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035A -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 - Google Patents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035A
KR20160101035A KR1020167018934A KR20167018934A KR20160101035A KR 20160101035 A KR20160101035 A KR 20160101035A KR 1020167018934 A KR1020167018934 A KR 1020167018934A KR 20167018934 A KR20167018934 A KR 20167018934A KR 20160101035 A KR20160101035 A KR 2016010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
signal
frequency
filtered
d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청 시우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10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15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multiplex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5/44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스위치(116)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스위치(116)의 제1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한다. 제2 다이플렉서(104)는 스위치(116)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한다. 컨트롤러(602)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킨다. 제1 모드에서, 스위치(116)는 제1 및 제2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도록 제1 다이플렉서(110)에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제1 다이플렉서(110)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로부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도록 제2 다이플렉서(104)에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그로부터 제1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컨트롤러(602)에 제공되고,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은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컨트롤러(602)에 제공된다. 제2 모드에서, 스위치(116)는 입력 시그널로부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2 다이플렉서(104)에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제2 다이플렉서(104)는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컨트롤러(602)에 제3 및 제4 입력 시그널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FRONT END MULTIPLEXER TOPOLOGY FOR A SET TOP BOX}
본 발명은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셋톱박스들에 관련되고, 특히 위성 시그널을 수신하는 입력에서의 리턴 손실(return loss) 및 선택성(selectivity) 둘 다를 개선하는 신규한 프런트 엔드에 관련된다.
위성 제공자들로부터 시그널들을 수신하는 셋톱박스들(STB)은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 STB들은 두 상이한 유형의 시그널들을 처리하도록 요구된다. 제1 유형의 시그널은 위성 텔레비전 데이터{예를 들어, 레거시 시그널(legacy signal)}만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제2 유형의 시그널은 네트워킹 데이터를 위하여 예약된 위성 시그널 대역의 일부분을 가지며, 위성 시그널은 단일 와이어 멀티스위치 시그널{single wire-multiswitch (SWM) signal}로 변환된다. 전형적으로, 네트워킹 데이터를 위하여 예약된 대역은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 표준에 따라 조직된다. MoCA 대역 내의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STB로부터 송신되고 그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와 더불어, 특정 장소에 있는 다수의 STB들로 하여금 서로와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로컬 영역 네트워킹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STB 설계자들은 두 유형의 시그널들을 모두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는 STB 아키텍쳐를 제공하여야 한다. 레거시 시그널들 및 SWM 시그널들 모두를 처리할 수 있는 예시적인 STB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STB(1)의 블록도이다. STB(1)는 STB(1)의 완전한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STB(1)는 위성 수신기 실외 유닛(LNB 또는 SWM 유닛,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RF 입력 시그널(2)을 수신하기 위한 F-커넥터(F-connector)(4)를 포함한다. 위성 시그널이 수신되고 처리되어 입력 시그널(2)을 생성하는 방식은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없다. STB(1)는 또한 SWM 회로(7)를 포함하고, 이는 2.3MHz FSK 송수신기이다. SWM 회로(7)는 위성 트랜스폰더를 SWM 채널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실외 SWM 유닛에 명령을 보낸다. 추가적으로, SWM 회로(7)는 또한 실외 유닛의 상태/응답을 수신하고, 그 정보를 컨트롤러(30)에 제공할 수 있다. F-커넥터(4)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 시그널(2)은 풀(full) 스펙트럼 시그널이고, 레거시 시그널을 위한 22kHz 내지 2150MHz의 범위, 또는 SWM 시그널을 위한 2.3MHz 내지 2150MHz의 범위를 갖는다. 풀 스펙트럼 입력 시그널(2)은 제1 다이플렉서(6)에 제공된다. 제1 다이플렉서(6)는 시그널을 감쇠시켜 950MHz보다 큰 시그널의 부분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1 고역 통과 필터(HPF)(8)를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6)는 또한 816MHz 아래의 시그널의 부분이 통과하도록 허용되도록 시그널을 감쇠시키는 제1 저역 통과 필터(9)를 포함한다. 제1 저역 통과 필터(9)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시그널(2)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 Terrestrial) 표준에 따라 포매팅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9)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의 부분은 또한 원하지 않는 시그널인 FM 방송 대역, 즉 88 내지 108MHz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174M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13)는 제1 저역 통과 필터(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저역 통과 필터(9)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시그널(2)의 부분을 수신한다. 고역 통과 필터(13)는 FM 대역, SWM 톤 또는 DisEqC 톤을 제거한다. 레거시 모드에서, 22kHz DisEqC 시그널이 LNB와 같은 실외 유닛 또는 실외 안테나 스위치에 명령들을 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SWM 모드에서, 2.3MHz FSK 시그널이 실외 SWM 모듈과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SWM 채널을 위성 안테나로부터의 위성 트랜스폰더에 할당하고, 이 시그널은 상술한 SWM 회로(7)에 의하여 처리된다. ISDB-T 데이터는 그 튜닝을 위하여 ISDB-T 튜너(10)에 제공된다. 튜닝된 시그널은 ISDB-T 복조기(11)에 복조를 위하여 제공된다. 복조된 시그널은 컨트롤러(30)에 제공되고, 컨트롤러는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고 복조된 ISDB-T 시그널을 각 출력단(34)에 라우팅할 수 있다. 단일 출력단(34)은 예시 목적에서만 여기에 도시된 것이고, STB 설계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STB(1)는 STB(1)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모니터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상이한 출력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단들은 HDMI 포트, 컴포지트 비디오 포트, 컴포넌트 비디오 포트, DVI 포트, VGA 포트 및 동축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950M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시그널의 부분은 제1 고역 통과 필터(8)에 의하여 필터링되고, 더 나아가 제1 스위치(12)에 제공된다. 제1 스위치(12)는 HPF(8)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의 부분에 의하여 취해지는 경로를 정의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싱글 폴 더블 쓰루(single pole double through) 스위치일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레거시 시그널 또는 SWM 시그널 중 하나를 수신 및 처리하도록 그것의 셋업에서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컨트롤러(30)가 STB(1)에 의하여 처리될 시그널이 레거시 시그널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제1 스위치(12)는 제1 HPF(8)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2 스위치(22)에 넘기도록 구성된다. 제2 스위치(22)는 필터링된 위성 시그널을 그것의 튜닝을 위하여 레거시 튜너(24)(네트워크 튜너라고도 불림)에 제공한다. 필터링된 위성 시그널은 레거시 튜너(24)에 의하여 갈라지고, 한 출력은 컨트롤러의 레거시 복조기(25)에 제공되는 한편, 컨트롤러(30)의 A3 튜너 및 복조기(29)에 의하여 수신되기 전에 다른 출력은 증폭기(26)에 의하여 증폭되고 발룬(28)을 통과한다. 레거시 복조기(25)와 A3 튜너 및 복조기(29) 중 적어도 하나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각자의 출력단(34)에 시그널을 제공한다.
