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286A -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286A
KR20160104286A KR1020150027086A KR20150027086A KR20160104286A KR 20160104286 A KR20160104286 A KR 20160104286A KR 1020150027086 A KR1020150027086 A KR 1020150027086A KR 20150027086 A KR20150027086 A KR 20150027086A KR 20160104286 A KR20160104286 A KR 2016010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former
rectifying
batter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5524B1 (en
Inventor
최원호
정윤기
Original Assignee
파워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워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524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mounted on a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irect current (DC) power supplier comprising a transformer, a first rectifying part, a second rectifying part, an anode conversion part, a cathode conversion part and a battery. The transformer is provided with external DC three-phase power, divides the power into first DC power and second DC power, which have a phase differenc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the second rectifying part, respectively. The first rectifying part receives first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and rectifies the first AC power with the first DC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anode conversion part. The second rectifying part receives second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and rectifies the AC power with the second DC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cathode conversion part. The anode conversion part receives the first DC power from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controls the first DC power with a preset anode value to be transmitted to an output end. The cathode conversion part receives the second DC power from the second rectifying part and controls the second DC power with a preset cathode value to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end. The battery charges the DC power controlled by the anode conversion part and the cathode conversion part.

Description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0001]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0002]

본 발명은 종래 교류(AC)배전의 효율 장벽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직류(DC) 배전망에서의 무정전 전원을 구현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AC-DC 전력변환회로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보다 단순한 회로구조를 가지며, 종래 방식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고역률 고효율의 전력공급기를 구현할 수 있는 DC 전력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that implement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 a DC (DC) distribution to overcome the efficiency barrier of conventional AC distribution, To a DC power supply having a simpler circuit structure and capable of realizing a high power factor high efficiency power supply while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imbalance problem.

최근 대부분의 전력 수용가에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계통 공급 전원이 단전되었을 때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용가에 일정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단전 시 공급할 전력의 에너지를 저장할 때 배터리를 사용하게 된다. Most power consumers in recent years have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custom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using the stored energy when the system power supply is disconnected.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es the battery to store the energy of the power to be supplied when the power is cut off.

이 때, 배터리는 직류 전원(DC)이므로 고전적인 교류 전원(AC) 배전망에 적용되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AC/DC 전력변환하여 배터리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추후 필요할 때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다시 교류 전원으로 재변환하여, DC/AC 전력변환으로 수용가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battery is a DC power source,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lied to a classical AC power supply converts AC / DC power to store energy in the battery, and D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It is reconverted to AC power again and AC power is supplied to the customer by DC / AC power conversion.

또한, 대부분의 전력 수용가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상용 배전이 교류 전원으로 되어 있기 때문으로, 기기의 내부에서 다시 AC/DC전력변환을 통하여 수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전적인 교류 전원 배전을 사용할 경우 여러 단계의 AC/DC 혹은 DC/AC 전력변환을 필요로 하며, 필연적으로 이에 따른 전력변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부분에서 전력변환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진보되어 왔으나, 전력변환효율은 일정한 한계(92%)를 넘지 못하는 문제점이 산재하고 있었다.In addition, most of the electric power consumers use electric power because they use AC power, but because the commercial power distribution is AC power, Power is converted into DC power and used. Therefore, when a classical AC power distribution is used, a plurality of steps of AC / DC or DC / AC power conversion are required, and power conversion loss is inevitably generat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has been advanced in many parts, but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has been limited to a certain limit (92%).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DC배전 방식이 제안되었고, 이를 위한 대용량 고효율 전력 공급기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른 종래의 전력공급기는 고효율을 위하여 고효율 단상 AC/DC변환기를 구성하고 이를 각 상에 대응하여 연결하며 고주파 절연방식으로 변환된 DC 출력을 합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변환하고자 하는 DC전압이 300V로 3상 380V의 한 상 전원이 311V임에 착안하여 변환 전압의 비율을 1:1에 가깝도록 구성함에 따라 역률을 높이면서도 전력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and a large-capacity, high-efficiency power supply has been demanded. In ord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a conventional high efficiency single phase AC / DC converter is constructed, And the DC output converted by the high frequency insulation method is synthesized. In such a scheme, the DC voltage to be converted is 300V, and the phase voltage of the 3-phase 380V is 311V, so that the ratio of the converted voltage is set close to 1: 1, so that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increasing the power factor There are advantages.

