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612A -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612A
KR20160100612A KR1020150023259A KR20150023259A KR20160100612A KR 20160100612 A KR20160100612 A KR 20160100612A KR 1020150023259 A KR1020150023259 A KR 1020150023259A KR 20150023259 A KR20150023259 A KR 20150023259A KR 20160100612 A KR20160100612 A KR 20160100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mobi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612A/ko
Publication of KR2016010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MESSAGE SECURITY SYSTEM,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은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폰은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성능화로 스마트 폰은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은 현재 급격한 시장 확대와 함께 스마트 폰 고유의 특징인 개방형 OS(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통신망 개방과 개방마켓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으로 여러 가지 보안 위협요인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현재 스마트 폰은 악성코드 등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며 Lab Attack과 같은 해킹에도 취약한 단점이 있다. 악성코드에 감염된 스마트 폰의 경우 단말 장치 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네트워크 접속 등에 의한 과도한 배터리 소모, 과도한 과금 유발, 개인 정보 및 금융 정보의 유출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악성 코드는 주로 백신 등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 폰의 내부 저장 영역에 있는 특정 정보를 읽어오거나 단말 장치 자체 정보를 참조 및 변경하는 해킹에 해당하는 Lab Attack의 경우 Lab Attack에 당한 단말기는 단말기의 IMEI가 해킹되어 복제 등의 도용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보안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현재의 스마트 폰을 위한 보안 기술은 주로 S/W를 기반으로 한 백신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 제어 등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스마트 폰의 경우 하드웨어 제어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어, 기존의 S/W 기반의 보안 기술만으로는 충분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없다. 특히, 스마트 폰의 보안 기술은 탈옥(jailbreak) 또는 루팅(rooting) 등 스마트 폰 자체 보안과, 지불, 금융, 기업 서비스 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최근 스마트 폰을 이용한 소액 결제, 전자상거래 이용 등이 급증하면서, 결제, 사용자 인증 등과 관련된 정보들이 SMS, MMS 등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데, 이러한 메시지를 해킹하여 소액 결제 등을 도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보안 대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 전송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문자 메시지 형태의 메시지가 아닌 다른 형태의 암호화 메시지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및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문자 보관함에 보관 및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는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메시지 보안 서버에서 메시지를 보안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 단계;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이 필요한 중요 메시지 내용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화화하여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 메시지로 전송하고, 암호화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알림 메시지 만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의 해킹을 통해 중요 메시지 내용이 도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에서 메시지를 보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시스템(100)은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 메시지 보안 서버(120)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는 후술할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전송할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후술할 메시지 보안 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메시지 보안이 필요한 비밀 번호 정보, 인증 번호 정보, 금융 정보 및 인적 정보 등 일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전화번호 및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등 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인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메시지 보안 서버(120)로 전송하고,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인 경우에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메시지 보안 서버(120)에 전송함은 물론이다.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문자 메시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메시지, 즉 보안성 강화를 위해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고,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에 대한 알림을 문자 메시지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모바일 앱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모바일 앱 메시지와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하되,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에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특정 모바일 앱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모바일 앱 설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음악, 이미지, 동영상 및 모바일 앱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기 설치된 모바일 앱을 실행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수신 및 보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메시지 보안 서버(120)로부터 모바일 앱 메시지 및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문자 보관함에 보관 및 화면 상에 출력하고, 특정 모바일 앱을 통해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메시지 보안 서버(120)로부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알림 문자 메시지인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문자 보관함에 보관함과 아울러 도 3과 같이 화면 상에 출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앱을 실행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특정 모바일 앱을 통해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도 4의 4A와 같이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특정 모바일 앱에서 특정 모바일 앱 메시지의 복호화를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4B와 같이 출력하고,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12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210), 문자 메시지 생성부(220), 통신 인터페이스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210)는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210)는 사이퍼(cipher) 법과 코드법 등을 통해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암호화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 생성부(220)는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 생성부(220)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장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와의 데이터 송수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메시지 보안 서버(24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CPU(Central Process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제어부(240)는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인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으면,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210)에서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문자 메시지 생성부(220)에서 메시지 전송 알림 문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모바일 앱 메시지와 메시지 전송 알림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2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모바일 앱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메시지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모바일 앱 메시지와 메시지 전송 알림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특정 모바일 앱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모바일 앱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40)는 모바일 앱 설치 정보에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210)에서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모바일 앱 설치 정보에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문자 메시지 생성부(220)에서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에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보안 서버(120)에서 보안이 필요한 중요 메시지 내용은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할 수 있는 암호화 메시지로 전송하고, 암호화 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알림 메시지 만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의 해킹을 통해 중요 메시지 내용이 도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120)에서 메시지를 보안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보안 서버에서 메시지를 보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인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다(S510).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전송하고,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520, S530). 여기서,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상기 단계 S520 및 S530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상기 단계 S520을 수행한 후에 상기 단계 S53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보안 서버(120)는 상기 단계 S520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단계 S520 및 S530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단계 S520을 수행한 후, 상기 단계 S530에서 메시지 전송 알림 메시지에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는 푸쉬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5.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및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문자 보관함에 보관 및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을 통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앱 설치 주소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을 설치한 후,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시스템.
  9.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는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는 문자 메시지 생성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모바일 앱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앱 설치 정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앱 설치 정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문자 메시지 생성부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서버.
  13. 메시지 보안 서버에서 메시지를 보안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키보드를 포함하는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소정의 메시지 내용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 단계;
    소정의 메시지 내용을 특정 모바일 앱에서 복호화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암호화한 모바일 앱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의 전송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 알림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문자 메시지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보안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앱 설치 여부 확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보안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앱 메시지 전송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 메시지에 상기 특정 모바일 앱의 설치 파일이 있는 앱 설치 주소를 추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보안 방법.
KR1020150023259A 2015-02-16 2015-02-16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60100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59A KR20160100612A (ko) 2015-02-16 2015-02-16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59A KR20160100612A (ko) 2015-02-16 2015-02-16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612A true KR20160100612A (ko) 2016-08-24

Family

ID=5688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259A KR20160100612A (ko) 2015-02-16 2015-02-16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5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message and user terminal
US934488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venting information disclosure
Wang et al. Smartphone security challenges
CN108769027B (zh) 安全通信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7222485B (zh) 一种授权方法以及相关设备
US9258294B2 (en) Remote authentication method with single sign on credentials
US20180160255A1 (en) Nfc tag-based web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nti-simulation function
CN10778633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793815A (zh) 适用于银行卡和行业卡的移动智能终端收单系统及方法
CN112287372B (zh) 用于保护剪贴板隐私的方法和装置
CN104954126B (zh) 敏感操作验证方法、装置及系统
CN10597586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
CN103514000A (zh) 浏览器插件安装方法和装置
KR101540672B1 (ko) 이동 단말기의 해킹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738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 encryption key
US985444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venting information disclosure
CN113127844A (zh) 一种变量访问方法、装置、系统、设备和介质
KR100931986B1 (ko) 단말기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302362B1 (ko) 키 입력 보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40123353A (ko) 보안 메시지 전송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그의 보안 메시지 처리 방법
JP2008176429A (ja) 機密情報漏洩防止システム、機密情報漏洩防止方法、機密情報漏洩防止プログラム
CN108769989B (zh) 一种无线网连接方法、无线接入装置和设备
KR102088219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Igor et al. Security Software Green Head for Mobile Devices Providing Comprehensive Protection from Malware and Illegal Activities of Cyber Criminals.
KR20160100612A (ko) 메시지 보안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