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837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837A
KR20160104837A KR1020150027515A KR20150027515A KR20160104837A KR 20160104837 A KR20160104837 A KR 20160104837A KR 1020150027515 A KR1020150027515 A KR 1020150027515A KR 20150027515 A KR20150027515 A KR 20150027515A KR 20160104837 A KR20160104837 A KR 2016010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pper housing
guide
driv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9800B1 (en
Inventor
남유영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800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8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ir purifier which includes: a lower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 blowing part b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housing through the air inlet, out to the air outlet; an air induction part placed on the upper housing and disposed on a flowing path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part so as to guide the air along a discharging direction; and a first driving part rotating the air induction part horizontally above the upp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ir flow in an internal space as much as possible.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Air clean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방향을 유도하여 실내공간의 공기 유동을 향상시킨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that induces a discharge direction of air to be blown to improve airflow in an indoor spa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하우징의 일면에 공기흡입구를 구비하고, 타면, 측면 또는 상단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ir inl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housing and an air outle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side or an upper side.

이러한 구조의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간 중에서 공기흡입구 방향의 공간과 공기토출구 방향의 공간에서만 공기의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되고, 이 외의 다른 부분의 공간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므로, 실내 공간 전체의 공기를 균형적으로 유동시켜 단시간에 정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air cleaner having such a structure, air flows actively only in the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air inlet port and the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air outlet port of the indoor space, and the air flows relatively little in the space of the other portions,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air in a short period of time.

또한, 공기청정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이 제한적이어서, 공기청정기가 사용되는 실내공간에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orm the entire air circulation in the indoor space where the air cleaner is used.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풍량에 비해 공기의 청정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As a result,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air is lower than the air volu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r problem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art.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실내공간의 공기 유동을 최대한 발생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ier capable of maximally generating an air flow in an indoor space.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넓게 형성하여 실내공간에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의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air in an indoor space by forming a large discharg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an air purifier to form an overall circulation of air in the indoor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유입구와 에어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 거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토출되는 에어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에어의 토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유도부; 및,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lower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housing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An air guiding part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housing and is disposed on a flow path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air supply part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uni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바람직하게, 에어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가이드;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유도공; 상기 제1 구동부가 슬라이드 되도록 구비되는 유도슬라이드; 및, 상기 에어유도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guide portion includes an air guide provid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An air guide hol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guide and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is passed; An induction slide configured to slide the first driving unit; And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a first driving part that rotates the air induction part.

바람직하게, 제1 구동부는, 상기 에어유도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도슬라이드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센터슬라이드; 및,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유도슬라이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에어유도부로 전달하는 구동암;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dr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portion; A center slide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driving motor and coupled to slide the guide slide; And a driving arm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guide slide and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to the air guide portion.

바람직하게, 유도슬라이드에는 상기 센터슬라이드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슬라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 상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slides are provided with slide grooves through which the center slides are slid, and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the center slides may be provided on the slide grooves.

바람직하게, 구동암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에어유도부의 회동반경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에어유도부가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동시 발생되는 구동오차를 흡수하는 장공형태의 이동홈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riving arm has a slit-shaped moving groove for absorbing a driving error generated when the air guiding portion rotat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in accordance with a difference in the turning radius between the first driving portion and the air- .

바람직하게, 에어유도부가 거치되는 상기 상부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ctuator for lifting the upper housing to which the air induction unit is mounted.

바람직하게, 액츄에이터는 상기 상부하우징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ctuator may be provided with a linear actuator for linearly moving the upper housing.

바람직하게, 송풍부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의 에어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이 승강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의 공간에서 신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ir duct connected to between the air flow-inflow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air blow-up portion, The upper housing can be extended in a space between the inflow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바람직하게,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while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바람직하게, 제2 구동부는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driving portion is provided to rotate the air induction portion at an angle of 180 degrees or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바람직하게, 상부하우징은, 상기 에어가이드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반구형상의 거치면을 가지는 상부하우징본체; 및, 상기 상부하우징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housing includes: an upper housing body having a hemispherical mounting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air guide; And a pivo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air guide to rotate.

