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466A -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66A
KR20160101466A KR1020150024065A KR20150024065A KR20160101466A KR 20160101466 A KR20160101466 A KR 20160101466A KR 1020150024065 A KR1020150024065 A KR 1020150024065A KR 20150024065 A KR20150024065 A KR 20150024065A KR 20160101466 A KR20160101466 A KR 20160101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sheet
piezoelectric
tooth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준
최종연
윤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2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466A/ko
Publication of KR2016010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시트와, 상기 압전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치아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상부 수지시트와 하부 수지시트로 형성된 측정시트를 이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압전 판독단계 및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스캔 판독단계를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치아형상 측정방법{Method for Measuring Shape of Teeth}
본 발명은 치아형상 측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전시트 및 압전 측정유닛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치아의 치료를 위해 치아의 교합상태를 측정하거나 치아에 대한 입체 영상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알맞도록 치료를 한다.
치과의 치료 후 치아의 교합상태가 올바르게 이루어 지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치아의 부정교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추후 치아의 손상이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부정교합이란,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시 상하치아 간의 교합이 맞지 않거나 좌우치아 간의 교합이 서로 맞지 않아서 교합시 치아의 일부에만 힘이 집중되거나, 치아의 일부가 맞지 않고 뜨는 상태를 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부정교합으로 인하여 이가 시리고 흔들리거나 잇병을 앓는 것은 물론, 환자의 눈과 귀, 목이나 어깨 등에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피로감을 쉽게 느끼거나 심한 두통이 발생하는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교합관련 증후군을 야기시킨다.
이에 따라 치아의 교합상태를 측정하는 장치 또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치아의 올바른 치료를 위해 별도의 CT촬영을 통해 치아의 입체 이미지를 측정하는 방법도 함께 동반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비용이 증가하여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측정시트를 치아로 물어서 생긴 측정시트의 홈과 채도 변화를 이용하여 치아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일반적인 측정방법은 채도가 변화되고 치아에 의해 홈이 생성된 측정시트를 스캔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한다. 이러한 내용은 선행기술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1474997호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변화된 측정시트의 두께와 채도를 통해 치아의 형상을 판독할 경우, 치아의 형상을 완벽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부 및 하부의 치아의 형상을 측정시트의 채도 및 두께 변화로 확인했다 하더라도, 상부 및 하부의 치아 및 치열이 얼마의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즉, 기존의 치아형상 측정방법은 상부 및 하부의 치아 형상을 판독할 수 는 있지만, 서로 맞닿지 않는 상하부 치아 및 치열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판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4997호
본 발명은 치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전시트가 구비되어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치아의 압력에 따라 두께 및 채도가 변화하는 수지시트가 구비되어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수지시트를 다양한 방향으로 측정하는 압축모듈이 구비되어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시트와, 상기 압전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치아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상부 수지시트와 하부 수지시트로 형성된 측정시트를 이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압전 판독단계 및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스캔 판독단계를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압전 판독단계 및 상기 스캔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치아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는 3차원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판독단계는, 상기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계산하는 계산단계, 및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치아의 형상을 산출하는 압전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판독단계는,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 및 상기 스캔단계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산출하는 스캔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판독단계는,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가 복수의 방향에서 스캔되도록,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아형성 측정방법의 측정시트에 포함된 압전시트가 치아의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하고,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비교하여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측정시트에 포함된 상하부 수지시트가 치아의 압력에 의해 형상 및 채도가 변화되며, 이를 스캔하여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수지시트를 다양한 방향으로 측정하는 압축모듈이 구비되어 치아 및 치열의 형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방법을 구현하는 측정장치의 측정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정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정시트에 포함된 압전시트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을 통해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측정시트에 포함된 상부 수지시트 및 하부 수지시트가 치아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상부 수지시트가 치아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상부 수지시트 및 하부 수지시트의 변화된 이미지를 통해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장치의 판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방법을 구현하는 측정장치는 측정시트(900)와 압전 측정유닛(800) 및 판독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장치의 측정시트(9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측정시트(9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시트(900)는 하부 수지시트(300), 압전시트(100) 및 상부 수지시트(200)가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용자의 치아(T)에 의해 압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압전시트(100)는 얇은 층 형상을 지니며,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압전시트(100)는 이용자의 상 하부 치아(T)에 의해 압력을 인가 받으며, 차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압전시트(100)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지녀, 일반적인 이용자가 치아(T)로 무는 힘을 견딜 수 있다.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는 얇은 층 형상을 지니며, 압전시트(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는 치아(T)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압전시트(100),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어, 이용자가 압전시트(100),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를 서로 헷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압전시트(100),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는 치아(T)의 치열을 따라 구비된 형상을 지니며, 서로 크기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압전시트(100)와 연결된 손잡이(120)가 구비되며, 이용자는 손잡이(120)를 잡고 측정시트(900)를 입안으로 넣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장치의 압전시트(100)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을 통해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측정유닛(800)은 압전시트(100)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압전 측정유닛(800)은 계산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통해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압전 측정유닛(800)은 측정부(820), 계산부(840), 압전 판독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820)는 압전시트(100)와 연결되어 압전시트(100)의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적 신호는 치아(T)에 의해 인가된 압력이 압전시트(100)에 의해 변환된 전류 또는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측정부(820)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는, 디스플레이 설비(미도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계산부(840)는 전기적 신호의 분포 및 세기를 통해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부(840)에서 계산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는, 디스플레이 설비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압전 판독부(860)는 상기 계산부(840)에서 계산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압전 판단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계산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 치아(T) 및 치열이 서로 맞닿는 정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상하부 치아(T)의 이격거리가 측정시트(900)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전기적 신호가 일정치 이상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상하부 치아(T)가 맞닿아 있을 경우, 전기적 신호는 앞의 경우보다 비교적 더 클 수 있다.
