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363A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363A
KR20160103363A KR1020150025760A KR20150025760A KR20160103363A KR 20160103363 A KR20160103363 A KR 20160103363A KR 1020150025760 A KR1020150025760 A KR 1020150025760A KR 20150025760 A KR20150025760 A KR 20150025760A KR 20160103363 A KR20160103363 A KR 2016010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iluted solution
dilution
beverage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6986B1 (en
Inventor
마사노부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2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86B1/en
Publication of KR2016010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27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one component, the amount of the other components(s) being dependent on tha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diluent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specifying a kind of undiluted solution to reduce the workload to a worker and preventing erroneous settings.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10) comprises: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supplying undiluted solution; and a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supplying dilution water for diluting the undiluted solutio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10) supplies beverage obtained by diluting the undiluted solution supplied from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with dilution water supplied from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10) comprises: a flow sensor (30b) measuring a flow amount of undiluted solution; a temperature sensor (30a)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undiluted solution; and a control device (20) specifies a kind of undiluted solution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flow amount of the undiluted solution, measured by the flow sensor (30b), and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DISPENSING APPARATUS}[0001]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시럽 등의 원액을 물이나 탄산수 등의 희석수로 희석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a beverage, such as syrup, diluted with diluted water such as water or carbonated water.

시럽 등의 원액을 희석수로 희석하여 판매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주스 등의 청량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디스펜서나 컵식(式) 자동 판매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A beverage dispenser or a cup-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which sells soft drinks such as juice is widely used as a beverage supply apparatus for diluting a stock solution such as syrup with dilution water and selling the beverage dispense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통상, 청량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디스펜서에서는, 원액으로서 시럽을 사용하고, 희석수로서 물 또는 탄산수를 사용한다. 각 시럽에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희석수 공급용 회로(희석수 공급 회로)와 달리, 시럽 공급용 회로(원액 공급 회로)는 판매하는 음료의 종류분만큼 필요하기 때문에, 예컨대 4종류의 시럽을 희석한 음료를 판매하는 장치에서는, 4개의 원액 공급 회로를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음료 디스펜서 내에서는, 각 원액 공급 회로에 대해, 예컨대 시럽 1∼4 회로라고 하는 구별이 편의상 이루어져 있고, 이 음료 디스펜서가 실제로 설치·사용 개시될 때, 시럽 1 회로가 예컨대 오렌지의 원액 공급 회로에 관련되게 되는 등, 각 원액 탱크를 각 원액 공급 회로의 배관에 접속하여 사용된다.Usually, in a beverage dispenser for selling soft drinks, syrup is used as a raw liquid and water or carbonated water is used as diluting water. Unlike the circuit for supplying diluted water (the diluted water supply circuit) which can be commonly used for each syrup, since the syrup supplying circuit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ing circuit) is required for the kinds of drinks to be sold, In a device for selling a beverage, four original liquid supply circuits are mounted. Therefore, in the beverage dispenser, for example, syrups 1 to 4 circuits are distinguished conveniently for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When the beverage dispenser is actually installed and started to be used, one syrup circuit is, for example, And is used by connecting the respective undiluted liquid tanks to the piping of each of the undiluted liquid supply circuits.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789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37896

통상, 상기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측에서는, 어떤 원액 공급 회로에 어떤 종류의 시럽의 원액 탱크를 접속하고 있는지는 판별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 구성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어떤 원액 공급 회로에 어떤 종류의 원액 탱크를 접속했는지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입력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컨대, 시럽 1 회로를 오렌지 원액 공급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사람손에 의해 설정하고, 이 설정 작업을 모든 종류의 원액에 대해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장치의 설치시나 메인터넌스시의 설정 작업의 부담이 크고, 오설정(誤設定)이 있었던 경우에는 판매 상품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최근에 와서는, 1대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 판매되는 시럽의 종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설치시의 작업 부담의 증가나 오설정시의 문제가 한층 현저해지고 있다.Normally, on the sid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can not be discriminated which kind of syrupy stock tank is connected to which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Therefor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of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worker manually inputs and sets what type of undiluted solution tank is connected to which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set the syrup 1 circuit to be used for supplying the orange stock solution by a human hand, and this sett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for all kinds of stock solutions.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may arise in the quality of the product to be sold if there is a burden on the set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or maintenance, and there is an erroneous setting (erroneous setting).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kinds of syrups sold in one beverage supply apparatus tend to increase, and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burden of work during installation and problems in erroneous setting become more conspicuous.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액의 종류를 장치측에서 특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오설정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apparatus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operator and prevent erroneous setting by specifying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on the apparatus side.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 공급 회로와, 상기 원액을 희석하는 희석수를 공급하는 희석수 공급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원액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원액을 상기 희석수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희석수로 희석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원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와, 상기 원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유량 센서로 측정되는 원액의 유량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되는 원액의 온도의 관계로부터, 상기 원액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liquid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a raw-fluid and a dilution-wat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dilution water for diluting the raw-fluid, wherein the raw-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stock solu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a flow rate of the stock solution measured by the flow sensor, And a control means for specifying the type of the stock solu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액의 온도와 유량을 측정하고, 그 관계를 취득함으로써, 원액 공급 회로에 접속된 원액의 종류를 장치측에서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치와 같이, 원액 공급 회로에 접속된 원액 종류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입력 설정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대폭 경감되며 입력 설정 시간도 단축되고, 또한 수동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of the stock solution and obtaining the relationship, the kind of the stock solution connected to th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 can be easily specified on the apparatus sid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input the kind of undiluted solution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a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and the burden on the operator is greatly reduced, the input setting time is shortened, .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원액 공급 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원액 공급 회로를 흐르는 원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면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상기 원액 공급 회로를 흐르는 원액을 냉각수로 냉각하는 냉각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냉각수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어도 좋다.And a cooling water tank for cooling the stock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 with cooling water.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cooling water tank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또한, 적어도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서 공급하는 음료에 이용되는 원액의 종류마다의 희석 설정을 기억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호출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희석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러면, 원액 공급 회로에 접속된 원액의 종류에 따른 개별 원액의 희석 설정에 대해서도 장치측에서 용이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원액 공급 회로에 접속된 원액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없고, 그 작업 부담이나 작업 시간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ilution setting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used in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drink supply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calls the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specific undiluted solution from the storage unit to set And the supply of the beverag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et dilution setting. Then, since the dilution setting of the individual stock solu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tock solution connected to th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 is also easily set on the apparatus sid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perform the dilu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stock solution type connected to th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 , The work load and the working time can be further reduced.