바람직하게, 회동지지부는, 상기 에어가이드가 거치되는 면에 지지베어링 또는 지지롤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ivotal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upport bearing or a support roller on a surface on which the air guide is moun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공기 유동을 최대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 in the indoor space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넓게 형성하여 실내공간에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의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is widened to form an overall circulation of air in the indoor space, thereby improving air cleaning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에서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을 생략한 공기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의 에어유도부와 제1 구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에어유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의 상부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에어유도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부하우징이 승강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air cleaner in which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are omitted in the air cleaner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induction unit and the first driving unit of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guide portion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housing of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air guide portion is rot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portion.
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upper housing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por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는 하부하우징(100), 상부하우징(200), 송풍부(400), 에어유도부(300) 및, 제1 구동부(5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액츄에이터(600), 제2 구동부(700) 및, 에어덕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11, an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housing 100, an upper housing 200, a blowing unit 400, an air induction unit 30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600, a second driving unit 700, and an air duct 800.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는 에어유입구(111)와 에어토출구(112)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100)과, 상기 하부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200)과, 상기 에어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토출구(112)로 송풍시키는 송풍부(400)와,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 거치되고, 상기 송풍부(400)에 의해 토출되는 에어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에어의 토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유도부(300); 및,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air cleaner 10 includes a lower housing 100 having an air inlet 111 and an air outlet 112, and a lower housing 100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00, A blowing unit 400 for blow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11 to the air outlet 112, An air guiding part 300 disposed on a flow path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air supply part 400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And a first driving unit 500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unit 3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00)은 에어유입구(111)와 에어토출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ower housing 100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and an air outlet 112.

하부하우징(100)은 둘레방향을 따라 에어유입구(111)를 구비하고, 에어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상기 송풍부(400)를 거쳐 토출되는 에어토출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100 may have an air inlet 11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air outlet 112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400 .

이때, 에어유입구(111)는 하부하우징(100)의 둘레방향에 형성될 수 있고, 에어토출부는 하부하우징(1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00, and the air outlet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유입구(111)는 하부하우징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하우징본체(110)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3, the air inlet 111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using body 1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lower housing body 110. As shown in FIG.

에어토출구(112)는 하부하우징본체(110)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에어토출구(112)에는 에어덕트(800)의 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outlet 11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body 110 is opene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air duct 80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12.

또한, 상부하우징(200)의 하단부와 하부하우징(100)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슬라이드부라는 교차영역이 존재할 수 있고, 슬라이드부에 의해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이 차폐되어 공기청정기(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100 may have an intersecting are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200 and 100.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200,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1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즉, 상기한 슬라이드부는 상부하우징(200)의 하단부와 하부하우징(100)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lide uni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using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100.

도 3,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00)은 하부하우징본체(110)와, 슬라이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10 and 11, the lower housing 100 may include a lower housing body 110 and a slide 120.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슬라이드부(120)는 하부하우징본체(110)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2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00 and the slide 120 may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housing body 110.

액츄에이터(600)에 의해 상부하우징(200)이 상승되면서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슬라이드부(120)에 의해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 사이의 공간이 차폐되어 공기청정기(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upper housing 200 is lifted by the actuator 6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using 200 and the lower housing 100 is increased, the slide unit 120 moves the upper housing 200 to the lower housing 100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1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upper housing 2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100.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과 함께 결합되어 공기청정기(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housing 100 to form a housing that forms an internal space of the air cleaner 10. [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은 에어유도부(300)가 거치되는 부분으로 에어유도부(300)는 상부하우징(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 구동부(5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7 to 9, the upper housing 200 is a portion where the air induction unit 300 is mounted, and the air induction unit 300 is mounted on the upper housing 200 while the first driving unit 5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은 상부하우징본체(210), 회동지지부(220) 및, 제2 체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7, the upper housing 200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body 210, a pivotal support 220,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230. As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400)는 하부하우징(100)의 둘레방향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하부하우징(100)의 축방향인 상측으로 에어를 토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low-in part 400 suck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00 to discharge the air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housing 100.