즉, 전기적 신호가 일정치 이상 측정된 부분은, 상부 및 하부 치아(T)가 측정시트(900)의 두께보다 가깝게 인접해 있거나 맞닿는 부분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기적 신호가 일정치 이하 또는 미세하게 측정된 부분은, 상부 및 하부 치아(T)가 측정시트(900)의 두께보다 멀게 이격해 있는 부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장치는 3차원 변환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변환부(500)는 압전 측정유닛(800)에 의해 판독된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며, 3차원 정보는 디스플레이 설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변환부(500)는 판독모듈(400)에 의해 판독된 치아(T)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반부에 자세히 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측정시트(900)에 포함된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가 치아(T)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상부 수지시트(200)가 치아(T)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는 압전시트(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적층되며, 치아(T)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는 식별할 수 있는 색상을 가지며, 두께에 따라 색상의 투명도 및 채도가 변화할 수 있다.
이 때 치아(T)에 의해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에 복수 개의 수지시트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지시트의 홈은 치아(T)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부 수지시트(200)에는 상부 치아(T) 및 치열의 형상과 동일한 수지시트홈(20)이 형성되고, 하부 수지시트(300)에는 하부 치아(T) 및 치열의 형성과 동일한 수지시트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가 치아(T)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채도 및 투명도는 초기상태와 다르게 변화될 수 있다.
도 8은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의 변화된 이미지를 통해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장치의 판독모듈(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모듈(400)은 채도 및 투명도가 변화된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판독모듈(400)은 스캔부(440) 및 스캔 판독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부(440)는 채도 및 투명도가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변화된 이미지 및 초기 상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스캔 판독부(460)는 스캔부(440)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이 때 스캔 판독부(460)는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변화된 이미지 및 초기 상태 이미지를 비교하여,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변환부(500)는 스캔 판독부(460)에 의해 판독된 치아(T)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며, 3차원 정보는 디스플레이 설비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모듈(400)은 이동 플레이트(700) 및 이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700)는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가 놓여지는 판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이동 플레이트(7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roller)(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600)는 스캔부(440)와 결합되며 이동 플레이트(7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스캔부(4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동 플레이트(700)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세로부재(720)가 구비되며, 세로부재(720)는 봉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600)는 세로부재(7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세로부재(7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또한 이동부(600)와 결합된 스캔부(440) 역시 세로부재(7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600)와 세로부재(720) 사이에 복수의 볼(ball)(미도시)이 구비되어 이동부(6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플레이트(700)에 의해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가 이동되고 이동부(600)에 의해 스캔부(440)가 이동됨에 따라,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가 복수의 방향으로 스캔될 수 있다.
스캔부(440)가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를 복수의 방향으로 스캔함에 따라, 스캔 판독부(460)는 비교적 좀 더 정확하게 치아(T) 및 치열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형상 측정방법은 가압단계, 압전 판독단계, 스캔 판독단계 및 3차원 변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단계는 이용자의 치아(T)에 측정시트(900)를 물려서, 측정시트(900)에 치아(T)의 압력이 인가되는 단계일 수 있다.
가압단계를 통해 압전시트(100)에는 압력이 인가되고,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에는 치아(T)의 형상대로 수지시트홈(20)이 발생될 수 있다.
