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512A -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512A
KR20160105512A KR1020167021103A KR20167021103A KR20160105512A KR 20160105512 A KR20160105512 A KR 20160105512A KR 1020167021103 A KR1020167021103 A KR 1020167021103A KR 20167021103 A KR20167021103 A KR 20167021103A KR 20160105512 A KR20160105512 A KR 20160105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bandwidth
uplink
downlink transmission
uplink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738B1 (ko
Inventor
롱휘 웬
밍유 저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은 무선 통신 기술의 분야, 특히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이들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는 때에 유발될 수 있는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간섭이 극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사용된다. 본원의 실시태양에서,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에 전송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는다.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된다.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는 때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간섭이 감소된다. 따라서, 시스템 성능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DOWNLINK TRANSMISSION}
이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3G 기술의 에볼루션이며, 일반적으로 3.9G으로 지칭된다. LTE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기술에 기초하는 국제적인 일반적 표준이고,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관에 의해 만들어지며, 다음의 두 가지 모드를 포함한다: 쌍을 이루는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는 스펙트럼에 대해 사용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LTE 표준에서 FDD와 TDD의 두 모드 사이의 비교적 작은 차이만이 존재하며, 두 모드 간의 유사성이 90%에 다다른다. LTE에 대한 요건으로서, TDD 시스템의 에볼루션이 FDD의 에볼루션과 동시에 존재한다.
FDD 모드는 두 개의 (업링크와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의 190MHz의 간격으로) 분리된 대칭적 주파수 채널에서 수신 및 송신이 수행되는데 특징이 있다.
LTE-FDD 시스템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리소스가 동일한 대역폭을 점유하지만, 업링크와 다운링크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대칭적인 것은 아니다. 다운링크 서비스가 업링크 서비스보다 많다면, 리소스 소비가 유발될 수 있다. 다운링크 서비스에 대해 큰 요구를 가진 스테이션이 가동되지 않는(idle)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서, 리소스의 완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이 사용자 기기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보다 일반적으로 크고, 따라서, 기지국이 전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직접 전송한다면,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인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누설되는 신호 강도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interference tolerance threshold)보다 크게 될 것이어서(도 1 참조),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극심한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는 경우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극심한 간섭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출원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들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는 경우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극심한 간섭이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사용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guard frequency band)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는 않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한다.
제1 측면에 대하여, 다운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상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다음의 방법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갖는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1 측면,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1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측면, 제1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1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되는 때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제2 측면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기기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단계, 이때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함.
제2 측면에 대하여, 제1 가능 구현 방법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사용자 기기가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2 측면,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식, 및 제2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식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제2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2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이 제공되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됨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대하여, 제1 가능 구현 방법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결정 모듈이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3 측면, 제3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3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법에서, 송신 모듈이: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3 측면, 제3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3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송신 모듈이: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때,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사용자 기기가 제공되고, 이 사용자 기기는: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됨 -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대하여, 제1 가능 구현 방법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제1 간으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결정 모듈이 구체적으로 다음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and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지는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4 측면, 제4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제4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법에서, 송신 모듈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4 측면, 제4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4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송신 모듈이: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5 측면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됨 -.
제5 측면에 대하여, 제1 가능 구현 방법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및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5 측면, 제5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5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5 측면, 제5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5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송수신기를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6 측면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사용자 기기가 제공되며, 이것은: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됨 -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대하여, 제1 가능 구현 방법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제2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법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이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제6 측면, 제6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6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3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제6 측면, 제6 측면의 제1 가능 구현 방법, 및 제6 측면의 제2 가능 구현 방법 중 임의의 하나에 대하여, 제4 가능 구현 방법에서, 프로세서는,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원의 실시태양에서,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에 전송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지는 않으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는 때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간섭이 감소되며, 따라서, 시스템 성능이 개선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태양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태양 2에 따라 어느 이용가능 리소스가 상이한 송신 방향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태양 3에 따른 하나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실시태양 4에 따른 2개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태양 5에 따른 3개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태양 4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태양 7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태양 8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실시태양 9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태양 10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태양 11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본원의 실시태양에서,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에 전송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으며, 보호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한다.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거나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어 있는 때에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간섭이 감소되며, 이로써 시스템 기능이 개선된다.
