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396A -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396A
KR20160104396A KR1020150027381A KR20150027381A KR20160104396A KR 20160104396 A KR20160104396 A KR 20160104396A KR 1020150027381 A KR1020150027381 A KR 1020150027381A KR 20150027381 A KR20150027381 A KR 20150027381A KR 20160104396 A KR20160104396 A KR 20160104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rying
unit
dri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82448B1 (en
Inventor
김성일
최종원
오상현
전원표
이계중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4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bstract

A chamber flow type drying apparatus has a drying apparatus drying an object to be dried. The drying apparatus comprises: a chamber unit; a driving unit; a rotation unit; and a heating unit. The chamber unit has a drying space where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The driving unit is positioned in a center of the chamber unit and has a rotational shaft extended from a lower porti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unit to be rotated. The rotation unit comprises: a turning shaft fixated to a rotational shaft to be rotated;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extended from the turning shaft. Therefore, the rotation unit guides rotation of the object to be rotated in the drying space. The heating unit has a heating wire line extended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unit to heat air inside the chamber unit.

Description

챔버기류형 건조장치{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챔버기류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상의 피 건조물을 챔버 내부에서 건조시키기 위한 챔버기류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mber air flow type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mber air flow type drying apparatus for drying a particulate dried article inside a chamber.

입자상의 피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장치의 경우, 챔버의 내부로 인입된 입자에 고온의 공기를 조우시켜 건조시키되, 건조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챔버 내부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류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In the case of a drying apparatus for drying the particulate matter, there is a technique of artificially inducing various types of air currents in the chamb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drying by bringing high temperature air into the chamber, Is introduced.

수직기류를 유도하는 건조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434호는 하부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승기류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02305호도, 하부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피 건조물을 상승시키며 건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7434 discloses a technique for generating an ascending airflow by rotating a motor in the lower part in relation to a drying device for inducing a vertical airflow,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02305 And drying the dried material by supplying hot air to the dried material.

상기와 같은 수직기류를 유도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유지비가 낮은 장점은 있으나, 피 건조물들이 불균일하게 건조되며, 상대적으로 미세한 크기의 입자들만이 배출되고, 건조과정에서 미세입자들이 응집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a drying apparatus for drying a drying object by inducing the vertical airflow as described above, it is simple in structure, high in thermal efficiency, and low in maintenance cost, but the objects to be dried are unevenly dried and only relatively fine- ,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particles aggregate during the drying process.

나아가, 최근에는 상기 수직기류와 선회기류를 복합적으로 유도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901호의 선회기류 건조장치에서 피 건조물들을 선회시키며 상승하여 건조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Recently, a technique for inducing a combination of the vertical airflow and the swirling airflow has also been developed, and a technology for swirling and drying the laundr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19901.

그러나, 기본적으로 수직기류를 통해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챔버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건조장치의 제작을 위한 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basically, in order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through the vertical air flow, a chamber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is required, which increases space and cost for manufacturing a drying apparatu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743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9743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30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02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90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1990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mber air flow type drying apparatus which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can improve drying performanc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기류형 건조장치는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챔버부, 구동부, 선회부 및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부는 상기 피 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챔버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선회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선회축 및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임펠러들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공간에서 상기 피 건조물의 선회를 유도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챔버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선라인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drying a chamber airflow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unit for drying an object to be dried, the drying unit including a chamber part, a driving part, a turning part and a heating part. The chamber part forms a drying space in which the laundry is dried. The driving un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amber unit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tha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unit and rotates. The swivel portion includes a pivot shaft fixed to the rotary shaft and rotating,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extending from the pivot shaft to induce the swivel of the laundry in the drying space. The heating section includes a hot line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section to heat the air inside the chamber s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부는,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 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및 측면에 형성되어 건조가 완료된 피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 건조물은 상기 투입부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 charg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charging portion and a discharging portion formed at a side of the charging portion and discharging dried material after the drying. The object to be dried may be continuously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and the discharg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챔버부의 하부에서 상기 챔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챔버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rame portion for fixing the chamber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portion, and the rotation axis may extend from the frame portion to the chamber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챔버부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피 건조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belt that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a sealing unit that seals between the frame unit and the chamber unit to prevent the drying unit from departing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들 각각은, 상기 선회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건조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선회축의 회전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연장되며, 서로 연결된 상부날개, 중앙날개 및 하부날개를 포함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impellers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vot shaft in the direction of the drying space; and an upper blade extending to be bent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an extension including a lower w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의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는 상기 건조공간 방향으로 중앙날개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는 상기 중앙날개 및 상기 하부날개에 대하여 상기 선회축의 회전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pper wing and the lower wing of the extension portion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wing in the direction of the drying space, and the upper wing is extended to be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wing and the lower wing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선라인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열선라인을 통해 열이 인가되어 상기 챔버부의 내부가 가열된다. In one embodiment, the hot line extends spir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heat is applied through the hot line to heat the interior of the chamb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positioned in the drying spac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dry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챔버부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선회부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서는 선회기류가 형성되므로, 입자상의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wirling airflow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part by the swirling part rotating inside the chamber part, the particulate matter can be dried more effectively.

