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565A -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565A
KR20160100565A KR1020150023137A KR20150023137A KR20160100565A KR 20160100565 A KR20160100565 A KR 20160100565A KR 1020150023137 A KR1020150023137 A KR 1020150023137A KR 20150023137 A KR20150023137 A KR 20150023137A KR 20160100565 A KR20160100565 A KR 2016010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5002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565A/en
Publication of KR2016010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5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3/00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02B90/226
    • Y02B90/26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ncludes: at least one plug receptacl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repeater for connecting the plug receptacle to a server; the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 from and to the plug receptacle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ich a user possesses. Thus, a user may access the server to confirm the power consumption situation of each plug receptacle in real time, to simply control such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plug receptacle or cut off, to set a power cutoff time, and to preset power supply and cutoff times by days of the week and time. In addition, the plug receptacles are prioritized, such that the power is automatically blocked according to the priority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 Thus, the power waste due to standby power may be minimized and the use of power may be confirmed and managed.

Description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0001]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0002]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벽면 등에 구비되어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efficiently and easily managing power by making it possible to control power.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는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 등에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종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필요한 전력을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 home, an office, a factory,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n outlet that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such as a wall or a floor of a building, and a plug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plugged into an outlet so that necessary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이러한 전력 공급 구조 하에서는 통상 상용 전원과 콘센트의 연결선 사이에 항상 대기전력이 존재하기 마련이며, 특히 콘센트에 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끄더라도 많은 대기전력이 소모되어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Under such a power supply structure, standby power is always present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outlet of the outlet. Especially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outlet, a large amount of standby power is consumed, .

알려진 바로는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 손실은 전체 전력 사용량의 대략 10%에 해당하며, 이는 엄청난 자원의 낭비로서 전력 생산을 위해 막대하게 투자되는 비용 못지않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개발은 국가 전력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known that the power loss due to standby power is about 10%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hich is a waste of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measures to solve it as much as the cost of being heavily invested for power generation, It is said that it has an important meaning.

대기 전력에 관한 구체적인 예로써 각종 전자 장치 중 복사기나 비디오 장치 등의 경우에는 전체 소비전력의 80%를 대기전력이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 등의 경우에는 전원을 끈 상태와 켠 상태의 전력 소비가 거의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As a concrete example of standby power, it is known that standby power accounts for 80%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copying machines and video devices among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In the case of a monitor used for a computer, etc.,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urned on Are almost the same.

이와 같이 대기 전력에 의하여 낭비되는 전력은 한국의 경우 가정과 상업 부문 전력 사용량의 10% 이상인데, 이는 연간 약 7,600억 원에 해당하는 비용이며, 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비용과 맞먹는 것이다.The power consumed by standby power is more than 10% of domestic and commercial power consumption in Korea, equivalent to about 760 billion won per year, equivalent to the cost of building two thermal power plants.

보통 회사 사무실의 경우 하루 9시간 근무 중 이렇게 낭비되는 컴퓨터나 사무기기의 대기전력은 5시간에 이르고, 퇴근 후 플러그를 뽑지 않았을 때의 대기전력을 고려하면 컴퓨터나 사무기기 총사용 전력의 80% 이상에 이르는 엄처난 양의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In a typical company office, the standby power of the computer or office equipment wasted during the 9 hours a day is about 5 hours, and when the standby power when the plug is unplugged after work is taken into account, 80% The amount of power that is required is very high.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 놓자는 캠페인 등을 펼치고 있지만, 사용자 각각의 행동에만 의지하기에는 그 낭비되는 전력의 양이 너무 크고, 일일이 사용자가 플러그를 뽑기에도 번거로워 알면서도 콘센트에 전자 장치의 플러그를 그냥 꽂아 두거나 이를 잊어버리고 그냥 외출하거나 퇴근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As a result, we have been campaigning to unplug electronic devices not used in the home or office from the outlet, but the amount of power that is wasted to rely on each user's actions is too great, You know, you could just plug in an electronic device into the outlet or forget it and just go out or leave.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3923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923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의 벽면이나 바닥 등에 구비되어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연결하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즉시 차단하거나 차단할 시간을 예약하는 등 각종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기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device that is provided on a wall or floor of a home, an office, a factory, or the lik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s to a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erver with the sam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receptacle device which is not in use immediately or to reserve the time to be blocked, thereby minimizing the waste of the standby power and managing the cost efficiently And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은, 연결된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1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다수 개의 콘센트장치; 상기 콘센트장치와 제1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통되며,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통되는 통신중계기;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콘센트장치와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무선단말기와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콘센트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센트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smart power plug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a connected electronic device, measures power consumed and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nd signals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utlets; A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ing with the receptacle device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s to and from the receptac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s to an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information of the receptacle device and request generation of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ceptacle device.