본원의 실시태양이 본원의 수반되는 도면에 대하여 이하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처럼, 본원의 실시태양 1에 따른 다운링크를 위한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 및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사용자 기기(11), 이때 보호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된다.
본원의 이 실시태양에서,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때에, 충분한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보호 주파수 대역이 보유되어서(reserved),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가 보호 대역에서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 아래로 감쇠되고, 이로써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점유되어 있는 때에 인접한 주파수에서 사용자 기기의 통신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시스템 성능이 개선된다.
본원의 이 실시태양에서,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전체 주파수 대역이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오직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이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에지 주파수 대역이 데이터 신호, 기준 신호 및 제어 신호와 같은 모든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보호 주파수 대역으로서 보유된다. 상이한 신호 송신 방향에 대응하는 때에 주파수 대역의 이용가능한 리소스가 상이하며, 자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각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트래픽양 조건(traffic volume requirement)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사용자 기기에게 통지되거나 프로토콜의 개선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구현시, 본원의 이 실시태양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거나, 2개의 보호 간격을 가질 수 있거나, 보호 간격을 가지지 않을 수 있고, 이는 다음에서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경우 1: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2)개의 보호 간격을 가짐
이 경우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간격을 가지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구현시, 2개의 보호 간격의 대역폭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지만, 보호 주파수 대역의 미리설정된 최소값 미만일 수는 없다.
2개의 보호 간격의 대역폭이 실시예와 같이 동일할 수 있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여서,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A이고,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이 B이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A-2B이고, A-2B보다 크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D이면,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A-D)/2이다.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및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감쇠 조건에 관련된다. 구현시, 허용 범위(예,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 미만) 내에서, 보호 간격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신호가 감쇠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2에서처럼,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P이고,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가 P_MIN이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가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전력에 대한 (P-P_MIN)의 감쇠를 요구한다.
신호가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누설되고,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전력의 일부가 인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누설되기 때문에, 보호 주파수 대역이 보유되고, 이로써 인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누설된 간섭이 감소되며, 인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가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신호는 또한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스무스하게(smoothly) 감쇠되며, 이는 신호가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누설되기 때문이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폭이 A이고, 중심 주파수가 f0이라고 가정하면, 대역폭의 양쪽에 의해 요구되는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의 최소값이 B이다. 즉,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범위가 [f0-A/2, f0+A/2]이다.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 후에,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하고 수신될 다운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계산하며, 특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하다고 결정한다.
인접한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이 C=(A-2*B)이라고 결정한다.
모든 통신 시스템 디바이스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폭에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컨대 현재 LTE 시스템이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 1.4M, 3M, 5M, 10M, 15M 및 20M을 지원한다.
C보다 작은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C 보다 작은 최대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A=20M, B=4M, 및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대역폭 C=12M라고 결정한다면,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10M의 다운링크 대역폭을 선택하며, 즉, f0의 중심 주파수와 10M의 폭을 가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으로서 사용하여서, 주파수 대역의 두 측 상에서 실제로 보유되는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B'=5M이다.
즉,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가 20M의 대역폭에 따라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이 20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10M의 대역폭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기기가 10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즉,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다운링크 범위가 [f0-A/2+B'/2, f0+A/2-B'/2]이다.
경우 2: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간격을 가짐
이 경우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기 때문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간격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상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구현시,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각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보호 간격이 완전히 동일하거나, 완전히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미리설정된 최소 대역폭 값 미만일 수는 없다.
경우 2에 대하여,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 다수의 경우가 존재한다.
구현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A이고,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이 B이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A-B이고, A-B보다 크지 않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선택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D이면,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A-D)/2이다.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및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감쇠 조건에 관련된다. 구현시, 허용 범위(예,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 미만) 내에서, 보호 간격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신호가 감쇠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주파수 대역이 인접한 주파수 대역이면, 오직 보호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저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에서 보유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3개의 인접한 주파수 대역보다 크거나 동일하다면, 오직 보호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저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에서 보유될 것이 요구되며, 중간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대역으로서 완전히 사용되고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대하여 다음에서 개별적으로 수행한다.