그러나, 단상 AC/DC 변환기 3개가 동일한 DC 전력을 합성하여 부하에 전달하고 입력 전류 또한 같도록 하는 균형제어는 한계가 있어 일정 용량(약 70kW) 이상이 되면 불균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제로 공급하는 3상의 전원 중 상 전압이 불평형이거나 상의 고조파의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므로, 기존 방식은 더욱 불균형 현상을 제어하기 어렵다.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n unbalance occurs when three or more single-phase AC / DC converters combine the same DC power to transmit to the load, and the input current is also equalized and the balance control is limited and becomes more than a certain capacity (about 70 kW). In addition, since the phase voltage of the three-phase power supply actually supplied is unbalanced or the phase of the harmonic of the phase varies frequentl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imbalance phenomen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기존 방식에서의 불균형 현상은 부하로 공급하는 대부분의 전력을 1대의 단상 AC/DC 변환기가 감당하는 경우가 발생함을 의미하므로, 과용량으로 인해 하나의 AC/DC 변환기가 파손되는 경우 연쇄적으로 나머지 AC/DC 변환기도 파손되는 문제가 존재하여 자체적인 용량을 증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the unbalance phenomen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means that a single single-phase AC / DC converter may cover mos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Therefore, when one AC / DC converter is damaged due to an excessive capac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aining AC / DC converter is also broken, so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its own capacit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류 전원 배전망 구성을 위한 필수 요소로서 상용 전원인 AC 3상 전원의 전력을 수전받아 직류로 변환함에 있어서, 배터리와의 연계를 통하여 무정전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direct current power.

또한, 3상 전원을 그대로 활용하여 저주파 절연 변압기로 절연과 역률 개선을 구현하고, 3상의 합성 직류를 다이오드 정류기로 정류변환하며, DC/DC 변환부를 통해 원하는 직류 전압을 만들어 내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three-phase power source as it is, the low-frequency insulation transformer realizes insul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ower factor, rectifying the three-phase synthetic direct current by diode rectifier, and battery- DC power suppl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고, 위상차를 갖는 제1 교류 전원과 제2 교류 전원으로 나누어 각각 제1 정류부와 제2 정류부로 전송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1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1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양극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1 정류부,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2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2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음극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2 정류부, 상기 제1 정류부로부터 제1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양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하는 양극 변환부,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제2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음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하는 음극 변환부, 상기 양극 변환부 및 상기 음극 변환부가 조절한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comprising: a first AC power source and a second AC power source having an external AC three- A first rectifying section for receiving a first alternating current power from the transformer, rectifying the first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a first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transmitting the rectified current to a bipolar transforming section, a second rectifying section for receiving a second alternating current power from the transformer, A second rectifying section rectifying the first DC power from the second rectifying section and transmitting the rectified DC power to the cathode section, a first rectifying section receiving the first DC power from the first rectifying section, A cathode converting unit for receiving a second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adjusting the cathode current value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attery for charging the regulated DC power supply.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변압기가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는 1차 변압기, 상기 1차 변압기와 Y-Y 결선되며, 상기 제1 정류부로 상기 제1 교류 전원을 전송하는 2차 변압기, 상기 1차 변압기와 Y-Δ 결선되며, 상기 제2 정류부로 상기 제2 교류 전원을 전송하는 3차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제1 교류 전원이 상기 제2 교류 전원과 3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operat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ormer is YY connected to a primary transformer supplied with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the primary transformer, A second transformer for transmitting the first AC power, and a tertiary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Y-delta with the first transformer and transmitting the second AC power to the second rectifier. In this case, the battery-operat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C power source has a phase difference of 30 degrees from the second AC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양극 변환부는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제1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1 정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치 및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battery-operat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odic conversion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and a first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first switch, One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음극 변환부는 제3 스위치, 제4 스위치,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2 정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타단이 상기 제4 스위치 및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conversion unit includes a third switch, a fourth switch and a second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third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switch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and the batter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변압기, 상기 제1 정류부, 상기 제2 정류부, 상기 양극 변환부, 상기 음극 변환부 및 상기 배터리를 각각 연결하는 선로에, 전송하는 전원의 평활화를 위한 인덕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 connecting the transformer, the first rectifying unit, the second rectifying unit, the anode converting unit, the cathode converting unit, And an inductor for smoothing the power source to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제1 정류부 및 상기 제2 정류부는, 각각 3개의 정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 소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the second rectifying part each include three rectifying elements, and the rectifying element includes two diodes .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상기 양극 변환부 및 상기 음극 변환부가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출력단에, 부하를 연결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부하의 일단에 양극 다이오드를, 타단에 음극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부하로부터의 역방향 전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의 교류 3상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attery-operat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current power is supplied by connecting a load to an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the direct current power is transmitted, do. In this case, a positive electrode diod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ad and a negative electrode diod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n series to prevent a reverse current from the load. When the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And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is supplied to the load.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의 경우, AC공급전원 -> AC/DC 변환 -> DC 전원으로 배터리 저장 -> 정전시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DC/AC 변환 -> AC 전원을 부하에 공급 -> 부하 내부에서 다시 AC/DC 변환하는 등, AC/DC 변환 또는 DC/AC 변환을 수 차례 거치게 되어 전력변환에 따른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AC/DC 전력변환회로는 단상 AC/DC 전력변환기를 상마다 연결하여 이 출력을 하나로 묶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상으로부터 변환되는 전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도록 제어해야 하는 난점이 존재하였다.In case of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C power supply -> AC / DC conversion -> Battery storage by DC power -> DC / AC conversion of power stored in battery during power failure -> AC power supply to load -> Load inside AC / DC conversion or DC / AC conversion is performed several times, such as AC / DC conversion again, and loss due to power conversion necessarily occurs. In addition, existing AC / DC power conversion circuits have a single-phase AC / DC power converter connected to each phase, and the outputs are grouped into one.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power converted from each phase to be balanced with each other.