송풍부(400)는 하부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에어가 에어유입구(111)를 통해 하부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한 후, 다시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도록 에어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blowing part 40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housing 100 so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lower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11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12 Air flow can be generated.

이와 같이, 송풍부(400)는 하부하우징(100)의 에어유입구(111)에 연결되는 흡입구와, 하부하우징(100)의 에어토출구(112)와 연결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blowing part 400 may include an inlet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1 of the lower housing 100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12 of the lower housing 100.

여기서, 흡입구는 송풍부(400)에 의해 에어가 흡입되는 구멍이고, 배출구는 송풍유닛에 의해 토출되는 에어가 배출되는 구멍이다.Here, the suction port is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is sucked by the blowing unit 400, and the discharge port is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unit is discharged.

외부에서 하부하우징(100)의 에어유입구(1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는 송풍부(400)의 흡입구, 배출구를 거쳐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될 수 있고, 에어유도부(300)에 의해 토출된 에어의 토출방향이 유도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lower housing 100 through the air inlet 111 of the lower housing 10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12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outlet 400,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ort can be induc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0)는 에어유도부(300)를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에어유도부(300)에 의해 유도되는 에어의 송풍반경을 크게하여 공기청정기(1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넓게 형성하여 실내공간에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을 형성하여 실내공간의 공기의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the first driving part 500 is configured to pivot the air guide part 3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so that air introduced by the air guide part 3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lowing radius of the air cleaner 10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leaner 10 is widened to form an overall air circulation in the indoor space to improve the air cleaning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도 3 및,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유도부(300)는 에어가이드(310), 에어유도공(320), 유도슬라이드(330), 제1 체결부(340) 및 그릴(350)을 구비할 수 있다.
3 and 4 and 6, the air guide portion 300 includes an air guide 310, an air guide hole 320, a guide slide 330, a first coupling portion 340, and a grill 35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유도부(300)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가이드(310)와, 상기 에어가이드(310)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유도공(320)과, 상기 제1 구동부(500)가 슬라이드 되도록 구비되는 유도슬라이드(330) 및,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500)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6, the air induction unit 300 includes an air guide 310 provid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guid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 air induction hole 320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12 passes, a guide slide 330 which slides the first driving part 500, And a first coupling part 340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part 500 that rotates the first driving part 500.

에어유도부(300)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10)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유도공(320)이 구비될 수 있다.The air induction unit 300 may include an air guide hole 320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guide 310 and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112 pass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350)은 에어가이드(3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설치홈에 고정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310)에 의해 유도된 에어가 토출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3, the grill 350 may be fixed to an installation groov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guide 31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air guided by the air guide 310 is discharged may be formed hav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0)는 제1 구동모터(510), 센터슬라이드(520) 및, 구동암(530)을 구비할 수 있다.5, the first driving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510, a center slide 520, and a driving arm 530.

제1 구동부(500)는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510)와, 상기 제1 구동모터(510)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도슬라이드(330)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센터슬라이드(520) 및, 상기 제1 구동모터(510)와 상기 유도슬라이드(3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510)의 회전력을 상기 에어유도부(300)로 전달하는 구동암(53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500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51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air induction unit 300 and a second driving motor 500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510, A center slide 520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shaft 500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shaft 500 and a second slide motor 5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ive motor 510 and the guide slide 330 to guid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e motor 510 to the air guide portion 300 And a driving arm 530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슬라이드(330)에는 상기 센터슬라이드(520)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33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슬라이드(52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521)가 상기 슬라이드홈(331) 상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6, the guide slide 330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331 through which the center slide 520 is slid, and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521 provided on the center slide 520 And may be provided to move on the slide groove 33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암(530)에는 에어유도부(3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유도슬라이드(330)의 제1 체결부(340)가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장공형태의 이동홈(531)이 구비될 수 있다.6, the drive arm 530 is provided with a slot 531 in the form of an elongated hole to move the first coupling part 340 of the guide slide 3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ir guide part 300, .