상기 희석 설정은 상기 희석수와 상기 원액의 희석 비율, 및 상기 희석수로서 탄산수를 이용하는 경우의 상기 음료의 탄산 강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The dilution setting may be any one or both of a dilution ratio of the diluted water and the stock solution, and a carbonate strength of the beverage in the case of using carbonated water as the dilution water.

상기 제어 수단으로 설정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그 원액의 종류명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면, 장치측에 의한 원액 종류의 특정 및 이에 대한 희석 설정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nd th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set by the control means together with the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can be easily confirmed by the operator on the side of specifying the undiluted solution type and the dilution setting therefor.

본 발명에 의하면, 원액 공급 회로에 접속된 원액의 종류를 장치측에서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대폭 경감되고 입력 설정에 요하는 시간도 단축되며, 또한 수동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nd of the stock solution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can be easily specified on the apparatus side. Therefore,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is greatly reduced, the time required for input setting is shortened, and erroneous setting by manual operat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 계통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원액의 종류마다 온도와 점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원액의 종류마다 유량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원액의 종류마다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특정된 원액 종류 및 설정된 희석 조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viscosity for each kind of the stock solution.
4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low rate and the viscosity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5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for each kind of the stock solu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of the specified undiluted solution type and the set dilution condi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에 대해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drink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는 시럽 등의 원액을 희석수에 의해 희석한 주스나 커피 등의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디스펜서이다. 본 발명은 음료 디스펜서 이외의 장치, 예컨대 컵식 자동 판매기에 적용해도 좋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everage dispenser that sells beverages such as juice or coffee in which a stock solution such as syrup is diluted by diluting wat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apparatus other than the beverage dispenser, for example, a cup-shaped vending machin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0)는, 원액을 컵(12)에 공급하는 복수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원액 공급 회로(14a∼14f)와, 원액을 희석하는 희석수를 컵(12)에 공급하는 희석수 공급 회로(16)와, 원액 공급 회로(14a∼14f) 및 희석수 공급 회로(16)의 도중에 개재하는 냉각 장치(18)와, 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제어 수단)(20)를 구비한다.1,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ncludes a plurality of (six in this embodiment) raw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for supplying a raw liquid to the cup 12, A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for supplying diluted water to the cup 12, a cooling device 18 interposed between the raw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Control means)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음료 공급 장치(10)는, 원액 공급 회로(14a∼14f)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로부터 공급되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원액과, 희석수 공급 회로(16)로부터 공급되는 희석수를 컵(12) 내에서 조합함으로써, 주스나 커피 등, 각종의 청량 음료를 판매할 수 있다. 원액에는 오렌지 시럽이나 멜론 시럽 등, 각종 주스용 시럽 등이 이용된다. 희석수에는 물이나 탄산수 등이 이용된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s configured to supply one or more kinds of stock solutions supplied from one or more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dilution water supplied from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to the cup 12 ), It is possible to sell various kinds of soft drinks such as juice and coffee. Syrups such as orange syrup, melon syrup, etc. for various juices are used as the raw liquid. Water or carbonated water is used for dilution water.

원액 공급 회로(14a∼14f)는 상류단의 접속구에 원액을 저류한 원액 탱크(22)가 접속되고, 하류단에 원액 노즐(24)이 접속된 배관(26)과, 배관(26)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코일(28) 및 밸브 장치(30)를 구비한다.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re provided with a pipe 26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tank 22 in which the undiluted solution is stored in the connection port at the upstream end and to which the undiluted solution nozzle 24 is connected at the downstream end, A cooling coil 28 and a valve device 30 installed therein.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는, 통상, 각각이 상이한 종류의 원액의 공급용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즉,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6종류의 원액을 판매에 이용하기 때문에, 6개의 원액 공급 회로(14a∼14f)를 병렬로 탑재하고 있다. 이들 원액 공급 회로(14a∼14f)는, 저류되어 있는 원액 종류가 상이한 원액 탱크(22)가 배관(26)에 접속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도 1에서는 1개의 원액 공급 회로(14a)만을 도시하고, 다른 원액 공급 회로(14b∼14f)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탑재 개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 이다.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normally functions to supply different kinds of undiluted solutions. That is,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six kinds of undiluted solutions are used for sales, And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re mounted in parallel. Since these source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that the stock tank 22 in which the source liquid different in storage type is stored is connected to the piping 26, only one source liquid supply circuit 14a And the illustration of the other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b to 14f is omit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of mountings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원액 탱크(22)는 내부에 오렌지 시럽이나 멜론 시럽과 같은 소정의 원액(농축액)을 저류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6종류의 원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액 탱크(22)는 그 내용물의 차이에 의해 6종류가 준비되며, 각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배관(26) 중 어느 하나의 접속구에 접속된다.The stock tank 22 stores a predetermined stock solution (concentrate) such as orange syrup or melon syrup therein. As described above, six kinds of undiluted solutions are used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six kinds of undiluted solution tanks 22 are prepar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their content, 14a to 14f, respectively.