특히, 정체된 피 건조물에 대한 상승/하강을 유도하면서도 선회기류를 유도할 수 있는 바, 상기 챔버부를 상대적으로 높지 않도록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소용량의 피 건조물 건조가 가능하며, 나아가 선회기류의 특성도 관측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duce a swirling flow while inducing an upward / downward stagn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so that the chamber portion can be made compact so as not to be relatively high, and drying of the object to be dried in a small capacity is possible, Can also be observed.

또한, 구동부를 단순하게 설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챔버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밀폐부를 통해 상기 챔버부의 기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by simply designing the driving unit, the structure of the chamber part can be relatively simply produced. In this case, the airtightness of the chamber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maintained through the sealing portion.

또한, 선회부의 임펠러들 각각이, 상부날개와 하부날개가 중앙날개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므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부날개가 더 굽혀지도록 설계됨으로써, 상부로 이동된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어, 피 건조물이 상부나 하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회를 유도할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impellers of the swivel part is extended so that the upper blade and the lower blade protrude more than the central blade, so that the laundry plac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can be circulated more effective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lower the object to be dried, thereby preventing stagn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o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and inducing the turning.

나아가, 상기 상부날개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상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 내부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Further, from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upper vane, the heat transmitted to the upper side can be uniformly transferred into the drying space.

또한, 열선라인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므로, 상기 챔버부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피 건조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열선라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기 챔버부 내부의 기류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므로 상기 챔버부 내부의 기류 유도를 위한 제어가 용이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ot line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ying effect of the laundry by supplying heat to the chamber portion,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ot line can change the airflow inside the chamber por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 the chamb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챔버기류형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건조장치가 동작함에 따른 피 건조물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airflow typ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ying apparatus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urning part of FIG. 2,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turning part of FIG.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moving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of FIG.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챔버기류형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airflow typ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챔버기류형 건조장치(10)는 건조장치(10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hamber airflow type dry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ying apparatus 100 and a control apparatus 300.

상기 건조장치(100)는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의 대상인 피 건조물은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10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The drying apparatus 100 is a device for drying an object to be dried. In this embodiment, the object to be dried is a particulate mat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y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건조장치(100)는 후술하겠으나, 별도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동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As described later, the drying apparatus 100 may be driven by including a separate driving unit, or may be driven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though not shown.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건조장치(100)의 구동 회전수 제어는 물론, 상기 건조장치(100)의 내부로 인가되는 열선라인 온도, 상기 구동장치(100)의 내부로 제공되거나 건조되어 배출되는 상기 피 건조물의 양 및 속도, 상기 구동장치(100)의 내부의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300 controls the driving rotational speed of the drying device 100 as well as the temperature of the hot lin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ying device 100, The amount and speed of the object to be dri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driving apparatus 100,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y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ying apparatus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장치(100)는 챔버부(110), 프레임부(120), 구동부(130), 선회부(140), 가열부(150) 및 센서부(17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dry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hamber 110, a frame 120, a driving unit 130, a swivel unit 140, a heating unit 150, and a sensor unit 170, .

