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665A -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665A
KR20160104665A KR1020167020600A KR20167020600A KR20160104665A KR 20160104665 A KR20160104665 A KR 20160104665A KR 1020167020600 A KR1020167020600 A KR 1020167020600A KR 20167020600 A KR20167020600 A KR 20167020600A KR 20160104665 A KR20160104665 A KR 2016010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udio stream
capabilities
multimedia serv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데릭 아마듀
Original Assignee
아르카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카미스 filed Critical 아르카미스
Publication of KR2016010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04L65/6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2Amplifying systems for the dea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미디어 서버(11)를 포함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음향 방출 수단(21-25)을 구비하는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15-19)에 오디오 스트림(14)을 송신하는 수단(12),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된 기기(15-19)를 선택하는 수단(27), 상기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15-19)과 그들의 음향 재생 능력들의 측정치를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그의 히어링 능력들을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접속된 기기(15-19)의 음향 재생 능력들의 측정치에 따라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에 접속된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에 따라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을 적응시키는 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OPTIMISATION OF MUSIC LISTENING}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된 수개의 기기들에 대한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스트림을 방출할 수 있는 모든 접속된 기기들에 관한 것이며, 및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들과 같이 인터넷에 접속된 기기들, 자동차들의 카 라디오들에 접속된 기기들, 터치 태블릿들 및 텔레비전들에 접속된 기기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의 오디오 컨텐츠의 방출을 수행하는 인터넷-액세스 전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음향 방출 수단을 구비하는 접속된 단말에 음악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인터넷-기반 플랫폼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카 라디오의 경우, 오디오 스트림은, 차량의 다양한 라우드스피커들 상에서 오디오 신호를 방출하기 위해 이를 변환하는 카 라디오에 스트리밍된다. 음악 스트림은 소위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카 라디오는 변조가능한 증폭 시스템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편리한 대로 오디오 신호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카 라디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종종 매우 복잡하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오디오 스트림 및 청취자의 소망들의 함수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재생 품질들은 2가지 타입의 단말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단일 오디오 채널 상에서 동작하는 단순한 라우드스피커를 프로세싱하는 스마트폰과 홈 시네마 디바이스를 프로세싱하는 오디오 시스템 사이에서 크게 다르다. 따라서, 편리한 대로 오디오 스트림을 방출하기 위해 모든 접속된 장비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은 특히 어렵다.
게다가, 접속된 단말로부터 다른 단말로 오디오 스트림을 재지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도 또한 존재한다. 예를 들어, "Air Play(등록 상표)" 기술은 터치 태블릿을 이용하여 터치 태블릿으로부터 접속된 텔레비전 상에 스트림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종래에 Wifi("Wireless Fidelity") 타입의 옥내 네트워크(domestic network)를 통해 이용가능하지만, 옥내 네트워크 외부의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기기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들은 자동차 내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림을 방출할 수 있는 모든 타입들의 접속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음향 방출 수단을 구비하는 상이한 접속된 기기들 상에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수단, 상기 오디오 스트림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된 기기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과 그들의 음향 재생 능력들의 치수(measure)를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그 히어링 능력들(hearing capabilities)을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이 송신되는 접속된 기기의 음향 재생 능력들의 치수의 함수로서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의 함수로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림이 방출되는 기기에 대해 한번에 그리고 동시에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킴으로써, 그리고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에 따라 사용자에 대해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킴으로써, 오디오 스트림을 방출할 수 있는 모든 타입들의 접속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어진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사운드의 재생은 기존의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크게 개선된다. 변형예로서, 사운드의 재생은 또한 사용자의 선호도들의 함수로서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듬 베이스가 잔잔한 음악을 오디오 스트림이 방출할 때, 사용자는 높은 음조의 사운드들에 대해 청취를 증대시키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과 연관된 비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을 연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스트림이 송신되는 기기에 적응된 프로세싱들 및/또는 사용자의 선호도들 또는 능력들과 연관된 프로세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는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용가능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어 인터페이스는 접속된 사용자에 대하여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한번에 그리고 동시에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 및 모든 동시에 접속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은, 다양한 자극들에 대한 음향 방출 수단의 응답의 함수로서, 접속된 기기를 설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진다. 이 실시예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기록되고 재생되는 사운드를 분석함으로써, 접속된 기기의 재생 특성들을 매우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은 주변 잡음 레벨의 함수로서 수개의 거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는 수단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이 송신되는 접속된 기기의 음향 재생 능력들의 치수의 함수로서 조정되는 특성들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IIR 타입의 수개의 필터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은 수개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들에서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정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진다. 