압전 판독단계는 가압단계에서 측정된 압전시트(100)의 전기적 신호를 통해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압전 판독단계에서 압전 측정유닛(800)은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압전 판독단계는 측정단계, 계산단계 및 압전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단계는 측정부(820)가 압전시트(100)의 전기적 신호의 분포 및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계산단계는 계산부(840)가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의 분포 및 세기를 통해 압전시트(100)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압전 산출단계는 압전 판독부(860)가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치아(T)의 형상 및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스캔 판독단계는 가압단계를 통해 투명도가 변화된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스캔 판독단계에서 판독모듈(400)은 투명도가 변화된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T)의 형상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판독단계는 스캔단계, 스캔 산출단계 및 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단계는 스캔부(440)가 투명도 및 채도가 변화된 상부 수지시트(200) 및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스캔 산출단계는 스캔 판독부(460)가 스캔단계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T)의 형상 및 크기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동단계는 상부 수지시트(200)와 하부 수지시트(300)의 이미지가 복수의 방향에서 스캔되도록 스캔부(44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이동단계에서 이동부(600)는 스캔부(44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동 플레이트(700)는 상부 수지시트(200) 또는 하부 수지시트(3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변환단계는 압전 판독단계 및 스캔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치아(T)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설비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3차원 변환단계에서 3차원 변환부(500)는 압전 측정유닛(800)과 판독모듈(400)에 의해 판독된 치아(T)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 치아
20: 수지시트홈
100: 압전시트
120: 손잡이
200: 상부 수지시트
300: 하부 수지시트
400: 판독모듈
440: 스캔부
460: 스캔 판독부
500: 3차원 변환부
600: 이동부
700: 이동 플레이트
720: 세로부재
800: 압전 측정유닛
820: 측정부
840: 계산부
860: 압전 판독부
900: 측정시트

Claims (5)

  1. 치아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시트와, 상기 압전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되고, 치아에 의해 압축되어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투명도가 점차 증가하는 상부 수지시트와 하부 수지시트로 형성된 측정시트를 이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 및 세기를 계산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압전 판독단계; 및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치아의 형상을 판독하는 스캔 판독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판독단계 및 상기 스캔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치아의 형상을 3차원 정보로 변환하는 3차원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판독단계는,
    상기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적 신호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상기 압전시트에 인가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계산하는 계산단계; 및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압력의 분포와 세기를 통해 치아의 형상을 산출하는 압전 산출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판독단계는,
    투명도가 변화된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단계; 및
    상기 스캔단계에서 스캔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치아의 형상을 산출하는 스캔 산출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판독단계는,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가 복수의 방향에서 스캔되도록, 상기 상부 수지시트와 상기 하부 수지시트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캔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아형상 측정방법.
KR1020150024065A 2015-02-17 2015-02-17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KR20160101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65A KR20160101466A (ko) 2015-02-17 2015-02-17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65A KR20160101466A (ko) 2015-02-17 2015-02-17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66A true KR20160101466A (ko) 2016-08-25

Family

ID=5688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65A KR20160101466A (ko) 2015-02-17 2015-02-17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4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01B1 (ko) * 2018-07-05 2019-05-17 주식회사 디메텍 치아 교합 측정 장치 및 치아 교합 측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97B1 (ko) 2013-11-22 2014-12-2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상하악 치아상태 측정시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97B1 (ko) 2013-11-22 2014-12-2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상하악 치아상태 측정시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01B1 (ko) * 2018-07-05 2019-05-17 주식회사 디메텍 치아 교합 측정 장치 및 치아 교합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740B1 (ko) 치아 형상 및 교합면 측정장치
US8836660B2 (en) Tactile display and CAD system
WO2014080260A3 (en) Confocal imaging using astigmatism
JP2012024165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圧迫板
EP2058764A3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474997B1 (ko) 상하악 치아상태 측정시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60101466A (ko) 상하악 교합 분석을 위한 측정방법
US2012022475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combined data record for a masticatory organ to be measured
JP2013218177A5 (ko)
Schiltz et al. Grip Force is adjusted at a level that maintains an upper bound on partial slip across friction conditions during object manipulation
US9255855B2 (en) Torque measure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O2012125612A3 (en) Intraoral occlusion measurement and registration
CN103746266A (zh) 一种连接器组装设备的预压机构
US20190358001A1 (en) Dental tray system
US10555701B2 (en) Probe for measuring lip closing force
JP4981472B2 (ja) 光学縞発生部材制御装置および方法
TW2012232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3D depth of an obje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3D depth of an object
KR101691533B1 (ko) 치아의 교합 및 형상정보를 측정하는 3차원 치아 측정장치
KR20150002222U (ko) 립스틱블록을 이용한 립스틱 제조 공정 및 립스틱블록
CN111065354B (zh) 咬合压力解析装置、咬合压力解析程序及咬合压力解析方法
US9483792B2 (en) Screen-based method and system for sizing an oral appliance
JP5700497B2 (ja) 動作検出センサ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203354563U (zh) 牙科x射线摄片机用低密度分辨率检测模
JP6227512B2 (ja) まつ毛長さ計測器具
WO2002032340A3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omputer model for a dental object, such as a cr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