상기 챔버부(110)는 내부에 건조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공간(101)에는 피 건조물(102)이 투입되어 건조된다. 상기 챔버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외부로 돌출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 외에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The chamber part 110 forms a drying space 101 therein and the drying object 102 is charged into the drying space 101 and dried. As shown in FIG. 2, the chamber part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center part,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상기 챔버부(110)의 상면은 덮개부(111)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덮개부(111)는 내부에서 건조되는 피 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part 110 is covered with a lid part 111. The lid part 11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observe the dry state of the dried object.

상기 챔버부(110)의 일 측 상부에는 투입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112)를 통해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투입된다. 이 경우, 상기 투입부(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투입부(112)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연결되어 ON/OFF가 상기 제어장치(3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며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되며 투입될 수 있다. A loading part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mber part 110 so that the drying object 102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101 through the loading part 112.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charging unit 112 is connected to a solenoid valve in the charging unit 112 so that ON / OFF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Can be continuously or selectively controlled and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101.

상기 챔버부(110)의 측면에는 배출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13)를 통해 상기 피 건조물(102)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113)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부(113)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연결되어 ON/OFF가 상기 제어장치(3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며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되며 배출될 수 있다. A discharge part 113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hamber part 110. When the drying object 102 is dri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113, . In this case, although the discharge part 113 is not shown, a solenoid valv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113 so that ON / OFF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300, Continuously or selectively from the drying space 101 and discharged.

이와 같이, 상기 투입부(112) 및 상기 배출부(113)를 통해 상기 피 건조물(102)이 연속적으로 투입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제어장치(3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피 건조물(102)의 연속적인 건조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laundry 102 is continuously or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input unit 112 and the discharge unit 113,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undry 102 A continuous drying can be performed.

나아가, 상기 챔버부(110)의 양 측에는 손잡이부(114)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부(110)의 운반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on both sides of the chamber part 110, a handle part 114 is form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ransporting the chamber part 110 and the like.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챔버부(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110)를 지지 및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챔버부(110)의 고정을 위한 구조이며, 상기 챔버부(110)의 형상,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The frame part 120 is positioned below the chamber part 110 and supports and fixes the chamber part 110. [ In this case, the frame part 120 is a structure for fixing the chamber part 110, and various design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shape, size, etc. of the chamber part 110.

상기 구동부(130)는 회전축(131) 및 밀폐부(133)를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rotation shaft 131 and a sealing unit 133.

상기 구동부(13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31)을 직접 구동하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회전축(131)과 연결되어 상기 챔버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131)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수 등에 대한 제어는 상기 제어장치(300)에 의해 제어된다. The driving unit 130 may include a rotation motor that directly drives the rotation shaft 131, though not shown. In this case, the rotation moto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31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110 to provide a rotation force to the rotation shaft 131. Control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motor, Is controlled by the device (300).

이와 달리, 상기 구동부(130)가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경우라면, 상기 구동부(130)는 구동벨트(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driv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belt 132.

즉, 외부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상기 구동벨트(132)를 통해 상기 구동부(130)로 제공되며, 상기 구동벨트(132)는 상기 회전축(13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벨트(132)에 의해 상기 회전축(131)이 회전한다. That i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130 through the driving belt 132, the driving belt 13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31, The rotating shaft 131 rotates.

이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 또는 상기 구동벨트 모두, 상기 프레임부(120)의 하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131)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하부로부터 상기 챔버부(110)의 건조공간(101)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된다. The rotation shaft 13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0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0 so that the rotation shaft 13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0, And is drawn into the drying space 101 of the chamber part 110 and disposed therein.