컨트롤러(30)에 의하여, F-커넥터(4)에서 수신된 시그널이 SWM 시그널이라고 결정될 때, 제1 스위치(12)는 제1 HPF(8)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의 부분이 제2 다이플렉서(14)에 제공되도록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다이플렉서(14)는 실질적으로 1250MHz 아래의 시그널의 부분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HPF(18) 및 실질적으로 1050MHz 위의 시그널의 부분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2 LPF(16)를 포함한다. 제2 LPF(16)의 출력은 실질적으로 950MHz와 1050MHz 사이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시그널이다. 이 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는 MoCA 데이터를 나타내고, MoCA 송수신기(20)를 통하여 컨트롤러(30)의 MoCA 모듈(21)에 제공된다. MoCA 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은 잘 알려져 있고 더 논의될 필요가 없다.
제2 다이플렉서(14)의 제2 HPF(18)의 출력은 실질적으로 위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1250MHz와 2150MHz 사이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시그널이다. 제2 HPF(18)에 의한 시그널 출력은 제2 스위치(22)에 제공되고, 레거시 튜너(24)에 출력된다. 이 시그널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반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레거시 및 SWM 시그널 모두를 처리할 수 있는 STB를 갖기 위하여, 통상적인 STB(1)는 도 2에서 매우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은 듀얼 다이플렉서 아키텍쳐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서 상술한 듀얼 다이플렉서 아키텍쳐의 더 상세한 도시이다. 도 2에서, 제1 다이플렉서(6)는 실질적으로 806MHz 아래의 주파수를 갖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실질적으로 950MHz와 2150MHz 사이의 범위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기 위하여 F-커넥터(4)에 연결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은 ISDB-T 포매팅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한편,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입력 시그널(2)이 레거시 시그널인 경우 위성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입력 시그널(2)이 SWM 시그널인 경우 MoCA 및 위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6)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이 레거시 시그널인 경우, 950MHz보다 높은 시그널의 전체 스펙트럼이 상술한 바와 같이 튜너에 제공된다. 대조적으로, 제1 다이플렉서(6)에 의하여 필터링된 시그널이 SWM 시그널인 경우, 필터링된 시그널은 MoCA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포함하는 출력 시그널 및 튜닝을 위한 위성 텔레비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출력 시그널을 생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필터링을 위하여 제2 다이플렉서(14)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진 통상적인 STB 설계와 관련된 단점은 MoCA 시그널 및 위성 시그널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다이플렉서(14)가 설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것은 작은 과도 대역(transient band)이 있기 때문이다. 최적으로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제2 다이플렉서(14)는 실질적으로 1050MHz에서 100 내지 200MHz 주파수 대역 내의 실질적으로 50dB MoCA 소거를 필요로 한다. 소거 요구 사항과 관련된 제한들과 더불어 스위치에 내재된 제한들의 관점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의 리턴 손실을 얻기가 어렵다. 리턴 손실은 전송선 상에서의 전력의 반사의 결과로 일어나는 시그널 전력의 손실이다. STB가 그에 가해지는 전력을 라우팅할 수 없는 경우, 이것은 F-커넥터 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와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STB들에 출력될 수 있다. 이것은 홈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STB들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다이플렉서들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STB 설계는 준최적(sub-optimal) 수준의 리턴 손실을 야기한다. 따라서, 시스템에서의 리턴 손실의 양을 개선하는 한편 레거시 및 SWM 모드들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는 STB를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시스템은 다른 선행 기술 시스템들 및 이 시스템들과 연관된 단점들을 개선한다.
한 실시예에서,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스위치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는 스위치의 제1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한다. 제2 다이플렉서는 상기 스위치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한다. 컨트롤러는 스위치를 활성화시켜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제1 모드에서, 스위치는 제1 및 제2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다이플렉서에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제1 다이플렉서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로부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2 다이플렉서에 제공하고,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그로부터 제1 유형의 데이터가 도출되고,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은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가 도출된다. 제2 모드에서, 스위치는 입력 시그널로부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2 다이플렉서에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제2 다이플렉서는 컨트롤러에 제3 및 제4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여,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가 도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스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함 -, 및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컨트롤러에 의하여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치의 제1 출력단에 제1 다이플렉서를 연결하고, 입력 시그널을 제1 다이플렉서에 제공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이 생성되고 이는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이 생성되고 이는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은 제2 다이플렉서에 제공되고, 이는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고,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은 제1 필터링된 시그널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치의 제2 출력단은 제2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입력 시그널이 제2 다이플렉서에 제공된다. 제2 다이플렉서는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입력 시그널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제1 다이플렉서로부터의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컨트롤러에 제공되어 제1 유형의 데이터가 도출되고,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은 제2 다이플렉서로부터 컨트롤러로 제공되어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가 도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셋톱박스 아키텍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기술 셋톱박스 아키텍쳐에서 사용되는 다이플렉서들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STB에 의하여 수신된 레거시 시그널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해한다.
도 3b는 STB에 의하여 수신된 SWM 시그널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해한다.
도 4는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이플렉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이플렉서를 포함하는 STB의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이플렉서에 의하여 제공되는 필터링 특성의 도해적 묘사이다.
도 8은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범용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된다.
