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524A -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 Google Patents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6524A KR20160106524A KR1020160106818A KR20160106818A KR20160106524A KR 20160106524 A KR20160106524 A KR 20160106524A KR 1020160106818 A KR1020160106818 A KR 1020160106818A KR 20160106818 A KR20160106818 A KR 20160106818A KR 20160106524 A KR20160106524 A KR 20160106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bobbin
- coupled
- shaft
- receiv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1—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6—Annular guiding surfaces; Eyes, e.g. pig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안정되게 홀딩 지지하면서 와이어 공급시 풀림이 원활하고 와이어 공급 중단시 원하지 않는 와이어의 풀림 및 엉킴이 방지되게 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의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device of a wire-wound bobbin for stably holding and holding a wire-wound bobbin while preventing unwinding and unwinding of unwanted wires at the time of wire feed smoothly.
와이어는 도 1에서와 같이 보빈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하게 되며 보빈에서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공급이 이루어진다. The wire is supplied in a state of being wound around the bobbin as shown in Fig. 1, and is supplied while being sequentially unwound from the bobbin.
와이어를 연속공급하면서 일정량씩 절단 및 성형함에 따라 다양한 부품들로 생산하거나 또는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와이어가 원활하게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It is important that the wire be supplied smoothl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wire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wire is continuously supplied or produced by various parts as a predetermined amount is cut and formed.
일반적으로 와이어는 도 1과 같이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적당한 곳에 눕힌 후 와이어 단부를 기계 장치에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Generally, a wire is laid on a suitable place of a bobbin on which a wire is wound as shown in Fig. 1, and th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a mechanical device so as to be continuously supplied.
이때 와이어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들이 공개되고 있는바 그 선행기술문헌의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70698호“와이어 풀림 보조기구”, 국내 등록특허 제10-0807804“와이어 풀림을 위한 보빈”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제시된 선행기술문헌들은 모두 도 1과 같이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와이어가 원활하게 풀리도록 한 것이다. There have been disclosed methods for smoothly feeding the wire at this time. As examples of the prior art document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0698 " Wire Loop Assist Device ", Domestic Registration No. 10-0807804 " &Quot; and the like are disclosed. As shown in FIG. 1, all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disclose that the wire is smoothly loosened while the bobbin on which the wire is wound is laid on the floor.
그러나 보빈이 눕혀진 상태에서는 보빈 자체는 고정되어 있고 와이이가 최외곽 원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풀어지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와이어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항시 상부 방향으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보빈에서 이미 풀어진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 절단보관시 다시 감아주어야 하거나 아니면 엉킴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state where the bobbin is laid down, the bobbin itself is fixed and the wafers are sequentially unwound along the outermost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upply is performed.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wires, It is necessary to rewind the wire when it is cut, or it may cause tangling.
그리고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눕혀야 할 장소(일반적으로 현장의 바닥)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자리 차지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시 걸림돌이 되어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ace where the bobbin on which the wire is wound should be laid down (generally, the floor of the field) is separately required, and this position may obstruct the work because it becomes a stumbling block when the worker moves.
따라서 본 발명은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를 보다 효율적 공간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면서도 와이어 공급 중단시 자동적으로 풀림이 멈춰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이 구비된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 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bbin-wound bobbin having a wire-releasing guiding function for allowing a wire wound around a bobbin to be disposed in a more efficient space, And to provide a holder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대(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0)에는 축베어링(12)을 매개로 보빈안착부(20)를 회전가능토록 결합하고 보빈안착부(20)의 상부에는 축봉(14)을 매개로 와이어 풀림안내부(30)를 선회가능토록결합하며 지지대(10)의 하부에는 결합공(18)을 하나 이상 형성하되,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rod (10) extending up and down, a bobbin seat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se (10) via a shaft bearing A
상기 보빈안착부(20)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이 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축대(22)를 구성하고 축대(22)의 좌우 양단에는 축결합된 보빈(4)의 이탈방지와 안정적인 결합유지를 위한 내·외측 플랜지(24)(25)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The
상기 와이어 풀림안내부(30)는 양측벽에 축공(32a)이 형성되어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있는 축봉(14)에 축결합되는 축선회대(32)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회대(32) 전방에는 전방 연장편(34)을 결합구성하고 상기 전방 연장편(34)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하나 이상 결합하며 축선회대(32)의 후방에는 제동판(40)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The wire
상기 축선회대(32)의 양측벽 축공(32a) 간에는 스프링(42)이 위치되도록 스프링(42)을 축봉(14)에 끼움결합하되 스프링(42)의 양단부는 각각 축선회대(32)의 내측 천장면(32b)과 스프링 걸림대(16)에 걸림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를 제공한다. The
본 발명은 지지체를 매개로 하여 보빈안착부를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공중에 세워지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효율적 공간 이용이 가능하고, 와이어 풀림안내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면서도 공급시 와이어의 장력변화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공급이 되게 하며, 와이어 공급 중단시 자동적으로 풀림이 멈춰질 수 있어 과도한 풀림에 의한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upport, the bobbin in which the wire is wound can be arranged in a state of standing up in the air, so that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supply of wire by minimizing the change in tension of the wire at the time of wire feed, and to automatically stop the unwinding when the wire is stopped, thereby preventing tangling due to excessive loosening.