그러나, 본 발명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3상 정류회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AC 공급전원을 간단한 변환 회로를 통하여 배터리에 DC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불평형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말단 부하에 DC 전원을 바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수 차례 변환을 통하여 발생되는 손실을 줄이게 되어, 불평형에 따른 과용량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고역률과 고효율을 구현 가능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battery-related high-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hree-phase rectifier circuit, the DC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through the simple conversion circuit of the AC power supply so that the unbalance phenomenon does not occur. DC power is directly supplied, the loss generated through the conventional conversion is reduced, so that a high power factor and high efficiency can be realized without causing an over-capacity due to unbalance.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를 통하여, 단순한 구조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절연 기능, 불균형에 의한 과용량 현상의 제거, 고역률(약 95%이상), 고효율(약 95%이상)의 직류(DC) 300V 배전을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Further, the battery-relat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reliability with a simple structure, eliminates the overcharging phenomenon due to the unbalance, high power factor (about 95% or more), high efficiency (DC) 300V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ower distribution.

이 때, 본 발명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회로 구성은 출력에 배터리가 연결되어 배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전되는 직류 전압이 매우 깨끗하고 평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 응용회로에서 배터리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로 하는 절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 전력변환기기로서의 직류 전원 배전을 위한 UPS 시스템에 적합하다.At this time,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is connected to an output to distribute the power, so that the DC voltage to be distributed is very clean and smooth. In particular, it is suitable for a UPS system for DC power distribution as a large-capacity power conversion device sin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ecure insulation required for battery protection in a battery application circuit.

또한, 일반적으로 전력변환 시 배터리로 인하여 크게 나타나는 배터리 전류의 맥동을 종래 대비하여 1/2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배터리의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허용 온도와 관련하여서도, 전류 맥동을 줄이게 되므로 배터리 사용시 발생하는 열 변화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ulsation of the battery current, which is generally caused by the battery during power conversion, can be reduced to 1/2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pulsation is reduced in relation to the allowable temperatu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batte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ate of heat change occurring when the battery is used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변압기 전류 위상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transformer current phase of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implemented by the schematic drawings to easi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each constituent unit described below is on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other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Also, the expression " comprising " is intended to merely denote that such elements are present as an expression of " open ",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additional element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서,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Also, the expressions such as " first,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other features between configurations.