원액 노즐(24)은 원액 탱크(22)로부터 배관(26)을 흘러, 냉각 코일(28) 및 밸브 장치(30)를 거친 원액을 컵(12) 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이다. The undiluted solution nozzle 24 i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undiluted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piping 26 from the undiluted solution tank 22 through the cooling coil 28 and the valve device 30 into the cup 12.

냉각 코일(28)은 배관(26) 내를 흐르는 원액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이며, 나선형의 배관에 의해 형성되고, 냉각 장치(18)의 냉각수조(32) 내에서 냉각수 속에 수몰되어 설치된다.The cooling coil 28 i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raw liquid flowing in the pipe 26 and is formed by a helical pipe and is submerged in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of the cooling device 18.

밸브 장치(30)는 온도 센서(30a), 유량 센서(30b) 및 전자 밸브(30c)를 일체 구조로 한 온도계·유량계를 갖는 밸브이며, 냉각 코일(28)과 원액 노즐(24) 사이에서 배관(26)에 연결되어 있다. 온도 센서(30a)는 원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고, 유량 센서(30b)는 원액의 유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전자 밸브(30c)는 제어 장치(20)의 제어하에 개폐되며, 원액 노즐(24)로부터 컵(12)에의 원액의 토출 제어를 행한다. 이들 온도 센서(30a), 유량 센서(30b) 및 전자 밸브(30c)는 각각이 별체(別體)의 구조여도 좋다. The valve device 30 is a valve having a thermometer and a flowmeter having a temperature sensor 30a, a flow sensor 30b and an electromagnetic valve 30c as an integrated structure, (Not shown). The temperature sensor 30a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and the flow rate sensor 30b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 solenoid valve 30c opens and clos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20 and performs ejection control of the undiluted solution from the undiluted solution nozzle 24 to the cup 12. [ Each of the temperature sensor 30a, the flow rate sensor 30b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30c may be a separate structure.

희석수 공급 회로(16)는 상류단의 접속구에 수도관이 물탱크를 통해 접속되고, 하류단에 희석수 노즐(34)이 접속된 배관(36)과, 배관(36)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 코일(38) 및 밸브 장치(40)를 구비한다.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includes a pipe 36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at an upstream end through a water tank and connected to a dilution water nozzle 34 at a downstream end thereof and a cooling coil 38 and a valve device 40.

희석수 공급 회로(16)는 희석수의 공급용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도 1에서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만을 도시하고 있고,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희석수 공급 회로(16)와 동일한 회로에, 탄산 가스 봄베와, 이 탄산 가스 봄베로부터의 탄산 가스를 물과 혼합하여 탄산수를 제조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카보네이터)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며, 희석수 공급 회로(16)와 병설된다. 또한, 희석수 공급 회로(16)의 도중에 탄산 가스 봄베와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치하고, 이 희석수 공급 회로(16)를 물과 탄산수의 공용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serves to supply diluted water. In Fig. 1, only a circuit for supplying water is illustrated, and a circuit for supplying carbonated water is not shown. The circuit for supplying the carbonated water includes, for example, a circuit similar to that of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shown in Fig. 1, in which a carbon dioxide gas bomb and carbonated water produced by mixing carbon dioxide gas from the carbon dioxide gas bomb with water to produce carbonated water (Car- bonator) is provided,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diluting water supply circuit 16. Further, a carbonic acid gas cylinder and a carbonated water produc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diluted water supply circuit 16, and the diluted water supply circuit 16 may be configured to use water and carbonated water in common.

희석수 노즐(34)은 물탱크로부터 배관(36)을 흘러, 냉각 코일(38) 및 밸브 장치(40)를 거친 희석수를 컵(12) 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이다.The dilution water nozzle 34 i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dilu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ing 36 from the water tank through the cooling coil 38 and the valve device 40 into the cup 12.

냉각 코일(38)은 배관(36) 내를 흐르는 희석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이며, 나선형의 배관에 의해 형성되고, 냉각 장치(18)의 냉각수조(32) 내에서 냉각수 속에 수몰되어 설치된다.The cooling coil 38 is a cooler for cooling the dilution water flowing in the pipe 36 and is formed by a spiral pipe and is submerged in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of the cooling device 18.