구동암(530)은 상기 제1 구동부(500)와 상기 에어유도부(300)의 회동반경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에어유도부(300)가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동시 발생되는 구동오차를 흡수하는 장공형태의 이동홈(53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driving arm 530 is generated when the air induction unit 30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housing 200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turning radius between the first driving unit 500 and the air induction unit 300 And a slot 531 in the form of a slot for absorbing a driving error.

도 3 및,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는 에어유도부(300)가 거치되는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leaner 10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60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upper housing 200 on which the air induction unit 300 is mounted, as shown in FIGS. 3, 10 and 11.

이때, 액츄에이터(600)는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츄에이터(600)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uator 600 may be provided as a linear actuator 600 for linearly moving the upper housing 200.

리니어 액츄에이터(600)는 다단의 로드형의 부재가 모터 등의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되면서 다단의 로드형의 부재가 신장 및, 축소되면서 상부하우징(200)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linear actuator 600 can linearly move the upper housing 200 while the rod-shaped members of multiple stages are being slid by means of a motor or the like so that the rod-shaped members of the multiple stages are stretched and contract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송풍부(400)와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400)의 에어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덕트(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air cleaner 10 is installed between the air-blowing unit 400 and the upper housing 200 and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12 of the air-blowing unit 400 And an air duct 800 for guiding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uct 800.

상기 에어덕트(800)는, 상기 액츄에이터(600)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200)이 승강시, 상기 송풍부(400)와 상기 상부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에서 신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에어덕트(800)는 접철되면서 신축 가능한 자바라형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duct 800 can be extended in a space between the airflow 400 and the upper housing 200 when the upper housing 200 is lifted or lowered by the actuator 600. At this time, the air duct 800 may be made of a bellows type material which is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while being fold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10)는 상부하우징(20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he air cleaner 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200, and rotates the air guide portion 30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er 700.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700)는 상부하우징(200)의 상부하우징본체(210)에 구비되는 제2 체결부(2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7, the second driving part 700 is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230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body 210 of the upper housing 200, (3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230)는 제2 구동부(7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체결부(230)에는 제2 구동부(700)가 삽입되는 삽입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7, the second fastening part 230 may be a plate-like member capable of fastening the second driving part 70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30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part 700 The insertion hole 231 may be formed.

제2 구동부(700)는 제2 체결부(230)의 삽입홀(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be fixed by bolts or the lik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1 of the second coupling unit 230.

제2 구동부(700)는 상기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air induction unit 300 at an angle of 180 degrees or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바람직하게 제2 구동부(700)는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180도 ~ 360 도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구동부(700)는 에어유도부(300)가 180도 ~ 360 도 범위의 회전반경을 가지도록 에어유도부(300)를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rotate the air induction unit 300 at an angle of 180 to 36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That is, the second driving unit 700 may rotate the air induction unit 3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200 so that the air induction unit 300 has a radius of rotation ranging from 180 degrees to 360 degrees.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00)은 상부하우징본체(210), 회동지지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7, the upper housing 200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body 210 and a pivotal support 220.

상부하우징(200)은, 상기 에어가이드(310)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반구형상의 거치면을 가지는 상부하우징본체(210) 및, 상기 상부하우징본체(210)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310)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회동지지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200 includes an upper housing body 210 having a hemispherical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air guide 310 and a lower housing body 210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body 210, And a pivot support portion 220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pivot support portion.

회동지지부(220)는, 상기 에어가이드(310)가 거치되는 면에 지지베어링 또는 지지롤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The pivot support part 2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upport bearing or a support roller on a surface on which the air guide 310 is mounted.

이때, 회동지지부(220)는 에어가이드(310)의 반구형상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vot support part 220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urvature of the air guide 310.