이때, 상기 콘센트장치는, 외부의 전자장치가 연결되며, 주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외부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소켓모듈; 상기 소켓모듈에 연결된 외부의 전자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센서모듈; 상기 소켓모듈에 연결된 외부의 전자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릴레이모듈; 상기 통신중계기와 연통되어 제1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1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전력 정보를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 연통된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모듈을 개폐하는 콘트롤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socket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receiving power from a main power source and delivering the electronic device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ensor module for measuring power consum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A relay module for opening / closing a power supply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repeater to for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le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power information from the sensor module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ed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to open and close the relay module, .

아울러,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중계기와 연통되어 유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유무선통신모듈;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와 연통되어 제2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2무선통신모듈;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전력 정보를 장치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필요한 전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모듈; 및 상기 콘센트장치의 콘트롤러모듈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repeater to form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database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by time for each devic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extracting necessary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at the request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power inform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에서 소모되는 전력에 따른 예상 요금을 산정하는 코스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코스트모듈에서 산정한 예상 요금이 미리 설정한 금액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알람을 전송하는 경고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st module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charge based on power consumed in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In this case,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st module, And an alarm notify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 alarm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amount of money is reached.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에서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타이머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erv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selected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after the time input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has elapsed, in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And a timer setting module for instructing the timer setting module to instruct the timer setting modul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설정된 요일과 시간에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에서 각각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스케쥴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start supplying power to the socket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selected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at a day and time set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schedule setting module for instructing the schedule setting module to generate the schedule setting module.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제어하는 다수개의 상기 콘센트장치에서 소모하는 전력의 총합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 순서를 설정하는 우선순위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priority setting module for setting a socket module order of the receptacle devic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preferentially when the total sum of power consumed by the plurality of receptacle devices controlled by the serve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Further comprising:

한편,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는,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접속모듈;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전력 정보를 전송받아 특정한 레이아웃으로 현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콘센트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a server connection module connecting to the server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display module for receiving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from the server and moving in a specific layout; And an input module for generating a request for controlling the outlet device by a user's inpu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quest to the server.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콘센트장치와, 상기 콘센트 장치와 서버를 연결시켜 주는 통신중계기, 상기 콘센트 장치와 사용자무선단말기 각각과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무선단말기 등으로 구성되어 각 콘센트장치의 전력 소모 현황 등을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콘센트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등의 단순 제어뿐만 아니라 전력 차단 시간을 설정하거나 시간별, 요일별로 전력 공급과 차단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콘센트장치에 미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전력 소모가 과다한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대기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전력 사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receptacle device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repeater for connecting the receptacle device and a server, a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s to and from the receptacle device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like, and the user can grasp the power consumption status of each receptacle device in real time by connecting to the server, and can set not only the simple control such as supplying or cutting the power to the receptacle device, The power supply and the cutoff time can b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day of the week and the power supply can be automatically cut off according to the priority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ly given by assigning priorities to the respective receptacle devices in advance, Benefits of identifying and managing power usage The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의 사용자무선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구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pplication implementation diagram of a user wireless terminal of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은 각종 전자 장치의 플러그와 연결되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콘센트장치(100)와, 상기 콘센트장치(100)와 서버(300)를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중계기(200)와, 상기 통신중계기(200)와 사용자무선단말기(4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서버(300)와, 상기 서버(3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 apparatuses 100 connected to plugs of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to supply necessary power, A server 3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3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400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signals.

이때, 상기 콘센트장치(100)는 외부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꽂혀지는 소켓모듈(110)과, 상기 소켓모듈(110)에 플러그를 통하여 연결된 전자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센서모듈(120)과, 상기 소켓모듈(110)에서 전자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릴레이모듈(130)과, 상기 통신중계기(200)와 연결되어 제1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1무선통신모듈(140)과, 제1무선통신모듈(14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모듈(130)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receptacle device 100 includes a socket module 110 for plugg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ensor module 120 for measuring power consumed in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110 through a plug, A relay module 130 for opening / closing a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device from the socket module 110,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to for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ler module 15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relay module 130.