본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도해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비록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된 것이 아니더라도,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것의 범위 및 사상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고안해낼 수 있다는 것이 따라서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예시들 및 조건적 표현들은 독자들이 본 공개의 원리들 및 기술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발명자에 의하여 기여된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교시적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고, 그러한 특정하게 언급된 예시들 및 조건들로의 한정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더하여 그것의 특정한 예시들을 언급하는 본 명세서 내의 모든 문장들은 본 개시내용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을 모두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알려진 균등물들과 더불어 미래에 개발될 균등물들, 즉 구조를 불문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발된 임의의 구성요소들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블록도가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 회로의 개념도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인식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우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전환도들, 유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나고 따라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는 -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나타났는지에 관계없이 -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기능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계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용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 - 그 중 일부는 공용일 수 있음 - 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라는 용어의 명시적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일컫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저장을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경우, "컴포넌트" 및/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일컫는 것으로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파일, 및/또는 마이크로칩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로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세서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시스템에 국부화되고/되거나 둘 이상의 시스템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계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하드웨어 - 통상적인 및/또는 맞춤형(custom) -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개념적인 것일 뿐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하여, 전용 로직을 통하여,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또는 심지어는 수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특정 기술은 컨텍스트로부터 더 상세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하는 사람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표현된 임의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a)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들의 조합 또는 b)임의의 형태로 된, 따라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은 언급된 다양한 수단들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들이 청구항들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조합되고 합쳐진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이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은 본 명세서에서 보여진 수단들과 균등하다고 여겨진다. 대상 주제는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칭하는 데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되었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에서, 다수의 특정한 세부 사항들이 대상 주제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 그러나 대상 주제의 실시예들이 이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발명은 위성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 시그널들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셋톱박스(STB)를 위한 신규한 프런트 엔드 아키텍쳐를 제공한다.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프런트 엔드는 유리하게 STB로 하여금 레거시 위성 시그널들 및 SWM 위성 시그널들 모두를 처리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STB의 F-커넥터의 리턴 손실을 개선한다. 프런트 엔드는 유리하게 STB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174MHz와 2150MHz 사이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풀 스펙트럼 입력 시그널을 ISDB-T 대역, 고(high) RF MoCA 대역 및 위성 튜너 대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밴드들로 분할(split)할 수 있도록 한다. 풀 스펙트럼 시그널을 이러한 서브 밴드들로 분할할 때, 서브 밴드들 사이의 과도 대역은 상당히 작고(대략 100MHz에서 200MHz), 이는 고주파 서브 밴드들(예를 들어, MoCA 서브 밴드 및 위성 서브 밴드)에 대한 소거 요구 사항을 설계된 대로 구현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며, 그렇지 않으면 각각의 서브 밴드들 내의 데이터는 손실되거나 다르게는 손상될 수 있다. 풀 스펙트럼 입력 시그널로부터 서브 밴드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현재의 필터링 기술들에 연관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장치는 유리하게 대역 통과/대역 차단 다이플렉서를 사용한다. 다이플렉서는 유리하게 매우 가파른 MoCA 차단과 함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통상적인 위성 고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 이 토폴로지는 STB의 회로를 단순화하고, F-커넥터에서의 리턴 손실의 수준을 개선한다. LPF/HPF 다이플렉서들만 사용하는 것에 연관된 특정 어려움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F 커넥터에서 MoCA 대역 및 위성 대역에 대한 수용 가능한 수준의 리턴 손실을 가지면서 MoCA 주파수 대역의 적절한 소거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위성 STB는 MoCA 데이터를 위하여 예약된 위성 데이터에 할당된 스펙트럼의 부분을 갖는 SWM 모드에서 MoCA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레거시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할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프런트 엔드 장치는 유리하게 특정 STB에서 수신되는 시그널의 유형에 기초한 적절한 필터링 기술들을 제공한다. 도 3a 및 3b는 레거시 시그널들과 SWM 시그널들의 각각의 스펙트럼 및 서브 밴드들을 도해한다. 도 3a에서, 레거시 시그널의 풀 스펙트럼이 제공된다. 레거시 시그널 내의 데이터의 풀 스펙트럼 범위는 174MHz와 2150MHz 사이이다. 레거시 시그널은 상이한 유형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두 개의 별개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밴드는 ISDBT 서브 밴드이다. ISDBT 서브 밴드는 174MHz 내지 8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고, ISDB-T 표준들에 따라서 포매팅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서브 밴드는 위성 서브 밴드이고 도 3a에서 SAT로 표시된다. 위성 서브 밴드는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950MHz와 2150MHz 사이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다.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에 의하여 점유된 위성 서브 밴드의 부분들은 알려져 있고 더 논의될 필요가 없다.
