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026A -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026A
KR20160105026A KR1020150028154A KR20150028154A KR20160105026A KR 20160105026 A KR20160105026 A KR 20160105026A KR 1020150028154 A KR1020150028154 A KR 1020150028154A KR 20150028154 A KR20150028154 A KR 20150028154A KR 20160105026 A KR20160105026 A KR 2016010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magnetic
mobile computing
payment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진
배영석
Original Assignee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026A/ko
Publication of KR2016010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기반의 모바일 지불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에서 보안 인증을 하여 금융기관 서버(3)로 자기장 통신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금융기관 서버(3)가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모방리 컴퓨팅 디바이스(1)로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는 자기장 발생기(12)를 이용하여 근접해 있는 결제 단말기(5)로 자기장을 통해 앱 카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단계와, 결제 단말기(5)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 52)가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APP CARD MAGNETIC FIELD PAYMENT METHOD OF MOBILE COMPUTING DEVICE USING MAGNETIC STRIPE READER}
본 발명은 모바일 지불(Mobile Payment)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기장을 이용한 비접촉식 지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핀테크(fintech)로 알려진 금융 기술(Financial technology)은 최근 모바일 산업에서 크게 부상하고 있다. 핀테크 기술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넓은 개념이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는 특히 모바일 결제 기술이 중요하다. 요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간편 결제(Payment)를 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이다.
모바일 결제와 관련하여 애플페이TM가 알려졌다. 애플페이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칩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매장의 결제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지불을 실행한다.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문인증과 보안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지불 시 신용카드 정보가 매장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상의 장점과 편리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애플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문헌으로는 US 2014/0019367, US 2014/0304094 등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애플페이 방식의 모바일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매장의 결제 단말기에 NFC 지원 기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NFC 지원 기능의 결제 단말기는 그렇게 많이 보급되어 있지 않다. NFC 지원 기능이 매장의 결제 단말기에 없다면 NFC 기반의 모바일 결제 기술은 무용지물이다. 이는 구글월렛TM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설령 NFC 방식의 모바일 결제가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그것의 효율성은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다른 방식의 모바일 결제를 연구하였다. 전통적으로 시장에 가장 강력한 결제 인프라는 마그네틱 카드 인프라이다. 매장의 결제용 리더는 NFC 지원 기능을 갖지 않을 수는 있겠으나 대부분의 결제용 리더는 마그네틱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마그네틱 카드 기능을 부가한다면 매장에서 좀더 용이하게 지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한 기술로서 루프페이(LoopPay)TM가 알려졌다.
이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을 하는 별도의 캡슐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매장의 카드 리더를 통해서 마그네틱 카드를 긁었을 때 발생하는 자기장과 동일한 자기장을 휴대폰에 부착된 캡슐에서 발생시키는 원리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한 특허문헌으로는 미국특허 US8,814,046이 있다.
그러나 루프페이 기술은 결정적으로 휴대폰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캡슐에 신용카드 정보를 복제해둬야 하고, 매장의 카드 리더에 실제 금융 ID가 전송되는 구조여서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모바일 디바이스 내장형이 아니라 독립한 캡슐 형태여서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MST 캡슐을 휴대폰에 내장하면 방법을 생각할 수는 있겠으나, 휴대폰의 분실이 금융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고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간편 지불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핀테크 기술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가들이 주목한 것은 가맹점의 결제 인프라였다.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CAT, POS)에 설치된 카드 리더기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Magnetic Stripe Reader: MSR)이다. 이것을 변경없이 이용 하겠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 전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프페이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마그네틱 카드 보안 이슈를 결제 단말기 변경 없이 완전히 해결하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함에 있다. 이로써 마그네틱 카드 실물복제 문제나 디바이스 분실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움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는 핀테크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으로서:
(a)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보안 인증을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금융기관 서버로 자기장 통신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근접해 있는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가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보안 인증은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지문인식기에 의한 지문인증, 패턴 입력, 암호입력 중 어느 하나의 매칭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는 ISO/IEC 7813 표준에 의한 마그네틱 트랙 2의 40 바이트 데이터 포맷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결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터향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또는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향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된 상기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으로서:
(a)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보안 인증을 하여 금융기관 서버로 자기장 통신용 카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40 바이트의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근접해 있는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가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모바일 지불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갖는 결제 단말기; 및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발급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에서 이루어진 지불을 승인하며,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입력기를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실행하며,
상기 금용기관 서버에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배열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며,