상기 소켓모듈(110)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전력을 상기 소켓모듈(110)에 꽂힌 전자장치의 플러그를 통하여 전자장치로 전달하게 된다.The socket module 110 receives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supplied to a building such as a home or office,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plug of the electronic device plugged into the socket module 110.

상기 소켓모듈(110)을 통하여 전자장치로 공급되는 전력량은 상기 센서모듈(12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체크하게 되는데, 상기 센서모듈(120)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량을 측정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저항이나 검류계 등을 이용하여 전류량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력량을 계산하는 방식이 이용될 것이다.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ocket module 110 is checked in real time by the sensor module 120. The sensor module 120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ing a known technique.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by using a resistor or a galvanic system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based on the measured amount of electric current will be used.

상기 릴레이장치(130)는 상기 소켓모듈(110)에서 외부의 전자장치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콘트롤러모듈(150)에 의하여 개폐가 작동하게 되며, 사용하지 않는 전자장치의 플러그가 상기 소켓모듈(110)에 꽂혀 있거나 과다한 전력을 사용하는 전자장치가 있는 경우 선택적으로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relay device 130 is a device that can block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rom the socket module 110. The relay device 13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ler module 150, When the plug is plugged into the socket module 110 or when there is an electronic device using excessive power, the power supply selectively blocks the power supply.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140)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통신중계기(200)와 제1무선통신망을 형성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form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include a WiFi, a Bluetooth, a Zigbee, And the like.

상기 콘트롤러모듈(150)은 기본적으로 상기 릴레이장치(13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릴레이장치(130)의 작동을 결정하는 제어신호는 제1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며, 이러한 기본적인 제어 역할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를 콘트롤하게 되며,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controller module 150 basically controls the relay device 130. The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device 130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ese basic control functions, various devices are controlled, and the sensor module 120 collect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한편, 상기 서버(300)는 상기 통신중계기(200)와 연결되어 유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유무선통신모듈(310)과, 사용자무선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제2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2무선통신모듈(320)과, 상기 콘센트장치(10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모듈(340)과, 상기 콘센트장치(100)로 전송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rver 300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to form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to 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40 for extrac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database 33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let device 10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ptacle device 100. [

상기 유무선통신모듈(310)은 서버(300)와 통신중계기(200)를 연결하는 통신기술이면 어떠한 통신기술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인데, 하나의 서버(300)를 이용하여 다수 건물의 전력을 관리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유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유무선통신모듈(310)과 통신중계기(200)가 통신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0 may use any communication technology as long as it is a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connecting the server 300 and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In order to manage power of a plurality of buildings using one server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0 and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유무선통신모듈(310)과 통신중계기(200)를 통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에서 수집된 정보가 상기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로 전달되어 저장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센서모듈(120)에서 수집된 전력 정보가 상기 서버(300)로 전달되어 저장될 것인데, 상기 콘센트장치(100)와 소켓모듈(110)별, 날짜와 시간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전력 정보를 이용하는데 용이할 것이다.Information collected in the receptacle apparatus 100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database 330 of the server 3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0 and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Typically, the receptacle apparatus 100 The pow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module 120 of the receptacle 100 and the socket module 1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and stored. It will be easy to use information.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각종 정보는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정보전송모듈(340)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로 전송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30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330 only by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4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

상기 서버(300)의 정보전송모듈(340)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장치(100) 등을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서버(300)에 필요한 제어신호의 생성을 요청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서 이와 같은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제어신호는 상기 통신중계기(200)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장치(100)로 전달되어 콘텐츠장치(100)의 콘트롤러모듈(150)에서 해당 제어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When a user who receives and confirm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40 of the server 300 needs to control the content device 100 or the like, the server 300 requests the server 300 to generate a necessary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module 300 of the content device 100. [ The controller 150 executes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한편, 사용자무선단말기(400)와 서버(30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무선통신망은 상기 통신중계기(200)와 콘센트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무선통신망과 달리 근거리 무선 통신이 아니라 이동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것이다.Unlik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etween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and the receptacle 10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and the server 300 is not short- A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used.