도 1은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에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의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bbin on which a wire is wou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 bobbin holder device having a wire releasing gui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2,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ire bobbin is coupled to a wire bobbin holder device having a wire releasing gui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operation states of a wire bobbin holder device having a wire releasing gui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이하 간단히 ‘와이어보빈 홀더장치’라고도 함)는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대(10)를 구비한다. 2 to 4, a wire bobbin holder device 2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wire bobbin holder device') having a wire releasing gui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지지대(10)에는 축베어링(12)과 그 상부에 축봉(14)을 결합하는바 축베어링(12)과 축봉(14)에는 각각 보빈안착부(20)와 와이어 풀림안내부(30)가 결합되며, 지지대(10)의 하부에는 결합공(18)을 형성한다. The
상기 축베어링(12)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보빈안착부(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와이어(W)가 권취된 보빈(4)이 결합되게 하여 홀딩하기 위한 것이다. 보빈안착부(20)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이 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축대(22)를 구성하고 축대(22)의 좌우 양단에는 축결합된 보빈(4)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유지가 되게 내·외측 플랜지(24)(25)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The
내·외측 플랜지(24)(25)는 축대(22)에 볼트(54) 또는 너트(55)를 통하여 탈착이 가능토록 하여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의 결합이나 와이어의 소모에 의하여 빈 보빈(4)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The inner and
보빈안착부(20)는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27)을 통하여 축베어링(12)에 결합하면 와셔(50)를 끼우고 고정핀(52)을 축베어링(12)의 단부에 형성된 핀홀(12a)에 끼움결합하여 보빈안착부(20)의 이탈을 방지한다. When the
상기 구성의 보빈안착부(20)를 지지하는 축베어링(12)은 보빈안착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빈안착부(20)가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내장된다. 이는 차후 보빈안착부(20)에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이 결합되는바 궁극적으로 와이어(W) 공급이 원활하도록 한다. The shaft bearing 12 supporting the
다음으로 축봉(14)에 결합되는 와이어 풀림안내부(30)는 양측벽에 축공(32a)이 형성된 축선회대(32)를 축봉(14)에 축결합하여 선회가능하토록 한다. 축선회대(32)를 축봉(14)에 결합한 후에는 고정핀(52)을 축봉(14)의 단부에 형성된 핀홀(14a)에 끼움결합하여 축선회대(32)의 이탈을 방지한다. Next, the wire
축선회대(32) 전방에는 전방 연장편(34)을 결합구성하고 상기 전방 연장편(34)의 하부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하나 이상 결합한다. A
와이어 가이드(38)는 내측으로 와이어(W)가 통과되게 함으로써 와이어(W)가 이탈하지 않고 일률적인 경로를 따라 풀려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와이어가 풀리면서 기계 장비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장력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와이어(W)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더불어 전방 연장편(34)의 단부에는 호 형상의 와이어 안내구(39)를 결합할 수 있으며 와이어 안내구(39)의 상부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추가로 결합하게 되면 와이어(W)의 풀림 및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The
축선회대(32)의 후방에는 제동판(40)을 결합구성하는바 제동판(40)은 축선회대(3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편(36)을 형성하고 그 후방 연장편(36)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한편 축선회대(32)를 축봉(14)에 결합함에 있어서 축선회대(32)의 양측벽 축공(32a) 간에는 스프링(42)이 위치되도록 스프링(42)을 축봉(14)에 끼움결합하며, 스프링(42)의 양단부는 각각 축선회대(32)의 내측 천장면(32b)과 스프링 걸림대(16)에 걸림되도록 결합한다. Th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wire