즉,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프레임부(120)와 상기 챔버부(110)의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건조공간(101)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특히,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에서 회전하는 선회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회부(140)가 상기 건조공간(101) 전체에서 회전하므로,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건조공간(101)의 하부로부터 상기 건조공간(101)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That is, the rotation shaft 131 extend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rame part 120 and the chamber part 110,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rying space 101. Particularly, the rotary shaft 131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swivel portion rotating in the drying space 101.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wivel portion 140 rotates in the entire drying space 101, The rotary shaft 131 extend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rying space 101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ying space 101.

한편, 상기 회전축(131)은 상기 프레임부(120)와 상기 챔버부(110)를 관통하며 연장되므로, 상기 챔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챔버부(110)의 내부의 피 건조물질(102)이 배출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131 extends through the frame part 120 and the chamber part 110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hamber part 110 and the frame part 120, The dried material 102 inside the chamber part 11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pacing spa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부(133)가 상기 프레임부(120)와 상기 챔버부(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피 건조물질(102)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osed portion 133 seals the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frame portion 120 and the chamber portion 110 to prevent the dried material 102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상기 건조장치(100)를 설계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고, 운반 등의 이동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rying apparatus 100 can be designed relatively simply, the drying apparatus 100 can be downsized, and a moving operation such as transport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상기 선회부(140)는 상기 회전축(131)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 투입된 상기 피 건조물(102)을 건조시킨다. The swivel part 140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131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31 to dry the laundry article 102 inserted into the drying space 101.

이 경우, 상기 선회부(140)는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유도하여 상기 피 건조물(102)을 회전시키며 건조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에서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회를 유도한다. In this case, the swivel part 140 induces a swirl flow in the drying space 101 to rotate and dry the laundry 102, and at the same time, 102 are prevented from stagnating at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thereby inducing the turning.

즉,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에서 상기 피 건조물(102)은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정체되지 않고, 선회하므로 건조의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drying space 101, the laundry 102 is not stagnated at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but is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나아가, 상기 선회부(140)는 상기 챔버부(110)의 상측 내면에만 형성되는 상기 가열부(150)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로 전달하여,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유도한다. The swirling unit 140 transfers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unit 15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to the interior of the drying space 101, Thereby inducing the inside to be uniformly heated.

상기 선회부(14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A more specific structure of the swivel par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열부(150)는 상기 챔버부(110)의 다른 측 상부에 연결된 단자부(151), 및 상기 단자부(151)로부터 연결되어 가열되는 열선라인(152)을 포함한다. The heating unit 150 includes a terminal unit 151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10 and a heating line 152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151 and heated.

외부에서 공급되는 열은 상기 단자부(151)를 통해 상기 열선라인(152)으로 전달되며, 이렇게 전달된 열은 상기 챔버부(110)의 내부를 가열하게 되어, 상기 챔버부(1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The heat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transferred to the hot line 152 through the terminal unit 151. The heat transferred to the hot line 152 heats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부(151)를 통해 상기 열선라인(152)을 따라 열이 제공되므로, 상기 건조공간(101) 내부에 열의 제공에 따른 별도의 유동을 생성하지 않아, 상기 건조공간(101)에서는 상기 선회부(140)에 의해서만 유도되는 기류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의 기류가 피 건조물의 건조를 위해서만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since heat is provided along the hot line 152 through the terminal unit 151, no additional flow is generated due to the provision of heat in the drying space 101, 101, only the airflow induced by the swivel portion 140 is formed. Thus, the airflow inside the drying space 101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so as to be optimized only for drying the laundry.

상기 열선라인(152)은 상기 챔버부(11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선라인(152)의 양 끝단은 상기 단자부(151)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부(110)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상기 챔버부(110)의 상부를 중심으로 연장된다. The hot line 152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part 110. More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hot-wire line 152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51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unit 110 and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piral manner abou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unit 110 do.