이 실시예는 이비인후과 의사들에 의해 이용되는 공지된 스킴들에 따라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추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은 주변 잡음 레벨의 함수로서 수개의 치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는 수단은, 오디오 스트림의 스펙트럼에 걸쳐 빈번하게 병치되는 통과대역들을 갖는 수개의 대역통과 필터들을 포함하고, 대역통과 필터들의 개수는 특성 주파수들의 개수에 대응하고, 대역통과 필터들의 이득은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이 실시예는 오디오 스트림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적응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각각의 특성 주파수에 대해, 사용자가 특성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sinusoidal signal)를 청취하는 것에 의해, 접속된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자가진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정현파 신호의 이득의 에볼루션(evolution)은 검출 임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 검출 임계치 아래에서 사용자는 방출된 신호를 더 이상 히어링할 수 없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어링 능력들의 치수는 각각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에 대해 -40dB 내지 +40dB에서 변한다. 이 실시예는, 96dB(16 비트에서의 양자화)의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의 진폭 내에 포함되도록 히어링 능력들의 측정 대역을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성 주파수들은 125 Hz, 250 Hz, 500 Hz, 750 Hz, 1 KHz, 1.5 KHz, 2 KHz 및 3 KHz이다. 이러한 특성 주파수들은 이비인후과 의사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주파수들이다. 이들은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전적으로 설명으로만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의 도움으로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도 1의 최적화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서버의 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2의 멀티미디어 서버의 오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는 수단을 예시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서버(11)에 접속된 수개의 기기들(15-19)에 대한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을 예시한다.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소위 "클라우드"(13)에 임플란트되고, 접속된 기기들(15-19)에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스트림(14)을 송신하는 수단(1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위성에 의해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 상에 음악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수단(12)은 임의의 공지된 타입일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림(14)은 반드시 멀티미디어 서버(11) 상에 저장되지는 않으며, 멀티미디어 서버(11)와 통신하는 다른 서버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접속된 기기들(15-19)은 오디오 스트림(14)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타입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시스템(10)은 단일-채널 음향 방출 수단(21)을 구비하는 스마트폰(15), 단일-채널 음향 방출 수단(22)을 구비하는 터치 태블릿(16), 듀얼-채널 음향 방출 수단(23)을 구비하는 접속된 텔레비전(17), 타입 4.1의 음향 방출 수단(24)을 구비하는 홈 시네마 디바이스(18), 및 듀얼-채널 음향 방출 수단(25)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카 라디오(19)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된 기기(15-19)를 선택하는 수단(27), 및 선택되는 접속된 기기(15-19)에 송신되는 오디오 스트림(14)을 적응시키는 수단(50)을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선택 수단(27)은 디지털 태블릿(16)이 접속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제어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된 기기(15-19) 상에 유지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또는 보안 인터넷 페이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에, 터치 태블릿(16) 및 카 라디오(19)는 인터넷에 접속되고, 카 라디오(19)가 터치 태블릿(16)을 통해 선택되고, 오디오 스트림(14)은 카 라디오(19)에 송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36-39)를 식별하는 것 및 송신된 오디오 스트림(14)의 특정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 인터페이스는, 원래의 오디오 스트림(20)을 변형함으로써 사용자(36-39)가 수개의 미리 결정된 상이한 분위기들(ambiences)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멀티미디어 서버(11)는 도 2에 표현된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 및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을 또한 포함한다.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은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15-19)과 그들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의 치수를 연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은 다양한 자극들에 대한 음향 방출 수단(21-25)의 응답의 함수로서 접속된 기기(15-19)를 설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이 음향 방출 수단(21-25)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스마트폰(15) 또는 터치 태블릿(16)의 경우에, 마이크로폰은 이러한 접속된 기기들(15-19)에 이미 존재하며 이용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은 각각의 접속된 기기(15-19)와 연관된 벡터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벡터는 다양한 주파수들에서 측정된 감쇠를 표현한다. 변형예로서,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은 행렬을 형성하는 수개의 벡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벡터는 예를 들어 주변 잡음 레벨의 함수로서 특정 분위기에서 측정된 감쇠를 표현한다.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은, 수개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들, 즉 125 Hz, 250 Hz, 500 Hz, 750 Hz, 1 KHz, 1.5 KHz, 2 KHz 및 3 KHz에서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을 정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진다. 따라서, 사용자(36-39)는 이비인후과 의사에게 가거나, 접속된 기기(15-19)로부터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비인후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은 교정된 측정 기기들을 이용하는 이점을 나타내고, 자가진단에 의한 측정은, 이 측정이 수행되는 접속된 기기(15-19)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을 고려함으로써 상대적인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35)가 각각의 특성 주파수에 대해 이 특성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이득의 에볼루션은 검출 임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검출 임계치 아래에서 사용자(35)는 방출된 신호를 더 이상 히어링할 수 없다. 도 2의 예에서,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은 -40dB 내지 +40dB에서 변하는 값들을 갖는 각각의 사용자(36-39)와 연관된 벡터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벡터는 수개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들에서의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을 표현한다. 변형예로서,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은 행렬을 형성하는 수개의 벡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벡터는 예를 들어 주변 잡음 레벨의 함수로서 수개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들에서의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을 표현한다.
