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399A -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399A
KR20160102399A KR1020167013732A KR20167013732A KR20160102399A KR 20160102399 A KR20160102399 A KR 20160102399A KR 1020167013732 A KR1020167013732 A KR 1020167013732A KR 20167013732 A KR20167013732 A KR 20167013732A KR 20160102399 A KR20160102399 A KR 2016010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ion secondary
bind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3287B1 (en
Inventor
유스케 아다치
겐야 소노베
Original Assignee
제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0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및 물을 포함하고, 수상 및 고상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로서, 상기 가교제 (A) 는,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고,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의 비율,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 및 상기 표면 산량/상기 수상 중의 산량이 소정 범위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rosslinking agent (A), a particulate binder (B) and water, and having an aqueous phase and a solid phase,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reacts with a carboxylic acid, (B) contain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wherein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total solid mass of the binder composition, the total solid mass of the binder composition Wherein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and the amount of the surface acid /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소형이고 경량,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또한 반복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어, 폭넓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는, 고온에서의 사용 조건에 있어서도 높은 사이클 특성 등의 성능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이차 전지의 추가적인 고성능화를 목적으로 해, 전극 등의 전지 부재의 개량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극 활물질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슬러리 조성물에, 활물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증점제, 및 입자상 결착제에 추가로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전지 사용 시의 전극 활물질층의 팽창을 억제하는 등의 작용에 의해 전지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2). 가교제는, 통상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한 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가교 반응을 일으켜, 입자상 결착제의 입자 사이 등에 있어서 가교를 형성해, 이러한 작용을 발휘한다.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re small and light in weight, have high energy density, and are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re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re required to have high cycle performance and other performance under high temperature service conditions. In recent years, improvement of battery members such as electrodes has been studied for the purpose of furthe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secondary batteries. For example, by adding a crosslinking agent to a slurry composition used for form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o an active material, a water-soluble thickener such as carboxymethyl cellulose and a particulate binder,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2). The cross-linking agent generally causes a cross-linking reaction in the drying step after the slurry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to form a cross-link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and the like, and exhibits such action.

또, 이러한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의 편의를 위하여, 입자상 결착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미리 조제하고, 이것을 슬러리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생각된다.For the convenience of preparation of such a slurry composition, it is conceivable to prepare a slurry composition by previously preparing a binder composition containing a particulate binder and a cross-linking agent, and mixing the slurry composition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slurry composition.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3461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34618 국제 공개 제2010/114119호 (대응 외국 공보 :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2/095131호 명세서)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0/114119 (corresponding foreign publicatio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095131)

그러나, 가교제는, 경우에 따라서는 많이 첨가해도 효과가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교제의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대량으로 가교제를 첨가하면, 전극 활물질층이 집전체에 부착되는 강도 (필 강도) 가 오히려 저하해, 고온 사이클 특성과 같은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some cases, the crosslinking agent may not be effective even when added in a large amount. In such a case, if a large amount of a crosslinking agent is added in order to exhibit the effect of the crosslinking agent, the strength (peel strength) in whic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dheres to the current collector is rather lowered and a desired effect such as high- .

또한, 가교제와 입자상 결착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은, 조제 후 사용까지의 저장 기간 중에 열화하여, 원하는 성능을 발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조정 후의 저장 기간에 있어서, 원하지 않게 가교가 진행되고, 점도가 상승하고, 가교제의 반응성이 저하하는 등의 현상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 bind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particulate binder deteriorates during the storage period until use after the preparation, and the desired performance may not be exhibited in some cases. For example, in a storage period after the adjustment, there is a case where undesirable crosslinking progresses, the viscosity increases, and the reactivity of the crosslinking agent decreases.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안정성이 높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에 높은 필 강도를 부여할 수 있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has high storage stability, can impart a high peak strength to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can impart a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필 강도가 높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easily produced and has high peel strength, and which can impart a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필 강도가 높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method capable of easily produc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arting a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easily produced and which has high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바인더 조성물 중의 입자상 결착제의 표면 산량의 비율과, 바인더 조성물의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을, 소정 범위로 함으로써, 가교제의 작용을 양호하게 발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이러한 지견에 근거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1〕∼〔10〕이 제공된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crosslinking agent can be excellently expressed by sett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in the binder composition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of the binder com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1] to [10] are provided.

〔1〕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및 물을 포함하고, 수상 및 고상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로서, [1]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rosslinking agent (A), a particulate binder (B) and water, and having an aqueous phase and a solid phase,

상기 가교제 (A) 는,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고, 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reacts with a carboxylic acid,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하이고,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total mass of solids of the binder composition is not less than 0.01 mmol / g and not more than 1.0 mmol / g,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고,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to the total mass of solids in the binder composition is 0.01 mmol / g to 1.0 mmol / g,

상기 표면 산량의 비율의 값을, 상기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의 값으로 나눈 값이, 1.0 이상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Wherei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by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is 1.0 or more.

〔2〕상기 입자상 결착제 (B) 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1〕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2]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cell according to [1], wherein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s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0.1% by mass or more and 30% by mass or less.

〔3〕상기 입자상 결착제 (B) 가, 추가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1〕또는〔2〕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3] Th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particulate binder (B) further contain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in a proportion of 0.1 mass% Binder composition.

〔4〕상기 가교제 (A) 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및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1〕∼〔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4]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s, oxazoline compounds and carbodiimide compounds A binder composition for a battery.

〔5〕상기 입자상 결착제 (B) 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는,〔1〕∼〔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5]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articulate binder (B) further contain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6〕상기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가교제 (A) 의 양이, 0.0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인,〔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6]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0.001 parts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Binder composition.

〔7〕〔1〕∼〔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전극 활물질, 및 수용성 증점제 (C) 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7]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water-soluble thickener (C).

〔8〕상기 수용성 증점제 (C) 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7〕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8]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8], wherein the water-soluble thickening agent (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ethylmethylcellulose, polyvinylalcohol, polycarboxylic acid,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7], wherein the slurry composition is one kind.

〔9〕〔7〕또는〔8〕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9]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7] or [8] onto a collector and drying to form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10〕정극(正極)과, 부극(負極)과, 전해액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10]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상기 정극, 상기 부극, 또는 이들 양방이,〔9〕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9],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both of them are electrodes produc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저장 안정성이 높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에 높은 필 강도를 부여할 수 있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storage stability and can impart a high peak strength to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reby imparting a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필 강도가 높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duced and has high peel strength, so that a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can be imparted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전극의 제조 방법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필 강도가 높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method for produc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and has high peel strength and can give a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duced and has high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도 1 은, 본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 측정에 있어서의, 첨가한 염산의 누계량 (m㏖) 과 전기 전도도 (mS) 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amount (m mol) of the added hydrochloric acid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mS) in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FIG.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해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can be arbitrari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s thereof.

〔1.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One.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및 물을 포함한다.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osslinking agent (A), a particulate binder (B), and water.

〔1.1. 가교제 (A)〕1.1. Crosslinking agent (A)]

가교제 (A) 는, 바인더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입자상 결착제 (B) 와 공존하고,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할 때에, 가열 등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입자상 결착제 (B) 및 수용성 증점제 (C))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성분이다. 가교제 (A) 는, 구체적으로는,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끼리, 수용성 증점제 (C) 의 분자끼리, 및 입자상 결착제 (B) 와 수용성 증점제 (C)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제 (A) 로는, 적어도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끼리에 있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A), when coexisting with the particulate binder (B) as a compon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is subjected to treatment such as heating at the time of form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Is a component capable of forming a crosslinked structure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Specifically, the crosslinking agent (A)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he molecule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and the particulate binder (B) A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formed. Preferably, as the crosslinking agent (A), those capable of forming at least a crosslinked structure in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ing agent (B) can be used.

전극 활물질층 내에 있어서, 가교제 (A) 가 가교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률, 인장 파단 강도, 내피로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나, 집전체에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은 (즉 내수성이 우수하다) 가교 구조를 갖는 전극 활물질층이 얻어진다. The cross-linking agent (A) forms a cross-link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o tha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tensile fracture strength and fatigue resistance, and adhesiveness to the current collector are excellent and the solubility in water is low Is excellent),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obtained.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전극의 조제에 사용한 경우에는, 가교 구조의 형성에 의해, 고온의 사용 환경에 있어서의 충방전의 반복에 수반하는 전극의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높은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reparing an electrode, the formation of the crosslinked structure can suppress the swelling of the electrode accompanying repetition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n a high temperature use environment And high adhesiveness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ensured. As a result,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교제 (A) 의 비율은,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한 양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이다. 가교제 (A) 의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높은 가교도를 얻고, 필 강도 및 파단 강도를 높이며, 또한 극판의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다. 가교제 (A) 의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극판의 균열, 핸들링 용이함의 저하 등 원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 least 0.001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0.5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0.5 part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Preferably not less than 2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2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2 parts by mass, and even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8 parts by mass. By setting the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o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or more, a high degree of crosslinking can be obtained, peel strength and break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and swelling of the electrode plate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o the upper limit or lowe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desirable phenomena such as cracking of the electrode plate and reduction in handling easiness.

〔1.1.1. 가교제 (A) : 구조〕[1.1.1. Crosslinking agent (A): Structure]

가교제 (A) 는,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다.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가짐으로써 입자상 결착제 (B) 와 반응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 간의 가교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reacts with the carboxylic acid. It is possible to react effectively with the particulate binder (B) by having a functional group reacting with the carboxylic acid to effectively form the crosslinking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의 예로는, 에폭시기, 옥사졸린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가교제 (A) 의 예로는, 에폭시기, 옥사졸린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및 이들의 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 (A) 의 바람직한 예로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수용성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A) 로서 이들 바람직한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가교도를 얻고, 필 강도 및 파단 강도를 높이며, 극판의 부풀음을 억제하고, 또한 바인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that reacts with the carboxylic acid include an epoxy group, an oxazoline group, a carbodiimide group, and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ly,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A) include compounds having an epoxy group, an oxazoline group, a carbodiimide group, and combinations thereof. Preferable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A) include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s, oxazoline compounds, carbodiimide compounds, and combinations thereof. Among them, a carbodiimide compound is preferable, and further, a water-soluble carbodiimide compound is preferable. By using these preferred compounds as the crosslinking agent (A),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degree of crosslinking, to increase the peel strength and the breaking strength, to suppress the swelling of the electrode plate, and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1.1.2.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1.1.2. Carbodiimide compound]

가교제 (A) 로서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예로는, 분자 중에 일반식 (1) : -N=C=N-···(1) 로 나타내는 카르보디이미드기를 갖는 가교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예로는, 카르보디이미드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2) : -N=C=N-R1-···(2) (일반식 (2) 중, R1 은 2 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및/또는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란, 폴리카르보디이미드에 대해, 후술하는 반응성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Examples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as the crosslinking agent (A) include a crosslinkable compound having a carbodiimide group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N = C = N - (1) in the molecule. Examples of such a carbodiimide compound includ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carbodiimide groups, specifically,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N = C = NR 1 - (2) ), R 1 represents a divalent organic group), and / or a modified polycarbodiimide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refers to a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a polycarbodiimide with a reactive compound described below.

〔1.1.3.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1.1.3. Synthesis of polycarbodiimide]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이하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라고 한다) 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합성할 수 있다. 또,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은 올리고머 (카르보디이미드 올리고머) 와, 당해 올리고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도 합성할 수 있다.The synthesis method of the polycarbodiim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by reacting the organic polyisocyanat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for promoting the carbodiimidization reaction of the isocyanate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arbodiimidization catalyst ") , And a polycarbodiimide can be synthesized. The polycarbodiimide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can also be synthesized by copolymerizing an oligomer (carbodiimide oligomer) obtained by reacting an organic polyisocyanate with a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oligomer.

이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As the organic polyisocyanate used for synthesis of the polycarbodiimide, an organic diisocyanate is preferable.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인더 조성물 및 슬러리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의 관점에서, 특히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organic diisocyanate used in the synthesis of the polycarbodiimide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05-49370. Among them, 2,4-tolylene diisocyanate and 2,6-tolylene diisocyanat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As the organic diisocyanate,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또, 상기 서술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3 개 이상 갖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나,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학량론적 과잉량과 2 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 (이하, 상기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아울러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라고 한다) 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의,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사용량은,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질량부당, 통상 0 ∼ 4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 ∼ 20 질량부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rganic diisocyanate, a stoichiometric excess amount of an organic polyisocyanate having three or more isocyanate groups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organic polyisocyanate) or a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polyisocyanate and a polyfunctional active hydrogen- A terminal isocyanate prepolymer obtained by the reaction of the compound (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polyisocyanate and the terminal isocyanate prepolymer may be referred to as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polyisocyanate") may be used. Examples of such trifunctional or higher organic polyisocyanates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05-49370. As the trifunctional or more organic polyisocyanates,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The amount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having three or more functional groups in the synthesis reaction of the polycarbodiimide is usually 0 to 40 parts by mass, preferably 0 to 2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organic diisocyanate.

또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 시에는, 필요에 따라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할 수도 있다.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를 함유하는 경우,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분자량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고, 또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 병용함으로써,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의,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량은,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에 요구하는 분자량,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의 사용 유무 등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전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성분 100 질량부당, 통상 0 ∼ 4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 ∼ 20 질량부이다.Further, when synthesizing the polycarbodiimide, an organic monoisocyanate may be added as needed. When the organic polyisocyanate contains an organic polyisocyanate having three or more functional groups by the addition of the organic monoisocyanat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obtained polycarbodiimide can be appropriately regulated, and by using the organic diisocyanate in combination with the organic monoisocyanate, A polycarbodiimide having a small molecular weight can be obtained. Examples of such organic monoisocyanates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05-49370. As the organic monoisocyanate,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The amount of the organic monoisocyanate to be used in the synthesis reaction of the polycarbodiimide varies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required for the resulting polycarbodiimi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having three or more functional groups, and the like, Usually from 0 to 40 parts by mass, and preferably from 0 to 2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component (component (B), diisocyanate and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polyisocyanate).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의 예로는 포스폴렌 화합물, 금속 카르보닐 착물, 금속의 아세틸아세톤 착물, 및 인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구체예는 각각,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나타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의 사용량은, 전체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유기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3 관능 이상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성분 100 질량부당, 통상 0.001 ∼ 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10 질량부이다. Examples of the carbodiimidization catalyst include a phospholene compound, a metal carbonyl complex, an acetylacetone complex of metal, and a phosphoric acid ester. These embodiments are respectively shown in, 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49370. As the carbodiimide catalyst,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The amount of the carbodiimidization catalyst to be used is generally 0.001 to 30 parts by mass, preferably 0.01 to 1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organic isocyanate (organic monoisocyanate, organic diisocyanate, and tr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polyisocyanate) to be.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은, 무용매하에서도 적당한 용매 중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용매 중에서 합성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의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성 반응 중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올리고머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용매의 예로는, 할로겐화탄화수소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및 아세테이트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구체예는 각각,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나타나 있다. 이들 용매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 반응에 있어서의 용매의 사용량은, 전체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농도가, 통상 0.5 ∼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 50 질량% 가 되는 양이다. 용매 중의 전체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생성되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올리고머가 합성 반응 중에 겔화할 우려가 있고, 또 용매 중의 전체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반응 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저하할 수 있다.The carbodiimidation reaction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can be carried out in a solvent which is not solvent-free or in a suitable solvent. The solvent for carrying out the synthesis reaction in a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polycarbodiimide or carbodiimide oligomer produced by heating during the synthesis reac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 halogenated hydrocarbon solvent, an ether solvent, a ketone solvent, an aromatic hydrocarbon solvent, an amide solvent, an aprotic polar solvent, and an acetate solvent. These embodiments are respectively shown in, for exampl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49370. As these solvents,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n the synthesis reaction of the polycarbodiimide is such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total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is usually 0.5 to 60 mass%, preferably 5 to 50 mass%. If the concentration of the entire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in the solvent is excessively high, the resulting polycarbodiimide or carbodiimide oligomer may gel during the synthesis reaction, 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total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in the solvent is too low, And the productivity may be lowered.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의 온도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나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지만, 통상 20 ∼ 200 ℃ 이다.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 시에,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반응 전에 전체량을 첨가해도 되고, 혹은 그 일부 또는 전부를 반응 중에,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첨가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을,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의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는 적절한 반응 단계에서 첨가하여,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밀봉해,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의 후기에 첨가하여,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분자량을 소정값으로 규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i-프로판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 그리고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벤질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carbodiimidation reaction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or the carbodiimidization catalyst, but is usually from 20 to 200 ° C. In the carbodiimidation reaction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the total amount of the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may be added before the reaction, or a part or all of the organic isocyanate component may be added continuously or stepwise during the re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und capable of reacting with an isocyanate group is added in an appropriate reaction step from an initial stage to a late stage of the carbodiimidization reaction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to seal the terminal isocyanate group of the polycarbodiimid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arbodiimide can also be controlle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obtained polycarbodiimide may be regulated to a predetermined value by adding it to a later stage of the carbodiimidation reaction of the organic polyisocyanate. Examples of the compound capable of reacting with such an isocyanate group includ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i-propanol, and cyclohexanol; And amines such as dimethylamine, diethylamine and benzylamine.