특히, 상기 열선라인(152)은 상기 챔버부(110)의 상부에만 연장되므로, 상기 챔버부(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 또는 상기 챔버부(110) 내부에서 선회하는 피 건조물의 유동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hot line 152 extends only to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part 110, the flow of the air current generated in the chamber part 110 or the drying object rotating inside the chamber part 110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열선라인(152)이 상기 챔버부(110)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챔버부(110)의 내부로 열을 제공하므로 상기 건조공간(101)에 열이 인가되어 피 건조물의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Since the hea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part 110 in a state where the hot line 15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part 110, heat is applied to the drying space 101, .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선라인(152)은 상기 챔버부(110)의 상부 내주면에만 형성되지만, 후술되는 상기 선회부(140)에 의해 상기 상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하부로 전달되므로, 상기 건조공간(101) 전체의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t line 152 is formed only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part 110, but since the air heated at the upper part is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by the pivot part 140 described later, The air in the entire drying space 101 can be heated.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챔버부(110)의 내부, 즉 상기 건조공간(101)의 온도를 센싱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간(101)의 상부와 같이, 상기 피 건조물(102)의 유동을 최소한으로 방해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3, the sensor unit 17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that is, the drying space 101, and, as shown in FIG. 3, Lt; RTI ID = 0.0 > 102 < / RTI >

도 4는 도 2의 선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urning part of FIG. 2,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turning part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회부(140)는 상기 회전축(131)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선회축(141), 및 상기 선회축(141)으로부터 연장된 임펠러(16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pivot portion 140 includes a pivot shaft 141 coupled to the pivot shaft 131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pivot shaft 131, And an impeller 160 that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impeller 160.

상기 선회축(141)은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회전축(131)에 고정된다. The pivot shaft 14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and the hollow portion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31.

상기 임펠러(160)는 상기 선회축(141)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임펠러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impeller 160 extends outwardly from the pivot shaft 141,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may be arranged at uniform intervals.

상기 임펠러들(160) 각각은 베이스부(161) 및 확장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162)는 상부날개(163), 중앙날개(164) 및 하부날개(165)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impellers 160 includes a base portion 161 and an expansion portion 162. The expansion portion 162 includes an upper blade 163, a central blade 164, and a lower blade 165 .

상기 베이스부(161)는 상기 선회축(141)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선회축(1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61)는 상기 선회축(141)의 외주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61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pivot shaft 141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141. In this case, the base portion 161 may extend in the outward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shaft 141.

상기 확장부(162)는 상기 베이스부(161)로부터 상기 선회축(141)의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161)의 연장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루면서 굽혀져 연장된다. The extension portion 162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161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141 and is bent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161.

그리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61)와 상기 확장부(162)는 90도 내지 180도의 각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부(162)와 상기 베이스부(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us, as shown in FIG. 5, the base portion 161 and the extension portion 162 may extend at an angle of 90 to 180 degrees. In this case, the extension portion 162 and the base portion 161 may be integrally formed.

한편, 상기 확장부(162)는 상기 선회축(14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선회부(140)에 의해 선회기류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nsion portion 162 may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141. Thus, the swirling flow can be induced more effectively by the swirling part 140.

한편, 상기 확장부(162)는 상부에 위치한 상부날개(163), 중앙에 위치한 중앙날개(164) 및 하부에 위치한 하부날개(165)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날개(163) 및 상기 하부날개(165)는 상기 중앙날개(164)보다 상기 선회축(141)의 외부방향을 향해 더욱 돌출될 수 있다. The extension 162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blade 163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 central blade 164 located at the center and a lower blade 165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he wings 165 may protrude more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141 than the central wings 164.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임펠러(160)는 측면에서 관찰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us, the impeller 160 as a whole can have a 'C' shape as shown in FIG. 4 when viewed from the side.