또한, 이하에서 표현되는 '전원'은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에 사용되는 직류 전원 및 상용 교류 전원을 말하며, 전류, 전압, 전력 등의 모든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source' expressed below is a DC power source and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used in a power supply, and may include all concepts such as current, voltage, and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100)는, 변압기(110), 제1 정류부(120), 제2 정류부(130), 양극 변환부(140), 음극 변환부(150), 배터리(160), 부하(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ormer 110, a first rectifier 120, a second rectifier 130, an anodic converter 140, A battery 150, a load 170, and the like.

변압기(110)는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고, 위상차를 갖는 제1 교류 전원과 제2 교류 전원으로 나누어 각각 제1 정류부와 제2 정류부로 전송한다. 이 때, 변압기는 1차와 2차, 3차로 구성되어 그 변압비가 계통전압 및 출력전압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former 110 is supplied with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and is divided into a first AC power source having a phase difference and a second AC power source,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 rectifying unit,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ransformer is composed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nd the transformer ratio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grid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ratio.

제1 정류부(120)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1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1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양극 변환부로 전송하며, 제2 정류부(130)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2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2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음극 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rectification part 120 receives the first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rectifies it to the first DC power and transmits it to the anode conversion part, and the second rectification part 130 receives the second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2 rectified by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transmitted to the cathode transformer.

양극 변환부(140)는 상기 제1 정류부로부터 제1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양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하며, 음극 변환부(150)는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제2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음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할 수 있다.The anodic conversion unit 140 receives the first DC power from the first rectification unit, adjusts the first DC power to a predetermined positive value and transmits the adjusted first DC power to the output stage, and the cathode conversion unit 150 receives the second DC power from the second rectification unit And can be adjusted to a preset cathode value and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배터리(160)는 상기 양극 변환부 및 상기 음극 변환부가 조절한 직류 전원을 충전하며, 배터리가 연결된 출력단에 부하(170)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160 charges the DC power adjusted by the anodic conversion unit and the cathode conversion unit, and supplies the power by connecting a load 170 to an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battery is connected.

상술한 직류 전원공급기의 변압기, 제1 정류부, 제2 정류부, 양극 변환부, 음극 변환부, 배터리의 상세한 회로도 구성과,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고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은 도 2, 3을 참조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transformer, the first rectifying part, the second rectifying part, the anode converting part, the cathode converting part, and the battery of the above-described direct current power supply and the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to direct current power and supplying power to the load, 3 will be referred 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의 변압기 전류 위상을 대비한 그래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battery-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압기T(110)는, 1차 변압기T1(111), 2차 변압기T2(112), 3차 변압기T3(113)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변압기T1(111)는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고, 2차 변압기T2(112)는 상기 1차 변압기와 Y-Y 결선되며, 상기 제1 정류부로 상기 제1 교류 전원을 전송하고, 3차 변압기T3(113)는 상기 1차 변압기와 Y-Δ 결선되며, 상기 제2 정류부로 상기 제2 교류 전원을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former 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imary transformer T1 111, a secondary transformer T2 112, and a tertiary transformer T3 113. The primary transformer T1 111 is supplied with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the secondary transformer T2 112 is connected with the primary transformer YY, the first AC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ctifier, The tertiary transformer T3 113 is Y-delta connected to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ransmits the second AC power to the second rectifier.

이 때, 변압기는 1차 변압기를 입력으로 하며, 1차 변압기와 2차 변압기는 Y-Y 결선으로, 1차 변압기와 3차 변압기는 Y-Δ 결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정류부로 인입되는 제1 교류 전원과 제2 정류부로 인입되는 제2 교류 전원의 기본파 위상이 차이가 나게 된다. 이 때 제1 교류 전원과 제2 교류 전원은 도 3과 같이 3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transformer has a primary transformer as its input,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he secondary transformer are YY-connected, and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he tertiary transformer are composed of Y-delta wiring, The fundamental wave phases of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source and the second alternating-current power source led into the second rectifying section are differ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C power source and the second AC power source have a phase difference of 30 degrees as shown in FIG.