또, 카르보디이미드 올리고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2 가 이상의 알코올,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2 가의 알코올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Examples of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carbodiimide oligomer include divalent or higher valent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예를 들어 분자 사슬의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2 가의 알코올을 카르보디이미드 올리고머와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공중합시킴으로써, 폴리카르보디이미드 구조와, 2 가의 알코올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교제 (A) 로서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가 2 가 이상의 알코올 유래의 단량체 단위, 바람직하게는 2 가의 알코올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경우, 그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전극의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이 향상되어, 그 전지 부재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의, 전해액의 주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그 알코올을 공중합시키는 것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수용화율을 증가시킴과 함께, 수중에서 자기 미셀화, 즉 소수성인 카르보디이미드 구조 부위의 주위에 친수성인 에틸렌글리콜 사슬로 덮이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For example, a divalent alcohol having a hydroxyl group at both terminals of a molecular chain is copolymerized with a carbodiimide oligomer by a known method to synthesize a polycarbodiimide structure and a polycarbodiimide having a divalent alcohol-derived monomer unit can d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lycarbodiimide as 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divalent or higher alcohol, preferably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 bivalent alcohol, an electrode formed from the bind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polycarbodiimide The wettability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improved, and the liquidity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battery member can be improved. Further, the copolymerization of the alcohols increases the degree of water-solubility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and increases the self-micelle formation in water, that is, the structure of covering the hydrophobic carbodiimide structure with hydrophilic ethylene glycol chains It has an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상기 서술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용액으로 해서 혹은 용액으로부터 분리한 고체로 해서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또는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된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용액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의 예로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용액을, 그 폴리카르보디이미드에 대해 불활성인 비용매 중에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 혹은 유상물을 여과 또는 데칸테이션에 의해 분리·채취하는 방법 ; 분무 건조에 의해 분리·채취하는 방법 ; 얻어진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사용한 용매에 대한 온도에 의한 용해도 변화를 이용해 분리·채취하는 방법, 즉 합성 직후는 그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가 계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석출되는 경우, 그 혼탁액으로부터 여과 등에 의해 분리·채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분리·채취 방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구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 (이하, 「Mn」이라고 한다) 은, 통상 400 ∼ 500,000,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 이다.The above-mentioned polycarbodiimide is used as a solution or as a solid separated from a solution to prepare the binder composition or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polycarbodiimide from the solution include a method in which a polycarbodiimide solution is added to a non-solvent which is inactive to the polycarbodiimide and the resulting precipitate or oil is separated by filtration or decantation · How to collect; A method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by spray drying; When the polycarbodiimide dissolved in the solvent is precipitat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system immediately after synthesis, that is, when the polycarbodiimide is precipitat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system, A method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supernatant by filtration or the like from the turbid liquid, and the separation and harvesting method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The polystyrene reduce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Mn ") of the polycarbodiimide i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s usually 400 to 500,000, preferably 1,000 to 200,000, And preferably 2,000 to 100,000.

〔1.1.4.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1.1.4. Synthesis of Modified Polycarbodiimide]

다음으로,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법에 대해 설명한다.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는,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적어도 1 종에, 반응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을, 적당한 촉매의 존재하 혹은 부존재하에서, 적절 온도에서 반응 (이하, 「변성 반응」이라고 한다) 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Next, the synthesis method of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will be described.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is obtained by reacting at least one kind of reactive compound with at least one kind of polycarbodiimide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itable catalyst at a suitable temper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enaturation reaction ").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사용되는 반응성 화합물로는, 그 분자 중에, 폴리카르보디이미드와의 반응성을 갖는 기 (이하, 간단히 「반응성기」라고 한다) 를 1 개와, 추가로 다른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반응성 화합물은, 방향족 화합물, 지방족 화합물 혹은 지환족 화합물일 수 있고, 또 방향족 화합물 및 지환족 화합물에 있어서의 고리 구조는, 탄소 고리라도 되고 복소 고리라도 된다. 반응성 화합물에 있어서의 반응성기는, 활성 수소를 갖는 기로 할 수 있다. 반응성기의 예로는, 카르복실기, 제 1 급 아미노기 및 제 2 급 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반응성 화합물은, 그 분자 중에, 1 개의 반응성기에 더해, 추가로 다른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반응성 화합물이 갖는, 반응성기 이외의 관능기의 예로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및/또는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 기, 및 반응성 화합물 1 분자 중에 있어서의 2 번째 이후의 (즉, 상기 서술한 반응성기와는 별도의), 상기 서술한 활성 수소를 갖는 기도 포함되고,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및 제 3 급 아미노기 외, 활성 수소를 갖는 기로서 예시한 카르복실기 및 제 1 급 혹은 제 2 급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관능기로는, 반응성 화합물 1 분자 중에 동일한 혹은 상이한 기가 2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reactive compound used in the synthesis of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include compounds in which one group having a reactivity with a polycarbodiimid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reactive group ") and a compound having another functional group Compounds may be used. The reactive compound may be an aromatic compound, an aliphatic compound or an alicyclic compound, and the ring structure in an aromatic compound and an alicyclic compound may be a carbon ring or a heterocyclic ring. The reactive group in the reactive compound may be a group having an active hydrogen. Examples of the reactive group include a carboxyl group, a primary amino group and a secondary amino group. The reactive compound may further have another functional group in addition to one reactive group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other than the reactive group contained in the reactive compound include groups having a function of promot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carbodiimide and / or modified polycarbodiimide, (Apart from the above-mentioned reactive groups), the above-described active hydrogen-containing groups are included, and for example, a carboxyl group exemplified as a group having an active hydrogen other than a carboxylic acid anhydride group and a tertiary amino group, Secondary or tertiary amino groups, and the like. These other functional groups may have two or more identical or different groups in one molecule of the reactive compound.

반응성 화합물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49370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니코틴산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화합물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reactive compound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05-49370. Among them, trimellitic anhydride and nicotinic acid are preferable. As the reactive compound,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합성하기 위한 변성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폴리카르보디이미드나 반응성 화합물의 종류, 얻어지는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에 요구되는 물성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1 몰에 대한 반응성 화합물 중의 반응성기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1 ∼ 1 몰, 더 바람직하게는 0.02 ∼ 0.8 몰이 되는 양이다. 상기 비율이 0.01 몰 미만이면,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이나 슬러리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비율이 1 몰을 초과하면,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본래의 특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The amount of the reactive compound used in the modification reaction for synthesizing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olycarbodiimide or the reactive compound,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obtained modified polycarbodiimide,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 reactive group in the reactive compound to 1 mole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of the polycarbodiimide is preferably 0.01 to 1 mole, more preferably 0.02 to 0.8 mole. If the ratio is less than 0.01 mol,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or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may be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 is more than 1 mol,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polycarbodiimide may be impaired.

또, 변성 반응에 있어서는, 반응성 화합물 중의 반응성기와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반응은 통상 정량적으로 진행하고, 그 반응성 화합물의 사용량에 알맞는 관능기가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중에 도입될 수 있다. 변성 반응은, 무용매하에서도 실시할 수 있지만, 적당한 용매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용매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및 반응성 화합물에 대해 불활성이고, 또한 이들을 용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로는, 상기 서술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에테르계 용매, 아미드계 용매, 케톤계 용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변성 반응에,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합성 시에 사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을 때는, 그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용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변성 반응에 있어서의 용매의 사용량은, 반응 원료의 합계 100 질량부당, 통상 10 ∼ 10,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5,000 질량부이다. 변성 반응의 온도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나 반응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지만, 통상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80 ℃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성 폴리카르보디이미드의 Mn 은, 통상 500 ∼ 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 ∼ 400,000, 더 바람직하게는 2,000 ∼ 200,000 이다.In the denaturation reaction, the reaction between the reactive group in the reactive compound and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2) of the polycarbodiimide usually proceeds quantitatively, and a functional group suitable for the amount of use of the reactive compound is reacted with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 / RTI > The denaturation rea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solvent, but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a suitable solvent. Such a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inert to the polycarbodiimide and the reactive compound and can dissolve the polycarbodiimide and the reactive compoun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ether-based solvent which can be used for the synthesis of the polycarbodiimide described above , Amide-based solvents, ketone-based solvents, aromatic hydrocarbon-based solvents, aprotic polar solvents, and the like. As these solvents,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When the solvent used in the synthesis of the polycarbodiimide can be used in the denaturation reaction, the polycarbodiimide solution obtained by the synthesis may be used as it is.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n the denaturation reaction is usually 10 to 10,000 parts by mass, preferably 50 to 5,000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amount of the reaction raw materials. The temperature of the modification reaction is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polycarbodiimide or the reactive compound, but is usually 100 占 폚 or lower, preferably -10 to 80 占 폚. The Mn of the modified polycarbodiimi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500 to 1,000,000, preferably 1,000 to 400,000, and more preferably 2,000 to 200,000.

〔1.1.5.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성상 등〕[1.1.5. Properties of carbodiimide compounds, etc.]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카르보디이미드기 (-N=C=N-) 1 몰당의 화학식량 (NCN 당량) 은,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NCN 당량이 400 이상임으로써,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이나 슬러리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600 이하임으로써, 가교제로서 가교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The compounding amount (NCN equivalent) per 1 mole of the carbodiimide group (-N═C═N-)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is preferably 300 or more, more preferably 400 or more, and preferably 600 or less, More preferably 500 or less. By virtue of the NCN equivalent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being 400 or mor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or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ensured, and when it is 600 or less, the crosslinking reaction can proceed favorably as a crosslinking agent.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NCN 당량은, 예를 들어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사용하여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을 구함과 함께, IR (적외 분광법) 을 사용하여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분자당의 카르보디이미드기의 수를 정량 분석하고, 하기 식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NCN equivalent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polystyrene reduce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using, for exampl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by using IR (infrared spectroscopy) The number of carbodiimide groups per molecule can b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NCN 당량 =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1 분자당의 카르보디이미드기의 수)NCN equivalent =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of carbodiimide compound) / (number of carbodiimide groups per one molecule of carbodiimide compound)

〔1.1.6. 옥사졸린 화합물〕[1.1.6. Oxazoline compound]

가교제 (A) 로서의 옥사졸린 화합물의 예로는, 그 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갖는 가교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옥사졸린 화합물의 예로는, 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옥사졸린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분자 중에 옥사졸린기를 2 개 갖는 화합물 (2 가의 옥사졸린 화합물),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 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oxazoline compound as the crosslinking agent (A) include a crosslinkable compound having an oxazoline group in the molecule thereof. As such an example of the oxazoline compound,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oxazoline groups in the molecule is preferable. Some or all of the hydrogen atoms of the oxazoline group may be substituted by other groups. Examples of such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oxazoline groups in the molecule include a compound having two oxazoline groups in the molecule (divalent oxazoline compound) and a polymer containing an oxazoline group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have.

〔1.1.7. 2 가의 옥사졸린 화합물〕[1.1.7. Divalent oxazoline compound]

2 가의 옥사졸린 화합물의 예로는, 2,2'-비스(2-옥사졸린), 2,2'-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비스(4-에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에틸-2-옥사졸린), 2,2'-비스(4-프로필-2-옥사졸린), 2,2'-비스(4-부틸-2-옥사졸린), 2,2'-비스(4-헥실-2-옥사졸린), 2,2'-비스(4-페닐-2-옥사졸린), 2,2'-비스(4-시클로헥실-2-옥사졸린), 2,2'-비스(4-벤질-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강직한 가교 구조체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2,2'-비스(2-옥사졸린) 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divalent oxazoline compound include 2,2'-bis (2-oxazoline), 2,2'-bis (4-methyl-2-oxazoline), 2,2'- 2-oxazoline), 2,2'-bis (4-ethyl-2-oxazoline), 2,2'- 2-oxazoline), 2,2'-bis (4-hexyl-2-oxazoline), 2,2'-bis Bis (4-phenyl-2-oxazoline), 2,2'-bis (4-cyclohexyl-2-oxazoline), 2,2'- . Among them, 2,2'-bis (2-oxazolin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 more rigid crosslinked structure.

〔1.1.8.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1.1.8.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본원에 있어서,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는, 2 가의 옥사졸린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이고,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s a compound other than a divalent oxazoline compound and is an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 (I) 로 나타내는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또는 당해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공중합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can be synthesized, for example, by polymerizing an oxazoline group-containing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 or by copolymerizing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monomer.

[화학식 1] [Chemical Formula 1]

Figure pct00001
(I)
Figure pct00001
(I)

식 (I) 중,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부가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비고리형 유기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I), R 1 , R 2 , R 3 and R 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a halogen atom, an alkyl group, an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or an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R 5 represents a non-cyclic organic group having an addition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식 (I) 에 있어서, 할로겐 원자의 예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소 원자 및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In the formula (I), examples of the halogen atom include a fluorine atom, a chlorine atom, a bromine atom, and an iodine atom. Among them, a fluorine atom and a chlorine atom are preferable.

식 (I) 에 있어서, 알킬기의 예로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In the formula (I), examples of the alkyl group include an alkyl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Among them,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is preferable.

식 (I) 에 있어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기의 예로는, 할로겐 원자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등의 탄소수 6 ∼ 18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기의 바람직한 예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In the formula (I), examples of the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nclude an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such as a halogen atom. Examples of the aryl group include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such as a phenyl group, a tolyl group, a xylyl group, a biphenyl group, a naphthyl group, an anthryl group, and a phenanthryl group. Preferable examples of the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nclude an aryl group having 6 to 12 carbon atoms and may have a substituent.

식 (I) 에 있어서, 상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의 예로는, 할로겐 원자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아르알킬기의 예로는, 벤질기, 페닐에틸기, 메틸벤질기, 나프틸메틸기 등의 탄소수 7 ∼ 18 의 아르알킬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의 바람직한 예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를 들 수 있다.In the formula (I), examples of the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nclude an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such as a halogen atom. Examples of the aralkyl group include an aralkyl group having 7 to 18 carbon atoms such as a benzyl group, a phenylethyl group, a methylbenzyl group and a naphthylmethyl group. Preferable examples of the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include an aralkyl group having 7 to 12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식 (I) 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비고리형 유기기의 예로는,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등의 탄소수 2 ∼ 8 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닐기, 알릴기 및 이소프로페닐기가 바람직하다. In the formula (I), examples of the non-cyclic organic group having an addition 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 include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8 carbon atoms such as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d an isopropenyl group. Among them, a vinyl group, an allyl group and an isopropenyl group are preferable.

식 (I) 로 나타내는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4-에틸-2-옥사졸린, 2-비닐-4-프로필-2-옥사졸린, 2-비닐-4-부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비닐-5-에틸-2-옥사졸린, 2-비닐-5-프로필-2-옥사졸린, 2-비닐-5-부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에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프로필-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부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프로필-2-옥사졸린, 및 2-이소프로페닐-5-부틸-2-옥사졸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점에서,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바람직하다. 이들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mono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include 2-vinyl-2-oxazoline, 2-vinyl-4-methyl-2-oxazoline, 2-oxazoline, 2-vinyl-4-propyl-2-oxazoline, 2-vinyl- 2-oxazoline, 2-isopropenyl-2-oxazoline, 2-isopropenyl-4-methyl-2 2-oxazoline, 2-isopropenyl-4-ethyl-2-oxazoline, 2-isopropenyl- 2-oxazoline, 2-isopropenyl-5-methyl-2-oxazoline, 2-isopropenyl- 5-butyl-2-oxazoline. Among them, 2-isopropenyl-2-oxazoline is preferable because it is industrially easily available. As these oxazoline group-containing monomers,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을 위한 단량체 조성물은,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 이외의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단량체로는,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당해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및 방향족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The monomer composition for the synthesis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may include a monomer other than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As such a monomer, any monomer capable of copolymerizing with an oxazoline group-containing monomer can be used. Preferred examples of the monomers include (meth) acrylic acid monomers,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s, and aromatic monomer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 acryl" means acryl and / or methacryl.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 메타크릴산 ; 아크릴산나트륨 및 아크릴산암모늄 등의 아크릴산염 ; 그리고 메타크릴산나트륨 및 메타크릴산암모늄 등의 메타크릴산염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 단량체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monomers usable for the synthesis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ates such as sodium acrylate and ammonium 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salts such as sodium methacrylate and ammonium methacrylate. These (meth) acrylic acid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스테아릴, 아크릴산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아미노에틸 및 그 염, 아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화물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 그리고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에스테르화물, 메타크릴산 2-아미노에틸 및 그 염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s usable in the synthesis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stearyl acrylate, perfluoroalkyl ethyl acrylate, Acrylic acid esters such as 2-hydroxyethyl acrylate, 2-aminoethyl acrylate and its salts, methoxy polyethylene glycol acrylate, and monoester of acrylic acid and polyethylene glyco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oxypolyethyleneglycol methacrylate, monoester of methacrylic acid and polyethylene glycol, 2-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aminoethyl and its salts. Thes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s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는 방향족계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스티렌술폰산나트륨 등의 스티렌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계 단량체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aromatic monomer that can be used for the synthesis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nclude styrene compounds such as styrene,? -Methylstyrene, and sodium styrenesulfonate. As these aromatic monomers,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이들 단량체를,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72002호, 일본 특허 제2644161호 등에 기재된 사용 비율로, 동일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다. 또,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는, 예를 들어 옥사졸린기를 갖지 않는 중합체를 중합한 후, 그 중합체 중의 관능기를, 옥사졸린기로 일부 또는 전부 치환함으로써 합성해도 된다.These monomers can be synthesized by, for example, polymerizing the monomers by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same references at the use ratios described in, for example, JP-A-2013-72002 and JP-B-2644161.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may be synthesized, for example, by polymerizing a polymer having no oxazoline group and then partially or wholly substituting functional groups in the polymer with an oxazoline group.

〔1.1.9. 옥사졸린 화합물의 성상 등〕[1.1.9. Properties of oxazoline compounds]

가교제 (A) 로서 상기 서술한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When the above-described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s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A),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is preferably -50 ° C or higher, more preferably -20 ° C or higher, Preferably 60 DEG C or lower, more preferably 30 DEG C or lower.

옥사졸린 화합물의, 옥사졸린기 1 몰당의 화학식량 (옥사졸린 당량) 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이 옥사졸린 당량은, 옥사졸린가 (옥사졸린기 1 몰당의 그램으로의 질량 (g-solid/eq.)) 라고도 불린다. 가교제 (A) 의 옥사졸린 당량이 70 이상임으로써,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이나 슬러리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600 이하임으로써, 가교제로서 가교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The chemical formula (oxazoline equivalent) per 1 mole of the oxazoline group of the oxazoline compound is preferably 30 or more, more preferably 50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00 or more, preferably 600 or less Is less than 500. This oxazoline equivalent is also referred to as oxazoline (g-solid / eq.) Per gram of oxazoline group. When 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n oxazoline equivalent of 70 or mor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or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When the crosslinking agent (A) is 600 or less, the crosslinking reaction can be favorably promoted as a crosslinking agent.