밸브 장치(40)는 유량 센서(40a) 및 전자 밸브(40b)를 일체 구조로 한 유량계를 갖는 밸브이며, 냉각 코일(38)과 희석수 노즐(34) 사이에서 배관(36)에 연결되어 있다. 유량 센서(40a)는 희석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전자 밸브(40b)는 제어 장치(20)의 제어하에 개폐되며, 희석수 노즐(34)로부터 컵(12)에의 희석수의 토출 제어를 행한다. 이들 유량 센서(40a) 및 전자 밸브(40b)는 각각이 별체의 구조여도 좋다.The valve device 40 is a valve having a flowmeter in which the flow sensor 40a and the solenoid valve 40b are integrated and is connected to the pipe 36 between the cooling coil 38 and the dilution water nozzle 34 . The flow rate sensor 40a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dilution water. The solenoid valve 40b opens and clos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20 and performs discharge control of diluted water from the diluting water nozzle 34 to the cup 12. [ Each of the flow sensor 40a and the solenoid valve 40b may have a separate structure.

냉각 장치(18)는 원액 공급 회로(14a∼14f)를 흐르는 원액, 및 희석수 공급 회로(16)를 흐르는 희석수를 냉각하기 위한 장치이다. 냉각 장치(18)는 냉각수를 저류한 냉각수조(32)와, 냉각수조(32) 내의 냉각수를 교반하는 교반 장치(42)를 구비한다.The cooling device 18 is a device for cooling the stock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raw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the dilution water flowing through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 The cooling device 18 includes a cooling water tank 32 in which cooling water is stored and a stirring device 42 that stirs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냉각수조(32)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냉동 사이클 장치의 냉각기(증발기)가 침지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가 운전되면, 냉각기 내를 흐르는 냉매의 증발열로 그 주위에 아이스 뱅크(얼음 덩어리)(44)가 생성되고, 이에 의해 냉각수가 소정 온도(예컨대, 0℃ 부근)로 유지된다. 냉각수조(32) 내에는, 또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46)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조(32)는 모든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냉각 코일(28) 및 희석수 공급 회로(16)의 냉각 코일(38)에 공용된다.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a cooler (evaporator) of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not shown) is immersed. When 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s operated, an ice bank (ice lump) 44 is generated around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ath by the evaporation heat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cooler, whereby the cooling water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round 0 ° C).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a temperature sensor 4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also provided. The cooling water tank 32 is shared by the cooling coil 28 of all the raw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the cooling coil 38 of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

교반 장치(42)는 냉각수조(32) 내의 냉각수를 적절히 교반함으로써, 냉각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원액이나 희석수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교반 장치(42)는 제어 장치(2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교반 모터(42a)와, 교반 모터(42a)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교반 날개(42b)를 구비한다. The stirring device 42 is for efficiently cooling the stock solution or the dilution water by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uniform by properly stirring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 The stirring device 42 includes a stirring motor 42a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20 and a stirring blade 42b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stirring motor 42a.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료 공급 장치(10)의 제어 계통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0)는 이 음료 공급 장치(10)를 통괄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2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매 제어부(20a)와, 원액 종류 특정부(20b)와, 희석 조건 설정부(20c)와, 기억부(20d)를 갖는다. 제어 장치(20)에는, 키보드나 숫자키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입력 수단)(50)와,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표시 수단)(52)가 접속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ncludes a control device 20 that performs overall drive control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2, the control device 20 has a sales control unit 20a, a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unit 20b, a dilution condition setting unit 20c, and a storage unit 20d. The control device 20 is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input means) 50 including a keyboard or a numeric key button and a display device (display means) 52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판매 제어부(20a)는 도시하지 않은 음료 선택 버튼으로부터의 상품 선택 신호인 판매 신호(54)를 수신하면, 원액 공급 회로(14a∼14f) 중 소정 회로의 전자 밸브(30c) 및 희석수 공급 회로(16)의 전자 밸브(40b)를 구동 제어하여, 음료의 제조·판매를 제어한다.When the sales control unit 20a receives the sales signal 54 as a commodity selection signal from a drink selection button (not shown), the solenoid valve 30c and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to control the manufacture and sale of beverages.

원액 종류 특정부(20b)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의 설치시나 메인터넌스시 등에,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원액 탱크(22)의 원액 종류(예컨대, 시럽의 명칭이나 상품 번호)를 특정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원액 종류 특정부(20b)는 온도 센서(30a)로 측정되는 원액의 온도와, 유량 센서(30b)로 측정되는 원액의 유량과의 관계를, 미리 기억부(20d)에 기억된 원액의 종류마다의 온도와 유량과의 상관 관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원액 탱크(22)의 원액 종류를 특정한다.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portion 20b is used to store the undiluted solution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tank 22 connected to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during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Number). The details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are su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and the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30b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section 20d And comparing the data with the correlation data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in the undiluted solution tank 22 connected to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is specified.