따라서, 1차 변압기의 전원 형상이 2차 변압기의 전원과 3차 변압기의 전원의 결합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종래의 역률 개선은 추가적인 반도체 소자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제어회로가 요구되는 단점이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직류 전원공급기는 추가적인 반도체 소자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effect that the power source form of the primary transformer appears as a combination of the power source of the secondary transformer and the power source of the tertiary transformer can be generated, thereby improving the power factor. Conventional power factor correc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an additional semiconductor element is required and a complicated structure and a separate control circuit are required. However, since the DC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semiconductor element, There is an effect.

이어, 제1 정류부(120) 및 제2 정류부(130)는, 각각 3개의 정류 소자(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류 소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류부 및 제2 정류부가 포함하는 정류 소자는, 주기적으로 양과 음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는 외부 교류 3상 전원을 한 가지 방향만 갖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정류 소자가 포함하는 정류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며,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한다. The first rectification part 120 and the second rectification part 130 may each include three rectification elements 121, and the rectification element may include two diodes. The rectific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first rectification part and the second rectification part is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ource which is periodically changed in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into a DC power source having only one direction. The rectifier diode included in the rectifying element flows the current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s it from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예를 들어, 제1 교류 전원은 정현파(sin) 형태로 제1 정류부에 전송된다. 제1 정류부의 정류 소자들은 순방향 다이오드(D13, D14, D15)와 역방향 다이오드(D16, D17, D18)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교류 전원이 + 상태일 때 순방향 다이오드(D13, D14, D15)를 통하여 양극 변환부로 전송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교류 전원이 정현파 형태로 제2 정류부에 전송되면, 제2 정류부의 정류 소자들은 순방향 다이오드(D26, D27, D28)와 역방향 다이오드(D23, D24, D25)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교류 전원이 - 상태일 때 역방향 다이오드(D23, D24, D25)를 통하여 음극 변환부로 전송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first alternating-current power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ctifying part in a sinusoidal form. Since the rectifying elements of the first rectifying part include the forward diodes D13, D14 and D15 and the reverse diodes D16, D17 and D18, the forward diodes D13, D14 and D15 To the anode conversion unit. Similarly, when the second AC power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ctifying part in the form of a sinusoidal wave, the rectifying elements of the second rectifying part include the forward diodes D26, D27 and D28 and the reverse diodes D23, D24 and D25, When the AC power source is in the negative (-) state, it is transmitted to the cathode transformer through the reverse diodes D23, D24, and D25.

이어, 제1 정류부 및 제2 정류부에 의하여 정류된 제1 직류 전원 및 제2 직류 전원은, 각각 양극 변환부(140) 및 음극 변환부(150)에 전송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는, 고효율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력 변환부인 양극 변환부와 음극 변환부를 반도체 전력 스위치 2개만으로 구성하며, 양극 변환부와 음극 변환부로 분리하여 서로 상보적인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양극 변환부와 음극 변환부로 변환부가 분리하게 되면, 반도체 스위치 소자가 제어하여야 하는 전압이 1/2로 줄어들게 되며, 스위치의 스트레스를 절감함으로써 대용량 구현에 적합해진다. The first DC power source and the second DC power source rectified by the first rectification part and the second rectification part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anode conversion part 140 and the cathode conversion part 150. In particular, in order to realize high efficiency, the battery-related high-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ode conversion unit and a cathode conversion unit, which are power conversion units, with only two semiconductor power switches, It is possible to perform driving. When the conversion section is separated from the anode and the cathode conversion section, the voltage to be controlled by the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is reduced to 1/2, and the stress of the switch is reduced.

이 때, 양극 변환부와 음극 변환부는, 제1 정류부 및 제2 정류부로부터 제1 직류 전원과 제2 직류 전원을 수신하며, 기 설정된 양극 값 또는 기 설정된 음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으로 전송하게 된다.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은 3상 380V이며, 이를 정류하고 평활한다 하더라도 실제 부하에 사용되는 직류 전원의 값보다 크거나 작게 얻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nodic conversion unit and the negative conversion unit receive the first direct current power and the second direct current power from the first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 rectifying unit,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adjusted direct current power to the output terminal by adjusting the predetermined anode value or a predetermined cathode value. The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upply is three-phase 380V. Even if it is rectified and smoothed, it can be obtained that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value of DC power used for actual load.