가교제 (A) 의 옥사졸린 당량은, 하기 식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oxazoline equival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옥사졸린 당량 = (옥사졸린 화합물의 분자량)/(옥사졸린 화합물 1 분자당의 옥사졸린기의 수) Oxazoline equivalent = (molecular weight of oxazoline compound) / (number of oxazoline groups per molecule of oxazoline compound)

여기서, 옥사졸린 화합물이 옥사졸린기 함유 중합체인 경우에는, 옥사졸린 화합물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GPC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를 사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으로 할 수 있고, 옥사졸린 화합물 1 분자당의 옥사졸린기의 수는, 예를 들어 IR (적외 분광법) 을 사용하여 정량할 수 있다.Here, when the oxazoline compound is an oxazoline group-containing polymer, the molecular weight of the oxazoline compound may be, 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the oxazoline compound The number of oxazoline groups per molecule can be quantified using, for example, IR (infrared spectroscopy).

〔1.1.10.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1.1.10.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가교제 (A) 로서의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방향족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다관능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2,2'-비스(2-옥사졸린), 2,2'-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메틸-2-옥사졸린), 2,2'-비스(4-에틸-2-옥사졸린), 2,2'-비스(4,4'-디에틸-2-옥사졸린), 2,2'-비스(4-프로필-2-옥사졸린), 2,2'-비스(4-부틸-2-옥사졸린), 2,2'-비스(4-헥실-2-옥사졸린), 2,2'-비스(4-페닐-2-옥사졸린), 2,2'-비스(4-시클로헥실-2-옥사졸린), 및 2,2'-비스(4-벤질-2-옥사졸린) 을 들 수 있다. 또, 닛폰 촉매 (주) 제조 에포크로스 (상표명) 등의 고분자 타입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as the crosslinking agent (A) include polyfunctional glycidyl ether compounds such as aliphatic polyglycidyl ether, aromatic polyglycidyl ether and diglycidyl ether.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n oxazoline group include 2,2'-bis (2-oxazoline), 2,2'-bis (4-methyl-2-oxazoline), 2,2'- 2-oxazoline), 2,2'-bis (4-ethyl-2-oxazoline), 2,2'- 2-oxazoline), 2,2'-bis (4-hexyl-2-oxazoline), 2,2'-bis Bis (4-phenyl-2-oxazoline), 2,2'-bis (4-cyclohexyl-2-oxazoline), and 2,2'- . Polymer types such as Epochros (trade name) manufactured by Nippon Catalysts Co., Ltd. are also exemplified.

〔1.1.11. 가교제 (A) 의 성상 등〕 [1.1.11. The properties of the crosslinking agent (A), etc.]

가교제 (A) 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m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mPa·s 이하이다.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가교제 (A) 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viscosity of the 1 mass% aqueous solu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A) is preferably 5000 mPa s or less, more preferably 700 mPa 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50 mPa s or less. By using a crosslinking agent having a viscosity in the range of 1% by mass of the aqueous solution of 1% by mass,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mproved. The viscosity of the 1 mass% aqueous solu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A) can b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1 mass% aqueous solu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또, 가교제 (A) 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A) 가 수용성임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계의 슬러리 조성물 중에서 가교제 (A) 가 편재하는 것을 방지해,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이 바람직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지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의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사이클 후의 저항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A) is preferably water-soluble. Since the cross-linking agent (A) is water-soluble, the cross-linking agent (A) is prevented from being unevenly distributed in the aqueous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result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an form a preferable cross-linked structure. Accordingly,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obtained secondary battery can be ensured, th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and the increase in resistance after the cycle can be suppressed. Further, the water resistance of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교제가 「수용성」이라는 것은, 이온 교환수 100 질량부당 가교제 1 질량부 (고형분 상당) 를 첨가하고, 교반해 얻어지는 혼합물을, 온도 20 ∼ 70 ℃ 범위 내이고, 또한 pH 3 ∼ 12 (pH 조정에는 NaOH 수용액 및/또는 HCl 수용액을 사용) 의 범위 내인 조건 중 적어도 일조건으로 조정하고, 250 메시의 스크린을 통과시켰을 때에,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고 스크린 상에 남는 잔류물의 고형분의 질량이, 첨가한 가교제의 고형분에 대해 50 질량%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가교제와 물의 혼합물이, 정치 (靜置) 한 경우에 2 상으로 분리되는 에멀션 상태라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면 그 가교제는 수용성이라고 규정한다. 가교 구조의 형성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키고, 상기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 강도, 고온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 가교제와 물의 혼합물은, 2 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1 상 수용 상태이다) 것, 즉 가교제는 1 상 수용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water-solub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mixture obtained by adding 1 part by mass (corresponding to solid content) of a crosslinking agent per 100 parts by mass of ion-exchanged water is stirred at a temperature of 20 to 70 ° C, (3) to (12), wherein the pH is adjusted to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n aqueous solution of NaOH and / or an aqueous solution of HCl, and a solid Is not more than 50 mass% with respect to the solid content of the added crosslinking agent. Even when the mixture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water is in an emulsion state separated into two phases when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still, if the above definition is satisfied, the crosslinking agent is defined as water-soluble. From the viewpoint of satisfactorily promoting the formation reaction of the crosslinking structure and improving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the mixture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water is not separated into two phases ), That is,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preferably one-phase water-soluble.

〔1.2. 입자상 결착제 (B)〕1.2. Particulate binder (B)]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이 함유하는 입자상 결착제 (B) 는, 물 등의 수계 매체에 있어서 입자의 형태로 분산 가능한 결착제이고, 바인더 조성물 및 슬러리 조성물 중에 있어서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통상, 입자상 결착제 (B) 는, 25 ℃ 에 있어서, 입자상 결착제 0.5 g 을 100 g 의 물에 용해했을 때에, 불용분이 90 질량% 이상이 된다.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ed 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nder capable of dispersing in the form of particles in an aqueous medium such as water, and is present in the form of particles in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Normally, whe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dissolved in 100 g of water at 25 占 폚, the particulate binder (0.5 g) has an insoluble content of 90 mass% or more.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했을 때에, 입자상 결착제 (B) 는, 전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 이 전극 부재로부터 탈리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전극 활물질층에 있어서의 입자상 결착제 (B) 는, 전해액에 침지되었을 때에, 전해액을 흡수해 팽윤하면서도 입자상의 형상을 유지하고, 전극 활물질끼리를 결착시켜 전극 활물질이 집전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또, 입자상 결착제 (B) 는, 전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전극 활물질 이외의 입자도 결착시켜 전극 활물질층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such that,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maintained. The particulate binder (B)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bsorbs and swells the electrolyte solution when immersed in an electrolytic solution to keep the particulate shape while bind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s to prevent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from falling off the current collector Function can be expressed. The particulate binder (B) can also bind particles other tha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1.2.1. 입자상 결착제 (B) :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1.2.1. Particulate binder (B): Ethylen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본원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란, 당해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단위이다. 따라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단위이고,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중합체이다.The particulate binder (B) is a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In the present application, a monomer unit is a unit having a structure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Therefore,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is a unit having a structure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and the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is a polymer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to be.

본원에 있어서, 단량체 단위는, 통상 대응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지만, 당해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단위 그 자체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를 갖지 않는 입자상 결착제를 중합한 후, 그 입자상 결착제 중의 관능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카르복실산기로 치환함으로써, 카르복실산기를 입자상 결착제에 도입할 수 있다. 당해 치환의 조작에 의해, 입자상 결착제를 구성하는 중합체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입자상 결착제 (B) 를 조제해도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unit is usually obtained by the polymerization of the corresponding monomer, but is not limited to the unit itself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For example, a carboxylic acid group can be introduced into the particulate binder by polymerizing a particulate binder having no carboxylic acid group, and replacing part or all of the functional groups in the particulate binder with a carboxylic acid group. By the operation of the substitution,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may be formed i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particulate binder. In this way, the particulate binder (B) may be prepared.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를 포함하고, 그 이외의 임의의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는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량체 조성물」이란, 설명의 편의상 1 종류의 단량체만으로 이루어지는 재료도 포함하지만, 통상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및 그 이외의 임의의 단량체로 이루어진다. 또, 통상은 단량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단량체의 비율이, 얻어지는 중합체 중의 각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된다.Th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and containing any other monomers. Here, the "monomer composition" includes a material composed of only one kind of monom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usually it is composed of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and any other monomers. In general, the ratio of each monomer contained in the monomer composition is the ratio of each monomer unit in the resulting polymer.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 그리고 그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타콘산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및 이타콘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입자상 결착제 (B) 전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기 중, 표면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기의 양을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입자상 결착제 (B) 와 수용성 증점제 (C) 간의 계면 가교를 증가시킬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include monocarboxylic acids and di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and anhydrides thereof. Among them,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are preferable a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rylic acid and itaconic acid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By using these preferred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s, the amount of carboxylic acid groups present on the surface among the carboxylic acid groups present in the whol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입자상 결착제 (B)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입자상 결착제 (B) 에 충분한 양의 산기를 부여할 수 있고,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입자상 결착제와 수용성 증점제 간의 가교를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어, 양호한 필 강도 및 고온 사이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중합 반응 중에 조대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양호한 저장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s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by mass or less, 10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mass% or less. By setting the propor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s to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or more, it is possible to impart a sufficient amount of acid groups to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Also, the crosslinking between the particulate binder and the water-soluble thickener can be satisfactorily formed, and good peel strength and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by setting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s to be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coarse particl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nd as a result, good storage stability can be obtained.

〔1.2.2. 입자상 결착제 (B) :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1.2.2. Particulate binder (B):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입자상 결착제 (B) 는, 임의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이고, 따라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이다.The particulate binder (B) may optionally contain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Such particulate binder (B) can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 monomer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group and furth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therefore the poly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is a polymer having a hydroxyl group.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말리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타코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말리에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말리에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틸푸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중합체 조성물의 중합 시에, 수상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가, 라텍스 중의 입자와 중합하기 쉬워져,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hydroxyethyl acrylate such as 2-hydroxyethyl 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such as 2-hydroxyethyl 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 Hydroxyethyl methacrylate, di- (ethylene glycol) maleate, di- (ethylene glycol) itaconate, di- 2-hydroxyethyl maleate, bis (2-hydroxyethyl) maleate, 2-hydroxyethyl methyl fumarate, and the like. Among them, hydroxybut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ethyl acrylate are preferable, and hydroxypropyl acrylate and hydroxyethyl acrylate are more preferable, and 2-hydroxyethyl 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desi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By using these preferred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in the aqueous phase tends to polymerize with the particles in the latex during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com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

입자상 결착제 (B)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중합 반응 중에 조대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opor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s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7% by mass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20% by mass or less,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 by mass or less. By setting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s to the above-mentioned lower limit or more,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by setting the ratio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s to be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coarse particle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1.2.3.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1.2.3.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입자상 결착제 (B) 는, 임의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부극 활물질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필 강도의 부여나 전극의 유연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의 예로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치환 직사슬 공액 펜타디엔류, 치환 및 측사슬 공액 헥사디엔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1,3-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The particulate binder (B) may optionally contain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Particularly, whe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 Examples of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nclude 1,3-butadiene, 2-methyl-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1,3-butadiene, substituted linear conjugated pentadienes, substituted and side-chain conjugated hexadiene, and the like, among which 1,3-butadiene is preferable. One kind of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입자상 결착제 (B) 에 있어서,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전극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또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의 내전해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articulate binder (B), the content of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s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20%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50% by mass or less, 40 mass% or less.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to the lower limit or higher, flexibility of the electrode can be increased. The content of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resistance of the electrode obtained u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

〔1.2.4.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1.2.4. Aromatic vinyl monomer unit]

입자상 결착제 (B) 는, 임의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부극 활물질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필 강도의 부여나 충방전 시의 전극 부풀음 억제를 위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particulate binder (B) may optionally contain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Particularly, whe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form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Which is preferable for suppressing electrode swelling. Examples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nclude styrene,? -Methylstyrene, vinyltoluene, divinylbenzene and the like, among which styrene is preferable. As the aromatic vinyl monomer,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입자상 결착제 (B) 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의 내전해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articulate binder (B), the content ratio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is preferably 4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preferably 8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70% % Or less.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s to the lower limit or more, the electrolyte solution resistance of the electrode obtained us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content ratio of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to be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mproved.

입자상 결착제 (B) 는,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로서 1,3-부타디엔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로서 스티렌 단위를 포함하는 (즉,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다)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a 1,3-butadiene unit as the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and a styrene unit as the aromatic vinyl monomer unit (that is,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1.2.5. 임의의 단량체 단위〕1.2.5. Any monomer units]

입자상 결착제 (B) 는, 상기 서술한 것 외에도 임의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그들 임의의 단량체 단위는, 각각에 대응하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The particulate binder (B) may contain any monomer uni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se arbitrary monomer units can be prepared by using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pective monomers.

임의의 단량체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로는,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티올기를 갖는 단량체, 시안화비닐계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Examples of the monomer capable of forming an arbitrary monomer unit include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glycidyl ether group, a monomer having a thiol group, a vinyl cyanide monomer,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lkyl ester monomer, and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 monomer hav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글리시딜에테르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예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glycidyl ether group include glycidyl acrylate and glycidyl methacrylate. Among them, glycid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티올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부틸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메르캅토부틸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스(3-메르캅토부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부틸레이트) 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thiol group include pentaerythritol tetrakis (3-mercaptobutyrate), trimethylolpropane tris (3-mercaptobutyrate), trimethylol ethane tris (3-mercaptobutyrate) . Among them, pentaerythritol tetrakis (3-mercaptobutyrate) is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시안화비닐계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르아크릴로니트릴, α-에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정극 활물질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가 시안화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전해액과 바인더의 친화성 향상에 의한, 리튬 이온의 이동 저항 저감을 위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vinyl cyanide monomers includ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Chlor acrylonitrile,? -Ethyl acrylonitrile, and the like. Of these,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are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Particularly, whe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 vinyl cyanide monomer unit because of the improvement in affinity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binder , And is preferable for reducing the migration resistance of lithium ions.

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푸마레이트, 디에틸푸마레이트, 디메틸말리에이트, 디에틸말리에이트, 디메틸이타코네이트, 모노메틸푸마레이트, 모노에틸푸마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정극 활물질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가 불포화 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필 강도의 부여, 전극의 유연성 부여, 또한 전해액과 바인더의 친화성 향상에 의한, 리튬 이온의 이동 저항 저감을 위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lkyl ester monomers include m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dimethyl fumarate, diethyl fumarate, dimethyl maliate, , Dimethyl itaconate, monomethyl fumarate, monoethyl fumar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mong them,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Particularly, whe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form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lkyl ester monomer unit, It is preferable for imparting the flexibility of the electrode and for reducing the migration resistance of the lithium ion by improving the affinity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binder.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 monomer include acrylamide, methacrylamide, N-methylol 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and N, N-dimethylacrylamide. Among them, acrylamide and methacrylamide are preferabl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또한, 입자상 결착제 (B) 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통상적인 유화 중합에 있어서 사용되는 단량체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The particulate binder (B) may contain units formed by monomers used in conventional emulsion polymerization such as ethylene, propylen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and the like .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입자상 결착제 (B) 가 임의의 단량체 단위를 갖는 경우, 그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한은 합계량으로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한편 하한은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particulate binder (B) has an arbitrary monomer unit, its cont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1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8%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And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1.2.6.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1.2.6.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입자상 결착제 (B) 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수계 용매 중에서 중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Th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polymerizing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monomer in an aqueous solvent.

여기서, 단량체 조성물 중의 각 단량체의 함유 비율은, 통상 원하는 입자상 결착제 (B) 에 있어서의 각 단위의 함유 비율과 동일하게 한다.Here, the content of each monomer in the monomer composition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content of each unit in the desired particulate binder (B).

수계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자상 결착제 (B) 가 입자 상태로 분산 가능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상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통상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고, 통상 3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인 수계 용매를 선택할 수 있다.The aqueous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articulate binder (B) that can be dispersed in a particle state can be suitably used. Usually, an aqueous solvent having a boiling point at normal pressure of usually 80 ° C or higher, preferably 100 ° C or higher, and usually 350 ° C or lower, preferably 300 ° C or lower can be selected.

구체적으로는, 수계 용매의 예로는, 물 ; 다이아세톤알코올, γ-부티로락톤 등의 케톤류 ;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노르말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터셔리부틸에테르, 부틸셀로솔브, 3-메톡시-3-메틸-1-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 1,3-디옥소란, 1,4-디옥소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은 가연성이 없고,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의 분산체가 용이하게 얻어지기 쉽다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주용매로서 물을 사용하고,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의 분산 상태가 확보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상기 물 이외의 수계 용매를 혼합해 사용해도 된다.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aqueous solvent include water; Ketones such as diacetone alcohol and? -Butyrolactone; Alcohols such as ethyl alcohol, isopropyl alcohol and normal propyl alcohol;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tertiary butyl ether, butyl cellosolve, 3-methoxy-3-methyl-1-butanol,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diethylene glycol Glycol ethers such as monobutyl ether, 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nd di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1,3-dioxolane, 1,4-dioxolane, and tetrahydrofuran; And the like. Among them, wat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re is no flammability and a dispersion of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easily obtained. Water may be used as the main solvent and an aqueous solvent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water may be mixed in the range in which the dispersion state of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ensured.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괴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어느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중합 방법의 예로는, 이온 중합, 라디칼 중합, 리빙 라디칼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량체가 얻기 쉬운 점, 그리고 중합물이 그대로 물에 분산된 상태로 얻어지므로 재분산화의 처리가 불필요하여, 그대로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이나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제공할 수 있는 점 등,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는 유화 중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method such as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n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can be used. Examples of polymeriz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clude ionic polymerization, radical polymerization, and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redispersion treatment since the polymer is ob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ymer is dispersed in water as it is,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emulsion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그리고, 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 분산제, 중합 개시제, 중합 보조제 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할 수 있다. 또 중합 시에는, 시드 입자를 채용해 시드 중합을 실시해도 된다. 또, 중합 조건도, 중합 방법 및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A commonly used emulsifier, dispersant, polymerization initiator, polymerization assistant and the like used in the polymerization may be used, and the amount thereof may be generally used. In polymerization, seed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by employing seed particles. The polymerization conditions may also be arbitrari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중합 시에, 각각의 단량체를 반응계에 첨가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첨가를, 어느 정도 이상 다른 단량체의 중합이 진행된 시점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중합 반응의 초기에 첨가하면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지만,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첨가를, 어느 정도 이상 다른 단량체의 중합이 진행된 시점에서 실시함으로써,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The order of adding the respective monomers to the reaction system at the time of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the addi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carried out at a time point when polymerization of the other monomers proceeds . When the monomer contain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 is added at the beginning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a sufficient effect can not be obtained. However, the addi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carried out at a time point when polymerization of the other monomer proceeds,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can be easily increased.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을 개시하고, 중합 전화율이 소정 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반응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첨가하는 시점의 중합 전화율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85 % 이하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첨가하는 시점의 중합 전화율을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반응계의 수상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가, 라텍스 중의 입자와 중합하기 쉬워져,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중합 반응 중에 조대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start polymerization of a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a monomer other than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to add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the reaction system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at the time of adding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more, and preferably 85% or les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in the aqueous phase of the reaction system is easily polymerized with the particles in the latex and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mount of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The ratio can be increased and generation of coarse particles dur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서술한 중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상 결착제 (B) 의 입자의 수계 분산체는,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pH 조정 및 정제의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수계 분산체의 pH 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Li, Na, K, Rb, Cs) 의 수산화물, 암모니아, 무기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어 NH4Cl 등), 유기 아민 화합물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등) 등을 포함하는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pH 가 통상 5 ∼ 10, 바람직하게는 5 ∼ 9 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에 의한 pH 조정은,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다. Here,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les of the particulate binding agent (B)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polymerization method can be used as it is or after the pH adjustment and purification steps, if necessary, in the produc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PH of the aqueous dispersion is, for example, an alkali metal hydroxide, ammonia, inorganic ammonium compounds (e.g., Li, Na, K, Rb, Cs) (for example, NH 4 Cl, etc.), an organic amine compound (e.g. For example, ethanolamine, diethylamine, etc.) can be used to adjust the pH to a range of usually 5 to 10, preferably 5 to 9. Among them, the pH adjustment by the alkali metal hydroxide is preferable because it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1.2.7.입자상 결착제 (B) 의 성상〕1.2.7. Appearance of particulate binder (B)

통상, 입자상 결착제 (B) 는, 비수용성이다. 따라서, 통상 입자상 결착제 (B) 는, 물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및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입자상이 되고 있고, 그 입자 형상을 유지한 채, 예를 들어 이차 전지용 전극에 포함된다.Normally, the particulate binder (B) is water-insoluble. Therefore, the particulate binder (B) usually becomes particulate in the binder composition and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water, and is contained in, for example,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while maintaining the particle shape.