도 4에서 처럼,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P이고, 인접한 주파수 대역의 간섭 오차 임계치가 P_MIN라 가정하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가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전력에 대한 (P-P_MIN)의 감쇠를 필요로 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1)의 폭이 A1이고 중심 주파수가 f1이라고 가정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2)의 폭이 A2이고, 중심 주파수가 f2이면, 대역폭의 양측에 의해 요구되는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폭이 B이다. 즉, 업링크 주파수 대역(1)의 범위가 [f1-A1/2, f1+A1/2]이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2)의 범위가 [f2-A2/2, f2+A2/2]이다.
다운링크 신호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정한 후에,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이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하고, 수신될 다운링크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계산하며, 특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1)을 결정한다.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이 C1=(A1-B)라고 결정한다.
모든 통신 시스템 디바이스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예컨대 현재 LTE 시스템이 6 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인, 1.4M, 3M, 5M, 10M, 15M 및 20M를 지원한다.
C1 미만인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C1 미만인 최대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A1=20M, B=4M, 및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대역폭 C1=16M라고 결정한다면, 15M의 다운링크 대역폭이 선택되고, 즉, f1'의 중심 주파수 및 15M의 폭을 갖는 신호가 수신되어서, 저주파수 대역에서 실제로 보유되는 보호 대역폭이 B1'=5M이다.
즉,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가 20M의 대역폭에 따라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20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15M의 대역폭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기기가 15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f1'=(f1+B1'/2)이다. 즉,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1)의 다운링크 범위가 [f1-A1/2+B1', f1+A1/2]이다.
2.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2)을 결정한다.
인접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최대 주파수 대역폭이 C2=(A2-B)라고 결정한다.
모든 통신 시스템 디바이스가 다수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에컨대 현재 LTE 시스템이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 1.4M, 3M, 5M, 10M, 15M 및 20M을 지원한다.
C2 미만인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C2 미만의 최대 대역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선택된다.
A2=10M, B=4M, 및 UE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대역폭이 C2=6M라고 결정하면, 5M의 다운링크 대역폭이 선택되며, 즉, f2'의 중심 주파수와 5M의 폭을 갖는 신호가 수신되어서, 고주파수 대역에서 실제로 보유되는 보호 대역폭이 B2'=5M이다.
즉,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가 10M의 대역폭에 따라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10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때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5M의 대역폭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기기가 5M의 대응하는 대역폭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f2'=(f2-B2'/2)이다. 즉,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2)의 다운링크 범위가 [f2-A2/2, f2+A2/2-B2']이다.
도 5에서 처럼, 도면에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1) 및 업링크 주파수 대역(3)의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 및 폭이 도 4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1) 및 업링크 주파수 대역(2)을 위한 방법에 따라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에 다시 기재하지는 않는다.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도 5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2)의 중심 주파수 및 폭이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과 동일하며, 변하지 않고 남는다.
전술한 경우 1 및 2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이 선택된 이용가능 주파수 및 중심 주파수에 따라 기준 신호, 데이터 신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전송하며, 사용자 기기가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채널 측정 및 채널 품질 리포팅을 수행한다.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폭 미만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스케쥴링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때에, 스케쥴링 정보의 페이로드 크기가 대응하여 감소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기기가 다운링크 대역폭에 따라, 그리고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스케쥴링 정보를 복조한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때에, 정보는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전송된다.
대응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때에, 정보가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수신된다.
구현시, 일부 신호가 주기적으로 리포팅되기 때문이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다운링크로서 선택한 때에, 주기적으로 리포팅된 이러한 신호의 리소스가 여전히 업링크임을 보장할 수 없고, 사용자 기기의 리포팅된 리소스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한다.
대응하여,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한다.
경우 3: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보호 간격을 가지지 않음
이 경우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2개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기 때문에,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보호 간격을 가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도 5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2)을 참조할 수 있다.