예를 들어, 제1 정류부와 제2 정류부를 거친 직류 전압의 값이 350V이며, 실제로 부하에 사용될 수 있는 값이 300V인 경우, 양극 변환부와 음극 변환부에 +150V 및 -150V를 각각 양극 값과 음극 값으로 설정하여 출력단에 송출되는 전원의 값을 300V로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direct current voltage passed through the first rectifying part and the second rectifying part is 350V and the value that can be actually used for the load is 300V, + 150V and -150V are set to the positive polarity value And the negative value of the power supply to the output terminal can be set to 300V.

양극 변환부(140)는 제1 스위치Q11(141), 제2 스위치Q12(142), 제1 캐패시터C1(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스위치의 일단과 제1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1 정류부와 연결되고, 1 스위치의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치 및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다.The anodic conversion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switch Q11 141, a second switch Q12 142, and a first capacitor C1 143. In this case,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one switch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 pole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battery.

음극 변환부(150)는 제3 스위치Q21(151), 제4 스위치Q22(152), 제2 캐패시터C2(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3 스위치의 일단과 제2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2 정류부와 연결되고, 제3 스위치의 타단이 제4 스위치 및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될 수 있다.The cathode switch 150 may include a third switch Q21 151, a fourth switch Q22 152 and a second capacitor C2 144. In this case, one end of the third switch and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switch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 pole of the fourth switch and the battery.

이 때, 1차 변압기, 2차 변압기, 3차 변압기, 제1 정류부, 제2 정류부, 양극 변환부, 음극 변환부 및 배터리를 연결하는 선로에는, 전송하는 전원의 평활화를 위한 인덕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2차 변압기와 제1 정류부 사이의 인덕터(L13, L14, L15), 3차 변압기와 제2 정류부 사이의 인덕터(L23, L24, L25), 제1 정류부와 양극 변환부 사이의 인덕터(L12), 제2 정류부와 음극 변환부 사이의 인덕터(L22), 양극 변환부 및 음극 변환부와 출력단 사이의 인덕터(L11, L21)가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ductor for smoothing the power to be transmitted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line connecting the primary transformer, the secondary transformer, the tertiary transformer, the first rectifying part, the second rectifying part, the anode converting part, the cathode converting part and the battery can d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inductors L13, L14 and L15 between the secondary transformer and the first rectifying section, inductors L23, L24 and L25 between the third transformer and the second rectifying section, There may be an inductor L12 between the positive polarity converting portions, an inductor L22 between the second rectifying portion and the negative polarity converting portion, and inductors L11 and L21 between the positive polarity converting portion and the negative polarity converting portion and the output terminal.

이는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과정 중에서 맥동 전류를 완전한 직류로 바꾸어 주기 위한 평활화의 기능을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평활 회로를 통하여, 전압이 바뀌는 맥류를 일정한 전압으로 바꾸어 주게 되는데, 높은 전압은 낮추어 주고 낮은 전압은 높여서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양극 변환부 및 음극 변환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캐패시터와 제2 캐패시터도 전압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평활화 작용을 하게 된다.
This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smoothing to convert the pulsating current to a complete DC during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alternating current (AC) to direct current (DC). Through the smoothing circuit, the pulsating voltage is changed to a constant voltage. The high voltage is lowered and the lower voltage is increased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Particularly,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cluded in the anode and cathode converters also perform a smoothing operation by maintaining the voltage.

이어, 배터리(160)는 양극 변환부 및 음극 변환부가 조절한 직류 전원을 충전하며, 양극 변환부의 일단과 음극 변환부의 일단이 각각 출력단으로 사용되어 ㅅ상기 출력단에 부하를 연결하고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단에서 배터리(VL)과 부하 저항(RL)이 병렬로 연결된다. The battery 160 is charged with a DC power regulated by the anode and cathode transformers. One end of the anode transformer and one end of the cathode transformer are used as output ends, respectively. have. At this time, the battery VL and the load resistor RL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output terminal.