그리고,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 및 슬러리 조성물에서는, 입자상 결착제 (B) 는, 개수 평균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하이다. 개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전극의 강도 및 유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개수 평균 입자 직경은, 투과형 전자현미경법이나 쿨터 카운터, 레이저 회절 산란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the binder composition and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ulate binder (B) preferably has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nm or more, more preferably 70 nm or more, preferably 500 nm or less, Is 400 nm or less. When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in the above rang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obtained electrode can be improved.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can be easily measured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 Coulter counter, a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method or the like.

입자상 결착제 (B) 의 겔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이다. 입자상 결착제 (B) 의 겔 함유량이 50 질량% 미만인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의 응집력이 저하해, 집전체 등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입자상 결착제 (B) 의 겔 함유량이 98 질량% 초과인 경우, 입자상 결착제 (B) 가 인성을 상실해 물러져, 결과적으로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The gel conte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5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80% by mass or more, preferably 98%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95% by mass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gel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less than 50% by mass, the cohesive force of the particulate binder (B) decreases, and the adhesion with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may becom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gel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more than 98% by mass, the particulate binder (B) tends to lose its toughness and, as a result, the adhesion may be insufficient.

입자상 결착제 (B)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입자상 결착제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 ℃ 이상임으로써,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중의 배합 성분이 응집해 침강하는 것을 방지해, 슬러리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부풀음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입자상 결착제 (B) 의 유리 전이 온도가 80 ℃ 이하임으로써,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Particulate bind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 (T g), is preferably not less than -30 ℃,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0 ℃, preferably from 80 ℃ or less, an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0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30 DEG C or higher, whereby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vented from aggregating and settling, and the stabil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can be ensured . Further, the swelling of th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preferably. Also, sinc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80 占 폚 or less, the workability i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can be improved.

입자상 결착제 (B) 의 유리 전이 온도 및 겔 함유량은,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조건 (예를 들어, 사용하는 단량체, 중합 조건 등) 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gel conte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by chang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for example, monomers to be used, polymerization conditions, and the like).

유리 전이 온도는,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 및 양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량체를 사용하면 유리 전이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등의 단량체를 사용하면 유리 전이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monomers to be used. For example, when monomers such as styrene and acrylonitrile are us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and monomers such as butyl acrylate and butadiene If us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lowered.

또, 겔 함유량은, 중합 온도, 중합 개시제의 종류, 분자량 조정제의 종류, 양, 반응 정지 시의 전화율 등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쇄 이동제를 적게 하면 겔 함유량을 높일 수 있고, 연쇄 이동제를 많게 하면 겔 함유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The gel content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the kind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kind and amount of the molecular weight adjuster, the conversion rate at the time of stopping the reaction, and for example, by decreasing the chain transfer agent, the gel content can be increased,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transfer agent may lower the gel content.

〔1.3. 물 및 그 외 용매〕1.3. Water and other solvents]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은,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 및/또는 분산매로서 기능한다. 통상,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서는, 가교제 (A) 는 물에 용해되어 있거나 혹은 분산되어 있고, 입자상 결착제 (B) 는 물에 분산되어 있다.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ater. The water functions as a solvent and / or a dispersion medium in the binder composition. Usually, 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A)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and the particulate binder (B) is dispersed in water.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는, 용매로서 물 이외의 용매를 물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가교제 (A) 와의 반응을 피하는 관점에서, 물 이외의 용매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vent other than wate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ater as a solvent, but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reaction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 it is preferable that it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 solvent other than water.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매의 양은,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가,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에 적절한 원하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이다. 본원에 있어서, 조성물의 고형분이란, 그 조성물의 건조를 거쳐 잔류하는 물질을 말한다. The amount of the solvent 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falls within a desired rang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specific binder composition is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preferably 60%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5% by mass or les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olid content of a composition refers to a substance that remains after drying the composition.

〔1.4. 기타 성분〕 1.4. Other ingredients]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도전제, 보강재, 레벨링제, 전해액 첨가제,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로는, 전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된 것, 구체적으로는 국제 공개 제2012/115096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omponent such as a conductive agent, a reinforcing agent, a leveling agent, an electrolyte additive, and a cellulose nanofib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s these, those which do not affect the cell reac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example, those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those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2/115096.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1.5.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1.5. Preparation of binder composition]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 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물, 및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을, 임의의 순서로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가교제 (A) 및 입자상 결착제 (B) 의 혼합계에 대한 첨가는, 이들을 포함하는 용액 또는 현탁액을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cross-linking agent (A), the particulate binder (B), water, and optionally optional components in an arbitrary order. The addi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A) and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mixing system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a solution or suspension containing them.

〔1.6. 바인더 조성물의 성상〕1.6. Properties of the binder composition]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은, 수상 및 고상을 갖는다. 수상은, 물 및 물에 용해할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고상은, 입자상 결착제 (B) 및 기타 물에 불용인 고체의 상 (相) 이다.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queous phase and a solid phase. The water phase is composed of components soluble in water and water, and the solid phase is a phase of a solid which is insoluble in particulate binder (B) and other water.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있어서는,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하이고,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며, 또한 표면 산량의 비율의 값을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의 값으로 나눈 값이 1.0 이상이다. I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total solid mass of the binder composition is not less than 0.01 mmol / g and not more than 1.0 mmol / g, The ratio of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to the total amount is 0.01 mmol / g or more and 1.0 mmol / g,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by the value of the amount of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is 1.0 or more.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5 m㏖/g ∼ 1.0 m㏖/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m㏖/g ∼ 0.8 m㏖/g 이다.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5 m㏖/g ∼ 1.0 m㏖/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m㏖/g ∼ 0.8 m㏖/g 이다. 또, 표면 산량의 비율의 값을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의 값으로 나눈 값은, 바람직하게는 1.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들 값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해 측정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preferably 0.05 mmol / g to 1.0 mmol / g, and more preferably 0.05 mmol / g to 0.8 mmol / g. The ratio of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is preferably 0.05 mmol / g to 1.0 mmol / g, and more preferably 0.05 mmol / g to 0.8 mmol / 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by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is preferably 1.05 or more, more preferably 1.10 or more,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5 or less . These values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of this specification.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소량의 가교제 (A) 를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입자상 결착제 (B), 및 슬러리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 (수용성 증점제 (C) 등) 의 입자끼리, 분자끼리, 및/또는 입자와 분자 간의 가교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조성물의 저장 시에, 수상 중의 가교제 (A) 와 수상 중의 산의 반응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저장 안정성이 높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에 높은 필 강도를 부여할 수 있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높은 고온 사이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B) and the other components (water-soluble thickener (C) and the like) in the slurry composition can be effectively used because a small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Crosslinking between particles, between molecules, and / or between particles and molecules can be efficiently achieved. Further, at the time of storing the binder composition, the reaction between the crosslinking agent (A) in the aqueous phase and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can be reduced, and the storage stability can be impro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at has high storage stability, can impart a high peak strength to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can impart a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 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이와 같은,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얻는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특히 입자상 결착제 (B) 에 관한 항목〔1.2.1.〕 및 항목〔1.2.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시에,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인 중합 반응물을 얻고, 이것을 바인더 조성물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표면 산량,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이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시에,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첨가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이상 다른 단량체의 중합이 진행된 시점에서 실시하고, 그것에 의해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인 중합 반응물을 얻고, 이것을 바인더 조성물의 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Preferable examples of the method for obtaining such a binder composition in which the amount of surface acid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include the above items [1.2.1.] And 1.2.2. ,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in which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and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is increased at the time of preparing the particulate binder (B) is obtained and used as the material of the binder composition .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surface acid amount relative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The addi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particulate binding agent (B)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amount of surface acid to the amount of surface acid relative to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is obtained at the time when polymerization of the other monomers proceeds and by using this as a material for the binder composition, Can be obtained.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바인더 조성물을 얻는 방법은, 위에 서술한 방법 대신에, 또는 위에 서술한 방법에 추가로, 다른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의 중합 반응 후에 가열 감압 증류 등의 증류법에 의해 미반응의 산을 제거할 수도 있다. 단, 상기 특히 입자상 결착제 (B) 에 관한 항목〔1.2.1.〕 및 항목〔1.2.2.〕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으로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에 대한 표면 산량의 비율을 높인 중합 반응물을 얻음으로써, 적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량에 의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에 효율적으로 카르복실산기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증류의 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양호한 제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surface acid amount,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satisf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other methods may be employ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For example, the unreacted acid may be removed by a distillation method such as heating and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However, a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raising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and the surface acid amount to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phase is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item [1.2.1.] And the item [1.2.2.], Particularly regarding the particulate binder (B) , The carboxylic acid group can be effectively added to the surface of the particulate binder (B) by the small amount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and the step of distillation can be omitted, and as a result, a good product Can be efficiently produced.

〔2.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2.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전극 활물질, 및 수용성 증점제 (C) 를 함유한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binder composition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2.1. 전극 활물질〕2.1. Electrod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부극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전극 활물질로는, 부극 활물질로서 적절한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정극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전극 활물질로는, 정극 활물질로서 적절한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a negative electrode, an appropriate material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e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a positive electrode, an appropriate material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1.1. 부극 활물질〕[2.1.1.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부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에 있어서 전자를 주고받는 물질로서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적절히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which can be used as a substance to exchange electrons in the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부극 활물질로는, 통상은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한다.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의 예로는, 탄소계 부극 활물질, 금속계 부극 활물질, 및 이들을 조합한 부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d desorbing lithium is generally used. Examples of the substance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lithium include a carbon-base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a metal-base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btained by combining them.

탄소계 부극 활물질이란, 리튬을 삽입 (「도프」라고도 한다) 가능한, 탄소를 주골격으로 하는 활물질을 말하고, 탄소계 부극 활물질의 예로는, 탄소질 재료 및 흑연질 재료를 들 수 있다.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efers to an active material having carbon as a main skeleton capable of intercalating lithium (also referred to as " dope "), and examples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a carbonaceous material and a graphite material.

탄소질 재료는, 탄소 전구체를 2000 ℃ 이하에서 열처리해 탄소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흑연화도가 낮은 (즉, 결정성이 낮다) 재료이다. 탄소화시킬 때의 열처리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The carbonaceous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a low degree of graphitization (i.e., low crystallinity), obtained by carbonizing a carbon precursor at a temperature of 2000 占 폚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t the time of carbon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500 deg. C or higher, for example.

탄소질 재료의 예로는, 열처리 온도에 의해 탄소의 구조를 용이하게 바꾸는 이흑연성 (易黑鉛性) 탄소, 및 유리상 탄소로 대표되는 비정질 구조에 가까운 구조를 갖는 난흑연성 (難黑鉛性) 탄소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rbonaceous material include graphite-free carbon which easily changes the structure of carbon due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non-graphite-like carbonaceous materials having a structure close to an amorphous structure typified by glassy carbon, Carbon.

여기서, 이흑연성 탄소의 예로는, 석유 또는 석탄으로부터 얻어지는 타르 피치를 원료로 한 탄소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코크스,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 (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 열분해 기상 성장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Here, as examples of graphitizable carbon, there can be mentioned a carbon material obtained by using tar pitch obtained from petroleum or coal as a raw material.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coke, mesocarbon microbeads (MCMB),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s, pyrolysis-phase grown carbon fibers, and the like.

또, 난흑연성 탄소의 예로는, 페놀 수지 소성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 섬유, 유사 등방성 탄소, 푸르푸릴알코올 수지 (PFA) 소성체, 및 하드 카본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graphitizable carbon include phenol resin fired bodies, polyacrylonitrile carbon fibers, pseudo isotropic carbon, furfuryl alcohol resin (PFA) fired bodies, and hard carbon.

흑연질 재료는, 이흑연성 탄소를 2000 ℃ 이상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흑연에 가까운 높은 결정성을 갖는 재료이다. 열처리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00 ℃ 이하로 할 수 있다.The graphite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a high crystallinity close to graphite obtained by heat-treating graphitizing carbon at 2000 ° C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5000 占 폚 or lower.

그리고, 흑연질 재료의 예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graphite material include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여기서, 인조 흑연의 예로는, 이흑연성 탄소를 포함한 탄소를 주로 28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인조 흑연, MCMB 를 20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MCMB, 메소페이즈 피치계 탄소 섬유를 2000 ℃ 이상에서 열처리한 흑연화 메소페이즈 피치 계 탄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rtificial graphite include artificial graphite heat-treated with carbon containing graphitizing carbon at a temperature of 2800 ° C or higher, graphitized MCMB heat-treated with MCMB at a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and mesophase pitch- Graphitized mesophase pitch-based carbon fibers, and the like.

금속계 부극 활물질이란, 금속을 포함하는 활물질이고, 통상은 리튬의 삽입이 가능한 원소를 구조에 포함하고, 리튬이 삽입된 경우의 단위 질량당의 이론 전기 용량이 500 mAh/g 이상인 활물질을 말한다. 이용할 수 있는 금속계 활물질의 예로는, 리튬 금속, 리튬 합금을 형성할 수 있는 단체 금속 (예를 들어, Ag, Al, Ba, Bi, Cu, Ga, Ge, In, Ni, P, Pb, Sb, Si, Sn, Sr, Zn, Ti 등) 및 그 합금, 그리고 그들의 산화물, 황화물, 질화물, 규화물, 탄화물, 인화물 등을 들 수 있다.A metal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n active material containing a metal and includes an element capable of inserting lithium in its structure and having a theoretical capacity per unit mass of 500 mAh / g or more when lithium is inserted. Bi, Cu, Ga, Ge, In, Ni, P, Pb, Sb, and Ni, which can form a lithium metal or a lithium alloy, Si, Sn, Sr, Zn, Ti, etc.) and alloys thereof, and oxides, sulfides, nitrides, silicides, carbides and phosphides thereof.

그리고, 금속계 부극 활물질 중에서도, 규소를 포함하는 활물질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 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고용량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Among the metal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silico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preferable. This is because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silico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예로는, 규소 (Si),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SiO, SiOx, Si 함유 재료와 탄소 재료의 혼합물, Si 함유 재료를 도전성 카본으로 피복 또는 복합화하여 이루어지는 Si 함유 재료와 도전성 카본의 복합화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ilicon (Si), an alloy containing silicon, SiO, SiO x, Si-containing material and the mixture of the carbon material, the Si-containing material and a conductive carbon made by coating or compounding a Si-containing material as a conductive carbon And the like.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의 예로는, 규소와, 알루미늄과, 철을 포함하고, 또한 주석 및 이트륨 등의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합금은 예를 들어, 용융 방사법 (meltspun method) 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금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65569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alloys containing silicon include alloys containing silicon, aluminum, and iron, and further containing rare earth elements such as tin and yttrium. Such an alloy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the meltspun method. Examples of such an alloy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13-65569.

SiOx 는, SiO 및 SiO2 의 적어도 일방과, Si 를 함유하는 화합물이고, x 는, 통상 0.01 이상 2 미만이다. 그리고, SiOx 는, 예를 들어 일산화규소 (SiO) 의 불균화 반응을 이용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SiOx 는, SiO 를, 임의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열처리하여, 규소와 이산화규소를 생성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열처리는, SiO 와, 임의로 폴리머를 분쇄 혼합한 후, 유기물 가스 및/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 9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SiO x is a compound containing Si and at least one of SiO and SiO 2 , and x is usually 0.01 or more and less than 2. The SiO x can be formed using a disproportionation reaction of, for example, silicon monoxide (SiO 2). Specifically, SiO x can be prepared by heat-treating SiO in the presence of a polymer such as polyvinyl alcohol, to produce silicon and silicon dioxide. The heat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900 占 폚 or higher, preferably 1000 占 폚 or higher, in an atmosphere containing SiO2 and optionally a polymer and then containing organic gas and / or steam.