도 3b는 특정 STB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는 입력 SWM 시그널의 풀 스펙트럼을 도해한다. 도 3b의 SWM 시그널은 세 개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밴드는 도 3a에서의 제1 서브 밴드와 동일하고 ISDBT 포매팅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나타낸다. 제1 서브 밴드의 주파수 대역은 174MHz와 806MHz 사이 범위이다. 제2 서브 밴드는 MoCA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MoCA 대역이다. 제2(MoCA) 서브 밴드와 관련된 주파수 범위는 950MHz와 1050MHz 사이이다. SWM 시그널 내의 제3 서브 밴드는 위성 데이터 서브 밴드를 나타내고 1250MHz와 2150MHz 사이의 범위이다. 제3 서브 밴드 내의 데이터는 레거시 시그널의 제2 서브 밴드 내에 포함된 데이터와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FM 방송 대역인 88 내지 108MHz는 원하지 않는 시그널로, ISDB-T 저역 통과 필터와 케스케이드된(cascaded) 고역 통과 필터가 FM 대역, SWM 톤 또는 DisEqC 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레거시 모드에서, 22kHz DisEqC 시그널은 LNB 또는 실외 안테나 스위치와 같은 실외 유닛에 명령들을 보내는 데 사용된다. SWM 모드에서, 2.3MHz FSK 시그널은 실외 SWM 모듈과 통신하여 위성 안테나로부터 오는 위성 트랜스폰더에 SWM 채널을 할당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위성 STB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는 두 유형의 입력 시그널들의 도해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프런트 엔드 토폴로지에 의하여 해결되는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이다. 도 3b의 SWM 시그널을 다시 참조하여, MoCA 대역과 위성 대역 사이에 사용되지 않는 어떤 주파수 공간이 있고, 이것에 과도 대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서브 밴드들을 풀 스펙트럼 시그널로부터 필터링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들은 특별한 적용례를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시그널의 부분들을 감쇠시킬 필요가 있다. 충분한 감쇠를 위해서는, 바람직한 서브 밴드들 사이의 과도 대역이 필터가 의도된 대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길이일 필요가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이전의 반복에서, 각각 적절한 중심 주파수들을 갖는 저역 통과 필터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이플렉서들의 케스케이드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필터들에 대한 주파수 범위들은 수용 가능한 수준의 리턴 손실을 제공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MoCA 서브 밴드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풀 스펙트럼 입력 시그널의 실질적으로 1.1GHz 부분에서 100MHz 및 200MHz 밴드 내에서 실질적으로 50dB 소거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프런트 엔드는 STB의 토폴로지를 수정하여, 대역 차단 필터 및 대역 통과 필터로 형성된 제1 다이플렉서를 F-커넥터와 제2 다이플렉서 사이에 위치시킨다. 제2 다이플렉서는 미리 결정된 중심 주파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중심 주파수보다 낮은 미리 결정된 중심 주파수를 갖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선택성 및 리턴 손실을 개선하는 발명의 토폴로지는 도 4에 도해되어 있다. 장치는 F-커넥터와 제1 및 제2 다이플렉서들 각각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시그널의 유형을 감지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치는 F-커넥터를 제1 다이플렉서 - 그 출력은 제2 다이플렉서의 입력으로서 들어감 - 또는 단지 원래 입력 시그널을 필터링하는 제2 다이플렉서들 중 하나에 연결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풀 스펙트럼 SWM 시그널의 처리 동안의 선택성을 개선하는 프런트 엔드 토폴로지를 포함하는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STB 내에 통상적으로 포함되고 본 발명의 원리들을 도해하는 데 명확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축약된 개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TB의 더 상세한 묘사는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입력 시그널은 F-커넥터(102)를 통하여 수신된다. 수신된 입력 시그널은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 또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일 수 있다. 장치(100)는 입력 시그널이 제1 유형의 시그널인지 아니면 제2 유형의 시그널인지를 알도록 미리 구성된다.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서브 밴드들을 포함하는 반면,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각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세 개의 상이한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형의 시그널 각각의 제1 서브 밴드는 그 안에 포함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2 서브 밴드 및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3 서브 밴드 또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2 서브 밴드에 포함된 데이터는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에 존재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도 3a에 도해된 것과 유사한 레거시 시그널인 반면,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도 3b에 도해된 것과 유사한 SWM 시그널이다.
장치(100)는 제1 다이플렉서(110)를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시그널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감쇠시키면서 시그널의 나머지 부분들은 아무런 감쇠 없이 통과시키는 대역 차단(BS) 필터(112)를 포함한다. 대역 차단 필터(112)의 출력은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이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또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시그널의 부분은 통과시키는 한편 통과 대역 밖의 나머지 부분들은 감쇠시키는 대역 통과(BP) 필터(114)를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114)의 출력은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이다. BS 필터(112) 및 BP 필터(114)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 주파수들을 가지고, 이는 유리하게 미리 결정된 서브 밴드의 충분한 소거를 제공하는 한편, 다른 서브 밴드들로 하여금 BS 필터(112)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면서, 동시에 소거된 밴드로 하여금 BP 필터(114)의 통과 대역이 되도록 허용한다. 한 실시예에서, BS 필터(112) 및 BP 필터(114)는 실질적으로 1GHz의 중심 주파수를 각각 가지고, 그럼으로써 한 송신 경로의 입력 시그널의 부분의 미리 결정된 소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스펙트럼을 감소시키는 한편 상이한 제2 송신 경로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소거된 부분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BS 필터(112)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 내의 제2 서브 밴드에 상응하는 시그널의 부분을 소거함으로써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고, 더 낮은 주파수 및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시그널의 부분들을 추가적인 처리를 위하여 제공한다. 동시에, BP 필터(114)는 제2 서브 밴드의 주파수보다 아래 및 위에 있는 주파수들을 갖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부분들을 감쇠시킴으로써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한다.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 아래의 시그널의 부분으로 하여금 통과할 수 있게 하여 그로써 제3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저역 통과 필터(LPF)(106)를 포함하는 제2 다이플렉서(104)를 더 포함한다. 제2 다이플렉서(104)는 상이한, 더 높은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 위의 시그널의 부분으로 하여금 통과할 수 있게 하여 그로써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고역 통과 필터(HPF)(108)를 더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LPF(106)를 위한 차단 주파수는 806MHz이고, 그로써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 또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 중 어느 하나의 제1 서브 밴드(예를 들어, ISDBT 서브 밴드)내의 데이터로 하여금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HPF(108)의 차단 주파수는 950MHz이고, 그로써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2 서브 밴드 내의 데이터 및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3 서브 밴드 내의 데이터로 하여금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모든 예시들에서, LPF(106) 및 HPF(108)는 시그널의 남은 부분들을 감쇠시킨다.
스위치(116)는 F-커넥터에서 수신된 입력 시그널의 유형에 의존하여, F-커넥터(102)를 제1 다이플렉서(110) 또는 제2 다이플렉서(104)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시스템 컨트롤러(도 6에 도시되고 논의됨)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시그널(118)은 수신되고 있는 시그널의 유형을 판별한다. 동작의 제1 모드에서, 장치는 F-커넥터(102)에서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동작 모드에서, 스위치(116)는 F-커넥터(102)를 제1 다이플렉서(110)와 연결하고 또한 제1 다이플렉서(110)의 BS 필터(112)의 출력을 제2 다이플렉서(104)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은 유리하게도 BS 필터(112)로 하여금 제2 서브 밴드(예를 들어, MoCA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부분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로써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한편, 더 높은 주파수 및 더 낮은 주파수를 모두 갖는 입력 시그널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고 제2 다이플렉서(104)에 제공한다. 제2 다이플렉서(104)는 그 후 소거된 대역 아래 및 위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하는 수정된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나타내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수신하고, 이로써 LPF(106) 및 HPF(108)로 하여금 그들 각각의 서브 밴드들을 필터링하여 각각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LPF(106)는 LPF(106)의 차단 주파수 위의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부분을 감쇠시키고, ISDBT 포매팅된 텔레비전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서브 밴드를 출력한다. 동시에, 제1 다이플렉서(104)의 HPF(108)는 HPF(108)의 차단 주파수 아래의 제2 유형의 시그널의 부분을 감쇠시키고, 위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3 서브 밴드를 출력한다.
