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913A - 검수고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검수고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913A
KR20160104913A KR1020150027779A KR20150027779A KR20160104913A KR 20160104913 A KR20160104913 A KR 20160104913A KR 1020150027779 A KR1020150027779 A KR 1020150027779A KR 20150027779 A KR20150027779 A KR 20150027779A KR 20160104913 A KR20160104913 A KR 2016010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unit
control unit
pai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825B1 (ko
Inventor
배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술
Priority to KR102015002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vehicle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검수고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검수고 입구측의 한 쌍의 레일에 직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위치, 상기 레일 스위치와 연결되어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레일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수고 관리 장치{MANAGEMENT DEVICE IN TRAIN REPAIR WORKSHOP}
본 발명은 열차 검수고 내 열차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수고내 열차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차량기지 내의 궤도회로를 검수고 내부까지 확대하여 궤도단락에 의한 열차검지를 하는 방법과, 열차 운전취급자가 검수고 내 설치되어 있는 CCTV를 이용하는 것으로 운전취급실의 표시부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로 확인하는 방법이 보통이다.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검수고 내 열차 유무를 확인할 경우 운전취급자가 열차 운전시 사용하는 표시부에 열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되기는 하지만, 열차가 없음에도 열차 점유 표시가 되는 궤도회로 단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CCTV 모니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방식으로 검수고 내 설치된 CCTV 모니터를 이용해 열차 유무를 확인할 경우 운전취급자가 열차 운전시 표시부를 사용하여 열차진로를 설정함에 있어 열차 취급시 마다 검수고 내 열차 유무를 별도로 설치된 CCTV 모니터를 통해 확인해야 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확인행위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져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차가 검수고 입출고시 검수고 내 선로에 열차 유무를 표시하여 검수고로 진입할 때 열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가 하나의 열차가 통과하는 한 쌍의 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검지부 양쪽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만 열차 진출입으로 판단하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검지 상황의 오신호 문제를 줄이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는 검수고 입구측의 한 쌍의 레일에 직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위치, 상기 레일 스위치와 연결되어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레일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는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검지부, 상기 검지부와 연결되어 열차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검수고 내 열차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부는, 한 쌍의 레일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검지부와 제2 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한 하나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열차 바퀴와 접촉하는 레일 스위치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는 상기 한쌍의 레일의 내부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수고의 입구 지점에 설치되거나 각 선로의 레일마다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계전기랙에 설치되어 무극선조 계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지부가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때부터 열차의 진출을 감지할 때까지 열차가 있다는 표시가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는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며, 한 쌍의 레일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검지부와 연결되어 열차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검지부가 동시에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가 통과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에 의하면, 제1 검지부와 제2 검지부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만 열차 진출입으로 판단0하여 의도하지 않은 검지 상황의 오신호 문제를 줄이고, 열차가 검수고 내에 있는 경우 지속적으로 열차가 있다는 표시를 하여 열차 충돌 방지 등 열차 정비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검수고내 열차 운행을 합리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차 검지부의 위치와 수를 조절하여 열차의 검수고 내 진출입 검지의 정확성과 효율성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검지부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레일 스위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제어부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표시부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검지부(200)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레일 스위치(230)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제어부(300)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표시부(400) 개략도이다.
검수고(100)는 다수의 열차가 진출입 가능하도록 다수의 선로가 놓여 있는 것으로 열차 수리 점검을 위해 장비를 갖추고 있는 열차를 정비하는 곳이다.