희석 조건 설정부(20c)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의 설치시나 메인터넌스시 등에,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서의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과 연동하여, 특정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원액 종류에 따라, 그 종류마다 희석 조건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원액 종류가 특정되면, 희석 조건 설정부(20c)는 미리 기억부(20d)에 기억된 원액의 종류마다의 희석 설정, 예컨대 원액의 희석 비율 및 제조하는 음료의 탄산 강도를 호출하고, 이것을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로부터 공급하는 원액의 희석 조건으로서 설정한다. 희석 비율이란, 원액의 종류마다 원액(시럽)과 희석수(물 또는 탄산수)의 희석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컨대 소정의 원액을 이용하는 경우, 그 원액 1에 대해 희석수 5의 비율로 희석한다고 하는 조건이다. 탄산 강도란, 원액마다 제조되는 음료(탄산 음료)의 탄산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예컨대 강(强)탄산, 미(微)탄산, 무(無)탄산 등과 같은 탄산수의 혼합 비율의 높음을 수 단계로 나타낸 것이다.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unit 20c sets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unit 20c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ope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in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unit 20b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drink supply apparatus 10, ), The dilution condition is set for each kind. Specifically, when the undiluted solution type of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is specified in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20c sets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20c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The dilution setting, for example, the dilution ratio of the undiluted solution and the carbonic acid strength of the beverage to be produced are called and set as the dilution condi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ied from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The dilution ratio indicates the dilution ratio of the stock solution (syrup) and diluted water (water or carbonated water) for each kind of the stock solution.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stock solution is used, a dilution ratio of 5 to be. The carbonic acid strength refers to the strength of the carbonic acid of the beverage (carbonated beverage) to be produced per raw solution. The carbonic acid strength means a high mixing ratio of carbonated water such as, for example, strong carbonic acid, Respectively.

기억부(20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액의 종류마다의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 데이터와, 원액의 종류마다의 희석 설정을 기억한 메모리이며,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서 특정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원액 종류나, 희석 조건 설정부(20c)에서 설정된 원액의 종류마다의 희석 조건도 기억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unit 20d is a memory that stores correlation data of temperature and flow rate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and dilution setting for each kind of undiluted solution, The undiluted conditions of the undiluted solutions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the kinds of the undiluted solutions set in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20c are also stored.

여기서,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 의한 원액 종류의 특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Here, an example of a method of specifying a stock solution type by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원액의 종류마다 온도와 점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원액의 종류마다 유량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는 원액의 종류마다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예로서 3종류의 원액 A, B, C에 대한 상관 관계를 병기하고 있다.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viscosity for each kind of raw liquid,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flow rate and viscosity for each kind of raw liquid. 5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for each kind of the raw liquid. In Figs. 3 to 5, for example, th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three kinds of stock solutions A, B, and C is described.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원액은 온도(℃)와 점도(Pa·s)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는 원액의 종류마다 상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원액은 당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온에서 점도가 높아지고, 고온에서 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원액의 유량(㎖/s)에 대해서도, 그 흐르는 배관 회로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도와의 사이에서 상관 관계가 있으며, 이 관계는 원액의 종류마다 상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re is usually a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占 폚) and the viscosity (Pa 占 퐏) of the undiluted solution, and this relationship differ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Generally, since the undiluted solution contains sugar, the viscosity tends to be high at low temperature and low at high temperature. Also, regarding the flow rate (ml / s)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low rate and the viscosity as shown in Fig. 4 when the flowing piping circuit is specified, .

이와 같이, 원액은 그 종류마다, 온도와 점도 사이, 유량과 점도 사이에 각각 상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액의 온도와 유량 사이에도 종류마다 상관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의 이용 대상이 되는 각 종류의 원액의 각각에 대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의 데이터를 미리 실험 등에 의해 취득하고, 이 상관 관계 데이터를 기억부(20d)에 기억해 둔다. 이에 의해, 원액 종류 특정부(20b)는 온도 센서(30a) 및 유량 센서(30b)로 측정되는 원액의 온도와 유량의 관계를, 기억부(20d)에 기억된 원액의 종류마다의 상관 관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원액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한편, 기억부(20d)에 기억되는 원액의 종류마다의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래프 이외에, 예컨대 수식 데이터나 테이블 데이터여도 좋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viscosity, and between the flow rate and the viscosity for each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as shown in Fig. 5, correlation can be found for each kind also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 Therefore, the data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as shown in Fig. 5 are acquired in advance by experiments or the like for each of the respective kinds of the stock solutions to be used at leas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The relationship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d. Thereby,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st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and the flow rate sensor 30b as correlation data for each type of undiluted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The kind of the stock solution can be specified.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data of the temperature and the flow rate for each kind of stock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may be, for example, mathematical formula data or table data in addition to the graph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음료 공급 장치(10)에서의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 및 특정한 원액 종류에 따른 희석 조건의 설정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pecific ope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an example of a dilution condition set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undiluted solution type will be described.

예컨대, 음료 공급 장치(10)를 그 사용 장소에 새로 설치할 때에는, 희석수 공급 회로(16)에 물탱크를 통해 수도관을 접속하고, 6개의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각각 상이한 종류의 원액이 들어간 원액 탱크(22)를 접속한다. 이때,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각 기기, 특히 유량 센서(30b)에 대해 제품마다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설치시에 유량 조정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s newly installed in the place where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s to be used, a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16 through a water tank, and six raw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are supplied with different kinds of raw liquids Liquid tank 22 containing the liquid. At this tim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fluctuations often occur for each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particularly, the flow rate sensor 30b for each product, .