추가적으로, BP 필터(114)의 포함은 유리하게 제2 서브 밴드(예를 들어, MoCA 데이터)의 주파수 범위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통과 대역을 정의하고, 다른 모든 주파수들을 감쇠시킨다. 따라서, BP 필터(114)의 출력은 MoCA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제2 서브 밴드를 나타낸다.
제어 시그널(118)은 다르게는, 장치(100)가 동작의 제2 모드에서 작동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장치는 F-커넥터(102)에서 제1 유형의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제2 모드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시그널(118)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치(116)는 F-커넥터(102)를 제2 다이플렉서(104)와 연결시킨다. 그 연결에서, 제2 다이플렉서(104)의 LPF(106)는 LPF(106)의 차단 주파수 위의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의 부분을 감쇠시키고, ISDBT 포매팅된 텔레비전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서브 밴드(예를 들어, 제3 필터링된 시그널)를 출력한다. 동시에, 제2 다이플렉서(104)의 HPF(108)는 HPF(108)의 차단 주파수 아래의 제1 유형의 시그널의 부분을 감쇠시키고, 위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서브 밴드(예를 들어, 제4 필터링된 시그널)를 출력한다.
도 4에 설명된 토폴로지는 유리하게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F-커넥터(102)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의 리턴 손실을 가지고, 선택성은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 요구 사항을 잘 충족시킬 수 있으며, BS 필터(112)는 1.1Ghz 주변의 입력 시그널의 70MHz 이내에서 실질적으로 60dB의 소거를 제공한다.
도 4의 제1 다이플렉서(110)의 예시적인 회로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대역 차단 필터(112) 및 대역 통과 필터(114)를 포함한다. 대역 통과 필터(114)는 직렬로 배열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형성된 직렬 공진 회로(506a 내지 506d)의 복수의 세트들, 및 병렬로 배열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형성된 병렬 공진 회로(508a 내지 508c)의 복수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직렬 공진 회로(506a 내지 506c) 각각에는 각자의 병렬 공진 회로(508a 내지 508c)가 후속한다. 마지막 직렬 공진 필터(506d)는 출력단(504)에 연결된다.
제1 다이플렉서(110)의 대역 차단 필터(112)는 병렬로 배열된 인덕터들 및 커패시터들로 형성된 병렬 공진 필터들(510a 내지 510d)의 복수의 세트들, 및 직렬로 배열된 인덕터들 및 커패시터들로 형성된 직렬 공진 필터들(512a 내지 512c)의 복수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병렬 공진 필터들(510a 내지 510c)에는 각자의 직렬 공진 필터(512a 내지 512c)가 후속한다. 병렬 공진 필터(510d)의 출력은 출력단(506)에 연결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플렉서는 7차 다이플렉서이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다이플렉서는 임의의 차수를 가질 수 있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직렬 및 병렬 공진 필터들의 컴포넌트들을 설계하여 입력 시그널의 한 서브 밴드를 소거하는 대역 차단 필터 및 소거된 서브 밴드만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대역 통과 필터를 효과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프런트 엔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STB(600)가 도 6에 묘사되어 있다. STB(600)는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컨트롤러(60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602)는 모든 MoCA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고 라우팅하기 위한 MoCA 모듈(604)을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또한 STB(600)에 의하여 수신된 튜닝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A3 튜너 및 복조기(608) 및 레거시 복조기(606)를 포함한다. STB(600)는 또한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 또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b)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F-커넥터(102)를 포함한다. STB(600)의 컨트롤러(602)가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 또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 모두를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한편, 컨트롤러(602)는 제1 또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들 중 하나를 처리하도록 미리 구성된다. 이 구성은 일반적으로 위성 수신기가 설치되고 STB(600)가 사용자의 장소에 제공될 때 수행된다. STB(600)는 또한 2.3MHz FSK 송수신기인 SWM 회로(607)를 포함한다. SWM 회로(607)는 위성 트랜스폰더를 SWM 채널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실외 SWM 유닛에 명령들을 보내고, 추가적으로, SWM 회로(607)는 또한 실외 유닛의 상태/응답을 수신하고 그 정보를 컨트롤러(602)에 제공할 수 있다.
STB(600)는 또한 MoCA 송수신기(610), 레거시 튜너(612) 및 ISDBT 튜너(618)를 포함한다. MoCA 송수신기(610)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b)의 특정 서브 밴드를 구성하는 MoCA 시그널들을 처리한다. 특히, MoCA 서브 밴드는 950MHz 내지 1050MHz의 주파수 범위에 의하여 정의된다. MoCA 시그널은 STB(600)와 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가정에 설치된 동축 케이블)를 통하여 그에 연결된 다른 STB들 사이의 MoCA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MoCA 송수신기(610)에 의하여 처리되는 MoCA 데이터는 컨트롤러(602)의 MoCA 모듈(604)에 더 제공된다. MoCA 모듈(604)은 MoCA 표준에 부합하기 위한 모든 알고리즘들을 포함하고, MoCA 데이터의 처리를 더 감독한다.
레거시 튜너(612)는 950MHz 내지 215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의 제2 서브 밴드 또는 1250MHz 내지 215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b)의 제3 서브 밴드 중 하나를 형성하는 위성 데이터(예를 들어, 네트워킹 데이터)를 처리한다. 레거시 튜너(612)는 증폭기(614) 및 발룬(balun)(616)을 통하여 A3 튜너 및 복조기(608)에 RF 입력 시그널을 분할하는 증폭기를 통한 루프(loop)를 가진다. 레거시 복조기(606) 및 A3 튜너 및 복조기(608)는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처리를 위하여 각각의 출력단(603)에 디코딩된 위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레거시 복조기(606)는 각 위성 TV 채널에 대한 주파수, FEC 레이트, 심볼 레이트(symbol rate)와 같은 위성 네트워크 정보를 디코딩하고, A3 튜너 및 복조기(608)는 위성 TV 채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처리를 위해 데이터 스트림을 비디오 디코더에 보내고, 뷰(view)에 출력한다. 출력단(603)은 HDMI, 컴포넌트 및/또는 합성 비디오 포트를 포함하는 임의 유형의 오디오-비주얼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단은 또한 네트워킹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이더넷(Ethernet)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형들의 출력단은 예시의 목적에서만 설명된 것이고, STB(600) 내에 임의의 유형의 출력단이 포함될 수 있다.