배터리는 부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평소에는 충전한 직류 전원을 따로 사용하지 않으며, 부하 저항은 직류 전원 공급기를 통해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통한 직류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의 교류 3상 전원 공급이 중단 되는 경우, 즉 정전이 되는 경우, 직류 전원공급기의 배터리(160)에 저장된 충전 직류 전원이 부하에 공급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이 직류 전원공급기는 무정전 전원장치(UPS)로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battery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ad resistance, normally the charged DC power is not used separately, and the load resistance uses the DC power from the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ource through the DC power supply. However, when the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at is, when a power failure occurs, the charge D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160 of the DC power supply can be supplied to the load, It can be used as a power supply (UPS).

또한, 부하의 일단에 양극 다이오드D11(171), 타단에 음극 다이오드D21(172)를 직렬로 연결하여, 부하로부터의 역방향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 전원공급기에 연결되는 부하는 단순 소비 저항에 해당할 수 있지만, 자체 전원을 가지고 있는 전자 제품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전자 제품이 가지고 있는 자체 전원이 직류 전원공급기로 역전송 될 수 있는데, 양극 다이오드와 음극 다이오드를 통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 reverse current from the load can be prevented by connecting the anode diode D11 (171) at one end of the load and the cathode diode D21 (172) at the other end in series. For example, a load connected to a DC power supply may correspond to simple consumption resistance, but it may correspond to an electronic product that has its own power supply. In this case, the own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transferred back to the DC power supply, which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anode and cathode diodes.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직류 전원공급기
110: 변압기 T
111: 1차 변압기 T1
112: 2차 변압기 T2
113: 3차 변압기 T3
120: 제1 정류부
121: 정류 소자
130: 제2 정류부
140: 양극 변환부
141: 제1 스위치 Q11
142: 제2 스위치 Q12
143: 제1 캐패시터 C1
150: 음극 변환부
151: 제3 스위치 Q21
152: 제4 스위치 Q22
153: 제2 캐패시터 C2
160: 배터리 VL
170: 부하 RL
171: 양극 다이오드 D11
172: 음극 다이오드 D21
100: DC power supply
110: Transformer T
111: Primary transformer T1
112: Secondary transformer T2
113: 3rd order transformer T3
120: first rectification part
121: rectifying element
130: second rectifying part
140:
141: first switch Q11
142: second switch Q12
143: a first capacitor C1
150:
151: Third switch Q21
152: fourth switch Q22
153: second capacitor C2
160: Battery VL
170: load RL
171: anode diode D11
172: cathode diode D21

Claims (11)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고, 위상차를 갖는 제1 교류 전원과 제2 교류 전원으로 나누어 각각 제1 정류부와 제2 정류부로 전송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1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1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양극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1 정류부;
상기 변압기로부터 제2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제2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고 음극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2 정류부;
상기 제1 정류부로부터 제1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양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하는 양극 변환부;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제2 직류 전원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음극 값으로 조절하여 출력단에 전송하는 음극 변환부; 및
상기 양극 변환부 및 상기 음극 변환부가 조절한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A transformer supplied with an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ource and divided into a first AC power source having a phase difference and a second AC power source and transmitting the first AC power and the second AC power to the first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 rectifying unit, respectively;
A first rectifying unit receiving the first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rectifying the first DC pow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rectified AC power to the anodic conversion unit;
A second rectifying unit receiving the second AC power from the transformer, rectifying the second DC pow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cathode transformer;
A positive polarity converting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DC power from the first rectifying unit, adjusts the first DC power to a predetermined positive value, and transmits the first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 cathode converting unit receiving the second DC power from the second rectifying unit, adjusting the value to a predetermined cathode value, and transmitting the second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nd
A battery for charging the DC power regulated by the anode conversion unit and the cathode conversion unit;
A battery-power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외부의 교류 3상 전원을 공급받는 1차 변압기;
상기 1차 변압기와 Y-Y 결선되며, 상기 제1 정류부로 상기 제1 교류 전원을 전송하는 2차 변압기; 및
상기 1차 변압기와 Y-Δ 결선되며, 상기 제2 정류부로 상기 제2 교류 전원을 전송하는 3차 변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ormer comprises:
A primary transformer supplied with external three-phase AC power;
A secondary transformer YY-connected to the primary transformer and transmitting the first AC power to the first rectifier; And
A third-order transformer Y-delta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ormer and transmitting the second AC power to the second rectifier;
Wherein the battery-power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includ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원은,
상기 제2 교류 전원과 3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C power source
And the second AC power supply has a phase difference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변환부는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제1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제1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1 정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치 및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odic conversion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a second switch, and a first capacito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re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battery.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변환부는 제3 스위치, 제4 스위치,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일단과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일단이 제2 정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타단이 상기 제4 스위치 및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hode conversion unit includes a third switch, a fourth switch, and a second capacitor,
Wherein on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and one terminal of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to the second rectifying section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 and the battery.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상기 제1 정류부, 상기 제2 정류부, 상기 양극 변환부, 상기 음극 변환부 및 상기 배터리를 각각 연결하는 선로에, 전송하는 전원의 평활화를 위한 인덕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ductor for smooth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line connecting the transformer, the first rectifying unit, the second rectifying unit, the anodic converting unit, the cathode converting unit, and the battery, Coupl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류부 및 상기 제2 정류부는, 각각 3개의 정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ctifying unit and the second rectifying unit each include three rectifying element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소자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ifying element comprises two diodes. ≪ RTI ID = 0.0 > [0002]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변환부 및 상기 음극 변환부가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출력단에, 부하를 연결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 current power is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the direct current power is transmitted by the anodic conversion unit and the negative conversion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일단에 양극 다이오드를, 타단에 음극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부하로부터의 역방향 전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athode diode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other end of the load to prevent a reverse current from the loa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교류 3상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무정전 DC 전력공급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supplies the D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o the load when the external AC three-phas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KR1020150027086A 2015-02-26 2015-02-26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KR101705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86A KR101705524B1 (en) 2015-02-26 2015-02-26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86A KR101705524B1 (en) 2015-02-26 2015-02-26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86A true KR20160104286A (en) 2016-09-05
KR101705524B1 KR101705524B1 (en) 2017-02-13