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전체 대역폭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이고, 중심 주파수가 업링크 송신이 수행되는 때의 중심 주파수와 동일하다.
도 6에서 처럼, 본원의 실시태양 6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610)와 송신 모듈(620)를 포함한다.
결정 모듈(610)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620)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다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상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모듈(610)이 다음의 방법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결정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620)이: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620)이: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7에서 처럼, 본원의 실시태양 7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는 사용자 기기가 결정 모듈(710) 및 송신 모듈(720)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710)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720)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다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모듈(710)이 다음의 방법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720)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720)이: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때에,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8에서 처럼, 본원의 실시태양 8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에 있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송수신기(810)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프로세서(800); 및
프로세서(800)의 제어 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810) - 보호 주파수 대역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함 -.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800)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800)가:
송수신기(810)를 사용하여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800)가: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대역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가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된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00)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820)로 표시된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에 의해 함께 링크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기기, 전압 조절기 및 전력 관리 회로와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와 함께 더 링크될 수 있고, 이들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기재하지는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10)가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일 수 있고, 송신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800)는 버스 아키텍처 및 공통 프로세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00)가 동작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00)가 버스 아키텍쳐 및 공통 프로세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00)가 동작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에서, 본원의 실시태양 9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 내의 사용자 기기는 다음을 포함한다: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송수신기(910)를 사용하여,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프로세서(900); 및
프로세서(9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910) -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됨 -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00)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900)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900)는: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송수신기를 사용함으로써,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가 임의의 수량의 상호접속된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0)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920)로 표시된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에 의해 함께 링크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주변 기기, 전압 조절기 및 전력 관리 회로와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와 함께 더 링크될 수 있고, 이들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기재하지는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910)가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일 수 있고, 송신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930)는 또한 요구되는 디바이스에 외부로 접속되고 내부로 접속될 수 있고, 접속된 디바이스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또는 조이스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900)가 버스 아키텍쳐 및 공통 프로세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00)가 동작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일한 본원 개념에 기초하여, 본원의 실시태양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을 개별적으로 더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본원의 이 실시태양에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원리가 방법의 구현예에 대하여, 시스템의 원리와 유사하며, 시스템에서의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구현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하여 그 부분을 다시 기재하지는 않는다.
도 10에서, 본원의 실시태양 10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1010: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함
단계 1020: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음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전송되는 때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도 11에서, 본원의 실시태양 11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1110: 사용자 기기가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함
단계 1120: 사용자 기기가,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음
보호 주파수 대역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과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기기가 다음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주파수 대역 내의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후에, 이 방법은: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이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사용자 기기에 의해,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의 실시태양이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이 하드웨어 전용 실시태양, 소프트웨어 전용 실시태양,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M 조합을 가진 실시태양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출원이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사용가능 저장 매체(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함)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은 본원의 실시태양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재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및/또는 각 과정,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및/또는 과정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엠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머신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형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형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과정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의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또한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형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는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아티펙트를 생성한다.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과정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 내의 특정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또한 컴퓨터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램형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로딩될 수 있어서, 일련의 동작 및 단계가 컴퓨터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램형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며, 이로써 컴퓨터-구현 처리를 생성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램형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과정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의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원의 일부 예시인 실시태양이 기재되었다 할지라도,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기본적인 창작적 개념을 안다면 이 실시태양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범위는 본원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 및 수정, 그리고 일례의 실시태양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려는 의도이다.
명백하게,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원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본원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와 그 등가의 기술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의 범위 내에 있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려는 의도이다.

Claims (20)

  1.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서 위치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는 방식
    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6.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는 방식
    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방법.