이 유량 조정은, 원액을 원액 노즐(24)로부터 일정 시간 토출했을 때의 양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과 유량 센서(30b)에 의한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행해진다. 예컨대, 유량 센서(30b)가 원액 1 ㎖당 1펄스를 출력하는 설정의 경우, 유량 센서(30b)로부터 50펄스 출력이 있었을 때에는, 원액이 50 ㎖ 토출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실제로 토출된 양이 45 ㎖였던 경우에는, 1펄스당 유량이 0.1 ㎖ 낮게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오차분의 값(보정값)을 입력 장치(50)로부터 제어 장치(20)에 대해 입력·설정하고, 유량 센서(30b)로부터의 출력값에 기초한 유량의 계산식을 교정한다. 이에 의해, 각 유량 센서(30b)에서의 유량 측정 정밀도를 높여, 유량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This flow rate adjustmen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the raw liquid discharged from the undiluted liquid nozzle 24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with the measured value by the flow rate sensor 30b.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sensor 30b is set to output one pulse per 1 ml of the undiluted solution, when the 50-pulse output from the flow rate sensor 30b is present, 50 ml of the undiluted solution must be discharged, Ml, it is found that the flow rate per one pulse is lowered by 0.1 ml. Therefore, the value (correction value) for this error is input and set from the input device 50 to the control device 20, and the calculation formula of the flow rate based on the output value from the flow rate sensor 30b is corrected. Thereb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ow measurement accuracy in each flow rate sensor 30b and suppress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이 유량 조정시에, 제어 장치(20)가 상기한 보정값을 사용하여 원액의 고정밀도의 유량을 계산하고, 동시에 온도 센서(30a)에 의해 원액의 온도가 측정·취득된다. 그래서, 원액 종류 특정부(20b)는 측정된 유량과 온도의 상관 관계를, 기억부(20d)에 기억된 원액의 종류마다의 상관 관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원액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원액 종류를 원액 공급 회로(14a∼14f)와 관련시켜 기억부(20d)에 기억한다. 예컨대, 온도 5℃에서 유량 10 ㎖/s의 원액은 오렌지 시럽이라고 하는 것처럼 특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유량 조정시의 유량 센서(30b)의 측정값이 적정값이고, 보정값의 입력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유량 센서(30b)의 측정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원액 종류를 특정하면 된다.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the time of this flow rate adjustment, the control device 20 calculates the high-precision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value,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is measured and acquired. Thus,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specifies the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flow rate and temperature with the correlation data for each type of undiluted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The kind is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in association with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For example, a stock solution having a flow rate of 10 ml / s at a temperature of 5 캜 is designated as orange syrup.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30b at the tim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is an appropriate value and the input of the correction value is not required, the measured value of the flow rate sensor 30b may be used as it is to specify the undiluted solution type.

이때, 예컨대 원액 온도를 복수 점에서 측정하고, 그때의 유량도 각 온도에서 측정하여, 원액의 온도와 유량의 상관 관계를 복수 점에서 측정해도 좋다. 그러면, 보다 정확한 온도와 점도의 상관 관계를 얻을 수 있고, 원액 종류를 보다 고정밀도로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점의 데이터 취득은, 예컨대 냉각 장치(18)에 의한 냉각수의 냉각 개시 직후로부터 원하는 냉각 온도로 안정되기까지의 사이에서의 온도 변화시에 행하면,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의 설치 준비 작업과 동시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may be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the flow rate at that time may also be measured at each tempera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and the flow rate may be measured at a plurality of points. Then, a more accurat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viscosity can be obtained, and the undiluted solution type can be more accurately specified. The data acquisition at the plurality of points is performed,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change from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by the cooling device 18 to stabilization at a desired cooling temperature, Can be easily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상기한 원액 종류의 특정이 완료되면, 계속해서, 희석 조건 설정부(20c)에 의한 희석 조건의 설정이 행해진다. 희석 조건 설정부(20c)에서는,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대해 특정된 원액 종류에 따라, 기억부(20d)로부터 희석 비율 및 탄산 강도의 희석 설정을 호출하고, 그 희석 설정을 원액 공급 회로(14a∼14f)와 관련시켜 기억부(20d)에 기억한다. 예컨대, 원액 공급 회로(14a∼14f)를 각각 시럽 1∼6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면, 시럽 1[원액 공급 회로(14a)]에 접속된 원액 종류가 오렌지일 때에는, 그 희석 비율(원액:희석수)은 1:5이고, 그 탄산 강도는 강탄산인 것이 설정되며, 그 결과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52)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실제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원액 종류와 그 희석 설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원액의 특성이 유사하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표시 장치(52)에 표시된 원액의 종류가 틀린 경우에는, 작업자가 입력 장치(50)에 의해 직접적으로 원액의 종류를 정정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장치(50)와 표시 장치(52)가 일체형으로 된 핸디 타입의 설정 입력 장치(56)를 이용하고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is completed,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20c sets the dilution condition.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unit 20c calls the dilution ratio and the carbonate strength dilution setting from the storage unit 20d according to the stock solution type specified for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re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0d in association with the supply circuits 14a to 14f. For example, supposing that the raw liquid supply circuits 14a to 14f are respectively called syrups 1 to 6, when the raw liquid type connected to the syrup 1 (raw liquid supply circuit 14a) is orange, the dilution ratio (raw liquid: diluted water) Is 1: 5, its carbonic acid strength is strong carbonic acid, and the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52 as shown in Fig. Thereby, the worker can easily confirm the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actu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nd the dilution setting thereof. At this time, when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52 is different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iluted solution,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directly correct the type of undiluted solution by the input device 50 .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in the present embodiment, a handy type setting input device 56 in which the input device 50 and the display device 52 are integrated is used.