실행된 결제에 대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가맹점이 새로운 결제 단말기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결제 단말기를 이용해서도 사용자의 모바일 간편 지불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가 가맹점이 어떤 결제 인프라를 갖고 있는지에 특별히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보다 광범위한 곳에서 모바일 간편 지불을 할 수 있다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기존의 루프페이 방식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강력한 보안 솔루션에 의해 지지된다는 점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가 되겠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 이슈에 관련한 정부기관의 법적/ 기술적 의무를 준수하기 쉽고,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히 두드러진 장점은 현재의 가맹점 인프라와 현재의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기관에서는 변환된 데이터를 발급하고, 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모바일 지불의 편리함과 보안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불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의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불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이 발급하는 자기장 통신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표준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의 다른 데이터 포맷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직면한 산업의 상황과 본 발명의 발명가들이 이를 어떻게 헤쳐나갔는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사용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를 휴대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이다.
신용카드를 직접 사용하거나 현금으로 결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사용자는 언제나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쉽고 안전하게 모바일 지불할 수 있기를 원한다.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에는 NFC 리더기가 없으며, 오직 마그네틱 카드로 결제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런 경우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 모듈로 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용카드나 현금을 사용해야 한다.
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여 신용카드처럼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간편하게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보안이슈는 정부의 법률에 의해서 법제화되어 있으며, 불법복제와 스마트폰 분실에 따른 보안사고로부터 금융기관도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런 상황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기술 구성에 의해서 해결한다. 먼저 그것을 간략하게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그네틱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결제 단말기를 주로 보유한 가맹점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한다.
둘째,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단독으로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결제카드 정보는 저장되지 않는다.
셋째, 금융기관이 발급하는 데이터 포맷의 변화 이외에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새롭게 변경하지 않음으로써 금융기관의 인프라도 그대로 사용한다.
넷째 강화된 보안 인증을 통해서 보안 법규를 위반하지 않으며 보안 사고를 예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지불 시스템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모바일 지불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 가맹점의 결제 단말기(5) 및 금융기관 서버(3)가 포함된다. 도면에서 금융기관 서버(3)는 벤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1개의 구성처럼 표시했다. 그러나 수많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와 수많은 가맹점 결제 단말기(5)와 통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욱이 금융기관 서버(3)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와는 보안절차에 관한 통신을 하며, 가맹점 결제 단말기(5)와의 통신은 지불 승인에 관한 것이어서 통신의 목적과 기능이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를 포함한 복수의 서버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좋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 무선 통신 장치(11) 및 자기장 발생기(12)를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 전력장치, 다양한 입출력기가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블루투스 디바이스, NFC 모듈 및 기타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는 지문인식기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에 사용되는 컴퓨터 소스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는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 운영 체제, 다양한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프로세서 기능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루틴들과 같은 디바이스용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결제처리용 데이터가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컴퓨팅 프로세서(10)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설치, 표시 및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특히 디바이스에서의 GUI 요소의 변화를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보장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는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스, 무선 통신 장치(11)를 통해서 금융기관 서버(3)에 자기장 통신용 카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프로세스와, 자기장 통신용 카드 데이터로서 금융기관 서버가 발급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 발생기(12)를 통해서 결제 단말기(5)로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자기장 발생기(12)는 앱 카드 데이터를 결제 단말기(5)에 전달할 때 필요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인덕터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MST Module(Magnetic Stripe Transmission Module)로 표시되어 있다. 이 MST 모듈은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자기테이프에 정보를 저장하며,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 52)가 자기테이프에 수록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은 표준기술이다. 또한, 자기장 발생기(12)의 자기장 발생 원리, 펄스의 증폭과 처리, 마그네틱 배열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 자체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와 금융기관 서버(3)의 상호 관계는 이러하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는 본인임을 인증하는 보안인증 절차를 거치면서 금융기관 서버(3)로 자기장 통신용 카드 데이터를 요청한다. 금융기관 서버(3)는 보안검증 후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로 전송한다.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은 ISO/IEC 7813 표준으로 정해져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는 수신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가 결제 단말기(5)로 전달될 수 있다면, 결제 단말기(5)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 52)는 이 앱 카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자기장으로 전달되는 앱 타드 데이터의 인식에 관해서는 ISO/IEC 7811 Part 2의 규정을 준수한다.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 52)는 자기배열 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앱 카드 데이터를 전술한 MST 기술을 이용해서 결제 단말기로 전달하기만 하면 비접촉 결제가 가능해진다.