검지부(200)는 열차가 레일(700)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00)로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레일 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지부(200)는 도 3이나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검지부(200)의 하단이 나사결합 등으로 침목(710)과 결합하여 침목(7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검지부(200)는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는 하나의 열차가 지나가는 한 쌍의 레일(700) 양측에 설치되는 검지부(200) 각각을 칭하는 것이다. 레일 스위치(230)가 한 쌍의 레일(700)에 직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하나의 열차가 선로를 이동할 때 양쪽 레일(700)에 설치된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평행한 양쪽 레일(700)에 공통되는 하나의 수직선 상에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레일 스위치(230)는 레일 스위치 롤러(240)와 송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일 스위치 롤러(240)는 레일(700) 주변에 설치되어 열차 바퀴의 프린지(fringe)(61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열차 바퀴(600)가 레일 스위치(230) 부분을 통과하게 되면 열차 바퀴 프린지(610)가 레일 스위치 롤러(240)를 누르게 되고 레일 스위치 롤러(240)는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레일 스위치 롤러(240)는 열차 바퀴 프린지(610)와 마찰을 줄이기 위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차의 육중한 무게에 반응하도록 경미한 하중에는 작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송신부(250)는 이러한 레일 스위치 롤러(240)의 작동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는 하나의 열차가 통과하는 한 쌍의 레일(700) 내부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검지부(200)가 한 쌍의 레일(700)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한 쌍의 레일(700) 외부에 설치되는 것보다 선로 외부 공간을 덜 차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성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검지부(200)가 선로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검지부(200)는 검수고(100) 내의 여러 선로 중 어느 선로에 열차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수고 입구(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검수고 입구(110)에 설치되면 열차가 검수고(100) 내 진입시 바로 검지부(200)가 이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송신하면 제어부(300)가 이를 수신받아 후술하는 표시부(400)에 열차가 있다는 표시를 하여 다른 열차가 동일한 선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검지부(200)가 반드시 검수고 입구(11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검수고(100) 내의 열차 종착 지점에 설치되는 등 선로가 검수고 내의 열차 진입 가능한 여러 선로로 나누어진 후의 어느 지점에 설치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검지부(200)는 각 선로의 레일(700)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 선로마다 한 쌍의 레일(700)에 공통되는 수직선 상에 각 레일(700)마다 검지부(200)가 설치되어야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만 후술하는 제어부(300)가 열차 진출입으로 판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검지 상황의 오신호 문제를 줄일 수 있어, 검수고(100) 내에서 안전한 작업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검지부(200)가 하나의 열차가 이동하는 한 쌍의 레일(70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검지부의 송신부(250)로부터 열차 통과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아 열차 통과 여부를 판단하고 후술하는 표시부(400)의 열차 유무 표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극선조 계전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전기는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나 방향에 따라 다른 회로를 여닫는 장치로 계전기랙(310)은 계전기를 설치하는 대를 뜻한다. 무극선조 계전기(320)는 계전기랙(3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입력 신호 극성과 무관하게 신호 표시의 제어, 다른 전기 기기의 동작제어 또는 그 표시용으로 사용되는 원형 계전기로 레일 스위치(230)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표시부(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현장에 제어함을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행한 한 쌍의 레일(700)에 공통되는 하나의 수직선 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 검지부(210)와 제2 검지부(22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만 열차의 통과가 있다고 판단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검지부(200) 1개가 작동하는 경우에도 열차가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표시부(40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검수고(100) 내 열차 존재 유무를 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표시부(400)는 열차가 검수고(100) 내에 있는 경우 계속하여 열차가 있다는 표시를 유지하고, 열차가 검수고(100) 밖으로 나가는 경우 열차가 없다는 표시를 하거나 열차가 있다는 표시가 없어지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표시부(400)에 열차가 있다는 표시는 적색으로 "열차 있음" 이나 "ON" 등의 표시로 하거나, 열차가 없다는 표시는 녹색으로 "열차 없음" 이나 "OFF" 등 다양한 문자나 기호, 색 등으로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표시부(400)의 열차가 있다는 표시는 검수고(100) 내로 열차가 진입하여 검지부(200)가 이를 검지한 때부터 열차가 검수고(100) 밖으로 이동하여 검지부(200)가 열차의 진출을 검지하는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열차의 진입을 검지부(200)가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경우는 열차의 처음 바퀴를 검지부(200)가 검지하여 제어부(300)에 송신하고 이때부터 열차가 있다는 표시가 표시부(400)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차의 진출을 검지부(200)가 검지하는 경우는 열차의 마지막 바퀴가 검수고(100)를 이탈하는 것을 검지부(200)가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때까지 열차가 있다는 표시가 표시부(400)에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0)는 열차 운전취급자가 다른 운행 정보와 함께 검수고(100) 내에 열차가 있는지를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열차 유무 표시가 다른 별도의 모니터 등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보와 함께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500)은 검지부(200)와 제어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이나 주전선관로 등을 이용하여 포설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따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열차가 XT→NT로 진로를 설정하여 검수고(100) 내로 진입하려는 경우, 표시부(400)에 열차가 없다는 표시가 있으면 열차가 진입하여도 안전하다는 것을 열차 운전취급자가 확인 가능하므로 기관사의 수동운전으로 검수고(100) 1 번선으로 열차를 입고시킬 수 있다.
이때 검수고(100) 내로 진입할 때 한 쌍의 레일(700) 양쪽 측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스위치(230)에 의해 열차 통과 정보가 제어부(300)로 전송되면 제어부(300)가 이를 판단한 후 표시부(400)를 제어하여 표시부(400)의 1 번선란에 "열차 있음"이라는 적색표시가 생성되게 한다.
따라서 열차 운전취급자는 후속 열차를 검수고(100)에 입고시킬 때 1 번선에 열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1 번선과 다른 열차가 이미 입고되어 있는 3 번선을 제외하고 열차가 없는 2 번선이나 5 번선, 6 번선으로 안전하게 열차를 입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수고 관리 장치는 열차가 수리 정비를 위해 검수고(100)에 진출입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이고 열차 충돌 방지 등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열차가 검수고(100) 내로 진입하면 레일(700)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스위치의 롤러(240)가 열차 바퀴의 프린지(610)와 접촉하여 눌리게 되고, 이러한 작동 신호를 제어부(300)에 송신하면 제어부(300)가 열차 통과 여부를 판단하여 열차 통과로 판단하는 경우 표시부(400)를 제어하여 열차가 있다는 표시를 하게 하는 장치이다.
