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483A -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 - Google Patents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483A
KR20160103483A KR1020150042408A KR20150042408A KR20160103483A KR 20160103483 A KR20160103483 A KR 20160103483A KR 1020150042408 A KR1020150042408 A KR 1020150042408A KR 20150042408 A KR20150042408 A KR 20150042408A KR 20160103483 A KR20160103483 A KR 2016010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nic product
main body
fabric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진수
Original Assignee
용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진수 filed Critical 용진수
Publication of KR2016010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부착되는 필름에 있어서, 필름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 돌출된 돔부가 형성되어, 상기 돔부를 통해 전자제품 또는 상기 본체의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시각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 제조사의 마케팅 홍보용으로 활용 가능하고, 특히 본체에 입체 효과를 주는 3D 원단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특정 문양만을 확대 투영시켜, 일반 3D 원단과 다른 특별한 입체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FILM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부착되는 필름에 있어서, 필름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 돌출된 돔부가 형성되어, 상기 돔부를 통해 전자제품 또는 상기 본체의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되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시각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 제조사의 마케팅 홍보용으로 활용 가능하고, 특히 본체에 입체 효과를 주는 3D 원단이 부착되어 있더라도 특정 문양만을 확대 투영시켜, 일반 3D 원단과 다른 특별한 입체 디자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제품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써, 최근 이러한 전자제품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상 휴대하여 사용하고 다니는 현대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HD TV, 일체형 컴퓨터 등의 모든 전제자품은 기술 발달로 인하여, 그 기능이 다양화, 고차원화되고 있으며,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다운/업로드, 시청,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함에 따라 그 기능 및 사양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고급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각종 전자제품이 고급화됨에 따라 전자제품의 구매비용 역시 매우 고가로 형성되고, 동일한 종류의 전자제품들이 기능면에서 대동소이하므로, 소비자들에게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해선 디자인적인 차별화, 제조사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홍보, 마케팅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각종 전자제품 매장에서 전시, 판매되는 전자제품들은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닐류의 필름이 전자제품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필름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전자제품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제품 고유의 디자인을 있는 그대로 소비자들에게 보여주기 때문에, 별도의 디자인 강조 효과나, 제조사 또는 제품의 브랜드 등을 강조하는 마케팅 측면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와 같은 전자제품은 제품 보호를 위하여 보호 케이스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사용자들 개개인의 취향이나 미적 감각 등에 부합할 수 있도록 매우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 및 기능을 갖도록 출시되며, 대표적으로 후면 보호 케이스에 전면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커버타입 보호 케이스, 또는 전면 커버 없는 형태의 하드타입이나 젤리타입 보호 케이스가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배면에 상기와 같은 필름이 부착되어, 형상 자체의 독특한 디자인 또는 필름에 인쇄된 그림의 디자인 등을 달리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나아가 종래의 보호 케이스에 3D 입체 효과를 줄 수 있는 3D 필름이 부착되어 각종 영화 포스터 또는 패턴 등의 특정 문양 등을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등 보호 케이스의 디자인적인 측면이 다양한 각도로 발전,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전자제품의 후면을 전부 덮으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전자제품 고유의 특정 디자인을 강조할 수 있는 제품은 현재 출시되지 않고 있다.