결제 단말기(5)는 가맹점에 위치한 단말이다. 자기장을 이용한 정보의 전달, 즉 자기장 통신에는 한계 거리가 있다. 결제 단말기(5)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가지지만, 자기배열 정보를 갖는 매체는 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에 그근접해야 한다. 보통 결제 단말기(5)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는 카운터에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를 직원에 건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2)를 카운터의 반대편에 설치하고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결제 단말기(5)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를 점포 직원에게 건넬 필요 없이 자기 스스로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2)에 근접해서 지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는 결제 단말기(5)에 내장된(Built-in) 점원용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다. 그리고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2)는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향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다. 일반적으로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홈을 통해서 결제카드를 읽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2)에 그와 같은 홈을 구성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모바일 지불 방법은 직접 결제카드를 스와핑(Swipe)하는 게 아니라 근거리 자기장 통신으로 자기배열 정보를 전달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즉,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로부터 전송되는 자기장 배열 정보를 인식할 수 있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2)는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51)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1)의 종류를 예시하고 있다. 도 3(a)의 실시예에 있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폰(1a)이다. 가장 대표적인 디바이스일 것이다. 도 3(b)의 실시예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태블릿 PC(1b)이다. 또한 도 3(c)의 실시예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스마트워치(1c)이다. 도 3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 워치(1c)뿐만 아니라 스마트 글라스 등의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에는 마그네틱 배열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와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내장된다는 구성과, 금융기관 서버(3)와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MSR(Magnetic Stripe Reader)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지불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것처럼,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는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모바일 지불을 위해서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0). 그러면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호출될 것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입력기를 이용해서 사용자 화면의 안내에 따라 1차로 보안 인증을 한다(S110). 이것은 본인 인증(User Authentication) 절차이다.
본인 인증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지문 인증일 수 있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자기 지문과 매칭하게 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턴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 본인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패턴과 입력하는 패턴을 매칭하여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의한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인 인증 절차를 완료하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통신망을 통해서 금융기관 서버에 자기장 통신용 데이터를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