즉,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만 사용될 수 있는 전용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범용 장치를 이용하여 상용화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instead of configur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as a dedicated device that can be used only for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a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general- As shown in FIG.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준다.When a user wireless terminal 400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used, an application optimized for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easily access the server 300 using the application, Allows you to issue commands.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는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서버(300)에 연결하는 서버접속모듈(410)과, 상기 서버(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특정한 레이아웃으로 현출하는 디스플레이모듈(420)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요청을 생성하는 입력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includes a server connection module 410 for connecting to the server 300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rver connection module 410 for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0, And an input module 430 for generating a request for controlling the outlet apparatus 100 by a user's input.

상기 서버접속모듈(410)은 상기 서버(300)의 제2무선통신모듈(320)과 이동통신망 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통신망 형성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부여된 식별기호 등을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에 구비된 상기 통신중계기(200)를 매칭시켜 상기 콘센트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e server connection module 4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20 of the server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like, Etc. to the server 300 so that the receptacle 100 can be controlled by matching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provided in the home or office of the user.

이러한 사용자에 부여된 식별기호 등은 미리 회원가입을 통하여 부여되는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해당 사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에 구비된 통신중계기(200) 또한 식별할 수 있는 번호나 알파벳 등과 같은 기호를 부여하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like assigned to such a user will generally use an ID and a password given in advance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and the communication repeater 200 provided in the home or office of the user will also be able to identify such as a number or alphabet Symbol.

이러한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 정보, 통신중계기(200)의 식별기호 등은 상기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 일정 영역에 구별하여 저장하거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하도록 한다.The ID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communication relay device 200 are separately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atabase 330 of the server 300 or a separate database is constructed and stored.

한편, 앞서 언급한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예시적으로 구현한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n exemplary implementa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mentioned above.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모듈(420)을 통하여 현출되게 될 것이며,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모듈(43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 받게 될 것이다.Such an application screen will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420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and the user's request will be input using the input module 430 such as a touch screen of a smart phone or the like.

사용자는 간단하게 상기 콘센트장치(1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과다한 전력을 소모하고 있는 전자장치가 연결된 소켓모듈(110)이나 사용하지 않는 전자장치가 연결된 소켓모듈(11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요청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요청은 상기 서버(300)로 전달되어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The user can simply check the power consumed in the receptacle device 100 in real time so that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ocket module 110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 consuming excessive power is connected or to the socket module 110 to which the unuse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th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requir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receptacle device 100.

사용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력량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력량에 따른 전기사용요금에 대한 정보도 필요할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서버(300)에 코스트모듈(360)을 구비하여 현재 해당 사용 전력량에 대한 예상 요금을 산정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로 전송하여 현출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e user may need not only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n the home or office but also information on the electricity usage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For this purpose, the cost module 360 is provided in the server 300,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when the user requests it.

아울러 사용자가 과다한 전기 사용을 간과하여 막대한 요금을 지불하여야 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버(300)에 경고알림모듈(361)을 구비하여 상기 코스트모듈에서 산정한 예상 요금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금액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may have to pay a large fee due to overlooking excessive electricity usage, the ser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warning notification module 361, and the estimated fee calculated by the cost module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user And informs the user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when the amount has been reached.

그리고,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여러 가지 전자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각 전자장치가 필요한 시간에 작동하거나 필요한 시간에 작동을 정지해야 할 경우도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In each home or office,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are generally used. In some cases, each electronic device may operate at a necessary time or stop at a required time. Therefore, It would be nice to be able to do it.

즉, 상기 서버(300)에 타이머세팅모듈(37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통하여 지정한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소켓모듈(110)로의 전력 공급을 몇 분 또는 몇 시간 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것이다.That is, the server 300 is provided with a timer setting module 370 to allow the user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socket module 110 of the receptacle device 100 specifi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for several minutes or several hours One example would be to allow you to stop afterwards.

이 경우 상기 타이머세팅모듈(370)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을 카운트다운 하여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명령하여 상기 콘센트장치(100)의 콘트롤러모듈(150)로 전송되도록 하며, 해당 소켓모듈(100)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릴레이모듈(130)을 작동시키게 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timer setting module 370 counts down the time specified by the user, and when the time comes,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commands the controller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100 150, and operates the relay module 130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100.

한편, 이러한 카운트다운 형태 이외에 요일별 시간별로 자동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인데, 상기 서버(300)에 스케쥴세팅모듈(380)을 구비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untdown mode,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upply and block power for each day of the week, and the server 300 may be provided with the schedule setting module 380 to implement this.