본 발명의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는 지지대(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8)을 통하여 볼트넛으로 고정틀(7)에 결합함에 따라 직립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고정틀(7)은 와이어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의 다양한 장소가 될 수 있다. 즉 와이어의 공급이 필요한 기계장치 자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기계장치에 와이어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위치에 별도 마련되는 틀 등이 될 수 있다. The wire
상기와 같이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는 고정틀(7)에 직립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의 보빈안착부(20)에 결합되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은 바닥에 눕혀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공중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일차적으로는 종래에 보빈(4)을 바닥 등에 눕혀 위치되게 함으로써 공간을 차지함을 물론 작업자의 이동시 걸림돌이 되었던 부분을 해소하게 된다. The wire
도 5a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에 보빈(4)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 혹은 보빈(4)이 결합되더라도 와이어(W)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무장력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bbin 4 is not engaged with the wire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42)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 풀림안내부(30)를 구성하는 축선회대(32) 후방에 결합된 제동판(40)이 보빈안착부(20)의 내·외측 플랜지(24)(25) 중 어느 하나 도면상으로는 내측 플랜지(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보빈안착부(20)의 회전을 억제한 상태가 된다. 이는 와이어(W)의 의도하지 않는 풀림을 방지하여 와이어(W)의 풀림에 의한 엉킴 문제를 방지한다. In this state, the
도 5b는 와이어(W)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와이어(W)를 당기는 힘에 의하여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장력에 의하여 와이어 풀림안내부(30)는 축봉(14)을 중심으로 적당한 각도로 선회하게 되고 그에 따라 풀림안내부(30)를 구성하는 축선회대(32) 후방에 결합된 제동판(40)이 보빈안착부(20)의 내측 플랜지(24)의 외주면과 떨어지게 되어 제동해지 상태가 된다. 5B shows a process of supplying the wire W. As a result, a tension is generated by the force of pulling the wire W. The wire
그러면 보빈안착부(20)는 제동해지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와이어(W)의 당김시 풀림이 원활하게 된다. Then, the
그 후 와이어(W) 공급이 완료되면 가해지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풀림안내부(30)는 축봉(14)를 중심으로 회전(복귀)되며 그에 따라 풀림안내부(30)를 구성하는 축선회대(32) 후방에 결합된 제동판(40)이 보빈안착부(20)의 내측 플랜지(2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제동역할을 하게 된다. When the supply of the wire W is completed, the
따라서 보빈(4)이 결합된 보빈안착부(20)의 회전을 억제하여 와이어(W)의 풀림을 즉각적으로 멈추도록 하여 원치 않는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rotation of the
본 발명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지지대(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빈안착부(20)가 결합되는 축베어링(12)의 하부에는 절곡점(11)를 두어 와이어(W)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한다. 이는 와이어 풀림안내부(30)를 구성하는 전방연장편(34)이 와이어 진행방향 쪽으로 길게 연장됨에 따라 만약 지지부(10)가 절곡되지 않곡 똑바로 직선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와이어의 원활한 진행방향은 거의 하부 방향으로 향하게 됨을 추정할 수 있는바, 이는 원하는 와이어의 공급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지대(10)에 절곡점(11)을 통하여 적절한 각도로 절곡되게 함으로써 와이어의 공급방향을 최적의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2 to 5, a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2)는 지지체(10)를 매개로 하여 보빈안착부(20)를 구성함으로써 와이어(W)가 권취된 보빈(4)을 공중에 세워지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효율적 공간 이용이 가능하고, 와이어 풀림안내부(30)의 구성으로 인하여 와이어의 공급이 원활하면서도 공급시 와이어의 장력변화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공급이 되게 하며, 와이어 공급 중단시 자동적으로 풀림도 멈춰지게 되어 과도한 풀림에 의한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2)--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
(4)--보빈 (7)--고정틀
(10)--지지대 (11)--절곡점
(12)--축베어링 (14)--축봉
(16)--스프링 걸림대
(20)--보빈안착부 (22)--축대
(24)(25)--플랜지 (27)--관통공
(30)--와이어 풀림안내부 (32)--축선회대
(32)--전방 연장편 (36)--후방 연장편
(38)--와이어 가이드 (39)--와이어 안내구
(40)--제동판 (42)--스프링
(50)--와셔 (52)--고정핀
(54)--볼트 (55)--너트
(W)--와이어 (2) - wire bobbin holder device with wire release guide function
(4) - Bobbin (7) - Fixing frame