회동지지부(220)는 상부하우징본체(210)에 형성되는 지지부설치홈(211)에 삽입되고, 회동지지부(220), 상부하우징본체(210) 및, 액츄에이터(600)의 상단부가 일체로 볼트 등의 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The pivot support part 220 is inserted into a support part attachment groove 211 formed in the upper housing body 210 and the upper part of the pivot support part 220, the upper housing body 210, and the actuator 600 are integrally formed with bolts As shown in Fig.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공기청정기 100: 하부하우징
110: 하부하우징본체 111: 에어유입구
112: 에어토출구 120: 슬라이드부
200: 상부하우징 210: 상부하우징본체
211: 지지부설치홈 220: 회동지지부
230: 제2 체결부 231: 삽입홀
300: 에어유도부 310: 에어가이드
320: 에어유도공 330: 유도슬라이드
331: 슬라이드홈 340: 제1 체결부
350: 그릴 400: 송풍부
500: 제1 구동부 510: 제1 구동모터
520: 센터슬라이드 521: 가이드돌기
530: 구동암 531: 이동홈
600: 액츄에이터 700: 제2 구동부
800: 에어덕트
10: air cleaner 100: lower housing
110: lower housing body 111: air inlet
112: air outlet 120:
200: upper housing 210: upper housing body
211: Support part mounting groove 220:
230: second fastening part 231: insertion hole
300: air induction part 310: air guide
320: air guide shaft 330: guide slide
331: slide groove 340: first fastening portion
350: Grill 400:
500: first driving part 510: first driving motor
520: center slide 521: guide projection
530: driving arm 531: moving groove
600: actuator 700: second driving part
800: Air duct

Claims (12)

에어유입구와 에어토출구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토출구로 송풍시키는 송풍부;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 거치되고, 상기 송풍부에 의해 토출되는 에어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에어의 토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유도부; 및,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 lower housing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housing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An air guiding part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housing and is disposed on a flow path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air supply part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And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unit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도부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가이드;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토출구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유도공;
상기 제1 구동부가 슬라이드 되도록 구비되는 유도슬라이드; 및,
상기 에어유도부를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An air guide provid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guid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An air guide hol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air guide and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is passed;
An induction slide configured to slide the first driving unit; And
And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a first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에어유도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도슬라이드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는 센터슬라이드; 및,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유도슬라이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에어유도부로 전달하는 구동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river comprises:
A first driving motor for providing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portion;
A center slide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driving motor and coupled to slide the guide slide; And
And a driving arm provided between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guide slide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to the air guid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슬라이드에는 상기 센터슬라이드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슬라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 상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slides are formed with slide grooves through which the center slides are slid,
Wherein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the center slide is moved on the slide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에어유도부의 회동반경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에어유도부가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 좌우방향으로 회동시 발생되는 구동오차를 흡수하는 장공형태의 이동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induction portion has a slot in the form of an elongated hole for absorbing a driving error generated when the air induction portion is rot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in accordance with a difference in the turning radius between the first driving portion and the air induction portion.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도부가 거치되는 상기 상부하우징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for lifting up the upper housing to which the air induction unit is moun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상부하우징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ctuator is provided as a linear actuator for linearly moving the upper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의 에어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유도하는 에어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이 승강시, 상기 송풍부와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의 공간에서 신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air duct connected between the air flow-up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air blow-up portion,
In the air duct,
Wherein the air cleaner is provided to extend in a space between the inflow portion and the upper housing when the upper housing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air induction uni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while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에어유도부를 상기 상부하우징 상에서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air induction unit at an angle of 180 degrees or m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에어가이드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반구형상의 거치면을 가지는 상부하우징본체; 및,
상기 상부하우징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housing comprises:
An upper housing main body having a semi-spherical mounting surfac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air guide; And
And a pivo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housing body to support the air guide to ro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에어가이드가 거치되는 면에 지지베어링 또는 지지롤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upporting bearing or a supporting roll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air guide is mounted.
KR1020150027515A 2015-02-26 2015-02-26 Air cleaner KR102379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15A KR102379800B1 (en) 2015-02-26 2015-02-26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15A KR102379800B1 (en) 2015-02-26 2015-02-26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37A true KR20160104837A (en) 2016-09-06
KR102379800B1 KR102379800B1 (en) 2022-03-30