Si 함유 재료와 탄소 재료의 혼합물의 예로는, 규소나 SiOx 등의 Si 함유 재료와, 탄소질 재료나 흑연질 재료 등의 탄소 재료를, 임의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머의 존재하에서 분쇄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질 재료나 흑연질 재료의 예로는, 탄소계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ixture of the Si-containing material and the carbon material include a mixture of a Si-contain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r SiO x and a carbon material such as a carbonaceous material or a graphite material optionally in the presence of a polymer such as polyvinyl alcohol . Examples of the carbonaceous material and the graphite material include materials usable as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i 함유 재료와 도전성 카본의 복합화물의 예로는, SiO 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머와, 임의로 탄소 재료의 분쇄 혼합물을, 예를 들어 유기물 가스 및/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SiO 의 입자에 대해, 유기물 가스 등을 사용한 화학적 증착법에 의해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 SiO 의 입자와 흑연 또는 인조 흑연을 메카노케미컬법에 의해 복합 입자화 (조립화) 하는 방법 등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mposite material of the Si-containing material and the conductive carbon include a compound obtained by heat-treating SiO and a polymer such as polyvinyl alcohol and optionally a pulverized mixture of a carbon material under an atmosphere containing, for example, an organic gas and / . A method of coating a surface of a SiO 2 particl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an organic gas or the like, a method of granulating a SiO 2 particle and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into a composite particle by a mechanochemical method, Method can be used.

여기서, 탄소계 부극 활물질이나 금속계 부극 활물질을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한 경우, 이들 부극 활물질은 충방전에 수반해 팽창 및 수축한다. 그 때문에, 이들 부극 활물질을 사용한 경우에는, 통상 부극 활물질의 팽창 및 수축의 반복에서 기인해, 부극이 점차 부풀어, 이차 전지가 변형해 사이클 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부극에서는, 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및 수용성 증점제 (C) 에 의해 형성되는 가교 구조에 의해, 부극 활물질의 팽창 및 수축에서 기인한 부극의 부풀음을 억제해,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r the metal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pands and shrinks with charge and discharge. Therefore, when thes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re 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egative electrode gradually becomes swollen due to the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deformed to deteriorat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ycle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negative electrode formed us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crosslinking structure formed by the crosslinking agent (A),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water-soluble thickening agent (C) The swell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상기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을 이용하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고용량화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은 충방전에 수반해 크게 (예를 들어 5 배 정도로) 팽창 및 수축한다. 그래서, 부극의 부풀음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고용량화하는 관점에서는, 탄소계 부극 활물질과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혼합물을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ilicon 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ed,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increased. In general, however, the silicon 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pands and contracts largely (for example, about 5 times) with charge and discharg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le sufficiently suppressing the swell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ilicon 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여기서, 탄소계 부극 활물질과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혼합물을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부극의 부풀음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충분히 고용량화하는 관점에서는, 탄소계 부극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로서 Si,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SiOx, Si 함유 재료와 탄소 재료의 혼합물, 및 Si 함유 재료와 도전성 카본의 복합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로서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및 Si 함유 재료와 도전성 카본의 복합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 및 도전성 카본의 매트릭스 중에 SiOx 가 분산된 복합화물 (Si-SiOx-C 복합체) 의 적어도 일방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부극 활물질은, 비교적 대량의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한편으로, 리튬을 흡장 및 방출했을 때의 체적 변화가 비교적 작다. 따라서, 이들 부극 활물질을 이용하면, 충방전 시의 부극 활물질의 체적 변화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부극을 사용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충분히 고용량화할 수 있다. 또, 규소를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한 경우,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충분히 고용량화할 수 있음과 함께, 초기 쿨롱 효율이나 사이클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a mixtur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ilicon 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rtificial graphite as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le sufficiently suppressing swell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 an alloy including silicon, a mixture of SiO x , a Si-containing material and a carbon material, and a composite material of a Si-containing material and a conductive carbon as a silicon- preferred, and a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lloy as an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and a Si-containing material and, and is more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carbon composite product of, an alloy containing silicon, and SiO x are dispersed in a conductive carbon matrix, to the use of at least one in particular of the composite cargo (Si-SiO x -C complex) desirable. Thes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re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thium, while a volume change when inserting and discharging lithium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by using thes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med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volume chang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Further, when an alloy containing silicon is used,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sufficiently high in capacity, and the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and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또, 탄소계 부극 활물질과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혼합물을 부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부극의 부풀음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충분히 고용량화하는 관점에서는, 부극 활물질은, 탄소계 부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을 0 질량부 초과 100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상 70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극 활물질이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을 포함 (즉, 탄소계 부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의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양을 0 질량부 초과로 한다) 함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충분히 고용량화할 수 있다. 또, 탄소계 부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의 실리콘계 부극 활물질의 양을 1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부극의 부풀음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When a mixture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le sufficiently suppressing swell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licon 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more than 0 parts by mass and 10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more and 70 parts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0 parts by mass or more and 50 parts by mass or less.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have a sufficiently high capacity by including the silico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is, making the amount of the silico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carbonaceou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greater than 0 part by mass). In addition, by making the amount of the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parts by mass or less, occurrence of swell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부극 활물질은, 입자상으로 정립 (整粒) 된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형상이 구형이면, 전극 성형 시에 보다 고밀도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into a granular shape. When the shape of the particles is spherical, a higher density electrode can be formed at the time of electrode formation.

부극 활물질이 입자인 경우, 그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이차 전지의 다른 구성 요건과의 균형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구체적인 부극 활물질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통상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통상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여기서,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법으로 측정된 입도 분포에 있어서 소직경측으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 % 가 되는 입자 직경을 채용한다.Wh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particle, it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balance with other constituent requirement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is usually not less than 0.1 占 퐉, preferably not less than 1 占 퐉,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3 占 퐉, usually not more than 100 占 퐉, preferably not more than 50 占 퐉,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0 占 퐉 Or less. Here,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adopts a particle diameter in which the cumulative volume calculated from the small diameter side is 50%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laser diffraction method.

부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출력 밀도 향상의 관점에서, 통상 0.3 ㎡/g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g 이상이고, 통상 20 ㎡/g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 이하이다. 부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예를 들어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ually 0.3 m 2 / g or larger, preferably 0.5 m 2 / g or larger, more preferably 0.8 m 2 / g or larger and usually 20 m 2 / g or smaller, Is 10 m < 2 > / 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m < 2 > / g or les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the BET method.

〔2.1.2. 정극 활물질〕[2.1.2.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정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정극에 있어서 전자를 주고받는 물질로서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적절히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a substance to exchange electrons at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정극 활물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산화물, 또는 리튬과 천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이 금속의 예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니켈을 함유하는 화합물, 특히 리튬과 니켈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리튬과 니켈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은, 종래부터 리튬계 이차 전지의 정극 활물질로서 이용되고 있는 코발트산리튬 (LiCoO2) 과 비교해, 고용량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리튬과 니켈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kinds of active materials can be used. For example, a compound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specifically, an oxide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or a composite oxide of lithium and a transition metal can be used. Examples of such a transition metal include cobalt, manganese, nickel, iron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und containing nickel, particularly, a composite oxide containing lithium and nickel is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the composite oxide containing lithium and nickel is preferable because it is in a high capacity as compared with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a lithium-based secondary battery. The composite oxide containing lithium and nickel includes, for example, thos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s.

LiNi1-x-yCoxMyO2 LiNi 1-xy Co x M y O 2

(단, 0 ≤ x < 1, 0 ≤ y < 1, x + y < 1, M 은, B, Mn, 및 Al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소)(Wherein 0? X <1, 0? Y <1, x + y <1, and M is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B, Mn,

정극 활물질은, 평균 입자 직경이 0.01 ∼ 3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 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정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정극 활물질의 도전성이 저하하고, 이차 전지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부 저항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정극 활물질의 평균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정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슬러리화했을 때에, 슬러리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해 버려, 양호한 슬러리를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30 mu m, more preferably 0.02 to 20 mu m.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too small, the conductiv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ecreases and the internal resistance in the case of using the secondary battery becomes large. 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excessively large, the dispersibility in the slurry is lowered when the slurry is formed to form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roduce a good slurry.

〔2.2. 바인더 조성물의 비율〕2.2. Ratio of binder composition]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 중의, 상기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의 비율은, 원하는 전지의 성능이 얻어지도록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에 대한, 바인더 조성물 중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비율이 원하는 범위가 되도록 바인더 조성물의 비율을 적절히 조정해, 원하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에 대한, 바인더 조성물 중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부 이하이다. 당해 비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필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당해 비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저항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opor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adjusted so as to obtain a desired battery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desired composition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ropor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so that the ratio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n the binder composition to the 100 parts by ma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within a desired range. The ratio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n the binder composition to 100 parts by ma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preferably 0.01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1 parts by mass or more, and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less Is not more than 7 parts by mass. By setting the ratio above the lower limit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fill strength can be obtained, and by making the ratio lower than the upper limit, resistance increase can be prevented.

〔2.3. 수용성 증점제 (C)〕2.3. Water-soluble thickener (C)]

수용성 증점제 (C) 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의 증점제이다. 수용성 증점제 (C) 는,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 조정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층의 물성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고, 그 결과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soluble thickener (C) is a water-soluble thickener having a carboxyl group.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an function as a viscosity adjuster of the slurry composition. 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by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re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state, and as a result, properties such as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증점제가 「수용성」이라는 것은, 이온 교환수 100 질량부당 증점제 1 질량부 (고형분 상당) 를 첨가하여 교반해 얻어지는 혼합물을, 온도 20 ∼ 70 ℃ 의 범위 내이고, 또한 pH 3 ∼ 12 (pH 조정에는 NaOH 수용액 및/또는 HCl 수용액을 사용) 의 범위 내인 조건 중 적어도 일조건으로 조정하고, 250 메시의 스크린을 통과시켰을 때에,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고 스크린 상에 남는 잔류물의 고형분의 질량이, 첨가한 증점제의 고형분에 대해 50 질량%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증점제와 물의 혼합물이, 정치한 경우에 2 상으로 분리되는 에멀션 상태라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면 그 증점제는 수용성이라고 규정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water-solub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at a mixture obtained by adding and stirring 1 part by mass (corresponding to solid content) of a thickener per 100 parts by mass of ion-exchanged water is stirred at a temperature of 20 to 70 ° C, To 12 (a condition in which the NaOH aqueous solution and / or the aqueous HCl solution is used for the pH adjustment), and when passing through a screen of 250 mesh, the solid content of the residue remaining on the scree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creen Means that the mass does not exceed 50 mass% with respect to the solid content of the added thickener. Even if the mixture of the thickener and water is in an emulsion state in which the mixture is separated into two phases when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if the above definition is satisfied, the thickening agent is defined as water-soluble.

수용성 증점제 (C) 로는,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복실산,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알긴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증점제 (C) 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include, for example,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eth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ethyl cellulose, polyvinyl alcohol, polycarboxylic acid, and salts thereof. Examples of the polycarboxylic acid include polyacrylic acid, polymethacrylic acid, and alginic acid. As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t an arbitrary ratio.

수용성 증점제 (C) 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이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증점제 (C) 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포함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 water-soluble thickening agent (C) preferably contains carboxymethylcellulose or a salt thereof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carboxymethylcellulose (salt)"). Since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ontains carboxymethylcellulose (salt), the workability when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can be improved.

여기서, 수용성 증점제 (C) 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에테르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에테르화도가 0.4 이상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에테르화도가 0.4 미만이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분자 내 및 분자 간의 수소 결합이 강고하기 때문에 수용성 증점제 (C) 가 겔상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증점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져,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 시의 작업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얻어진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가교제 (A) 를 개재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때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가교제 (A) 가 반응하기 어려워져, 얻어지는 전극의 특성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 에테르화도가 1.5 이하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함으로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1 분자당의 수산기의 수가 충분해져, 후술하는 가교제 (A) 와의 반응성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가 가교제 (A) 를 개재하여 양호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교 구조의 형성에 의해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의 결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When carboxymethylcellulose (salt) is used as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the degree of etherification of the carboxymethylcellulose (salt) used is preferably 0.4 or more, more preferably 0.7 or more, and preferably 1.5 Or less, more preferably 1.0 or less. By using carboxymethylcellulose (salt) having an etherification degree of 0.4 or mor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When the degree of etherification is less than 0.4,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an become a gel product because the hydrogen bond between molecules and molecules in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is strong. Further, when preparing the slurry composition, it is difficult to obtain a thickening effec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is deteriorated. Further, when the obtained slurry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via the crosslinking agent (A), the reaction betwee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and the crosslinking agent (A) becomes difficult, . Further, by using carboxymethyl cellulose having an etherification degree of 1.5 or less,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per one molecule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becomes sufficient and the reactivity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 described later becomes good. Therefore, since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can form a good cross-linking structure via the cross-linking agent (A), as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binder property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ade excellent.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에테르화도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구성하는 무수 글루코오스 1 단위당, 카르복실메틸기 등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수산기의 수의 평균값을 말하고, 0 초과 3 미만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에테르화도가 커지면 커질수록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1 분자 중의 수산기의 비율이 감소하고 (즉, 치환기의 비율이 증가한다), 에테르화도가 작을수록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1 분자 중의 수산기의 비율이 증가 (즉, 치환기의 비율이 감소한다)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테르화도 (치환도)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34962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The degree of etherifica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salt) refers to the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substituted by substituents such as carboxylmethyl group per 1 unit of anhydroglucose constituting carboxymethylcellulose (salt), and a valu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3 I can take it. As the degree of etherification increases, the proportion of hydroxyl groups in one molecule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decreases (that is, the proportion of substituents increases) and the proportion of hydroxyl groups in one molecule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I.e., the proportion of the substituent decreases). This degree of etherification (degree of substitu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34962.

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Pa·s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0 mPa·s 이하이다. 1 질량%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그 수용액의 점도가 500 mPa·s 이상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에 적당히 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0 mPa·s 이하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의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B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 회전수 60 rpm 으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The viscosity of the 1 mass% aqueous solu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salt) is preferably 500 mPa · s or more, more preferably 1000 mPa · s or more, preferably 10000 mPa · s or less, 9000 mPa s or less. A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can have appropriate viscosity by using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having an aqueous solution viscosity of 500 mPa 占 퐏 or more when it is a 1 mass% aqueous solution. Therefore, the workability in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to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can be improved. Further, by using carboxymethylcellulose (salt) having a viscosity of 1 mass% aqueous solution of 10000 mPa.s or less, the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is not excessively increased, and when the slurry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collector,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b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mproved. The viscosity of a 1 mass% aqueous solu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salt) is measured using a B-type viscometer at 25 占 폚 at a revolution of 60 rpm.

수용성 증점제 (C) 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이하 「폴리카르복실산(염)」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용성 증점제 (C) 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폴리카르복실산(염) 을 병용함으로써, 바인더 조성물의 결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용성 증점제 (C) 를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것에 수반해, 그 전극을 사용한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병용하는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바람직한 예로는, 알긴산 및 알긴산의 염 (이하, 이들을 총칭해 「알긴산(염)」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의 염 (이하, 이들을 총칭해 「폴리아크릴산(염)」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을 들 수 있고, 폴리아크릴산(염) 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수용성 증점제 (C) 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과,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긴산이나 폴리아크릴산은, 폴리메타크릴산 등과 비교해 이차 전지의 전해액 중에 있어서 과도하게 팽윤하기 어렵고, 이와 같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알긴산(염) 또는 폴리아크릴산(염) 을 병용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폴리아크릴산(염) 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비교해 가교제 (A) 와 양호하게 반응하므로, 폴리아크릴산을 이용하면, 가교제 (A) 를 개재한 가교 구조의 형성 반응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More preferably,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includes carboxymethylcellulose (salt) and polycarboxylic acid or a salt thereof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polycarboxylic acid (salt)").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and polycarboxylic acid (salt) as the water-soluble thickening agent (C) can improve the binding property of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binder composition obtained b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the binder composi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As a result, the cycle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of th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Herein, preferred examples of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used in combination with carboxymethylcellulose (salt) include salts of alginic acid and alginic acid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lginic acid (sal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quot; polyacrylic acid (salt) &quot; in some cases), and polyacrylic acid (sal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omprises carboxymethylcellulose or a salt thereof and a polyacrylic acid or a salt thereof. Alginic acid or polyacrylic acid is less likely to swell excessively in an electrolyte solution of a secondary battery as compared with polymethacrylic acid or the like. By using carmethyl methyl cellulose (salt) and alginic acid (salt) or polyacrylic acid (salt) Th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Since polyacrylic acid (salt) reacts well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 as compared with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the use of polyacrylic acid can promote the reaction of forming the crosslinking structure via the crosslinking agent (A) Because.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증점제 (C) 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폴리카르복실산(염) 을 포함하는 경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배합량과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의 합계 중,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배합량과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의 합계 중,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0.1 질량% 이상임으로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와 폴리카르복실산(염) 을 병용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리 조성물의 결착성을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의 배합량과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의 합계 중, 폴리카르복실산(염) 의 배합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질량% 이하임으로써,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지지 않아, 슬러리 조성물의 결착성 및 이온 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ontains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and polycarboxylic acid (salt)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amount of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and the amount of polycarboxylic acid The proportion of the total amount of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to be incorporated is preferably 0.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0.5%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and preferably 20% % Or less, more preferably 10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 mass% or less. (Salt) and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account for 0.1% by mass or more of the total amount of the carboxymethylcellulose (salt) and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in the total amount of the polycarboxylic acid It is possible to satisfactorily improve the binding property of the slurry composition an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b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and the current collector . The proportion of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to the total amount of the carboxymethyl cellulose (salt) and the polycarboxylic acid (salt) is 20% by mass or less,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excessively hardened, and binding properties and ionic conductiv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can be ensured. In addi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by using the slurry composition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satisfactorily improved.

수용성 증점제 (C) 의 중합도는, 적절한 점도를 얻는다는 등의 관점에서, 적당히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수용성 증점제 (C) 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1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3000 이다.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appropriate viscosity and the like.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is preferably from 100 to 10,000, more preferably from 500 to 3,000.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에 대한 수용성 증점제 (C) 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이다. 수용성 증점제 (C) 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를 적당한 크기로 해서,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 등에 도포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 수용성 증점제 (C) 를 0.5 질량부 이상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양호한 사이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전극 활물질 100 질량부당 수용성 증점제 (C) 를 5 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전극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The proportion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 least 0.1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0.5 parts by mass, still more preferably at least 1.0 part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5 parts by mass, and even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3 parts by mass.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size,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slurry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or the like. By mixing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a proportion of 0.5 parts by mass or more, good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Further, by combining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a proportion of 5 parts by mass or less, the resistance of the resulting electrode can be reduced.