ISDBT 튜너(618)는 제1 입력 시그널(101a) 또는 제2 입력 시그널(101b) 중 하나의 제1 서브 밴드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튜닝한다. 제1 서브 밴드는 174MHz에서 806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며, ISDBT 포매팅된 디지털 텔레비전 데이터를 포함한다. ISDBT 튜너(618)는 이 주파수 범위 내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주파수에 맞추어 튜닝한다. 튜닝된 시그널은 ISDBT 복조기(620)에 의하여 복조되고,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각자의 출력단(603)에 제공된다. ISDBT 튜너(618)로부터의 업스트림은 실질적으로 174M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617)이다. 고역 통과 필터(617)는 FM 대역, SWM 톤 또는 DisEqC 톤을 제거한다. 레거시 모드에서, 22kHz DisEqC 시그널은 LNB 또는 실외 안테나 스위치와 같은 실외 유닛에 명령들을 보내는 데 사용된다. SWM 모드에서, 2.3MHz FSK 시그널은 실외 SWM 모듈과 통신하고, 위성 안테나로부터 오는 위성 트랜스폰더에 SWM 채널을 할당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 시그널은 상술한 SWM 회로(607)에 의하여 처리된다.
STB(600)는 제1 다이플렉서(110)를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미리 결정된 주파수 대역 내의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입력 시그널(101)을 감쇠시키면서 추가적인 처리를 위하여 모든 다른 주파수들에서의 입력 시그널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대역 차단 필터(112)를 포함한다. 제1 다이플렉서(110)는 원하는 통과 대역 밖의 모든 주파수에서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역 통과 필터(114)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출력되도록 입력 시그널로부터 특정 서브 밴드를 선택한다. STB(600)는 제2 다이플렉서(104)를 더 포함한다. 제2 다이플렉서(104)는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 위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106) 및 미리 결정된 차단 주파수 아래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기 위한 고역 통과 필터(108)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고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다.
스위치(116)는 F-커넥터(102)를 제1 동작 모드에 있는 제1 다이플렉서(104) 또는 제2 동작 모드에 있는 제2 다이플렉서(110)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STB(600)의 동작 모드는 F-커넥터(102)에서 수신되는 입력 시그널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동작의 제1 모드에서, STB(600)는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MoCA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서브 밴드를 갖는다. 동작의 제2 모드에서, STB(6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레거시 시그널이고 MoCA 데이터의 서브 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컨트롤러(602)는 STB(600)가 동작해야 할 모드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스위치(116)를 구성하기 위한 제어 시그널(118)을 발행한다. 동작의 제1 모드에서, 컨트롤러(602)는 STB가 F-커넥터(102)에서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기로 구성된다고 결정한다.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은 ISDBT 데이터에 상응하는 174MHz 내지 8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MoCA 데이터에 상응하는 950MHz 내지 105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2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1250MHz 내지 215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3 서브 밴드를 포함한다. 제어 시그널(118)은 F-커넥터(102)를 제1 다이플렉서(110)와 연결하도록 스위치(116)를 구성하고, 또한 대역 차단 필터(112)의 출력단을 제2 다이플렉서(104)에 연결시킨다.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b)은 스위치(116)를 통하여 제1 다이플렉서(110)에 제공된다. 대역 차단 필터(112)는 제2 서브 밴드(예를 들어, MoCA 데이터)에 상응하는 주파수에서의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킴으로써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한편, 제1 서브 밴드 및 제3 서브 밴드가 후술할 추가적인 필터링을 위하여 제1 필터링된 시그널로서 제2 다이플렉서(104)에 제공되도록 허용한다.
제2 입력 시그널(101b)은 950MHz와 1050MHz 사이의 통과 대역에 의하여 정의된 주파수 외의 주파수에서 제2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b)을 감쇠시킴으로써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대역 통과 필터(114)에 의하여 더 필터링된다. 따라서, 대역 통과 필터(114)에 의한 시그널 출력은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추가적인 처리를 위하여 MoCA 송수신기(610)에 제공되는 MoCA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서브 밴드에 상응한다.
제2 다이플렉서(104)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역 통과 필터(106)에 의하여 필터링되고,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고역 통과 필터(108)에 의하여 필터링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저역 통과 필터(106)는 806MHz보다 큰 주파수에서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고, ISDBT 튜너(618)에 실질적으로 제1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시그널을 출력한다. ISDBT 튜너(618)는 그에 따라 시그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시그널은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출력되기 전에 ISDBT 복조기(620)에 의하여 복조된다. 추가적으로,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은 950MHz보다 작은 주파수에서의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고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출력되기 전에 레거시 튜너(612)에 실질적으로 제2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시그널을 출력하는 고역 통과 필터(108)에 의해 필터링된다.
컨트롤러(602)가 STB가 제2 모드에서 동작하여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제어 시그널(118)은 제2 다이플렉서(104) 내에 F-커넥터(102)를 연결시키도록 스위치(116)를 구성한다. 작동에서, ISDBT 데이터에 상응하는 174MHz 내지 8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950MHz 내지 215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제2 서브 밴드를 갖는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은 F-커넥터(102)에서 수신된다. 스위치(116)가 F-커넥터(102)를 제2 다이플렉서(104)와 연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은 제3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역 통과 필터(106)에 의하여 필터링되고,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고역 통과 필터(108)에 의하여 필터링된다. 저역 통과 필터(106)는 806MHz보다 큰 주파수에서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고, 실질적으로 제1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시그널을 ISDBT 튜너(618)에 출력한다. ISDBT 튜너(618)는 그에 따라 시그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시그널은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출력되기 전에 ISDBT 복조기(620)에 의하여 복조된다. 추가적으로,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101a)은 950MHz보다 작은 주파수에서의 제1 유형의 입력 시그널을 감쇠시키고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출력되기 전에 레거시 튜너(612)에 실질적으로 제2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시그널을 출력하는 고역 통과 필터(108)에 의하여 필터링된다.