따라서,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서 특정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의 원액 종류와, 희석 조건 설정부(20c)에서 설정된 희석 조건이 제어 장치(20)에 의해 설정되기 때문에, 그 설치 작업시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입력하는 작업을 가급적으로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설정된 원액 종류와 희석 조건을 이용하여, 판매 제어부(20a)가 각 판매 신호(54)에 기초한 음료의 제조·판매를 행함으로써, 선택된 음료를 정해진 희석 조건으로 정확히 제조하여, 판매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the undiluted solution type of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ing circuits 14a to 14f specified in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portion 20b and the dilution condition set in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portion 20c are supplied to the controller 2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operations directly inputted by the operator at the time of the installation work as much as possible. Then, by using the set undiluted solution type and dilution conditions, the sales control section 20a manufactures and sells beverages based on the respective sales signals 54, so that the selected beverages can be accurately manufactured under predetermined dilution conditions, have.

상기한 유량 조정은, 설치시 외에, 원액 종류를 변경하는 플레이버 체인지(flavor change)시 등에도 실행되기 때문에, 그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원액 종류의 특정과, 그 희석 조건의 설정을 기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단, 원액의 변경이 없는 정기적인 메인터넌스시에도 확인을 위한 유량 조정을 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때의 유량 조정시에는 원액의 변경이 없기 때문에,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은 행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 및 희석 조건의 설정 동작은, 유량 조정시와 계속해서 행하는 제어 모드 뿐만 아니라, 예컨대 입력 장치(50)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는 개별 제어 모드(원액 설정 모드)로서 기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 의한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과, 희석 조건 설정부(20c)에 의한 희석 조건의 설정 동작은, 상기한 유량 조정시 이외에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Since the above-described flow rate adjustment is also performed at the time of flavor change such as changing the type of undiluted solution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mechanically set the specific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and the dilution condition as described above have. However,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flow rate adjustment for confirmation is carried out even at the time of regular maintenance without change of the undiluted solution, but there is no change of the undiluted solution at the time of adjusting the flow rate at this time. Thus,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specific operation and the dilution condi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is started not only in the control mode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but also as the individual control mode (undiluted solution setting mode)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50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on of specifying the undiluted solution type by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section 20b and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dilution conditions by the dil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20c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flow rate adjustment described above.

상기한 원액 종류 특정부(20b)에 의한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에서는, 사용하는 원액 온도로서,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설치한 온도 센서(30a)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한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온도 센서(30a)에 의한 측정값을 대신하여, 냉각수조(32) 내에 설치한 온도 센서(46)에 의해 측정한 냉각수 온도의 측정값을 사용하여, 원액 종류의 특정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냉각수조(32) 내의 냉각수 온도는 온도 센서(30a)로 측정되는 원액 온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온도 센서(30a)를 생략하여 비용을 저감하고, 통상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조(32) 내의 온도 센서(46)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원액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by the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portion 20b, a value directly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provided in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is used as the undiluted solution temperature Respectively. Even when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type is performed us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6 provided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instead of the measured value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good. This is because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in the cooling water tank 3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w liqui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This makes it possible to omit the temperature sensor 30a to reduce the cost and to specify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by effectively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46 in the normally installed cooling water tank 32. [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에 의하면, 원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30b)와, 원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30a(46)]와, 유량 센서(30b)로 측정되는 원액의 유량과 온도 센서[30a(46)]로 측정되는 원액의 온도의 관계로부터, 원액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어 장치(2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어떤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어떤 종류의 원액 탱크(22)를 접속했는지의 여부를 장치측에서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치와 같이,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원액 종류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입력 설정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대폭 경감되며 입력 설정 시간도 단축되고, 또한 수동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rate sensor 30b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 temperature sensor 30a (46)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30b)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0a (46), the control device 20 for specifying the kind of the stock solution. Therefor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t is possible to easily specify, on the apparatus side, which kind of undiluted solution tank 22 is connected to whi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input the kind of undiluted solution connected to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pparatus, and the workload of the operator is greatly reduced and the input setting time is shorten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erroneous setting by manual operation.

또한, 적어도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 공급하는 음료에 이용되는 원액의 종류마다 희석 설정을 기억한 기억부(20d)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20)는 특정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기억부(20d)로부터 호출하여 설정하며, 이 설정한 희석 설정에 기초하여 음료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각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접속된 원액의 종류에 따른 개별 원액의 희석 설정에 대해서도 장치측에서 용이하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원액 공급 회로(14a∼14f)에 대해, 그것에 접속된 원액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없고, 그 작업 부담이나 작업 시간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희석 설정으로서는, 희석수와 원액의 희석 비율, 및 희석수로서 탄산수를 이용하는 경우의 음료의 탄산 강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The control unit 20 also includes a storage unit 20d storing at least a dilution setting for each kind of stock solution used in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The control unit 20 sets a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From the storage unit 20d, and supplies the beverage based on the set dilution setting. Thus, the dilution setting of the individual stock solutions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stock solution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is also easily set on the apparatus side. Therefore, for each of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s 14a to 14f,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set the dilu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undiluted solution type, and the burden of the operation and the working time can be further reduced. In this case, the dilution setting may include either or both of the dilution water and the dilution ratio of the undiluted solution, and the carbonation strength of the beverage when carbonated water is used as dilution water.