(10) - support (11) - bending point
(12) - Axial bearings (14) - Axes
(16) - Spring spool
(20) -bobbin seating portion (22) -bobbin seating portion
(24) - (25) - Flange (27) - Through hole
(30) - wire releasing guide (32) - shaft revolving stand
(32) - a front extension (36) - a rear extension
(38) - wire guide (39) - wire guide
(40) - Deflector (42) - Spring
(50) - Washer (52) - Fixing pin
(54) - Bolts (55) - Nuts
(W) - wire
Claims (3)
상기 보빈안착부(20)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이 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축대(22)를 구성하고 축대(22)의 좌우 양단에는 축결합된 보빈(4)의 이탈방지와 안정적인 결합유지를 위한 내·외측 플랜지(24)(25)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풀림안내부(30)는 양측벽에 축공(32a)이 형성되어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있는 축봉(14)에 축결합되는 축선회대(32)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회대(32) 전방에는 전방 연장편(34)을 결합구성하고 상기 전방 연장편(34)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하나 이상 결합하며 축선회대(32)의 후방에는 제동판(40)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선회대(32)의 양측벽 축공(32a) 간에는 스프링(42)이 위치되도록 스프링(42)을 축봉(14)에 끼움결합하되 스프링(42)의 양단부는 각각 축선회대(32)의 내측 천장면(32b)과 스프링 걸림대(16)에 걸림되도록 구성하여
와이어(W) 공급시에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하여 와이어 풀림안내부(30)가 장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선회되어 와이어(W)의 원활한 공급이 되게 하고, 반대로 와이어 공급을 멈추거나 무장력시에는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와이어 풀림안내부(30)가 복귀(회전)되어 풀림안내부(30)의 축선회대(32)의 후방에 결합된 제동판(40)이 보빈안착부(20)의 내·외측 플랜지(24)(25)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보빈(4)이 결합된 보빈안착부(20)의 회전을 억제하여 와이어(W)의 풀림이 즉각적으로 멈춰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
And a bobbin receiving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via a shaft bearing 12 and a shaft rod 14 And a coupling hole 18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constitutes a bobbin 22 for allowing the wire-wound bobbin 4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prevents the bobbin 4,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bbin 22, And an inner and outer flange 24 (25) for holding,
The wire unwinding guide unit 30 includes a shaft swivel base 32 having shaft holes 32a formed on both side walls and axially coupled to a shaft rod 14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10, 32 are coupled to the front extended portion 34 and the front extended portion 34 is coupled with at least one wire guide 38 and the shunt plate 4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axial rotating table 32 And,
The spring 42 is fitted into the shaft rod 14 so that the spring 42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h side wall shaft holes 32a of the shaft turning table 32. The both ends of the spring 42 are engaged with the shaft 42, It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inner ceiling surface 32b and the spring lug 16
When the wire W is fed, the wire releasing guide 30 is pivo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on is appli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to smoothly supply the wire W. Conversely, when the wire is stopped, The wire release guide 30 is returned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obbin seating portion 20 and the bobbin seating portion 20 The rotation of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in which the bobbin 4 is engaged is tighten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ny one of the inner and outer flanges 24 and 25 so that the unwinding of the wire W is stopped instantaneously The wire bobbin holder device having a wire releasing guiding function.