〔2.4. 물 및 기타 용매〕2.4. Water and other solvents]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용매 및/또는 분산매로서 기능한다. 통상,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서는, 가교제 (A) 는 물에 용해되어 있거나 혹은 분산되어 있고, 입자상 결착제 (B) 및 전극 활물질은 물에 분산되어 있고, 수용성 증점제 (C) 는 물에 용해되어 있다.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water. The water functions as a solvent and / or a dispersion medium in the slurry composition. Usually,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A)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ersed in water,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have.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는, 용매로서 물 이외의 용매를 물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극 활물질층의 형성 전에 가교제 (A) 와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는 관점에서, 물 이외의 용매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vent other than wate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ater as a solvent.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the reaction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 before form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매의 양은, 각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고, 또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 등의 물성이, 슬러리 조성물의 사용에 적절한 원하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슬러리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다.The amount of the solvent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uniformly dispersed or dissolv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viscosity of the slurry composition fall within a desired range suitable for use of the slurry compositio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specific slurry composition is preferably 30%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40% by mass or more, preferably 90%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0% by mass or less.

〔2.5. 기타 성분〕2.5. Other ingredients]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도전제, 보강재, 레벨링제, 전해액 첨가제,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로는, 전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된 것, 구체적으로는 국제 공개 제2012/115096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ponents such as a conductive agent, a reinforcing agent, a leveling agent, an electrolyte additive, and a cellulose nanofib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As these, those which do not affect the cell reac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or example, those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those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2/115096.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2.6.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2.6. Preparation of slurry composition]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전극 활물질, 수용성 증점제 (C), 및 물 등의 다른 임의의 성분을, 임의의 순서로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 수용성 증점제 (C) 및 물을 혼합하고, 추가로 물로 고형분 농도를 조정해 혼합액을 얻고, 이 혼합액에,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을 첨가하고, 또 혼합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탈포 처리 등의 임의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 water-soluble thickener (C), and other arbitrary components such as water in an arbitrary order. For example,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by mix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and water, further adjusting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ith water, , And further optionally subjected to optional treatment such as defoaming treatment, if necessary, to obtain a slurry composition.

또는,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 시에는, 혼합계에, 바인더 조성물의 성분인 가교제 (A) 및 입자상 결착제 (B) 를 동시에 또는 순차 첨가하고,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Alternatively, at the time of preparing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A) and the particulate binder (B), which are components of the binder composition,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dded to the mixing system,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각 성분의 혼합은, 구체적으로는 볼 밀, 샌드 밀, 비즈 밀, 안료 분산기, 뇌궤기, 초음파 분산기, 호모게나이저, 플래니터리 믹서, 필 믹스 등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성분의 혼합은, 통상 실온 ∼ 80 ℃ 의 범위에서, 10 분 ∼ 수시간 실시할 수 있다. Concretely, mixing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carried out using a mixer such as a ball mill, a sand mill, a bead mill, a pigment dispersing machine, a brain ball, an ultrasonic dispersing machine, a homogenizer, a planetary mixer and a fill mix. The mixing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carried out usually at room temperature to 80 ° C for 10 minutes to several hours.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 시에는, 혼합계에, 입자상 결착제 (B) 이외의, 원하지 않는 산이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그 대부분이 입자상 결착제 (B) 의 중합 시에 잔존한 미반응의 단량체, 입자상 결착제 (B) 의 중합 시에 생성된 중합도가 낮은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또는 이들 양방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산은, 가교제 (A) 와 반응해, 가교제 (A) 를 소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산이 많이 존재하면, 입자상 결착제 (B) 등의, 가교되는 것이 소망되는 물질의 가교에 제공되는 가교제 (A) 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교제 (A) 의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대량으로 가교제 (A) 를 첨가하면, 필 강도가 오히려 저하하고, 사이클 특성 등의 특성이 저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는, 입자상 결착제 (B) 에 대한 그러한 산의 비율을 저감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가교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When the slurry composition is prepared, unwanted acids other than the particulate binder (B)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mixing system. Most of these acids are unreacted monomers remaining in the polymeriz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ligomers containing a carboxylic acid group having a low degree of polymerization produced during polymeriz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t comes from. These acids react with the crosslinking agent (A) to consume the crosslinking agent (A). Therefore, when such an acid is present in a large amoun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o be crosslinked, such as the particulate binder (B), which is desired to be crosslinked, is relatively reduced. In such a case, if a larg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is added in order to exhibit the effec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he peel strength may be rather lowered and the properties such as cycle characteristics may be lowered. However, in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tio of such acid to the particulate binder (B) can be reduced, good crosslinking can be easily obtained.

〔3.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3.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해,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공정 (도포 공정) 과, 집전체 상에 도포된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해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 (건조 공정) 과, 임의로 전극 활물질층을 추가로 가열하는 공정 (가열 공정) 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at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to form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pecifically, there are a step (coating step) of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to a collector, a step of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applied on the current collector to form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current collector (drying step) , And optionally a step of further heat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eating step).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실시한 경우, 예를 들어 건조 공정 시에 가해진 열이나,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한 열에 의해, 가교제 (A) 를 개재한 가교 반응이 진행된다. 즉, 전극 활물질층 중에, 수용성 증점제 (C) 끼리, 수용성 증점제 (C) 와 입자상 결착제 (B), 및/또는 입자상 결착제 (B) 끼리가 가교제 (A) 를 개재하여 가교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고, 이 가교 구조에 의해, 충방전에 수반하는 부풀음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추가로 고온 사이클 특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등, 이차 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for example, the crosslinking reaction through the crosslinking agent (A) proceeds by the heat applied in the drying step or the heat added in the heating step. That is, a cross-linked structure in which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 or the particulate binder (B) The cross-linking structure can suppress the blistering caused by charging and discharging,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further improve characteristics such as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3.1. 도포 공정〕 3.1. Coating process]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도포 방법의 예로는, 닥터 블레이드법, 딥법, 리버스 롤법, 다이렉트 롤법, 그라비어법, 익스트루전법, 브러시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의 편면에만 도포해도 되고, 양면에 도포해도 된다. 도포 후 건조 전의 집전체 상의 슬러리막의 두께는, 건조해 얻어지는 전극 활물질층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on th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include a doctor blade method, a dipping method, a reverse roll method, a direct roll method, a gravure method, an extrusion method, and a brush coating method. At this time, the slurry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only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or may be applied to both surfaces. The thickness of the slurry film on the current collector before application and after drying can be suit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btained by drying.

여기서, 슬러리 조성물을 도포하는 집전체로는, 전기 도전성을 갖고, 또한 전기 화학적으로 내구성이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집전체의 예로는, 철, 구리, 알루미늄, 니켈, 스테인리스강, 티탄, 탄탈, 금,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극에 사용하는 집전체로는 구리박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정극에 사용하는 집전체로는, 알루미늄박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As the current collector to which the slurry composition is applied, a material having electr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ly durable is used. Specifically, examples of current collectors that can be used include current collectors made of iron, copper, aluminum, nickel, stainless steel, titanium, tantalum, gold, platinum and the like. Among them, a copper foil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On the other hand, as th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positive electrode, aluminum foil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se material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n arbitrary ratio.

〔3.2. 건조 공정〕3.2. Drying process]

집전체 상의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 방법의 예로는,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 진공 건조, 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한 건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전체 상의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함으로써,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해,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을 얻을 수 있다. 슬러리 조성물을 건조할 때에는, 가해진 열에 의해 가교제 (A) 를 개재한 가교 반응이 진행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on th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drying method include hot air, hot air, low-humidity air drying, vacuum drying, and drying by irradiation with infrared rays or electron beams. By drying the slurry composition on the current collector in this manner,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to obtain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urrent collector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hen the slurry composition is dried, the crosslinking reaction through the crosslinking agent (A) can proceed due to the applied heat.

건조 공정 후, 금형 프레스 또는 롤 프레스 등을 이용해, 전극 활물질층에 가압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가압 처리에 의해,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fter the drying step,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subjected to pressure treatment using a die press or a roll press. By the pressing treatment,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improved.

또, 전극 활물질층의 형성 후에, 가열 공정을 실시해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가교 구조를 더 충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열 공정은, 80 ℃ ∼ 160 ℃ 에서, 1 시간 ∼ 20 시간 정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fter the formation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 heating step is carried out to proceed the crosslinking reaction to make the crosslinking structure more sufficient. The heat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at 80 to 160 DEG C for about 1 to 20 hours.

〔4. 이차 전지〕〔4.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정극과, 부극과, 전해액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정극, 부극 또는 이들 양방이,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이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이러한 전극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극 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의 휴대전화, 타블렛, 퍼스널 컴퓨터, 전기 자동차, 정치형 비상용 축전지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both of them a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such an electr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secure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for example,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personal computer, an electric vehicle, and a stationary emergency battery.

〔4.1. 전극〕4.1. electrode〕

이차 전지의 정극 및 부극 중 일방만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인 경우, 타방의 전극으로는, 이미 알려진 전극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극만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인 경우, 정극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으로서 사용되는 이미 알려진 정극으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정극만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인 경우, 부극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부극으로서 사용되는 이미 알려진 부극으로 할 수 있다.When only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an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wn electrode can be used as the other electrode. For example, when only the negative electrode is an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a known positive electrode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urther, for example, when only the positive electrode is an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 known negative electrode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4.2. 전해액〕4.2. Electrolyte solution]

전해액으로는, 용매에 전해질을 용해한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electrolytic solution, an electrolytic solution in which an electrolyte is dissolved in a solvent can be used.

여기서, 용매로는, 전해질을 용해 가능한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매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등의 알킬카보네이트계 용매에, 2,5-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아세트산메틸, 디메톡시에탄, 디옥소란, 프로피온산메틸, 포름산메틸 등의 점도 조정 용매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solvent, an organic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an electrolyte can be used. Specifically, as the solvent, an alkyl carbonate solvent such as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or? -Butyrolactone is added with an organic solvent such as 2,5-dimethyltetrahydrofuran, tetrahydrofuran, dieth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 Methyl acetate, dimethoxyethane, dioxolane, methyl propionate, and methyl formate may be added.

전해질로는, 리튬염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염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4303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리튬염 중에서도, 유기 용매에 용해하기 쉽고, 높은 해리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전해질로는 LiPF6, LiClO4, CF3SO3Li 가 바람직하다. As the electrolyte, a lithium sal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lithium salt include those described in JP-A-2012-204303. Of these lithium salts, in that it is easy to dissolve in an organic solvent, shows a high degree of dissoci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lyte is LiPF 6, LiClO 4, CF 3 SO 3 Li.

또, 전해액으로는, 폴리머 및 상기 전해액을 함유하는 겔 전해질이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진성 폴리머 전해질이어도 된다.The electrolytic solution may be a gel electrolyte containing the polymer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or may be an intrinsic polymer electrolyte.

〔4.3. 세퍼레이터〕4.3. Separator]

세퍼레이터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4303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세퍼레이터 전체의 막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이차 전지 내의 전극 활물질의 비율을 높게 해 체적당 용량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의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염화비닐) 로 이루어지는 미다공막이 바람직하다. 또, 세퍼레이터로서 비도전성 입자를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로 결착해 이루어지는 다공막을 구비하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해도 된다.As an example of the separator, those describ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204303 can be used. Among them, polyolefin resin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ene,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chloride) is preferab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eparator comprising a porous film obtained by binding non-conductive particles with a binder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parator.

〔4.4.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4.4.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예를 들어 정극과, 부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중첩하고, 이것을 필요에 따라 전지 형상에 따라 감거나, 접거나 해 전지 용기에 넣고, 전지 용기에 전해액을 주입해 봉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 상승, 과충방전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퓨즈, PTC 소자 등의 과전류 방지 소자, 익스팬디드 메탈, 리드판 등을 설치해도 된다. 이차 전지의 형상은, 예를 들어 코인형, 버튼형, 시트형, 원통형, 각형, 편평형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I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attery is wrapped or fol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as required, And can be manufactured by sealing. An overcurrent prevention element such as a fuse, a PTC element, an expanded metal, a lead plat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internal pressure rise and overcharge discharg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rom occurring. The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for example, a coin shape, a button shape, a sheet shape, a cylindrical shape, a square shape, or a flat shap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따로 기재하지 않는 한 상온 및 상압의 조건에 있어서 실시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embodiment, parts and% are on a mass bas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operations described below were carried out under normal temperature and normal pressure conditions unless otherwise stated.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바인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시험, 표면 산량 및 수상 중의 산량 측정, 필 강도 및 고온 사이클 특성의 판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storage stability test, the surface acid amount, the acid amount measurement in the aqueous phas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fill strength and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binder composition were carried out as follows.

<바인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시험> &Lt; Storage stability test of binder composition &gt;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 (단위 : mPa·s) 를 B 형 점도계로 측정한 후, 40 ℃ 로 가온한 오븐에 1 주간 저장하였다. 저장 후에, B 형 점도계로 다시 점도를 측정하고, 점도 변화를 다음 식으로 계산하고,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viscosity (unit: mPa · s) of the binder composition was measured by a B-type viscometer and then stored in an oven heated at 40 ° C for 1 week. After storage, the viscosity was again measured with a B-type viscometer, and the change in viscosity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nd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점도 변화 (%) = (저장 후의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저장 전의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 × 100(%) = (Viscos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after storage) / (viscos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before storage) x 100

A : 110 % 미만 A: less than 110%

B : 110 % 이상 120 % 미만 B: 110% or more and less than 120%

C : 120 % 이상 130 % 미만C: 120% or more and less than 130%

D : 130 % 이상D: Over 130%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의 측정>&Lt; Measurement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m㏖/g), 및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 (m㏖/g) 을, 하기 조작에 의해 측정하였다.(M mol / g) of the particulate binder (B)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acid (m mol / g)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Respectively.

용량 150 ㎖ 의 유리 용기를,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이 용기에, 고형분 농도 4 % 의 바인더 조성물 50 g 을 넣고, 용액 전도율계 (쿄토 전자 공업사 제조 : CM-117, 사용 셀 타입 : K-121) 에 세트해 교반하였다. 이후, 교반은 염산의 첨가가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였다. 바인더 조성물의 전기 전도도가 2.5 ∼ 3.0 (mS) 이 되도록, 0.1 규정의 수산화나트륨 (와코 쥰아쿠사 제조 : 시약 특급) 을 바인더 조성물에 첨가한 후, 6 분 경과하고 나서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 값을 측정 개시 시의 전기 전도도로 하였다. 이 바인더 조성물에 0.1 규정의 염산 (와코 쥰아쿠사 제조 : 시약 특급) 을 0.5 ㎖ 첨가하고 30 초 후에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직후에, 재차 0.1 규정의 염산을 0.5 ㎖ 첨가하고 30 초 후에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염산의 첨가와, 30 초 후의 전기 전도도의 측정을, 바인더 조성물의 전기 전도도가 측정 개시 시의 전기 전도도 이상이 될 때까지 반복해 실시하였다. A glass container having a capacity of 150 ml was rinsed with distilled water. 50 g of a binder composi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4% was placed in the container, and the mixture was set in a solution conductivity meter (CM-117 manufactured by Kyoto Electronics Industry Co., Ltd., used cell type: K-121) and stirred. Thereafter, stirring was continued until the addition of hydrochloric acid was completed. 0.1 Concentration of sodium hydroxid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imited: reagent grade) was added to the binder composition so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was 2.5 to 3.0 (m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after 6 minutes passed. This value was defined as the electric conductivity at the start of measurement. 0.5 ml of 0.1 N hydrochloric acid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reagent grade) was added to this binder composition,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was measured after 30 seconds. Immediately after the measurement, 0.5 ml of 0.1 N hydrochloric acid was added again,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was measured 30 seconds later. Thus, the addition of hydrochloric acid and the measurement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fter 30 seconds were repeated until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binder composition becam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일반적으로, 입자상 결착제 표면 및 수상 양방에 산이 존재하는 바인더 조성물에 대해 이와 같은 적정을 실시하고, 얻어지는 전기 전도도 데이터를, 세로축을 전기 전도도 (mS) 로 하고, 가로축을 첨가한 염산의 누계량 (m㏖) 으로 한 그래프 상에 플롯하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개의 변화점 (그래프가 구부러지는 점) 을 갖는 염산량-전기 전도도 곡선이 얻어진다. 3 개의 변화점의 X 좌표 및 염산 첨가 종료 시의 X 좌표를, 값이 작은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각각 P1, P2, P3 및 P4 로 하고, X 좌표가 0 으로부터 P1 까지의 구분, P1 로부터 P2 까지의 구분, P2 로부터 P3 까지의 구분 및 P3 으로부터 P4 까지의 구분의 각각 내의 데이터에 대해, 최소 이승법에 의해 근사 직선 L1, L2, L3 및 L4 를 구하였다. L1 과 L2 의 교점의 X 좌표를 A1 (m㏖), L2 와 L3 의 교점의 X 좌표를 A2 (m㏖), L3 과 L4 의 교점의 X 좌표를 A3 (m㏖) 으로 하였다.Generally, such titration is carried out on the surface of the particulate binder and the binder composition in which the acid exists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ata obtained are shown in the form of a cumulative amount of hydrochloric acid (mS) m mol), a hydrochloric acid amount-electric conductivity curve having three changing points (a point at which the graph is bent) is obtained as shown in Fig. The X coordinate at the time of the three change point X coordinate, and hydrochloric acid was added end of, respectively P 1, P 2, P 3 and P 4 in the order from the side of the smaller values and, X coordinates are separated from 0 to P 1, from P 1 for the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respectively in the data in the segment from P 3 to P 4 from P 2 to P 3 to P 2, the approximate straight line by the least square method L 1, L 2, L 3 and L 4 was obtained. The X coordinate of the intersection of L 1 and L 2 is A 1 (m mol), the X coordinate of the intersection of L 2 and L 3 is A 2 (m mol), the X coordinate of the intersection of L 3 and L 4 is A 3 ( m mol).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을, 각각 식 (a) 및 식 (b) 로부터, 염산 환산한 밀리당량 (m㏖/g) 으로서 구하였다. 또한,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총 산량을, 식 (c) 로부터 구하였다.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rom the formulas (a) and (b) m mol / g). The total amount of acid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was determined from the formula (c).