Family

ID=5694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515A KR102379800B1 (en) 2015-02-26 2015-02-26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800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093A (en) * 2016-02-26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044131A (en) * 2016-10-21 201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US10323855B2 (en) 2016-02-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06470B2 (en) 2016-02-26 2019-09-1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36469B2 (en)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95104B2 (en) 2016-02-26 2019-12-0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39576B2 (en) 2016-02-26 2020-05-05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75577B2 (en) 2016-02-26 2020-06-0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97665B2 (en) 2016-02-26 2020-06-3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102165948B1 (en) * 2020-05-21 2020-10-14 자이글주식회사 Air cleaner with oxygen generator
KR20200135924A (en) * 2019-06-17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11938433B2 (en) 2016-02-26 2024-03-2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556U (en) * 1996-03-21 1997-10-13 Wind direction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100187249B1 (en) * 1996-04-13 1999-05-01 김광호 Method and device of air direction control of airconditioner
JP2001215029A (en) * 2000-01-31 2001-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O2005082486A1 (en) * 2004-03-02 2005-09-09 Conet Industries Inc.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5556U (en) * 1996-03-21 1997-10-13 Wind direction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KR100187249B1 (en) * 1996-04-13 1999-05-01 김광호 Method and device of air direction control of airconditioner
JP2001215029A (en) * 2000-01-31 2001-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WO2005082486A1 (en) * 2004-03-02 2005-09-09 Conet Industries Inc. Air cleaner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5577B2 (en) 2016-02-26 2020-06-0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323855B2 (en) 2016-02-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97665B2 (en) 2016-02-26 2020-06-3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746193B2 (en) 2016-02-26 2020-08-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13857B2 (en) 2016-02-26 2019-09-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36469B2 (en)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495104B2 (en) 2016-02-26 2019-12-03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08658B2 (en) 2016-02-26 2019-12-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18205B2 (en) 2016-02-26 2019-12-3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563667B2 (en) 2016-02-26 2020-02-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39576B2 (en) 2016-02-26 2020-05-05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646808B2 (en) 2016-02-26 2020-05-1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982288B2 (en) 2016-02-26 2024-05-1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70101093A (en) * 2016-02-26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US10406470B2 (en) 2016-02-26 2019-09-1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938433B2 (en) 2016-02-26 2024-03-2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845078B2 (en) 2016-02-26 2020-11-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0844871B2 (en) 2016-02-26 2020-11-24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905967B2 (en) 2016-02-26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090598B2 (en) 2016-02-26 2021-08-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452961B2 (en) 2016-02-26 2022-09-2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666846B2 (en) 2016-02-26 2023-06-06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761455B2 (en) 2016-02-26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80044131A (en) * 2016-10-21 201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200135924A (en) * 2019-06-17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165948B1 (en) * 2020-05-21 2020-10-14 자이글주식회사 Air cleaner with oxyge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800B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837A (en) Air cleaner
KR102342119B1 (en) Air conditioner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095989B1 (en) Upright air conditioner with swing louvers
KR102342120B1 (en) Air conditioenr
CN103363587B (en)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idle call independent air-feeding parts thereof
KR102502550B1 (en) Air blow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7292328A (en) Air conditioner
US20080229776A1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11163235A (en) Centrifugal blower
KR102396592B1 (en) Rapid cycling air conditioner
KR102206327B1 (en) Dehumidifier
US20140357180A1 (en) Air cleaner
KR102643966B1 (en) Air cleaner
KR20160000486A (en) Discharge direction changeable dehumidifier
KR102025993B1 (en) Stand type air conditioner
JP6078777B2 (en) Air purifier
KR20170031461A (en) All direction air-circulation blower
CN104791917B (en) Dehumidification device
JP2009168335A (en) Air conditioner
KR102121971B1 (en) Intake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JP3854566B2 (en) Low noise indoor fan
KR101815289B1 (en) Air conditioner by using air flow switch
KR20170002311U (en) All direction air-circulation blower
KR102370822B1 (en) turbo fan fo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