이런 요청을 수신한 금융기관 서버는 보안 검증 후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
종래 S120 단계에서 금융기관 서버는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21바이트의 모바일 앱 카드였다. 이와 같은 21바이트 데이터 포맷의 모바일 앱 카드는 자기장 통신 데이터로 사용될 수 없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자기장 통신 데이터는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로 독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는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도 5(a)와 같은 데이터 포맷의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금융기관 서버가 발급하는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는 마그네틱 카드에 기록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ISO/IEC 7813 표준에 정의된 규정을 따르는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ISO/IEC 7813 표준의 마그네틱 트랙 2의 데이터 포맷이 좋다. 도 5(b)의 데이터포맷(90)은 이 표준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다. 도 5(a)는 이 실시예에 의해서 40 바이트로 구성된 데이터 포맷(80)을 나타낸다.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의 포맷(80)의 SS(81), ES(82), LRC(83)은 표준 마그네틱 데이터 포맷(90)의 SS(91), ES(92), LRC(93)에 대응된다. 각각 1바이트 할당된다. SS(81, 91)은 Start Sentinel “;”을, ES(82, 92)는 End Sentinel “?”을, LRC(83, 93)은 Longitudinal Redundancy Check에 해당하며, SS와 ES를 포함하는 모든 트랙 데이터를 XOR 연산하여 계산하며, ISO/IEC 7811-2 표준 규정에 따른다. 또한,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 포맷(80)의 '='(85)는 표준 마그네틱 데이터 포맷(90)의 FS(95)에 대응한다. FS(95)는 Seperator이며 “=”를 나타낸다.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 포맷(80)은 1차로 SS(81)이 첫번째, 모바일 지불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두번째부터 38번째, ES(82)이 39번째 위치하도록 편집한다. 2차로, 편집한 데이터(SS와 ES를 포함하는 모든 트랙 데이터)를 XOR 연산하여 LRC(83)계산한다. 계산된 LRC를 40번째 위치시켜 앱 카드 데이터의 포맷(80)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데이터 포맷(8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신용카드 결제에 필수적인 OTC 번호(84)는 16 바이트로 구성된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 ID인 16 바이트의 OTC 번호(84)를 구성하는 데이터 코드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NO. NAME LENGTH MEANINGS
1 BIN 6 Bank Identification Number
2 RFU 1 기본 '0'으로 설정(확장용)
3 OTN 6 1회용 번호로 카드발행기관 생성
4 OVC 3 OTC verification code로 13자리 번호 검증용
모바일 결제임을 나타내는 '8911'(86)은 4 바이트의 데이터 코드와, 사용자가에게 신용거래의 영수증 제공하는 기능의 앱 발급 기관 식별자(87)로서 3 바이트의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휴 서비스(88) 데이터 코드가 4 바이트, 확장용 코드인 RFU(89)가 9바이트 할당된다. 이렇게 하여 40 바이트의 표준 마그네틱 데이터 포맷의 규격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제휴서비스(88)와 RFU(89)는 모두 확장용 코드이기 때문에, 결국 상기 S120 단계는 종래의 21바이트의 앱 카드에 비해서 모바일 지불에 필수적인 가상 카드정보를 모두 가지면서도 바이트 수를 확장하여 더 많은 확장용 코드를 확보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도 6은 상기 S120 단계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포맷(8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의 데이터 포맷에서는 확장용 코드가 RFU(89)의 경우 12바이트, 제휴서비스(88)을 포함하여 16바이트이다. 앞서 도 5(a)의 데이터 포맷(80)에서는 앱 발급 기관 식별자(87)를 나타내는 3바이트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결제 단말기에서 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도 5(a)의 데이터 포맷에서의 앱 발급기관 식별자(87) 데이터 코드는 본 발명의 확장성 코드를 사용한 예가 되겠다.
한편, 표준 마그네틱 데이터 포맷(90)의 PAN(94)는 Primary Account Number를 의미하며 19 바이트가 할당된다. Additional Data(96)는 신용카드의 Expiration date(YY/MM)의 4 바이트가 포함된다. Discretionary Data(97)에는 CVC 식별코드 등을 10 바이트가 할당되어 37개의 숫자의 밸런스를 맞추는 데 이용한다.