이와 같이, 상기 하부날개(165)가 상기 중앙날개(164)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건조공간(101)의 하부에 축적되는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하부날개(165)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는 상기 피 건조물(102)이 하부에 축적되지 않고 선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날개(163)가 상기 중앙날개(164)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건조공간(101)의 상부에 머무르는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기 상부날개(163)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는 상기 피 건조물(102)이 상부에 축적되지 않고 선회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blade 165 protrudes from the central blade 164, the laundry 102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ying space 101 is lifted by the lower blade 165 do. Thus, the laundry 102 can be guided more effectively without accumulating in the drying space 101 in the lower part. Similarly, when the upper blade 16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blade 164, the laundry 102 staying in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space 101 is lowered by the upper blade 163. Thus, the laundry 102 is not accumulated in the drying space 101, and the turning can be induced more effectively.

즉, 상기 상부날개(163) 및 상기 하부날개(165)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는 상기 피 건조물(102)이 하부 또는 상부에 축적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 건조물(102)은 보다 효과적으로 선회가 유도되어 건조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laundry (102)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the drying space (101) by the upper blade (163) and the lower blade (165) ) Can induce the turning more effectively and the drying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나아가, 상기 상부날개(16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날개(164) 및 상기 하부날개(165)가 상기 베이스부(161)에 대하여 굽혀진 각도보다 더 많이 상기 선회축(14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4 and 5, the center wing 164 and the lower wing 165 are bent more than the angle at which the lower wing 165 is bent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61. Therefore, The shaft 141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rotated.

즉, 상기 상부날개(163)는 상기 선회축(141)을 향하여 더 가깝게 굽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선회부(140)의 회전에 의해 선회기류가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상기 피 건조물(102)은 입자상으로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 선회기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승이 유도되므로, 상기 상부날개(163)가 상기 중앙날개(164)나 상기 하부날개(161)보다 더 굽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피 건조물(102)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하여 상기 건조공간(101) 내에서 보다 효과적인 선회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blade 163 can be bent more toward the pivot shaft 141, so that the swirling airflow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by the rotation of the pivot part 140. Further, since the drying object 102 is raised in the form of a particle when a swirling airflow is generated in the drying space 101, the upper blade 163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wing 164, The drying air can be guided more effectively in the drying space 101 by suppressing an excessive rise of the drying object 102. [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열선라인(152)은 상기 챔버부(110)의 상측에만 형성되므로, 상기 열선라인(152)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101)의 상부를 중심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날개(163)가 상기 선회축(141)을 향하여 더 가깝게 굽혀짐으로써 상기 열선라인(152)에 의해 인가되는 열을 상기 건조공간(101)의 하부로도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건조공간(101)에 열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The heating line 152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110 so that the heating line 152 is heated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space 101. In addition, Therefore, the upper blade 163 is bent toward the pivot shaft 141 to transfer the heat applied by the hot line 152 to the lower part of the drying space 101, The heat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heat exchanger 101.

도 6은 도 2의 건조장치가 동작함에 따른 피 건조물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moving state of the object to be dr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ying apparatus of FIG. 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112)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피 건조물(102)은 상기 하부날개(165)에 의해 하부에 정체된 상기 피 건조물(102)은 상승하도록 유도되고, 상기 상부날개(163)에 의해 상부에 정체된 상기 피 건조물(102)은 하강하도록 유도되며, 상기 선회부(140)의 회전에 따라 유도되는 선회기류에 의해 상기 건조공간(101)의 내부에서 선회되며 건조된다. 6, the laundry 102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portion 112 is guided by the lower blade 165 so that the laundry 102 having stagnated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lifted up, The drying object 102 stagnated on the upper side by the drying unit 163 is guided to descend and is swirled and dried in the drying space 101 by the swirling airflow induced by the rotation of the swirling unit 140 .

이후, 상기 피 건조물(102)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배출부(113)를 통해 상기 건조공간(101)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drying of the laundry 102 is completed, the laundry is discharged from the drying space 101 through the discharge unit 113.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챔버부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선회부에 의해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서는 선회기류가 형성되므로, 입자상의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wirling air flow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part by the swirling part rotating inside the chamber part, the particulate matter can be more effectively dried.