원래의 오디오 스트림(20)과 송신된 오디오 스트림(14) 사이의 적응 수단(50)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에서 설명된다. 원래의 스트림(20)은 먼저 선택되는 접속된 기기(15-19)의 함수로서 적응되고, 그 다음에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에 따라 적응된다.
선택되는 접속된 기기(15-19)의 함수로서의 적응은, 직렬로 접속된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타입의 수개의 필터들(55)에 의해 수행된다. IIR 타입의 필터들(55)은, 오디오 스트림(14)의 스펙트럼을 빈번하게 수정하는, 주파수, 이득, 차수 및 통과대역 타입의 특성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접속된 기기(15-19)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의 치수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전용 알고리즘에 의해 또는 전문 사운드 엔지니어에 의해 자동화 방식으로 적응이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림(14)이 IIR 타입의 필터들(55) 전부에서 변형된 경우, 정규화 단계(58)가 수행된다. 정규화 단계(58)는 오디오 스트림(14)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포화 현상(saturation phenomenon)을 제한하기 위해 볼륨을 자동으로 보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함수로서의 적응은, 오디오 스트림(14)의 스펙트럼에 걸쳐 빈번하게 병치되는 통과대역들을 갖는 수개의 대역통과 필터들(60)에 의해 수행된다.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60)의 통과대역은 각각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 상에서 로그 스케일로(in a logarithmic scale) 중심이 맞춰진다. 마지막 대역통과 필터(60)의 통과대역은 오디오 스트림(14)의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필터들의 통과대역들 전부가 가산되는 경우, 이들은 오디오 스트림(14)의 전체 스펙트럼을 리트리브(retrieve)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역통과 필터들(60)의 이득(56)은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치수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60)의 이득은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치수의 역의 절반과 동일하지만, 변형예로서, 이 비율은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대역통과 필터(6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를 전체로서 재생하기 위해 합산기(62)로 피딩되고, 그 다음에 정규화 단계(63)가 수행된다. 정규화 단계(63)는 오디오 스트림(14)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포화 현상을 제한하기 위해 볼륨을 자동으로 보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택되는 접속된 기기(15-19) 및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함수로서, 음악 청취를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어진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사운드의 재생은 기존의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크게 개선된다. 변형예로서, 오디오 스트림(14)의 다른 적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듬 베이스가 잔잔한 음악을 오디오 스트림이 방출할 때, 사용자는 높은 음조의 사운드들에 대해 청취를 증대시키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스트림(14)과 연관될 수 있고, 시스템은 접속된 기기(15-19) 또는 사용자(36-39)의 시각적 능력들의 함수로서 비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는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은 스마트폰의 해상도에 적응하기 위해서 컬러에서의 증강 및 픽셀 개수의 감소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 머신과 사용자의 통신을 적응시키기 위해 현금 인출기 또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와 같은 자동화 서비스 머신들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현금 인출기의 경우, 칩 카드는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에 명령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칩 카드의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된 고속도로 톨게이트 머신의 경우, 고속도로 톨(highway toll)에 가입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히어링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게 하는 자동화 머신들 상에 청각 정정들을 전송함으로써 사람들의 히어링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미디어 서버(11)를 포함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으로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음향 방출 수단(21-25)을 구비하는 상이한 접속된 기기들(15-19) 상에 오디오 스트림(14)을 송신하는 수단(12),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된 기기(15-19)를 선택하는 수단(27)
    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상기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15-19)과 그들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의 치수(measure)를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36-39)와 그의 히어링 능력들(hearing capabilities)(41-44)을 링크시키는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 및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상기 접속된 기기(15-19)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의 치수의 함수로서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에 접속된 상기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함수로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을 적응시키는 수단(50)
    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14)과 연관된 비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버(11)는 상기 다양한 접속된 기기들(15-19)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용가능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접속된 상기 사용자(36-39)에 대하여 어드바이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특성들 테이블(30)은, 다양한 자극들에 대한 상기 음향 방출 수단(21-25)의 응답의 함수로서, 접속된 기기(15-19)를 설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을 적응시키는 수단(50)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이 송신되는 상기 접속된 기기(15-19)의 음향 재생 능력들(31-34)의 치수의 함수로서 조정되는 특성들을 갖는, 직렬로 접속된 IIR 타입의 수개의 필터들(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자 테이블(35)은, 수개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들에서 사용자(36-39)의 히어링 능력들(41-44)을 정의하는 단계 동안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을 적응시키는 수단(50)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14)의 스펙트럼에 걸쳐 빈번하게 병치되는 통과대역들을 갖는 수개의 대역통과 필터들(60)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들(60)의 개수는 특성 주파수들의 개수에 대응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들(60)의 이득(61)은 상기 사용자(35)의 히어링 능력들(41-44)의 함수로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특성 주파수에 대해, 상기 사용자(35)가 상기 특성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sinusoidal signal)를 청취하는 것에 의해, 접속된 기기(15-19)로부터 상기 사용자(35)의 히어링 능력들(41-44)을 자가진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정현파 신호의 이득의 에볼루션(evolution)은 검출 임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검출 임계치 아래에서 상기 사용자(35)는 방출된 상기 신호를 더 이상 히어링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어링 능력들(41-44)의 치수는 각각의 미리 결정된 특성 주파수에 대해 -40dB 내지 +40dB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주파수들은 125 Hz, 250 Hz, 500 Hz, 750 Hz, 1 KHz, 1.5 KHz, 2 KHz 및 3 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최적화 시스템(10).