즉, 개인 취향에 따라 보호 케이스의 독특한 디자인을 사용하면서도, 전자제품 제조사의 로고와 같은 특정 문양을 강조함으로써 브랜드 가치를 홍보할 수 있는 보호 케이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모든 보호 케이스는 일반 필름만이 부착되어 제작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디자인적 감각 또는 전자제품 고유의 디자인이나 브랜드를 부각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자제품 또는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 등에 부착될 수 있는 필름을 활용하여, 전자제품 고유의 디자인이나, 필름 자체의 디자인을 강조함으로써, 전자제품의 홍보 및 마켓팅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개인적인 디자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름 본체의 외관 디자인이나, 필름의 인쇄 디자인 등에 상관없이, 필름이 전자제품 자체 또는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 등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자제품 고유의 특정 문양을 강조하거나, 본체의 특정 문양을 강조함으로써, 전자제품의 브랜드 가치를 내세움과 동시에 독특한 디자인을 표출하여, 전자제품의 홍보, 마케팅 또는 개인의 개성 표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서 돌출 형성된 돔부를 통해 전자제품 또는 본체의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입체 효과를 부여하여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돔부를 이용해 3D 원단 인쇄층의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될 수 있도록 본체에 3D 원단이 부착되며, 상기 돔부가 상기 3D 원단의 특정 부위면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돔부의 접착층에 의해 입체 효과가 상쇄된 상태에서 전자제품 또는 3D 원단의 특정 문양을 다시 확대, 투영시킬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돔부를 통해 3D 원단 자체의 입체 효과를 배제함과 아울러, 돔부와 3D 원단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돔부의 외관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착층으로써 아크릴 계열의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며, 투명 에폭시 수지와, 투명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돔부를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전자제품에 부착되는 필름에 있어서,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서 돌출 형성된 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전자제품 또는 상기 본체의 특정 문양이 상기 돔부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서
상기 본체는 3D 원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돔부는 상기 3D 원단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돔부의 접착층에 의해 상기 3D 원단의 입체 효과가 상쇄되어, 상기 전자제품 또는 상기 3D 원단 인쇄층의 특정 문양이 상기 돔부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의 투명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서
상기 돔부는 투명 에폭시 수지와, 투명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필름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 돌출 형성된 돔부를 형성하여, 전자제품의 특정 문양 또는 필름 본체의 특정 문양이 돔부를 통해 확대, 투영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제품 자체 또는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에 부착되는 필름 자체의 형상이나 디자인 등에 상관없이 원하는 특정 문양을 강조함으로써, 전자제품의 디자인 강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 고유의 특정 문양을 확대, 투영함으로써, 필름 자체의 디자인과 별도로 전자제품 고유의 디자인 등을 강조하여 전자제품의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며, 전자제품의 종류, 형상 등에 상관없이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뛰어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3D 원단을 이용해 본체에 3D 입체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돔부의 접착층을 통해 돔부가 부착된 면의 3D 입체 효과가 상쇄된 상태에서, 전자제품 또는 3D 원단의 인쇄층의 특정 문양을 다시 확대, 투영시켜 강조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감각적이고 특별한 필름의 외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아크릴 계열의 투명 접착제를 이용해 돔부를 부착하고, 돔부를 투명 에폭시 수지와 투명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로 제작함으로써,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되는 기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돔부의 들뜸과 같은 접착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필름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후면에 부착하여 돔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바닥면에 내려놓게 되면, 돌출된 돔부로 인하여, 전자제품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거치되므로, 바닥면과 전자제품과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아 돔부 자체가 전자제품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전자제품의 화면 시야각을 확보해주는 거치대로써 기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제품 장착 전 사시도 및 전자제품 장착 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전자제품에 필름(10)가 장착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전, 후를 정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며, 설명에 따라 전방과 하측, 후방과 상측을 서로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장착될 수 있는 전자제품(M)은 TV, 카메라,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등 필름을 부착하여 판매,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모든 전자제품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제품으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돔부(11)를 통한 디자인 강조 효과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장착되는 보호케이스에 본 발명의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필름의 본질은 보호케이스 등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모든 면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문양의 확대 투영이 가능한 필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크게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부착되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돔부(11), 그리고 본체(10)의 후면에 3D 입체 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3D 원단(2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이 보호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보호케이스가 전자제품의 후면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이 부착된 보호케이스가 전자제품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본체(10)는 전자제품(M)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면과 같이, 전자제품의 후면에 장착되는 보호케이스의 일면에 부착되는 등 전자제품 자체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 한도에서 부착 사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필름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필름이 스마트폰용 보호 케이스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실시예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이 전자제품에 부착된다는 개념은 전자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전자제품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각종 별도부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며,
본 발명의 본체(10)가 본체가 장착되는 부위가 전자제품 자체의 일면인지, 또는 전자제품에 부수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 부재의 일면인지 등은 상관이 없으며, 다만 전자제품 자체의 형상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장착 가능한 형태이면 족하다.
이러한 본체(10)는 일반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본체 후면에는 각종 디자인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특정 부위면(1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돔부(11)를 도입하여, 돔부(11)가 덮은 부위의 특정 문양(D)이 확대, 투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난 판매자가가 원하는 디자인의 특정 문양을 3D 입체 효과와 유사한 형태로 강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10)의 특정 부위면(13)이란,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하고자 하는 각종 디자인의 특정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도면과 같이 스마트폰의 후면 케이스에 인쇄되어 있는 특정 로고를 지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의 후면에 인쇄된 특정 문양을 모두 포함한다.