상기 스케쥴세팅모듈(380)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요일의 특정한 시간에 전력을 공급하여 특정한 시간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세팅되어,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 명령하게 될 것이다.The schedule setting module 380 is set to stop the power supply at a specific time by supplying power at a specific time of the day designated by the user in advance and instructs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to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will be.

앞서 전력 사용 요금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어 사용자가 각 콘센트장치(100)의 소켓모듈(11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전력 소모가 많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력량 이상으로 전려 소모가 이루어지는 경우, 필요 없는 전자장치가 연결된 소켓모듈(110)으로의 전력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user is warned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usage fe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110 of each receptacle device 100. However,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or the electric power is exceed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consumption, the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110 to which the unnecessary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may be automatically cut off.

이를 위하여 상기 서버(300)에 우선순위설정모듈(390)을 구비하여 전력 소모가 과다한 경우 먼저 전력 공급을 차단할 소켓모듈(110)의 순서를 지정하고 반드시 전력 공급이 유지되어야 할 소켓모듈(110)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o this end, the server 300 is provided with a priority setting module 390, and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 the order of the socket module 110 to cut off power supply is designated first, and the socket module 110, .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통하여 이러한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전력 소모가 과다한 경우 상기 우선순위설정모듈(390)에서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소켓모듈(110)의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 명령하게 될 것이며, 그래도 전력 소모가 과다한 경우에는 우선순위 차례대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350)에 순차적으로 명령하게 될 것이다.When the priority is set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if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 the priority setting module 390 controls the power control of the socket module 110, The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will comm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cuts off power supply in order of priority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

한편,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사용자무선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가정이나 사무실의 콘센트장치(100)의 소켓모듈(110)에 연결된 전자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소켓모듈(110)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trol the power supply from the remote place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110 of the receptacle device 100 of the home or office us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110, < / RTI >

이를 위해서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400)에서 각 콘센트장치(100)의 소켓모듈(100)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종류를 미리 확인하며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장치 리스트를 구성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어느 소켓모듈(100)에 어떠한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do this, the user wireless terminal 400 may identify and designate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100 of each receptacle device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which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the like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콘센트장치
110 - 소켓모듈 120 - 센서모듈
130 - 릴레이모듈 140 - 제1무선통신모듈
150 - 콘트롤러모듈
200 - 통신중계기
300 - 서버
310 - 유무선통신모듈 320 - 제2무선통신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340 - 정보전송모듈
350 - 제어신호생성모듈 360 - 코스트모듈
361 - 경고알림모듈 370 - 타이머세팅모듈
380 - 스케쥴세팅모듈 390 - 우선순위설정모듈
400 - 사용자무선단말기
410 - 서버접속모듈 420 - 디스플레이모듈
430 - 입력모듈
100 - receptacle device
110 - Socket module 120 - Sensor module
130 - relay module 140 -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 Controller module
200 - Communication repeater
300-server
310 -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20 -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0 - Database 340 - Information transfer module
350 -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60 - Cost module
361 - Warning notification module 370 - Timer setting module
380 - Schedule setting module 390 - Priority setting module
400 - User wireless terminal
410 - server connection module 420 - display module
430 - input module

Claims (9)