특히, 정체된 피 건조물에 대한 상승/하강을 유도하면서도 선회기류를 유도할 수 있는 바, 상기 챔버부를 상대적으로 높지 않도록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소용량의 피 건조물 건조가 가능하며, 나아가 선회기류의 특성도 관측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duce a swirling flow while inducing an upward / downward stagn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so that the chamber portion can be made compact so as not to be relatively high, and drying of the object to be dried in a small capacity is possible, Can also be observed.

또한, 구동부를 단순하게 설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챔버부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밀폐부를 통해 상기 챔버부의 기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urther, by simply designing the driving unit, the structure of the chamber part can be relatively simply produced. In this case, the airtightness of the chamber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maintained through the sealing portion.

또한, 선회부의 임펠러들 각각이, 상부날개와 하부날개가 중앙날개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므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부날개가 더 굽혀지도록 설계됨으로써, 상부로 이동된 피 건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어, 피 건조물이 상부나 하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회를 유도할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impellers of the swivel part is extended so that the upper blade and the lower blade protrude more than the central blade, so that the laundry plac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can be circulated more effective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lower the object to be dried, thereby preventing stagnation of the object to be dried o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and inducing the turning.

나아가, 상기 상부날개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상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 내부로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Further, from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upper vane, the heat transmitted to the upper side can be uniformly transferred into the drying space.

또한, 열선라인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므로, 상기 챔버부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피 건조물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열선라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기 챔버부 내부의 기류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므로 상기 챔버부 내부의 기류 유도를 위한 제어가 용이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ot line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ying effect of the laundry by supplying heat to the chamber portion,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ot line can change the airflow inside the chamber por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 the chamber par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챔버기류형 건조장치는 입자상의 피 건조물질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chamber airflow typ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to dry particulate dry matter.

10: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100 : 건조장치
300 : 제어장치 110 : 챔버부
111 : 덮개부 112 : 투입부
113 : 배출부 114 : 손잡이부
120 : 프레임부 130 : 구동부
131 : 회전축 132 : 구동벨트
140 : 선회부 141 : 선회축
150 : 가열부 151 : 단자부
152 : 열선라인 160 : 임펠러
161 : 베이스부 162 : 확장부
163 : 상부날개 164 : 중앙날개
165 : 하부날개 170 : 센서부
10: chamber airflow type drying apparatus 100: drying apparatus
300: control device 110: chamber part
111: lid part 112: input part
113: discharge portion 114: handle portion
120: frame part 130:
131: rotating shaft 132: driving belt
140: turning part 141: pivot shaft
150: heating part 151: terminal part
152: hot line 160: impeller
161: base portion 162: extension portion
163: upper wing 164: central wing
165: lower blade 170:

Claims (8)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피 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
상기 챔버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선회축 및 상기 선회축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임펠러들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공간에서 상기 피 건조물의 선회를 유도하는 선회부; 및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챔버부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선라인을 포함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And a drying device for drying the object to be dried,
A chamber part forming a drying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A driving uni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hamber unit and including a rotating shaft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unit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 swirler including a pivot shaft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extending from the pivot shaft to induce the swirl of the laundry in the drying space; And
And a heating section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section and including a hot line for heat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 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및
측면에 형성되어 건조가 완료된 피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 건조물은 상기 투입부 및 상기 배출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mber part may include a charging part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hamber,
And a discharge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discharging the dried object having been dried,
Wherein the object to be dried is continuously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and the dis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챔버부의 하부에서 상기 챔버부를 고정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챔버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rame portion for fixing the chamber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portion,
And the rotation axis extends from the frame portion to the chambe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챔버부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피 건조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A driving belt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hermetically sealed part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chamber part to prevent the drying of the laund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들 각각은,
상기 선회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건조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선회축의 회전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연장되며, 서로 연결된 상부날개, 중앙날개 및 하부날개를 포함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mpellers comprises:
A bas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vot shaft in the drying space direction; An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be bent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an upper blade, a central blade and a lower blade connected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는 상기 건조공간 방향으로 중앙날개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날개는 상기 중앙날개 및 상기 하부날개에 대하여 상기 선회축의 회전방향으로 굽혀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blade and the lower blade of the extension part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blade in the direction of the drying space,
Wherein the upper blade extends to be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ivot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lade and the lower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라인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열선라인을 통해 열이 인가되어 상기 챔버부의 내부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t line extends spir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heat is applied through the hot line to heat the interior of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기류형 건조장치.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positioned in the drying space and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drying space.
KR1020150027381A 2015-02-26 2015-02-26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KR101682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381A KR101682448B1 (en) 2015-02-26 2015-02-26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381A KR101682448B1 (en) 2015-02-26 2015-02-26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396A true KR20160104396A (en) 2016-09-05
KR101682448B1 KR101682448B1 (en) 2016-12-05