상기 보빈안착부(20)는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4)이 축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축대(22)를 구성하고 축대(22)의 좌우 양단에는 축결합된 보빈(4)의 이탈방지와 안정적인 결합유지를 위한 내·외측 플랜지(24)(25)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풀림안내부(30)는 양측벽에 축공(32a)이 형성되어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있는 축봉(14)에 축결합되는 축선회대(32)를 구비하고 상기 축선회대(32) 전방에는 전방 연장편(34)을 결합구성하고 상기 전방 연장편(34)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하나 이상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
And a bobbin receiving portion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via a shaft bearing 12 and a shaft rod 14 And a coupling hole 18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constitutes a bobbin 22 for allowing the wire-wound bobbin 4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The bobbin receiving portion 20 prevents the bobbin 4,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bbin 22, And an inner and outer flange 24 (25) for holding,
The wire unwinding guide unit 30 includes a shaft pivot table 32 formed on both side walls and axially coupled to a shaft rod 14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10, Wherein the front extension piece is coupled to the front extension and the wire extension is coupled to the front extension piece. 2. The wire bobbin holder according to claim 1,
전방 연장편(34)의 단부에는 호 형상의 와이어 안내구(39)를 결합하고 와이어 안내구(39)의 상부에는 와이어 가이드(38)를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풀림 안내 기능을 갖는 와이어보빈 홀더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wire guide (38)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wire guide hole (39), wherein a wire guide hole (39) is formed on an end of the front extension (34) Bobbin holder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818A KR101673314B1 (en) | 2016-08-23 | 2016-08-23 |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818A KR101673314B1 (en) | 2016-08-23 | 2016-08-23 |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6524A true KR20160106524A (en) | 2016-09-12 |
KR101673314B1 KR101673314B1 (en) | 2016-11-08 |
Family
ID=5695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818A KR101673314B1 (en) | 2016-08-23 | 2016-08-23 |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33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83502A (en) * | 2016-12-30 | 2017-04-26 | 铜陵顶科镀锡铜线有限公司 | Adhering preventing line dividing shuttle for multi-head wire drawing and master material adhering preventing method thereof |
CN107187942A (en) * | 2017-06-13 | 2017-09-22 | 湖州南浔善琏友乐毛纺厂 | Interlock take-up |
JP2022024556A (en) * | 2020-07-28 | 2022-02-09 |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Optical ree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862A (en) * | 2009-05-07 | 2010-11-17 | (주)티에이치엔 | Apparatus for winding |
KR200470698Y1 (en) | 2012-05-10 | 2014-01-09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Wire unbinding auxiliary apparatus |
-
2016
- 2016-08-23 KR KR1020160106818A patent/KR1016733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0862A (en) * | 2009-05-07 | 2010-11-17 | (주)티에이치엔 | Apparatus for winding |
KR200470698Y1 (en) | 2012-05-10 | 2014-01-09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Wire unbinding auxiliary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83502A (en) * | 2016-12-30 | 2017-04-26 | 铜陵顶科镀锡铜线有限公司 | Adhering preventing line dividing shuttle for multi-head wire drawing and master material adhering preventing method thereof |
CN107187942A (en) * | 2017-06-13 | 2017-09-22 | 湖州南浔善琏友乐毛纺厂 | Interlock take-up |
JP2022024556A (en) * | 2020-07-28 | 2022-02-09 |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Optical r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3314B1 (en) | 2016-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55627B2 (en) | Modular spooler | |
US20120125245A1 (en) | Thread Guide For Sewing And Embroidery Machines | |
US7124980B2 (en) | Wire spool guide assembly | |
KR101673314B1 (en) | Wire bobbin holding appararus with wire untying guidence funtion | |
US10065668B2 (en) | Cable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 |
US10150645B1 (en) | Rotational hose reel | |
US5097688A (en) | In-line wire drawing machine with overhead turntable | |
US2390157A (en) | Wire pay-off reel | |
WO2007011997A2 (en) | Wire cable dispenser | |
US6260785B1 (en) | Line rewinder apparatus | |
JP2022180321A (en) | fishing line aligner | |
JP3138430U (en) | Telescopic thread stand for large winding sewing thread | |
KR20220040126A (en) | Fiber cable loosening prevention apparatus | |
JP2005246475A (en) | Drawing wire delivery supporting tool and drawing wire feeder | |
US786150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flexible sleeving | |
EP3233684B1 (en) | A wire reel hub for a welding wire feeder | |
US7997523B1 (en) | Turntable (with attachments) for the dispensing of electrical wire, cable or other linear goods that are supplied on reels or in coil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used | |
JP2857268B2 (en) | Welding wire pull-out device and pull-out method | |
US3228627A (en) | Support for spools containing wire to facilitate unwinding wire | |
GB2478788A (en) | Spool support device with material guide means | |
KR20160097735A (en) | Co_2 double welding wire reel | |
US20150217966A1 (en) | Bobbin winding system | |
KR20180007168A (en) | Device for winding string | |
KR100432503B1 (en) | Fishing line winding device for spinning tackle | |
KR20140004818U (en) | Apparatus for unbinding w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