KR1020167020600A 2013-12-30 2014-12-19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KR20160104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3670 2013-12-30
FR1363670A FR3016105B1 (fr) 2013-12-30 2013-12-30 Systeme d’optimisation d’ecoute musicale
PCT/EP2014/078874 WO2015101534A1 (fr) 2013-12-30 2014-12-19 Systeme d'optimisation d'ecoute musica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665A true KR20160104665A (ko) 2016-09-05

Family

ID=5042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600A KR20160104665A (ko) 2013-12-30 2014-12-19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5934B2 (ko)
EP (1) EP3090572A1 (ko)
KR (1) KR20160104665A (ko)
FR (1) FR3016105B1 (ko)
WO (1) WO2015101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2666A1 (it) 2022-02-14 2023-08-14 Luca Corso Nuovo diffusore di suoni caratterizzato da una configurazione adattabile e aggiornabile nel tempo da parte di un uten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9463C (zh) * 1999-09-28 2006-10-11 声音识别公司 在有终端和服务器的网络上进行听力测试的方法及其装置
US20020068986A1 (en) * 1999-12-01 2002-06-06 Ali Mouline Adaptation of audio data files based on personal hearing profiles
US20030128859A1 (en) * 2002-01-08 2003-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enhancement of digital devices for hearing impaired
US7564979B2 (en) * 2005-01-08 2009-07-21 Robert Swartz Listener specific audio reproduction system
US9748914B2 (en) * 2012-08-15 2017-08-29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Transforming audio content for subjective fidelity
US20140298195A1 (en) * 2013-04-01 2014-10-0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resence-aware infor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0572A1 (fr) 2016-11-09
US10175934B2 (en) 2019-01-08
US20160321030A1 (en) 2016-11-03
WO2015101534A1 (fr) 2015-07-09
FR3016105B1 (fr) 2017-03-10
FR3016105A1 (fr)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2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audio virtualization
US201702577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lay and gain parameters for calibrating a multi channel audio system
CN105556837B (zh) 用于各种回放环境的动态范围控制
US9307340B2 (en) Audio system equalization for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s
CN105531759B (zh) 用于下混合音频内容的响度调整
US96804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odified audio signals
US20140140537A1 (en) Audio loudness control system
US2019032026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xecuting a digital audiogram
US8712067B2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audio signals for the hearing impaired
US2019004529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xecuting a digital audiogram
US9860641B2 (en) Audio output device specific audio processing
JP2012507044A (ja) オーディオ透かし入れ、透かし検出及び抽出を行う方法及び装置
US97564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nvironmental acoustical information in digital audio signals
US20120230501A1 (en) auditory test and compensation method
CN112954563B (zh) 信号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CN113282265A (zh) 终端的均衡参数配置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04665A (ko) 음악 청취의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US9485578B2 (en) Audio format
US20220166397A1 (en) Method for performing normalization of audio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CN108574914A (zh) 音箱组播放音频文件的调整方法及装置、接收端
CN108932953B (zh) 一种音频均衡函数确定方法、音频均衡方法及设备
CN112673648B (zh) 处理装置、处理方法、再现方法以及存储介质
KR102508413B1 (ko) 주파수 스펙트럼 보정을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6778949A (zh) 个性化响度补偿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6470373B (zh) 音频处理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