식 (a) :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m㏖/g) = (A2 - A1)/(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g)) (A): surface acid amount (ml / g) of the particulate binder (B)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 (A 2 - A 1 ) / (mass of solid component

식 (b) :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1 g 당의 수상 중의 산량 (m㏖/g) = (A3 - A2)/(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g))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per 1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composition (m) / (g) = (A 3 - A 2 ) / (mass of solid component (g)

식 (c) :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g 당의 총 산량 (m㏖/g) = (A3 - A1)/(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g))(C): total amount of the binder composition per gram of solids per gram (m mol / g) = (A 3 - A 1 ) / (mass of solids in the binder composition (g)

<필 강도> <Peel Strength>

이차 전지용 전극을, 폭 1 ㎝ × 길이 10 ㎝ 의 사각형으로 잘라 시험편으로 하고, 전극 활물질층측의 표면을 위로 해 고정하였다. 시험편의 전극 활물질층측의 표면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 (貼付) 한 후, 시험편의 일단으로부터 셀로판 테이프를 50 ㎜/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하고, 박리할 때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10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 이것을 필 강도로 하였다. 이 값이 클수록 전극의 밀착 강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또, 부극의 평가에 있어서는,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was cut into a square having a width of 1 cm and a length of 10 cm to prepare a test piece, and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ide was fixed and fixed. A cellophane tape was stuck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ide, and the cellophane tape was peeled from one end of the test piece at a rate of 50 mm / min in the direction of 180 占 and the stress at the time of peeling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en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which was regarded as the peel strength. The larger this value is, the larger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electrode is. The negative electrod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 : 5 N/m 이상 A: 5 N / m or more

B : 3 N/m 이상 ∼ 5 N/m 미만 B: 3 N / m or more and less than 5 N / m

C : 3 N/m 미만C: Less than 3 N / m

<고온 사이클 특성><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5 개의 단층 라미네이트 셀형 전지를 50 ℃ 분위기하, 1.0 C 의 정전류법에 의해 4.2 V 로 충전하고, 3.0 V 까지 방전하는 충방전 조작을 반복해, 전기 용량을 측정하였다. 5 개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여, 200 사이클 종료 시의 전기 용량과 5 사이클 종료 시의 전기 용량의 비 (%) 로 나타내는 충방전 용량 유지율을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판정을 실시하였다. 이 값이 높을수록 고온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charging five single-layer laminate cell cells at 4.2 V under a constant current of 1.0 C under an atmosphere of 50 캜 and discharging them to 3.0 V were repeated to measure the electric capacity. The charge / discharge capacity retention ratio, which is represented by the ratio of the electric capacity at the end of the 200 cycles to the electric capacity at the end of the fifth cycle (%), was taken as a measurement value of five average values. The higher the value, the better the high-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A : 80 % 이상 A: 80% or more

B : 60 % 이상 80 % 미만 B: 60% or more and less than 80%

C : 40 % 이상 60 % 미만 C: 40% or more and less than 60%

D : 40 % 미만D: Less than 40%

〔실시예 1〕[Example 1]

(1-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1-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2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3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4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2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3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4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1-2.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1-2 Preparation of Binder Composition)

공정 (1-1) 에서 얻은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 1.5 부 (고형분 기준) 와, 가교제 (A)(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SV-02」, NCN 당량 429, 1 상 수용성) 0.075 부 (고형분 기준) 를 혼합하고 (즉,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해, 가교제 (A) 5 질량부가 되는 질량비), 물을 첨가하여 고형분 비율을 40 % 로 조정해, 바인더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바인더 조성물에 대해, 저장 안정성을 시험하고, 또한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을 측정하였다.1.5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of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step (1-1) and 2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polycarbodiimide, product name: (I.e., a mass ratio of 5 parts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0.075 parts by mass To adjust the solid content ratio to 40% to obtain a binder composition.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obtained binder composition was tested, and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were measured.

(1-3.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1-3. Preparation of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수용성 증점제 (C) 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약칭 「CMC」,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Daicel 2200」) 를 사용하였다. 수용성 증점제 (C) 의 중합도는 1700, 에테르화도는 0.65 였다.Carboxymethylcellulose (abbreviated as "CMC", Daicel 2200, manufactured by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was used as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had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700 and an etherification degree of 0.65.

또, 부극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 (체적 평균 입자 직경 : 24.5 ㎛, 흑연층 간 거리 (X 선 회절법에 의한 (002) 면의 면간격 (d 값)) : 0.354 nm) 을 사용하였다.(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4.5 占 퐉, graphite interlayer distance (plane spacing (d value) of (002) plane by X-ray diffraction method: 0.354 nm) wa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디스퍼가 부착된 플래니터리 믹서에, 인조 흑연 100 부 및 상기 수용성 증점제 (C) 의 1 % 수용액 1 부 (고형분 기준) 를 각각 첨가하고,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55 % 로 조정한 후, 25 ℃ 에서 60 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52 % 로 조정한 후, 추가로 25 ℃ 로 15 분간 교반해, 혼합액을 얻었다. 100 parts of artificial graphite and 1 part (by solid content) of a 1% aqueous solution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were added to a planetary mixer with a dispenser, and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55% C &lt; / RTI &gt; for 60 minutes. Next, the solid content was adjusted to 52% with ion-exchanged water, and further stirred at 25 캜 for 15 minutes to obtain a mixed solution.

이 혼합액에, (1-2) 에서 얻은 바인더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1.575 부 (즉, 입자상 결착제 1.5 부 및 폴리카르보디이미드 0.075 부) 넣고, 물을 첨가해 최종 고형분 농도가 50 % 가 되도록 조정하고, 추가로 10 분간 혼합하였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탈포 처리하여, 유동성이 양호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1.575 parts (that is, 1.5 parts of particulate binder and 0.075 parts of polycarbodiimide) of the binder composition obtained in (1-2) was added to this mixed solution, and water was added to the mixture to obtain a final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50% And further mixed for 10 minutes. This was degass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owability.

(1-4. 부극의 제조) (1-4. Preparation of negative electrode)

공정 (1-3) 에서 얻은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두께 20 ㎛ 의 구리박 표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15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2 분간 건조 (0.5 m/분의 속도, 60 ℃) 하고, 2 분간 가열 처리 (120 ℃) 해 전극 원단을 얻었다. 이 전극 원단을 롤 프레스로 압연해, 부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80 ㎛ 인 이차 전지용 부극을 얻었다. 얻어진 부극에 대해, 필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The slurry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1-3)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with a comma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became 150 占 퐉 and dried for 2 minutes (at a rate of 0.5 m / ) And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120 ° C) for 2 minutes to obtain an electrode cloth. The electrode fabric was rolled by a roll press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hickness of 80 mu m. The obtained negative electrode was subjected to measurement of the peel strength.

(1-5.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1-5. Preparation of Slurry 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정극 활물질로서의 스피넬 구조를 갖는 LiCoO2 95 부에, 정극 활물질층용결착제로서 PVDF (폴리불화비닐리덴) 를 고형분량이 3 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또한 아세틸렌 블랙 2 부 및 N-메틸피롤리돈 20 부를 첨가하고, 플래니터리 믹서로 혼합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PVDF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binder for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added to 95 parts of LiCoO 2 having a spinel structure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2 parts of acetylene black and 20 parts of N-methylpyrrolidone were added And mixed with a planetary mixer to obtain a slurry 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6. 정극의 제조) (1-6. Preparation of positive electrode)

공정 (1-5) 에서 얻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집전체인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 상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200 ㎛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이 건조는, 알루미늄박을 0.5 m/분의 속도로 60 ℃ 의 오븐 내를 2 분간에 걸쳐 반송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그 후, 120 ℃ 에서 2 분간 가열 처리해, 정극 활물질을 갖는 정극을 얻었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1-5) was coated on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as a current collector with a comma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about 200 mu m and dried. This drying was carried out by conveying the aluminum foil in an oven at 60 ° C for 2 minutes at a rate of 0.5 m / min. Thereafter, it wa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120 ° C for 2 minutes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7.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 (1-7. Preparation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전지의 외장으로서 알루미늄포재 외장을 준비하였다.An aluminum-coated sheath was prepared as an exterior of the battery.

상기 공정 (1-6) 에서 얻어진 정극을, 4.6 × 4.6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 사각형의 정극을 얻었다. The posi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above step (1-6) was cut into a square of 4.6 x 4.6 cm &lt; 2 &gt; to obtain a square positive electrode.

상기 공정 (1-4) 에서 얻어진 부극을, 5 × 5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 사각형의 부극을 얻었다.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above step (1-4) was cut into a square of 5 × 5 cm 2 to obtain a rectangular negative electrode.

단층의 폴리프로필렌제 세퍼레이터 (셀 가이드사 제조 「셀 가이드 2500」) 를, 5 × 5 ㎠ 의 정방형으로 잘라내, 사각형의 세퍼레이터를 얻었다.A single-layered polypropylene separator ("Cell Guide 2500" manufactured by Cell Guide) was cut into a square of 5 × 5 cm 2 to obtain a rectangular separator.

사각형의 정극을, 그 집전체측의 표면이 알루미늄포재 외장에 접하도록, 알루미늄포재 외장 내부에 배치하였다. 사각형의 정극의 정극 활물질층측의 표면 상에, 사각형의 세퍼레이터를 배치하였다. 또한, 사각형의 부극을 사각형의 세퍼레이터 상에, 부극 활물질층측의 표면이 세퍼레이터에 마주보도록 배치하였다. 전해액 (용매 : EC/DEC/VC = 68.5/30/1.5 체적비, 전해질 : 농도 1 M 의 LiPF6) 을 공기가 남지 않도록 주입하였다. 또한, 알루미늄포재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서, 150 ℃ 의 히트시일을 해 알루미늄 외장을 폐구해, 단층 라미네이트 셀형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었다.A rectangular positive electrode was placed inside the aluminum-containing sheath so that the surface of the collector side was in contact with the aluminum-covered sheath. A rectangular separator wa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ide of the rectangular positive electrode. Further, the square negative electrode was disposed on a separator of a quadrangle, and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ide was facing the separator. The electrolyte (solvent: EC / DEC / VC = 68.5 / 30 / 1.5 volume ratio, electrolyte: LiPF 6 with a concentration of 1 M) was injected so that no air remained. Further, in order to seal the openings of the aluminum foil, a heat seal of 150 DEG C was carried out and the aluminum sheath was closed to obtain a single layer laminate cell typ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충방전을, 레이트 0.1 C 로 3 회 반복해, 소정 용량이 발현하는 것을 확인한 후, 고온 사이클 특성을 시험하였다.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obtained lithium ion secondary cell was repeated three times at a rate of 0.1 C to confirm that a predetermined capacity was expressed, and then the high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were tested.

〔실시예 2 ∼ 3〕[Examples 2 to 3]

공정 (1-2) 의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가교제 (A) 로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SV-02」) 대신에,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E-02」, NCN 당량 445, 에멀션, 실시예 2) 또는 2,2'-비스(2-옥사졸린)(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 옥사졸린 당량 140, 1 상 수용성, 실시예 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ocess (1-2), a polycarbodiimide (manufactured by Nisshinbo Chemical Co., Ltd.) was used in place of the polycarbodiimide ("Carbodilite (registered trademark) SV-02" , 2,2'-bis (2-oxazoline)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oxazoline equivalents: 140, 1 (trade name), trade name: Carbodilite (registered trademark) E-02, NCN equivalent 445, emulsio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used.

〔실시예 4 ∼ 5〕[Examples 4 to 5]

하기 점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llowing points were changed.

· 공정 (1-2) 의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가교제 (A) 의 첨가량 (고형분 기준) 을 0.01 부 (실시예 4), 또는 0.15 부 (실시예 5) 로 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step (1-2), 0.01 part (Example 4) or 0.15 part (Example 5) of the addition amount (based on solid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was used.

· 공정 (1-3) 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부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바인더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1.51 부 (즉, 입자상 결착제 1.5 부 및 폴리카르보디이미드 0.01 부, 실시예 4), 또는 1.65 부 (즉, 입자상 결착제 1.5 부 및 폴리카르보디이미드 0.15 부, 실시예 5) 로 하였다.1.51 parts (that is, 1.5 parts of particulate binder and 0.01 part of polycarbodiimide, Example 4) in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 the step (1-3) , Or 1.65 parts (i.e., 1.5 parts of particulate binder and 0.15 part of polycarbodiimide, 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6-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6-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3.8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0.2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5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3.8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0.2 part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5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6-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6-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6-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 (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실시예 7〕[Example 7]

(7-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7-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3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1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5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3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1 part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5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7-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7-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7-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obtained in the step (7-1) instead of the aqueous dispersion obtained in the step (1-1) of Example 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실시예 8〕[Example 8]

(8-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8-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0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7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2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0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7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2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8-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8-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8-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replaced with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8-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실시예 9〕[Example 9]

(9-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9-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2.5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3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4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5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2.5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3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4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0.5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9-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9-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9-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used in Example (1) was replaced by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실시예 10〕 [Example 10]

(10-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0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3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2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0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3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2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5 parts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10-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10-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replaced with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10-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실시예 11 ∼ 13〕[Examples 11 to 13]

공정 (1-1) 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는 시기를, 중합 전화율이 50 % 가 된 시점 (실시예 11), 중합 전화율이 60 % 가 된 시점 (실시예 12), 또는 중합 전화율이 85 % 가 된 시점 (실시예 13)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n the step (1-1), the timing of adding 2-hydroxyethyl acrylate was changed from 60% (Example 11) to 60% ,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was 85% (Example 13).

〔실시예 14〕[Example 14]

(14-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중합캔 A 에, 이온 교환수 74 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나트륨염) 0.2 부, 과황산암모늄 0.3 부 및 이온 교환수 9.7 부를 첨가하고, 70 ℃ 로 가온해 30 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와는 별도의 중합캔 B 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2 부, 아크릴로니트릴 64 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의 이타콘산 3 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0.3 부를 투입하고, 이온 교환수 74 부를 첨가해 교반함으로써, 에멀션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에멀션을, 약 200 분에 걸쳐 중합캔 B 로부터, 중합캔 A 에 순서대로 첨가한 후,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약 180 분 교반하고, 단량체 소비량이 97 % 이상이 된 시점에서 냉각해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로써,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To the polymerizable can A were added 74 parts of ion-exchanged water, 0.2 part of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odium sulfate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ulfate sodium salt), 0.3 part of ammonium persulfate and 9.7 parts of ion-exchanged water, The mixture was warmed and stirred for 30 minutes. Subsequently, 32 parts of 2-ethylhexyl acrylate, 64 parts of acrylonitrile, 3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and 0.3 part of sodium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ulfate were charged into the polymerization cans B separate from the above And 74 parts of ion-exchanged water were added and stirred to prepare an emulsion. The emulsion thus prepared was added sequentially from the polymerization can B to the polymerization can A over a period of about 200 minutes, and then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at the time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The mixture was stirred for about 180 minutes, cooled at the point when the monomer consumption became 97% or more, and the reaction was terminated. Thus, an aqueous dispersion liquid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obtained.

(14-2.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14-2 Preparation of Binder Composition)

공정 (14-1) 에서 얻은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 1.5 부 (고형분 기준) 와, 가교제 (A)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SV-02」, NCN 당량 429, 1 상 수용성) 0.12 부 (고형분 기준) 를 혼합하고 (즉,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해, 가교제 (A) 8 질량부가 되는 질량비), 물을 첨가해 고형분 비율을 40 % 로 조정해, 바인더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바인더 조성물에 대해, 저장 안정성을 시험하고, 또한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바인더 조성물 수상 중의 산량을 측정하였다.1.5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of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step (14-1) and 2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polycarbodiimide, product name: &quot; Carbodilite (registered trademark) SV (I.e., a mass ratio of 8 parts by mass of the crosslinking agent (A)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0.12 parts by mass The solids content ratio was adjusted to 40% to obtain a binder composition.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obtained binder composition was tested, and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mount of acid in the binder composition aqueous phase were measured.

(14-3.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의 조제)(14-3 Preparation of Slurry Composition for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디스퍼가 부착된 플래니터리 믹서에, Li(Ni0.5Co0.3Mn0.2)O2 98 부, 도전재로서의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HS-100, 덴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2 부 및 상기 수용성 증점제 (C) 의 1 % 수용액 (실시예 1 의 공정 (1-3) 에서 준비한 것과 동일한 것) 1 부 (고형분 기준) 를 각각 첨가하고,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80 % 로 조정한 후, 25 ℃ 에서 60 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온 교환수로 고형분 농도 70 % 로 조정한 후, 추가로 25 ℃ 에서 15 분간 교반해, 혼합액을 얻었다.98 parts of Li (Ni 0.5 Co 0.3 Mn 0.2 ) O 2 , 2 parts of acetylene black (Denka Black HS-100, manufactured by Denki Kagaku Kogyo K.K.) as the conductive material and 2 parts of the water-soluble thickener (C ) (1 part (the same as that prepared in the step (1-3) of Example 1) of solid content of 80% by weight was added thereto, Lt; / RTI &gt; Nex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adjusted to 70% with ion-exchanged water and further stirred at 25 캜 for 15 minutes to obtain a mixed solution.

이 혼합액에, (14-2) 에서 얻은 바인더 조성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1.62 부 (즉, 입자상 결착제 1.5 부 및 폴리카르보디이미드 0.12 부) 넣고, 물을 첨가해 최종 고형분 농도가 50 % 가 되도록 조정하고, 추가로 10 분간 혼합하였다. 이것을 감압하에서 탈포 처리해, 유동성이 양호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정극용 슬러리 조성물을 얻었다.To this mixed solution, 1.62 parts (namely, 1.5 parts of particulate binder and 0.12 parts of polycarbodiimide) of the binder composition obtained in (14-2) was added, and water was added thereto so that the final solid content concentration became 50% And further mixed for 10 minutes. This was degassed under a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flowability.