즉, 본체(10)가 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상태에서 특정 부위면(13)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의 후면에 각종 디자인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특정 문양(D)은 전자제품(M) 자체에 인쇄되어 있는 특정 문양을 의미하며,
본체(10)가 투명, 불투명 합성수지에 상관없이, 특정 부위면(13)을 포함한 모든 부위의 후면에 각종 디자인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특정 문양(D)은 본체(10)의 일면에 인쇄되어 있는 특정 문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돔부(11)는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성형 시 제조 용이성을 감안하여, 돔부(11)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본체(10)의 특정 부위면(13)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돔부(11)는 본체(10)와 같이 투명의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본체(10)와 돔부(11)의 접면부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일반 합성수지용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접착층(12)을 통해 후술하는 3D 원단(20)의 입체 효과가 상쇄된 상태에서, 특정 문양(D)만이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 계열의 투명 접착제가 사용되고,
본체(10)와 돔부(11) 사이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돔부(11)는 투명 에폭시 수지와 투명 우레탄 수지가 혼합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3D 원단(20)을 부착하여 본체(10)가 3D 입체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3D 입체 효과를 위한 3D 원단(20)은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또는 렌셀(lencell) 방식으로 제작되어, 3D 원단(20) 인쇄층(22)에 인쇄되어 있는 특정 그림이나 문양을 사용자의 시야 각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거나(일종의 홀로그램), 입체 효과로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도 3의 하측 확대 단면도를 참고하여, 렌티큘러 방식의 3D 원단(20)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3D 원단(20)은 PET 등의 원단 시트(21)의 하면에 배경 그림 및 3D 그림의 인쇄층(22)이 인쇄되며, 원단 시트(21)의 상면에 초점거리 형성용 시트가 부착된 상태에서, 초점거리용 시트층(23) 상면에 다수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구비된 렌즈 시트(24)가 부착되어, 렌즈 시트(24)의 반구형 볼록렌즈들로 인한 빛의 굴절을 이용해 사람의 좌안과 우안으로 2중 인쇄된 3D 그림의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하여 3D 그림이 배경 그림에 대하여 거리감과 입체감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원단을 말하며,
상술한 렌티큘러 방식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일자형인데 반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렌셀 방식의 3D 원단은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렌티큘러 방식과 다르게 격자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성은 렌티큘러 방식과 대동소이하다.
이러한 렌티큘러 방식의 3D 원단 또는 렌셀 방식의 3D 원단의 구체 구성은 대표적으로 등록특허 제10-1324764호(2013.11.05.) "히든효과가 부여된 렌티뮬러 렌즈 시트"(렌티큘러 방식), 등록특허 제10-1271161호(2013.06.04.) "데코시트용 랜셀의 제조방법"(렌셀 방식) 등과 같이 공지된 기술로써, 그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3D 원단(20)이 본체(10)에 부착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돔부(11)는 상기 3D 원단(20)에 접착 고정되어, 상기 돔부(11)의 접착층(12)을 통해 돔부(11)가 접착된 3D 원단 접착면의 입체 효과를 상쇄시켜, 상기 전자제품(M)의 특정 문양 또는 상기 3D 원단(20) 인쇄층(22)의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되도록 한다.
즉, 3D 원단(20)의 상면에 돔부(11)가 접착되어 있는 경우, 접착층(22)이 접착된 부위의 3D 입체 효과를 사라지게 하여, 전자제품(M) 후면의 특정 문양이 3D 원단을 통과하여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되거나, 3D 원단(20)의 입체 효과가 사라진 특정 문양이 바로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에 부착된 3D 원단(20)의 입체 효과와 별도로, 전자제품(M) 또는 3D 원단(20)의 특정 문양만을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시킴으로써, 3D 원단(20) 자체의 입체 효과와 다른 입체 효과로 특정 문양을 표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돔부(11)는 특히, 본체(10)와 별도로 제작되어 판매될 경우, 특정 문양의 확대, 투영 효과를 사용자나 판매자가 원하는 부위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접착층(12)을 포함하는 돔부(11)를 필름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하게 되면,
먼저 필름이 3D 원단(20)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0)를 투명 재질로 제작할 경우, 사용자는 돔부(11)를 본체(10)의 원하는 부위에 자유롭게 부착하여 전자제품(M)의 특정 문양(D)을 강조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에 특정 디자인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돔부(11)를 본체(10)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여 본체(10)의 특정 문양(D)을 강조할 수 있으며,
