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에 연결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알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회로는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때 상기 알람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에 연결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 회로는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에러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 회로는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
    a) 알람 활성화,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한 도어의 언록킹,
    c) 빛 및/소리를 통한 에러 메시지의 전달,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
    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회로는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때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12. 홈 위치와 도어의 개방을 위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푸쉬 레일과 상기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푸쉬 레일이 이동함에 따른 상대적인 이동을 위해 장착된 아날로그 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푸쉬 레일이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홀 센서는 푸쉬 레일이 이전의 홈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에 따라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는 컨트롤러 내의 컨트롤 회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에러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위치 밖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
    a) 알람 활성화,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한 도어의 언록킹,
    c) 빛 및/소리를 통한 에러 메시지의 전달,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
    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이 도어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푸쉬 레일이 제2 위치에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주기적인 간격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9.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푸쉬 레일과, 상기 푸쉬 레일이 상기 홈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른 푸쉬 레일의 위치 판단을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연결된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홈 위치 내의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홈 위치에 대해 정해진 바의 수용가능한 위치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서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에러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가 정해진 위치 밖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아래의 하나 또는 그 이상:
    a) 알람 활성화,
    b) 즉각적인 퇴장을 위한 도어의 언록킹,
    c) 빛 및/소리를 통한 에러 메시지의 전달,
    d) 상기 알람이나 에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
    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푸쉬 레일이 도어의 개방을 위한 제2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쉬 레일이 제2 위치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푸쉬 레일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지연 퇴장 출구 푸쉬 레일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167019603A 2014-01-10 2015-01-08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08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25794P 2014-01-10 2014-01-10
US61/925,794 2014-01-10
US201461934208P 2014-01-31 2014-01-31
US61/934,208 2014-01-31
PCT/US2015/010581 WO2015105946A1 (en) 2014-01-10 2015-01-08 Exit push rail monitoring system with hall effect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356A true KR20160108356A (ko) 2016-09-19

Family

ID=5352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603A KR20160108356A (ko) 2014-01-10 2015-01-08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16291B2 (ko)
KR (1) KR20160108356A (ko)
CN (1) CN105899743B (ko)
CA (1) CA2934290C (ko)
IL (1) IL246240B (ko)
MX (1) MX371208B (ko)
WO (1) WO2015105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262B2 (en) 2013-01-18 2022-11-08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Cooler lock
US10344502B2 (en) * 2016-02-04 2019-07-09 Schlage Lock Company Llc User sensing exit device
CN106088995B (zh) 2016-08-23 2018-01-16 北京艾科斯玛特自动化控制技术有限公司 自动检测门窗故障的方法和机构
TWI605184B (zh) * 2016-10-19 2017-11-11 I-Tek Metal Manufacturing Co Ltd Internal operating device for door lock
EP3585960A4 (en) 2017-02-24 2021-02-24 Schlage Lock Company LLC EXIT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550601B2 (en) * 2017-08-03 2020-02-04 Schlage Lock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a condition of a door
USD867103S1 (en) 2018-04-09 2019-11-19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Exit device
US11142929B2 (en) * 2018-04-09 2021-10-12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xit device
USD867851S1 (en) 2018-04-09 2019-11-26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xit device
US11619071B2 (en) * 2018-12-11 2023-04-04 Hanchett Entry Systems, Inc. Exit device for high wind environments
US12006735B2 (en) 2019-01-28 2024-06-11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Universal dogging and electronic latch retraction
USD906085S1 (en) * 2019-01-28 2020-12-29 Assa Abloy Access And Egress Hardware Group, Inc. Exit device with status indicator
USD906084S1 (en) * 2019-01-28 2020-12-29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xit device with status indicator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680423B2 (en) * 2019-05-01 2023-06-20 Vbc Tracy Llc Electromechanical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in a real proper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4763A (en) * 1973-07-18 1974-12-17 Von Duprin Inc Electrical and mechanical dogging device
US4257631A (en) 1979-06-25 1981-03-24 Reliable Security Systems, Inc. Magnetic emergency exit door lock with delayed opening
US4287512A (en) * 1980-03-31 1981-09-01 Dynametric, Inc. Magnetic locking methods and apparatus
US6048000A (en) * 1998-04-28 2000-04-11 Geringer; Arthur Delayed egress panic device with internal deadlocking bolt mechanism
WO2004031517A1 (en) * 2002-09-30 2004-04-15 Yale Security, Inc. Delayed egress exit device
US7484777B2 (en) * 2006-06-30 2009-02-03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nic push retraction exit device
US8182003B2 (en) 2008-08-19 2012-05-22 Von Duprin Llc Exi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820803B2 (en) 2009-03-02 2014-09-02 Hanchett Entry Systems, Inc. Electromagnetic lock having distance-sensing monitoring system
US8495836B2 (en) 2009-08-27 2013-07-30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Door hardware drive mechanism with sensor
US10174525B2 (en) * 2013-12-30 2019-01-08 Schlage Lock Company Llc Exit device with over-travel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9570A1 (en) 2016-11-03
WO2015105946A1 (en) 2015-07-16
CA2934290A1 (en) 2015-07-16
US9816291B2 (en) 2017-11-14
CN105899743A (zh) 2016-08-24
IL246240B (en) 2020-06-30
IL246240A0 (en) 2016-07-31
MX2016008901A (es) 2017-01-18
MX371208B (es) 2020-01-22
CA2934290C (en) 2020-07-21
CN105899743B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8356A (ko) 홀 센서가 구비된 출구 푸쉬 레일 모니터링 시스템
US10896595B2 (en) Temporary security bypass method and apparatus
US9786139B2 (en) Programmable security sensor
US9576449B2 (en) Door and window contact systems and methods that include time of flight sensors
CA2529642C (en) Door security device for use in security systems
CA2522117A1 (en) Method of programming security control panels for door entry device compatibility
DK202200041Y3 (da) Alarmsystem med en central enhed og en smartlås, samt en alarminstallation.
KR101626452B1 (ko) 침입감지를 위한 자기장 신호분리 및 제어 방법
US9251677B1 (en) Powered entrance barrier alarm device and system using same
US3686668A (en) Fire and burglar alarm system
TWI651461B (zh) 出口推軌監視系統及監視用於門之出口推軌系統的方法
US20130076513A1 (en) Door blocker with wireless attack sensor
CN105701933A (zh) 防盗安全门的智能控制及报警系统
JP200731069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KR101400726B1 (ko) 미닫이창용 외부 침입 방지장치
JP7516196B2 (ja) スマートバリア警報装置
BR112018072093B1 (pt) Método realizado por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e segurança central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e segurança central
CN107918989A (zh) 一种推拉窗防盗报警器
IT202100009362A1 (it) Dispositivo rilevatore di effrazione
KR20230075111A (ko) 활동 센서와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댁내 경보 상황을 지능형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CN108447207A (zh) 基于语音识别的民用安防系统
JP2000182176A (ja) 防犯センサ
KR19990084989A (ko) 경보 장치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