도 6에서의 STB(600)의 토폴로지는 유리하게 F-커넥터(102)에서의 리턴 손실을 개선하고, BS 필터(112)는 1.1GHz 주변에서 입력 시그널의 70MHz 이내에서 실질적으로 60dB의 소거를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제1 다이플렉서(110)의 주파수 응답들의 도시적 묘사를 제공한다. 이 그래프들은 또한 STB(600)가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2 다이플렉서(104)에 의한 필터링 전에 MoCA 소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다이플렉서(110)를 사용할 때의 개선된 리턴 손실 및 선택성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한다. 702로 표시된 선들은 도 7b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는 통과 대역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704로 표시된 선들은 도 7c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는 대역 차단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며, 706으로 표시된 선은 도 7d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의 리턴 손실을 나타낸다. 선들(702a 및 704a)은 실질적으로 950MHz에서 수렴하고 그로써 대역 차단의 하한을 설정하며, 선들(702b 및 704b)은 실질적으로 1050MHz에서 수렴하고 이는 대역 차단의 상한을 나타낸다. 제1 다이플렉서(110)를 위한 이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장치는 유리하게 Moca 대역 950MHz에서 1050MHz에 걸쳐 60dB 소거를 달성한다. 도 7a로부터, 우리는 moca 통과 대역의 선택성이 가파르고, 1050MHz로부터 1250MHz로의 천이(transient)는 80dB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F-커넥터에서의 리턴 손실은 STB 설계에서의 과제인 위성 대역에서 실질적으로 35dB의 매우 바람직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10dB보다 큰 리턴 손실은 양호한 광대역 설계를 나타내고 대부분의 STB들이 8dB보다 작지 않은 리턴 손실 설계 요구 사항을 가지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이해되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도 7d는 도 4 내지 도 6의 다이플렉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입력 시그널의 모든 서브 밴드들 상의 이 매우 바람직한 리턴 손실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7b 내지 도 7d의 개별 플롯(plot)들을 포함하는 복합 플롯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STB(600)에 의하여 위성 시그널들이 처리되는 방식을 상세화하는 흐름도이다. 단계(802)에서, 입력 시그널은 스위치(116)에서 수신된다. 입력 시그널은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가지고,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한다. 단계(804)에서, 컨트롤러(602)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킨다. 제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다이플렉서(110)는 단계(806)에서 스위치(116)의 제1 출력단에 연결되고, 단계(808)에서 입력 시그널은 제1 다이플렉서(110)에 제공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은 단계(810)에서 생성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은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한다.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단계(812)에서 생성되며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한다. 단계(814)에서,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은 제2 다이플렉서(104)에 제공된다. 제1 필터링된 시그널에 기초하여, 단계(816)에서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이 생성된다. 단계(818)에서,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제1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제1 다이플렉서(110)로부터 컨트롤러(602)에 제공된다. 단계(820)에서,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이 컨트롤러(602)에 제공된다.
다시 단계(804)로 돌아가서,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805)에서 스위치(116)의 제2 출력단이 제2 다이플렉서(104)에 연결된다. 입력 시그널은 단계(807)에서 제2 다이플렉서(104)에 제공된다.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은 단계(809)에서 입력 시그널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동작의 제2 모드에서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이 생성되는 즉시, 프로세스는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컨트롤러(602)에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이 제공되는 단계(820)에서 계속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들은 예를 들어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의 단일 형태의 컨텍스트에서만 논의되었더라도(예를 들어, 방법으로서만 논의됨), 논의된 특징들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드웨어 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장치는 예를 들어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회로 또는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처리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들은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폰, 타블렛, 포터블/개인 디지털 기기("PDA들"), 및 말단 사용자들 간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방법들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 또는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소프트웨어 캐리어, 또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켓,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임의의 다른 자기적, 광학적, 또는 고체 상태의 매체와 같은 다른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임의의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실체 있게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다. 명확해진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유닛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상응하는 명령어들은 실행되었을 때 범용 컴퓨터를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특정 기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것은 실시예들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물론,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론의 고려할 수 있는 모든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적인 조합들 및 순열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주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더불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포함(includes)"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경우, 이러한 용어는 "포함(comprising)"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comprising)"이 청구항에서 전이어(transitional word)로서 사용된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포괄적인 의미가 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8)

  1.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는 스위치(116) - 상기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함 -;
    상기 스위치(116)의 제1 출력단에 연결되고,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제1 다이플렉서(110);
    상기 스위치(116)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제2 다이플렉서(104); 및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컨트롤러(60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116)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다이플렉서(110)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다이플렉서(110)는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로부터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에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며, 상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은 그로부터 제1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602)에 제공되고,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은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602)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116)는 상기 입력 시그널로부터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는 그로부터 상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602)에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플렉서(110)는 대역 차단 필터(112) 및 대역 통과 필터(114)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114)의 통과 대역은 상기 대역 차단 필터(112)에 의하여 소거되는 대역과 동일한,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는 고역 통과 필터(108) 및 저역 통과 필터(106)를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106)의 차단 주파수는 상기 고역 통과 필터(108)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그널은 레거시 위성 시그널 및 단일 와이어 멀티스위치 모드(SWM) 시그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위성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가지는 제1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가지는 제2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보다 높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WM 모드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MoCA 데이터를 갖는 제2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갖는 제3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와 상기 제3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7.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스위치(116)에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는 단계(802) - 상기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함 -;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컨트롤러(602)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제1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스위치(116)의 제1 출력단에 제1 다이플렉서(110)를 연결하는 단계(806);
    상기 제1 다이플렉서(116)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는 단계(808);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단계(810, 812);