필름이 3D 원단(20)을 포함하는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돔부(11)를 3D 원단(20)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여 3D 원단(20)의 특정 문양(D)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필름이 3D 원단(20)을 포함하는 경우, 3D 원단(20) 위에 돔부(11)를 부착하게 되면 접착층(12)에 의하여, 렌즈 시트(24)의 볼록렌즈들의 기능이 상실되어, 인쇄층(22)의 특정 문양(D)이 사라지거나 2D 형태로 구현(속칭 상(像)이 죽어버림.)되는데, 본 발명은 전자제품(M)의 특정 문양(D) 또는 2D 형태로 구현되는 3D 원단(20)의 특정 문양(D)을 돔부(11)를 통해 확대 투영시켜, 돔부(11) 둘레의 3D 입체 효과와 다른 거리감과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종래의 렌티큘러 방식 또는 렌셀 방식의 3D 원단의 표면에 물이나 이물질이 묻을 경우 3D 입체 효과가 반감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접착층(12)이 3D 입체 효과를 반감시키는 기능을 하여, 이로 인해 3D 원단(20)을 통과하는 전자제품(M) 자체의 특정 문양(D) 또는 2D로 구현되는 3D 원단(20)의 특정 문양(D)을 돔부(11)를 통해 다시 확대, 투영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특정 문양(D)을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돔부(11)를 통해 특정 문양(D)을 확대, 투영하게 되면, 돔부(11) 자체가 특정 문양(D)의 3D 입체 효과를 갖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사용자나 판매자는 자신만의 스타일대로 전자제품을 꾸미거나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M)의 자체 로고와 같은 특정 문양(D)을 강조할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M)의 브랜드 가치를 우선시하는 사용자 또는 판매자는 필름의 특정 디자인과 함께 전자제품(M) 고유의 디자인을 강조함으로써, 다자인적인 개성 표출과 함께 제조사의 홍보, 마켓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제품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의 실시예로써, 전자제품의 보호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는 필름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 케이스와 같은 전자제품의 별도 액세서리뿐만 아니라, 일반 보호 필름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특정 문양의 확대 투영이 가능한 필름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전자제품 D : 특정 문양
10 : 본체 11 : 돔부
12 : 접착층 13 : 특정 부위면
20 : 3D 원단 21 : 원단 시트
22 : 인쇄층 23 : 초점거리용 시트층
24 : 렌즈 시트

Claims (4)

  1. 전자제품에 부착되는 필름에 있어서,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특정 부위면에서 돌출 형성된 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전자제품 또는 상기 본체의 특정 문양이 상기 돔부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면에 3D 원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돔부는 상기 3D 원단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돔부의 접착층에 의해 상기 3D 원단의 입체 효과가 상쇄되어, 상기 전자제품 또는 상기 3D 원단 인쇄층의 특정 문양이 상기 돔부를 통해 확대,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의 투명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돔부는 투명 에폭시 수지와, 투명 우레탄 수지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150042408A 2015-02-24 2015-03-26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 KR20160103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34 2015-02-24
KR20150025734 2015-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83A true KR20160103483A (ko) 2016-09-01

Family

ID=5694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08A KR20160103483A (ko) 2015-02-24 2015-03-26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4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02858B (zh) 用于制造外壳的方法和包括外壳的电子设备
CN108459669B (zh) 具有卷绕式显示器的电子设备
TWI491959B (zh) 電子裝置以及其隱藏物體使物體不被看見的方法
WO2019129095A1 (zh) 一种后盖、壳体及电子设备
US20130280463A1 (en) Display protector for consumer products with customizable appearance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05866955A (zh) 智能眼镜
CN210706685U (zh) 光学薄膜及电子设备壳体
US20140355114A1 (en) Holographic Display Extension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70195001A1 (en) Switchable decor
US20130083395A1 (en) Screen Protector
CN103369074A (zh) 移动终端以及设置于其上的图像模块的制造方法
TW201629721A (zh) 面板總成及電子裝置
CN205826965U (zh) 智能眼镜
KR20160103483A (ko) 특정 문양이 확대 투영 가능한 필름
US20230111297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eof
KR20150091610A (ko) 착탈형 스마트폰 플립케이스
CN203063217U (zh) 平板电脑保护膜
CN205453977U (zh) 一种能自行启动裸眼的3d手机屏幕
US20190178464A1 (en) Backlit 3d lamp
CN205160663U (zh) 一种设置有立体标签的液晶电视
KR20130109455A (ko) 이동 단말기
KR101512184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KR102026090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 필름
CN201869238U (zh) 可容置图像的可携式通讯装置
KR20170089616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