  11.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가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이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는 방식
    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사용자 기기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6.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사용자 기기로서,
    보호 주파수 대역과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또는 최저-주파수 부분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지 않으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 및 최저-주파수 부분이 각각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주파수 부분의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모든 인접한 업링크 주파수 대역 중 최저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주파수 부분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사용자 기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이 구체적으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2개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의 두 배인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의 절반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거나,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이 하나의 보호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최소 대역폭 값을 가진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이 되도록 결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최대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제외한 대역폭을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으로서 사용하는 방식
    에 따라서,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보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및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또 다른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가 상기 업링크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때에, 상기 이용가능 주파수 대역의 결정된 폭에 대응하는 페이로드 크기에 따라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
KR1020167021103A 2014-01-07 2014-01-07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101765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0246 WO2015103734A1 (zh) 2014-01-07 2014-01-07 一种进行下行传输的方法、系统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12A true KR20160105512A (ko) 2016-09-06
KR101765738B1 KR101765738B1 (ko) 2017-08-07

Family

ID=5352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103A KR101765738B1 (ko) 2014-01-07 2014-01-07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7748B2 (ko)
EP (1) EP3082357B1 (ko)
JP (1) JP6382994B2 (ko)
KR (1) KR101765738B1 (ko)
CN (1) CN105009622B (ko)
WO (1) WO2015103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5991B2 (ja) * 2014-07-28 2016-07-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
CN106162906B (zh) 2015-03-31 2019-01-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度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10779277B2 (en) * 2016-07-07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l authorized access (GAA) primary channel assignment for multiple operators
JP7012460B2 (ja) * 2017-06-08 2022-0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11546917B2 (en) * 2019-12-13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scheme for asynchronous time division duplex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326A (ja) 2000-10-02 2002-04-12 Ntt Docomo Inc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基地局装置
CN101155385A (zh) * 2006-09-29 2008-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改进的频谱使用方式的通信系统
JP4982409B2 (ja) * 2008-03-06 2012-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BRPI0909868A2 (pt) * 2008-06-13 2015-12-08 Rajiv Mehrotra método e arquitetura de emparelhamento de frequências banda de guarda para efetuar duplex celular serviços de telecomunições móveis como o gsm, cdma, umts e wcdma.
CN102595425B (zh) * 2011-01-11 2015-06-1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抗tdd和fdd频带间干扰的方法及通信方法和设备
US9232478B2 (en) * 2012-03-02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ca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ystem center frequency for LTE TDD
US8803635B1 (en) * 2013-03-15 2014-08-12 Wilson Electronics, Llc Filter isolation using a circulator
US20140274193A1 (en) * 2013-03-15 2014-09-18 Wilson Electronics, Llc Out-of-band noise and overload protection
US9867168B2 (en) * 2013-04-30 2018-01-0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ybrid FDD/TDD wireless network
US20150029909A1 (en) * 2013-07-25 2015-01-29 Wilson Electronics, Llc Bi-directional signal boo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738B1 (ko) 2017-08-07
EP3082357A4 (en) 2016-11-30
CN105009622B (zh) 2020-02-14
US20160316376A1 (en) 2016-10-27
JP2017502611A (ja) 2017-01-19
JP6382994B2 (ja) 2018-08-29
EP3082357A1 (en) 2016-10-19
EP3082357B1 (en) 2019-07-03
CN105009622A (zh) 2015-10-28
WO2015103734A1 (zh) 2015-07-16
US10237748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0831A1 (en) Uplink multi-tti scheduling in tdd system
CN108990153B (zh) 一种针对终端自干扰的传输方法、相关设备和系统
JP7197700B2 (ja) ガード・バンド指示方法及び装置
KR101765738B1 (ko)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US10004068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JP5859014B2 (ja) マルチラジオ環境における機器内共存干渉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10973031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117255B2 (en) Neighboring cell load information
WO2017059572A1 (zh) 一种干扰指示方法及装置
KR20190039568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JP516230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8023705A (zh) 一种半静态参考信号配置、收发方法、基站及终端
US1180551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bandwidth,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90124705A1 (en) Identifier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A288050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 of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 by user equipment
US20220263613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966788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ystem
EP30767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asymmetrical bandwidth, enb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0645723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U2023248137A1 (en) Communicat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13056004B (zh) 一种上行传输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RU2780815C1 (ru) Передача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CN113055137B (zh) 一种上行传输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40163811A1 (en) Rf requirements and test methodology for maximum power reduction
CN110073707B (zh) 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