이처럼 금융기관이 발급하는 모바일 앱 카드의 데이터 포맷이 표준 마그네틱 데이터 포맷의 필수적인 SS, FS, ES, LRC의 요건을 만족하고, 37개의 데이터 길이도 일치함으로써,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는 자기장 통신용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는 이와 같이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통신망을 이용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금융기관 서버가 발급한 앱 카드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
다음으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내장된 자기장 발생기를 구동하여 모바일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으로 변환하여 전송을 실행한다(S140). 자기장 통신에 의해서 앱 카드 데이터를 결제 단말기로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와 같이 자기장 발생기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내장된 것이 좋지만,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기장 발생기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는 자기장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진행한다(S150). 결제 단말기가 이 결제에 대해서 금융기관 서버에 승인을 요청하고, 금융기관이 거래를 승인하며, 승인한 결제에 관한 결제 단말기에서의 영수증 발행,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승인 사실을 통지하는 등의 절차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모바일 앱카드를 이용한 자기장 결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3)

  1. (a)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보안 인증을 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금융기관 서버로 자기장 통신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근접해 있는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가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보안 인증은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지문인식기에 의한 지문인증, 패턴 입력, 암호입력 중 어느 하나의 매칭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는 ISO/IEC 7813 표준에 의한 마그네틱 트랙 2의 40 바이트 데이터 포맷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결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터향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또는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향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된 상기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6. (a)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모바일 지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보안인증을 하고, 금융기관 서버로 자기장 통신용 카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40 바이트의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근접해 있는 결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가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보안 인증은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지문인식기에 의한 지문인증, 패턴 입력, 암호입력 중 어느 하나의 매칭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된 상기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9.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갖는 결제 단말기; 및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1회용 가상 카드 번호를 포함하며 마그네틱 카드 데이터 포맷의 앱 카드 데이터를 발급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에서 이루어진 지불을 승인하며,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입력기를 이용하여 보안 인증을 실행하며,
    상기 금용기관 서버에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자기장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앱 카드 데이터를 자기장을 통해 상기 결제 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는:
    상기 앱 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자기 배열 정보를 인식하여 결제를 실행하며,실행된 결제에 대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승인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지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인증은 개인식별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지문인식기에 의한 지문인증, 패턴 입력, 암호입력 중 어느 하나의 매칭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인, 모바일 지불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앱 카드 데이터는 ISO/IEC 7813 표준에 의한 마그네틱 트랙 2의 40 바이트 데이터 포맷인, 모바일 지불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기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는, 상기 결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터향 제 1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또는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향 제 2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모바일 지불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미리 설치된 상기 모바일 지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인, 모바일 지불 시스템.

KR1020150028154A 2015-02-27 2015-02-27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KR20160105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54A KR20160105026A (ko) 2015-02-27 2015-02-27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54A KR20160105026A (ko) 2015-02-27 2015-02-27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26A true KR20160105026A (ko) 2016-09-06

Family

ID=5694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154A KR20160105026A (ko) 2015-02-27 2015-02-27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0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985A (zh) * 2017-12-29 2018-06-01 山大地纬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社会保障卡虚拟化系统及实施方法
CN108122107A (zh) * 2017-12-29 2018-06-05 山大地纬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社会保障卡虚拟化的移动支付系统及实施方法
KR20180079884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84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8128358A1 (en) * 2017-01-03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cure magnetic pulse transmission
US10796297B2 (en) 2017-01-03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cure magnetic pulse transmission
CN108108985A (zh) * 2017-12-29 2018-06-01 山大地纬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社会保障卡虚拟化系统及实施方法
CN108122107A (zh) * 2017-12-29 2018-06-05 山大地纬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社会保障卡虚拟化的移动支付系统及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0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direct debit transactions
US201602249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pre-authorized financial transactions
US20160132878A1 (en) Payment Card Including User Interface for Use with Payment Card Acceptance Terminal
US20130060701A1 (en) Electronic payment service method, and electronic payment service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ac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248165A1 (en) Transaction utilizing anonymized user data
US20140081785A1 (en) Telematic payment card
CN105474241A (zh) 用于对电子货币进行转账的方法和系统
KR20160111286A (ko) 결제 부가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462661B (zh) 用于x-支付数字钱包的拉取和推送系统
CN103269326A (zh) 一种面向泛在网的安全设备、多应用系统和安全方法
CN105122283B (zh) 移动终端、安全性服务器及其支付方法
CN103218713A (zh) 基于智能平台的多功能pos终端、系统及其支付方法
US20110276487A1 (e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chip-based device processing for transaction
KR20180032223A (ko) 카드 거래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 방법 및 시스템
JP2019515387A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KR20160105026A (ko)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앱 카드 자기장 결제 방법
CN203025844U (zh) 电子钱包
US10846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KR20160102786A (ko)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자기장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636975B1 (ko) 근거리 통신 결제를 위한 카드 정보 등록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결제 장치
CA3127381C (en) Terminal type identification in interaction processing
KR20160102874A (ko)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자기장을 이용한 결제 방법
TW201631529A (zh) 行動支付方法及行動支付設備
US20230316291A1 (en) Physical medium for restricted account access to contributed resources
KR101361138B1 (ko) 온라인 비대면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5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05

Effective date: 2019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