상기 음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제어 장치(20)에 의해 설정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그 원액의 종류명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 장치(52)를 구비하기 때문에, 장치측에 의한 원액 종류의 특정 및 희석 조건의 설정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beverage supply device 10 includes the display device 52 for displaying the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the undiluted solution set by the control device 20 together with the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 operator can easily confirm the setting of the specific and dilution conditions.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freely chang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료 공급 장치 12: 컵
14a∼14f: 원액 공급 회로 16: 희석수 공급 회로
18: 냉각 장치 20: 제어 장치
20a: 판매 제어부 20b: 원액 종류 특정부
20c: 희석 조건 설정부 20d: 기억부
22: 원액 탱크 24: 원액 노즐
26, 36: 배관 28, 38: 냉각 코일
30, 40: 밸브 장치 30a, 46: 온도 센서
30b, 40a: 유량 센서 30c, 40b: 전자 밸브
32: 냉각수조 42: 교반 장치
50: 입력 장치 52: 표시 장치
10: Beverage dispenser 12: Cup
14a to 14f: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16:
18: cooling device 20: control device
20a: sales control unit 20b: undiluted solution type specifying unit
20c: Dilution condition setting unit 20d:
22: undiluted solution tank 24: undiluted solution nozzle
26, 36: piping 28, 38: cooling coil
30, 40: valve device 30a, 46: temperature sensor
30b, 40a: Flow rate sensors 30c, 40b:
32: cooling water tank 42: stirring device
50: input device 52: display device

Claims (6)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 공급 회로와, 상기 원액을 희석하는 희석수를 공급하는 희석수 공급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원액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원액을 상기 희석수 공급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희석수로 희석한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와,
상기 원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유량 센서로 측정되는 원액의 유량과 상기 온도 센서로 측정되는 원액의 온도의 관계로부터, 상기 원액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nd a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dilution water for diluting the stock solution, wherein the diluted water supplied from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is diluted with dilution water supplied from the dilution water supply circuit A beverage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a beverage,
A flow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stock solu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rate of the stock solution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ock sol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원액 공급 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원액 공급 회로를 흐르는 원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undiluted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undiluted solution supply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 공급 회로를 흐르는 원액을 냉각수로 냉각하는 냉각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냉각수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water tank for cooling the stock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stock solution supply circuit with cooling water,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tank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서 공급하는 음료에 이용되는 원액의 종류마다의 희석 설정을 기억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상기 기억부로부터 호출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희석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음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section that stores a dilution setting for each kind of stock solution used in a drink supplied from at least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rein the control means calls and sets a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kind of the undiluted liquid from the storage unit and supplies the drink based on the set dilution set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 설정은 상기 희석수와 상기 원액의 희석 비율, 및 상기 희석수로서 탄산수를 이용하는 경우의 상기 음료의 탄산 강도 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The beverage supply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lution setting includes one or both of a dilution ratio of the diluted water and the stock solution, and a carbonate strength of the beverage in the case of using carbonated water as the dilution water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으로 설정된 원액의 종류에 따른 희석 설정을 그 원액의 종류명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dilution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undiluted solution set by said control means together with the type of the undiluted solution.
KR1020150025760A 2015-02-24 2015-02-24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101656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60A KR101656986B1 (en) 2015-02-24 2015-02-24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760A KR101656986B1 (en) 2015-02-24 2015-02-24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363A true KR20160103363A (en) 2016-09-01
KR101656986B1 KR101656986B1 (en) 2016-09-12

Family

ID=5694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760A KR101656986B1 (en) 2015-02-24 2015-02-24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010A (en) * 2016-12-21 2019-07-31 더 코카콜라 컴파니 Beverage dispenser for dispensing low solubility components
GB2582949A (en) * 2019-04-10 2020-10-14 Marco Beverage Systems Ltd A beverage dispens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798A (en) * 2001-10-10 2003-04-18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er
JP2003237896A (en) 2002-02-13 2003-08-27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ing apparatus
JP2011031917A (en) * 2009-07-31 2011-02-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Beverage dispenser
JP4915364B2 (en) * 2008-02-22 2012-04-1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Beverage sales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798A (en) * 2001-10-10 2003-04-18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er
JP2003237896A (en) 2002-02-13 2003-08-27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feeding apparatus
JP4915364B2 (en) * 2008-02-22 2012-04-1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Beverage sales equipment
JP2011031917A (en) * 2009-07-31 2011-02-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Beverage dispen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010A (en) * 2016-12-21 2019-07-31 더 코카콜라 컴파니 Beverage dispenser for dispensing low solubility components
GB2582949A (en) * 2019-04-10 2020-10-14 Marco Beverage Systems Ltd A beverage dispens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986B1 (en)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8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micro-ingredient dispensing functionality into a macro-ingredient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5537914A (en) Beverage blending and proportioning
US57066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sistency and quality of a frozen carbonated beverage product
US8424725B2 (en) Beverage proportioning
US5068116A (en) Method for beverage blending and proportioning
US8087544B2 (en) System for mixing beverage components in a predetermined ratio
US10526186B2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US10793414B2 (en) Beverage supply device
WO2010017280A1 (en) Blending system
KR101656986B1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5314703A (en) Method for beverage blending in proportioning
US6574575B2 (en) Method for rapid calibration of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20220371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tering, mixing, and dispensing liquids, including alcoholic and nonalcoholic beverages
JP6094435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5034592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US2017004217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rozen beverages
CN105982555A (en) Beverage feeding device
US338626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reconstituted beer
JP2003237896A (en) Beverage feeding apparatus
JP4379154B2 (en) Liquid mixing device
US20200288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rix while filling frozen carbonated beverage systems
JP4483081B2 (en) Beverage dispenser control device
DK1724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lend, preferably ice cream
JP20023626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