(14-4. 정극의 제조)(14-4 Production of positive electrode)

공정 (14-3) 에서 얻은 슬러리 조성물을, 콤마 코터로, 두께 20 ㎛ 의 알루미늄박의 표면에, 건조 후의 막두께가 8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2 분간 건조 (0.5 m/분의 속도, 60 ℃) 하고, 2 분간 가열 처리 (120 ℃) 해 전극 원단을 얻었다. 이 전극 원단을 롤 프레스로 압연해, 정극 활물질층의 두께가 50 ㎛ 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정극을 얻었다. 얻어진 정극에 대해 필 강도의 측정을 실시한 바, 필 강도는 30 N/m 였다.The slurry composition obtained in the step (14-3)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占 퐉 by a comma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was 80 占 퐉 and dried for 2 minutes (at a rate of 0.5 m / ° C.), and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120 ° C.) for 2 minutes to obtain an electrode cloth. The electrode fabric was rolled by a roll press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ving a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50 m.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for the obtain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peel strength was 30 N / m.

(14-5. 부극의 제조)(14-5 Production of Negative Electrode)

공정 (1-2) 의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가교제 (A) 를 첨가하지 않고, 입자상 결착제 (B) 의 첨가량을 1.575 부 (고형분 기준)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1) ∼ (1-4) 와 마찬가지로 해, 리튬 이온 이차 부극을 얻었다.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changed to 1.575 parts (solid basis) without adding the cross-linking agent (A) in the prepa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step (1-2) In the same manner as in 1-1) to (1-4), a lithium ion secondary negative electrode was obtained.

(14-6.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14-6 Production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정극 및 부극으로서 공정 (1-6) 에서 얻어진 정극 및 공정 (1-4) 에서 얻어진 부극 대신에, 공정 (14-4) 및 공정 (14-5) 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7) 과 마찬가지로 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Except for using the posi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step (1-6) a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one obtained in the step (14-4) and the step (14-5) in pl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obtained in the step (1-4)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tep (1-7),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as obtained and evaluat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C1-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C1-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2.5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3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4.5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09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2.5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3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4.5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0.09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C1-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C1-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C1-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replaced with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C1-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C2-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C2-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33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0.05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66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In a 5 MPa pressure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33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0.05 part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66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C2-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C2-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C2-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replaced with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C2-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C3-1.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C3-1. Preparation of particulate binder (B)

교반기가 부착된 5 ㎫ 내압 용기에,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로서 1,3-부타디엔 20 부와,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로서 이타콘산 32 부와,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47 부와, 유화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4 부와, 이온 교환수 150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t-도데실메르캅탄 0.4 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5 부를 넣고, 충분히 교반한 후, 50 ℃ 로 가온해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70 % 가 된 시점에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 부를 첨가하였다. 중합 전화율이 96 % 가 된 시점에서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해,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을 얻었다.20 parts of 1,3-butadiene a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32 parts of itaconic acid a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47 parts of styrene as an aromatic vinyl monomer, 4 parts of sodium silbenzenesulfonate, 150 parts of ion exchanged water, 0.4 part of t-dodecyl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0.5 par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put into the flask and sufficiently stirred. .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70%, 1 par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96%,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cooling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C3-2.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3-2 binder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입자상 결착제 (B) 의 수분산액으로서 실시예 1 의 공정 (1-1) 에서 얻은 것 대신에, 상기 공정 (C3-1) 에서 얻은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 (1-2) ∼ (1-7)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1-2)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replaced with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C3-1) (1-7), a binder composition, a negative electrod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비교예 4 ∼ 5〕[Comparative Examples 4 to 5]

공정 (1-1) 의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는 시기를, 중합 전화율이 0 % 인 시점 (즉 중합 개시와 동시, 비교예 4), 또는 중합 전화율이 40 % 가 된 시점 (비교예 5) 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 부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 In the prepar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n the step (1-1), the timing of addition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changed from the time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was 0% (i.e., , Or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was 40% (Comparative Example 5), the binder compositio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공정 (16-2) 의 바인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가교제 (A) 를 첨가하지 않고, 입자상 결착제 (B) 의 첨가량을 1.62 부 (고형분 기준)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마찬가지로 해, 바인더 조성물을 얻어 평가하고, 또한 정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어 평가하였다. 얻어진 정극에 대해 필 강도의 측정을 실시한 바, 필 강도는 8 N/m 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6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was changed to 1.62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without adding the crosslinking agent (A) in the preparation of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step (16-2) , And the binder composition was evaluate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ere also evaluated.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peel strength was found to be 8 N / m.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작의 개요 및 평가 결과를, 표 1 ∼ 표 3 에 나타낸다.Table 1 to Table 3 summarize the operation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evaluation results.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중의 약호는, 각각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The abbreviations in the table indicate the following.

사용 (A) : 사용한 가교제 (A). SV-02 :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SV-02」, NCN 당량 429, 1 상 수용성. E-02 : 폴리카르보디이미드, 닛신보 케미컬사 제조, 제품명 「카르보딜라이트 (등록상표) E-02」, NCN 당량 445, 에멀션. 옥사졸린 : 2,2'-비스(2-옥사졸린),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 옥사졸린 당량 140, 1 상 수용성. Use (A): Crosslinking agent (A) used. SV-02: polycarbodiimide, product name "Carbodilite (registered trademark) SV-02", manufactured by Nisshinbo Chemical Co., Ltd., NCN equivalent 429, single phase water solubility. E-02: polycarbodiimide, product name "Carbodilite (registered trademark) E-02", manufactured by Nisshinbo Chemical Co., NCN equivalent 445, emulsion. Oxazoline: 2,2'-bis (2-oxazoline),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oxazoline equivalent 140, single phase water solubility.

(A) 첨가량 : 가교제 (A) 의 첨가량.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한 비율 (부) (A) Addition amount: Amount of addition of crosslinking agent (A). (Parts)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표면 산량 :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m㏖/g) Surface acid amount: Surface acid amount (ml / g) of particulate binder (B)

수상 중 산량 : 바인더 조성물의 수상 중의 산량 (m㏖/g)Acid amount in water: amount of acid in aqueous phase of binder composition (mmol / g)

산량비 :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m㏖/g))/(바인더 조성물의 수상중의 산량 (m㏖/g)) (Amount of Surface Acid in Particulate Binder (B) (m mol / g)) / (Amount of Acid in Water of Binder Composition (m mol / g))

이타콘산량 :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사용한 이타콘산의 양 (부) Itaconic acid amount: amount of itaconic acid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articulate binder (B) (part)

2HEA 량 :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사용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양 (부) 2HEA Amount: Amount (parts) of 2-hydroxyethyl acrylate used for preparing particulate binder (B)

2HEA 첨가 시 전화율 :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는 시기의, 기타 단량체의 중합 전화율 (%) Conversion rate when 2HEA was added: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 of other monomers at the time of adding 2-hydroxyethyl acrylate

St 량 :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사용한 스티렌의 양 (부) St: Amount (part) of styrene used for preparing particulate binder (B)

Bd 량 : 입자상 결착제 (B) 의 조제에 사용한 1,3-부타디엔의 양 (부) Amount of Bd: Amount (parts) of 1,3-butadiene used for preparing particulate binder (B)

저장 안정 : 저장 안정성 시험의 평가 결과 Storage st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storage stability test

필 강도 : 필 강도의 평가 결과Peel Strength: Evaluation results of peel strength

사이클 특성 : 사이클 특성의 평가 결과Cycle characteristics: Evaluation results of cycle characteristics

표 1 ∼ 표 3 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의 표면 산량, 수상 중 산량, 및 산량비를 갖는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한 본원 실시예는,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 모두에 있어서 밸런스가 잡힌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As is clear from the results of Tables 1 to 3, the present examples using the binder composition having the surface acid amount, the acid amount in water, and the acid amount ratio withi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both storage stability, And a high performance in which a balance is obtained.

표 1 로부터, 본원 규정의 범위 내에서 가교제 (A) 의 종류를 실시예 1 과 상이한 것으로 변경한 실시예 2 및 3 도,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From Table 1, it can be seen that Examples 2 and 3, in which the type of crosslinking agent (A) was chang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Example 1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excellent in storage stability, pee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본원 규정의 범위 내에서 가교제 (A) 의 양을 실시예 1 과 상이한 값으로 조정한 실시예 4 및 5 도,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 모두에 있어서 밸런스가 잡힌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Examples 4 and 5 in which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was adjusted to a value different from that in Example 1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ed high performance in balance in terms of storage stability, fil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

본원 규정의 범위 내에서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수층 중 산량을 실시예 1 과 상이한 값으로 조정한 실시예 6 ∼ 10 도,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에 있어서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 및 수층 중 산량이 본원 규정의 범위 밖인 비교예 2 및 3 은, 저장 안정성, 필 강도, 사이클 특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Examples 6 to 10 in which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cid amount in the aqueous layer were adjusted to values different from those in Example 1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howed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storage stability, pee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in which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and the acid amount in the water layer were outside the range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orage stability, pee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were inferior.

본원 규정의 범위 내에서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과 수상 산량의 비율을 실시예 1 과 상이한 값으로 조정한 실시예 11 ∼ 13 도,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에 있어서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과 수상 산량의 비율이 본원 규정의 범위 밖인 비교예 1, 4 및 5 는 저장 안정성,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Examples 11 to 13 in which the ratios of the surface acid amount and the aqueous acid amount ratio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particulate binder (B) were adjusted to values different from those in Example 1 were also found to have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storage stability, . &Lt; / RTI &gt;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4 and 5 in which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and the amount of water-receiving acid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outside the range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orage stability, pee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are inferior.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정극에 적용한 실시예 14 와, 비교예 6 의 대비로부터,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정극에 적용해도, 필 강도 및 사이클 특성에 있어서 유리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Example 14 and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hat a beneficial effect is obtained in the peel strength and cycle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bind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Claims (10)

가교제 (A), 입자상 결착제 (B) 및 물을 포함하고, 수상 및 고상을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로서,
상기 가교제 (A) 는, 카르복실산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고,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는,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의 표면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고형분 질량 전체량에 대한, 상기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이 0.01 m㏖/g 이상 1.0 m㏖/g 이고,
상기 표면 산량의 비율의 값을, 상기 수상 중의 산량의 비율의 값으로 나눈 값이, 1.0 이상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A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rosslinking agent (A), a particulate binder (B) and water, and having an aqueous phase and a solid phase,
The crosslinking agent (A)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reacts with a carboxylic acid,
The particulate binder (B) contains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of the particulate binder (B) to the total mass of solids of the binder composition is not less than 0.01 mmol / g and not more than 1.0 mmol / g,
The ratio of the amount of the acid in the aqueous phase to the total mass of solids in the binder composition is 0.01 mmol / g to 1.0 mmol / g,
Wherei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surface acid amount by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amount of acid in the aqueous phase is 1.0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에 있어서의,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기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portion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group monomer units in the particulate binder (B) is 0.1% by mass or more and 30% by mass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가, 추가로 에틸렌성 불포화 수산기 함유 단량체 단위를, 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articulate binder (B) further contains 0.1% by mass or more and 20% by mass or less of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A) 가,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및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an oxazoline compound, and a carbodiimide compoun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가, 지방족 공액 디엔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rticulate binder (B) further contains an aliphatic conjugated diene monomer unit and an aromatic vinyl monomer uni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결착제 (B)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가교제 (A) 의 양이, 0.0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articulate binder (B) is 0.001 parts by mass or more and 20 parts by mass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전극 활물질, 및 수용성 증점제 (C) 를 함유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binder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water-soluble thickener (C).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증점제 (C) 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ter-soluble thickening agent (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ethylmethylcellulose, polyvinylalcohol, polycarboxylic acid, A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슬러리 조성물을, 집전체 상에 도포, 건조해, 전극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pplying the slurry composi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7 or 8 onto a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form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정극과, 부극과, 전해액과,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상기 정극, 상기 부극, 또는 이들 양방이, 제 9 항에 기재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or both are electrodes produc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9.
KR1020167013732A 2013-12-25 2014-12-09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2832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7524 2013-12-25
JPJP-P-2013-267524 2013-12-25
PCT/JP2014/082595 WO2015098507A1 (en) 2013-12-25 2014-12-09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99A true KR20160102399A (en) 2016-08-30
KR102283287B1 KR102283287B1 (en) 2021-07-28

Family

ID=5347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732A KR102283287B1 (en) 2013-12-25 2014-12-09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14080B2 (en)
KR (1) KR102283287B1 (en)
CN (1) CN105765775B (en)
WO (1) WO201509850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520A (en) * 2017-09-12 2020-05-13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de mixtur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45A1 (en) * 2014-07-11 2016-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Positiv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19711B1 (en) * 2016-09-26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 acrylic binder for the manufacturing of cathode of lithium sulfur secondary battery and the usage thereof
WO2018174565A1 (en) * 2017-03-22 2018-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for all-soli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07667B1 (en) * 2017-03-31 2023-03-0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orous film,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orous film,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orous film,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10521038B (en) * 2017-04-19 2021-06-29 日本A&L株式会社 Binder for electrode, composition for electrode, and electrode
CN108933260A (en) * 2017-05-23 2018-12-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Water-soluble electrode binder, electrode plate, preparation method of electrode plate and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KR102403529B1 (en) * 2017-11-17 2022-05-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A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 a sheet containing a solid electrolyte, an electrode sheet for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eet containing a solid electrolyte and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WO2019107229A1 (en) * 2017-11-30 2019-06-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functional layer, functional layer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cell member for non-aqueous secondary cell,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JP7238379B2 (en) 2017-12-18 2023-03-14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Thermally crosslinkable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slurry for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CN111009662A (en) 2018-10-05 2020-04-14 荒川化学工业株式会社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slurry for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WO2020203371A1 (en) * 2019-03-29 2020-10-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12094372B (en) 2019-06-17 2023-07-14 荒川化学工业株式会社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slurry for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2421034A (en) 2019-08-22 2021-02-26 荒川化学工业株式会社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slurry for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battery
US11955641B2 (en) 2019-08-30 2024-04-09 Zeon Corporation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WO2021039675A1 (en) * 2019-08-30 2021-03-04
KR102336689B1 (en) 2019-09-05 2021-12-08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ion battery electrode, slurry for lithium-ion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EP3796434A1 (en) 2019-09-17 2021-03-24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ion battery, slurry for lithium-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y, and lithium-ion battery
KR102301237B1 (en) 2020-03-09 2021-09-10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Binder aqueous solution for electrode of lithium ion battery, slurry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KR102336695B1 (en) 2020-03-30 2021-12-06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Binder aqueous solution for lithium ion battery, slurry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battery, and lithium ion battery
CN114520329A (en) * 2020-11-19 2022-05-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Adhesiv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slurry
CN113161549B (en) * 2021-03-25 2022-08-02 万向一二三股份公司 Photo-crosslinking binder system, slurry composition containing photo-crosslinking binder system and application of slurry composition
CN115141598A (en) * 2021-03-29 2022-10-04 天目湖先进储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5960280B (en) * 2021-10-12 2023-12-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Adhesiv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119A1 (en) 2009-04-03 2010-10-0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JP2011134618A (en) 2009-12-25 2011-07-0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WO2011096463A1 (en) * 2010-02-03 2011-08-1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13182765A (en) * 2012-03-01 2013-09-12 Asahi Kasei Chemicals Corp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binder
WO2013147007A1 (en) * 2012-03-30 2013-10-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WO2013183717A1 (en) * 2012-06-07 2013-1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lithium 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ce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4738A (en) * 2005-09-26 2007-04-05 Asahi Kasei Chemicals Corp Copolymer latex, coating composition for coating printing paper and coated paper for printing
JP2010125610A (en) * 2008-11-25 2010-06-10 Nippon Zeon Co Ltd Binder composition for inkjet recording medium, coating composition for inkjet recording medium, inkjet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kjet recording medium
JP5259373B2 (en) * 2008-12-19 2013-08-07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binder
WO2012111425A1 (en) * 2011-02-14 2012-08-23 昭和電工株式会社 Slurries obtained using binder for cell electrodes, electrodes obtained using slurries, and lithium-ion secondary cell obtained using electrodes
JP2013127959A (en) * 2011-11-18 2013-06-27 Unitika Ltd Aqueous binder liquid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queous paste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produced with aqueous binder liquid,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JP2013206759A (en) * 2012-03-29 2013-10-0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Aqueous composition for forming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TW201349647A (en) * 2012-04-12 2013-12-01 Mitsubishi Rayon Co Secondary battery electrode binder resi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N104247109B (en) * 2012-04-23 2016-08-24 日本瑞翁株式会社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9583278B2 (en) * 2012-06-18 2017-02-28 Jsr Corporation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electrodes, slurry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electrodes, electrical storage device electrode, and electrical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119A1 (en) 2009-04-03 2010-10-0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JP2011134618A (en) 2009-12-25 2011-07-0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Binder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WO2011096463A1 (en) * 2010-02-03 2011-08-1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13182765A (en) * 2012-03-01 2013-09-12 Asahi Kasei Chemicals Corp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binder
WO2013147007A1 (en) * 2012-03-30 2013-10-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WO2013183717A1 (en) * 2012-06-07 2013-12-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lithium io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ce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520A (en) * 2017-09-12 2020-05-13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Electrode mixtur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5775A (en) 2016-07-13
CN105765775B (en) 2018-05-11
KR102283287B1 (en) 2021-07-28
JP6414080B2 (en) 2018-10-31
WO2015098507A1 (en) 2015-07-02
JPWO2015098507A1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287B1 (en)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253883B1 (en)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battery negative electrode, secondary-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JP6481609B2 (en) Secondary battery binder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JP6645187B2 (en)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756350B2 (en) Binder, method of preparing the binder, and an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binder
KR102292440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cell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cell electrode,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secondary cell
KR102272378B1 (en)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s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5761197B2 (e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binder composition
KR102339491B1 (en)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element electrode,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nd electrochemical element
KR102039034B1 (en) Composite particles for negative electrodes of secondary batteries, use of sam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binder composition
KR20170012226A (en)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lithium ion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lithium ion secondary cell
KR20150131014A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ies,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ies,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KR20140018882A (en)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cell, slurry composition for negative electrode, and method of producing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KR20170053615A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battery electrode, secondary-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WO2015133154A1 (en) Binder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orous membran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369485B1 (en) Binder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slurry composition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secondary battery
KR20160113585A (en) Slurry composition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20004332A1 (en) Binder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6455015B2 (en) Secondary battery binder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US11978906B2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y
JP6579250B2 (en) Secondary battery binder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US20230041792A1 (en) Binder for secondary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