Family

ID=5693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381A KR101682448B1 (en) 2015-02-26 2015-02-26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4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57A (en) * 1994-07-14 1996-02-02 Shionogi & Co Ltd Tank moving fluidized drying device
JP2007054679A (en) * 2005-08-22 2007-03-08 G-Labo:Kk Heat treatment equipment and heating method using heat treatment equipment
JP2009174750A (en) * 2008-01-23 2009-08-06 Ryuki Engineering:Kk Flash drier
KR101197434B1 (en) 2011-08-09 2012-11-06 최준서 Device for drying and pulverization of sludge
KR20130002305A (en) 2012-12-13 2013-01-07 김윤하 Sludge flash dryer
KR20130036601A (en) * 2011-10-04 2013-04-12 조성욱 Dryer for synthetic resin raw material
KR101419901B1 (en) 2013-06-04 2014-07-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wirling air flow dry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57A (en) * 1994-07-14 1996-02-02 Shionogi & Co Ltd Tank moving fluidized drying device
JP2007054679A (en) * 2005-08-22 2007-03-08 G-Labo:Kk Heat treatment equipment and heating method using heat treatment equipment
JP2009174750A (en) * 2008-01-23 2009-08-06 Ryuki Engineering:Kk Flash drier
KR101197434B1 (en) 2011-08-09 2012-11-06 최준서 Device for drying and pulverization of sludge
KR20130036601A (en) * 2011-10-04 2013-04-12 조성욱 Dryer for synthetic resin raw material
KR20130002305A (en) 2012-12-13 2013-01-07 김윤하 Sludge flash dryer
KR101419901B1 (en) 2013-06-04 2014-07-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wirling air flow dry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448B1 (en)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6793A (en) Heat generating apparatus and its process utilizing air circulation and convection
CN209588611U (en) A kind of circulating electric drying oven with forced convection
CN105865174A (en) Efficient drying device
KR101682448B1 (en) Chamber-flow type drying apparatus
CN206875958U (en) A kind of art pottery kiln
CN205718320U (en) A kind of auxiliary agent Constant Temp. Oven
CN207422918U (en) A kind of silicon chip graphite boat cooling body
CN206974110U (en) A kind of granule materials dry tack free device
CN1175088A (en) Constant temperature chamber of handler for use with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apparatus
CN209197377U (en) A kind of dyestuff rapid drying device
CN211306778U (en) Drying device after ceramic manufacture
KR101357756B1 (en) Cylinder type continuous fluidized bed dryer
CN207162937U (en) A kind of uniform blower fan of thermal wind exhausting
US4457083A (en) Heat generating apparatus and its process
CN210569701U (en) Heated air circulation oven with uniform heating
CN207729953U (en) A kind of moisture-proof integrated mechanism of plastic pellet drying
CN208205652U (en) A kind of hot air circulation drying oven
CN104833186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screw conveying drying machine
CN205878794U (en) Rice circulation drying device
CN205808032U (en) A kind of medicinal material drying device
CN219264818U (en) Volumetric flask drying device
CN211242956U (en) Heat balance type oven based on rotating airflow
CN206787225U (en) Biology enzyme tray dryer device
CN214095352U (en) Automatically controlled board drying device
CN207147257U (en) A kind of industrial furnace switch board with heat sink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