    제2 다이플렉서(104)에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는 단계(814);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단계(816);
    제2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스위치(116)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에 상기 스위치(116)의 제2 출력단을 연결하는 단계(805);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는 단계(807);
    상기 입력 시그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는 단계(809);
    제1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다이플렉서(110)로부터 상기 컨트롤러(602)에 상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다이플렉서(104)로부터 상기 컨트롤러(602)에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제공하는 단계(820)
    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대역 통과 필터(114)를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대역 차단 필터(112)를 사용하는 단계 - 상기 대역 통과 필터(114)의 통과 대역은 상기 대역 차단 필터(112)에 의하여 소거된 주파수 대역과 동일함 -
    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의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저역 통과 필터(106)를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하여 고역 통과 필터(108)를 사용하는 단계 - 상기 저역 통과 필터(106)의 차단 주파수는 상기 고역 통과 필터(108)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음 -
    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그널은 레거시 위성 시그널 및 단일 와이어 멀티스위치 모드(SWM) 시그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위성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갖는 제2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보다 높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SWM 모드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MoCA 데이터를 갖는 제2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갖는 제3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와 상기 제3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13.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 - 상기 미리 결정된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서브 밴드들을 포함함 -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의 제1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1 주파수 서브 밴드 및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1 필터링된 시그널 및 제3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한, 필터링을 위한 제1 수단(110);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의 제2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3 필터링된 시그널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 밴드를 포함하는 제4 필터링된 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한, 필터링을 위한 제2 수단(104); 및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602)
    -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은 상기 제1 및 제2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1 수단(110)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하고,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1 수단(110)은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로부터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2 수단(104)에 상기 제1 필터링된 시그널을 제공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116)은 상기 입력 시그널로부터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2 수단(104)에 상기 입력 시그널을 제공함 -; 및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602, 604, 606, 608, 610, 612, 614, 616, 617, 618, 620) - 상기 수단은,
    상기 제1 모드에서, 그로부터 제1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필터링된 시그널을 수신하고, 그로부터 상이한 제2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3 및 제4 필터링된 시그널들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그로부터 상기 제2 상이한 유형의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입력 시그널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제3 및 제4 입력 시그널을 수신함 -
    을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1 수단(110)은 대역 차단 필터(112) 및 대역 통과 필터(114)를 포함하는 제1 다이플렉서를 가지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114)의 통과 대역은 상기 대역 차단 필터(112)에 의하여 소거되는 대역과 동일한,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을 위한 제2 수단은 고역 통과 필터(108) 및 저역 통과 필터(106)를 포함하는 제2 다이플렉서(104)를 가지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106)의 차단 주파수는 상기 고역 통과 필터(108)의 차단 주파수보다 낮은,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그널은 레거시 위성 시그널 및 단일 와이어 멀티스위치 모드(SWM) 시그널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위성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갖는 제2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보다 높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WM 모드 시그널은 ISDBT 데이터를 갖는 제1 서브 밴드 및 MoCA 데이터를 갖는 제2 서브 밴드 및 위성 데이터를 갖는 제3 서브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밴드는 상기 제1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와 상기 제3 서브 밴드의 주파수 범위 사이의 더 높은 주파수 범위를 갖는, 위성 시그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KR1020167018934A 2013-12-18 2013-12-18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 KR20160101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3/075915 WO2015094203A1 (en) 2013-12-18 2013-12-18 Front end multiplexer topology for a set top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035A true KR20160101035A (ko) 2016-08-24

Family

ID=4991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934A KR20160101035A (ko) 2013-12-18 2013-12-18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77061B2 (ko)
EP (1) EP3085025B1 (ko)
JP (1) JP2017510101A (ko)
KR (1) KR20160101035A (ko)
CN (1) CN105830396A (ko)
BR (1) BR112016013777B1 (ko)
WO (1) WO2015094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2538B (zh) * 2015-10-13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US10616053B2 (en) 2015-12-04 2020-04-07 Skyworks Solutions, Inc. Multi-stage reconfigurable triplexer
CN106791557A (zh) * 2017-02-22 2017-05-31 贝思特宽带通讯(烟台)有限公司 用于处理MoCA信号的信号处理方法及信号放大装置
US11265026B2 (en) 2017-10-27 2022-03-0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Tuner device
US11057615B2 (en) 2018-09-18 2021-07-06 Antronix Inc. Inventory tracking in cable TV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4226B2 (en) * 2000-08-30 2015-07-28 Broadcom Corporatio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CN100448213C (zh) * 2007-01-17 2008-12-31 陈勇 基于MoCA技术的HFC网络宽带接入系统
CN102301731B (zh) * 2009-01-30 2014-05-07 汤姆森特许公司 机顶盒中组合家庭网络通信和广播接收的系统和方法
US20110080517A1 (en) 2009-10-01 2011-04-07 The Directv Group, Inc. Phase noise and frequency error resilient demodulation scheme for moca
EP2525572A1 (en) 2011-05-19 2012-11-21 Maxlinear, Inc. System and method in a broadband receiver for efficiently receiving and processing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6685A1 (en) 2017-01-26
WO2015094203A1 (en) 2015-06-25
JP2017510101A (ja) 2017-04-06
US9877061B2 (en) 2018-01-23
EP3085025B1 (en) 2019-02-06
BR112016013777A2 (ko) 2017-08-08
EP3085025A1 (en) 2016-10-26
BR112016013777B1 (pt) 2022-10-25
CN105830396A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01731B (zh) 机顶盒中组合家庭网络通信和广播接收的系统和方法
KR101065736B1 (ko) MoCA 호환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1035A (ko) 셋톱박스를 위한 프런트 엔드 멀티플렉서 토폴로지
US93691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ingals in a receiver
EP28290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perational status for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JP2012525764A (ja) ハイブリッド・カプラとのインピーダンス整合が改善されたフィルタ
US9413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a signal
EP28622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electrical power or control signals into a diplexer circuit
US95162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US8291455B2 (en) Band converter and satellite television system thereof
US8677441B2 (en) Scanning algorithm for embedded network devices
WO2015164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in a device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or surge event
CN108289240A (zh) 数字电视快速换台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JP6242186B2 (ja) 周波数変換装置
CN213717958U (zh) 一种可多频段选择输出的MoCA设备
WO2012009906A1 (zh) 一种手机电视终端及其实现方法
US2017012712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a Signal on a Single Cable
JP2007013329A (ja) 信号経路切替スイッチおよび信号経路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