연결된 전자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제1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다수 개의 콘센트장치;
상기 콘센트장치와 제1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통되며, 서버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통되는 통신중계기;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콘센트장치와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무선단말기와 정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상기 콘센트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센트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One or more outlet devic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and measuring and consuming power consum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signals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ing with the receptacle device through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s to and from the receptac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ignals to an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receptacle device and request generation of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ceptacle devic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장치는,
외부의 전자장치가 연결되며, 주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외부의 전자장치에 전달하는 소켓모듈;
상기 소켓모듈에 연결된 외부의 전자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센서모듈;
상기 소켓모듈에 연결된 외부의 전자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개폐하는 릴레이모듈;
상기 통신중계기와 연통되어 제1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1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전력 정보를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 연통된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모듈을 개폐하는 콘트롤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device includes:
A socket module to whic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and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electric power source and transfers the electric power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 sensor module for measuring power consumed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A relay module for opening / closing a power supply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socket modul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repeater to form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d a controlle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power information from the sensor module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ed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to open and close the relay module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중계기와 연통되어 유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유무선통신모듈;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와 연통되어 제2무선통신망을 형성하는 제2무선통신모듈;
상기 통신중계기를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전력 정보를 장치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필요한 전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모듈; 및
상기 콘센트장치의 콘트롤러모듈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rver compris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repeater to form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form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database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by time for each devic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extracting necessary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at the request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power inform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에서 소모되는 전력에 따른 예상 요금을 산정하는 코스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ost module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charge based on power consumed in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코스트모듈에서 산정한 예상 요금이 미리 설정한 금액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로 알람을 전송하는 경고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erv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alert notif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alarm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an estimated charge calculated by the cost module reaches a preset amou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에서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타이머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er comprises:
A timer setting module for instruc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selected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after a time input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has elapsed, And a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설정된 요일과 시간에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생성모듈에서 각각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스케쥴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er comprises:
And instructs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tarting power supply to the socket module of the receptacle device selected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at the day and time set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smart power plug system further comprises a schedule setting modu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제어하는 다수개의 상기 콘센트장치에서 소모하는 전력의 총합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을 때 우선적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상기 콘센트장치의 소켓모듈 순서를 설정하는 우선순위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er comprises:
And a priority order setting module for setting a socket module order of the receptacle devic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preferentially when the total sum of power consumed by the plurality of receptacle devices controlled by the server reaches a preset value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무선단말기는,
제2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서버접속모듈;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콘센트장치 각각의 전력 정보를 전송받아 특정한 레이아웃으로 현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콘센트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8,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server connection module connecting to the server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display module for receiving power information of each of the receptacle devices from the server and moving in a specific layout; And
And an input module for generating a request for controlling the receptacle device by a user's inpu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quest to the server.
KR1020150023137A 2015-02-16 2015-02-16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601005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37A KR20160100565A (en) 2015-02-16 2015-02-16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137A KR20160100565A (en) 2015-02-16 2015-02-16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565A true KR20160100565A (en) 2016-08-24

Family

ID=5688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137A KR20160100565A (en) 2015-02-16 2015-02-16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56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415A (en) 2018-12-22 2020-07-13 삼아산전 (주) Additional connect device for SMPS power supply with IOT based control system
WO2020168914A1 (en) * 2019-02-20 2020-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lug of home system, smart plug, and home system
GB2598728A (en) * 2020-09-08 2022-03-16 Measurable Ltd Power socket for reducing wastage of electrical energy and related asp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34B1 (en)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Multi concent based on home network with function for managing each concent power individual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34B1 (en) 2009-01-23 2010-01-29 주식회사 대륙 Multi concent based on home network with function for managing each concent power individual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415A (en) 2018-12-22 2020-07-13 삼아산전 (주) Additional connect device for SMPS power supply with IOT based control system
WO2020168914A1 (en) * 2019-02-20 2020-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lug of home system, smart plug, and home system
US11960258B2 (en) 2019-02-20 2024-04-16 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plug of home system, smart plug, and home system
GB2598728A (en) * 2020-09-08 2022-03-16 Measurable Ltd Power socket for reducing wastage of electrical energy and related aspects
WO2022053794A2 (en) 2020-09-08 2022-03-17 Measurable Ltd Power socket for reducing wastage of electrical energy and related aspe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3116C (en)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JP6246186B2 (en) Programmable electrical control device
US2018000649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088331A1 (en) Intelligent wall plug
KR101136537B1 (en) System for measuring power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160285310A1 (en) Smart electrical power meter with auto-switching control for optimizing energy savings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RU2565047C2 (en) Power supply module
KR2011010147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wer
KR101231707B1 (en) Intelligent outlet for plc communication capable of meter-reading and remote control
KR20160100565A (en) Smart Power Plu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606977B2 (en) Network-controlled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006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KR101801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Standby Power
KR20170111368A (en) Power network system
KR20210019875A (en)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N111029825B (en) Socket, electrical appliance, power prot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102580B1 (en) Device for controlling outlet and method for the same
EP2889632B1 (en) Apparatus to disconnect and restore a secondary electric power network
JP2020056744A (en) Smart tap
KR101661791B1 (en) Apparatus for Managing Public Lamp using CATV Network
JP4162236B2 (en) Heat source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FI128767B (en) An electrical socket system and a method for an electrical socket system
KR20170054619A (en) Automatic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for using remote control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