Family

ID=5693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86A KR101705524B1 (en) 2015-02-26 2015-02-26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5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029A (en) * 1985-09-17 1987-03-27 富士電機株式会社 Rectifier for no-break power source
JPH09224376A (en) * 1996-02-16 1997-08-26 Hitachi Ltd Power conversion method and power converter
KR20070040132A (en)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퓨처웍스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10009539A (en) * 2009-07-22 2011-01-28 주식회사 윌링스 Advanced rectifier circuit and inverter having the rectifier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029A (en) * 1985-09-17 1987-03-27 富士電機株式会社 Rectifier for no-break power source
JPH09224376A (en) * 1996-02-16 1997-08-26 Hitachi Ltd Power conversion method and power converter
KR20070040132A (en)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퓨처웍스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10009539A (en) * 2009-07-22 2011-01-28 주식회사 윌링스 Advanced rectifier circuit and inverter having the rectifier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524B1 (en)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988B2 (en) Power management utilizing synchronous common coupling
US10608545B2 (en) Power management utilizing synchronous common coupling
US98317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RU2529017C2 (en) Three-phase high-power uninterrupted power supply
US6954366B2 (en) Multifunction hybrid intelligent universal transformer
de Seixas et al. A 12 kW three-phase low THD rectifier with high-frequency isolation and regulated DC output
JP6725758B2 (en) Power converter and three-phase power converter
EP3063854B1 (en) Power supply control
US20090244936A1 (en) Three-phase inverter
KR201700715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insic power factor correction
CN105052245B (en) Led drive circuit
JP2012143104A (en) Power conversion system
EP3661037A1 (en) Pulsed rectifier architecture
TWI462457B (en) Single-phase three-wire three-port power converter system
CN106170916A (en) There is the uninterrupted power source of balance buck/boost changer
KR101027988B1 (en) Serial type compensating rectifier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that
US6731525B2 (en) H-bridge electronic phase converter
KR101705524B1 (en) Battery-linked high efficiency uninterruptible DC power supply
KR101592227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dc bus imbalance of energy storage system
RU2156024C1 (en) Three-phase sine-voltage regulator with high- frequency section
CN111987919A (en) Power converter
KR102428668B1 (en) Single Stage 3 Level Converter
RU2419949C1 (en) Rectifying installation
Podnebennaya et al. Modeling of Power Supply for Welding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Lin et al. Implementation of the AC/AC converter based on neutral-point switch-clamped top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