열차의 진출입을 검지하는 검지부(200)는 선로의 어디에 위치하여도 되고 레일 스위치(230)도 각 선로의 레일(700) 마다 위치하거나 각 선로의 하나의 레일(700)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일체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만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검수고 110 : 검수고 입구
200 : 검지부 210 : 제1 검지부
220 : 제2 검지부 230 : 레일 스위치
240 : 레일 스위치 롤러 250 : 송신부
300 : 제어부 310 : 계전기랙
320 : 무근선조 계전기 400 : 표시부
500 : 케이블 600 : 열차 바퀴
610 : 프린지 700 : 레일
710 : 침목

Claims (9)

  1. 검수고 입구측의 한 쌍의 레일에 직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위치;
    상기 레일 스위치와 연결되어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레일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검수고 내의 다수의 선로 중 열차가 입고되는 선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검수고 관리 장치.
  2.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검지부;
    상기 검지부와 연결되어 열차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검수고 내 열차의 존재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지부는, 한 쌍의 레일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검지부와 제2 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대한 하나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검수고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열차 바퀴와 접촉하는 레일 스위치의 롤러와
    상기 롤러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검수고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 및 제2 검지부는 상기 한쌍의 레일의 내부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검수고 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수고의 입구 지점에 설치되는 검수고 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각 선로의 레일마다 설치되는 검수고 관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계전기랙에 설치되어 무극선조 계전기를 포함하는 검수고 관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검지부가 열차의 진입을 감지할 때부터 열차의 진출을 감지할 때까지 열차가 있다는 표시가 지속되는 검수고 관리 장치.
  9.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며, 한 쌍의 레일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검지부와 연결되어 열차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검지부가 동시에 열차 바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가 통과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검수고 관리 장치.
KR1020150027779A 2015-02-27 2015-02-27 검수고 관리 장치 KR10167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779A KR101675825B1 (ko) 2015-02-27 2015-02-27 검수고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779A KR101675825B1 (ko) 2015-02-27 2015-02-27 검수고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913A true KR20160104913A (ko) 2016-09-06
KR101675825B1 KR101675825B1 (ko) 2016-11-14

Family

ID=5694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779A KR101675825B1 (ko) 2015-02-27 2015-02-27 검수고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8134A (zh) * 2020-12-30 2021-05-07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数字孪生的车辆段快速出车的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574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덕원기술 전철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KR20140097564A (ko) * 2011-12-06 2014-08-0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차량의 이상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486910B1 (ko) * 2013-10-29 2015-02-04 디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전동차 차고 진출입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574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덕원기술 전철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KR20140097564A (ko) * 2011-12-06 2014-08-0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차량의 이상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486910B1 (ko) * 2013-10-29 2015-02-04 디알에스테크 주식회사 전동차 차고 진출입 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8134A (zh) * 2020-12-30 2021-05-07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数字孪生的车辆段快速出车的控制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825B1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99B1 (ko) 레일의 절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0951B1 (ko) 레일 손상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2085874B (zh) 无线列车控制系统
KR101001712B1 (ko) 레일의 절손 위치 파악 장치 및 그 방법
CN105151084B (zh) 用于副轨道检测系统的设备及包含该设备的信号系统
TWI640447B (zh) 用於確認導引車輛的正確軌道位置的方法與裝置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KR20140114600A (ko) 철도 차량 신호 장치용 검사 시스템
KR101675825B1 (ko) 검수고 관리 장치
KR20140000433A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9351B1 (ko) 열차위치 보조 검지 장치를 활용한 열차 제어 시스템 및 열차의 방호 방법
KR102008924B1 (ko) 작업자 선로 횡단 안전 시스템
AU20183057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faults along an energy supply chain for DC current systems
KR101004317B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140000464U (ko) 도시철도용 궤도회로 절연 판정기
KR101037335B1 (ko) 승강장의 낙하물 검지 시스템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WO2018021198A1 (ja) 列車保安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930539B1 (ko) 부정출발열차의 안전 확보 장치 및 방법
KR101801820B1 (ko) 실시간 전기철도 선로변 환경분석 방법
KR102468544B1 (ko) 전기철도의 선로 보호 장치
KR101429258B1 (ko) 철도 궤도를 이용한 휴대용 열차 접근 경보장치와 열차 접근 경보방법
KR101318350B1 (ko) 철도차량 신호어김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JP7014945B2 (ja) レール破断検知装置
KR100717631B1 (ko) 철도용 신호감시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호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